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716A -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 Google Patents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716A
KR20150079716A KR1020157013278A KR20157013278A KR20150079716A KR 20150079716 A KR20150079716 A KR 20150079716A KR 1020157013278 A KR1020157013278 A KR 1020157013278A KR 20157013278 A KR20157013278 A KR 20157013278A KR 20150079716 A KR20150079716 A KR 2015007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pbt
pt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와시타
사토시 가와무라
유우스케 헨미
Original Assignee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식물유래 원료를 최대한 많이 이용한 수지필름 및 그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한 장식판을 제공한다. 이 수지필름은 하기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층: 식물유래 PTT 수지, 식물유래 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PP, PE), 식물유래 PC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 B층: 식물유래 PTT 수지, 식물유래 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PP, PE), 식물유래 PC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상용화제 및/또는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를 첨가한 것; C층: 식물유래 PTT 수지, 식물유래 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PP, PE), 식물유래 PC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를 첨가한 것.

Description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RESIN FILM AND RESIN FILM LAMINATED ORNAMENTAL PANEL}
본 발명은 식물유래 원료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유 원료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 지구 환경에 좋은 수지필름 및 그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한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식판, 포장재료, 용기, 그 밖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필름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들은 석유 등의 유한한 자원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있어, 자원이 고갈될 염려가 있다. 또한, 이들 석유 등의 자원은, 오랜 역사에 걸쳐 지구 상의 탄소가 고정화되어서 만들어진 물질로, 이들로부터 얻어진 수지를 폐기 및 소각 등에 의해 처분할 때에,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의한 지구 환경의 악화나 온난화가 우려되고 있다.
또, 바이오매스 마크 취득을 목적으로 한 필름 재료로서 폴리 유산(PLA)을 원료로 하거나(특허문헌 1, 2 참조),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장식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이들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필름 재료로서는,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비교적 용이하게 입수할 수도 있다. 그 생성 과정을 보면,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고정이 행해지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고갈되지 않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석유계 자원보다 우수하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8-73998호 공보(폴리 유산)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8-207535호 공보(폴리 유산)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10-36341호 공보(폴리올레핀 장식 필름)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필름 재료는, 장식판 적층용 필름의 물성으로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단층 필름을 적층하여 복층 필름으로 만들거나, 장식재에 이용하기 위해서 기판에 적층하는 경우는, 필름 자체에 밀착성, 가공성, 내구성이나 난연성 등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식물유래 필름재는 이러한 특성을 충분히 갖고 있다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유래 원료를 최대한 많이 이용하여, 지구 환경의 악화나 유한 자원의 사용량 절감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품질 수지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장식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필름을 금속판 등의 기판에 적층하여, 밀착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장식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오매스 마크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수지필름의 바이오매스 비율을 높이고, 종래의 석유계 플라스틱으로 만든 수지필름과 동일한 정도의 성능을 부여한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수지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하기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
B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상용화제 및/또는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를 첨가한 것
C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를 첨가한 것
(2)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상기 (1) 기재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의 1층 이상과, 표층으로서 아래의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D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E층: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
(3)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의 1층 이상을 중간층으로 하고, 최표층 및 최하층으로서 상기 제 2실시형태의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과, 상기 제 2실시형태의 D층 또는 E층이 교대로 적층된 수지필름으로서, 상기 D층 또는 E층이 최표층 및 최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상기 제 1 내지 제 4중 하나의 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을 2종 이상,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은, 상기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에, D층을 구성하는 성분(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E층을 구성하는 성분(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1) 내지 (6)중 하나의 수지필름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층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본 발명의 단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본 발명의 단층 수지필름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본 발명의 2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본 발명의 2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본 발명의 2층 수지필름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대전방지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본 발명의 2층 수지필름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본 발명의 3층 수지필름은, 상기 (10)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내지 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본 발명의 3층 수지필름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내지 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6) 본 발명의 3층 수지필름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본 발명의 3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 본 발명의 4층 수지필름은, 상기 (10)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를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본 발명의 4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본 발명의 4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본 발명의 5층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2) 본 발명의 5층 수지필름은, 상기 (10)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본 발명의 5층 수지필름은, 상기 (10)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본 발명의 6층 수지필름은, 상기 (10)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6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9), (11) 내지 (16) 및 (23)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6)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17) 또는 (18)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7)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어느 수지층에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8)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에 엠보싱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9)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에 경면(鏡面)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상기 (2)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PBT와 PTT를 혼합한 수지가, 20~80%의 PTT 함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1) 본 발명의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은, 상기 (1)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유계 수지의 양을 절감하고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마크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수지필름의 바이오매스 비율을 높여서, 종래의 석유계 플라스틱으로 만든 수지필름과 동일한 정도의 성능을 부여한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한 장식판은 밀착성, 가공성,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2는 제 2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3은 제 3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4는 제 4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5는 제 5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6은 PBT 수지에 PTT 수지를 혼합한 경우의 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1(a)는 수지필름이 단층인 경우의 예시며, (b)는 2층, (c)는 3층, (d)는 4층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수지필름은 A층, B층 또는 C층으로 이루어진다.
수지필름이 A층인 경우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수지필름이 B층인 경우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상용화제 및 식물유래 엘라스토머(식물유래 상용화제,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는 어느 것이라도 된다)를 첨가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수지필름이 C층인 경우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를 첨가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식물유래 성분이란, 식물에서 생성된 물질을 그 출발 원료로 한 성분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A층, B층, C층을 형성하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로서는, 테레프탈산과 식물유래의 1,3 프로판디올에서 생산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A층, B층, C층을 형성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원료인 테레프탈산(질량비 70%)과 모노에틸렌글리콜(질량비 30%) 중, 모노에틸렌글리콜을 사탕수수 유래의 바이오 원료로 바꾸어 제조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A층, B층, C층을 형성하는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으로서는, 식물유래의 에틸렌글리콜을 원료로 하는 것이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 공중합체, 혼합물 또는 가교물 등을 들 수 있다.
A층, B층, C층을 형성하는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로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2011-241277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당유래의 알코올과 폴리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층을 형성하는 공중합 수지로서는,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의 일부가 다른 디카르본산의 구조로 치환된 것으로, 이 경우 다른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호박산, 아디핀산, 아제라인산, 세바신산, 네오펜틸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본산, p-옥시 안식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디카르본산 성분은, 상기 열거한 디카르본산 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지라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라도 된다. 또, 치환되는 다른 디카르본산의 양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알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다른 디올 성분으로 치환된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다른 디올 성분으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 메톡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디올 성분은, 상기 열거한 디올 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지라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라도 된다. 또, 치환되는 다른 디올의 양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A, B, C, D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상기의 공중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복층 구성의 적층 수지제막에서는, JIS-K7199에 준거해 측정되는, 전단 속도 10[l/s]에 있어서의 용해 점도가 1000[Pa·s]가 되는 수지의 온도차가 30℃ 이내, 바람직하게는 15℃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5℃ 이내가 되는 수지의 조합을 선택한다면, 시판되는 수지의 어느 것이라도 선택해서 적용할 수 있다.
<상용화제>
B층에는, 혼합물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 식물유래 상용화제를 혼합할 수 있다. 혼합량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상용화제로서는, 식물유래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상용화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유래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무수말레산 3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무수말레산 3원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3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 글리시딜 3원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틸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2 종류 이상의 상용화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B층의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로서는, 식물유래의 1, 3-프로판디올을 원료로 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듀퐁사제, 상품명 하이트렐(Hytrel) RS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본특허공개공보 2010-2547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식물유래 수지를 25질량% 이상 포함한 환경 배려형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등도 적용할 수 있다.
C층의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유래의,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프로필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프로필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부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비닐 술폰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술폰화 폴리스티렌 아이오노머, 불소계 아이오노머, 텔레케릭폴리부타디엔 아크릴산 아이오노머, 술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소화 폴리펜타머 아이오노머, 폴리펜타머 아이오노머, 폴리(비닐피리디움염) 아이오노머, 폴리(비닐트리메틸암모늄염) 아이오노머, 폴리(비닐벤질포스포늄염) 아이오노머,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우레탄 아이오노머, 술폰화 스티렌-2-아크릴 아미드-2-메틸프로판설페이트 아이오노머, 산-아민 아이오노머, 지방족계 아이노넨, 방향족계 아이노넨 등을 들 수 있다.
상용화제,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나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를 혼합함으로써, 식물유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높은 가공성이나 밀착성을 향상시킨 수지필름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도 1(b) 내지 (d)에 있어서, 같은 수지층(A, B 또는 C층)을 적층해서 수지필름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지만, 같은 수지층이라도, 층 속에 포함되는 조성물 성분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용화제, 엘라스토머, 아이오노머를 각각 다르게 한 층을 적층하기도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경우에 대해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a)는 수지필름이 2층인 경우의 예시며, (b)는 3층, (c)는 4층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2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 1층 이상과 표층으로서 아래의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E층: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또, D층 및 E층은, 종래부터 있었던 석유 유래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 2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는, 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의 수지필름을 조합한 복층 수지필름으로 함으로써, 수지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식물유래의 수지필름 위에, D층 및 E층을, 종래 수지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종래제품과 동등한 표면 특성을 유지한 복층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a)는 수지필름이 3층인 경우의 예시며, (b)는 4층, (c)는 5층, (d)는 6층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3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 1층 이상을 중간층으로 하고, 최표층 및 최하층에 상기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식물유래의 수지필름의 상하층에, 종래 수지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종래제품과 동등한 표면 특성 및 밀착성을 유지한 복층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a)는 수지필름이 3층인 경우의 예시며, (b)는 5층, (c)는 7층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4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의 수지필름과, 상기 D층 또는 E층이 교대로 적층되고, D층 또는 E층이, 최표층 및 최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수지(D층 또는 E층)와 식물유래 수지(A층, B층 또는 C층)를 교대로 적층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식물유래도를 낮추지 않고, 종래제품과 동등한 표면 특성 및 밀착성을 유지한 복층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도 5에 나타낸다. 도 5(a)는 수지필름이 4층인 경우의 예시며, (b)는 6층, (c)는 10층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5(a)는 도 2(a)의 수지필름을 2층 적층한 것이며, 도 5(b)는 도 3(a)의 수지필름을 2층 적층한 것이며, 도 5(c)는 도 4(b)의 수지필름을 2층 적층한 것이다.
제 5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은, 상기 제 1실시형태부터 제 4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2종 이상,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적층한 것이므로, 식물유래도를 낮추지 않고, 종래제품과 동등한 표면 특성 및 밀착성을 유지한 복층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 6실시형태에 따르는 수지필름은, 상기 A, B 또는 C층에, D층을 구성하는 성분(D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E층을 구성하는 성분(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식물유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종래 수지를 혼합한 수지필름으로 함으로써, 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의 식물유래의 수지필름으로 해서, 수지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하거나 밀착성을 향상시킨 수지필름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다층 구성의 수지필름 및 그 수지필름을 기재에 적층한 필름 적층재는, 가공시에 이른바 WBL(Weak Boundary Layer, 취약 경계층)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경감할 수 있으며, 피막 박리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높은 가공도의 용도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수지필름에 있어서, 각 수지필름에, 난연성이나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난연성, 내가수분해성이나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면, 유기 또는 무기 필러, 블로킹 방지제, 결정화 촉진제, 조핵제(nucleating agent), 가스 흡착제, 노화 방지제(에스테르, 아미드 등), 산화방지제, 오존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내광제, 광안정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 등), 연화제(광물유, 왁스, 파라핀류 등), 안정제, 열안정제, 윤활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말단 밀봉제, 중합방지제, 가교제, 변성제, 착색제(착색 안료, 착색 염료 등의 필름 착색 재료를 포함한다), 커플링제, 방부제, 항균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김서림 방지제, 내마모성 향상제, 광택 제거제, 소취제, 이온 교환제, 굴절률 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수지필름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엠보싱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입체감이 있는 높은 의장성을 부여하거나, 경면(鏡面) 마무리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상기의 수지필름의 표면에는, 광택 조정층을 형성해도 된다. 광택 조정층으로서는, 무색 투명하거나 착색 투명, 또는 무광 투명해도 되며, 수지필름의 표면 광택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마련하는 것이지만, 표면을 보호하는 층(하드 코팅층)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라도 된다.
<바이오매스도 25wt% 이상>
또, 본 실시형태의 수지필름에 있어서는, 수지필름 전체로서의 바이오매스도가 25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필름 전체로서의 바이오매스도가 25wt%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JBPA)로부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인정 마크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환경 부하가 작은 상업재료로서의 부가가치를 수지필름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 마크>
여기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바이오 마크에 대해 설명한다.
사회법인 일본 유기 자원 협회(JORA)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재료를 이용한 상품에 관해서 바이오매스 마크의 인정을 실시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마크의 인정은, 바이오매스 재료를 유익하게 활용해서 생산한 상품에 바이오매스 마크를 부여함으로써, 바이오매스 상품에 대한 유익한 활용을 소비자에게 알리고, 이들 상품을 보급시킴으로써, 바이오매스 재료의 이용을 촉진하여, 자연이 주는 은혜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JBPA)는, 폴리 유산과 같이, 바이오매스 원료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 재료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해서, 유기 자원(식물 등) 유래 물질을 플라스틱 구성 성분으로서 소정량 이상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제품을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과, 화석 자원 소비 감축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식별 표시 제도를 제정하고, 당협회가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서 인증함으로써, 일반 소비자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제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심볼 마크의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식별 인정을 위해서는, 제품 중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도(원재료, 제품에 포함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조성 중의 바이오매스 유래 성분의 전체량에 대한 비율)가, 25wt% 이상인 플라스틱 제품일 필요가 있다. 즉, 수지필름에 있어서의 바이오매스 재료 비율을 최대한 높게(최저라도 25wt% 이상)하는 것은, 지구 환경에 대한 부하를 생각해도 매우 중요하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인정 마크를 취득함으로써, 소비자의 입장에서 부가가치로서 인식되는 점을 생각하면, 필요한 사항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주요 취지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수지필름도, 바이오매스 재료 비율을 최대한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인쇄층>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본 발명의 수지필름 중 하나의 층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지필름에는, 착색이나 모양 형성을 위해서, 인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잉크의 용제인 석유계 용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바이오매스 유래의 알코올이나 바이오매스 유래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얻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쇄 잉크로 치환함으로써, 인쇄성을 저해하지 않고 잉크의 증발 건조성과 기계 상의 안정성 간의 밸런스가 우수한, 환경을 생각하는 잉크에 의해서 인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식판은, 본 발명의 수지필름을,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한 장식판은, 금속판 같은 기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장식판의 가공시에도 수지필름의 층간 박리나 기판과의 박리가 없으며, 각종 성형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
<접착제>
수지필름끼리나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일반적인 접착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초산비닐수지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계, 요소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등의 에멀젼형 접착제가 이용되는데, 화기에 대해서 안전하고, 악취도 없으며, 가격면에서도 염가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밖에,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등의 에멀젼형 접착제나, 에폭시-페놀 수지계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접착제는, 이들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접착제의 성분으로 적용되는 수지로서는, A, B, C층의 수지에 대해 반응성 또는 친화성을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반응성 또는 친화성을 갖는다는 것은, A, B, C층의 수지와 친화성이 높은 관능기나,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특성을 갖는 관능기의 예로서는, 산무수물기, 카르본산기, 카르본산 에스테르기, 카르본산 염화물기, 카르본산 아미드기, 카르본산염기, 술폰산기, 술폰산 에스테르기, 술폰산 염화물기, 술폰산 아미드기, 술폰산염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또는 옥사졸린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또, 수지필름끼리 적층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쇄층이 수지필름 사이에 있는 적층에서는, 인쇄 잉크에 접착성을 부여한 비히클 등을 적용함으로써, 접착제층을 특별히 구비하지 않아도 적층할 수 있다.
<윤활제>
윤활제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고급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유도체,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아미드, 올레인산 아미드, 엘신산 아미드, 에르카산 아미드, 베헨산 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인산 아미드 등의 유기계 윤활제, 또는 이산화규소,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의 실리카계,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산화알류미늄, 황산바륨 등의 무기계 윤활제 등,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윤활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압출기를 이용해 수지 내에 윤활제를 혼련할 때에, 압출기 내의 필터의 막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부정형 윤활제보다 진원형 윤활제가 바람직하지만, 부정형 윤활제의 경우 윤활제를 이용한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상기의 윤활제로서는 평균 입경이 0.5~10㎛, 바람직하게는 1~5㎛인 미세 분말을 이용한다. 이 미세 분말은 장식 필름의 접착 수지층 내에 0.05~3질량%, 바람직하게는 0.1~0.3질량% 함유시킨다. 이와 같은 적합한 범위의 입경을 갖는 미세 분말을 적합한 범위의 함유 비율로 수지 내에 함유시킴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저해하지 않고, 필름의 권취 형상을 개선하며, 주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단,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와 같은 윤활제 이외에, 광안정제, 래디칼 포착제, 산화방지제 등이나, 프로세스 안정제, 금속 불활성화제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지의 내열성, 내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나, 가공 보조제, 그 밖에 일반적으로 수지의 가공성 향상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대전방지제>
대전방지제로서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성계 대전방지제 등이 적용되지만, 특히 양이온계 대전방지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양이온계의 경우, 특히 필름 표면에 형성한 도포층의 대전 방지 효과가, 장식 시트로 했을 때 표면에도 미치는 점에서 우수하며, 그 효과가 고도로 달성된다.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중에서도, 특히, 주쇄에 피롤리디움 고리를 갖는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화물,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화물/디메틸 암모늄 염화물/N-메틸올 아크릴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단,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살리실레이트계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자외선 열화 방지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각 수지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용해 혼련해서 사용한다. 혼합 및 혼련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해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혼련하면서 수지필름으로 만들 수 있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가닥(strand) 형상으로 압출하고, 펠릿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얻어진 수지필름은, 또한,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박막화, 고강도화할 수 있다.
또, 연신 후의 열 고정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수축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연신은 롤간 연신, 텐터법 연신, 튜뷸러 연신, 텐터법 동시 2축 연신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적층 필름은, 일반적으로 공지의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층과 제 2층을 접착제로 건식 라미네이트해서 적층할 수도 있다.
또, 제 1층의 수지필름 상에 제 2층을 압출하면서 적층 수지필름으로 하는 압출 적층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 3대 이상의 압출기로 동시에 압출하여, 공급 블록이나 슬리브 내에서 적층하는 공압출 방법으로도 생산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1회의 압출로 생산할 수 있고 효율도 높은 공압출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압출법은, T-다이법이나 써큘러 다이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얻어진 필름을 1축 연신, 2축 연신함으로써,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도 향상된다.
또한, 수지필름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제막방법으로서는, 시판되는 필름을 이용하여, 가압롤 등을 이용해 적층해도 되지만,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42744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69139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159537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030258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제막방법을 이용하여 제막할 수도 있다.
<PTT 수지의 혼합 효과>
도 6은 PBT 수지에 PTT 수지를 혼합한 경우 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PBT 수지, PTT 수지의 탄성률은, 단일체의 경우 모두 온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PBT 수지, PTT 수지의 Tg(유리 전이 온도)는 모두 45℃ 전후며, 도 6으로부터, 그 온도 대역에서 PBT/PTT 혼합 수지의 탄성률이 특이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PTT 수지의 함유율이 20~80%에 있어서는, 45℃에서의 탄성률이 극소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Tg부근에서의 가공성은, PTT 수지 함유율을 20~80%, 바람직하게는 30~70%, 더 바람직하게는 40~60%로 할 경우, 양호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Tg보다 고온대역에서 성형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공구 등에 부착되거나 수지층 표면이 거칠어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쉽다. 그러나,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공 온도를 높이고 탄성률을 낮출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결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PBT/PTT 혼합 수지에서는, PTT 함유율을 최적화함으로써, Tg 근방의 온도대역에서도 탄성률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가공성이 양호한 수지층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들 PBT/PTT 혼합 수지에 의한 가공성 향상의 효과는, 해당 혼합 수지 단층의 필름뿐만 아니라, 복층 구성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도 충분히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메카니즘의 상세한 내용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탄성률이 낮은 층을 구비함으로써, 가공시 응력 분산의 효과가 얻어지며, 그 때문에 피막 전체의 가공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추측된다.
또, 탄성률은, JIS K 7161(플라스틱-인장 특성 시험방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해서 구했다.
우선,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을 폭 5㎜, 길이 50~60㎜인 인장 시험편으로 절단한다. 이 인장 시험편을, 측정 환경이 소정의 설정 온도로 유지된 인장 시험기(텐시론)를 이용해서 크로스 헤드 간격 20㎜, 인장 속도 200㎜/분으로 공칭응력-신도 곡선을 측정하고, 공칭 응력 σ0으로 신도 El을 구한다.
신도 El은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L0: 인장전의 시료의 길이, L: 인장 후의 시료의 길이이다.
얻어진 공칭 응력-신도 곡선에 있어서, 신도 2~4% 부근에서 직선성이 유지되고 있는 범위에서의 구배로부터 최소 제곱법에 의해, 아래의 식으로 탄성률 E를 구했다.
Figure pct00002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수지필름의 층 구성을,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D층(PBT 수지)/A층(식물유래 PTT)의 2층으로 구성하고, D층 두께: 50㎛/A층의 두께:150㎛로 했다.
다음에, 이 2층 수지필름을, A층이 기판(아연 도금 강판)에 접하도록 하고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했다.
다음에, 프레스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가공 온도 45℃에서 절곡 가공을 실시한 바, 수지필름의 박리가 없는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었고, 장식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수지필름의 층 구성을,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E층(공중합 PET 수지)/B층(식물유래 PC)/D층(PBT와 PET의 혼합)의 3층으로 구성하고, E층 두께: 50㎛/B층 두께:150㎛/D층 두께: 50㎛의 적층 수지필름을 제조했다.
다음에, 프레스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가공 온도 45℃에서 절곡 가공을 실시한 바, 수지필름의 박리가 없는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었고, 장식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수지필름은 단층 필름으로 하고,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로서는, 테레프탈산과 식물유래의 1,3 프로판디올에서 생산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서는, 식물유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종래형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 착색제로서는, 착색 안료, 착색 염료 등의 필름 착색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 3의 수지필름은,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100㎛의 단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로서 DIC(주) 제의 마스터배치(평균 입경 5㎛의 부정형 윤활제를 5질량% 포함한다)를 3질량% 혼련하고, 해당 수지 내에 윤활제가 0.15질량% 포함되도록 조정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로 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수지필름은 단층 필름으로 하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4의 수지필름은,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안료 4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90㎛의 단층 필름으로 했다.
또, PTT와 PBT와 PET의 혼합 질량비는 3:1:1(PTT 함유율=57.6질량%)로 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수지필름은 2층 필름으로 하고,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5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10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로 9:1(PTT 함유율=76.5질량%)의 2 종류로 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수지필름은 2층 필름으로 하고,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6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안료 4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40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2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9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와 PET의 혼합 질량비는 2:1:2(PTT 함유율=24질량%)로 하고,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1:1(PTT 함유율=30질량%)로 했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수지필름은 2층 필름으로 하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대전방지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산요화성공업(주) 제의 페레스탯 NC6321를 10질량% 이용했다.
실시예 7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대전방지제(10질량%), 착색제(안료 3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36질량%)로 했다.
<실시예 8>
실시예 8의 수지필름은 2층 필름으로 하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8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2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7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48질량%)로 했다.
<실시예 9>
실시예 9의 수지필름은 3층 필름으로 하고, 실시예 10에 따르는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제 1층~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9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안료 4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4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4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2:3: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90㎛의 3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BT와 PET의 혼합 질량비는 1:1로 하고,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7.6질량%)와,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4:1(PTT 함유율=76.8질량%)의 2 종류로 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의 수지필름은 3층 필름으로 하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제 1층~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0의 수지필름은 다음과 같이 해서 제작했다.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대전방지제(10질량%), 및 착색제(안료 3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3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2: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0㎛의 3층 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대전방지제는 실시예 7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1:1(PTT 함유율=35질량%)로 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의 수지필름은 3층 필름으로 하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11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2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20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두께비 2:2: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70㎛의 3층 필름으로 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48질량%)로 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의 수지필름은 3층 필름으로 하고,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12의 수지필름은,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하여 두께 50㎛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두께 25㎛의 시판되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필름의 하부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하고, 인쇄층과 상기 착색 수지층을 중첩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nip pressure):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로 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의 수지필름은 4층 필름으로 하고, 실시예 10에 따르는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를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13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안료 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6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그 후, 두께 25㎛의 시판되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필름의 하부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하고, 인쇄층과 상기 윤활제가 들어 있지 않은 착색 수지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와,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1: 3(PTT 함유율=21.3질량%)의 2 종류로 했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의 수지필름은 4층 필름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DIC(주) 제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마스터배치((주) ADEKA제 아데카스타브 LA-31을 20질량% 포함한다)를 10질량% 혼련하고, 해당 수지 내에 자외선 흡수제가 2.0질량% 포함되도록 조정했다.
실시예 14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8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5㎛의 2층 필름으로 했다. 그 2층 필름의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지 않은 층의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여 성막한 필름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3:2(PTT 함유율=60질량%과 51질량%)와,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4:1(PTT 함유율=80질량%과 68질량%)의 4 종류로 했다.
<실시예 15>
실시예 15의 수지필름은 4층 필름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5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 중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두께비 1:3으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그 2층 필름의 공중합 PET층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여 성막한 필름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자외선 흡수제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로 했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의 수지필름은 5층 필름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6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6:2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5㎛의 3층 필름으로 했다. 그 3층 필름의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지 않은 층의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압출하여 성막한 필름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자외선 흡수제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3:2(PTT 함유율=60질량%과 51질량%)로 했다.
<실시예 17>
실시예 17의 수지필름은 5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10에 따르는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7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8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5㎛의 2층 필름으로 했다. 그 2층 필름의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지 않은 층의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 중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80㎛의 2층 필름으로 하고, 그 2층 필름의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층의 면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자외선 흡수제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3:2의 경우(PTT 함유율=60질량%과 51질량%)와,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4:1의 경우(PTT 함유율=80질량%과 68질량%)의 4 종류로 했다.
<실시예 18>
실시예 18의 수지필름은 5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10에 따르는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8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15mol%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두께비 1:3으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0㎛의 2층 필름으로 했다. 그 2층 필름의 공중합 PET층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100㎛의 2층 필름으로 하고, 그 2층 필름의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층의 면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자외선 흡수제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3:2(PTT 함유율=51질량%)와,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1:2(PTT 함유율=28.3질량%)의 2 종류로 했다.
<실시예 19>
실시예 19의 수지필름은 6층 수지필름으로서, 실시예 10에 따르는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에 윤활제를 함유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6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그리고,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9의 수지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5질량%),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과,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1:6:2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45㎛의 3층 필름으로 했다. 그 3층 필름의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지 않은 층의 표면에 그라비아 윤전기에 의해 베타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인쇄했다.
그 후, 별도로, 공압출에 의해 압출기에서 가열 용해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의 혼합 조성물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안료 15질량%) 및 윤활제(0.15질량%)의 혼합 조성물을, 두께비 4:1로 T다이로부터 캐스팅롤 상으로 압출해서, 두께 80㎛의 2층 필름으로 하고, 그 2층 필름의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층의 면과 상기 인쇄 필름의 인쇄층 쪽을 중첩시킨 후, 압착용 롤의 가열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압착용 닙 압력: 2.45㎫의 조건으로 양 필름을 가열 압착해 적층하여, 적층 수지필름으로 했다.
자외선 흡수제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또, PTT와 PBT의 혼합 질량비는 모두 3:2(PTT 함유율=60질량%과 51질량%)로 했다.
<실시예 20>
실시예 20의 수지필름은, 상기 실시예 4, 6~11 및 18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구성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여기서, 2~15몰%로 하는 이유는, 테레프탈산을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함으로써, 결정성이나 융점이 저하됨과 아울러 유연성이 증가되지만, 2%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적고, 15몰%을 초과하면, 융점이 너무 저하되고, 또 너무 연화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21>
실시예 21의 수지필름은, 상기 실시예 12 또는 13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구성하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하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여기서, 2~15몰%로 하는 이유는, 실시예 20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시예 22>
실시예 22의 수지필름은, 상기 실시예 1~21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구성하는 하나 이상 중 하나의 수지층에 윤활제를 포함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윤활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의 수지필름은, 실시예 1~22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가장 나중에 적층한 층)에, 롤 가공에 의해서 엠보싱 요철부를 형성하여, 입체감이 있는 높은 의장성을 부여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23의 수지필름은, 먼저 형성한 수지필름을, 엠보싱 롤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엠보싱 압력: 2.45㎫의 조건으로, 최표면을 가열 가공해 엠보싱 요철을 형성했다.
<실시예 24>
실시예 24의 수지필름은, 실시예 1~22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가장 나중에 적층한 층)에, 롤 가공에 의해서 경면을 형성하고, 경면 마무리하여 높은 의장성을 부여한 수지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24의 수지필름은, 먼저 형성한 수지필름을, 경면롤 온도: 120℃, 수지필름의 전송 속도: 20m/min, 가공 압력: 1㎫의 조건으로, 최표면을 가열 가공해 경면 가공했다.
<실시예 25>
실시예 25의 수지필름은, 실시예 1~24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에 있어서, PBT와 PTT를 혼합한 수지가, 20~80%의 PTT 함유율을 갖는 수지필름으로 했다.
또, PTT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0~70%, 더 바람직하게는 40~60%로 한다. 즉, 도 6으로부터, PTT 수지의 함유율이 20~80%에 있어서는, 45℃에서의 탄성률이 극소치를 나타내고, Tg부근에서의 가공성은, PTT 수지 함유율을 20~80%, 바람직하게는 30~70%, 더 바람직하게는 40~60%로 하면 양호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결과, PBT/PTT 혼합 수지에서는, PTT 함유율을 최적화함으로써, Tg 근방의 온도대역에서도 탄성률을 낮게 할 수 있어 가공성이 양호한 수지층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26의 수지필름은, 실시예 1~25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기판의 일면에 적층하여,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으로 했다. 여기서는,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이용했다. 즉, 실시예 1~25에 따르는 수지필름을, 두께 0.5㎜의 상기 아연 합금 도금 강판에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10g/㎡의 도포량으로 도포한 기재를 가열 온도: 210℃, 접착 압력: 1.47㎫, 압착 시간: 5초의 조건으로 가열 압착하여 적층하고,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가공 온도 45℃에서 프레스 브레이크를 이용해 절곡 가공을 실시한 바, 수지필름의 박리가 없는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었고, 장식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수지필름은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마크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수지필름의 바이오매스 비율을 높이고, 종래의 석유계 플라스틱으로 만든 수지필름과 동일한 정도의 성능을 부여한 식물유래 원료를 이용한 수지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수지필름을 기판에 적층한 장식판은, 밀착성, 가공성,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31)

  1. 하기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A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
    B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상용화제 및/또는 식물유래 엘라스토머를 첨가한 것
    C층: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식물유래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식물유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에, 식물유래 아이오노머를 첨가한 것
  2. 제 1항 기재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의 1층 이상과, 표층으로서 아래의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D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E층: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
  3. 제 1항 기재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의 1층 이상을 중간층으로 하고, 최표층 및 최하층으로서 제 2항 기재의 D층 또는 E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4. 제 1항 기재의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과, 제 2항 기재의 D층 또는 E층이 교대로 적층된 수지필름으로서, 상기 D층 또는 E층이 최표층 및 최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수지필름을 2종 이상,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래 수지층(A, B 또는 C층)에,
    D층을 구성하는 성분(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E층을 구성하는 성분(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7. 제 1항 내지 제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층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8.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수지필름.
  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수지필름.
  10.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수지필름.
  11.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또는 제 2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수지필름.
  12.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대전방지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수지필름.
  13.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수지필름.
  14. 제 10항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내지 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수지필름.
  15.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층 내지 제 3층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수지필름.
  16.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수지필름.
  17.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수지필름.
  18. 제 10항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를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층 수지필름.
  19.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층 수지필름.
  20.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층 수지필름.
  21.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착색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제 1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 2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3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층 수지필름.
  22. 제 10항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층 수지필름.
  23. 제 10항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층 수지필름.
  24. 제 10항 기재의 2층 수지필름의 구성을 제 1층 및 제 2층으로 하고,
    그 제 2층 위에 제 3층으로서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4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5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제 6층으로서,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 이외의 수지필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식물유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층 수지필름.
  25. 제 9항, 제 11항 내지 제 16항 및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26.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O-PET)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산성분인 테레프탈산의 2~15몰%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27.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어느 수지층에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에 엠보싱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29.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필름의 최표층이 되는 층에 경면(鏡面)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30. 제 2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BT와 PTT를 혼합한 수지가, 20~80%의 PTT 함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31. 제 1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수지필름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KR1020157013278A 2012-10-26 2013-10-24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KR20150079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7177 2012-10-26
JP2012237177 2012-10-26
PCT/JP2013/078856 WO2014065380A1 (ja) 2012-10-26 2013-10-24 樹脂フィルム、および樹脂フィルム積層化粧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716A true KR20150079716A (ko) 2015-07-08

Family

ID=5054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78A KR20150079716A (ko) 2012-10-26 2013-10-24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70709B2 (ko)
KR (1) KR20150079716A (ko)
CN (1) CN104837626B (ko)
TW (1) TWI630112B (ko)
WO (1) WO2014065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88B1 (ko) * 2014-06-20 2021-11-25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소취 마스크
JP6746284B2 (ja) * 2015-09-07 2020-08-26 大和製罐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紫外線カットフィルム
CN106633771B (zh) * 2016-12-23 2019-03-15 四川东方绝缘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耐高温阻燃薄膜或片材及其制备方法
JP6947052B2 (ja) * 2017-01-23 2021-10-1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多層フィルム
JP6930155B2 (ja) * 2017-03-16 2021-09-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JP6930154B2 (ja) * 2017-03-16 2021-09-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WO2021241745A1 (ja) * 2020-05-29 2021-12-02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孔質延伸フィルム及び印刷用フィルム
WO2022004701A1 (ja) 2020-06-30 2022-01-06 株式会社クラレ ガスバリア樹脂組成物、ガスバリア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WO2022065379A1 (ja) * 2020-09-24 2022-03-31 東洋製罐株式会社 延伸多層フィルム及びこれから成る包装袋
TW202402526A (zh) * 2022-03-15 2024-01-16 日商凸版印刷股份有限公司 裝飾片及裝飾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8090A1 (fr) * 1999-11-19 2001-05-31 Toyo Kohan Co., Ltd. Couche mince de resine d'impression pour plaque decorative stratifiee, plaque decorative comprenant la couche mince de resine stratifiee et bain unitaire et porte de refrigerateur utilisant la plaque decorative
JP4463508B2 (ja) * 2003-07-04 2010-05-19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化粧フィルム及び積層化粧シート
JP2007137001A (ja) * 2005-11-22 2007-06-07 Riken Technos Corp 高光沢化粧シート
WO2008143269A1 (ja) * 2007-05-17 2008-11-27 Teijin Limited 植物由来成分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CN101518971B (zh) * 2008-02-29 2012-07-18 E.I.内穆尔杜邦公司 聚酯叠层膜和使用该叠层膜的太阳能电池板
JP5206052B2 (ja) * 2008-03-19 2013-06-12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5191776B2 (ja) * 2008-03-31 2013-05-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EP2263112A2 (en) * 2008-03-31 2010-1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layer for multilayer optical film
JP2010234572A (ja) * 2009-03-30 2010-10-21 Toppan Cosmo Inc 植物由来化粧シート
WO2012142271A1 (en) * 2011-04-12 2012-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barrier packaging derived from renewable re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380A1 (ja) 2014-05-01
TWI630112B (zh) 2018-07-21
CN104837626A (zh) 2015-08-12
TW201422432A (zh) 2014-06-16
JPWO2014065380A1 (ja) 2016-09-08
JP6370709B2 (ja) 2018-08-08
CN104837626B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9716A (ko) 수지필름 및 수지필름 적층 장식판
JP4742123B2 (ja) 樹脂被覆金属板、及び樹脂被覆金属板用の意匠シート
TWI396625B (zh) 多層物件以及製造多層物件的方法
TW201242766A (en) Laminated film, metal sheet covered by laminated film used for screen board, designed wooden sheet and designed plastic sheet
KR20120041974A (ko) 다층 생분해성 필름
JP200422405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4084B2 (ja) 金属板被覆用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JP6943057B2 (ja) レーザ発色性シート、および、カード
JP5034193B2 (ja) 転写箔用積層フィルム
KR100884177B1 (ko) 적층 수지시트, 엠보스 부여 시트 및 피복기재
JP2004224049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8128B2 (ja) 金属板被覆用積層シ−ト、および該積層シートで被覆した金属板
JP2004224048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524731A (en) Emboss-designed sheet and metal plate covered with emboss-designed sheet
JP2008143024A (ja) マット化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壁紙
JP6741661B2 (ja) 多層プラスチックカード
JP5741878B2 (ja) 鋼板被覆用フィルム
JP4664111B2 (ja) 意匠性積層シート、および意匠性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JP2008279686A (ja) 積層シ−ト、エンボス意匠シートおよびエンボス意匠シート被覆金属板
JP5116241B2 (ja) 積層シ−ト、エンボス意匠シートおよびエンボス意匠シート被覆金属板
JP2008254348A (ja) 金属板被覆用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JP2001270055A (ja) 建材用ポリエステル系シート
JP3936260B2 (ja) 多層樹脂シート
JP2008100383A (ja) 積層シ−ト、エンボス意匠シートおよびエンボス意匠シート被覆金属板
JP2005014592A (ja) 多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