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427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8427A KR20100138427A KR1020090056964A KR20090056964A KR20100138427A KR 20100138427 A KR20100138427 A KR 20100138427A KR 1020090056964 A KR1020090056964 A KR 1020090056964A KR 20090056964 A KR20090056964 A KR 20090056964A KR 20100138427 A KR20100138427 A KR 201001384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support
- elastic
- pivot
- clothes
- safety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넷과,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회동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안전선반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어린이가 쉽게 올라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사용된 의류에 열과 스팀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칭하는 것이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 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에 최근에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이용한 히트펌프와, 송풍기를 통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의류 처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차츰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하부에 리프레쉬를 위한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기계실이 구비되며, 그 상부에 건조 또는 리프레쉬를 위한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의 수용공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의류를 수납하기 위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가 걸리는 지지대, 접혀진 의류가 수납되는 다수의 선반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다수의 선반은 수용공간의 하부 또는 상부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삽입 또는 설치되어 의류를 수납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의 수용공간의 경우에는 기계실 상부에 수용공단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은 사용자의 가정 내에 어린이 가 있을 경우 어린이가 수용공간으로 선반을 타고 올라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가 선반을 타고 올라가다 낙상하거나 수용공간에 갇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 처리장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선반을 구비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넷;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회동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안전선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선반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분리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선반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측 단부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 2회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 1회동부의 회동측 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 와, 상기 연장돌기의 일면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선반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접철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선반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측 단부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고정회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신축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신축회동부와, 상기 고정회동부와 상기 신축회동부의 인접부를 연결하는 회동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고정회동부의 회동측 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와, 상기 연장돌기의 일면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의류 처리장치의 선반이 회동식으로 구성되어 어린이가 쉽게 올라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낙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 및 부호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캐비닛 형사의 건조공간을 갖는 캐비닛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 형태의 건조공간 또는 의류 수납공간을 갖는 다양한 가전기기 및 산업용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먼저 첨부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된 캐비넷(110), 수용공간(112)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제습시키는 열풍공급장치(150, 도 3 참조), 수용공간(1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130,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캐비넷(1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12)은 도어(116)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차단된다. 또한, 수용공간(112)에는 의류(10)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14)와, 의류(10)를 적재할 수 있는 안전선반(2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안전선반(200, 300)에 대해서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구조 설명 이후에 하도록 한 다.
한편,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150) 및 스팀발생장치(130)가 수용되는 기계실(120)이 형성된다. 기계실(1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풍공급장치(150) 및 스팀발생장치(1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1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1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2을 참조하여 스팀발생장치(130) 및 열풍공급장치(150)를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팀발생장치(130) 및 열풍공급장치(15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스팀발생장치(130)는 의류(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2, 도 1 참조)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스팀발생장치(1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1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1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장치(1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132) 및 스팀노즐(134)을 통해 수용공간(1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132)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132)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120)이 수용공간(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134)은 기계실(1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1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140)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140)은 기계실(1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1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열풍공급장치(150) 및 스팀발생장치(1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1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1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열풍공급장치(150)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열풍공급장치(150)는 기계실(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제습하여 수용공간(112)으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열풍공급장치(150)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30)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1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154), 압축기(151), 응축기(152)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이용하는 히트펌프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15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습하게 된다. 이 경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저장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증발기(154)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154) 하부의 저장부에 모이게 되고, 저장부에 모인 응축수는 펌프 등에 의해 저장원으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또한, 압축기(151)를 거쳐 응축기(152)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54)와 응축기(152)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54)와 응축기(152)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를 이용한 열풍공급장치(1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열풍공급장치(150)에 의해 수용공간(1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15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1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12)의 공기가 기계실(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2)가 연통되어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22)와 증발기(154), 응축기(152) 및 팬(155)을 연결하는 덕트(156)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덕트(156)에 의해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기계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54)와 응축기(15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155)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122)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2)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12)에서 기계실(1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안전선반(200, 300)은 수용공간(112)에 위치하여 의류의 건조 및 리플레쉬를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안전선반(200, 300)은 수용공간(112)의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최소한 수용공간(112)의 다수의 선반 중 최 하단에 위치한 선반역할을 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선반(200, 300)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은 수용공간(112)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회동부(210)와, 수용공간(112)의 타측벽에 회동 및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회동부(220)가 마련된다.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의 각 외측 단부는 수용공간(112)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별도의 힌지부(211, 2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의 내측면에는 각각 열풍공급장치(150) 및 스팀발생장치(130)에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이 통과하도록 망체(212, 3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회동부(210)의 회동측 단부에는 제 2회동부(220)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213)가 마련되고, 제 2회동부(220)의 회동측 단부에는 제 1회동부(210)의 탄성지지부(213)가 결합되는 걸림부(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213)는 제 1회동부(210)의 회동측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부(223)는 탄성지지부(213)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 2회동부(22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213)는 제 1회동부(21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설치홈(214)과, 설치홈(214)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215)와, 설치홈(214)에 이탈이 방지되어 설치되고 탄성체(21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216)가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부(223)는 탄성지지부(21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224)와, 연장돌기(224)의 일측(즉, 탄성지지부(213)의 걸림부재(216)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걸림부재(216)가 삽입되는 걸림홈(225)이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작동을 상세 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 및 도면부호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용공간(112)에 설치되어 건조선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설명은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여지가 있어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의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는 수용공간의 내벽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제 1회동부(210)의 탄성지지부(213)와 제 2회동부(220)의 걸림부가 결합된 상태로 건조선반으로 사용된다.
이때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는 제 1회동부(210)의 탄성지지부(213)에 마련된 걸림부재(216)가 탄성체(21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회동부의 걸림홈(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태에서 어린이가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용공간(112)으로 기어 올라가는 행위를 할 경우 안전선반(200)을 손으로 잡고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의 체중에 의해 안전선반(200)의 탄성지지부(213)와 걸림부(223)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안전선반(200)의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가 분리된다.
즉, 제 1회동부(210)의 탄성지지부(213)에 마련된 걸림부재(216)가 탄성체(21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회동부(220)의 걸림홈(22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 다가, 어린이의 체중에 가해짐에 따라 걸림부재(216)와 걸림홈(225)이 분리되면서 제 1회동부(210)와 제 2회동부(220)가 분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선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300)은 수용공간(112)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회동부(310)와, 수용공간(112)의 타측벽에 회동 및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회동부(320)가 마련된다. 고정회동부(310)와 신축회동부(320)의 각 회동측 단부는 회동축(3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회동부(310)와 신축회동부(320)의 내측면에는 각각 열풍공급장치(150) 및 스팀발생장치(130)에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이 통과하도록 망체(312, 3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회동부(310)의 외측 단부는 수용공간(112)의 일측벽에 별도의 힌지부(311, 3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신축회동부(320)는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신축회동부(320)는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321)와, 회동부재(321)에 결합되는 신축부재(323)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회동부(310)의 회동측 단부에는 신축회동부(320)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313)가 마련되고, 신축회동부(320)의 회동측 단부에는 고정회동부(310)의 탄성지지부(313)가 결합되는 걸림부(325)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313)는 고정회동부(310)의 회동측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부(325)는 탄성지지부(313)에 대응되는 위치로 신축회동부(32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313)와 걸림부(325)의 위치는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설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313)는 고정회동부(31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설치홈(314)과, 설치홈(314)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315)와, 설치홈(314)에 이탈이 방지되어 설치되고 탄성체(31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316)가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부(325)는 탄성지지부(31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326)와, 연장돌기(326)의 일측(즉, 탄성지지부(313)의 걸림부재(316)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걸림부재(316)가 삽입되는 걸림홈(327)이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300)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 및 도면부호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300)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수용공간(112)에 설치되어 건조선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설명은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여지가 있어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300)은 고정회동부(310)와 신축회동부(320)가 수용공간의 내벽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회동부(310)의 탄성지지부(313)와 신축회동부(320)의 걸림부(325)가 결합된 상태로 건조선반으로 사용된다.
이때 고정회동부(310)와 신축회동부(320)는 고정회동부(310)의 탄성지지부(313)에 마련된 걸림부재(316)가 탄성체(315)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회동부(320)의 걸림홈(327)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태에서 어린이가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용공간(112)으로 기어 올라가는 행위를 할 경우 안전선반(300)을 손으로 잡고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의 체중에 의해 안전선반(300)의 탄성지지부(313)와 걸림부(325)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즉, 고정회동부(310)의 탄성지지부(313)에 마련된 걸림부재(316)가 탄성체(315)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회동부(320)의 걸림홈(32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어린이의 체중에 가해짐에 따라 걸림부재(316)와 걸림홈(327)이 분리된다. 동시에 신축회동부(320)의 회동부재(321)와 신축부재(323)가 신축되면서 고정회동부(310)와 신축회동부(320)가 회동되면서 안전선반이 접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각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200, 300)에 따르면 어린이가 안전선반(200, 300)을 잡고 수용공간으로 올라 갈 때 안전선반(200, 300)이 분리회동 및 접철회동되면서 어린이가 지지하고 올라갈 수 있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어린이가 수용공간(112)으로 올라 갈수 있는 방법을 제거함으로써 어린이의 낙상 및 수용공간(112)에 갇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 및 과정을 추가 및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선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Claims (7)
-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넷;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며,상기 캐비넷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회동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안전선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선반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분리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선반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측 단부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1회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 2회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 1회동부의 회동측 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와, 상기 연장돌기의 일면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선반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접철되어 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선반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측 단부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고정회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벽에 신축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가 탄성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신축회동부와, 상기 고정회동부와 상기 신축회동부의 인접부를 연결하는 회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고정회동부의 회동측 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기와, 상기 연장돌기의 일면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6964A KR20100138427A (ko) | 2009-06-25 | 2009-06-25 | 의류 처리장치 |
CN2010101745526A CN101824737B (zh) | 2009-06-25 | 2010-04-30 | 衣物处理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6964A KR20100138427A (ko) | 2009-06-25 | 2009-06-25 | 의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8427A true KR20100138427A (ko) | 2010-12-31 |
Family
ID=4268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6964A KR20100138427A (ko) | 2009-06-25 | 2009-06-25 | 의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8427A (ko) |
CN (1) | CN1018247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68244B2 (en) | 2013-02-27 | 2017-02-14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047697B1 (ko) * | 2013-02-27 | 2019-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JP7503260B2 (ja) * | 2019-12-24 | 2024-06-20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 衣類処理装置 |
JP7449529B2 (ja) * | 2019-12-24 | 2024-03-14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 衣類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5198A (ja) * | 1998-12-22 | 2000-07-04 | Fumio Itaya | 屋外設置乾燥室 |
JP2000233099A (ja) * | 1999-02-12 | 2000-08-29 | Kaisanbutsuno Kimuraya:Kk | 衣類等収納乾燥装置 |
KR100658843B1 (ko) * | 2005-09-16 | 2006-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재생 장치 |
CN101086126A (zh) * | 2006-06-08 | 2007-12-12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衣物烘干机及其电机控制方法 |
CN101113868A (zh) * | 2006-07-28 | 2008-01-30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烘干机及其控制方法 |
-
2009
- 2009-06-25 KR KR1020090056964A patent/KR2010013842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
- 2010-04-30 CN CN2010101745526A patent/CN1018247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824737B (zh) | 2012-01-18 |
CN101824737A (zh) | 2010-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1204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8484868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053630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662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053631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5500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10124123A (ko) | 의류처리장치 | |
US9617679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AU2011239089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TWI496968B (zh) | 衣物處理裝置 | |
WO2009020313A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14777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443614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67754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100138427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10115500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10067889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147774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090050218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8635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8638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1006788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033601B1 (ko) |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 | |
KR10112881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97033B1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