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203B1 -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203B1
KR101821203B1 KR1020110107563A KR20110107563A KR101821203B1 KR 101821203 B1 KR101821203 B1 KR 101821203B1 KR 1020110107563 A KR1020110107563 A KR 1020110107563A KR 20110107563 A KR20110107563 A KR 20110107563A KR 101821203 B1 KR101821203 B1 KR 10182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garment
clothes
surface member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436A (ko
Inventor
문태철
김가연
이아영
홍석기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203B1/ko
Priority to EP12007028.9A priority patent/EP2584085B1/en
Priority to TW101137682A priority patent/TWI499704B/zh
Priority to US13/652,106 priority patent/US9068289B2/en
Priority to CN201210398688.4A priority patent/CN103061094B/zh
Publication of KR2013004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서 건조되는 의류에 사용되어, 확실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주름을 잡기 위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소정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에 하방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곡면부재; 및 상기 의류에서 상기 곡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재가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곡면부재에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중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ACCESSARY FOR A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서 건조되는 의류에 사용되어, 확실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주름을 잡기 위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피건조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버너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순환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또한, 건조기는 드럼형 건조기와 캐비넷형 건조기로 대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비넷형 건조기에 사용되는 악세사리이므로, 이하 드럼형 건조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캐비넷형 건조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출원 제10-2007-0018389호(발명의 명칭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가 존재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10)과;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에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를 만드는 저온공기발생유닛(미도시)과; 상기 저온공기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상대적 저온공기를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유로(미도시)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캐비넷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분사유닛(미도시)을 더욱 포함한다. 또한, 드럼형 건조기와는 달리, 캐비넷에 의류가 고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캐비넷의 내부에는 의류를 거는 옷걸이가 지지되는 지지요소(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지지요소(5)로 인하여 의류의 건조시에 캐비넷/의류, 의류/의류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분분사유닛(미도시)으로 인하여 건조될 의류에 생긴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수분분사유닛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 효과적인 구김을 제거할 수 있지만, 완전하게 의류에 잔존하는 구김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다림질을 요하게 한다.
둘째, 다림질을 할 수 없는 재질의 의류에 잔존하는 구김을 완벽하게 제거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의류의 구김 제거에 사용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 및 제조비용이 간단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소정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에 하방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곡면부재; 및 상기 의류에서 상기 곡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는 반으로 접힌 의류가 상기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는 내부가 통공된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는 열경화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양 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에 체결되기 위하여 요입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재는 상기 요입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한 돌출부 또는 요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가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곡면부재에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중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무게중심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무게중심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 무게중심부재 및 미끄럼방지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조될 의류의 구김을 확실히 제거하고, 의류에 형성된 주름을 확실히 잡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내구성 및 제조비용적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로 하여금 그 사용 방법을 직감하게 할 수 있어,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캐비넷형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의류에 고정되어 구김을 제거하는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원통형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의 곡면부재 및 미끄럼방지부재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결합방법으로 곡면부재 및 미끄럼방지부재가 결합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도 8은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의 사용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가 사용되지 아니한, 의류 건조 전, 후의 바지의 구김 펴짐의 효과를 비교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가 사용된, 의류 건조 전, 후의 바지의 구김 펴짐의 효과를 비교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기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장력을 제공하여 구김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악세사리가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2 및 도 3은 의류 건조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의 일태양인 고정 클램프(20, 30)와 이러한 고정 클램프가 의류(바지, 7)에 사용되는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고정 클램프는 제 1 클램프(20) 및 제 2 클램프(30)로 구성된다. 각각의 클램프(20, 30)는 긴 막대 형상의 몸체(21, 31)와, 상기 몸체에 구비된 두 개의 집게(22a, 22b 및 32a, 32b), 및 상기 몸체(21, 31)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클램프의 몸체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부재(23, 33)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고정클램프(21, 3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자면, 의류(7)가 옷걸이(6) 등으로 의류 건조기(10)의 일단에 행잉된 상태에서 제 1 클램프(20)를 의류(7)의 일단에 상기 집게(22a, 22b)를 사용하여 장착한다. 이후, 제 2 클램프(30)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의류(7)의 타단에 장착한다. 이때 제 2 클램프(30)는 제 1 클램프(20)와 수평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이후, 두 개의 클램프(20, 30)가 의류(7)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몸체(21, 31)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부재(23, 33)를 회동하여 의류의 타단에 수평하게 장착된 클램프(20, 30)의 몸체에 상기 고정부재(23, 33)를 각각 고정시킨다.
즉, 의류(7)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용도로서 상기 고정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고정 클램프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사용방법이 복잡하여 실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둘째, 두 개의 클램프 중 하나가 멸실 또는 훼손되는 경우 상기 악세사리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셋째, 구성요소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 제조 비용적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
넷째, 고정 클램프가 장착되지 않는 의류의 부분은 여전히 구김의 문제가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원통형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2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곡면부재(110, 210), 미끄럼방지부재(120, 220) 및 무게중심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반으로 접힌 의류(7)가 옷걸이(6) 등으로 의류 건조기(10)의 캐비넷(1)에 일단에 구비된 지지요소(5)에 행잉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7)의 접힌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7)에 하방으로 인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의류(7)의 구김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의류(7)와 접촉되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부분의 곡률은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면부재는 원통형(110) 또는 반원통형(210) 일 수 있다.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미사용시 안정된 수납을 위해서는 반원통형(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곡면부재(110, 210)는 후술할 무게중심부재(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하기 위하여 내부가 통공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양 측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된 측부를 갖는 경우, 사용자에게 본 악세사리(100, 200)의 편리한 그립(grip)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 측면에서 더욱 경제적이고, 생산 속도가 빠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곡면부재(110, 210)가 사용되는 의류 건조기(10)의 내부는 수분이 존재하고 열풍에 의한 고온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이러한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 건조기(10)의 내부 환경을 고려할 때,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이거나, 열경화성 수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으로 접힌 의류(7)의 하단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의류(7)에 인장력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무게감이 있어야 한다. 다만, 너무 무거울 경우 의류(7)의 소재가 늘어날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무게감은 적당히 고려되어야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는 8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일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에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곡면부재(110, 210)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재(110, 210)와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일측에 요입부(221) 또는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재(110, 210)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의 요입부(221) 또는 돌출부(미도시)에 대응한 돌출부(211) 또는 요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를 의류(7)에 삽입시 의류(7)에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가 움직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의류 건조기(10)의 내부는 건조를 위해 열풍이 유동하기 때문에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가 삽입된 의류(7)에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 220)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보다 큰 원주율을 가져서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양 단에 단턱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찰력이 있는 열경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가 삽입된 의류 안에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가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면, 의류(7)의 구김 방지효과가 저감될 것이므로,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가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곡면부재(110, 210)에 내부가 통공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는 상기 곡면부재의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곡면부재(110, 210) 내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곡면부재(110, 210)의 양 측부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악세사리(100, 200)에서의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의 무게중심의 역할을 고려한다면, 도 4에 도시된 반원통형의 악세사리(200)의 경우는 원주면의 중앙부가 무게중심점이 되는 것이 옷의 구김 제거 측면에서 바람직하므로, 원주의 중앙에 상기 무게중심부재(미도시)를 고정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명된 곡면부재(110, 210), 미끄럼방지부재(120, 220) 및 무게중심부재(미도시)는 사출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따로 제조 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의 악세사리(100, 200)의 일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200)의 사용상태도이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는 바지(7)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 범위가 바지(7)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도면에서, 바지(7)의 일단과 타단을 접은 상태로 옷걸이(6)에 고정한 후, 상기 옷걸이(6)를 의류 건조기의 캐비넷(1)의 도어 내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5)에 고정한다. 이 후, 상기 바지(7)가 접힌 부분에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를 측방향으로 삽입한다. 이 후, 바지(7)에 삽입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는 곡면부재(110, 210)에 수용된 무게중심부재(미도시)로 인하여 약간 회전하여 자리를 잡게 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하여 자리를 잡게 되고, 상기 바지(7)에 하방으로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의류 건조기(10)의 캐비넷(1) 안에서 증기, 열풍 분위기에서 건조될 의류(7)의 구김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악세사리(100, 200)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직감될 수 있어, 앞서 언급한 고정 클램프(20, 30)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실용성을 보장한다.
도 9a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가 사용되지 아니한, 의류 건조 전, 후의 바지(7)의 구김 펴짐의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며, 도 9b는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100, 200)가 사용된, 의류 건조 전, 후의 바지(7)의 구김 펴짐의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9b에서 사용된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200)를 사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200)는 반원형상인, 곡률반경 120mm이며 800g의 무게를 가진 악세사리(200)를 사용하였다.
도 9a 및 도 9b에서 실험한 바지는 동일한 바지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도면에서 상측은 면 재질의 바지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한 것이며, 하측은 울(wool) 재질의 바지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한 것이다.
한편, 왼쪽과 오른쪽 상측 실험결과는 면 재질의 바지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한 것이며, 하측은 울(wool) 재질의 바지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서 확연하게 드러나듯이, 바지에 본질적으로 형성되어 있던 주름의 명확성 및 다른 곳의 구김 펴짐은 도 9b, 즉 본 발명인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를 사용하였을 때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캐비넷 5 : 지지요소
6 : 옷걸이 7 : 의류
10 : 의류 건조기 20 : 제 1 클램프
30 : 제 2 클램프 100, 200 :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110, 210 : 곡면부재 120, 220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13)

  1.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의류가 접혀서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곡면부재; 및
    상기 의류에서 상기 곡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곡면부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단턱부를 형성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재는
    상기 의류에 하방으로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 내에서 회동하지 않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평면이 상측에 위치하고 곡면이 하측에 위치하게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는 반으로 접힌 의류가 상기 의류 건조기의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는 내부가 통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양 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악세사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에 체결되기 위하여 요입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재는 상기 요입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한 돌출부 또는 요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악세사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가 상기 의류의 접힌 부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곡면부재에 무게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중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부재는 상기 곡면부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재, 무게중심부재 및 미끄럼방지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KR1020110107563A 2011-10-20 2011-10-20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KR10182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63A KR101821203B1 (ko) 2011-10-20 2011-10-20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EP12007028.9A EP2584085B1 (en) 2011-10-20 2012-10-10 Accessory for clothes dryer
TW101137682A TWI499704B (zh) 2011-10-20 2012-10-12 乾衣機用配件
US13/652,106 US9068289B2 (en) 2011-10-20 2012-10-15 Accessory for clothes dryer
CN201210398688.4A CN103061094B (zh) 2011-10-20 2012-10-19 用于干衣机的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63A KR101821203B1 (ko) 2011-10-20 2011-10-20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436A KR20130043436A (ko) 2013-04-30
KR101821203B1 true KR101821203B1 (ko) 2018-01-23

Family

ID=4713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63A KR101821203B1 (ko) 2011-10-20 2011-10-20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8289B2 (ko)
EP (1) EP2584085B1 (ko)
KR (1) KR101821203B1 (ko)
CN (1) CN103061094B (ko)
TW (1) TWI499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75B1 (ko) *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13221872B4 (de) * 2013-10-28 2016-09-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er zur Verbindung von zellenförmigen elektrischen Elementen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809924B2 (en) 2014-12-1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160201254A1 (en) * 2015-01-09 2016-07-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6680785U (zh) * 2017-04-20 2017-11-2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撑衣装置及衣物护理机
KR102620273B1 (ko) 2018-02-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11766146B2 (en) 2020-07-10 2023-09-26 Matthew Heath Lane Hanging apparatus with a tension mechanism
CN114320967A (zh) * 2021-12-30 2022-04-12 青岛澳柯玛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无叶干衣电风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91A (en) * 1894-07-17 Trousers-stretcher
US334927A (en) * 1886-01-26 Dry-board hook
US1580958A (en) * 1924-06-12 1926-04-13 Earl H Chapman Curtain-drying stretcher
US1962889A (en) * 1932-01-21 1934-06-12 Arthur L Bateman Curtain drier apparatus
US1940600A (en) * 1933-02-04 1933-12-19 Western Newell Mfg Co Curtain stretcher
US2586909A (en) * 1947-11-07 1952-02-26 Edward L Blackman Coat hanger and sleeve wrinkle remover
US2635368A (en) * 1950-11-09 1953-04-21 Greb-Lasky Frank Clip-on suit presser
IT1153159B (it) * 1982-08-02 1987-01-14 Almiro Brembilla Apparecchio per la stiratura a ciclo automatico di confezioni tessili
US5305484A (en) *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US5269497A (en) * 1990-12-17 1993-12-14 Flexsteel Industries, Inc. Seat spring structure
DE9102303U1 (ko) * 1991-02-27 1991-05-16 Brueske, Geb. Krampitz, Gisela, 4000 Duesseldorf, De
USD335602S (en) * 1991-09-06 1993-05-18 Barbara Jo Hehman Jewelry holder
US6409058B1 (en) * 2000-10-26 2002-06-25 Peter Ar-Fu Lam Adjustable garment hanger
US6813852B1 (en) * 2003-08-11 2004-11-09 Sankousha Co., Ltd. Cover for iron-receiving member
KR20070018389A (ko) 2005-08-09 2007-02-14 (주)다음소프트 대화 에이전트를 이용한 개인용 단말기 상의 커뮤니케이션방법 및 시스템
DE202006000337U1 (de) * 2006-01-11 2007-05-16 Brüske, Wilhelm Glättungsvorrichtung für Kleidungsstücke
US7677141B1 (en) * 2007-07-11 2010-03-16 Sherri Kay Crew Soft-grip, low-force, hand-held spring clamp
KR101520655B1 (ko) * 2007-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7B1 (ko) * 2007-11-12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8028868B2 (en) * 2008-01-25 2011-10-04 Ingenious Designs, Llc Garment arran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9353A (zh) 2013-05-16
CN103061094B (zh) 2015-09-09
CN103061094A (zh) 2013-04-24
EP2584085A1 (en) 2013-04-24
KR20130043436A (ko) 2013-04-30
US9068289B2 (en) 2015-06-30
US20130097896A1 (en) 2013-04-25
TWI499704B (zh) 2015-09-11
EP2584085B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203B1 (ko) 의류 건조기용 악세사리
US8695228B2 (en) Composite washing system
US97522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08315986B (zh) 一种自动控制快速干衣机及控制方法
KR101108043B1 (ko) 옷장형 건조기
US111684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CA2531591A1 (en) Clothes dryer with improved air flow
US20060137205A1 (en) Composite washing system
KR200470875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의 연장걸이봉
EP1975306A1 (en) Tumble drier with drying cabinet
CN108315987B (zh) 一种便于收纳的快速干衣机
US20160215440A1 (en) Clothes refreshing appliance
WO2018109634A1 (en) Clothes conditioning device
JP2000051585A (ja) 簡易衣類乾燥装置
CN210797010U (zh) 一种除皱烘衣机
KR20100138427A (ko) 의류 처리장치
US20130180123A1 (en) Appliance having a drying rack
RU27668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200464173Y1 (ko) 빨래고정장치를 갖는 접이식 빨래건조대
JP2003199998A (ja) 衣類仕上げ装置
KR200439143Y1 (ko) 스팀 다리미의 주름형성 장치
US20110173850A1 (en) Stiff Flexible Hoop and Method for Reducing Wrinkles in Clothing
CN105088720A (zh) 一种便携衣物熏香袋
JP3097827U (ja) スタンド式物干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