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519A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4519A KR20150094519A KR1020150017755A KR20150017755A KR20150094519A KR 20150094519 A KR20150094519 A KR 20150094519A KR 1020150017755 A KR1020150017755 A KR 1020150017755A KR 20150017755 A KR20150017755 A KR 20150017755A KR 20150094519 A KR20150094519 A KR 201500945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control member
- transfer
- winding drum
- retra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를 사용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권취 드럼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전달 기구(85)는,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갖고,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한쪽에 형성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전달 구멍(86)의 내주와 전달 돌기(87)의 외주가 접촉하여,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전달 기구(85)는,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갖고,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한쪽에 형성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전달 구멍(86)의 내주와 전달 돌기(87)의 외주가 접촉하여,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권취 드럼에 시트 벨트의 웨빙을 권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시트에 앉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탑승자는,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한 웨빙(시트 벨트)을 장착하고, 차량의 긴급시(예를 들어, 충돌시)에, 웨빙에 의해 시트에 구속된다. 그때, 리트랙터는, 차량의 가속도, 또는 웨빙의 인출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에 의해,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멈춘다. 이에 의해, 웨빙의 인출이 정지되어, 탑승자가 웨빙에 의해 구속된다. 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하여, 종래, 권취 드럼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어 부재(캠링)에 의해, 로크 기구(인출 저지 기구)의 상태를 전환하는 리트랙터(시트 벨트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편심 디스크)에 의해, 제어 휠이, 권취 드럼의 축선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구름 이동하면서, 권취 드럼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제어 휠은, 직사각 형상의 구동 구멍을 갖고, 제어 부재는, 구동 구멍 내에 배치되는 구동 핀을 갖는다. 제어 휠의 구름 이동과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핀이 구동 구멍 내에서 제어 휠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어 휠이 구동 핀을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하는 구동 핀에 의해, 제어 부재는, 권취 드럼에 연동하여, 권취 드럼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제어 부재에 의해, 로크 기구가 작동 상태와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 리트랙터의 상태가 전환된다. 로크 기구가 작동 상태로 되면, 리트랙터의 상태는, 웨빙의 권취만이 가능한 자동 로크 상태(ALR)로 되고, 로크 기구가 대기 상태로 되면, 리트랙터의 상태는, 차량의 긴급시에 로크 기구가 작동하는 긴급 로크 상태(ELR)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제어 휠에 의해 회전하는 제어 부재를 사용하여, 로크 기구의 상태를 전환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한다. 그런데, 제어 휠과 제어 부재가 서로 축선을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제어 휠과 제어 부재의 회전 중에, 제어 부재의 구동 핀은 구동 구멍 내에서 제어 휠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대해, 구동 핀이 제어 휠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 구멍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핀은 구동 구멍 내에서 제어 휠의 원주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어 휠의 회전과 구름 이동에 의해 복잡하게 변위되는 구동 구멍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동 핀이 제어 휠의 원주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제어 부재의 회전이 권취 드럼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되지 않아, 제어 부재가 불규칙하게 회전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어 부재에 의한 리트랙터의 상태 제어가 안정되지 않아, 리트랙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환하는 것이 어렵다.
여기서, 편심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 부재(제1 캠 플레이트)를 권취 드럼(스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켜, 제어 부재에 의해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트랙터(웨빙 권취 장치)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피니언이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여, 2단 기어의 대직경 기어가 피니언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제어 부재의 내주 기어가 2단 기어의 소직경 기어에 의해 회전하여, 제어 부재가 권취 드럼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회전하는 제어 부재에 의해, 리트랙터의 상태는, 로크 기구가 가속도 검지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긴급 로크 상태와, 가속도 검지 기구에 의한 로크 기구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지 상태로 전환된다.
이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가속도 검지 기구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를 작동하는 V 센서와, 웨빙의 인출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를 작동하는 W 센서로 이루어진다. 웨빙의 전량을 권취 드럼에 권취하였을 때에는, 리트랙터의 상태가 저지 상태로 되어, 로크 기구의 작동이 저지된다. 그런데, 이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복수의 기어만으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구에 의해, 제어 부재를 권취 드럼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시키고 있어, 편심 부재를 사용한 리트랙터에 비해, 감속 기구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복수의 기어를 정확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각 기어를 고정밀도로 형성할 필요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복수의 기어를 확실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혹은 각 기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기어를 얇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 감속 기구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를 사용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권취 드럼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웨빙을 권취하는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을 웨빙의 권취 방향과 인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권취 드럼의 축선을 중심으로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제어 부재와, 권취 드럼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어 부재에 전달하여 제어 부재를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다. 또한, 감속 기구는,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와, 권취 드럼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지체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톱니와, 복수의 고정 톱니의 내측에서 편심 부재와 복수의 고정 톱니에 의해 권취 드럼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하는 회전 기어와, 회전 기어의 회전을 제어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갖는다. 회전 기어는, 복수의 고정 톱니보다도 적은 수의 외주 톱니를 갖고, 권취 드럼의 축선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편심 부재에 지지되어, 편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고정 톱니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 고정 톱니에 차례로 맞물려 회전한다. 전달 기구는,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한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한쪽에 형성된 원 형상의 복수의 전달 구멍과,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다른 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 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전달 돌기를 갖고, 전달 구멍의 내주와 전달 돌기의 외주가 접촉하여, 회전 기어의 회전을 제어 부재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를 사용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권취 드럼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2는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3은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4는 완전히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5는 분해된 하우징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가동 폴과 래칫 기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분해된 권취 드럼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권취 드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X1-X1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권취 드럼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프리텐셔너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화살표 W3 방향으로부터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X2-X2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단면도.
도 13은 분해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과 권취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
도 14는 분해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과 권취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로킹 기어와 로크 아암의 사시도.
도 16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단면도.
도 17은 클러치의 사시도.
도 18은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맞물림 폴의 사시도.
도 21은 맞물림 폴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편심 부재, 회전 기어 및 제어 부재의 사시도.
도 24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25는 1세트의 전달 구멍과 전달 돌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회전 기어와 전달 기구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감속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작동 부재, 배치 부재 및 가압 수단의 사시도.
도 29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사시도.
도 30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31은 도 30의 Y1부의 단면도.
도 32는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1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제2 실시 형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가속도 센서의 센서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6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47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2는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3은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4는 완전히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5는 분해된 하우징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가동 폴과 래칫 기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분해된 권취 드럼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권취 드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X1-X1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권취 드럼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프리텐셔너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화살표 W3 방향으로부터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X2-X2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단면도.
도 13은 분해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과 권취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
도 14는 분해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과 권취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로킹 기어와 로크 아암의 사시도.
도 16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단면도.
도 17은 클러치의 사시도.
도 18은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맞물림 폴의 사시도.
도 21은 맞물림 폴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편심 부재, 회전 기어 및 제어 부재의 사시도.
도 24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25는 1세트의 전달 구멍과 전달 돌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회전 기어와 전달 기구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감속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작동 부재, 배치 부재 및 가압 수단의 사시도.
도 29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사시도.
도 30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31은 도 30의 Y1부의 단면도.
도 32는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제어 부재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전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1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전달 기구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제2 실시 형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가속도 센서의 센서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6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도 47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측면도.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하, 리트랙터라 함)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의 웨빙을 권취하는 웨빙 권취 장치로, 차량용 시트 벨트 장치에 설치된다.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시트에 앉은 탑승자를 웨빙(시트 벨트)에 의해 보호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은 복수의 유닛으로 분해된 리트랙터(1)의 사시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리트랙터(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리트랙터(1)를 도 1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도 3은 리트랙터(1)를 도 1의 W1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있다. 도 1∼도 3에서는, 띠 형상의 웨빙(2)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3)과, 권취 드럼(10)을 갖는 권취 드럼 유닛(4)과, 프리텐셔너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과, 권취 스프링 유닛(7)을 구비하고 있다. 웨빙(2)의 단부가 권취 드럼(10)에 장착되어, 웨빙(2)이 권취 드럼(10)의 외주에 권취된다. 권취 드럼(10)은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권취 드럼(10)이 하우징 유닛(3)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리텐셔너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권취 드럼(10)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하우징 유닛(3)의 측면에 고정된다. 드럼 축방향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의 방향이고, 드럼 축방향 외측은, 권취 드럼(10)을 기준으로 한 드럼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이다. 프리텐셔너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하우징 유닛(3)의 외측에서, 권취 드럼 유닛(4)의 드럼 축방향의 양단부를 덮어, 권취 드럼 유닛(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에 고정되어,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드럼 축방향 외측의 단부면을 덮는다.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3), 프리텐셔너 유닛(5) 및 메커니즘 커버 유닛(6)으로 구성되는 지지체(1A)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A)는, 차량에 장착되어, 권취 드럼(10)을 웨빙(2)의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방향(M)은, 웨빙(2)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이고, 인출 방향(P)은, 웨빙(2)의 인출시에 있어서의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이다.
웨빙(2)의 권취와 인출에 수반하여, 권취 드럼(10)은 지지체(1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축선(U1) 주위로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권취 드럼 유닛(4)은, 스틸 또는 아연 합금에 의해 형성된 래칫 기어(8)를 갖고, 통상시에는, 권취 드럼(10)과 일체로 회전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권취 드럼(10)[권취 드럼 유닛(4)]을 권취 방향(M)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이고, 또한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이다. 권취 스프링 유닛(7)에 의해, 권취 드럼(10)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웨빙(2)은,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에 권취되어 리트랙터(1) 내에 수납된다. 그 상태로부터, 웨빙(2)은 권취 드럼(10)을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면서 리트랙터(1)로부터 인출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권취 드럼 유닛(4)의 래칫 기어(8)에 인접하고, 래칫 기어(8)와 함께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멈추는 로크 기구(9)를 구성한다. 로크 기구(9)는,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을 로크하는 로크 수단이다. 웨빙(2)의 급격한 인출과 차량의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반응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웨빙(2)의 인출이 정지한다. 그때, 래칫 기어(8)의 톱니(래칫 톱니)(8A)에 의해, 래칫 기어(8)의 회전이 멈추어져, 권취 드럼 유닛(4) 및 권취 드럼(10)의 회전이 멈추어진다.
프리텐셔너 유닛(5)은, 차량의 긴급시(예를 들어, 충돌시)에, 권취 드럼(10)을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권취되어, 웨빙(2)의 이완이 제거된다. 프리텐셔너 유닛(5)은, 복수의 나사(5A)에 의해 하우징 유닛(3)에 고정됨과 함께, 한 쌍의 스토퍼 핀(5B)과 푸시 너트(5C)에 의해 하우징 유닛(3)에 고정된다.
도 4는, 완전히 분해된 리트랙터(1)의 사시도로, 리트랙터(1)를 도 1의 반대측(W2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리트랙터(1)의 각 유닛(3∼7)이 조립된다. 또한, 복수의 유닛(3∼7)을 합체함으로써, 리트랙터(1)가 제조된다. 이하, 이들 리트랙터(1)의 각 부에 대해, 차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분해된 하우징 유닛(3)의 사시도로, 하우징 유닛(3)을 도 4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3)은 권취 드럼(10)을 수용하는 하우징(20)과, 프로텍터(3A)와, 가속도 센서(3B)와, 가속도 센서(3B)를 덮는 센서 커버(3C)와, 래칫 기어(8)의 래칫 톱니(8A)에 결합되는 가동 폴(9A)과, 폴 리벳(9B)과, 리턴 스프링(9C)을 갖는다. 하우징(20)과 가동 폴(9A)은 스틸 등에 의해 형성되고, 프로텍터(3A)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3B)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는 제1 가속도 검지 기구(차량의 가속도 검지 기구)(1B)이다.
하우징(20)은, 차체에 고정되는 배면판부(21)와, 배면판부(21)의 양 측연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부[22, 23(제1 측벽부(22), 제2 측벽부(23)]와, 한 쌍의 측벽부(22, 23)에 고정된 2개의 고정판(24)과, 배면판부(21)에 장착된 브래킷(25)으로 이루어진다. 브래킷(25)은 스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로텍터(3A)는, 웨빙(2)의 통과 구멍(3I)을 갖고, 브래킷(25)의 장착 구멍(25A)에 장착된다. 웨빙(2)은, 프로텍터(3A)의 통과 구멍(3I)에 통과되어, 권취 및 인출시에 통과 구멍(3I)을 통과한다.
하우징(20)은, 제1 측벽부(22)에 형성된 제1 개구부(26)와, 제1 개구부(26)에 연결되는 폴 수용부(26A)와, 제2 측벽부(23)에 형성된 제2 개구부(27)를 갖는다. 권취 드럼(10)이 하우징(20) 내에 수용되었을 때, 래칫 기어(8)가 제1 개구부(26)에 배치되고, 권취 드럼(10)의 일단부가 제2 개구부(27)에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이 제1 측벽부(22)에 장착되고, 프리텐셔너 유닛(5)이 제2 측벽부(23)에 장착된다.
가속도 센서(3B)는, 차량의 긴급시에,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9)를 작동시키는 긴급 로크 작동 장치이며, 센서 홀더(3D)와, 관성 질량체(3E)와, 센서 레버(3F)를 갖는다. 센서 홀더(3D)와 센서 레버(3F)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성 질량체(3E)는, 금속제의 구체로 이루어지고, 센서 홀더(3D)의 오목부에 배치되어, 센서 홀더(3D)와 센서 레버(3F)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센서 레버(3F)는, 관성 질량체(3E)를 상방으로부터 덮어, 센서 홀더(3D)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속도 센서(3B)가 센서 커버(3C) 내에 삽입되어, 센서 홀더(3D)가 센서 커버(3C)에 장착된다. 센서 커버(3C)는, 제1 측벽부(22)의 장착 구멍(28)에 삽입되어, 제1 측벽부(22)에 장착된다. 그 상태에서, 센서 레버(3F)의 로크 갈고리(3G)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센서 커버(3C) 외부에 위치한다. 차량의 긴급 사태(예를 들어, 충돌, 급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 관성 질량체(3E)는, 관성력에 의해 센서 홀더(3D) 상에서 이동하여, 센서 레버(3F)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가속도 센서(3B)는, 관성 질량체(3E)의 이동에 의해,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한다. 센서 레버(3F)의 로크 갈고리(3G)는, 관성 질량체(3E)에 의해 압박되어, 상방으로 이동한다.
가동 폴(9A)은, 래칫 톱니(8A)에 결합되는 결합 갈고리(9D)와, 가동 폴(9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동 핀(9E)과, 가동 폴(9A)의 타단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보스(9F)를 갖는다. 보스(9F)는, 하우징(20)의 내측으로부터 제1 측벽부(22)의 장착 구멍(29A)에 삽입되고, 폴 리벳(9B)에 의해, 제1 측벽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리턴 스프링(9C)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폴 리벳(9B)의 헤드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9C)의 일단부는, 연동 핀(9E)에 장착되고, 리턴 스프링(9C)의 타단부는, 제1 측벽부(22)의 장착 구멍(29B)에 장착된다. 리턴 스프링(9C)에 의해, 가동 폴(9A)은, 폴 수용부(26A)를 향해 가압되어, 폴 수용부(26A) 내에 수용된다. 연동 핀(9E)은, 가동 폴(9A)로부터 하우징(20)의 외측까지 돌출된다.
로크 기구(9)는 연동 핀(9E)에 연결되고, 연동 핀(9E)에 의해 가동 폴(9A)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폴(9A)이, 보스(9F)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폴 수용부(26A)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 이동에 의해, 가동 폴(9A)은, 래칫 기어(8)(도 3 참조)로부터 이격되거나, 혹은 래칫 기어(8)에 접근한다. 또한, 가동 폴(9A)은,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톱니(8A)에 결합되지 않는 비로크 위치[폴 수용부(26A) 내의 위치]와,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톱니(8A)에 결합되는 로크 위치[폴 수용부(26A) 밖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동 폴(9A)이 로크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기어(8)의 래칫 톱니(8A)에 결합된다.
도 6은 가동 폴(9A)과 래칫 기어(8)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로크 위치로 이동한 가동 폴(9A)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비로크 위치로 이동한 가동 폴(9A)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9D)와 래칫 톱니(8A)의 결합시에는, 가동 폴(9A)이 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톱니(8A)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가동 폴(9A)이 래칫 기어(8)에 결합된다. 가동 폴(9A)에 의해, 래칫 기어(8)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래칫 기어(8)와 권취 드럼(10)이 로크된다. 따라서, 가동 폴(9A)은, 로크 기구(9)의 일부를 이루고,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가동 폴(9A)과 래칫 기어(8)는,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에만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래칫 톱니(8A)와 결합 갈고리(9D)는, 래칫 기어(8)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도록 기울어져 있다.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톱니(8A)로부터 빠졌을 때, 가동 폴(9A)과 래칫 기어(8)의 결합이 해제된다. 가동 폴(9A)은, 리턴 스프링(9C)에 의해, 폴 수용부(26A) 내의 비로크 위치를 향해 항상 가압되고 있다. 그로 인해, 결합의 해제에 수반하여, 가동 폴(9A)은, 래칫 기어(8)로부터 이격되어, 비로크 위치로 이동하고, 폴 수용부(26A) 내에 수용된다. 동시에, 래칫 기어(8)와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되어, 웨빙(2)의 인출과 권취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분해된 권취 드럼 유닛(4)의 사시도로, 도 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권취 드럼 유닛(4)의 단면도로, 축선(U1)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권취 드럼 유닛(4)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4)은 원반 형상의 래칫 기어(8)와, 웨빙(2)의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 가능한 권취 드럼(10)과, 원기둥 형상의 토션 바(11)와, 와이어(12)를 갖는다. 래칫 기어(8)는, 외주 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래칫 톱니(8A)와, 권취 드럼(10)측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8B)와,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축부(래칫 축부)(8C)를 갖는다.
권취 드럼(10)은, 일단부에 형성된 내기어(10A)와, 축선(U1)을 따라 형성된 축 구멍부(10B)와, 원통 형상의 보스(10C)와, 타단부에 형성된 환상부(10D)와, 환상부(10D)에 형성된 고정부(10E)를 갖는다. 내기어(10A)의 복수의 톱니(10F)는, 내기어(10A)의 내주 전체에 형성되어, 내기어(10A)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축 구멍부(10B)는, 권취 드럼(10)의 일단부에서 폐쇄되고, 권취 드럼(10)의 타단부에 개구된다. 보스(10C)는, 권취 드럼(10)의 일단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래칫 축부(8C)와 보스(10C)는,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위치하고, 권취 드럼 유닛(4)은 래칫 축부(8C)와 보스(10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환상부(10D)는, 권취 드럼(10)의 다른 부분보다도 가느다란 소직경부이다. 와이어(12)의 일단부(12A)는, 환상부(10D)의 고정부(10E)에 끼움 삽입되어, 고정부(10E)에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와이어(12)는 환상부(10D)의 주위에 배치된다.
토션 바(11)는, 권취 드럼(10)의 축 구멍부(10B)에 삽입되어, 축 구멍부(10B) 내에 배치된다. 또한, 토션 바(11)는, 예를 들어 스틸로 이루어지고, 스플라인(11A, 11B)을 갖는다. 한쪽의 스플라인(11A)은, 토션 바(1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축 구멍부(10B) 내에서 권취 드럼(1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다른 쪽의 스플라인(11B)은, 토션 바(1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래칫 기어(8)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래칫 기어(8)는 토션 바(11)에 고정되어, 권취 드럼(10)에 장착된다. 권취 드럼(10)의 환상부(10D)는, 래칫 기어(8)의 환상 오목부(8B)에 수용된다. 와이어(12)는, 선재(예를 들어, 스틸제의 선재)이며, 환상부(10D)와 함께 환상 오목부(8B)에 수용되어, 래칫 기어(8) 내에 배치된다.
도 9는, 도 8의 X1-X1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권취 드럼 유닛(4)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2)의 일단부(12A)가 고정부(10E)에 고정되고, 와이어(12)가 굴곡로(8D)와 미끄럼 이동로(8E)에 배치된다. 굴곡로(8D)는 래칫 기어(8)에 형성되고, 미끄럼 이동로(8E)는 래칫 기어(8)와 환상부(10D)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9)[가동 폴(9A)]에 의해 래칫 기어(8)(도 7, 도 8 참조)의 회전이 멈추어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웨빙(2)에 큰 힘(인출력)이 작용한다. 이 인출력이 소정값을 초과하여 웨빙(2)이 인출되었을 때, 권취 드럼(10)에 인출 방향(P)의 회전 토크가 작용하여,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토션 바(11)의 스플라인(11A)이 회전하여, 토션 바(11)가 비틀림 변형된다. 토션 바(11)는, 제1 에너지 흡수 기구이며, 비틀림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동시에, 권취 드럼(10)이 래칫 기어(8)에 대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여, 와이어(12)가 굴곡로(8D)와 원호 형상의 미끄럼 이동로(8E) 내에서 미끄럼 이동한다(도 9 참조). 이에 수반하여, 와이어(12)는 굴곡로(8D)에서 당겨져서 차례로 굴곡되어, 권취 드럼(10)의 환상부(10D)에 권취된다. 와이어(12)는 제2 에너지 흡수 기구이며, 미끄럼 이동 저항과 굴곡 저항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도 10은 프리텐셔너 유닛(5)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5)은, 가스 발생부(5D)와, 파이프 실린더(5E)와, 피스톤(5F)과, 피니언 기어(5G)와, 클러치 기구(5H)를 갖는다. 파이프 실린더(5E), 피스톤(5F) 및 피니언 기어(5G)는, 스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발생부(5D)는, 차량의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작동 신호에 따라서, 파이프 실린더(5E)의 일단부 내에서 가스를 발생한다. 파이프 실린더(5E)는, 베이스 플레이트(5I), 커버 플레이트(5J) 및 베이스 블록(5K)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20)의 제2 측벽부(23)에 고정된다. 피스톤(5F)은,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 시일 플레이트(5L)를 갖고, 가스 발생부(5D)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파이프 실린더(5E) 내에서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5G)는, 파이프 실린더(5E)의 개구부(5M)에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I)의 지지 구멍(5N) 내에서 회전한다. 피스톤(5F)의 이동시에, 피니언 기어(5G)는, 피스톤(5F)의 랙(5P)과 맞물려,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클러치 기구(5H)는, 지지 구멍(5N)을 관통한 피니언 기어(5G)의 외주에 장착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5H)는, 폴 가이드(5Q)와, 복수의 클러치 폴(5R)과, 피니언 기어(5G)에 고정된 폴 베이스(5S)와, 환상의 베어링(5T)을 갖는다. 클러치 폴(5R)과 폴 베이스(5S)는, 스틸 등에 의해 형성되고, 폴 가이드(5Q)와 베어링(5T)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5T)이 폴 가이드(5Q)에 고정되어, 클러치 폴(5R)과 폴 베이스(5S)가 베어링(5T)과 폴 가이드(5Q) 사이에 끼워진다. 폴 베이스(5S)가 피니언 기어(5G)와 함께 회전하였을 때, 폴 베이스(5S)는, 폴 가이드(5Q)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클러치 폴(5R)을 압박한다. 이에 수반하여, 복수의 클러치 폴(5R)은, 폴 가이드(5Q)에 가이드되어 클러치 기구(5H)로부터 돌출되고, 피니언 기어(5G)와 함께 회전한다.
권취 드럼(10)의 보스(10C)는, 베어링(5T)의 내주에 삽입되고, 베어링(5T)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8 참조). 권취 드럼(10)의 내기어(10A)는, 클러치 기구(5H)의 외측에 배치된다. 통상시에는, 권취 드럼(10)은 피니언 기어(5G)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에 대해, 차량의 긴급시에는, 프리텐셔너 유닛(5)이 작동하여, 피니언 기어(5G)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고, 클러치 폴(5R)이 클러치 기구(5H)로부터 돌출된다. 계속해서, 클러치 폴(5R)이 내기어(10A)[톱니(10F)]에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5G)의 회전이 권취 드럼(10)에 전달된다. 권취 드럼(10)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여, 웨빙(2)을 권취한다. 이에 의해, 웨빙(2)의 이완이 제거되어, 탑승자가 좌석에 확실하게 구속된다. 프리텐셔너 유닛(5)의 작동 후에,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제1과 제2 에너지 흡수 기구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도 11은, 도 1의 화살표 W3 방향으로부터 본 리트랙터(1)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2-X2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권취 드럼 유닛(4)의 래칫 기어(8)에 연결되어, 래칫 축부(8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에 의해 래칫 기어(8)에 연결된다.
도 13, 도 14는, 분해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6)과 권취 스프링 유닛(7)의 사시도로, 권취 드럼 유닛(4)의 래칫 기어(8)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과 권취 스프링 유닛(7)을 도 4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도 14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과 권취 스프링 유닛(7)을 도 13의 반대측으로부터 보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기어(8)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로킹 기어(30)에 연결된다. 로킹 기어(30)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래칫 축부(8C)가 삽입되는 축 구멍(31)과, 4개의 끼워 맞춤 돌기(31A)와,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축부(기어 축부)(32)를 갖는다. 4개의 끼워 맞춤 돌기(31A)는, 래칫 기어(8)에 형성된 4개의 끼워 맞춤 오목부(8F)에 끼워 맞추어진다. 로킹 기어(30)는, 래칫 기어(8)에 장착되어, 권취 드럼 유닛(4)[권취 드럼(10)]과 일체로 회전한다. 기어 축부(32)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을 관통하여, 권취 스프링 유닛(7)에 장착된다.
권취 스프링 유닛(7)(가압 기구)은, 소용돌이 스프링(7A)과, 스프링 케이스(7B)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에 접하는 스프링 시트(7C)와, 스프링 샤프트(7D)를 갖는다. 스프링 케이스(7B), 스프링 시트(7C) 및 스프링 샤프트(7D)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스프링(7A)의 외측 단부(K1)는 스프링 케이스(7B)에 고정되고, 소용돌이 스프링(7A)의 내측 단부(K2)는 스프링 샤프트(7D)에 고정된다. 스프링 케이스(7B)는, 소용돌이 스프링(7A)과 스프링 샤프트(7D)를 수용한다. 스프링 시트(7C)는, 스프링 케이스(7B)에 장착되는 시트 부재이며, 또한 스프링 케이스(7B) 내의 소용돌이 스프링(7A)과 스프링 샤프트(7D)를 덮는 커버부이다. 스프링 샤프트(7D)는, 스프링 케이스(7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어 축부(32)는, 지지 구멍(7E)에 삽입되어 스프링 시트(7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샤프트(7D)에 고정된다. 스프링 샤프트(7D)는, 로킹 기어(30)와 래칫 기어(8)를 통해 권취 드럼 유닛(4)에 연결된다.
스프링 샤프트(7D)는, 권취 드럼 유닛(4)의 권취 드럼(10)과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소용돌이 스프링(7A)의 가압력을 권취 드럼(10)에 전달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소용돌이 스프링(7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웨빙(2)의 권취 방향(M)으로 항상 가압한다. 또한, 웨빙(2)의 인출시에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 스프링(7A)이 권취된다. 웨빙(2)의 권취시에는, 소용돌이 스프링(7A)의 가압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여,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권취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메커니즘 커버(6A)와, 원 형상의 로킹 기어(30)와, 로크 아암(40)과, 센서 스프링(45)과, 클러치(50)와, 맞물림 폴(13)과, 로크 기구(9)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60)를 갖는다. 메커니즘 커버(6A), 로크 아암(40), 클러치(50) 및 맞물림 폴(13)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커니즘 커버(6A)는, 로크 기구(9)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이고, 로크 기구(9)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내측[권취 드럼(10)이 위치하는 측]에 배치된다. 메커니즘 커버(6A)는, 권취 드럼(10)과 로크 기구(9)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권취 드럼(10)이 위치하는 드럼 축방향 내측에 로크 기구(9)를 수용한다.
메커니즘 커버(6A)는, 로크 기구(9)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6B)와, 가속도 센서(3B)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6C)와, 권취 드럼(10)의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드럼 지지부)(6D)와, 드럼 지지부(6D)를 관통하는 삽입 구멍(6E)을 갖는다. 제1 수용부(6B)는, 로크 기구(9)의 일부인 로킹 기어(30), 로크 아암(40) 및 클러치(50)를 수용한다. 가속도 센서(3B)는, 제2 수용부(6C)에 삽입되어, 제2 수용부(6C)에 장착된다. 그 상태에서, 센서 레버(3F)의 로크 갈고리(3G)는, 제2 수용부(6C)의 개구(6F)에 배치되고, 개구(6F)를 통해 제1 수용부(6B) 내로 이동한다.
권취 드럼(10)의 축부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시에, 권취 드럼(10)의 회전 운동의 중심으로 되는 부분이며,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는, 로킹 기어(30)의 기어 축부(32)가 권취 드럼(10)의 축부이며, 드럼 지지부(6D)에 형성된 삽입 구멍(6E)에 삽입되어, 메커니즘 커버(6A)를 관통한다. 드럼 지지부(6D)는, 삽입 구멍(6E)에 삽입된 기어 축부(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어 축부(32)는 드럼 지지부(6D)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로크 아암(40)은, 로킹 기어(30)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변위에 의해 로크 기구(9)를 작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의 일부인 로킹 기어(30), 로크 아암(40) 및 클러치(50)에 의해, 가동 폴(9A)이,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가동 폴(9A)은, 권취 드럼(10)을 로크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도 15는 로킹 기어(30)와 로크 아암(40)의 사시도로, 도 13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단면도로, 조립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기어(30)는 복수의 톱니(33)를 갖는 래칫 휠(34)과, 원기둥 형상의 아암 지지부(35)와, 센서 스프링(45)을 지지하는 지지 핀(36)을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34)은, 로킹 기어(30)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톱니(33)는, 래칫 휠(34)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도록 기울어져 있고, 래칫 휠(34)의 외주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40)은, 길이 방향의 일단부(결합 단부)(41)와 타단부(자유 단부)(42)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43)을 갖고,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 지지부(35)를 관통 구멍(43)에 삽입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이 아암 지지부(35)에 장착된다. 아암 지지부(35)는, 로크 아암(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로크 아암(40)은 아암 지지부(35)에 의해 로킹 기어(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크 아암(40)은, 래칫 휠(34)의 내측에 배치되고, 아암 지지부(35)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센서 스프링(45)은, 로크 아암(40)과 지지 핀(36) 사이에 배치되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를 인출 방향(P)으로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는 로킹 기어(30)의 스토퍼(37)에 접촉한다.
로크 아암(40)은, 권취 드럼(10) 및 로킹 기어(30)와 함께 인출 방향(P)과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통상시에는, 센서 스프링(45)의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는 로킹 기어(30)의 스토퍼(37)에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대해, 차량의 긴급시에는,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가 스토퍼(37)로부터 이격되어, 로크 아암(40)이 변위된다.
구체적으로는, 웨빙(2)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즉,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회전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 회전하는 로킹 기어(30)에 대해 관성에 의한 지연이 로크 아암(40)에 발생한다. 그 결과, 로크 아암(40)이 센서 스프링(45)을 압축하면서 회전하여,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기어(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트랙터(1)의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또한, 각 부재(또는, 각 부재의 일부)의 반경 방향이라 함은, 각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의 방향이다.
이와 같이, 로크 아암(40)과 센서 스프링(45)은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되는 웨빙(2)의 인출 가속도[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를 검지하는 제2 가속도 검지 기구[웨빙(2)의 가속도 검지 기구](1C)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제2 가속도 검지 기구(1C)는, 차량의 긴급시에, 웨빙(2)의 인출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9)를 작동시킨다. 또한, 로크 아암(40)은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L)(도 16 참조)으로 변위 가능한 변위 부재로, 가속도에 반응하여 소정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된다. 로크 작동 방향(L)은, 로크 기구(9)를 작동하기 위한 방향으로, 여기서는,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기어(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는 방향이다. 로크 기구(9)는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된 로크 아암(40)에 의해 작동한다.
또한,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될 때에는, 로크 아암(40)이 변위되어도 되고, 로크 아암(40)이 권취 드럼(10) 및 로킹 기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도 된다. 혹은, 로크 아암(40)이, 변위되면서 권취 드럼(10) 및 로킹 기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도 된다. 따라서, 로크 아암(40)의 변위에는, 이러한 각 형태에서의 변위를 포함한다.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 가능하게 로킹 기어(30)에 연결되어 로킹 기어(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아암 지지부(35)는 변위 부재용 지지부로, 회전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시킨다.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L)과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양 방향으로 변위된다. 센서 스프링(45)의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회전)되고,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기어(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된다.
로크 기구(9)는,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에 의해 작동하고,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그때(도 13, 도 14 참조), 클러치(50)가, 로크 아암(40)에 의해 로킹 기어(30)에 연결되어, 로킹 기어(30)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하는 클러치(50)에 의해, 가동 폴(9A)이,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50)는, 환상의 내벽(51)과, 내벽(51)의 내주에 형성된 클러치 기어(52)와, 내벽(51)을 둘러싸는 환상의 외벽(53)과, 내벽(51)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구멍(54)을 갖는다. 로킹 기어(30)의 기어 축부(32)가 중심 구멍(54)에 삽입되어, 로킹 기어(30) 및 권취 드럼 유닛(4)이 클러치(5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로킹 기어(30)의 래칫 휠(34)은, 내벽(51)과 외벽(53) 사이에 배치된다(도 16 참조). 로크 아암(40)은, 내벽(51)의 내측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는 클러치 기어(52)에 결합된다.
도 17은 클러치(50)의 사시도로, 2개의 방향으로부터 본 클러치(5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는 로킹 기어(30)측으로부터 본 클러치(50)를 도시하고, 도 17b는 도 17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클러치(5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어(52)는, 내벽(51)의 내주 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톱니로 이루어지고,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된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와 결합된다. 로킹 기어(30)가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에만,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클러치 기어(52)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된다. 클러치 기어(52)와 로크 아암(40)의 결합에 의해,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에 연결된다. 그 상태에서, 로킹 기어(30) 및 로크 아암(40)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고, 클러치(50)가 로크 아암(40)에 의해 압박되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클러치(50)는, 외벽(53)의 일부에 형성된 탄성 변형부(55)와, 탄성 변형부(55)에 형성된 가동 돌기(56)와, 외벽(53)의 외측에 형성된 유도부(57)와, 유도부(57)에 형성된 가늘고 긴 유도 구멍(58)을 갖는다. 가동 돌기(56)는, 클러치(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탄성 변형부(5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클러치(5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움직인다. 가동 폴(9A)의 연동 핀(9E)(도 5, 도 16 참조)은 유도 구멍(58)에 삽입되어, 유도 구멍(58) 내에서 이동하면서 유도부(57)에 의해 유도된다. 가동 폴(9A)은, 리턴 스프링(9C)에 의해 비로크 위치를 향해 가압되고 있고, 통상시에는 비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그때, 연동 핀(9E)은, 유도 구멍(58)의 일단부(58A)(도 16 참조)에 위치한다. 연동 핀(9E)에 의해, 유도부(57)가 압박되어, 클러치(50)의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클러치(50)는 연동 핀(9E)에 의해 권취 방향(M)으로 가압된다.
웨빙(2)의 통상의 인출시에는, 정지한 클러치(50)에 대해 권취 드럼(10)과 로킹 기어(30)가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그때,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는 클러치 기어(5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40)은 클러치 기어(5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대해, 웨빙(2)의 급격한 인출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 로크 아암(40)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된다. 로크 아암(40)이 회전에 의해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될 때에는,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클러치 기어(52)를 향해 변위된다. 계속해서, 로크 기구(9)가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이 로크된다.
도 18, 도 19는 로크 기구(9)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 도 19는 클러치(50)의 일부를 삭제하여, 클러치(50)에 가려지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9)는 로크 아암(40)의 변위에 의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의 변위에 수반하여(도 18a 참조),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클러치 기어(52)에 접근하여, 클러치 기어(52)에 결합된다. 클러치 기어(52)는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된 로크 아암(40)과 결합되어, 로크 아암(40)을 정지한다.
클러치 기어(52)와 로크 아암(40)에 의해, 클러치(50)는 로킹 기어(30)에 연결되어, 로킹 기어(30) 및 권취 드럼(10)과 함께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가동 폴(9A)의 연동 핀(9E)이, 유도부(57)에 의해 압박되어 유도 구멍(58) 내를 이동한다. 연동 핀(9E)은, 유도부(57)에 의해 유도되어, 유도 구멍(58)을 따라 클러치(50)의 중심측으로 이동한다. 이 연동 핀(9E)의 이동에 의해, 가동 폴(9A)이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가동 폴(9A)의 결합 갈고리(9D)가 래칫 기어(8)의 래칫 톱니(8A)에 결합된다(도 18b 참조).
로크 기구(9)는 가동 폴(9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웨빙(2)의 인출이 정지한다. 클러치(50)의 회전 중에, 클러치(50)의 가동 돌기(56)는 메커니즘 커버(6A)의 고정 돌기(6G)에 접촉하여, 클러치(5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움직인다. 고정 돌기(6G)는, 제1 수용부(6B)의 내벽에 형성되어, 제1 수용부(6B) 내로 돌출된다. 로크 기구(9)의 작동이 완료될 때, 가동 돌기(56)는 고정 돌기(6G)를 넘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웨빙(2)의 권취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웨빙(2)의 부하로부터 해방되면, 권취 드럼(10)과 로킹 기어(30)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그때, 가동 돌기(56)가 고정 돌기(6G)에 걸리므로, 클러치(50)의 클러치 기어(52)에 대해 로킹 기어(30)와 로크 아암(40)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와 클러치 기어(52) 사이에 간극이 생겨, 로크 아암(40)이 클러치 기어(52)로부터 해방된다. 로크 아암(40)이 클러치 기어(52)로부터 빠짐으로써, 로크 아암(40)과 클러치 기어(52)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어, 클러치(50)와 로킹 기어(30)의 연결이 해제된다(도 19a 참조). 래칫 기어(8)의 권취 방향(M)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동 폴(9A)의 결합 갈고리(9D)는, 래칫 기어(8)의 래칫 톱니(8A)로부터 해방된다.
그 후, 리턴 스프링(9C)의 가압에 의해, 가동 폴(9A)이 비로크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여, 가동 폴(9A)의 연동 핀(9E)이 유도 구멍(58) 내를 이동한다. 동시에, 연동 핀(9E)에 의해, 유도부(57)가 압박되어, 클러치(50)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클러치(50)의 가동 돌기(56)는 메커니즘 커버(6A)의 고정 돌기(6G)에 의해, 클러치(5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움직여, 고정 돌기(6G)를 넘는다. 계속해서, 가동 폴(9A)은, 클러치(50)를 회전하면서 비로크 위치로 복귀된다(도 19b 참조). 이에 의해, 연동 핀(9E)이 유도 구멍(58)의 일단부(58A)까지 이동하여, 클러치(5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결합 갈고리(9D)와 래칫 톱니(8A)의 결합이 해제되어,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후, 웨빙(2)의 인출과 권취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9)는 상기한 제2 가속도 검지 기구(1C)에 의해 작동하는 웨빙 감응식 로크 기구로, 웨빙(2)의 급격한 인출에 반응하여 웨빙(2)의 인출을 정지한다. 또한, 로크 기구(9)는 가속도 센서(3B)[제1 가속도 검지 기구(1B)]에 의해 작동하는 차체 감응식 로크 기구로, 차량의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반응하여 웨빙(2)의 인출을 정지한다. 로크 기구(9), 맞물림 폴(13) 및 가속도 센서(3B)가, 차체 감응식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가속도 센서(3B)가 맞물림 폴(13)에 의해 로크 기구(9)를 작동시켜, 로크 기구(9)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 맞물림 폴(13)(도 13, 도 14 참조)은,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로, 톱니(33)에의 맞물림에 의해, 클러치(50)를 로킹 기어(30)에 연결한다.
도 20은 맞물림 폴(13)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폴(13)은, 원통 형상의 장착부(14)와, 장착부(14)로부터 돌출되는 판 형상의 수용부(15)와,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리는 맞물림 갈고리(16)를 갖는다. 맞물림 폴(13)이 장착부(1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맞물림 폴(13)[맞물림 갈고리(16)]이 이동한다. 또한, 맞물림 폴(13)이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린다고 할 때에는, 맞물림 갈고리(16)가 톱니(33)에 맞물린다.
클러치(50)(도 16, 도 17 참조)는, 외벽(53)에 형성된 플랜지(53A)와, 플랜지(53A)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폴 지지부(59)와, 플랜지(53A)에 형성된 스토퍼(53B)를 갖는다. 폴 지지부(59)가 장착부(14)에 삽입되어, 맞물림 폴(13)이 폴 지지부(59)에 장착된다. 폴 지지부(59)는, 맞물림 폴(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맞물림 폴(13)은, 폴 지지부(59)에 의해 클러치(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맞물림 폴(13)이 자중에 의해 회전할 때에는, 맞물림 폴(13)이 스토퍼(53B)에 접촉하여, 맞물림 폴(13)의 회전이 멈추어진다. 그 상태에서, 맞물림 갈고리(16)는 외벽(53)의 개구(53C)에 배치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3B)에 의해, 맞물림 갈고리(16)는 개구(53C)를 통해 외벽(5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도 21은 맞물림 폴(13)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가속도 센서(3B)의 일부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폴(13)은,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리지 않는 위치[비맞물림 위치(C1)](도 21a 참조)와,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리는 위치[맞물림 위치(C2)](도 21b 참조)로 이동(회전)한다. 통상시에는, 맞물림 폴(13)은,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되고, 센서 레버(3F)의 로크 갈고리(3G)는, 맞물림 폴(13)의 근방에 위치한다.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관성 질량체(3E)가 이동하여, 관성 질량체(3E)에 의해, 센서 레버(3F)와 로크 갈고리(3G)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로크 갈고리(3G)에 의해, 맞물림 폴(13)[수용부(15)]이 상방으로 압박되어, 맞물림 갈고리(16)가 래칫 휠(34)에 접근한다. 맞물림 폴(13)은, 비맞물림 위치(C1)로부터 맞물림 위치(C2)로 이동하여,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린다. 맞물림 폴(13)과 래칫 휠(34)의 톱니(33)는, 래칫 휠(34)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에만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칫 휠(34)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할 때에는, 맞물림 폴(13)[맞물림 갈고리(16)]은 톱니(33)의 외면을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톱니(33)의 선단에 있어서 톱니(33)를 타고 넘는다.
맞물림 폴(13)은, 로크 기구(9)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로크 기구(9)는 맞물림 폴(13)의 맞물림 위치(C2)로의 이동에 의해 작동한다. 맞물림 폴(13)이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렸을 때, 맞물림 폴(13)과 래칫 휠(34)에 의해,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에 연결된다. 계속해서, 웨빙(2)이 인출되면, 맞물림 폴(13)이 톱니(33)에 맞물리는 상태에서,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 및 권취 드럼(10)과 함께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의 변위에 의해 로크 기구(9)가 작동할 때와 마찬가지로(도 18, 도 19 참조),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로크 기구(9)는 클러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도 22는 로크 기구(9)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2는 클러치(50)의 일부를 삭제하여, 클러치(50)에 가려지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폴(9A)이 클러치(50)의 회전에 의해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로크 기구(9)가 가동 폴(9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도 22a 참조).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웨빙(2)의 인출이 정지한다. 클러치(50)의 가동 돌기(56)는 고정 돌기(6G)를 넘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이하로 되었을 때, 관성 질량체(3E)가 중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센서 레버(3F)와 로크 갈고리(3G)가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22b 참조).
웨빙(2)의 권취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웨빙(2)의 부하로부터 해방되면, 권취 드럼(10)과 로킹 기어(30)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그때, 가동 돌기(56)가 고정 돌기(6G)에 걸리므로, 클러치(50)에 대해 로킹 기어(30)와 래칫 휠(34)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맞물림 갈고리(16)와 톱니(33) 사이에 간극이 생겨, 맞물림 폴(13)이 래칫 휠(34)로부터 해방된다. 맞물림 폴(13)은, 톱니(33)로부터 빠져, 자중에 의해 비맞물림 위치(C1)로 이동한다. 또한, 클러치(50)와 로킹 기어(30)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 후, 가동 폴(9A)이 비로크 위치로 복귀되어, 클러치(5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19b 참조). 이에 의해,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전환 기구(60)에 대해 설명한다(도 13, 도 14 참조).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의 상태를 전환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이다.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는 작동 상태와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작동 상태는, 로크 기구(9)가 작동하는 상태로, 작동 상태의 로크 기구(9)는 권취 드럼(10)을 로크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이 작동 상태에서는, 로크 기구(9)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고,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을 허용한다. 대기 상태는, 로크 기구(9)가 작동까지 대기하는 상태로, 대기 상태의 로크 기구(9)는 차량의 긴급시에 작동한다. 대기 상태에서는, 전환 기구(60)가 로크 기구(9)를 작동하는 일은 없고, 로크 기구(9)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과 권취 방향(M)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 대기 상태 중에, 로크 기구(9)는 전환 기구(60)로부터 독립하여 작동 가능하고, 차량의 긴급시에, 웨빙 감응식 로크 기구와 차체 감응식 로크 기구로서 작동한다.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할 때,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의 작동을 제어하여, 로크 기구(9)의 상태를 전환한다. 전환 기구(60)에 의해, 리트랙터(1)의 상태는,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자동 로크 상태(ALR)와 긴급 로크 상태(ELR)로 전환된다. 자동 로크 상태는, 로크 기구(9)가 항상 작동하는 상태이다. 긴급 로크 상태는, 차량의 긴급시에, 로크 기구(9)가 상기한 제1 가속도 검지 기구(1B) 또는 제2 가속도 검지 기구(1C)에 의해 작동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가 대기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리트랙터(1)가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자동 로크 상태에서는, 로크 기구(9)의 작동에 의해, 웨빙(2)을 인출할 수 없게 되고, 웨빙(2)의 권취만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카시트나 짐을 시트에 고정할 때, 리트랙터(1)가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가 작동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고, 리트랙터(1)가 자동 로크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긴급 로크 상태에서는, 로크 기구(9)의 대기에 의해, 웨빙(2)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하다. 단, 차량의 긴급시에는, 로크 기구(9)가 작동하여,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로크된다. 그 결과,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멈추어져, 웨빙(2)의 인출이 정지한다.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를 작동하는 작동 부재(61)와, 작동 부재(61)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배치 부재(62)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70)와, 가압 수단(63)과, 감속 기구(80)를 갖는다. 제어 부재(70)는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원 형상의 이동 부재이기도 하며, 배치 부재(62)의 이동에 의해,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한다. 감속 기구(80)는, 구동체인 편심 부재(81)와, 회전 가능한 원 형상의 회전 기어(82)와, 복수의 톱니(고정 톱니)(83)로 이루어지는 고정 기어(84)와,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회전 전달 기구)(85)를 갖는다. 작동 부재(61), 배치 부재(62), 제어 부재(70), 편심 부재(81) 및 회전 기어(82)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감속 기구(80)는 편심 부재(81)와 회전 기어(82)에 의해, 권취 드럼(10)과 제어 부재(70)에 연결된다. 고정 기어(84)는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갖는 내기어이다. 고정 기어(84)의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리트랙터(1)의 지지체(1A)에 고정되어, 리트랙터(1) 및 전환 기구(60)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메커니즘 커버(6A)에 형성되고,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메커니즘 커버(6A)는, 로크 기구(9)의 수용 부재로, 전환 기구(60) 및 감속 기구(80)의 각 부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권취 드럼(10)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권취 드럼(10)의 가압 기구이며, 메커니즘 커버(6A)와 전환 기구(60)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메커니즘 커버(6A)에 장착된다. 전환 기구(60)는, 권취 스프링 유닛(7)과 메커니즘 커버(6A) 사이에 위치하여, 권취 스프링 유닛(7)에 덮인다. 이와 같이, 리트랙터(1)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전환 기구(60)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커버 부재는, 전환 기구(60)를 덮는 권취 스프링 유닛(7)의 커버부로 이루어진다. 커버부는, 권취 스프링 유닛(7)의 메커니즘 커버(6A)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스프링 시트(7C)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시트(7C)는, 전환 기구(60)를 덮는 시트 부재로, 제어 부재(70)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어 부재(70)는 커버 부재인 스프링 시트(7C)에 인접하고, 스프링 시트(7C)를 따라 배치된다. 스프링 시트(7C)는, 제어 부재(70)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제어 부재(70)의 드럼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복수의 고정 톱니(83)[고정 기어(84)]와 회전 기어(82)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다(도 13 참조). 또한,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의 면(외측면)(6H)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고정 톱니(83)가,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의 외측면(6H)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면(6H)으로부터 드럼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전 기어(82)와 편심 부재(81)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내측에 배치되어, 메커니즘 커버(6A)에 인접한다. 메커니즘 커버(6A)의 외측면(6H)은, 로크 기구(9)와 회전 기어(82) 사이에 위치하는 규제면으로, 회전 기어(82)의 드럼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킹 기어(30)의 기어 축부(32)는, 권취 드럼(10)의 축부이며,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지지부(6D)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어 축부(32)는, 드럼 지지부(6D)의 삽입 구멍(6E)을 관통하여, 삽입 구멍(6E)으로부터 드럼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편심 부재(81)는, 삽입 구멍(6E)으로부터 돌출되는 기어 축부(32)에 장착되는 장착 구멍(81A)을 갖고, 장착 구멍(81A) 내의 기어 축부(32)와 함께 회전한다. 기어 축부(32)를 장착 구멍(81A)에 삽입함으로써, 편심 부재(81)가 기어 축부(32)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어 축부(32)는, 편심 부재(81)의 장착 구멍(81A)을 관통하여, 장착 구멍(81A)으로부터 드럼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어 부재(70)는 장착 구멍(81A)으로부터 돌출되는 기어 축부(32)에 장착되는 중심 구멍(71)을 갖고, 중심 구멍(71) 내의 기어 축부(3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기어 축부(32)를 중심 구멍(71)에 삽입함으로써, 제어 부재(70)가, 기어 축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권취 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제어 부재(70)는, 회전 기어(82)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 기어(82)에 인접한다. 회전 기어(82)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서, 제어 부재(70)는 회전 기어(82)의 드럼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도 23은, 편심 부재(81), 회전 기어(82) 및 제어 부재(70)의 사시도로, 도 1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측면도로, 도 13의 화살표 W4 방향으로부터 본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서는, 제어 부재(70)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어 부재(70)에 가려지는 감속 기구(8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부재(81)의 외주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편심 부재(81)의 장착 구멍(81A)은, 편심 부재(81)의 원 형상의 외주의 중심[편심 부재(81)의 중심(U2)]에 대해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 구멍(81A)의 중심은, 편심 부재(81)의 중심(U2)에 일치하지 않고, 중심(U2)과 편심 부재(81)의 외주 사이에 위치한다. 기어 축부(32)가 장착 구멍(81A)에 장착되었을 때, 장착 구멍(81A)의 중심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위치한다. 또한, 편심 부재(81)의 중심(U2)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편심량)를 두고 위치한다. 편심 부재(81)는 원 형상의 편심 캠이며,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대해 중심(U2)이 편심된 상태에서, 권취 드럼(10)과 일체로 축선(U1)[장착 구멍(81A)의 중심] 주위로 회전한다.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의해, 편심 부재(81)의 중심(U2)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회전 기어(82)는, 복수의 외주 톱니(82A)를 갖는 외부 기어로, 원 형상의 중심 구멍(82B)과, 전달 기구(85)의 일부인 원 형상의 복수의 전달 구멍(86)을 갖는다. 복수의 외주 톱니(82A)는, 회전 기어(82)의 외주에 형성된 톱니(외치)로, 복수의 고정 톱니(83)보다도 적은 수의 톱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회전 기어(82)는 18개의 외주 톱니(82A)를 갖고, 고정 기어(84)는 19개의 고정 톱니(83)를 갖는다. 중심 구멍(82B)은, 회전 기어(82)의 중심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이며, 편심 부재(81)의 원 형상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편심 부재(81)가 회전 기어(82)의 중심 구멍(82B)에 끼움 삽입되어, 회전 기어(82)가 중심 구멍(82B) 내의 편심 부재(8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 기어(82)의 축선(회전 중심)(U3)은, 편심 부재(81)의 중심(U2)에 일치하고, 권취 드럼(10)의 축선(U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편심량)를 두고 위치한다. 편심 부재(81)는, 중심 구멍(82B) 내에서 회전하여, 회전 기어(82)를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시킨다.
복수의 고정 톱니(83), 회전 기어(82) 및 편심 부재(81)는,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서, 메커니즘 커버(6A)와 제어 부재(70)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 기어(84)의 내경은, 회전 기어(82)의 외경보다도 크고,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편심 부재(81)와 회전 기어(82)를 둘러싼다.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복수의 외주 톱니(82A)보다도 많은 수의 내치이며, 회전 기어(82)의 외주 톱니(82A)에 맞물린다. 또한,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위치함과 함께, 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그들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 기어(82)에 맞물리는 맞물림부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톱니(83)는, 원형부의 내주에 형성해도 되고, 혹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기여도 된다.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내측에서,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편심 부재(81)에 지지되어, 편심 부재(8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편심 부재(81)와 회전 기어(82)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에 대해 편심되고, 회전 기어(82)는 복수의 고정 톱니(83) 중 일부에 접촉한다. 회전 기어(82)에 접촉하는 고정 톱니(83)를 제외하고, 간극이 회전 기어(82)와 고정 톱니(83)의 사이에 형성된다.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편심 부재(81)에 의해,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한다.
편심 부재(81)가 1회전함으로써, 회전 기어(82)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내측에서,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1주 이동한다. 회전 기어(82)의 이동 중에, 회전 기어(82)가 복수의 고정 톱니(83) 중 일부에 차례로 접촉하여, 복수의 고정 톱니(83) 중 일부와 복수의 외주 톱니(82A) 중 일부가 차례로 맞물린다. 이 맞물림에 의해, 회전 기어(82)가 권취 드럼(10) 및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선(U3)[중심(U2)] 주위로 회전한다. 회전 기어(82)는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구름 이동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회전 기어(82)의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동일한 내경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기어(82)의 축선(U3)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 구멍(82B)과 외주 톱니(82A)의 사이에 있어서,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각도 간격)으로, 회전 기어(82)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원(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전달 구멍(86)이 중심 구멍(82B)을 둘러싸고,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고, 축선(U3)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있다.
또한, 리트랙터(1)에 관하여 전달 구멍(86)의 위치와 간격을 규정할 때에는, 전달 구멍(86)의 위치와 간격은, 전달 구멍(86)의 중심을 기준으로 규정된다. 그로 인해, 전달 구멍(86)의 위치는 전달 구멍(86)의 중심의 위치이고, 전달 구멍(86)의 간격은 전달 구멍(86)의 중심의 간격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달 구멍(86)이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중심이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이라고 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중심의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이다. 또한, 복수의 전달 구멍(86)을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형성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원주 방향의 간격에 180°보다 큰 간격이 없고, 모든 간격이 180°이하로 되도록, 복수의 전달 구멍(86)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를, 180°이하의 간격이라 한다. 따라서, 2개의 전달 구멍(86)을 갖는 회전 기어(82)에서는, 2개의 전달 구멍(86)은 180°보다 큰 간격으로 되지 않도록, 180°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어 부재(70)는, 중심 구멍(71)과, 환상의 외주부(72)와, 외주부(72)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외연 볼록부(73)와, 전달 기구(85)의 일부인 기둥 형상(여기서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외연 볼록부(73)는, 외주부(72)의 일부에 형성되고, 제어 부재(70)로부터 메커니즘 커버(6A)를 향해 돌출된다. 제어 부재(70)의 외연 볼록부(73)는, 회전 기어(82)의 드럼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메커니즘 커버(6A)를 향해 형성되어,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어 부재(70)의 축선(회전 중심)(U4)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일치하고 있고, 제어 부재(70)는 권취 드럼(10)과 동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은, 회전 기어(82)의 축선(U3)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고, 회전 기어(82)는 제어 부재(70)의 축선(U4)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어 부재(70)는 회전 기어(82)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선(U1, U4) 주위로 회전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동일한 외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원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제어 부재(70)의 축선(U4)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 구멍(71)과 외주부(72) 사이에 있어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각도 간격)으로, 제어 부재(70)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원(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동일한 수(4개)의 전달 돌기(87)가 중심 구멍(71)을 둘러싸고,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고, 축선(U4)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있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이 배치되는 원과 동일한 직경의 원 상에 배치된다.
또한, 리트랙터(1)에 관하여 전달 돌기(87)의 위치와 간격을 규정할 때에는, 전달 돌기(87)의 위치와 간격은, 전달 돌기(87)의 중심을 기준으로 규정된다. 그로 인해, 전달 돌기(87)의 위치는 전달 돌기(87)의 중심 위치이고, 전달 돌기(87)의 간격은 전달 돌기(87)의 중심 간격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달 돌기(87)가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중심이 동일원 상에 위치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이라고 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중심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이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형성할 때에는,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원주 방향 간격에 180°보다 큰 간격이 없고, 모든 간격이 180°이하로 되도록,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를, 180°이하의 간격이라고 한다. 따라서, 2개의 전달 돌기(87)를 갖는 제어 부재(70)에서는, 2개의 전달 돌기(87)는 180°보다 큰 간격으로 되지 않도록, 180°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전달 기구(85)는,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항상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회전 기어(82)의 축선(U3)과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를 조합하였을 때,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위치와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위치는 서로 일치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대응하는 전달 구멍(86)에 삽입되어 전달 구멍(86)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전달 기구(85)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달 구멍(86)이 복수의 전달 돌기(87)로 이루어지는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이들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에 의해, 전달 기구(85)는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연속해서 전달하여, 제어 부재(70)를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전달 구멍(86)의 내경보다도 작은 소정의 외경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전달 구멍(8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대응하는 전달 구멍(86) 내에 배치되어,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제어 부재(70)의 축선(U4)에 일치시켰을 때,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 각각에서, 전달 돌기(87)의 중심이 전달 구멍(86)의 중심에 일치한다. 그 상태로부터, 회전 기어(82)가 권취 드럼(10) 및 제어 부재(70)에 대해 편심됨으로써,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전달 구멍(86)의 내주(내주면)에 접촉한다. 전달 기구(85)는 전달 구멍(86)의 내주와 전달 돌기(87)의 외주를 접촉시켜,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도 25는 1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는, 제어 부재(70)의 전달 돌기(87)는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따라 이동하고,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이 제어 부재(70)에 전달되어, 제어 부재(70)가 회전한다.
도 26은, 회전 기어(82)와 전달 기구(85)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기어(82)가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할 때, 회전 기어(82)의 축선 궤적(Z1)은, 소정의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룬다(도 26a 참조). 축선 궤적(Z1)은, 편심 부재(81)에 의해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의 궤적이다. 회전 기어(82)의 축선 궤적(Z1)은,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을 이루고,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81)의 중심(U2)의 궤적에 일치한다. 축선 궤적(Z1)의 반경은, 축선(U1)으로부터 축선(U3)[중심(U2)]까지의 거리이며, 권취 드럼(10)에 대한 회전 기어(82)[편심 부재(81)]의 편심량(Z2)이다.
전달 구멍(86)의 반경(Z3)은, 회전 기어(82)의 편심량(Z2)과 전달 돌기(87)의 반경(Z4)의 합(Z2+Z4)으로 설정된다(도 26b 참조). 전달 구멍(86)이 반경(Z3)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회전 기어(82)의 축선 궤적(Z1)은, 전달 구멍(86) 내에 있어서의 전달 돌기(87)의 중심 궤적(Z5)과 일치하는 형상의 궤적을 이룬다. 중심 궤적(Z5)은,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접촉하여 1주 이동할 때의, 전달 구멍(86) 내에 있어서의 전달 돌기(87)의 중심(U5)의 궤적이다. 전달 돌기(87)의 중심(U5)은,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전달 돌기(87)의 중심이다. 중심 궤적(Z5)의 중심은, 전달 구멍(86)의 중심(U6)에 위치한다. 또한, 전달 돌기(87)의 중심 궤적(Z5)은, 회전 기어(82)의 원 형상의 축선 궤적(Z1)과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하였을 때, 전달 돌기(87)는 회전 기어(82)의 이동과 회전에 맞추어,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도 27은 감속 기구(8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감속 기구(80)와 제어 부재(70)의 일부를 도 24에 대응시켜 도시하고 있다. 단, 도 27a에는, 회전 기어(82)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b는, 권취 드럼(10)이 웨빙(2)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할 때의, 감속 기구(80)의 동작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차례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7b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수반하여 권취 방향(M)으로 45°씩 회전하는 편심 부재(81)를 나타냄과 함께,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되는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부재(81)는 권취 드럼(10)의 축선(U1)에 대해 중심(U2)이 편심된 상태에서,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한다. 편심 부재(81)에 의해, 회전 기어(82)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내측에서, 일부의 고정 톱니(83)에 차례로 접촉하면서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한다. 회전 기어(82)가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배치 방향(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복수의 외주 톱니(82A)는, 고정 톱니(83)와 차례로 맞물려, 회전 기어(82)를 점차 회전시킨다. 회전 기어(82)가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1주 이동하는 동안에, 외주 톱니(82A)의 수와 고정 톱니(83)의 수의 차분만큼,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 및 편심 부재(81)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 기어(82)는 권취 드럼(10)의 회전 속도보다도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여기서는,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는 편심 부재(81)에 의해, 회전 기어(82)가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1주 이동하여, 회전 기어(82)가 1개의 외주 톱니(82A)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톱니(82A)는 18개 있으므로, 1개의 외주 톱니(82A)에 대응하는 각도는, 360°의 18분의 1의 각도(20°)이다. 회전 기어(82)는 편심 부재(81)가 45°회전할 때마다 2.5°회전하고, 편심 부재(81)가 360°회전하였을 때 20°회전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내측에서, 회전 기어(82)는 편심 부재(81)와 복수의 고정 톱니(83)에 의해,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그때, 회전 기어(82)는 편심 부재(81)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 고정 톱니(83)에 차례로 맞물려,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 중에, 전달 돌기(87)는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압박된다. 즉, 1개의 전달 구멍(86)의 내주는,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절반의 부분(180°의 범위)(전달부라 함)에서, 전달 돌기(87)를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하기 위해서는, 2세트 이상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180°이하의 간격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180°이하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달 돌기(87)의 중심 궤적(Z5)은, 회전 기어(82)의 원 형상의 축선 궤적(Z1)과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 전달 기구(85)에서는,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또한,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 중 적어도 1세트에 있어서, 전달 돌기(87)의 외주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의 전달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회전 기어(82)의 이동과 회전에 수반하여, 각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는 있지만, 모든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로부터 동시에 이격되는 일은 없다. 복수의 전달 돌기(87)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의 후방측(전달부)에서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접촉하고,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의해 압박된다. 적어도 1개의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한다. 이에 의해, 제어 부재(70)가 회전한다.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는 회전 기어(82)가 1주 이동할 때마다, 소정 각도 회전한다.
적어도 1개의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어 부재(70)가 회전 기어(82)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하고,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회전 기어(82)의 회전에 정확하게 동기한다. 또한, 권취 드럼(10)과 제어 부재(70)의 회전량의 비율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이 변화되었을 때라도, 전달 기구(85)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이 제어 부재(70)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 부재(70)가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한다. 감속 기구(80)는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의 회전을 감속하여, 편심 부재(81)로부터 제어 부재(70)에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제어 부재(7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 속도보다도 느린 회전 속도로, 또한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는, 웨빙(2)의 전체가 인출되는 동안에, 제어 부재(70)가 360°이하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제어 부재(70)(도 13, 도 14 참조)는,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하는 감속 부재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한다. 감속 기구(80)에 의해, 제어 부재(7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웨빙(2)의 권취 드럼(10)으로부터의 인출 및 웨빙(2)의 권취 드럼(10)에의 권취]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어 부재(70)가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된 웨빙(2)의 인출 길이 및 권취 드럼(10)에 권취된 웨빙(2)의 권취 길이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한다.
전환 기구(60)는, 회전하는 제어 부재(70)에 의해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와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한다. 그때, 전환 기구(60)는 제어 부재(70)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작동을 제어하여, 로크 기구(9)를 작동 상태와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한다.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는, 웨빙(2)의 인출 길이와 권취 길이에 대응하여 제어되어 전환된다. 또한, 제어 부재(70)는 회전에 의해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캠 부재이며,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의 위치를 제어한다. 전환 기구(60)는 제어 부재(70)에 의해 배치 부재(62)와 작동 부재(61)의 위치를 제어하여,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한다.
배치 부재(62)는, 제어 부재(70)에 종동하는 캠 종동절이고, 또한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레버이다.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연동하는 연동 부재이고, 또한 로크 기구(9)의 작동과 비작동을 전환하는 작동 스위치(전환 스위치)이다. 로크 기구(9)는 작동 부재(61)에 의해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메커니즘 커버(6A)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외측에, 원기둥 형상의 제1, 제2 회전축(회전용 축)(6I, 6J)과, 개구(6F)의 근방에 위치하는 관통구(6K)를 갖는다. 제1 회전축(6I)은 작동 부재용 회전축이며, 작동 부재(61)는 제1 회전축(6I)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회전축(6J)은, 배치 부재용 회전축이며, 배치 부재(62)는 제2 회전축(6J)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부재(61)는, 메커니즘 커버(6A)를 향해 돌출되는 압박부(61A)를 갖고, 가속도 센서(3B)와 마찬가지로, 압박부(61A)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압박하여, 로크 기구(9)를 작동한다. 압박부(61A)는, 관통구(6K)에 삽입되어, 관통구(6K)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3B)의 로크 갈고리(3G)(도 21 참조)와 마찬가지로, 압박부(61A)는, 맞물림 폴(13)의 근방에 위치하고, 작동 부재(61)의 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맞물림 폴(13)을 상방으로 압박한다. 작동 부재(61)에 의해, 맞물림 폴(13)은, 비맞물림 위치(C1)로부터 맞물림 위치(C2)로 이동하여,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린다. 맞물림 폴(13)이 맞물림 위치(C2)로 이동함으로써, 맞물림 폴(13)과 래칫 휠(34)에 의해,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에 연결된다. 계속해서, 로크 기구(9)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도 22 참조).
도 28은 작동 부재(61), 배치 부재(62) 및 가압 수단(63)의 사시도로, 도 13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사시도로, 3개의 방향으로부터 본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9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 내에 있어서의 작동 부재(61), 배치 부재(62), 가압 수단(63) 및 맞물림 폴(13)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기구(60)의 각 부를 메커니즘 커버(6A)에 장착할 때,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서로 다른 회전축(6I, 6J)에 장착되어,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다. 가압 수단(63)은,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 부재(스프링, 고무, 탄성 부재 등)(여기서는, 스틸제의 선재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로 이루어지고,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에 장착된다. 이 가압 수단(63)은 작동 부재용 가압 수단, 또한 배치 부재용 가압 수단이며,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를 각각 소정 방향으로 가압한다.
작동 부재(61)는, 제1 회전축(6I)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장착부(61B)와, 장착부(61B)로부터 돌출되는 아암부(61C)와, 가압 수단(63)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61D)를 갖는다. 작동 부재(61)는 장착부(61B)[제1 회전축(6I)]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작동 부재(61)의 압박부(61A)는, 아암부(61C)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61D)는, 아암부(61C)의 반대측에서 장착부(61B)에 형성되어 있다.
배치 부재(62)는, 제2 회전축(6J)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장착부(62A)와, 장착부(62A)로부터 돌출되는 아암부(62B)와, 제어 부재(70)에 접촉하는 접촉부(62C)와, 가압 수단(63)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62D)와, 작동 부재(61)에 작용하는 작용 돌기(62E)와, 제어 부재(70)의 통과부(62G)를 갖는다. 배치 부재(62)는 장착부(62A)[제2 회전축(6J)]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촉부(62C)와 가압부(62D)는, 아암부(62B)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작용 돌기(62E)는, 아암부(62B)보다도 짧고, 장착부(62A)로부터 아암부(62B)의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작동 부재(61)의 아암부(61C)는, 배치 부재(62)의 장착부(62A)와 작용 돌기(62E)를 따라 배치된다. 작용부(62F)가, 작용 돌기(62E)의 선단에 형성되고, 작동 부재(61)의 아암부(61C)에 접촉한다. 배치 부재(62)의 아암부(62B)는, 작동 부재(61)의 가압부(61D)측에 배치된다. 작용부(62F)가 아암부(61C)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압부(61D, 62D)는,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통과부(62G)는, 접촉부(62C)가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가압 수단(63)의 환상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작동 부재(61)의 가압부(61D)와 배치 부재(62)의 가압부(62D)에 장착된다. 가압 수단(63)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가압부(61D, 62D)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힘(가압력)으로 가압된다. 이 가압력에 의해, 토크(회전의 모멘트)가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에 작용한다. 배치 부재(62)의 회전 중심과 가압부(62D)의 거리는, 작동 부재(61)의 회전 중심과 가압부(61D)의 거리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에 토크가 작용하였을 때, 배치 부재(62)에 작용하는 토크는, 작동 부재(61)에 작용하는 토크보다도 커진다. 또한, 배치 부재(62)의 회전 중심과 작용부(62F)의 거리는, 작동 부재(61)의 회전 중심과 아암부(61C)의 작용부(62F)와 접촉하는 위치와의 거리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작용부(62F)로부터 아암부(61C)에 가해지는 힘이, 아암부(61C)로부터 작용부(62F)에 가해지는 힘보다도 커진다. 아암부(61C)는, 작용부(62F)에 압박되어 이동한다.
배치 부재(62)는 아암부(61C)를 압박하면서 회전(이동)한다. 동시에, 작동 부재(61)가 회전하여, 아암부(61C)가 메커니즘 커버(6A)의 스토퍼(6L)(도 24 참조)에 접촉한다. 스토퍼(6L)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작동 부재(61)에 의해 로크 기구(9)가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 작동 부재(61)는 압박부(61A)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압박하지 않고, 맞물림 폴(13)을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한다.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를 작동하지 않고, 로크 기구(9)는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로부터, 접촉부(62C)는, 제어 부재(70)에 접촉하고, 제어 부재(70)에 의해,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한다. 접촉부(62C)의 이동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가 회전(이동)하여, 작용부(62F)가 이동한다. 동시에,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아암부(61C)가 작용부(62F)에 접촉한 상태에서, 작동 부재(61)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배치 부재(62)와 작동 부재(61)는 연동하여 회전한다.
작동 부재(61)가 스토퍼(6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작동 부재(61)는 압박부(61A)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래칫 휠(34)을 향해 압박하여, 맞물림 폴(13)을 맞물림 위치(C2)에 배치한다. 또한, 제어 부재(70)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작동 부재(61)에 의해 로크 기구(9)를 작동시키는 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작동 부재(61)는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 기구(9)를 작동시키는 위치에 유지된다.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를 작동하여, 로크 기구(9)는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래칫 휠(34)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폴(13)은, 래칫 휠(34)의 톱니(33)를 따라 변위되면서, 래칫 휠(34)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된다. 이에 수반하여, 압박부(61A)가 맞물림 폴(13)에 의해 압박되어, 아암부(61C)가 작용부(62F)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작동 부재(61)가 회전하여, 가압 수단(63)이 작동 부재(61)에 의해 더욱 압축된다.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압박부(61A)는, 맞물림 폴(13)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고, 맞물림 폴(13)의 변위에 맞추어 변위된다. 따라서, 리트랙터(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작동 부재(61)의 변위 기구(64)를 구비한다.
도 30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측면도로, 도 13의 화살표 W4 방향으로부터 본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도 30의 Y1부의 단면도이다. 도 31a는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된 맞물림 폴(13)을 도시하고, 도 31b는 맞물림 위치(C2)에 배치된 맞물림 폴(13)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각각 회전축(6I, 6J)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리트랙터(1)는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를 회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65)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수단(65)은 2개의 회전축(6I, 6J)을 갖는다. 회전 수단(65)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작동 부재(61)와 함께 회전에 의해 이동(도 30의 화살표 H1)한다. 배치 부재(62)의 이동(회전)에 연동하여, 작동 부재(61)는 회전에 의해 이동(도 30, 도 31의 화살표 H2)한다. 이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로크 기구(9)를 작동하지 않는 비작동 위치(E1)와, 로크 기구(9)를 작동하는 작동 위치(E2)로 이동(회전)한다.
작동 부재(61)의 비작동 위치(E1)는, 맞물림 폴(13)이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되는 위치이다(도 31a 참조). 작동 부재(61)는 비작동 위치(E1)로의 이동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한다. 맞물림 폴(13)은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리지 않고, 로크 기구(9)는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작동 부재(61)의 작동 위치(E2)는, 맞물림 폴(13)이 맞물림 위치(C2)에 배치되는 위치이다(도 31b 참조). 작동 부재(61)는 작동 위치(E2)로의 이동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맞물림 위치(C2)에 배치한다. 맞물림 폴(13)은, 압박부(61A)에 의해 압박되어,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린다. 로크 기구(9)는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비작동 위치(E1)로부터 작동 위치(E2)로 이동하여, 맞물림 폴(13)에 의해 로크 기구(9)를 작동한다. 로크 기구(9)는 톱니(33)와 맞물림 폴(13)의 맞물림에 수반하여 작동한다.
가압 수단(63)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작동 위치(E2)를 향해 항상 가압되고, 압박부(61A)에 의해 맞물림 폴(13)을 압박한다. 맞물림 폴(13)은, 래칫 휠(34)에 접촉하였을 때, 압박부(61A)에 의해 래칫 휠(34)에 압박된다. 이에 대해, 배치 부재(62)는 가압 수단(63)에 의해,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E1)로 이동시키는 방향[압박부(61A)를 맞물림 폴(13)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도 30에서는, 가압 수단(63)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배치 부재(6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상기한 토크의 차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압박되어, 스토퍼(6L)에 접촉한다(도 30 참조). 그 상태에서,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고정 톱니(83) 근방에 위치하고, 배치 부재(62)는 제1 위치(F1)에 배치된다. 배치 부재(62)의 제1 위치(F1)는,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E1)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비작동 위치(E1)에 배치된다. 그 상태로부터, 배치 부재(62)는 제1 위치(F1)의 외측의 제2 위치(F2)를 향해 이동하여, 제2 위치(F2)에 배치된다. 제2 위치(F2)는,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배치 부재(62)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를 향해 이동하여, 압박부(61A)는 맞물림 폴(13)에 접근한다.
배치 부재(62)는 회전 수단(65)에 의해 회전하여, 제1 위치(F1)와 제2 위치(F2)에 배치된다. 동시에, 배치 부재(62)는 작동 부재(61)와 함께 이동하여,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E1)와 작동 위치(E2)에 배치한다. 가압 수단(63)은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F1)를 향해 가압하고 있다. 배치 부재(62)가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위치(F2)로부터 제1 위치(F1)로 이동하여,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로부터 비작동 위치(E1)로 이동한다.
제어 부재(70)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F1)로부터 제2 위치(F2)로 이동할 때, 작동 부재(61)는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의해, 비작동 위치(E1)로부터 작동 위치(E2)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맞물림 폴(13)이 래칫 휠(34)에 압박된다(도 31b 참조). 맞물림 폴(13)은,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34)의 톱니(33)에만 맞물린다. 그 상태에서, 래칫 휠(34)이 권취 드럼(10)과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폴(13)이, 상기한 바와 같이 톱니(33)에 의해 압박된다. 맞물림 폴(13)은, 톱니(33)를 따라 변위되어, 복수의 톱니(33)를 차례로 넘는다. 맞물림 폴(13)의 변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가 정지한 상태에서, 작동 부재(61)가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변위 기구(64)에 의해 변위된다.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F2)에 유지된 상태에서, 변위 기구(64)에 의해, 맞물림 폴(13)은, 권취 드럼(10)과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34)의 톱니(33)를 따라 변위된다. 이에 의해, 래칫 휠(34)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중에, 맞물림 폴(13)이 복수의 톱니(33)에 맞물림 가능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래칫 휠(34)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폴(13)이 다시 톱니(33)에 맞물린다.
배치 부재(62)(도 30, 도 31 참조)는, 작동 부재(61)와 함께 이동하여,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E1)와 작동 위치(E2)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맞물림 폴(13)의 위치를 제어함과 함께,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한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E1)로 이동하면, 맞물림 폴(13)이 비맞물림 위치(C1)로 이동하여, 클러치(50)와 로킹 기어(30)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 리트랙터(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로 이동하면, 맞물림 폴(13)이 맞물림 위치(C2)로 이동하여,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상태가 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리트랙터(1)의 상태가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 부재(70)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제1 위치(F1)와 제2 위치(F2)에 배치되어,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E1)와 작동 위치(E2)에 배치한다. 제어 부재(7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F1)와 제2 위치(F2)로 이동시킨다. 제어 부재(70)는 외주부(72)와, 외연 볼록부(73)와,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F1)에 유지하는 제1 유지부(74)와, 변경부(75)와,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이동부(76)와, 배치 부재(62)를 제2 위치(F2)에 유지하는 제2 유지부(77)와, 해방부(78)를 갖는다.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제어 부재(70)의 각 부(73, 75, 76, 77)에 접촉한다.
외주부(72)는,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72A)를 갖고, 복수의 고정 톱니(83)를 덮는다. 확장부(72A)는, 외주부(72)의 일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연 볼록부(73)는, 확장부(72A)의 테두리에 형성된 원호 형상 볼록부이며, 복수의 고정 톱니(83)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유지부(74)는 복수의 고정 톱니(83)와 외연 볼록부(73)[제2 유지부(77)]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통로(74A)를 갖는다. 제1 유지부(74)의 통로(74A)는, 확장부(72A)와 메커니즘 커버(6A)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통로(74A)의 일단부는, 이동부(76)에 의해 폐색되고, 통로(74A)의 타단부는,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통로(74A)의 타단부로부터 제1 유지부(74)의 통로(74A) 내로 들어가, 통로(74A) 내에서 외연 볼록부(73)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때, 외연 볼록부(73)는 배치 부재(62)의 통과부(62G)를 통과하고, 배치 부재(62)[접촉부(62C)]는 고정 톱니(83) 근방의 제1 위치(F1)에 배치된다. 접촉부(62C)가 통로(74A) 밖에 위치할 때, 배치 부재(62)는 고정 톱니(83) 근방의 제1 위치(F1)에 배치되고, 제어 부재(70)의 외주부(72)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어 부재(70)의 제1 유지부(74)는, 통로(74A)와, 통로(74A) 밖에 위치하는 제어 부재(70)의 주변부(74B)로 이루어진다. 주변부(74B)는, 제어 부재(70)의 외주부(72)를 따르는 원호 형상의 주변 공간이며, 통로(74A)로 연결된다.
외연 볼록부(73)는, 제어 부재(7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73A)와, 원호부(73A)의 단부에 연결되는 선단부(73B)를 갖고, 원호부(73A)와 선단부(73B) 사이의 개소에서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다. 제2 유지부(77)는 외연 볼록부(73)의 원호부(73A)로 이루어지고, 이동부(76)는 외연 볼록부(73)의 선단부(73B)로 이루어진다. 변경부(75)는, 선단부(73B)[이동부(76)]와, 선단부(73B)에 연결되는 원호부(73A)[제2 유지부(77)]의 단부로 이루어지고, 제1 유지부(74)의 종단부에 위치한다. 변경부(75)와 확장부(72A) 사이에 형성된 슬릿(70A)에 의해, 변경부(75)는 확장부(72A)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변경부(75)가 배치 부재(62)의 통과부(62G)를 통과할 때, 변경부(75)는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에 압박되어,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도 30의 화살표 H3 참조)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32∼도 34는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되는 전환 기구(6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리트랙터(1)를 도 30과 마찬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도 32c는, 도 32b의 Y2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웨빙(2)의 인출 또는 권취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 또는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 감속 기구(80)에 의해, 제어 부재(70)가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제어 부재(70)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어 부재(70)의 각 부(72∼77)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완전히 권취하였을 때에는,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제1 유지부(74)[주변부(74B)]에 배치된다(도 32a 참조). 제1 유지부(74)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F1)에 유지되어,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E1)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웨빙(2)의 인출에 의해 제어 부재(70)가 회전하면, 배치 부재(62)[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통로(74A), 주변부(74B)]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웨빙(2)의 인출과 권취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제1 유지부(74)에 있어서, 제어 부재(70)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될 때까지, 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에 배치되어, 배치 부재(62)가 제1 유지부(74)에 의해 제1 위치(F1)에 유지된다. 그 결과, 로크 기구(9)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 유지되고, 리트랙터(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될 때(도 32b 참조), 배치 부재(62)가 변경부(75)를 따라 상대적으로 변위되고, 변경부(75)에 의해, 배치 부재(62)의 위치가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 변경된다.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는,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에 의해 이동 가능해지는 위치이다. 배치 부재(62)는 이동 위치까지 이동한 후, 이동부(76)에 의해 이동한다. 여기서는, 웨빙(2)의 인출에 의한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의 통로(74A) 내에서, 변경부(75)에 접근한다(도 32c 참조). 계속해서, 접촉부(62C)가, 통과부(62G) 내의 변경부(75)에 접촉하여, 변경부(75)를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변경부(75)가 탄성 변형되어, 통과부(62G)를 통과한다(도 33a 참조).
변경부(75)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배치 부재(62)의 위치를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 변경한다. 또한, 변경부(75)가 통과부(62G)를 완전히 통과하였을 때, 변경부(75)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동시에, 이동부(76)가 제1 유지부(74)의 종단부[통로(74A)]를 폐색하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접촉부(62C)가 이동부(76)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어 부재(70) 전체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어 부재(70)의 일부인 변경부(75)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에 대해, 변경부(75)만을, 제어 부재(70)의 다른 부분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변경부(75)를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스테인리스강의 판)에 의해 형성하여, 제어 부재(70)에 고정한다.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된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할 때, 제어 부재(70)의 이동부(76)가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F1)로부터 제2 위치(F2)로 이동시킨다(도 33b 참조). 이동부(76)는 제2 유지부(77)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여기서는, 경사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고정 톱니(83) 근방의 위치로부터 원호부(73A)[제2 유지부(77)]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76)는 제어 부재(7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부터 제2 유지부(77)를 향해 경사져, 제2 유지부(77)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웨빙(2)의 권취에 의한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이동부(76)에 접촉하고, 이동부(76)를 따라 점차 이동하여, 이동부(76)에 의해 제1 위치(F1)로부터 제2 위치(F2)로 유도된다. 따라서, 이동부(76)는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F1)로부터 제2 위치(F2)로 유도하는 유도부이기도 하다.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에 의해 이동할 때에는,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가,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이동부(76)에 압박된 상태에서, 이동부(76)에 의해 유도되어, 제2 유지부(77)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위치(F1)로부터 제2 위치(F2)로 이동한다(도 34a 참조). 동시에,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E1)로부터 작동 위치(E2)로 이동하여, 로크 기구(9)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긴급 로크 상태에서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됨으로써,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의 상태를 전환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 변경부(75)에 의해, 배치 부재(62)의 위치가,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 변경된다. 따라서, 웨빙(2)이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배치 부재(62)는 제1 유지부(74)에 의해 제1 위치(F1)에 유지된다. 또한,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할 때,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에 의해 이동한다. 전환 기구(60)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됨으로써, 리트랙터(1)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한다.
이동부(76)와 제2 유지부(77)가 연결되는 개소에서는, 외연 볼록부(73)가 완만하게 굴곡되어 만곡 형상을 이룬다. 그로 인해,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이동부(76)로부터 제2 유지부(77)까지 원활하게 이동한다. 접촉부(62C)는, 제2 유지부(77)에 접촉하고,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제2 유지부(77)에 압박된다. 접촉부(62C)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제2 유지부(77)는, 제1 유지부(74)의 반경 방향 외측에 권취 드럼(10)의 축선(U1)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73A)로 이루어지고, 제1 유지부(74)의 일부[통로(74A)]를 둘러싼다.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된 웨빙(2)의 권취 드럼(10)에의 권취 중에, 배치 부재(62)는 제2 유지부(77)에 접촉하여, 제2 유지부(77)에 의해 제2 위치(F2)에 유지된다. 여기서는, 완전히 인출된 웨빙(2)의 권취 중에,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F2)에 유지된다. 제2 유지부(77)는 제어 부재(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F2)에 유지됨으로써,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에 유지된다. 작동 위치(E2)의 작동 부재(61)에 의해(도 31b 참조), 맞물림 폴(13)은, 맞물림 위치(C2)에 배치되어,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린다. 그 상태에서, 웨빙(2)이 인출되면, 클러치(50)가 로킹 기어(30) 및 권취 드럼(10)과 함께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여, 맞물림 폴(13)이 작동 부재(61)로부터 이격된다(도 22 참조). 또한, 로크 기구(9)가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
웨빙(2)의 권취시에는, 맞물림 폴(13)이, 일단 래칫 휠(34)의 톱니(33)로부터 빠진다. 계속해서, 맞물림 폴(13)은, 작동 부재(61)의 압박부(61A)에 접촉하여, 압박부(61A)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작동 위치(E2)의 작동 부재(61)에 의해 다시 맞물림 위치(C2)에 배치된다(도 31b 참조). 그 결과, 로크 기구(9)의 상태가 작동 상태로 유지되어, 리트랙터(1)의 상태가 자동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이 멈추어진다.
웨빙(2)의 권취에 의한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도 34b 참조), 배치 부재(62)[접촉부(62C)]는 제2 유지부(77)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 및 제어 부재(70)의 해방부(78)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제2 유지부(77)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될 때까지 제2 위치(F2)에 유지된다. 또한,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되었을 때, 배치 부재(62)는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로부터 빠져, 해방부(78)에 의해 제1 유지부(74)를 향해 해방된다. 배치 부재(62)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완전히 권취되기 전에, 종단부(79)로부터 빠진다.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종단부(79)에 도달한 후, 제2 유지부(77)로부터 빠진다. 이에 의해, 접촉부(62C)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로부터 해방된다. 제어 부재(70)의 해방부(78)는, 종단부(79)에 이어지는 부분이며,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까지 형성된 해방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해방부(78)에 있어서, 배치 부재(62)는 제어 부재(70)에 접촉하는 일 없이,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까지 이동한다.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되어,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로부터 빠졌을 때, 해방부(78)는 배치 부재(62)를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를 향해 해방한다(도 30 참조). 이 해방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제2 유지부(77)[제2 위치(F2)]로부터 제1 유지부(74)[제1 위치(F1)]로 즉시 이동한다. 동시에,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E2)로부터 비작동 위치(E1)로 즉시 이동하여, 로크 기구(9)의 상태가 작동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즉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자동 로크 상태에서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됨으로써, 전환 기구(60)는 로크 기구(9)의 상태를 전환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자동 로크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즉시 전환한다. 그 후, 웨빙(2)은 권취 드럼(10)에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도 24, 도 27 참조)에서는, 복수의 전달 돌기(87)가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여,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한다. 그로 인해,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81)를 사용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70)를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제어 부재(70)가 규칙적으로 회전하므로, 제어 부재(70)에 의한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의 제어가 안정됨과 함께, 로크 기구(9)의 상태와 리트랙터(1)의 상태가 설정대로 전환된다.
전환 기구(60)에 의해, 로크 기구(9)의 작동을 제어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리트랙터(1)의 상태를, 웨빙(2)의 권취만이 가능한 상태(자동 로크 상태)와 웨빙(2)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한 상태(긴급 로크 상태)로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중심 궤적(Z5)이, 각각 회전 기어(82)의 축선 궤적(Z1)과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룰 때에는(도 26b 참조), 복수의 전달 돌기(87)가 각각 회전 기어(82)의 이동과 회전에 맞추어, 각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달 구멍(86)(도 23 참조)은 동일한 내경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동일한 외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로 이루어지는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할 때에는, 동일한 최대 하중이,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에 가해진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에 균등하게 접촉한다. 그로 인해,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환 기구(60)가 보다 확실하게 동작한다. 또한, 각 전달 돌기(87)에 요구되는 강도가 낮아지므로, 전달 돌기(87)의 외경과 전달 구멍(86)의 내경을 작게 할 수 있고,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의 직경도 작게 할 수 있다. 회전 기어(82)를 얇게 한 경우라도,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의 치수에 따라서, 전환 기구(60)와 리트랙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권취 스프링 유닛(7)(도 3 참조)은, 프리텐셔너 유닛(5)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프리텐셔너 유닛(5)을 통해 권취 드럼(10)에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7) 대신에, 커버 부재가, 메커니즘 커버(6A)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메커니즘 커버(6A)에 장착된다. 커버 부재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전환 기구(60)를 덮고, 제어 부재(70)의 드럼 축방향 외측에서, 제어 부재(70)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될 때까지(도 30 참조), 제어 부재(70)의 제1 유지부(74)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F1)에 유지된다. 이 웨빙(2)의 소정의 인출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소정의 인출 길이는, 웨빙(2)의 전체 길이여도 되고, 전체 길이보다도 짧은 길이여도 된다.
전달 구멍(86)은, 회전 기어(82)를 관통하는 구멍이어도 되고, 회전 기어(82)를 관통하지 않는 구멍[회전 기어(82)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함]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도 26b 참조),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중심 궤적(Z5)은, 각각 회전 기어(82)의 축선 궤적(Z1)과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룬다. 이 중심 궤적(Z5)의 조건이 충족되는 한, 모든 전달 돌기(87)의 외경이 동일한 외경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전달 구멍(86)은 전달 돌기(87)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으로 형성하면 된다.
부품에 설정되는 공차의 범위, 또는 부품의 조립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실제의 반경이, 반경(Z4)보다도 약간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백래시가 전달 돌기(87)와 전달 구멍(86)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백래시가 있는 상태라도, 전달 기구(85)에 3세트 이상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설치함으로써, 3세트 이상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가 서로의 백래시를 보완하여, 적어도 1개의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에 의해 압박된다. 그 결과,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도 24 참조), 복수의 전달 구멍(86)의 위치와 복수의 전달 돌기(87)의 위치는, 회전 기어(82)의 축선(U3)과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고,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 배치되어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이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의 조건을 충족시켜 전달 기구(85)가 작동하는 한, 모든 전달 구멍(86)을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즉, 모든 전달 구멍(86)을, 서로 다른 원 상에 위치시켜도 되고, 일부의 전달 구멍(86)을, 다른 전달 구멍(86)과는 서로 다른 원 상에 위치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전달 돌기(87)를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위치시킬 필요도 없다. 즉, 모든 전달 돌기(87)를, 서로 다른 원 상에 위치시켜도 되고, 일부의 전달 돌기(87)를, 다른 전달 돌기(87)와는 서로 다른 원 상에 위치시켜도 된다.
여기서는(도 27 참조), 4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 전달 기구(85)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달 기구(85)는 2세트 이상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는 180°이하의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35∼도 39는 전달 기구(85)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7과 마찬가지로, 감속 기구(80)와 제어 부재(7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A)는, 등각도 간격(180°간격)으로 배치된 2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도 36∼도 38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B, 85C, 85D)는, 각각 3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또한, 도 36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B)에서는, 3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는 등각도 간격(12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C)에서는, 3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는 일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D)에서는, 3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는 모든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도 35∼도 3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복수 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가 180°이하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달 기구(85A∼85D)는, 상기한 전달 기구(85)와 마찬가지로,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한다.
도 39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E)는, 도 37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C)와 마찬가지로, 일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치된 복수 세트(여기서는, 3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제어 부재(70)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1개의 전달 구멍(86)은, 다른 전달 구멍(86)보다도 회전 기어(82)의 축선(U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1개의 전달 돌기(87)는, 다른 전달 돌기(87)보다도 제어 부재(70)의 축선(U4)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도 37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C)와 달리, 도 39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E)에서는, 1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가, 다른 2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보다도 편심 부재(8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라도,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전달 돌기(87)에 의해, 도 37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C)와 마찬가지로,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할 수 있다.
도 40∼도 43은, 전달 기구(85)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7과 마찬가지로, 감속 기구(80)와 제어 부재(7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도 42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F∼85H)에서는, 회전 기어(82)의 회전 중에, 회전 기어(82)의 회전이 제어 부재(70)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아, 각 도면의 ×표와 △표를 부여한 화살표의 개소에서, 전달 이상이 발생한다. 또한, 도 43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85I)에서는,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방해된다. 그로 인해, 전달 기구(85F∼85I)에서는, 제어 부재(70)를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85F)는, 1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45°로부터 180°까지 회전하는 동안은,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전달부)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에 의해 압박되지 않아,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정지한다. 계속해서,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180°로부터 225°까지 회전하는 동안에, 제어 부재(70)는 정지 중인 분도 포함하여, 인출 방향(P)으로 10°회전한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85G)는, 180°보다 큰 간격으로 배치된 2세트의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45°로부터 90°까지 회전하는 동안은,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내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의 전달부에 의해 압박되지 않아,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정지한다. 계속해서,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90°로부터 135°까지 회전하는 동안에, 제어 부재(70)는 정지 중인 분도 포함하여, 인출 방향(P)으로 5°회전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85H)는, 등각도 간격(180°간격)으로 배치된 2세트의 전달 구멍(86A)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전달 구멍(86A)은, 코너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반원부와 2개의 직선부를 갖는다. 전달 구멍(86A)의 반원부의 내경은, 도 27에 도시하는 전달 구멍(86)의 내경과 동일한 치수이다.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135°로부터 180°까지 회전하는 동안, 및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315°로부터 360°까지 회전하는 동안은,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A)의 내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전달 돌기(87)가 전달 구멍(86A)의 전달부에 의해 압박되지 않아,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180°로부터 225°까지 회전하는 동안, 및 편심 부재(81)가 권취 방향(M)으로 360°로부터 405°까지 회전하는 동안에, 제어 부재(70)는 정지 중인 분도 포함하여, 인출 방향(P)으로 5°회전한다.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85I)는 등각도 간격(180°간격)으로 배치된 2세트의 전달 구멍(86B)과 전달 돌기(87)를 갖는다. 전달 구멍(86B)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달 구멍(86B)의 긴 직경은, 도 27에 도시하는 전달 구멍(86)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이고, 전달 구멍(86B)의 짧은 직경은, 도 27에 도시하는 전달 구멍(86)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이다. 이 전달 기구(85I)에서는, 감속 기구(80)를 조립하였을 때, 회전 기어(82)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2개의 전달 돌기(87)가 각각 전달 구멍(86B)의 내주에 접촉한다. 이들 2세트의 전달 구멍(86B)과 전달 돌기(87)에 의해, 회전 기어(82)와 제어 부재(70)의 회전이 방해된다.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에서는(도 24 참조), 전달 구멍(86)이 회전 기어(82)에 형성되고, 전달 돌기(87)가 제어 부재(70)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전달 구멍(86)을 회전 기어(82)에 형성하지 않고, 제어 부재(70)에 전달 구멍(86)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제어 부재(70)의 축선(U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제어 부재(70)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회전 기어(82)의 축선(U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에 형성된다. 복수의 전달 구멍(86)과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이상 설명한 전달 구멍(86)과 전달 돌기(87)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그때, 복수의 전달 돌기(87) 중 적어도 하나가, 전달 구멍(86)의 내주(전달부)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접촉하는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달 구멍(86)의 내주를 압박하여,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항상 전달한다. 회전 기어(82)의 회전 중에, 전달 구멍(86)의 내주는,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절반의 부분(180°의 범위)(전달부)에 있어서, 전달 돌기(87)에 의해 회전 기어(82)의 회전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달 구멍(86)은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한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한쪽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복수의 전달 돌기(87)는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다른 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82) 또는 제어 부재(70)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82)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86) 내에서 이동한다. 전달 기구(85)는, 전달 구멍(86)의 내주와 전달 돌기(87)의 외주가 접촉하여, 회전 기어(82)의 회전을 제어 부재(70)에 전달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와 일부가 서로 다른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미 설명한 사항과 서로 다른 사항을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사항과 동일한 사항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의 차이점은, 전환 기구(60)와 가속도 센서(3B)[제1 가속도 검지 기구(1B)] 뿐이므로,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에 관해서는, 전환 기구(60)와 가속도 센서(3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여기서,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받이를 젖혔을 때, 리트랙터가 기울어져, 가속도 센서(3B)의 관성 질량체(3E)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도 21 참조). 이에 수반하여, 가속도 센서(3B)가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로크 기구(9)가 가속도 센서(3B)에 의해 작동하여, 웨빙(2)을 리트랙터로부터 인출할 수 없게 된다. 그때, 시트 벨트가 무인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으면, 등받이가 웨빙(2)에 의해 고정되어, 등받이를 일으키는 것이 저해된다.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에서는, 전환 기구(60)의 제어 부재(70)에 의해, 가속도 센서(3B)에 의한 로크 기구(9)의 작동을 제어하여, 웨빙(2)에 의한 등받이의 고정을 방지한다.
도 44는 제2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01)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3B)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1과 마찬가지로, 가속도 센서(3B)의 일부와 맞물림 폴(13)의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45는 가속도 센서(3B)의 센서 레버(3F)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와 마찬가지로, 가속도 센서(3B)가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였을 때, 관성 질량체(3E)가 이동하여, 관성 질량체(3E)에 의해, 센서 레버(3F)와 로크 갈고리(3G)가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44b 참조). 맞물림 폴(13)은, 로크 갈고리(3G)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비맞물림 위치(C1)로부터 맞물림 위치(C2)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맞물림 폴(13)이 래칫 휠(34)의 톱니(33)에 맞물려,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3B)는, 로크 갈고리(3G)의 선단에 제한부(3H)를 갖는다. 제한부(3H)에 의해, 가속도 센서(3B)의 작동이 제한되어, 가속도 센서(3B)가, 로크 기구(9)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비작동 상태)(도 44A 참조)로 유지된다. 비작동 상태에서는, 로크 갈고리(3G)는, 맞물림 폴(13)로부터 이격된 위치[맞물림 폴(13)의 하방 위치]에 배치되고, 맞물림 폴(13)은, 비맞물림 위치(C1)에 배치된다. 제한부(3H)는, 로크 갈고리(3G)로부터 메커니즘 커버(6A)(도 13, 도 14 참조)를 향해 돌출되어, 메커니즘 커버(6A)를 관통한다.
도 46, 도 47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측면도로, 도 30과 마찬가지로, 메커니즘 커버(6A)와 전환 기구(6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3B)의 제한부(3H)는, 메커니즘 커버(6A)에 형성된 관통구(6M)에 삽입되어, 관통구(6M) 내에서 이동한다. 가속도 센서(3B)가 로크 기구(9)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제한부(3H)는, 관통구(6M)의 하단부에 위치한다(도 46a 참조). 또한, 가속도 센서(3B)가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였을 때, 센서 레버(3F)와 로크 갈고리(3G)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관통구(6M) 내에서, 제한부(3H)는, 상방을 향해 관통구(6M)의 상단부까지 이동한다(도 46b 참조).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전환 기구(60)는, 감속 기구(80)와 제어 부재(70)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속 기구(80)에 의해, 제어 부재(70)는 권취 드럼(10)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한다. 제어 부재(70)는 환상부(70B)와, 제한부(3H)를 정지하는 부채형의 정지부(70C)를 갖는다. 정지부(70C)는, 환상부(70B)로부터 제어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개방 위치(도 46 참조)에서는, 정지부(70C)는, 관통구(6M) 전체와 겹치지 않고, 관통구(6M)의 전체를 개방한다. 폐쇄 위치(도 47 참조)에서는, 정지부(70C)는, 관통구(6M)의 소정부(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겹쳐, 관통 구멍(6M)의 소정부를 폐쇄한다. 제한부(3H)는, 관통구(6M)로부터 정지부(70C)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제한부(3H)가 관통구(6M)의 하단부에 위치할 때,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의해, 정지부(70C)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도 47 참조). 정지부(70C)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은, 제한부(3H)가 정지부(70C)에 접촉하여, 제한부(3H)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해되어, 제한부(3H)가 정지부(70C)에 의해 정지된다. 그 결과, 제한부(3H)에 의해, 가속도 센서(3B)의 작동이 제한되어, 가속도 센서(3B)가 비작동 상태(도 44a 참조)로 유지된다. 또한, 리트랙터(101)의 상태는, 가속도 센서(3B)에 의한 로크 기구(9)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지 상태로 유지된다.
제어 부재(70)의 회전에 의해, 정지부(70C)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도 46 참조). 정지부(70C)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은, 제한부(3H)는, 정지부(70C)에 접촉하지 않고, 관통구(6M)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3B)의 작동이 제한부(3H)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차량의 긴급시에는, 가속도 센서(3B)가 로크 기구(9)를 작동시킨다(도 46b, 도 44b 참조). 또한, 리트랙터(101)의 상태는, 로크 기구(9)가 가속도 센서(3B)에 의해 작동하는 긴급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환 기구(60)는 회전하는 제어 부재(70)에 의해 리트랙터(101)의 상태를 제어하여, 리트랙터(101)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와 저지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는, 웨빙(2)의 권취 드럼(10)에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정지부(70C)가 폐쇄 위치에 배치되어, 리트랙터(101)의 상태가 저지 상태로 되어 있다. 그 상태로부터,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됨으로써, 정지부(70C)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전환 기구(60)가 리트랙터(101)의 상태를 저지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장착할 때에는, 리트랙터(101)의 상태는 긴급 로크 상태로 된다.
긴급 로크 상태에서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권취되었을 때에는, 전환 기구(60)는 리트랙터(101)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저지 상태로 전환한다. 즉,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권취되는 동안에, 전환 기구(60)에 의해, 리트랙터(10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저지 상태로 전환된다. 그로 인해, 등받이를 젖힌 경우라도, 가속도 센서(3B)에 의해 로크 기구(9)가 작동하지 않아, 상기한 웨빙(2)에 의한 등받이의 고정이 방지된다. 또한,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되는 웨빙(2)의 인출 길이가 소정의 인출 길이로 될 때까지, 리트랙터(101)의 상태는 저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전환 기구(60)에 의한 전환 동작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편심 부재(81)를 사용하여, 제어 부재(70)를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전환 기구(60)에 의해, 리트랙터(101)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전환 기구(60)를 조합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1개의 제어 부재(70)[또는, 2개의 제어 부재(70)]에 의해, 리트랙터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 자동 로크 상태 및 저지 상태로 전환한다.
1 : 리트랙터
1A : 지지체
1B : 제1 가속도 검지 기구
1C : 제2 가속도 검지 기구
2 : 웨빙
3 : 하우징 유닛
3A : 프로텍터
3B : 가속도 센서
3C : 센서 커버
4 : 권취 드럼 유닛
5 : 프리텐셔너 유닛
6 : 메커니즘 커버 유닛
6A : 메커니즘 커버
6B : 제1 수용부
6C : 제2 수용부
6D : 드럼 지지부
6E : 삽입 구멍
6F : 개구
6G : 고정 돌기
6H : 외측면
6I : 제1 회전축
6J : 제2 회전축
6K : 관통구
6L : 스토퍼
7 : 권취 스프링 유닛
8 : 래칫 기어
8A : 래칫 톱니
9 : 로크 기구
9A : 가동 폴
10 : 권취 드럼
11 : 토션 바
12 : 와이어
13 : 맞물림 폴
14 : 장착부
15 : 수용부
16 : 맞물림 갈고리
20 : 하우징
21 : 배면판부
22 : 제1 측벽부
23 : 제2 측벽부
24 : 고정판
25 : 브래킷
26 : 제1 개구부
26A : 폴 수용부
27 : 제2 개구부
30 : 로킹 기어
31 : 축 구멍
32 : 기어 축부
33 : 톱니
34 : 래칫 휠
35 : 아암 지지부
36 : 지지 핀
37 : 스토퍼
40 : 로크 아암
41, 42 : 단부
43 : 관통 구멍
45 : 센서 스프링
50 : 클러치
51 : 내벽
52 : 클러치 기어
53 : 외벽
54 : 중심 구멍
55 : 탄성 변형부
56 : 가동 돌기
57 : 유도부
58 : 유도 구멍
59 : 폴 지지부
60 : 전환 기구
61 : 작동 부재
62 : 배치 부재
63 : 가압 수단
64 : 변위 기구
65 : 회전 수단
70 : 제어 부재
71 : 중심 구멍
72 : 외주부
73 : 외연 볼록부
74 : 제1 유지부
75 : 변경부
76 : 이동부
77 : 제2 유지부
78 : 해방부
79 : 종단부
80 : 감속 기구
81 : 편심 부재
82 : 회전 기어
83 : 고정 톱니
84 : 고정 기어
85 : 전달 기구
86 : 전달 구멍
87 : 전달 돌기
101 : 리트랙터
M : 권취 방향
P : 인출 방향
1A : 지지체
1B : 제1 가속도 검지 기구
1C : 제2 가속도 검지 기구
2 : 웨빙
3 : 하우징 유닛
3A : 프로텍터
3B : 가속도 센서
3C : 센서 커버
4 : 권취 드럼 유닛
5 : 프리텐셔너 유닛
6 : 메커니즘 커버 유닛
6A : 메커니즘 커버
6B : 제1 수용부
6C : 제2 수용부
6D : 드럼 지지부
6E : 삽입 구멍
6F : 개구
6G : 고정 돌기
6H : 외측면
6I : 제1 회전축
6J : 제2 회전축
6K : 관통구
6L : 스토퍼
7 : 권취 스프링 유닛
8 : 래칫 기어
8A : 래칫 톱니
9 : 로크 기구
9A : 가동 폴
10 : 권취 드럼
11 : 토션 바
12 : 와이어
13 : 맞물림 폴
14 : 장착부
15 : 수용부
16 : 맞물림 갈고리
20 : 하우징
21 : 배면판부
22 : 제1 측벽부
23 : 제2 측벽부
24 : 고정판
25 : 브래킷
26 : 제1 개구부
26A : 폴 수용부
27 : 제2 개구부
30 : 로킹 기어
31 : 축 구멍
32 : 기어 축부
33 : 톱니
34 : 래칫 휠
35 : 아암 지지부
36 : 지지 핀
37 : 스토퍼
40 : 로크 아암
41, 42 : 단부
43 : 관통 구멍
45 : 센서 스프링
50 : 클러치
51 : 내벽
52 : 클러치 기어
53 : 외벽
54 : 중심 구멍
55 : 탄성 변형부
56 : 가동 돌기
57 : 유도부
58 : 유도 구멍
59 : 폴 지지부
60 : 전환 기구
61 : 작동 부재
62 : 배치 부재
63 : 가압 수단
64 : 변위 기구
65 : 회전 수단
70 : 제어 부재
71 : 중심 구멍
72 : 외주부
73 : 외연 볼록부
74 : 제1 유지부
75 : 변경부
76 : 이동부
77 : 제2 유지부
78 : 해방부
79 : 종단부
80 : 감속 기구
81 : 편심 부재
82 : 회전 기어
83 : 고정 톱니
84 : 고정 기어
85 : 전달 기구
86 : 전달 구멍
87 : 전달 돌기
101 : 리트랙터
M : 권취 방향
P : 인출 방향
Claims (8)
- 웨빙을 권취하는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을 웨빙의 권취 방향과 인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권취 드럼의 축선을 중심으로 권취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제어 부재와, 권취 드럼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어 부재에 전달하여 제어 부재를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비하고,
감속 기구는,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 부재와, 권취 드럼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지체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톱니와, 복수의 고정 톱니의 내측에서 편심 부재와 복수의 고정 톱니에 의해 권취 드럼에 대해 감속하여 회전하는 회전 기어와, 회전 기어의 회전을 제어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갖고,
회전 기어는, 복수의 고정 톱니보다도 적은 수의 외주 톱니를 갖고, 권취 드럼의 축선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편심 부재에 지지되어, 편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고정 톱니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 고정 톱니에 차례로 맞물려 회전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며,
전달 기구는,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한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한쪽에 형성된 원 형상의 복수의 전달 구멍과,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다른 쪽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180°이하의 간격으로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의 회전시에, 각각 전달 구멍 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전달 돌기를 갖고, 전달 구멍의 내주와 전달 돌기의 외주가 접촉하여, 회전 기어의 회전을 제어 부재에 전달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달 구멍의 위치와 복수의 전달 돌기의 위치는, 회전 기어의 축선과 제어 부재의 축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고,
복수의 전달 돌기는, 각각 전달 구멍 내에 배치되어 전달 구멍 내에서 이동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달 구멍의 내주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전달 돌기의 중심 궤적이, 복수의 고정 톱니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 기어의 원 형상의 축선 궤적과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이루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달 구멍은, 동일한 내경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한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전달 돌기는, 동일한 외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기어 또는 제어 부재 중 다른 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의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멈추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긴급시에, 차량의 가속도, 또는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되는 웨빙의 인출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가속도 검지 기구와,
회전하는 제어 부재에 의해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로크 기구가 가속도 검지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긴급 로크 상태와 로크 기구가 항상 작동하는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5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웨빙의 인출 길이 및 권취 드럼에 권취된 웨빙의 권취 길이에 대응해서 회전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고,
전환 수단은, 권취 드럼으로부터 웨빙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됨으로써, 리트랙터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하고, 자동 로크 상태에서 웨빙이 권취 드럼에 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됨으로써, 리트랙터의 상태를 자동 로크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멈추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긴급시에, 차량의 가속도를 검지하여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가속도 검지 기구와,
회전하는 제어 부재에 의해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로크 기구가 가속도 검지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긴급 로크 상태와 가속도 검지 기구에 의한 로크 기구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제7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웨빙의 인출 길이 및 권취 드럼에 권취된 웨빙의 권취 길이에 대응해서 회전하여, 리트랙터의 상태를 제어하고,
전환 수단은, 권취 드럼으로부터 웨빙이 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됨으로써, 리트랙터의 상태를 저지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하고, 긴급 로크 상태에서 웨빙이 권취 드럼에 권취되었을 때에는, 리트랙터의 상태를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저지 상태로 전환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23573A JP2015150902A (ja) | 2014-02-10 | 2014-02-10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JP-P-2014-023573 | 2014-02-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4519A true KR20150094519A (ko) | 2015-08-19 |
Family
ID=5367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755A KR20150094519A (ko) | 2014-02-10 | 2015-02-05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24959A1 (ko) |
JP (1) | JP2015150902A (ko) |
KR (1) | KR20150094519A (ko) |
CN (1) | CN104828010A (ko) |
DE (1) | DE1020151018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24500B2 (ja) * | 2013-01-31 | 2016-05-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JP6250427B2 (ja) * | 2013-02-12 | 2017-12-20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6549879B2 (ja) * | 2015-04-03 | 2019-07-24 |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
JP5843994B1 (ja) * | 2015-05-19 | 2016-01-13 |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 リード収容装置 |
DE102015011668B3 (de) * | 2015-09-11 | 2017-03-16 | Trw Automotive Gmbh | Gurtaufroller |
JP6705679B2 (ja) | 2016-03-29 | 2020-06-03 |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 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
US9744940B1 (en) * | 2016-04-13 | 2017-08-29 | Autoliv Asp, Inc. |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
US10315617B2 (en) * | 2016-08-04 | 2019-06-11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eat belt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top mechanism |
KR102453592B1 (ko) * | 2017-08-21 | 2022-10-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m마운트의 스토퍼 |
US20200149616A1 (en) * | 2018-11-13 | 2020-05-14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Actuator with fail-safe locking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113979B (en) * | 1982-01-28 | 1985-10-16 | Katsuyama Kinzoku Kogyo | Retractor for a seat belt assembly |
JP4785246B2 (ja) | 1999-12-15 | 2011-10-05 | タカタ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装置 |
JP3947064B2 (ja) | 2002-08-29 | 2007-07-18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JP2005138745A (ja) * | 2003-11-07 | 2005-06-02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JP2006103453A (ja) * | 2004-10-04 | 2006-04-20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08213526A (ja) * | 2007-02-28 | 2008-09-18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09061809A (ja) * | 2007-09-04 | 2009-03-26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4976241B2 (ja) * | 2007-09-04 | 2012-07-18 | タカタ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2010023654A (ja) * | 2008-07-18 | 2010-02-04 | Takata Corp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
JP5511076B2 (ja) * | 2010-09-21 | 2014-06-04 | タカタ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
JP5753736B2 (ja) * | 2011-06-07 | 2015-07-22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2013244885A (ja) * | 2012-05-28 | 2013-12-09 | Ashimori Industry Co Ltd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6026162B2 (ja) * | 2012-07-13 | 2016-11-16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JP6041434B2 (ja) * | 2012-11-20 | 2016-12-07 | タカタ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6250427B2 (ja) * | 2013-02-12 | 2017-12-20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
2014
- 2014-02-10 JP JP2014023573A patent/JP2015150902A/ja active Pending
-
2015
- 2015-02-05 KR KR1020150017755A patent/KR201500945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2-09 US US14/616,861 patent/US201502249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2-09 CN CN201510065597.2A patent/CN104828010A/zh active Pending
- 2015-02-09 DE DE102015101803.9A patent/DE102015101803A1/de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50902A (ja) | 2015-08-24 |
CN104828010A (zh) | 2015-08-12 |
US20150224959A1 (en) | 2015-08-13 |
DE102015101803A1 (de) | 2015-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4519A (ko)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
US6910653B2 (en) | Seat belt retractor | |
EP2246225B1 (en) | Seat belt retractor | |
EP3069938B1 (en) | Seat belt device | |
JP6250427B2 (ja)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
JP4885764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EP1514749B1 (en) | Seatbelt retractor | |
EP1688325B1 (en) | Pretensioner device with clutch plate for a vehicle | |
WO2015037485A1 (ja)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 |
JP4917395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EP2923898B1 (en) |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using same | |
WO2014126059A1 (ja)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
WO2011055763A1 (ja)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 |
JP2002509052A (ja) | タイミングクラッチ機構付き自動ロッキングリトラクタ | |
US20190337482A1 (en) | Restraining system for a seat belt buckle | |
EP2666680B1 (en) | Seat belt retractor | |
CN104554135B (zh) | 安全带卷收器及具有其的安全带装置和汽车 | |
CN107244303B (zh) | 一种安全带卷收装置 | |
JP5961570B2 (ja) | ウェビング巻取装置 | |
KR102149719B1 (ko)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
CN112969616B (zh) | 安全带卷收器 | |
JP4676345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JP3958172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JP2006159982A (ja) |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 |
JP3032687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