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68A -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68A
KR20150076068A KR1020140147281A KR20140147281A KR20150076068A KR 20150076068 A KR20150076068 A KR 20150076068A KR 1020140147281 A KR1020140147281 A KR 1020140147281A KR 20140147281 A KR20140147281 A KR 20140147281A KR 20150076068 A KR20150076068 A KR 2015007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rane
girder
type
cr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후미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저감률을 낮게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주행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크레인(3, 4)을 다른 궤도(17) 상에 배치하여, 일방의 도어형 크레인의 다리부의 하단부를 타방의 도어형 크레인의 거더의 하방으로 돌출시켜 배치하고, 거더(10, 13)끼리를 접근시켜 접촉시킨다. 이로써, 거더끼리의 간격(b)을 작게 하여, 저감률(η)을 작은 값으로 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걸리는 풍하중(W)을 작게 한다. 또, 다리부(9, 12)의 하단부(9a, 12a)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킴과 함께 거더끼리를 접촉시켜,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고박함으로써,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일체로 하여 풍하중을 부담시켜 내력을 결집한다.

Description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door-type crane}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6978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휴지 시에 있어서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 쌍의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한 도어형의 크레인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크레인은, 레일 위를 주행하기 위한 한 쌍의 주행 장치와, 한 쌍의 주행 장치로부터 상방으로 뻗은 지주와, 크레인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는 한 쌍의 지주에 걸쳐 놓여진 교량 트러스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항만 시설에 있어서, 공용 레일 위를 주행하는 복수의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공보 2008-529926호
옥외에 설치된 도어형 크레인에서는, 강풍 시에 있어서 운전을 정지하고, 크레인이 바람에 의하여 레일로부터 부상(浮上)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공용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2대의 크레인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크레인끼리를 연결시켜 고박(固縛)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인접하는 크레인이 공용의 레일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크레인끼리를 접근시키려면 한계가 있었다. 크레인 구조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걸리는 풍하중(W)의 계산에서는,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2면 이상 겹쳐져 있을 때는,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제1 면의 투영 면적(A1)에,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제2 면 중 제1 면과 겹쳐져 있는 부분의 투영 면적(A2)에 저감률(η)을 곱하여 얻은 면적을 더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저감률(η)은, 제1 면과 제2 면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은 값이 되고(JISB8830 크레인풍하중의 평가), 저감률(η)이 작은 값이면, 저감률(η)이 큰 값인 경우와 비교하여, 풍하중(W)이 작은 것이 된다. 크레인끼리의 간극이 커질수록, 풍하중(W)이 커지기 때문에, 크레인을 접근시켜 저감률(η)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일체로 하여 내력을 결집함과 함께 저감률을 낮게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궤도를 따라 주행 가능한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로서, 상기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도어형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진 거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끼리는, 상기 폭방향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대향하는 상기 거더끼리는 상기 주행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접근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지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주행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크레인이 서로 다른 궤도 위를 주행하므로, 일방의 도어형 크레인의 다리부의 하단부를 타방의 도어형 크레인의 거더의 하방으로 돌출시켜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거더끼리를 접근시켜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거더끼리의 간격(b)을 작게 하여, 저감률(η)을 작은 값으로 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걸리는 풍하중(W)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다리부의 하단부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킴과 함께 거더끼리를 접촉시켜,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고박함으로써,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일체로 하여 풍하중을 부담시켜 내력을 결집할 수 있다. 이로써, 고박된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에 의한 전체의 내력 향상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상기 거더에는, 상기 주행 방향에 대향하는 타방의 상기 거더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끼리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돌출부끼리를 접촉시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거더끼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는, 전달되는 힘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접촉부끼리가 스쳐 마모되는 것이 회피된다.
도어형 크레인은, 지면에 대하여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는 일주(逸走) 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다리부를 각각 독립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각의 다리부에 대하여 일주 방지 장치가 마련되고, 모든 다리부가 독립하여 지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 한 쌍의 다리부는, 폭방향의 강성이 약한 쪽의 다리부인 요각(搖脚)과, 요각보다 폭방향의 강성이 강한 다리부인 강각(剛脚)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 중 일방인 제1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거더의 일단측에 상기 요각이 배치되고, 상기 거더의 타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 중 타방인 제2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거더의 일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고, 상기 거더의 타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며, 상기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요각을 고정하는 요각용 일주 방지 장치와, 상기 강각을 고정하는 강각용 일주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요각용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강각용 일주 방지 장치보다 큰 여유를 허용하여, 상기 요각을 고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거더의 단부측에서, 요각과 강각이 주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강각을 고정하는 일주 방지 장치의 여유가, 요각을 고정하는 일주 방지 장치의 여유보다 크기 때문에, 강각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어, 강각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다리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 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한 개의 상기 다리부에 대하여, 상기 폭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부상 방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폭방향에 있어서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된 부상 방지 장치에 의하여 부하를 복수로 분산시켜, 다리부를 부상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는, 조선소에 설치된 골리앗 크레인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을 일체로 하여 내력을 결집함과 함께 저감률(η)을 낮게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 크레인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골리앗 크레인의 요각인 다리부를, 내측(풀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이며, 골리앗 크레인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골리앗 크레인의 거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거더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거더의 더블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거더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다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리부의 부상을 방지하는 타이 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 크레인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더블 박스형의 거더를 접근시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에 있어서, (a) 풍하중(W)의 계산에서 사용되는 저감률(η), 충실률(φ) 및 간격률(b/h)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 형강 구조에 의한 거더의 높이(h) 및 면 간의 거리(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 상자형 구조에 의한 거더의 높이(h) 및 면 간의 거리(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선소의 도크(1)는 복수의 골리앗 크레인(도어형 크레인)을 가지는 크레인 시스템(2)을 구비한다. 크레인 시스템(2)은, 제1 골리앗 크레인(3) 및 제2 골리앗 크레인(4)을 가진다. 도크(1)에는, 예를 들면 건조 중인 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풀(5)이 마련되고, 이 풀(5)의 양측에는 안벽(6, 7)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은, 안벽(6, 7)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8, 9)와, 한 쌍의 다리부(8, 9)에 걸쳐 놓여진 거더(1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골리앗 크레인(4)은, 안벽(6, 7)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11, 12)와, 한 쌍의 다리부(11, 12)에 걸쳐 놓여진 거더(13)를 구비하고 있다.
풀(5)에 인접하는 일방의 안벽(6)은, 풀(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타방의 안벽(7)보다 넓은 폭(도시한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을 가지고 있다. 일방의 안벽(6)은, 예를 들면, 조선 시 등에 있어, 각종 부품, 블록체 등을 재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안벽(6, 7) 상에는, 각각 레일(궤도)(14~17)이 마련되어 있다. 레일(14~17)은, 풀(5)의 길이 방향(도시한 Y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레일(14, 16)은 안벽(6) 상에 배치되고, 레일(15, 17)은 안벽(7)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은 한 쌍의 레일(14, 15)을 따라 주행하고, 제2 골리앗 크레인(4)은 한 쌍의 레일(16, 17)을 따라 주행한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은, 한 쌍의 다리부(8, 9)로서, 강각인 다리부(8)와 요각인 다리부(9)를 가진다. 강각의 도시한 X방향의 강성은, 요각의 도시한 X방향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리부(8)는 안벽(6)의 레일(14) 위를 이동 가능하고, 다리부(9)는 안벽(7) 상의 레일(15) 위를 이동 가능하다. 다리부(8, 9)의 하단부(8a, 9a)에는, 레일(14, 15)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1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주행 장치(18)에는 복수의 차륜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은, 거더(1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트롤리(19)를 가지고, 트롤리(19)에는, 중량물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매달아 올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은, 중량물을 매달아 올림과 함께 반송할 수 있다.
제2 골리앗 크레인(4)은, 한 쌍의 다리부(11, 12)로서, 강각인 다리부(11)와 요각인 다리부(12)를 가진다. 강각의 도시한 X방향의 강성은, 요각의 도시한 X방향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리부(11)는 안벽(6)의 레일(16) 위를 이동 가능하고, 다리부(12)는 안벽(7) 상의 레일(17) 위를 이동 가능하다. 다리부(11, 12)의 하단부(11a, 12a)에는, 레일(16, 17)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1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주행 장치(18)에는 복수의 차륜이 마련되어 있다.
제2 골리앗 크레인(4)은, 거더(13)를 따라 이동 가능한 트롤리(19)를 가지고, 트롤리(19)에는, 중량물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매달아 올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골리앗 크레인(4)은, 중량물을 매달아 올림과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거더(10, 13)를 접근시킨 상태의 크레인 시스템(2)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크레인 시스템(2)을 내측(다리부(8, 11)측)으로부터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거더(10, 13)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에는, 크레인의 주행 방향(Y방향)에 대향하는 상대측의 거더(1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인 스토퍼(21)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1)는, 거더(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거더(13)에는, 주행 방향에 대향하는 상대측의 거더(10)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인 스토퍼(22)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2)는, 거더(1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21, 22)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의 선단부끼리가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21, 22)의 선단부에는, 전달되는 힘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 스프링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거더(10, 13)에 있어서, 일방의 단부측인 다리부(8, 11)측에 배치된 스토퍼(21, 22)는, 위에서 보았을 경우에, 다리부(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거더(10, 13)에 있어서, 타방의 단부측인 다리부(9, 12)측에 배치된 스토퍼(21, 22)는, 위에서 보았을 경우에, 다리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거더(1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는 더블 박스형의 거더이며, 단면이 직사각형인 상자형의 강도 부재(10a, 10b)를 가진다. 한 쌍의 강도 부재(10a, 10b)는 길이 방향(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거더(13)는, 더블 박스형의 거더이며, 한 쌍의 강도 부재를 구비한다.
[일주(逸走) 방지 장치]
다리부(8)의 하단부(8a)에는, 다리부(8)를 안벽(지면)의 기초 철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일주 방지 장치(2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일주 방지 장치(23)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주 방지 장치(23)는, 다리부(8)의 하단부(8a)에 고정된 본체(23a)와, 본체(23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주 부재(23b)를 가진다. 본체(23a)에는, 지주 부재(23b)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마련되어 있다.
또, 안벽(6)에는, 지주 부재(23b)가 끼워지는 수용부(24)(기초 철구조물)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24)에는, 지주 부재(23b)와 당접하여 지주 부재(23b)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지지 철구조물(24a)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철구조물(24a)은, 크레인의 주행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골리앗 크레인(3)의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지주 부재(23b)를 강하시켜 지지 철구조물(24a) 사이에 삽입한다. 지주 부재(23b)와 지지 철구조물(24a)이 당접하여, 지주 부재(23b)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다리부(8)의 이동을 구속한다.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철구조물(24a) 간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여유를 작게 하여, 지지 철구조물(24a)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또, 도 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철구조물(24a) 간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여유를 크게 할 수 있다.
일주 방지 장치(23)는, 다리부(8) 외에, 다리부(9, 11, 12)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일주 방지 장치(23)는, 각 다리부(8, 9, 11, 12)의 하단부(8a, 9a, 11a, 12a)에 있어서, 크레인의 주행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주행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며, 또한,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일주 방지 장치(23)는, 하단부(8a, 9a, 11a, 12a)에 마련된 주행 장치(18)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그 외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리부(8, 9, 11, 12)에 있어서, 주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강도 부재(실빔(Sill Beam))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부상(浮上) 방지 장치]
다리부(8)의 하단부(8a)에는, 다리부(8)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 방지 장치(타이 다운 장치)(25)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부상 방지 장치(25)가 마련된 다리부(8)의 하단부(8a)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서는, 레일(14)이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부상 방지 장치(25)는, 레일(14)을 사이에 두고 크레인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부상 방지 장치(25)는, 레일(14)이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부상 방지 장치(25)는, 다리부(8)의 하단부(8a)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봉형상 부재(25a)를 가진다. 봉형상 부재(25a)의 하단에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턱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안벽(6)에는, 지상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뻗은 한 쌍의 걸쇠부재(25c)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걸쇠부재(25c)는, 크레인의 폭방향에 있어서, 턱부(25b)를 사이에 두도록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걸쇠부재(25c)의 상단부는, 턱부(25b)의 상방으로 봉형상 부재(25a)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크레인의 폭방향에 있어서, 걸쇠부재(25c)의 상단부와 턱부(25b)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강풍 등에 의하여, 다리부(8)가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는 경우에는, 턱부(25b)가 걸쇠부재(25c)의 상단부에 걸려, 다리부(8)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로써, 다리부(8)의 부상이 방지된다.
부상 방지 장치(25)는, 다리부(8) 외에, 다리부(9, 11, 12)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골리앗 크레인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태풍이 접근하고 있을 때는, 일기 예보에 의하여 아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골리앗 크레인의 운전을 정지한다. 강풍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도 1~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골리앗 크레인(3) 및 제2 골리앗 크레인(4)을 주행 방향(Y방향)으로 접근시켜 배치한다.
거더(10, 13)를 접근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골리앗 크레인(3)의 다리부(9)의 하단부(9a)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2 골리앗 크레인(4)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측방(X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하단부(9a)는 거더(13)의 하방까지 돌출하고 있다. 거더(10, 13)를 접근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2 골리앗 크레인(4)의 다리부(12)의 하단부(12a)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1 골리앗 크레인(3)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하단부(12a)는 거더(10)의 하방까지 돌출하고 있다.
거더(10, 13)를 접근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골리앗 크레인(3)의 다리부(8)의 하단부(8a)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2 골리앗 크레인(4)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하단부(8a)는 거더(13)의 하방까지 돌출하고 있다. 거더(10, 13)를 접근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2 골리앗 크레인(4)의 다리부(11)의 하단부(11a)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1 골리앗 크레인(3)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하단부(11a)는 거더(10)의 하방까지 돌출하고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 13)를 가장 접근시켰을 경우에 있어서, 거더(10, 13)의 대향하는 측면끼리의 간격(b)은, 일례로서 8500mm이다. 또, 상하 방향(Z방향)에 있어서, 거더(10, 13)는 함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폭(h)을 가진다. 이 때의 간격률(b/h)은, 일례로서 1.06이다. 간격률(b/h)이 1.06이면,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걸리는 풍하중(W)의 계산에 있어서, 저감률(η)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 13)의 스토퍼(21, 22)끼리는, 서로 압접되어 있다. 이로써, 거더(10, 13)가 크레인의 주행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 13)가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 각 다리부(8, 9, 11, 12)의 하단부(8a, 9a, 11a, 12a)는, 일주 방지 장치(23)에 의하여, 안벽(6, 7)의 기초 철구조물에 대하여 고정되고, 크레인의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또,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10, 13)가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 다리부(8, 9, 11, 12)의 하단부(8a, 9a, 11a, 12a)는, 부상 방지 장치(25)에 의하여 구속되어,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거더(10) 상의 트롤리를 강도 부재(10a, 10b)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0c)에 배치한다. 이로써, 강도 부재의 횡방향(Y방향)의 하중을 대향하는 강도 부재에 전달할 수 있어, 강풍에 대한 거더(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거더(13)에 있어서도 트롤리를 강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이 골리앗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주행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골리앗 크레인(3, 4)이 서로 다른 레일(14~17)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방의 골리앗 크레인의 다리부의 하단부를 타방의 골리앗 크레인의 거더의 하방으로 돌출시켜 배치시킬 수 있어, 거더(10, 13)끼리를 접근시켜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거더(10, 13)의 간격률(b/h)을 작게 하여, 저감률(η)을 작은 값으로 할 수 있어,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걸리는 풍하중(W)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다리부(8, 9, 11, 12)의 하단부(8a, 9a, 11a, 12a)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킴과 함께 거더(10, 13)끼리를 접촉시켜, 복수의 골리앗 크레인(3, 4)을 고박함으로써, 크레인을 일체로 하여 풍하중을 부담시키고 내력을 결집할 수 있다. 이로써, 고박된 복수의 골리앗 크레인(3, 4)에 의한 전체의 내력 향상이 가능하다.
또, 거더(10, 13)에는, 주행 방향에 대향하는 상대측의 거더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스토퍼(21, 22)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토퍼(21, 22)끼리를 압접하여, 상대측의 거더에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또, 골리앗 크레인(3, 4)에는 일주 방지 장치(2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모든 다리부를 독립하여 안벽의 기초 철구조물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다리부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제2 골리앗 크레인(34)에 있어서 요각과 강각의 배치가 다른 점이다. 제2 골리앗 크레인(34)은, 일방의 안벽(6) 상에 요각인 다리부가 배치되고, 타방의 안벽(7) 상에 강각인 다리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인접하는 다리부(9, 35)가 요각과 강각이며, 다리부(9, 35)의 강성이 다른 경우에는, 일주 방지 장치(23)에 있어서의 여유에 차를 마련한다. 도 5(a)는, 강각측에 마련된 일주 방지 장치(23)를 나타내고, 도 5(b)는, 요각측에 마련된 일주 방지 장치(23)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요각측의 일주 방지 장치(23)에 있어서, 지지 철구조물(24a) 간의 간극을 크게 하고, 강각측의 일주 방지 장치(23)에 있어서, 지지 철구조물(24a) 간의 간극을 작게 한다. 이로써, 요각과 강각과의 사이의 부하를 균등화시킬 수 있어, 일방의 다리부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 크레인의 거더(41, 42)의 접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더블 박스형의 거더(41, 42)에 있어서, 강도 부재(41a, 42a)의 단면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강도 부재(41a, 4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윗변(41b, 42b)이 아랫변(41c, 42c)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로써, 강도 부재 간에 있어서, 상단측을 보다 접근시킬 수 있다. 또, 거더(41, 42) 상에 배치된 트롤리(19)로부터 수직 강하하는 와이어(매달아 올림 장치의 와이어)(19a)의 진폭을 확보하면서, 동일한 거더에 있어서의 강도 부재를 접근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거더(41, 42)를 접근시켜 저감률(η)을 작게 하여, 풍하중(W)의 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간격률(b3/h2)은, 일례로서 0.4이다. b3은, 거더(41, 42) 간의 거리이며, 거더의 Y방향의 중심끼리의 거리이다(일례로서 b3=16000mm). h2는, 거더의 상하 방향의 폭이다(h2=10000mm). 또, 도 8 중의 간격b2은, 강도 부재 간의 거리이며, 대향하는 측면 간의 거리이다. 도 8에서는, 일례로서 간격b2=4000mm이다.
[풍하중의 계산에 대하여]
다음으로, 크레인 구조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크레인의 구조 부분에 관한 풍하중(W)의 계산에 대하여 설명한다. 풍하중(W)의 값은 하기 식 (1)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 1]
Figure pat00001
여기서, W는 풍하중(N;단위 뉴턴)이다. q는 속도압(N/m2;단위 뉴턴당 평방 미터)이다. C는 풍력 계수이다. A는 수압면적(m2;단위 평방 미터)이다.
속도압(q)의 값은, 크레인 상태에 따라 다르다. 크레인 상태가 작동 시인 경우에는, 하기 식 (2)에 의하여 산출한다. 크레인 상태가 정지 시인 경우에는, 하기 식 (3)에 의하여 산출한다.
[수 2]
(작동 시)
Figure pat00002
[수 3]
(정지 시)
Figure pat00003
여기서, h는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m:단위 미터)이다.
풍력 계수(C)는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에 관하여 풍동 시험을 행하여 얻은 값으로 할 수 있다. 또는, “JISB8830 크레인 풍하중의 평가”에 기재된 풍력 계수(C)를 사용하여도 된다.
수압면적(A)은,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의 바람의 방향에 직각인 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하 이 항에 있어서 “투영 면적”이라고 한다.)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이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2면 이상 겹치고 있을 때는,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제1 면의 투영 면적에,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제2 이후의 면(이하 이 항에 있어서 “제2 이후의 면”이라고 한다.) 중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있는 면과 겹치고 있는 부분의 투영 면적에 도 9에 나타내는 저감률(η)을 곱하여 얻은 면적 및 제2 이후의 면 중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있는 면과 겹치지 않은 부분의 투영 면적을 더한 면적으로 한다.
도 9(a)는 풍하중(W)의 계산에 사용되는 저감률(η), 충실률(φ) 및 간격률(b/h)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b)는 상자형 구조에 의한 도리(거더)의 높이(h) 및 면 간의 거리(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c)는 형강 구조에 의한 도리의 높이(h) 및 면 간의 거리(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에 있어서, b는 상대하는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에 관한 도리의 간격이다. h는 상대하는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에 관한 도리 중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있는 도리의 높이이다. φ는 상대하는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에 관한 도리 중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있는 도리의 크레인의 바람을 받는 면에 관한 충실률(평판에 의하여 구성되는 면 및 원통의 면에 대해서는 1로 한다)이다.
도 9에 기재된 그래프는 “JISB8830 크레인 풍하중의 평가”에 근거하고 있다. “JISB8830 크레인 풍하중의 평가”는, ISO4302, Cranes-Wind load assessment를 번역하고, 일부 기술적 내용을 변경하여 작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골리앗 크레인을 접근시켜 배치하고 있지만, 3대 이상의 골리앗 크레인을 접근시켜 배치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더블 박스형의 거더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거더의 구조는, 상자형의 강도 부재가 1개뿐인 싱글 박스형의 거더여도 되고, 그 외의 구조의 골리앗 크레인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선소에 설치된 골리앗 크레인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도어형 크레인은, 골리앗 크레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궤도를 따라 주행 가능한 그 외의 도어형 크레인, 교형 크레인에 본 발명의 배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스토퍼(21, 22)가 마련되지 않고, 거더(10)와 거더(13)가 직접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골리앗 크레인의 한 쌍의 다리부는, 강각 및 요각을 각각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강각만 또는 요각만을 구비하는 한 쌍의 다리부여도 된다.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서는, 도어형 크레인의 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하나의 도어형 크레인의 다리부 및 다른 하나의 도어형 크레인의 적어도 일부끼리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에서는, 거더끼리는, 주행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면끼리가 접촉하도록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대향하는 돌출부끼리가 접촉하는 것이어도 되고, 돌출부와 돌출부에 대향하는 거더의 면이 접촉하는 것이어도 된다.
1 도크
2 크레인시스템
3 제1 골리앗 크레인
4, 34 제2 골리앗 크레인
8, 11, 35 다리부(강각)
9, 12 다리부(요각)
10, 13, 41, 42 거더
14~17 레일(궤도)
18 주행 장치
23 일주 방지 장치
25 부상 방지 장치

Claims (7)

  1.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궤도를 따라 주행 가능한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로서,
    상기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도어형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진 거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끼리는, 상기 폭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대향하는 상기 거더끼리는 상기 주행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접근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지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의 상기 거더에는, 상기 주행 방향에 대향하는 타방의 상기 거더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끼리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끼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는, 전달되는 힘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형 크레인은, 지면에 대하여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는 일주 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다리부를 각각 독립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는, 상기 폭방향의 강성이 약한 쪽의 다리부인 요각과, 상기 요각보다 상기 폭방향의 강성이 강한 다리부인 강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 중 일방인 제1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거더의 일단측에 상기 요각이 배치되고, 상기 거더의 타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도어형 크레인 중 타방인 제2 도어형 크레인은, 상기 거더의 일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고, 상기 거더의 타단측에 상기 강각이 배치되며,
    상기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요각을 고정하는 요각용 일주 방지 장치와, 상기 강각을 고정하는 강각용 일주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요각용 일주 방지 장치는, 상기 강각용 일주 방지 장치보다 큰 여유를 허용하여, 상기 요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 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한 개의 상기 다리부에 대하여, 상기 폭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부상 방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형 크레인은, 조선소에 설치된 골리앗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크레인의 배치 구조.
KR1020140147281A 2013-12-26 2014-10-28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KR20150076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9787 2013-12-26
JP2013269787A JP2015124054A (ja) 2013-12-26 2013-12-26 門型クレーンの配置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68A true KR20150076068A (ko) 2015-07-06

Family

ID=5353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281A KR20150076068A (ko) 2013-12-26 2014-10-28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24054A (ko)
KR (1) KR20150076068A (ko)
CN (1) CN104743440A (ko)
TW (1) TW2015248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5887A (zh) * 2022-06-17 2022-08-3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上门座起重机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4340B2 (ja) * 2015-09-14 2019-02-27 株式会社ミツバ ロボット装置
JP6602637B2 (ja) * 2015-10-20 2019-11-06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クレーン
CN115636352B (zh) * 2022-12-22 2023-04-04 河南省矿山起重机有限公司 一种具有清理结构的门式起重机
CN117088265B (zh) * 2023-10-20 2024-03-15 河南隧通机械有限公司 一种停车定位稳定的门式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2398A (ja) * 1988-08-23 1990-03-02 Taisei Prefab Kk 橋型クレーンの吊り荷接触防止装置
DE19913980A1 (de) * 1999-03-26 2000-09-28 Noell Stahl Und Maschinenbau G Kranverbindung
DE102005006206B4 (de) * 2005-02-11 2007-08-1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Sturmsicherung für Krane
KR100657573B1 (ko) * 2005-07-12 2006-12-1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하역기용 충돌방지장치
KR101659079B1 (ko) * 2009-10-14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5887A (zh) * 2022-06-17 2022-08-3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上门座起重机安装方法
CN114955887B (zh) * 2022-06-17 2024-06-1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上门座起重机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4884A (zh) 2015-07-01
CN104743440A (zh) 2015-07-01
JP2015124054A (ja)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068A (ko)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CN106574449B (zh) 建造桥梁的方法及建造桥梁的装置
CN105568853A (zh) 大跨度钢砼组合桁架梁侧位横移、落梁的施工方法
CN211340225U (zh) 轨道梁
RU181479U1 (ru) Шкворневая балка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KR20150078062A (ko) 수강대차
CN102230312B (zh) 一种牵索挂篮弧形首
CN104790300B (zh) 一种柔性墩旁架梁平台及其施工方法
CN209039945U (zh) 一种大坡度条件下使用的梯形牛腿简支梁结构
KR101351806B1 (ko)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N211665547U (zh) 一种用于工字型叠合梁桥梁涡振控制的气动装置
CN202337945U (zh) 外侧就地提升梁体的装置
JP5808715B2 (ja) 軌道スラブ
CN211522828U (zh) 桥梁限位装置及桥梁
JPH0967080A (ja) 天井クレーン
US20090301341A1 (en) Cable or pipeline trolley for traveling along a carrier rail
CN211199930U (zh) 一种应用于磁浮线路的复合轨道板
JP5840276B1 (ja) 鉄道車両逸脱防止装置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CN207812282U (zh) 一种桥梁组合减隔震装置
JP5389578B2 (ja)
JPS6225509Y2 (ko)
CN205953281U (zh) 含轿底轮的电梯下梁结构
CN205855727U (zh) 一种无机房电梯
JP2006103825A (ja) 乗客コンベアの主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