KR20150096686A -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 Google Patents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686A
KR20150096686A KR1020157017774A KR20157017774A KR20150096686A KR 20150096686 A KR20150096686 A KR 20150096686A KR 1020157017774 A KR1020157017774 A KR 1020157017774A KR 20157017774 A KR20157017774 A KR 20157017774A KR 20150096686 A KR20150096686 A KR 2015009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pring
housing
fluid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795B1 (ko
Inventor
케빈 비. 토드
데일 엔.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2개의 피스톤을 이용하는 체인 전장을 장력화하기 위한 텐셔너. 2개의 피스톤의 이동이 함께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피스톤은 체인 전장에 대해서 감쇠(damping)을 제공하고, 제2 피스톤은 체인 전장에 대한 스프링력의 가변적이고, 주된, 그리고 자동적인 조정을 제공한다. 텐셔너는 평균(mean)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체인 제어의 희생이 없이도,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체인 조건 및 동적 하중의 조건에서 구동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Description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IN A SECOND BORE}
본 발명은 텐셔너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 엔진의 밸브 구동부를 위한 타이밍 체인에서, 캠샤프트-캠샤프트 구동부를 위한 용도의 캠샤프트 체인, 및 밸런서(balancer) 체인은 체인의 늘어짐(slack)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리고 체인으로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체인의 늘어짐 측부(side) 상에서 이용되는 텐셔너를 가진다.
동작 중에, 텐셔너의 피스톤이 체인을 눌러 체인 내에서 장력을 유지한다. 체인 전장(span)의 공진으로 인해서 동작 중에 체인 내의 장력이 증가할 때, 체인으로부터 큰 부하가 텐셔너의 피스톤 상으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텐셔너가 체인 내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펌핑 업될 때(pump up) 피스톤이 연장되게 한다.
체인 구동부 텐셔너 스프링력은 대부분의 동작 조건에서 빈번하게 너무 큰데, 이는 스프링력이 텐셔너 시스템의 최악의 경우의 동작 조건을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체인의 수명 중에 체인 내에서 발생되는 마모 및 연신을 고려하여, 텐셔너 스프링력이 동작 조건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면, 텐셔너 및 전체적인 시스템 거동의 효율성 및 효율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2개의 피스톤을 이용하는 체인 전장을 장력화(tensioning)하기 위한 텐셔너. 2개의 피스톤의 이동이 함께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피스톤은 체인 전장에 대해서 감쇠(damping)을 제공하고, 제2 피스톤은 체인 전장에 대한 스프링력의 가변적 및 자동적 조정을 제공한다. 텐셔너는 평균(mean)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체인 제어의 희생이 없이도,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체인 조건 및 동적 부하의 조건에서 구동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는 제2 실시예의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큰 동적 부하에 응답하여 체인을 장력화하는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는 제3 실시예의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큰 동적 부하에 응답하여 체인을 장력화하는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는 제4 실시예의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큰 동적 부하에 응답하여 체인을 장력화하는 텐셔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보어 내의 제2 피스톤에 연결된 제1 보어 내의 제1 피스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피스톤의 연장부를 통해서 제1 보어 내의 제1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제2 보어 내의 제2 피스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아암을 통해서 체인을 장력화하는 제1 실시예의 텐셔너의 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체인 전장 또는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피동적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텐셔너를 도시한다. 피동적 제어는, 제2 피스톤에 대한 제1 피스톤의 위치 또는 피스톤의 위치에 대한 가동(可動) 슬리브의 위치 사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피드백이 이용되지 않는 시스템으로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텐셔너 시스템은 내연 엔진에서 이용되는 폐쇄 루프 체인 구동 시스템을 위한 텐셔너(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됨)를 포함한다. 텐셔너 시스템은 구동샤프트와 적어도 하나의 캠샤프트 사이의 폐쇄 루프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 또는 구동샤프트와 밸런스 샤프트 사이의 밸런스 샤프트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텐셔너 시스템은 또한 오일 펌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연료 펌프 구동부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텐셔너 시스템은 또한 벨트 구동부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피스톤(3)에 대한 가동 슬리브(1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피동적 제어를 이용하는 텐셔너 시스템을 도시한다. 피동적 제어는, 텐셔너(1)의 피스톤(3)에 대한 가동 슬리브(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피드백이 이용되지 않는 시스템으로서 규정된다. 피동적 시스템은, 엔진의 구성요소의 실시간 피드백이 가동 슬리브(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능동적 제어 시스템과 대비된다.
텐셔너(1)는 제1 보조 연장 피스톤 보어(2a)를 가지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하우징(2)의 보어(2a) 내에 가동 슬리브(10)가 수용된다. 가동 슬리브(10)는, 관통 홀(12)을 가지는 내측 플랜지(11)에 의해서 분리되는 제1 개방 단부(13a) 및 제2 개방 단부(14a)를 가진다. 제1 개방 단부(13a)는 상단 내경 부분(13)에 의해서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11)의 상단 표면(15) 및 제2 개방 단부(14a)는 하단 내경 부분(14) 및 내측 플랜지(11)의 하단 표면(16)에 의해서 형성된다. 내측 플랜지(11)의 관통 홀(12)은 제1 개방 단부(13a)를 제2 개방 단부(14a)와 연결한다. 가동 슬리브(10)의 상단 표면(17)이 엔진의 기압에 노출된다.
상단 내경 부분(13) 및 내측 플랜지(11)의 상단 표면(1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동 슬리브(10)의 제1 개방 단부(13a) 내에 중공형 피스톤(3)이 수용된다. 중공형 피스톤(3) 내에, 피스톤(3)을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는 피스톤 스프링(4)이 위치된다. 피스톤 스프링(4)은 중공형 피스톤(3)의 내부 부분(3a)과 접촉하는 제1 단부(4a) 및 가동 슬리브(10)의 내측 플랜지(11)의 상단 표면(15)과 접촉하는 제2 단부(4b)를 가진다. 피스톤(3)이 중공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또한, 피스톤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 스프링을 가지는, 중실형 피스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하단 내경 부분(14) 및 내측 플랜지(11)의 하단 표면(16)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동 슬리브(10)의 제2 개방 단부(14a) 내에 편향 슬리브 스프링(5)이 수용된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5)의 제1 단부(5a)가 가동 슬리브(10)의 내측 플랜지(11)의 하단 표면(16)과 접촉하고, 편향 슬리브 스프링(5)의 제2 단부(5b)가 보어(2a)의 체크 밸브(8)와 접촉한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5)은 가동 슬리브(10)상에서 약간의 외측 힘을 유지하기 위한 편향력을 제공한다. 압력 챔버(18)가 가동 슬리브(10)의 상단 내경 부분(13), 가동 슬리브(10)의 하단 내경 부분(14), 하우징의 보어(2a), 및 피스톤(3)의 내부(3a) 사이에 형성된다. 관통 홀(12)이 내측 플랜지(11) 내에 존재하고 유체가 가동 슬리브(10)의 제2 개구부(14a)로부터 제1 개구부(13a)로 유동하도록 허용한다.
유입구 체크 밸브(8)를 통해서 압력 챔버(18)로 유체를 제공하는 유입구 공급 라인(6)이 보어(2a)의 하단에 위치된다.
가동 슬리브(10)의 적어도 일부가 커플링(22)을 통해서 하우징(2)의 제2 축방향 연장 피스톤 보어(2b) 내에 수용된 제2 피스톤(20)에 커플링된다. 제2 피스톤(20)이 가동 슬리브(10)의 상단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연결이 가동 슬리브(10)의 다른 부분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플링(2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리브 탭 또는 가요성 링키지일 수 있을 것이다. 제2 피스톤(20)이 가동 슬리브(10)에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연결되거나(rigid connection) 또는 견고하게 연결될(hard connection) 필요는 없고, 가동 슬리브(10) 상의 임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가동 슬리브(10)를 편향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제2 보어(2b)가 제1 보어(2a)에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보어(2b)가 제1 보어(2a)에 수직이 될 수 있거나 제1 보어(2a)에 대해서 일부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피스톤(20)의 배향이 커플링(22) 상에 작용하도록 반전되거나 재배향될 수 있고, 이어서 가동 슬리브(10)를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피스톤(20)이 또한,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국제출원 제PCT/US2012/053830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에 챔버를 구비한 플랜지를 제2 피스톤의 외경 주위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유입구 체크 밸브(7)를 통해서 제2 피스톤(20)과 하우징(2)의 보어(2b) 사이에 형성된 압력 챔버(24)로 유체를 제공하는 유입구 공급 라인(9)이 제2 보어(2b)의 하단에 위치된다. 제2 피스톤(20)이 이동되는 경우에 가동 슬리브(10)가 이동하도록 그리고 그 반대가 되도록, 제2 피스톤(20)과 가동 슬리브(10) 사이의 커플링(22)이 위치된다. 유입구 공급 라인(9)으로부터의 유체가 또한 제어 밸브(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텐셔너(1)가 새로운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유입구 공급 라인(6)으로부터 유입구 체크 밸브(8)를 통해서 제1 유압 챔버(18)로 공급되어, 폐쇄 루프 체인의 전장을 편향시키는 피스톤 스프링(4)으로부터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유압 챔버(18)를 가압하고 피스톤(3)을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제1 유입구 공급 라인(6)을 통해서 제1 보어(2a)로 유체를 제공하는 공급부가 유입구 공급 라인(9)을 통해서 제2 보어(2b)로 유체를 제공하는 공급부와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2)의 제1 보어(2a) 및 제2 보어(2b)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상이할 수 있다.
동작 중에, 텐셔너(1)가 큰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마모된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유입구 공급 라인(6)으로부터 유입구 체크 밸브(8)를 통해서 제1 유압 챔버(18)로 공급되어 제1 유압 챔버(18)를 가압하고 피스톤(3)을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피스톤(3)이 또한 스프링(4)에 의해서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어 폐쇄 루프 체인의 전장을 편향시킨다. 체인이 마모됨에 따라, 체인을 적절히 장력화하기 위해서, 피스톤(3)이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편향되어야 한다. 가동 슬리브(10)의 제2 개방 단부(14a) 내의 편향 슬리브 스프링(5)은 내측 플랜지(11)를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켜, 스프링(4)의 단부(4b)를 하우징(2)으로부터 더 외측으로 그리고 체인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텐셔너(1)가 큰 동적 체인 부하 중에 마모된 체인을 장력화할 때, 체인으로부터의 큰 동적 부하력(화살표로 표시됨)이 피스톤(3)을 하우징(2)을 향해서 내측으로 그리고 이어서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서, 제2 피스톤(20)을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또한 이동시키고, 하우징(2)의 제2 보어(2b) 내의 유입구 체크 밸브(7)를 통해서 유체를 인입함으로써, 제2 압력 챔버(24)를 가압화하거나 압력을 펌핑 업한다. 제2 보어(2a) 내의 제2 압력 챔버(24)의 가압화는 제2 피스톤(20)을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가동 슬리브(10)를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슬리브(10)의 이동은, 가동 슬리브(10)의 내측 플랜지(11)가 피스톤 스프링(4)을 통해서 피스톤(3)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하게 한다.
큰 부하가 피스톤(3)으로부터 제거되면, 제2 압력 챔버(24)가 감압되고 유체가 제2 보어(2b)와 제2 피스톤(20)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엔진의 외부로 누출된다.
본 발명의 텐셔너 시스템에서, 가동 슬리브(10)의 이동은 피스톤 스프링(4)의 제2 단부(4b)를 이동시켜, 피스톤(3)을 하우징(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피스톤(3)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이 가변적이 되어, 체인이 마모되고 연신되기 시작할 때에도, 피스톤(3)이 체인을 계속적으로 장력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출구(vent)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미도시)가 중공형 피스톤(3) 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밀봉부(미도시)가 보어(2a)와 가동 슬리브(10) 사이에 또는 필요에 따라 텐셔너 내의 임의의 다른 장소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텐셔너의 유압 경직성(hydraulic stiffness)이 텐셔너의 압력 챔버(18 및 24)에 의해서 생성되고, 체인 전장이 부하를 받을 때, 피스톤(3) 및 가동 슬리브(10)가 하우징(2)을 향해서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원치 않는 펌프-업을 초래할 수 있는 압력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가동 슬리브(10)가 제1 보어(2a) 내의 다른 슬리브 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이 평균 위치 제어 장치라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주파수 응답이 가동 슬리브 위치를 엔진 사이클 내에서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가동 슬리브(10)의 하단 표면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원치 않는 펌프-업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원치 않는 펌프-업을 초래할 수 있는 압력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가동 슬리브(10)가 제1 보어(2a) 내의 다른 슬리브 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피스톤(3)이 가동 슬리브(10) 외측부 위에 피팅(fit)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가동 슬리브(10)의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이 동일한 압력에 노출된다.
도 2a 및 도 2b는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기 위해서 피동적 제어를 이용하는 제2 실시예의 텐셔너를 도시하고; 도 2a는 큰 부하가 없을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고; 도 2b는 부하가 클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다.
텐셔너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b)에 평행한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를 가지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수직이 될 수 있거나 제1 보어(102a)에 대해서 일부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로 제1 피스톤(103)이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제1 피스톤(103)이 제1 단부(103a), 제2 단부(103c) 및 중공형 내부(103b)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제1 피스톤(103)의 중공형 내부(103b) 내에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존재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은 제1 피스톤(103)의 내부(103b) 또는 부피 감소부(105)와 접촉하는 제1 단부(104a) 및 하우징(102)의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과 접촉하는 제2 단부(104b)를 가진다. 제1 압력 챔버(111)가 제1 피스톤(103)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공급부(106)를 통해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힘 및 제1 압력 챔버(111) 내의 오일의 압력에 의해서, 제1 피스톤(103)의 제1 단부(103a)를 통해서 체인 또는 벨트를 편향시키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피스톤(103)이 중공형이 아닐 수 있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제1 피스톤(103)의 본체 및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와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가 가동 슬리브(112)를 수용한다. 가동 슬리브(112)는, 내측 플랜지(113)에 의해서 분리되는 제1 개방 단부(112a) 및 제2 개방 단부(112b)를 가진다. 가동 슬리브(112)의 제1 개방 단부(112a)는 상단 내경 부분(118) 및 내측 플랜지(113)의 상단 표면(113a)에 의해서 형성된다. 가동 슬리브(112)의 제2 개방 단부(112b)는 하단 내경 부분(119) 및 내측 플랜지(113)의 하단 표면(113b)에 의해서 형성된다. 가동 슬리브(112)의 상단 표면(112d) 및 내측 플랜지의 상단 표면(113a)이 엔진의 기압에 노출된다.
제1 단부(110a) 및 제2 단부(110b)를 구비한 본체를 갖는 제2 피스톤(110)이 가동 슬리브(112)의 제1 개방 단부(112a) 내에 수용된다. 제2 피스톤(110)의 제1 단부(110a)가, 바람직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401)을 통해서, 체인(400)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제2 피스톤 스프링(115)이 제2 피스톤(110)을 하우징(102)의 가동 슬리브(112)의 제1 개방 단부(112a)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제2 피스톤 스프링(115)이 제2 피스톤(110)의 제2 단부(110b)와 접촉하는 제1 단부(115a) 및 내측 플랜지(113)의 상단 표면(113a)과 접촉하는 제2 단부(115b)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제2 피스톤(110)이 중공형일 수 있을 것이고 제2 피스톤 스프링의 제1 단부(110a)가 제2 피스톤(110)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 및 선택적인 부피 감소부(114)가 가동 슬리브(112)의 제2 개방 단부(112b) 내에 수용된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의 제1 단부(116a)가 내측 플랜지(113)의 하단 표면(113b) 또는 부피 감소기(114)와 접촉하고,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의 제2 단부(116b)가 하우징(102)의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의 하단(102d)과 접촉한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은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에서 가동 슬리브(112)의 위치를 유지하고 가동 슬리브(112)가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에서 끝나는 것(bottoming out)을 방지한다.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은 제2 피스톤 스프링(115)에 예비부하를 가하고(preload), 다시 말해서, 제2 피스톤 스프링(115)의 제2 단부(115b)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 고압 챔버(117)가 가동 슬리브(112)의 하단 내경 부분(119), 내측 플랜지(113)의 하단 표면(113b), 및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의 하단(102d) 사이에 형성된다. 부피 감소부(114)가 또한 이러한 챔버(117) 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고압 챔버(117)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임의 누출을 제외하고, 가동 슬리브(112)의 제1 개방 단부(112a)와 제2 개방 단부(112b) 사이에는 유체 연통이 없다.
유체가 유입구 공급 라인(109) 및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제2 고압 챔버(117)로 공급된다. 유입구 공급부(109)가 유입구 공급 라인(106)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제2 피스톤 스프링(115)이 제1 피스톤 스프링(104) 또는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 보다 큰 스프링 정수(spring rate) 또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체인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기 위한 2개의 피스톤(110, 103)이 있기 때문에, 제1 압력 챔버(111)의 누출이 증가되어(체인을 제어하기 위해서 특정 평균 압력이 압력 챔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통상의 유압식 텐셔너와 반대된다) 부가적인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체인 제어를 위해서 요구되는 평균 힘이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110)에 의해서 공급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로부터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110)이 또한 제2 피스톤 스프링(115)에 의해서 가동 슬리브(112)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어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이상적으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10)이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피스톤(103, 110)의 제1 단부(103a, 110a)가 도 2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큰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마모된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를 통해서 그리고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110)이 또한,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에 의한 가동 슬리브(112)의 이동에 기인한 제2 피스톤 스프링(115)에 의해서, 가동 슬리브(112)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편향된다. 체인이 마모됨에 따라, 부가적인 늘어짐이 체인 전장 내에 존재하고, 체인(400)을 편향시키고 적절하게 장력화하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1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텐셔너가 큰 동적 체인 부하 중에 체인을 장력화할 때, 체인으로부터의 큰 동적 부하력(화살표로 표시됨)이 제1 피스톤(103) 및 제 2 피스톤(110)을 하우징(102)을 향해서 내측으로 그리고 이어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 내로 유체를 인입함으로써, 제2 압력 챔버(117)를 가압하거나 압력을 펌핑 업한다. 제2 보어(102c) 내의 제2 압력 챔버(117)의 가압화는 가동 슬리브(112)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슬리브(112)의 이동은, 가동 슬리브(112)의 내측 플랜지(113)가 제 2피스톤 스프링(115)을 통해서 제2 피스톤(110)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하게 한다.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되면, 제2 압력 챔버(117) 내의 유체가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를 통해서 또는 부피 감소부(114)를 통해서 엔진으로 누출된다. 이러한 누출은 제2 압력 챔버(117) 내에 존재하는 평균 압력을 감소시킨다.
모든 동작 조건에서, 제2 압력 챔버(117) 내의 압력이 펌프 업되어 제2 피스톤 스프링(115) 내의 최소 예비부하를 유지할 것임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제2 피스톤 스프링(115) 내의 힘 또는 예비로드가 너무 작을 때, 편향 슬리브 스프링(116) 및 제2 압력 챔버(117) 내의 압력으로 인해서, 가동 슬리브(112)가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고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보다 많은 오일을 인입한다.
그에 따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의 제1 피스톤(103)은 체인 전장(400) 또는 벨트의 주된(dominant) 감쇠를 제공하고,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110)은 주된 그리고 자동적인 스프링력 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텐셔너는 평균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체인 제어의 희생이 없이도,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체인 조건 및 동적 하중의 조건에서 구동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도 3a 및 도 3b는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기 위해서 피동적 제어를 이용하는 제3 실시예의 텐셔너를 도시하고; 도 3a는 큰 부하가 없을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고; 도 3b는 부하가 클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다.
텐셔너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에 평행한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를 가지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수직이 될 수 있거나 제1 보어(102a)에 대해서 일부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로 제1 피스톤(103)이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제1 피스톤(103)이 제1 단부(103a), 제2 단부(103c) 및 중공형 내부(103b)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제1 피스톤(103)의 중공형 내부(103b) 내에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존재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은 제1 피스톤(103)의 내부(103b) 또는 부피 감소부(105)와 접촉하는 제1 단부(104a) 및 하우징(102)의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과 접촉하는 제2 단부(104b)를 가진다. 제1 압력 챔버(111)가 제1 피스톤(103)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공급부(106)를 통해 제1 압력 챔버로 공급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힘 및 제1 압력 챔버(111) 내의 오일의 압력에 의해서, 제1 피스톤의 제1 단부(103a)를 통해서 체인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피스톤(103)이 중공형이 아닐 수 있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제1 피스톤(103)의 본체 및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가 제2 외부 피스톤(150) 및 제3 피스톤(152)을 활주식으로 수용한다. 제2 외부 피스톤(150)은 제1단부(150a), 제2 단부(150c), 및 중공형 내부(150b)를 구비한 본체를 가진다. 제2 피스톤(150)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피스톤 스프링(151)이 중공형 내부(150b)에 존재한다. 제2 피스톤 스프링(151)은, 제2 외부 피스톤(150)의 내부(150b)와 접촉하는 제1 단부(151a) 및 제3 피스톤(152)의 제1 단부(152a)와 접촉하는 제2 단부(151b)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제2 외부 피스톤(150)이 중공형이 아닐 수 있을 것이고 제2 피스톤 스프링(151)의 제1 단부(151a)가 제2 외부 피스톤(150)의 본체와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피스톤(152)이 제1 단부(152a), 제2 단부(152c) 및 중공형 내부(152b)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중공형 내부(152b)에는, 제3 피스톤(152)을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제2 피스톤 스프링(151)에 예비부하를 가하기 위한, 다시 말해서 제2 피스톤 스프링(152)의 제2 단부(151b)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피스톤 스프링(154)이 존재한다. 제3 피스톤 스프링(154)은 중공형 내부(152b) 또는 부피 감소부(153)와 접촉하는 제1 단부(154a)를 가지고, 제2 단부(154b)는 하우징(102)의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의 하단(102c)과 접촉한다.
제2 고압 챔버(155)가 중공형 내부(152b),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및 제3 피스톤 스프링(154)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유입구 공급부(109) 및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제2 고압 챔버(155)로 공급된다. 유입구 공급부(109)가 유입구 공급 라인(106)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발생될 수 있는 임의 누출을 제외하고, 제2 피스톤(150)의 중공형 내부(150b)와 제2 고압 챔버(155) 사이에는 유체 연통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2 피스톤 스프링(151)이 제1 피스톤 스프링(104) 및 제3 피스톤 스프링(154) 보다 큰 스프링 정수 또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체인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기 위한 2개의 피스톤(150, 103)이 있기 때문에, 제1 압력 챔버(111)의 누출이 증가되어(체인을 제어하기 위해서 특정 평균 압력이 압력 챔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통상의 유압식 텐셔너와 반대된다) 부가적인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체인 제어를 위해서 요구되는 평균 힘이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150)에 의해서 공급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로부터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150)이 또한 제2 피스톤 스프링(151)에 의해서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어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이상적으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50)이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피스톤(103, 150)의 제1 단부(103a, 150a)가 도 3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큰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마모된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를 통해서 그리고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150)이 또한,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제3 피스톤 스프링(154)에 의한 제3 피스톤(152)의 이동에 기인하여 제2 피스톤 스프링(151)을 통해서 외측으로 더 편향된다. 체인이 더 마모됨에 따라, 부가적인 늘어짐이 체인 전장 내에 존재하고, 체인(400)을 편향시키고 적절하게 장력화하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5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텐셔너가 큰 동적 체인 부하 중에 체인을 장력화할 때, 체인으로부터의 큰 동적 부하력(화살표로 표시됨)이 제1 피스톤(103) 및 제 2 피스톤(150)을 하우징(102)을 향해서 내측으로 그리고 이어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 내로 유체를 인입함으로써, 제2 압력 챔버(155)를 가압하거나 압력을 펌핑 업한다. 제2 보어(102c) 내의 제2 압력 챔버(155)의 가압화는 제3 피스톤(152)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제3 피스톤(152)의 이동은, 제3 피스톤(152)의 제1 단부(152a)가 제 2피스톤 스프링(151)을 통해서 제2 피스톤(150)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하게 한다.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되면, 제2 압력 챔버(155) 내의 유체가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를 통해서 또는 부피 감소부(153)를 통해서 엔진으로 누출된다. 이러한 누출은 제2 압력 챔버(155) 내에 존재하는 평균 압력을 감소시킨다.
모든 동작 조건에서, 제2 압력 챔버(155) 내의 압력이 펌프 업되어 제2 피스톤 스프링(151) 내의 최소 예비부하를 유지할 것임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제2 피스톤 스프링(151) 내의 힘 또는 예비로드가 너무 작을 때, 제3 피스톤 스프링(154) 및 제2 압력 챔버(155) 내의 압력으로 인해서, 제3 피스톤(152)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고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보다 많은 오일을 인입한다.
그에 따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의 제1 피스톤(103)은 체인 전장 또는 벨트의 주된 감쇠를 제공하고,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150)은 주된 그리고 자동적인 스프링력 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텐셔너는 평균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체인 제어의 희생이 없이도,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체인 조건 및 동적 하중의 조건에서 구동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도 4a 및 도 4b는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체인을 장력화하기 위해서 피동적 제어를 이용하는 제4 실시예의 텐셔너를 도시하고; 도 4a는 큰 부하가 없을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고; 도 4b는 부하가 클 때의 체인의 장력화이다.
텐셔너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b)에 평행한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를 가지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보어(102c)가 제1 보어(102a)에 수직이 될 수 있거나 제1 보어(102a)에 대해서 일부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로 제1 피스톤(103)이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제1 피스톤(103)이 제1 단부(103a) 제2 단부(103c) 및 중공형 내부(103b)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제1 피스톤(103)의 중공형 내부(103b) 내에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존재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은 부피 감소부(105) 또는 제1 피스톤(103)의 내부(103b)와 접촉하는 제1 단부(104a) 및 하우징(102)의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과 접촉하는 제2 단부(104b)를 가진다. 제1 압력 챔버(111)가 제1 피스톤(103)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공급부(106)를 통해 제1 압력 챔버로 공급된다.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힘 및 제1 압력 챔버(111) 내의 오일의 압력에 의해서, 제1 피스톤(103)의 제1 단부(103a)를 통해서 체인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피스톤(103)이 중공형이 아닐 수 있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제1 피스톤(103)의 본체 및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의 하단(102b)와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b)가 제2 피스톤(200)을 활주식으로 수용한다. 제2 피스톤(200)은 제1단부(200a), 제2 단부(200c), 및 중공형 내부(200b)를 구비한 본체를 가진다. 중공형 내부(200b)는 "Y" 형상의 내부 피스톤(202)의 샤프트(202a)를 수용한다. Y-형상의 내부 피스톤(202)의 샤프트(202a)가 제1 단부(202d), 제2 단부(202b), 및 중공형 내부(202c)를 가지는 본체에 연결된다. 제2 피스톤(200)의 제2 단부(200c)와 내부 피스톤(202d)의 본체의 제1 단부(202d) 사이에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이 존재한다.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이 제2 피스톤(200)의 제2 단부(200c)와 접촉하는 제1 단부(201a) 및 내부 피스톤(202)의 제1 단부(202d)와 접촉하는 제2 단부(201b)를 가진다.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이 제2 피스톤(200)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대안적으로, 제2 피스톤 스프링이 Y-형상의 내부 피스톤(202)의 샤프트(202a)와 제2 피스톤(200)의 중공형 내부(200b) 사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 피스톤(202)의 중공형 내부(202c) 내에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이 위치된다.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은 내부 피스톤(202)의 중공형 내부(202c) 또는 부피 감소부(206)와 접촉하는 제1 단부(204a) 및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의 하단(102d)과 접촉하는 제2 단부(204b)를 가진다.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은 내부 피스톤(202)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켜, 제2 피스톤 스프링(201) 상의 예비 부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피스톤(200)을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의 제2 단부(201b)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 고압 챔버(205)가 내부 피스톤(202)의 중공형 내부(202c)와 하우징(102)의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의 하단(102d)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유입구 공급부(109) 및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제2 압력 챔버(205)로 공급된다. 유입구 라인(109)이 유입구 공급 라인(106)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이 제1 피스톤 스프링(104) 및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 보다 큰 스프링 정수 또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체인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기 위한 2개의 피스톤(200, 103)이 있기 때문에, 제1 압력 챔버(111)의 누출이 증가되어(체인을 제어하기 위해서 특정 평균 압력이 압력 챔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통상의 유압식 텐셔너와 반대된다) 부가적인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체인 제어를 위해서 요구되는 평균 힘이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200)에 의해서 공급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로부터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200)이 또한 제2 피스톤 스프링(201)에 의해서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어 폐쇄 루프 체인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이상적으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200)이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피스톤(103, 200)의 제1 단부(103a, 200a)가 도 4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다.
동작 중에, 텐셔너가 큰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마모된 체인을 장력화할 때, 유체가 제1 유입구 공급부(106)를 통해서 그리고 유입구 체크 밸브(108)를 통해서 제1 압력 챔버(111)로 공급되고,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더하여, 제1 피스톤(103)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며, 그에 따라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킨다. 동시에, 제2 피스톤(200)이 또한, 폐쇄 루프 체인(400)의 전장 또는 벨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에 의한 내부 피스톤(202)의 이동에 기인하여 제2 피스톤 스프링(201)을 통해서 외측으로 더 편향된다. 체인이 마모됨에 따라, 부가적인 늘어짐이 체인 전장 내에 존재하고, 체인(400)을 편향시키고 적절하게 장력화하기 위해서,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20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텐셔너가 큰 동적 체인 부하 중에 체인을 장력화할 때, 체인으로부터의 큰 동적 부하력(화살표로 표시됨)이 제1 피스톤(103) 및 제 2 피스톤(200)을 하우징(102)을 향해서 내측으로 그리고 이어서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하우징(102)의 제2 보어(102c) 내에서 유체를 인입함으로써, 제2 압력 챔버(205)를 가압하거나 압력을 펌핑 업한다. 제2 보어(102c) 내의 제2 압력 챔버(205)의 가압화는 내부 피스톤(202)을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내부 피스톤(202)의 이동은, 내부 피스톤(202)의 제1 단부(202d)가 제 2피스톤 스프링(201)을 통해서 제2 피스톤(200)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여,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하도록 한다.
동적 부하의 내측방향 힘에 대항되면, 제2 압력 챔버(205) 내의 유체가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를 통해서 또는 부피 감소부(206)를 통해서 엔진으로 누출된다. 이러한 누출은 제2 압력 챔버(205) 내에 존재하는 평균 압력을 감소시킨다.
모든 동작 조건에서, 제2 압력 챔버(205) 내의 압력이 펌프 업되어 제2 피스톤 스프링(201) 내의 최소 예비부하를 유지할 것임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제2 피스톤 스프링(201) 내의 힘 또는 예비로드가 너무 작을 때, 내부 피스톤 스프링(204) 및 제2 압력 챔버(205) 내의 압력으로 인해서, 내부 피스톤(202)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고 유입구 체크 밸브(107)를 통해서 보다 많은 오일을 인입한다.
그에 따라, 제1 축방향 연장 보어(102a) 내의 제1 피스톤(103)은 체인 전장 또는 벨트의 주된 감쇠를 제공하고, 제2 축방향 연장 보어(102c) 내의 제2 피스톤(200)은 주된 그리고 자동적인 스프링력 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텐셔너는 평균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체인 제어의 희생이 없이도,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체인 조건 및 동적 하중의 조건에서 구동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도 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상이한 선택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50)이 링키지(310)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그에 따라,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50)의 이동이 서로 연결된다. 제1 피스톤(103) 및 제2 피스톤(150)이 커플링될 때,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이 선택적(optional)이 된다. 링키지가 제3 실시예의 텐셔너와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4a 및 도 4b의 텐셔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6은, 제1 피스톤이 상단 표면(312a) 및 하단 표면(312b)을 구비하는 연장부(312)를 가지는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제2 피스톤(15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됨에 따라, 연장부(312)의 하단 표면(312b)이 제2 피스톤(150)에 의해서 눌려진다. 링키지가 제3 실시예의 텐셔너와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의 텐셔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피스톤 스프링(104)은 선택적이다.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 도시된 부피 감소부가 압력 릴리프 밸브 또는 분출구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텐셔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원에 기재된 텐셔너 중 임의의 텐셔너가 체인 전장과 함께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외부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멈춤쇠 또는 래칫 클립(ratchet clip) 과 결합되고 래칫 작용을 하는 외측 외주 상의 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된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상세 내용에 대한 언급은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그러한 청구항 자체는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실시예의 특징을 인용한다.

Claims (54)

  1. 체인의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는 피동적 텐셔너 시스템을 위한 텐셔너로서:
    제1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및 제2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압력 챔버;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가지는 내측 플랜지에 의해서 분리된 제1 개방 단부 및 제2 개방 단부를 가지는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중공형 가동 슬리브;
    상기 가동 슬리브 내에 동축적으로 배열되는 본체를 가지고 상기 가동 슬리브의 제1 개방 단부에 의해서 수용되는 제2 피스톤;
    상기 가동 슬리브의 제1 개방 단부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2 피스톤과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가동 슬리브의 플랜지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가동 슬리브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피스톤 스프링;
    상기 가동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의 하단 표면과 접촉하는 편향 스프링의 제1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 슬리브의 제2 개방 단부 내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 슬리브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스프링;
    상기 제2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가동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의 하단 표면과 상기 제2 보어 사이에 형성된 제2 압력 챔버; 및
    상기 제2 압력 챔버와 상기 제2 유체 입력부 사이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의 동적 부하가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유체 입력부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서 제2 압력 챔버 내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압력 챔버 내에 유체 압력을 생성하고, 상기 가동 슬리브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제2 피스톤 상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동적 부하의 내측 방향 힘에 대항하게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와 상기 제2 피스톤의 본체를 커플링시키는 것에 의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가지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피스톤이 제1 연장부의 하단 표면을 눌러,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제1 피스톤에 대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시키는,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가 상기 본체의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내에 수용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 및 상기 편향 스프링 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텐셔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및 상기 가동 슬리브의 제2 개방 단부에 의해서 수용되는 부피 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제2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동일한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는, 텐셔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상이한 유체 공급부들에 연결되는, 텐셔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상기 제1 압력 챔버 사이의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챔버로부터 유체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 챔버로부터 유체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6. 체인의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는 피동적 텐셔너 시스템을 위한 텐셔너로서:
    제1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및 제2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제1 피스톤을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압력 챔버;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에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서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상단 표면을 가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3 피스톤;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 수용된 제2 피스톤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 피스톤과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3 피스톤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2 피스톤 스프링;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 수용된 제3 피스톤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3 피스톤과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3 피스톤 스프링;
    상기 제2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사이에 형성된 제2 압력 챔버; 및
    상기 제2 압력 챔버와 상기 제2 유체 입력부 사이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의 동적 부하가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유체 입력부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서 제2 압력 챔버 내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압력 챔버 내에 유체 압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3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제2 피스톤 상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동적 부하의 내측 방향 힘에 대항하게 하는, 텐셔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의 본체가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상기 폐쇄 단부에서의 상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2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은 상기 제2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스톤의 본체가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3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3 피스톤 스프링은 상기 제3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와 상기 제2 피스톤의 본체를 커플링시키는 것에 의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가지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피스톤이 제1 연장부의 하단 표면을 눌러,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제1 피스톤에 대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시키는, 텐셔너.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가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상기 폐쇄 단부에서의 상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내에 수용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 및 상기 제3 피스톤 스프링 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텐셔너.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된 부피 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제2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챔버로부터 유체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30. 제16항에 있어서,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동일한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는, 텐셔너.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상이한 유체 공급부들에 연결되는, 텐셔너.
  32. 체인의 전장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는 피동적 텐셔너 시스템을 위한 텐셔너로서:
    제1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및 제2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2 축방향 연장 보어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제1 피스톤을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압력 챔버;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제2 피스톤으로서, 상기 제2 피스톤이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상기 폐쇄 단부에서의 상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포함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내부 피스톤으로서, 상기 내부 피스톤이 상기 제2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내에 수용되는 본체에 연결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피스톤의 본체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내부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되는 제2 피스톤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2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내부 피스톤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2 피스톤 스프링;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내에 수용된 내부 피스톤 스프링으로서, 상기 내부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내부 피스톤과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내부 피스톤 스프링;
    상기 제2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내부 피스톤과 상기 제2 축방향 연장 보어 사이에 형성된 제2 압력 챔버; 및
    상기 제2 압력 챔버와 상기 제2 유체 입력부 사이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의 동적 부하가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유체 입력부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서 제2 압력 챔버 내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압력 챔버 내에 유체 압력을 생성하고, 상기 내부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제2 피스톤 상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동적 부하의 내측 방향 힘에 대항하게 하는, 텐셔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피스톤의 본체가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상기 폐쇄 단부에서의 상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내부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내부 피스톤 스프링은 상기 내부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와 상기 제2 피스톤의 본체를 커플링시키는 것에 의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되는, 텐셔너.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가지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피스톤이 제1 연장부의 하단 표면을 눌러,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제1 피스톤에 대해서 함께 이동하도록 커플링시키는, 텐셔너.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본체가 제2 단부에서의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에서의 폐쇄 단부,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하단 표면, 상기 폐쇄 단부에서의 상단 표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내에 수용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피스톤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의 제2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축방향 연장 보어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텐셔너.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 스프링이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 및 상기 내부 피스톤 스프링 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텐셔너.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에 의해서 수용된 부피 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4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동일한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는, 텐셔너.
  4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상이한 유체 공급부들에 연결되는, 텐셔너.
  45. 체인 전장을 가지는 체인 또는 벨트를 장력화하는 피동적 텐셔너 시스템을 위한 텐셔너로서:
    제1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1 보어 및 제2 유체 입력부를 가지는 제2 보어를 가지는 하우징;
    상단 표면, 하단 표면 및 관통 홀을 가지는 내측 플랜지에 의해서 분리된 제1 개방 단부 및 제2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중공형 본체를 포함하는, 상기 1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중공형 가동 슬리브;
    상기 가동 슬리브 내에 동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동 슬리브의 제1 개방 단부에 의해서 수용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접촉하는 제1 피스톤 스프링 단부 및 상기 가동 슬리브의 플랜지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는 제2 피스톤 스프링 단부를 가지는, 상기 제1 피스톤을 상기 가동 슬리브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피스톤과 접촉하는 피스톤 스프링;
    상기 가동 슬리브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제1 보어 및 상기 가동 슬리브의 중공형 내부 내에 수용되는 편향 스프링으로서, 제1 편향 스프링 단부가 상기 가동 슬리브의 내측 플랜지의 하단 표면 및 제2 편향 스프링 단부와 접촉하는, 편향 스프링;
    상기 중공형 가동 슬리브, 상기 제1 피스톤의 중공형 내부, 상기 편향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보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압력 챔버;
    상기 하우징의 제2 보어에 의해서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커플링을 통해서 상기 가동 슬리브에 커플링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유체 입력부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제2 보어 사이에 형성된 제2 압력 챔버;
    상기 제2 압력 챔버와 상기 제2 유체 입력부 사이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로부터의 동적 부하가 상기 제1 피스톤을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 피스톤에 커플링된 제2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 내로 내측으로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입력부 및 상기 체크 밸브로부터 제2 압력 챔버 내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압력 챔버 내에 유체 압력을 생성하고, 상기 가동 슬리브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피스톤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제1 피스톤 상으로 외측방향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동적 부하의 내측 방향 힘에 대항하게 하는, 텐셔너.
  46. 제45항에 있어서,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동일한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는, 텐셔너.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 및 제2 유체 입력부가 상이한 유체 공급부들에 연결되는, 텐셔너.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제2 보어에 평행한, 텐셔너.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어가 상기 제2 보어에 수직한, 텐셔너.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가요성인, 텐셔너.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강성인, 텐셔너.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를 가지는 본체 및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내부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스프링 단부가 상기 피스톤의 폐쇄 단부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텐셔너.
  54.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입력부와 상기 제1 압력 챔버 사이의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KR1020157017774A 2012-12-18 2013-12-02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KR102051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8547P 2012-12-18 2012-12-18
US61/738,547 2012-12-18
US201361774059P 2013-03-07 2013-03-07
US61/774,059 2013-03-07
PCT/US2013/072574 WO2014099327A1 (en) 2012-12-18 2013-12-02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in a second bo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00A Division KR20190134835A (ko) 2012-12-18 2013-12-02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86A true KR20150096686A (ko) 2015-08-25
KR102051795B1 KR102051795B1 (ko) 2019-12-04

Family

ID=50979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00A KR20190134835A (ko) 2012-12-18 2013-12-02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KR1020157017774A KR102051795B1 (ko) 2012-12-18 2013-12-02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00A KR20190134835A (ko) 2012-12-18 2013-12-02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683637B2 (ko)
JP (3) JP6224728B2 (ko)
KR (2) KR20190134835A (ko)
CN (1) CN104884841B (ko)
DE (1) DE112013005436T5 (ko)
WO (2) WO20140992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525A1 (en) * 2018-02-26 2019-08-29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US10900544B2 (en) 2017-06-15 2021-01-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tiffness controllable check valve
US11326670B2 (en) 2018-12-21 2022-05-10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piston containing an internal check val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9291A1 (en) * 2012-12-18 2014-06-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in a second bore
DE102014219488A1 (de) * 2014-09-25 2016-03-31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insbesondere Axialkolbenpumpe, für eine Abwärmenutzung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CN107110306B (zh) * 2014-12-29 2021-01-12 博格华纳公司 用于模块化液压张紧器的重量和成本优化的承载器
JP6345622B2 (ja) * 2015-04-15 2018-06-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20170140768A (ko) * 2016-06-13 2017-12-21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가변력 인장 어셈블리
CN106051082A (zh) * 2016-08-17 2016-10-26 绵阳富临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双柱塞张紧器
JP7405508B2 (ja) * 2018-01-31 2023-12-26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次ピストンラチェットクリップを有する可変力テンショナ
JP7053852B2 (ja) * 2018-01-31 2022-04-1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キャップディスクばねを備えた可変力テンショナアーム
JP2019184066A (ja) * 2018-04-09 2019-10-24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レバーを備えた油圧テンショナアーム
CN112567154A (zh) * 2018-08-06 2021-03-2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配备两个活塞的液压张紧装置
CN109058404B (zh) * 2018-10-26 2024-01-02 伊维氏传动系统(平湖)有限公司 一种集成式液压双活塞张紧器
JP7026960B2 (ja) 2020-02-27 2022-03-01 株式会社大生機械 卓上型計量機のメンテナンス性
JP7026959B2 (ja) 2020-02-27 2022-03-01 株式会社大生機械 卓上型計量機および計量方法
JP2023529930A (ja) * 2020-06-09 2023-07-12 アントニー, アシュリン チェーンドライブのチェーン内の弛みおよび振動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856A (ja) * 1996-12-05 1998-11-04 Borg Warner Automot Inc 液圧テンショナ
JP2001304360A (ja) * 2000-03-31 2001-10-31 Borgwarner Inc 液圧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5140237A (ja) * 2003-11-06 2005-06-02 Ntn Corp 巻掛け伝動部材の張力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1973Y1 (ko) 1966-08-22 1970-12-07
US3574418A (en) * 1968-02-07 1971-04-13 Hitachi Ltd Shock absorber for endless-track-type tractors and the like
DE2008472A1 (de) 1970-02-24 1971-09-09 Daimler Benz Ag Hydraulischer Kettenspanner
US3901563A (en) 1974-05-17 1975-08-26 Caterpillar Tractor Co Hydromechanical recoil and track adjuster system
IT1041819B (it) 1974-08-12 1980-01-10 Yamaha Motor Co Ltd Metodo per la messa a punt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a quattro tempi motore cosi realizzato
US4411638A (en) 1981-08-27 1983-10-25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57707A (en) 1984-04-09 1985-12-10 Dyneer Corporation Belt tensioner
US4767383A (en) 1986-11-03 1988-08-30 St John Richard C Adjustable tensioner for belt and chain drives
DE3805310A1 (de) 1988-02-20 1989-08-31 Porsche Ag Spannvorrichtung fuer einen zahnriemen
US4997411A (en) 1990-01-29 1991-03-05 Eaton Corporation Cage and retainer combination for check valves and slack adjusters using same
NL9000860A (nl) 1990-04-12 1991-11-01 Doornes Transmissie Bv Elektronisch geregelde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ES2048385T3 (es) * 1990-07-26 1994-03-16 Porsche Ag Dispositivo para el tensado y ajuste de un accionamiento por cadena de un arbol de levas.
JPH04126052A (ja) 1990-09-18 1992-04-27 Takara Shuzo Co Ltd フカヒレの製造方法
JP2990862B2 (ja) 1991-06-25 1999-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
DE4337827A1 (de) 1993-11-05 1995-05-11 Hydraulik Ring Gmbh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Nockenwellenantriebes
JPH07280050A (ja) 1994-04-01 1995-10-27 Tsubakimoto Chain Co オイル密封式テンショナのダイヤフラム異常変形防止構造
DE4429071C2 (de) 1994-08-17 1997-07-31 Porsche Ag Vorrichtung zum Spannen und Verstellen eines als Kette ausgebildeten Umschlingungstriebes
US5657725A (en) 1994-09-15 1997-08-19 Borg-Warner Automotive, Inc. VCT system utilizing engine oil pressure for actuation
US5700213A (en) 1995-08-18 1997-12-23 Borg-Warner Automotive, Inc. Integral in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for an automotive tensioner
JPH09303503A (ja) 1996-05-10 1997-11-25 Borg Warner Automot Kk 油圧テンショナ
JP3752017B2 (ja) 1996-05-10 2006-03-08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
JPH09303506A (ja) 1996-05-10 1997-11-25 Borg Warner Automot Kk 油圧テンショナ
JPH102386A (ja) 1996-06-13 1998-01-06 Tsubakimoto Chain Co 緩衝機構付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
KR100456222B1 (ko) * 1996-08-02 2004-11-09 아이엔에이 뵐즈라거 쉐플러 오하게 텐셔너
JP3696340B2 (ja) 1996-08-26 2005-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端伝動体のテンショナー
US5720683A (en) 1996-10-21 1998-02-24 Borg-Warner Automotive,Inc. Mechanical chain tensioner with belleville springs
KR100259643B1 (ko) 1996-12-31 2000-08-01 정몽규 자동보정형타이밍벨트텐셔너구조
US5993342A (en) 1997-03-26 1999-11-30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force limiting tensioner spring
EP0892193A1 (en) 1997-07-14 1999-01-20 Morse Tec Europe S.p.A. A device for take-up of tolerance in a chain drive
US6361458B1 (en) 1998-04-20 2002-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DE19820534C2 (de) * 1998-05-08 2002-03-28 Porsche Ag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relativen Drehlage von Nockenwellen
US6047667A (en) 1998-07-24 2000-04-11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Motorcycle camshaft support plate
US6112712A (en) 1998-07-24 2000-09-05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Motorcycle cam drive tensioner
EP0985849B1 (en) 1998-09-09 2003-08-20 Morse Tec Europe S.r.l. Belt or chain tensioning device with piston having a plurality of reciprocally movable elements
US6312351B1 (en) 1998-09-21 2001-11-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ivotal mount
US6117033A (en) * 1998-09-21 2000-09-12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tuned spring piston
US6196939B1 (en) 1998-09-21 2001-03-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rack
JP3243226B2 (ja) 1999-02-18 2002-0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3322396B2 (ja) 1999-06-30 2002-09-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1021013A (ja) 1999-07-06 2001-01-26 Borg Warner Automotive Kk 液圧テンショナ
JP2001032897A (ja) 1999-07-16 2001-02-06 Ntn Corp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およびベルト伝動装置
JP2002054700A (ja) 2000-08-07 2002-02-20 Honda Motor Co Ltd 無端チェーンの張力調整装置
DE10038606A1 (de) * 2000-08-08 2002-03-28 Schaeffler Waelzlager Ohg Kettenspanner
JP3356762B2 (ja) * 2000-10-26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きテンショナ
US6716124B2 (en) 2000-11-29 2004-04-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improved pressure relief valve reactive to peak operating loads
JP2002256916A (ja) 2001-02-28 2002-09-11 Toyota Motor Corp 巻掛伝動装置
US6955621B2 (en) 2001-04-26 2005-10-18 Borgwarner Inc. Rotary actuating hydraulic tensioner
JP3687959B2 (ja) 2001-05-01 2005-08-24 日産工機株式会社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JP4282253B2 (ja) 2001-07-12 2009-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ルト伝動装置
US6609987B1 (en) 2001-10-01 2003-08-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aulic timing chain tensioner assembly
JP3926128B2 (ja) 2001-10-12 2007-06-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機構付油圧式テンショナ
US6609985B2 (en) 2001-11-07 2003-08-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vibrational damping
US6767302B2 (en) * 2001-12-14 2004-07-27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JP2003194165A (ja) * 2001-12-28 2003-07-09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液圧テンショナ
DE20202663U1 (de) 2002-02-20 2003-02-06 Winklhofer & Soehne Gmbh Spannvorrichtung mit einstellbarem Dämfpungsverhalten
JP3750801B2 (ja) 2002-03-11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US7070528B2 (en) 2002-03-28 2006-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draulic tensioner lifter
JP2005098383A (ja) 2003-09-25 2005-04-14 Yamaha Motor Co Ltd 動弁系油圧テンショナ
KR20050055927A (ko) 2003-12-09 2005-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력 조절장치
JP4217183B2 (ja) 2004-03-29 2009-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装置
DE102004028017A1 (de) 2004-06-08 2005-1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Zugmittelanordnung
EP1621798A3 (en) * 2004-07-29 2007-06-27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Blade tensioner
DE102004043727A1 (de) 2004-09-10 2006-03-16 Ina-Schaeffler Kg Hydraulischer Kettenspanner mit verringertem Kolbendruck
JP4509716B2 (ja) 2004-09-17 2010-07-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式テンショナリフタ
DE102004048281A1 (de) * 2004-10-05 2006-04-06 Ina-Schaeffler Kg Hydraulischer Spanner
EP1647737B1 (en) 2004-10-15 2010-01-13 Morse Tec Europe S.R.L. Hydraulic tensioner, equipped with a no-return device, comprising anti-rotation means capable of being disabled and method of disabling said anti-rotation means
US20060089220A1 (en) 2004-10-25 2006-04-27 Borgwarner Inc. Chain tensioner
JP4677291B2 (ja) 2005-06-13 2011-04-27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テンショナ
DE102005034332A1 (de) 2005-07-22 2007-01-25 Carl Zeiss Meditec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Beobachtung, Dokumentation und/oder Diagnose des Augenhintergrundes
KR100631217B1 (ko) * 2005-07-27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 및 표면 음향파 공진기가 집적된인티그레이티드 필터 및 그 제작 방법
US20070032322A1 (en) 2005-08-05 2007-02-08 Beardmore John M Hydraulic chain tensioner assembly
CA2540014A1 (en) 2005-10-19 2007-04-19 General Kinetics Engineering Corporation Multi-stage spring for track tensioning system
US20070243961A1 (en) 2006-02-03 2007-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tcheting tensioner with override
JP5000146B2 (ja) 2006-02-10 2012-08-15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
US20110081997A1 (en) 2006-05-08 2011-04-07 Borgwarner Inc. Ratcheting tensioner with a sliding and pivoting pawl
JP2009541676A (ja) 2006-06-21 2009-11-26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ネ保持されたボールを有するチェック弁
KR101336685B1 (ko) 2007-01-26 2013-12-04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슬라이딩 래크 래칫 텐셔너
JP4980798B2 (ja) 2007-06-07 2012-07-18 Ntn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
TW200910373A (en) * 2007-06-08 2009-03-01 Mosaid Technologies Inc Dynamic impedance control for input/output buffers
DE102007031296B4 (de) 2007-07-05 2019-04-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einrichtung für ein Zugmittel
DE102007033600A1 (de) 2007-07-17 2009-01-22 Schaeffler Kg Hydraulisches Spannsystem mit integriertem Überdruckventil
KR100948664B1 (ko) 2007-12-04 2010-03-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차량용 정유압 구동식 변속기
US20090186726A1 (en) 2008-01-22 2009-07-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elted alternator starter accessory drive tensioning system
JP2009192031A (ja) 2008-02-18 2009-08-27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US8066598B2 (en) 2008-10-09 2011-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in tension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based leakdown
DE102009041931A1 (de) 2009-09-17 2011-04-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einrichtung
US8535187B2 (en) 2011-01-31 2013-09-17 Zipper's Cycle, Inc. Motorcycle camshaft drive tensioner
WO2013043373A1 (en) 2011-09-22 2013-03-28 Borgwarner Inc. Chain drive tensioner spring force control mechanism
WO2014099291A1 (en) * 2012-12-18 2014-06-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in a second bore
WO2014138400A1 (en) 2013-03-07 2014-09-12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856A (ja) * 1996-12-05 1998-11-04 Borg Warner Automot Inc 液圧テンショナ
JP2001304360A (ja) * 2000-03-31 2001-10-31 Borgwarner Inc 液圧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5140237A (ja) * 2003-11-06 2005-06-02 Ntn Corp 巻掛け伝動部材の張力調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544B2 (en) 2017-06-15 2021-01-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stiffness controllable check valve
WO2019164525A1 (en) * 2018-02-26 2019-08-29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CN111656051A (zh) * 2018-02-26 2020-09-11 博格华纳公司 具有内部储存器技术主孔的可变力张紧器
US11448293B2 (en) 2018-02-26 2022-09-20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CN111656051B (zh) * 2018-02-26 2023-09-29 博格华纳公司 具有内部储存器技术主孔的可变力张紧器
US11326670B2 (en) 2018-12-21 2022-05-10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piston containing an internal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9327A1 (en) 2014-06-26
DE112013005436T5 (de) 2015-07-30
KR102051795B1 (ko) 2019-12-04
US20170254393A1 (en) 2017-09-07
WO2014099291A1 (en) 2014-06-26
US11402000B2 (en) 2022-08-02
JP2019163862A (ja) 2019-09-26
JP2016501353A (ja) 2016-01-18
US9683637B2 (en) 2017-06-20
JP2018021676A (ja) 2018-02-08
KR20190134835A (ko) 2019-12-04
US10612629B2 (en) 2020-04-07
US20200191243A1 (en) 2020-06-18
CN104884841A (zh) 2015-09-02
JP6745946B2 (ja) 2020-08-26
CN104884841B (zh) 2017-08-29
US10436291B2 (en) 2019-10-08
JP6224728B2 (ja) 2017-11-01
JP6530461B2 (ja) 2019-06-12
US20170254392A1 (en) 2017-09-07
US20150330482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686A (ko) 제2 보어 내의 스프링력이 제어되는 텐셔너
US10077825B2 (en) Tensioner with spring force control
US11078992B2 (en) Chain drive tensioner spring force control mechanism
JP6609603B2 (ja) チェーンドライブテンショナばね力制御機構
US20190234494A1 (en)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secondary piston ratchet clip
KR102211909B1 (ko) 체인 구동 텐셔너 스프링력 제어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