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478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478A
KR20150094478A KR1020140083282A KR20140083282A KR20150094478A KR 20150094478 A KR20150094478 A KR 20150094478A KR 1020140083282 A KR1020140083282 A KR 1020140083282A KR 20140083282 A KR20140083282 A KR 20140083282A KR 20150094478 A KR20150094478 A KR 2015009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usic
area
application
user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785B1 (ko
Inventor
김윤경
강동구
이용연
곽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07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80954B/zh
Priority to US14/618,421 priority patent/US10067641B2/en
Priority to EP15746532.9A priority patent/EP3105666B1/en
Priority to PCT/KR2015/001341 priority patent/WO2015119482A1/en
Publication of KR2015009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의 외부가 노출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변하고,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의 축소화를 위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접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폴딩 라인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접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거나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비대칭적으로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중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과 평행하도록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다른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다른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의 외부가 노출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고,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과 평행하도록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및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인터렉션 및 언폴딩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인터렉션 및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능을 유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a 내지 도 3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 및 UI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폴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딩된 상태에서 제2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20)는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 및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언폴딩되는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폴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의 외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감지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2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40), 저장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스피커부(270), 감지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제1 영역(320) 및 제1 영역(320)보다 넓은 제2 영역(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330) 중 일부가 외부 노출되는 노출 영역(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폴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폴딩 라인(310)이 길이가 짧은 변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라인(310)이 길이가 긴 변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역시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제1 영역(350) 및 제2 영역(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영역(360) 중 일부가 외부 노출되는 노출 영역(37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폴딩 라인(310)은 물리적인 힌지부에 의해 생성되는 라인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폴딩 라인(310)은 사용자에 의해 접힐 수 있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40)는 와이파이칩(241), 블루투스 칩(242), 무선 통신 칩(243), NFC 칩(244)을 포함한다. 제어부(290)는 통신부(2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와이파이 칩(241), 블루투스 칩(24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241)이나 블루투스 칩(2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4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4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250)에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50)에는 OS(410), 커널(420), 미들웨어(430), 어플리케이션(4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4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4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420)은 디스플레이부(23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4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미들웨어(430)는 X11 모듈(430-1), APP 매니저(430-2), 연결 매니저(430-3), 보안 모듈(430-4), 시스템 매니저(4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 UI 프레임워크(430-7), 윈도우 매니저(430-8), 필기 인식 모듈(4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4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430-2)는 저장부(2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4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430-2)는 X11 모듈(4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4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4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4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4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4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4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4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4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4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2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440-1 ~ 4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294)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4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2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7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281), 움직임 감지부(282) 및 폴딩 감지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82)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폴딩 감지부(283)는 벤딩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접혔는지 여부 및 접힌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281)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폴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노출 영역에 제공되는 UI >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폴딩(folding)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영역(320) 중 외부로 노출된 노출 영역(340)에 기설정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UI(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UI(5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1 영역(320)이 제2 영역(330)에 맞닿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310)을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520)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정보, 재생/정지 아이콘, 건너뛰기 아이콘, 되감기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 포함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노출 영역을 연속적으로 두 번 터치하는 인터렉션 등)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 포함된 UI(5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은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을 확인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외부로부터 메시지나 데이터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통신부(240)를 통해 외부로부터 SN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SNS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5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SNS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540)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 및 SNS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UI(610)는 상하로 스와이프(swipe)하는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610)에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노출 영역의 모서리에 복수의 점을 포함하는 UI(6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2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점들을 잇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건반 형태의 UI(6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30)에 기설정된 리듬으로 건반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홈 아이콘을 포함하는 UI(6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640)에 포함된 홈 아이콘을 기준으로 핀치-아웃(pinch-out)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호 형태의 UI(7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가 음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른 설정(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꼭지점 중 하나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꼭지점에 대응되는 코너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는 UI(7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 폴딩 인터렉션 언폴딩 인터렉션 >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를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는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아이콘 내지 제4 아이콘(810 내지 840)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1 아이콘 내지 제4 아이콘(810 내지 840) 중 제4 아이콘(840)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아이콘(840)에 대응되는 메시지 창(850)을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4 아이콘(84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터치된 다른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81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아이콘(810)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최근 전화 통화 목록 화면, 주소록 화면, 전화 발신 화면 등)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콘(82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아이콘(820)에 대응되는 웹 브라우저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아이콘(830)이 터치된 상태에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3 아이콘(830)에 대응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음악 재생 화면, 음악 리스트 화면 등)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9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91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70도 내지 120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 요청을 수락하고, 스피커 폰 기능을 실행하며, 전화 통화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뉴스 정보(1010)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뉴스 정보(1010)와 함께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0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0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70도 내지 120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창(10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와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에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1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110)가 디스플레이되는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 UI(1110)와 함께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노출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실행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의 일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35)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12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창(11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언폴딩 인터렉션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순서에 따라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a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홈 화면(1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고,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홈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c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1240)에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 12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홈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노출 영역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언폴딩 인터렉션만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노출 영역을 터치한 후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3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10)을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우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전화 통화 기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20)(또 다른 실시예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10)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a의 우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전화 통화 화면(13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UI(13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40)를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우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을 유지하며, 전체 화면에 재생 리스트(13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1340)를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의 우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음악 플레이어 화면(136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언폴딩되는 제1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 제2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4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30도 내지 150도)만큼 언폴딩되는 제1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1430-1 내지 1430-3)을 포함하는 UI(1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콘(1430-1 내지 1430-3) 중 사진 공유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즉,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180가 되도록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전화 통화 요청을 수용하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영역에 전화 통화 화면(1440)을 디스플레이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14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1450)에 포함된 복수의 사진 중 하나를 전화 통화 화면(1440)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사진을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복수의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에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부재중 통화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SNS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1개의 안내 메시지(1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1 각도 범위(예를 들어, 5도 내지 15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2 개의 안내 메시지(1510,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2 각도 범위(예를 들어, 15 도 내지 25 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3 개의 안내 메시지(1510,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커질수록 디스플레이되는 안내 메시지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제4 각도 범위(예를 들어, 35도 내지 45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제1 안내 메시지(1510)가 가장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다시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안내 메시지(1510 내지 155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안내 메시지(152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30)를 완전히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2 안내 메시지(1520)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서 감지되는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좌우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노출 영역에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 또는 다음에 수신된 메시지를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아래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1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전체 화면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2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되고, 제2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3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되고, 제3 메시지가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640)에 위쪽 방향의 터치 인터렉셤이 감지된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6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20'),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30'), 제3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1640') 및 홈 화면(165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 변형에도 현재 기능 유지>
제어부(290)는 폴딩 인터렉션 또는 언폴딩 인터렉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현재 기능을 유지하며, 현재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7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72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전화 통화 화면(17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7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9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를 수용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18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를 수용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182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를 폴딩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됨을 안내하는 UI(18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18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디스플레이부(230)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와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전화 통화 화면(19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θ만큼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힌지 각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전화 통화 화면(19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화 통화 화면(1920)은 제1 전화 통화 화면(1910)에 포함된 정보 량 및 아이콘보다 적은 정보량 및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전화 통화가 수행 중을 안내하는 UI(19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네비게이션 화면(20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 각도가 θ만큼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힌지 각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하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네비게이션(20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비게이션 화면(1920)이 안내하는 영역이 제1 네비게이션 화면(1910)이 안내하는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3 네비게이션 화면 UI(20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네비게이션 화면(2030)에는 제1 네비게이션 화면(2010) 및 제2 네비게이션 화면(2020)과 달리 지도 화면이 아닌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폴딩 인터렉션 또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되더라도 화면의 크기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정보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제1 주소록 리스트(21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는 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에 제2 주소록 리스트(21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소록 리스트(2110)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 이름 정보, 전화 번호 정보, 바로 걸기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주소록(2120)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 및 이름 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에 뉴스의 제목(22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30)가 언폴딩되는 언폴딩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의 제목뿐만 아니라 뉴스 이미지, 뉴스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2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될 경우 노출되는 노출 영역과 감춰지는 히든 영역에 상이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2310)에는 공용 정보(public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고, 히든 영역(2320)에는 개인 정보(private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2330)에는 공용 정보인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고, 히든 영역(2340)에는 개인 정보인 신용카드 리스트, 거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노출된 영역 상에 인터렉션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앞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되어,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감지부(280)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감지부(280)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예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예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과 평행하도록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평행하다는 것은, 예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연장한 선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의 궤적을 연장한 선이 서로 만나지 않거나 또는 만나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벗어나서 만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예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연장한 선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의 이동하는 궤적을 연장한 선이 서로 만나지 않거나 또는 만나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벗어나서 만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의 궤적을 연장한 선과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의 궤적을 연장한 두 개의 선 간에 교차 각도가 90도인 것뿐만 아니라 거의 90도인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된 두 개의 선 간에 교차 각도가 80도 내지 100도 사이의 값이면,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의 이동 방향과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 및 도 3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a의 2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2411)을 따라 일 방향(예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는, 예로, 디스플레이부(230)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4a의 2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4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2421)은, 예로, 현재 시각 정보 또는 타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b의 2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2411)을 따라 일 방향의 반대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4b의 2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공지 정보(예로, 미개봉된 메시지의 개수, 메시지 발신자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44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c의 2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2412)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 폴딩 라인 방향 또는 커버로 덮인 영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4c의 24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글랜스 가능(glanceable)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46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글랜스 가능 정보는 빠른 시간(예로, 1 내지 2초) 내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로, 현재 시각, 현재 날씨와 같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글랜스 가능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일정 시간 후에, 제어부(290)는 자동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d의 24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2412)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 디스플레이부(230) 밖으로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4d의 24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현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상태 정보(예로, 볼륨 정보, 네트워킹 정보, 배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48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환경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a의 2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5a의 2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전화 통화 요청을 수락하고,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21)은 예로, 전화 통화 수락 아이콘 및 전화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b의 2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5b의 25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전화 통화 요청을 거절하고,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4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41)은 예로, 전화 통화 거절 문구 및 전화 통화 거절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c의 25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5c의 25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6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280)가 디스플레이부(230)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언폴딩하는 언폴딩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연락처 목록을 통하여 관리하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25a의 252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2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c의 25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6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d의 25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5d의 25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8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전화 이력 리스트에서 삭제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25b의 254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4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d의 25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58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a의 2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6a의 2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b의 2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6b의 26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4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c의 26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6c의 26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6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d의 26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6d의 26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삭제됨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68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280)가 감지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종류에 따라서, 제어부(290)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가지고 보관, 스크랩, 리마인드(remind) 등과 같은 저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가(290)가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노출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위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9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특화된 기능(예로, 전화 번호 저장 또는 삭제)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바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동안,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의 크기를 고려한 홈 화면, 공지 사항, 제3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80)가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하드키를 대체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퀵 세팅(Quick setting) 메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a의 2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정보(예로, 음악의 곡명, 가사 또는 가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90)는 LP(long playing record) 판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LP 판의 일부가 노출된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a의 2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재생 중인 음악을 제어할 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을 제어할 수 메뉴는, 예로,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는 UI, 재생 중인 음악이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재생 중인 음악의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검색하는 UI, 및 재생 중인 음악이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을 검색하는 UI 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중인 음악을 제어할 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는 UI를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a의 27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고, 정지된 음악을 제어할 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3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정지 중인 음악을 제어할 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정지 중인 음악이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정지 중인 음악의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검색하는 UI를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력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a의 27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정지 중인 음악의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검색하고, 정지 중인 음악의 다음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4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41)에는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재생하는 UI를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a의 27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 후에, 제어부(290)는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b의 27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영역에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b의 27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재생 중인 음악이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재생 중인 음악의 다음에 위치한 음악을 재생하고, 재생 중인 음악(즉, 다음에 위치하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7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재생 중인 음악이 포함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재생 중인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을 재생하고, 재생 중인 음악(즉, 이전에 위치하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c의 27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1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c의 27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재생 중인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예로, 플레이 리스트 이름 또는 음악 앨범 이름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9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9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LP 판의 일부가 추출된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c의 279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재생 중인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을 포함한 폴더에서 다음에 위치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9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위치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7c의 27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추출된 LP 판의 일부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로 삽입된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다음에 위치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 포함된 음악을 재생하고,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799)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의 2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메시지 수신 시에, 포켓(pocket)에서 메시지가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811)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노출된 영역의 방향으로 틸팅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8c의 2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메시지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8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의 28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pocket)에서 메시지가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811)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노출된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틸팅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8의 28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메시지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메시지가 포켓 안으로 삽입되어 보관되는 것을 형상화 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84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의 2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메시지 수신 시에, 컨텐츠(예로, 메시지)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서 일부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911)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일 측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힌지부, 폴딩 라인 또는 폴딩 라인 근처를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9의 2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컨텐츠의 내용이 확인될 수 있도록, 컨텐츠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서 대부분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921)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서 대부분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른 일 측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에 위치한 베젤, 노출된 영역의 모서리를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29의 29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컨텐츠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서 일부 튀어나온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931)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90)는 노출된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의 30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화면이 잠금 상태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지퍼(zipper)가 잠긴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280)는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예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도 30의 30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노출된 화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예로, 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지퍼가 열린 것을 형상화하는 그래픽이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출된 영역 상에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a의 3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커버를 누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노출된 영역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나 잠금 상태일 수 있다. 감지부(280)가 커버를 누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동안, 도 31a의 3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커버를 누르는 것을 중지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290)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노출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b의 3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커버를 누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노출된 영역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나 잠금 상태일 수 있다. 감지부(280)가 커버를 누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동안, 도 31b의 3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은 재생 중인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28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커버를 누르는 것을 중지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80)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290)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이 노출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가 앞으로 폴딩되어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S3210).
이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 상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220).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입력 받은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30).
판단 결과, 입력 받은 사용자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노출된 영역에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240).
또한, 판단 결과, 입력 받은 사용자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노출된 영역에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250).
또한, 판단 결과, 입력 받은 사용자 인터렉션이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노출된 영역에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260).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폴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에 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30: 디스플레이부                         120, 280: 감지부
130, 290: 제어부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처리부                               240: 통신부
250: 저장부                                    260: 오디오 처리부
270: 오디오 출력부

Claims (22)

  1.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과 평행하도록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다른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다른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마주하도록 앞으로 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의 외부가 노출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과 평행하도록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긴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상기 노출된 영역의 짧은 변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과 다른 제4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홈 화면, 공지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환경 설정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영상 정보가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수락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전화 통화 요청이 거절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스팸 목록에 저장됨을 나타내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메시지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저장됨을 나타내거나, 상기 메시지를 삭제됨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일 화면이고,
    상기 제2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음악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에서 상기 음악의 이전에 위치한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플레이 리스트 또는 음악 앨범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 중 다른 일 화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터치하는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40083282A 2014-02-10 2014-07-03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7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07989.1A CN105980954B (zh) 2014-02-10 2015-02-10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US14/618,421 US10067641B2 (en) 2014-02-10 2015-02-10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15746532.9A EP3105666B1 (en) 2014-02-10 2015-02-10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PCT/KR2015/001341 WO2015119482A1 (en) 2014-02-10 2015-02-10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7744P 2014-02-10 2014-02-10
US61/937,744 2014-02-10
KR1020140083244A KR102561200B1 (ko) 2014-02-10 2014-07-03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78A true KR20150094478A (ko) 2015-08-19
KR102377785B1 KR102377785B1 (ko) 2022-03-23

Family

ID=537749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82A KR102377785B1 (ko) 2014-02-10 2014-07-03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40083244A KR102561200B1 (ko) 2014-02-10 2014-07-03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30096813A KR20230117542A (ko) 2014-02-10 2023-07-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44A KR102561200B1 (ko) 2014-02-10 2014-07-03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30096813A KR20230117542A (ko) 2014-02-10 2023-07-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10152201B2 (ko)
EP (3) EP3105658B1 (ko)
KR (3) KR102377785B1 (ko)
CN (2) CN105980972B (ko)
WO (1) WO201511947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0A (ko) * 2015-12-16 2017-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04427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432889B2 (en) 2015-12-1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98844A1 (ko) * 2018-04-12 2019-10-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9024A (ko) * 2015-12-18 2019-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4484B1 (ko) * 2019-05-03 2020-04-24 최대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5475B1 (ko) * 2020-02-26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의 색인을 출력하는 폴더블 미디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922B1 (ko) * 2015-09-11 2023-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01528B1 (ko) * 2015-11-06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06362B2 (en) * 2015-12-0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251056B2 (en) 2016-07-13 2019-04-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372892B2 (en) 2016-07-13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878771B2 (en) 2016-07-13 2020-12-29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US11243567B2 (en) * 2016-07-13 2022-02-08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KR102545605B1 (ko) * 2016-09-20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248224B2 (en) 2016-10-25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based on interactions with a physical hinge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775709B (zh) * 2016-12-13 2020-10-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提示消息的显示方法及设备
JP6868427B2 (ja) * 2017-03-23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10019133B1 (en) * 2017-04-02 2018-07-10 Charles Russell McNeill Unified computing device interface for assembly of a plurality of types of digital content for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target destinations
US10880704B2 (en) * 2017-04-26 2020-12-29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Method of exposing a received message,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CN107465830A (zh) * 2017-08-30 2017-1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来电处理方法及其装置、折叠手机
CN107566638B (zh) * 2017-08-31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678656B (zh) * 2017-10-19 2020-05-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开启快捷功能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7835321B (zh) * 2017-11-27 2020-0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来电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108109A (zh) * 2017-11-29 2018-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96922B (zh) * 2017-12-27 2020-09-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打开应用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41466A (zh) * 2018-01-02 2018-07-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文件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28029B (zh) * 2018-01-09 2020-04-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的整理方法及移动终端
USD872122S1 (en) 2018-01-15 2020-01-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6507S1 (en) 2018-01-15 2019-04-23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Control device
CN108469898B (zh) * 2018-03-15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柔性屏终端
KR20190127074A (ko) *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769303A (zh) * 2018-05-16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和电子装置、可折叠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38783B1 (ko) 2018-10-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26949B1 (ko) * 2018-11-14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9656439A (zh) * 2018-12-17 2019-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面板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947320B (zh) * 2019-03-15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596817B1 (ko) * 2019-04-11 202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200120837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98124B1 (ko) * 2019-05-24 2021-09-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폴더블 단말기 및 폴더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
CN110389802B (zh) * 2019-06-05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TWI685454B (zh) * 2019-07-19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
US11093262B2 (en) 2019-07-29 2021-08-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normal and privacy modes of operation
KR102570009B1 (ko) * 2019-07-31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Ar 객체 생성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22302A (ko) * 2019-08-20 202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11113375B2 (en) 2019-09-09 2021-09-0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proximity authentication and gaze actuation of companio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416130B2 (en) 2019-10-01 2022-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ing applications on multi-screen computing device
US11561587B2 (en) 2019-10-01 2023-0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and flashlight operation in hinged device
US11201962B2 (en) * 2019-10-01 2021-1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ing on a multi-display device
CN112230793A (zh) * 2019-11-15 2021-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幕的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101698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1678226S (ja) * 2020-04-01 2021-02-01 アイコン用画像
KR20210132491A (ko) 2020-04-27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641748B (zh) * 2020-04-29 2022-07-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进程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289412B1 (ko) 2020-11-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CN112596653B (zh) * 2020-12-17 2023-0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路线图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5268738A (zh) * 2021-04-30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241621A1 (en) * 2021-05-17 2022-1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foldable-slider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130113895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7344C (en) * 1991-04-01 2003-01-14 Leslie S. Rubin Extruded thermoplastics,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blends thereof having a planar morphology
US5870683A (en) * 1996-09-18 1999-02-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h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selectable animation sequence
EP1168143A1 (fr) 2000-06-27 2002-0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portable à processeur comportant une pluralité de modules d'écran dont au moins un module d'écran repliable sur un module d'écran principal
JP4019179B2 (ja) 2003-11-19 2007-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50110702A1 (en) 2003-11-21 2005-05-26 Aoki Paul M. Collaps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1692846B1 (en) * 2003-11-21 2009-05-06 Nokia Corporation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JP4654591B2 (ja) * 2004-04-01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89928B2 (ja) 2005-02-18 2008-12-0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装置、携帯型電子装置の機能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105369A1 (ja) 2006-03-10 2007-09-20 Nec Corporation 携帯電話機
KR100818143B1 (ko) 2006-05-19 2008-03-31 노키아 코포레이션 2단 가동 전화기
US7787917B2 (en) 2006-12-28 2010-08-31 Intel Corporatio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US9423995B2 (en)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JP2008299019A (ja) * 2007-05-30 2008-12-11 Sony Corp カソード電位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カソード電位制御方法
DE202008018283U1 (de) * 2007-10-04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enüanzeige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JP2009109521A (ja) * 2007-10-26 2009-05-21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9124449A (ja) 2007-11-14 2009-06-04 Ntt Docomo Inc 移動体端末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101387527B1 (ko)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JP2009147828A (ja) * 2007-12-17 2009-07-0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個人情報交換プログラム、個人情報交換方法、及び個人情報交換システム
US20090164951A1 (en) 2007-12-19 2009-06-25 Nvidia Corporation Input architecture for devices with small input areas and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JP4678421B2 (ja) * 2008-05-16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482120B1 (ko) * 2008-08-01 201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5160B1 (ko) 2008-08-08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8851992B2 (en) 2008-08-29 2014-10-07 Disney Enterprises, Inc. Music player for video game consoles and electronic devices operable in sleep or power-saving modes
US8341557B2 (en) * 2008-09-05 2012-12-25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kout support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66840B2 (en) * 2008-09-0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US8836611B2 (en) 2008-09-08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63038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JP2010066918A (ja) 2008-09-09 2010-03-25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46506A (ja) 2008-12-22 2010-07-01 Sharp Corp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入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情報端末装置
US20100162169A1 (en) 2008-12-23 2010-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Dynamic Slider Interface
JP5475986B2 (ja) 2008-12-24 2014-04-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569776B1 (ko)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063882B1 (ko) 2009-03-13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US10013135B2 (en) * 2009-03-20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user interfaces with movable separators
CN101557557A (zh) * 2009-05-14 2009-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定位业务的系统和方法
KR101574117B1 (ko) * 2009-05-22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콜 기능 수행 방법
KR101560718B1 (ko) 2009-05-29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JP2009201157A (ja) 2009-06-08 2009-09-03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
KR101078141B1 (ko) * 2009-09-08 2011-10-28 주식회사 팬택 합성 메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JP5707694B2 (ja) 2009-12-04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212344B2 (ja) 2009-12-08 2013-06-1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KR101673918B1 (ko) * 2010-02-11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5012933B2 (ja) 2010-02-26 2012-08-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10241998A1 (en) *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727041B1 (ko) * 2010-10-29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62106B2 (en)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101841570B1 (ko) 2010-11-18 2018-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KR101781852B1 (ko) 2011-01-04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91871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2108668A2 (ko) 2011-02-10 2012-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3452B1 (ko) 2011-02-10 2019-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패널들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들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5038B1 (ko) 2011-02-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745893B2 (ja) 2011-02-28 2015-07-0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における処理ユニットの位置調整方法および検体分析装置
TWI438740B (zh) 2011-04-13 2014-05-21 Wistron Corp 可撓式電子裝置
WO2012160674A1 (ja) * 2011-05-25 2012-11-2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04324B2 (en)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EP2546721B1 (en)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101784523B1 (ko) * 2011-07-28 2017-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KR101801359B1 (ko) 2011-07-28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81865B1 (ko)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US10289657B2 (en) * 2011-09-25 2019-05-14 9224-5489 Quebec Inc. Method of retrieving information elements on an undisplayed portion of an axis of information elements
JP2013073352A (ja) 2011-09-27 2013-04-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入力操作受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23824B2 (en)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EP2581808B1 (en) 2011-10-14 2019-04-1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KR101828306B1 (ko) 2011-10-18 2018-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JP2013105310A (ja)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88147B1 (ko) * 2011-11-16 2013-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JP2013117885A (ja) * 2011-12-02 2013-06-13 Nintendo Co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30069066A (ko)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99972B1 (ko) 2011-12-21 201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8093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WO2013114482A1 (ja) 2012-02-03 2013-08-0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963857B2 (en)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37126B2 (en) * 2012-02-28 2014-09-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2638455B (zh) * 2012-03-19 2015-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3d拓扑视图中网元对象信息的方法及设备
KR101721046B1 (ko) 2012-04-08 201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102013587B1 (ko) * 2012-05-03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25443B1 (ko) 2012-05-09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KR101515623B1 (ko)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674900B2 (en) 2012-05-14 2014-03-1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71716B1 (ko) * 2012-05-14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75335B1 (ko)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65460B2 (en) 2012-05-24 2016-10-11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867513B1 (ko) 2012-05-29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35872B2 (en) 2012-06-08 2015-05-19 Apple Inc.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KR101945812B1 (ko) * 2012-06-08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78206B1 (ko)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04588B1 (ko)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58802B1 (ko)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916416B1 (ko)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2693331A3 (en) 2012-08-01 201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0741B1 (ko) 2012-08-29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524030B2 (en) 2013-04-26 2016-12-2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KR102256677B1 (ko) 2013-12-02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방법
EP3105666B1 (en) 2014-02-10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130113895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0A (ko) * 2015-12-16 2017-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917606B2 (en) 2015-12-18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89258B2 (en) 2015-12-18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78935B2 (en) 2015-12-1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47962B2 (en) 2015-12-18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05573B1 (en) 2015-12-18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29024A (ko) * 2015-12-18 2019-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506197B2 (en) 2015-12-18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80512B2 (en) 2015-12-18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32890B2 (en) 2015-12-1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56566B2 (en) 2015-12-18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588997B2 (en) 2015-12-18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23793B2 (en) 2015-12-18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32889B2 (en) 2015-12-1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04427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9198844A1 (ko) * 2018-04-12 2019-10-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04484B1 (ko) * 2019-05-03 2020-04-24 최대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5475B1 (ko) * 2020-02-26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의 색인을 출력하는 폴더블 미디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9591B2 (en) 2023-10-17
KR20230117542A (ko) 2023-08-08
EP3105658A1 (en) 2016-12-21
KR102377785B1 (ko) 2022-03-23
EP3105658A4 (en) 2017-11-01
EP3105658B1 (en) 2022-04-06
US20220236842A1 (en) 2022-07-28
CN111580723B (zh) 2023-09-29
US20240036706A1 (en) 2024-02-01
CN111580723A (zh) 2020-08-25
CN105980972B (zh) 2020-05-26
EP4095665B1 (en) 2023-12-06
EP4310842A2 (en) 2024-01-24
EP4095665A1 (en) 2022-11-30
KR102561200B1 (ko) 2023-07-28
US20200081589A1 (en) 2020-03-12
EP4095665C0 (en) 2023-12-06
WO2015119474A1 (en) 2015-08-13
US20190056844A1 (en) 2019-02-21
US20210055840A1 (en) 2021-02-25
US10503368B2 (en) 2019-12-10
US10152201B2 (en) 2018-12-11
US20150227223A1 (en) 2015-08-13
CN105980972A (zh) 2016-09-28
US10831343B2 (en) 2020-11-10
KR20150094477A (ko) 2015-08-19
US11334222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7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347372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54394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105666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4260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