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9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97A
KR20150065297A KR1020130150441A KR20130150441A KR20150065297A KR 20150065297 A KR20150065297 A KR 20150065297A KR 1020130150441 A KR1020130150441 A KR 1020130150441A KR 20130150441 A KR20130150441 A KR 20130150441A KR 20150065297 A KR20150065297 A KR 2015006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oor
garment
support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179B1 (ko
Inventor
임재명
김병국
정욱준
최정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79B1/ko
Priority to EP14195999.9A priority patent/EP2889426B1/en
Priority to US14/559,753 priority patent/US9359717B2/en
Priority to CN201410736887.0A priority patent/CN104695195B/zh
Publication of KR2015006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97A/ko
Priority to US16/002,610 priority patent/USRE48255E1/en
Priority to US16/129,098 priority patent/USRE49100E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2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actuated wholly by hand or foo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40Holders or stretchers for the article to be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표면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의류가 상기 지지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의류의 유동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더,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공간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구김 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주름(crease,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잡아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crease)을 형성시키려면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후 다리미와 같은 주름 형성 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름(crease) 형성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표면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의류가 상기 지지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의류의 유동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더;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공간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공간에 거치된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도어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압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도어수용홈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에 압력을 제공하되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지지부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의류가 가압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시키는 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디의 표면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바디 홈에 결합하여 의류가 가압되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축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고정부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압축바디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의류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가이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의류의 타단이 수용되는 제2가이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판; 상기 제1고정판에서 상기 제2가이더를 향해 연장되어 의류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판; 상기 제2고정판에서 상기 제1가이더를 향해 연장되어 의류의 타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의류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름(crease) 형성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resser)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프레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3),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주름을 펴주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돼 있는 주름(crease)을 고정시키는 프레서(9)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3)에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용공간(3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4)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지지부(4)는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도어의 너비방향, X축 방향) 또는 수용공간의 깊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의류지지부(4)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의류는 옷걸이(200)에 구비된 고리(H)를 통해 제1의류지지부(4)에 지지될 수도 있고, 옷걸이(200) 없이 제1의류지지부에 지지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의류지지부(5)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의류지지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에 고정되는 베이스(54), 베이스(54)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부(51, 52, 53)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의류지지부(5)에 구비되는 지지부는 제1지지부(51), 제1지지부(5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지지부(51)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제2지지부(52), 제2지지부(5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지지부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제3지지부(5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51)에서 제3지지부(53)를 향할수록 지지부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 것은 제2의류지지부(5)를 통해 다수의 의류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는 옷걸이(200)에 구비된 고리(H)가 각 지지부(51, 52, 53)에 거치됨으로써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1)에는 수용공간(31)과 분리된 기계실(7)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공급부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7)은 수용공간(31)의 하부에 위치되고, 기계실 도어(7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인 경우, 기계실(7)이 수용공간(31)의 하부에 위치되기만 하면 열풍이나 스팀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수용공간(31)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 수용공간(31)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부가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2)를 모두 포함하고, 공기공급부(71)는 열풍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며 수분공급부(72)는 스팀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기공급부(71)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11), 상기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13),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5) 및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와 연통한다.
상기 공기배출부(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31)과 기계실(7)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된 순환덕트(711)가 일단은 공기흡입부(36)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배출부(35)에 연결된다면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수단으로, 도 2는 열교환부의 일례로 히트펌프(heat pump)를 도시한 것이다.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고,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며,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축기(C)와 공기배출부(3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는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면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은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의 제거를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탱크(745),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배수관(747) 및 배수펌프(74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745)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배수탱크(745)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배수탱크 리드(7451), 배수관(747)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74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7453)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서 분리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배수탱크를 기계실 도어에서 분리할 때 배수탱크 내부의 물이 배수탱크 외부로 누출되는 것도 방지).
한편,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72)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721), 상기 저장부(72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725), 저장부(721)를 수분배출부(37)에 연결하는 수분공급관(72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수단이고,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3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의 상부면(또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74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721)에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서 분리되는 연결관(72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743)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급수탱크(743)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 리드(7431), 상기 연결관(723)이 삽입되는 배출구(미도시),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체크밸브(74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즉,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면 저장부(721)는 급수원으로부터 필요한 때에 물을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급수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상술한 제어가 불가능한데 상기 급수탱크(743)는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탈취나 구김(wrinkle)을 제거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의류가 수용공간(31)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므로 스팀이나 열풍의 공급이 완료된 뒤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프레서(9, presser)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이다.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류에 공급할 수 있는 한 상기 프레서(9)는 수용공간(31)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11)의 내주면(수용공간(31)의 일면을 형성하는 도어의 표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9)는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91), 지지부(91) 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91)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1)는 수용공간(31)을 향하는 도어(11)의 표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지지부(91)가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지지바디(91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911)는 도어(11)의 표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축부(93)는 도어(11)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바디(931), 상기 압축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31)으로 유입된 스팀이나 열풍을 지지바디(911)에 거치된 의류에 공급하는 바디관통홀(933)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931)가 도어(11)의 내주면이나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의미는 압축바디(931)의 일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압축바디(931)의 타단(자유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압축바디(931)가 도어(11)의 내주면이나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의미는 압축바디(931)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연결되지 않고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도 1은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된 힌지(95)를 통해 압축바디(931)가 도어(1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압축바디(931)는 체결부(971, 973)에 의해 도어(11)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는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홈(971),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착탈홈(97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973)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옷걸이(200)의 고리(H)를 제2의류지지부(5)에 거치시킴으로써 바지와 같은 의류가 펼쳐진 상태로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의류가 거치되면, 사용자는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971, 973)를 통해 압축바디(931)와 지지바디(911)를 결합시킨다.
의류가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공기공급부(71)나 수분공급부(72)가 수용공간(31) 내부로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면, 수용공간(31) 내부의 열풍이나 스팀은 바디관통홀(933)을 통해 의류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발생된 구김의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은 뚜렷해지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바지와 같은 의류의 경우 봉제선(Sewing Line)이 존재하는데 프레서(9)가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비되면 봉제선에 의해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서(9)에는 지지바디(91)와 압축바디(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봉제선과 같은 의류의 일부영역이 압축되지 않도록 하는 홈(913, 935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홈이 지지바디(911)에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913), 압축바디(931)에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937)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지지바디 홈(913)은 도어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수용공간(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 홈(937) 역시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압축바디(931)의 표면이 지지바디(911)에서 멀어지는 방향(수용공간(31)을 향하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바디(931)와 지지바디(911)가 결합할 때 지지바디 홈(913)과 압축바디 홈(937)이 결합하여 의류의 길이방향(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방향) 일부영역(봉제선 등)이 압축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된 홈은 지지바디 홈(913)과 압축바디 홈(937)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나아가, 상기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중앙에 위치되고, 압축바디 홈(937)은 압축바디(913)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만을 구비한 프레서(9)는 사용자가 의류에 구비된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이나 압축바디 홈(937)에 위치시킨 뒤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고정시켜야 한다. 따라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위치가 변경되면 봉제선이 지지바디 홈(913)이나 압축바디 홈(937)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지지공간(지지바디(911)가 제공하는 공간)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8), 의류를 지지공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5)는 도어(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이 도어(11)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가이더(8)는 도어(11)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85) 및 가이더(8)는 압축바디(93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이면 도어(11)의 표면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고정부(85)는 지지바디(911)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이더(8)는 고정부(8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8)는 도어(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가이더(81) 및 제2가이더(8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더(81)는 도어(11)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판(811), 상기 제1고정판(811)에서 제2가이더(83)를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판(813)으로 구비되고, 제2가이더는 도어(11)의 표면에서 돌출된 제2고정판(831), 상기 제2고정판(831)에서 상기 제1가이더(81)를 향해 연장되는 제2연장판(8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판(811)과 제2고정판(831) 사이의 거리는 지지바디(91)의 너비(지지바디의 Y축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200)의 고리(H)를 통해 제2의류지지부(5)에 거치된 의류의 자유단은 제1고정판(811)과 제2고정판에 의해 Y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제1연장판(813)과 제2연장판에 의해 X축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다만, 제1가이더(81)에 구비된 제1연장판(813)은 제2연장판(833)을 향해 길이 신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고, 제2가이더(83)에 구비된 제2연장판(833)은 제1연장판(813)을 향해 길이 신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의류의 너비에 따라 각 연장판(813, 83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의류가 X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85)는 바(bar)나 판(board)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바디(851), 상기 고정바디(851)을 도어(11)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바디 힌지(8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5)는 고정바디 체결부를 통해 도어(11)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는 고정바디(851)와 도어(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855), 고정바디(851)와 도어(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후크(85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체결홈(85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85)를 통해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봉제선이 지지바디 홈(913)에서 이탈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85)는 압축바디(93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압축바디(931)에는 고정부(85)가 수용되는 고정부 수용홈(9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85)가 압축바디(93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11)가 수용공간(31)을 개방한 때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도어(11)의 표면에 프레서 수용홈(13)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프레서 수용홈(13)은 도어(11)의 표면이 수용공간(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며, 프레서(9)를 구성하는 지지부(91), 압축부(93), 고정부(85) 및 가이더(8)는 프레서 수용홈(13)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어(11) 내부 공간에 프레서(9)를 구비시킴으로써 도어(1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11)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프레서(9)에 구비된 압축바디(931)의 표면은 프레서 수용홈(13)이 구비되지 않은 도어(11)의 표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 도어: 11
프레서 수용홈: 13 의류수용부: 3 수용공간: 31
공기배출부: 35 공기흡입부: 36 수분배출부:37
제1의류지지부: 4 제2의류지지부: 5 기계실: 7
공기공급부: 71 수분공급부: 72 기계실도어: 74
프레서: 9 지지부: 91 지지바디: 911
지지바디 홈: 913 압축부: 93 압축바디: 931
바디 관통홀: 933 고정부 수용홈: 935 압축바디 홈: 937
힌지: 95 제1가이더: 81 제1고정판: 811
제1연장판: 813 제2가이더: 83 고정부: 85

Claims (15)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표면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의류가 상기 지지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의류의 유동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더;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공간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공간에 거치된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프레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압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이더는 상기 프레서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에 압력을 제공하되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지지부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의류가 가압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시키는 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디의 표면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바디 홈에 결합하여 의류가 가압되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축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고정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압축바디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의류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가이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의류의 타단이 수용되는 제2가이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판; 상기 제1고정판에서 상기 제2가이더를 향해 연장되어 의류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판; 상기 제2고정판에서 상기 제1가이더를 향해 연장되어 의류의 타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의류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150441A 2013-12-05 2013-12-05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41A KR102099179B1 (ko) 2013-12-05 2013-12-05 의류처리장치
EP14195999.9A EP2889426B1 (en) 2013-12-05 2014-12-0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559,753 US9359717B2 (en) 2013-12-05 2014-12-0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10736887.0A CN104695195B (zh) 2013-12-05 2014-12-05 衣物处理装置
US16/002,610 USRE48255E1 (en) 2013-12-05 2018-06-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6/129,098 USRE49100E1 (en) 2013-12-05 2018-09-1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41A KR102099179B1 (ko) 2013-12-05 2013-12-05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20A Division KR101988323B1 (ko) 2018-08-14 2018-08-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97A true KR20150065297A (ko) 2015-06-15
KR102099179B1 KR102099179B1 (ko) 2020-04-09

Family

ID=5200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41A KR102099179B1 (ko) 2013-12-05 2013-12-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359717B2 (ko)
EP (1) EP2889426B1 (ko)
KR (1) KR102099179B1 (ko)
CN (1) CN104695195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25B1 (ko) 2015-07-30 2016-02-19 김종란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KR20180052953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8217033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9194565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94567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32910B1 (ko) 2018-04-09 2019-11-08 (주)킹스스파 의류 관리용 건조설비
US10774461B2 (en) 2017-05-24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1936690A (zh) * 2018-04-03 2020-11-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936691A (zh) * 2018-04-03 2020-11-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WO2020251195A1 (ko) * 2019-06-10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리미 장치,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00160B2 (en) 2017-05-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766869C1 (ru) * 2018-11-16 2022-03-1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20230041849A (ko) 2021-09-17 2023-03-27 임용하 스탠딩 타입의 의류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75B1 (ko)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809924B2 (en) 2014-12-1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105421006B (zh) * 2015-12-29 2017-08-15 慈溪市附海佳敏电器厂 旋转烘干式晾衣装置
USD836271S1 (en) * 2016-06-21 2018-12-18 Lg Electronics Inc. Door for clothing care machine
USD828656S1 (en) * 2016-07-15 2018-09-11 Lg Electronics Inc. Clothes care machine
CN106167980B (zh) * 2016-08-24 2019-01-11 沧州神正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衣物护理机
KR102599103B1 (ko) * 2016-11-11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7123922B2 (ja) 2016-11-11 2022-08-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KR20180056037A (ko) * 2016-11-18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8208129A1 (ko) * 2017-05-11 2018-11-15 코웨이 주식회사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순환 시스템
KR102472993B1 (ko) * 2018-01-08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20273B1 (ko) 2018-02-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AU2019203835B2 (en) * 2018-06-01 2020-11-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027554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25946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RU2022106464A (ru) 2018-09-06 2022-04-0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DE102018221470A1 (de) 2018-12-12 2020-06-1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integrierter Wäschebehandlungsfunktionalität und Verfahren zum Nutzen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8221469A1 (de) 2018-12-12 2020-06-1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integrierter Wäschebehandlungsfunktionalität, Träger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utzen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09695146A (zh) * 2019-02-19 2019-04-30 韩志强 一种衣物护理机
WO2021029697A1 (ko) * 2019-08-13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62398A (ko) *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1710551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を組み込んだ室内壁
JP1710549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と一体化した室内壁
KR20210136295A (ko) 2020-05-07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36296A (ko) 2020-05-07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789405B (zh) * 2020-08-24 2022-01-18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一种拿取衣物时可防止内部衣物散乱的衣柜
JP1720850S (ja) * 2020-11-12 2022-07-27 履物手入れ機
USD1025526S1 (en) * 2021-08-1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331A (ja) * 1996-06-26 1998-03-31 Whirlpool Corp 衣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2214A (en) 1929-05-20 1932-10-11 Chamberlain Machine Works Ironing machine
US3117704A (en) 1961-03-21 1964-01-14 Jerry N Mcmillan Apparatus for finishing trousers
US3203122A (en) * 1964-12-14 1965-08-31 Stanley I Sweatt Foldaway presser
US3397472A (en) 1965-11-23 1968-08-20 Doris H. Topliffe Folding ironing board and cabinet
JPS4734352Y1 (ko) 1968-12-09 1972-10-17
DE2017394A1 (de) * 1970-04-11 1971-10-28 Fleischer, Gottfried, 8510 Fürth Hosenbügelmaschine
JPS5320307B2 (ko) 1973-12-03 1978-06-26
GB1592180A (en) 1976-12-14 1981-07-01 Gaasenbeek Johannes L Skidsteering apparatus
JPS5824740B2 (ja) 1976-12-25 1983-05-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角鋼材磁気探傷機の隅ア−ル部検査装置
JPS5940000Y2 (ja) 1978-06-02 1984-11-10 株式会社東芝 竪形衣類プレス機
IT1153159B (it) * 1982-08-02 1987-01-14 Almiro Brembilla Apparecchio per la stiratura a ciclo automatico di confezioni tessili
DE3663964D1 (en) 1986-07-18 1989-07-20 Texma Textilmasch & Armaturen Garment pressing machine
JPS6382700A (ja) 1986-09-25 1988-04-13 松下電工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5305484A (en) *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AU627707B2 (en) * 1988-01-13 1992-09-03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JPH01274799A (ja) 1988-04-27 1989-11-02 Shiro Haneda 洗濯物乾燥箱
US5238999A (en) 1991-08-29 1993-08-24 Basf Corporation Environmental etch resistant, one-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therewith, and coating obtained therefrom
JP2621704B2 (ja) 1991-09-10 1997-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プレス器
CN2126854Y (zh) * 1992-06-12 1993-02-10 北京市东郊粮食仓库 电热夹裤板
CN2123546U (zh) * 1992-06-17 1992-12-02 梁玉福 自动熨裤器
US5474216A (en) * 1994-04-15 1995-12-12 Harrod; Michael K.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ly pressing the front and back of a shirt and finishing the sleeves through the use of a single source of air pressure
JPH11128598A (ja) 1997-10-30 1999-05-18 Toshiba Corp 衣類プレス器
JP2000051585A (ja) 1998-08-14 2000-02-22 Masao Mori 簡易衣類乾燥装置
ES2189593B1 (es) 2000-05-30 2005-08-16 Fagor, S. Coop Armario para el secado, desarrugado y planchado de ropa.
US6572208B2 (en) 2000-05-30 2003-06-03 Fagor, S. Coop. Clothes drying, dewrinkling and ironing cabinet
KR20010113436A (ko) 2000-08-16 2001-12-28 김점화 스팀 다림 장치
CN1202339C (zh) 2000-09-25 2005-05-18 李秀知 内装电动驱动式熨衣板的固定式壁橱
JP2002177698A (ja) 2000-12-15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プレス器
DE10065336A1 (de) 2000-12-27 2002-07-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Glätt- und/oder Bügelfunktion
AU2002358176A1 (en) * 2002-12-23 2004-07-14 Veit Gmbh And Co. Apparatus for ironing or pressing shirts
JP2007510490A (ja) 2003-11-11 2007-04-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衣類の皺をのばす装置
ITMO20060224A1 (it) * 2006-07-11 2008-01-12 Barbanti Carlo Snc Macchina stiratrice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la stiratura di pantaloni
USD597272S1 (en) 2006-10-02 2009-07-28 Auguste Brenda A Ironing board cabinet
KR20080078367A (ko) 2007-02-23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20090064530A1 (en) 2007-08-03 2009-03-1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467773B1 (ko)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09150262A1 (es) 2008-06-13 2009-12-17 Julio Fernando Martinez Moreno Secadora-planchadora de ropa
KR20100067780A (ko) 2008-12-12 2010-06-22 오은영 자동다림장치
KR101708693B1 (ko) 2009-08-25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20110048344A (ko)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201738157U (zh) 2010-07-06 2011-02-09 刘树华 能复平湿衣折皱的干衣柜
US20120018461A1 (en) * 2010-07-24 2012-01-26 Hovik Azizian Portable Garment Steaming System
KR101737841B1 (ko) 2010-12-3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20091799A (ko)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30017029A (ko) 2011-08-09 2013-02-19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의 주름 개선을 위한 의류 처리 장치
KR101821203B1 (ko) 2011-10-20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KR102099175B1 (ko) *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809924B2 (en) 2014-12-1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331A (ja) * 1996-06-26 1998-03-31 Whirlpool Corp 衣類処理装置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25B1 (ko) 2015-07-30 2016-02-19 김종란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KR20180052953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713540B2 (en) 2016-11-1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900160B2 (en) 2017-05-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217033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28748A (ko) * 2017-05-2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U2018271738B2 (en) * 2017-05-24 2021-04-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handling apparatus
US10597815B2 (en) 2017-05-24 2020-03-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774461B2 (en) 2017-05-24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633096A4 (en) * 2017-05-24 2021-02-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HANDLING DEVICE
US11572654B2 (en) 2018-04-03 2023-02-0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O2019194565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936691A (zh) * 2018-04-03 2020-11-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936690A (zh) * 2018-04-03 2020-11-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RU2758299C1 (ru) * 2018-04-03 2021-10-28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1976408B2 (en) 2018-04-03 2024-05-0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WO2019194567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936691B (zh) * 2018-04-03 2023-03-1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1965283B2 (en) 2018-04-03 2024-04-23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N111936690B (zh) * 2018-04-03 2023-06-2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2032910B1 (ko) 2018-04-09 2019-11-08 (주)킹스스파 의류 관리용 건조설비
RU2766869C1 (ru) * 2018-11-16 2022-03-1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US11613841B2 (en) 2018-11-1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65510B2 (en) 2019-06-10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ron device,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51195A1 (ko) * 2019-06-10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리미 장치,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1849A (ko) 2021-09-17 2023-03-27 임용하 스탠딩 타입의 의류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9315A1 (en) 2015-06-11
USRE48255E1 (en) 2020-10-13
KR102099179B1 (ko) 2020-04-09
EP2889426A1 (en) 2015-07-01
CN104695195B (zh) 2017-07-14
US9359717B2 (en) 2016-06-07
EP2889426B1 (en) 2017-05-10
USRE49100E1 (en) 2022-06-07
CN104695195A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55E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RE49038E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99108B1 (ko) 의류처리장치
US111684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95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18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1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3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6406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