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398A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2398A KR20210062398A KR1020190150583A KR20190150583A KR20210062398A KR 20210062398 A KR20210062398 A KR 20210062398A KR 1020190150583 A KR1020190150583 A KR 1020190150583A KR 20190150583 A KR20190150583 A KR 20190150583A KR 20210062398 A KR20210062398 A KR 20210062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door
- clothing
- door
- pressing plate
- ped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40—Holders or stretchers for the article to be presse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2—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actuated wholly by hand or foo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4—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power-actuate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의류 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구가 마련된 내부 도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의 사이에 의류가 로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도어와 함께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와 별개로 상기 내부 도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외부 도어,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열판,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의류의 일단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홀딩부,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홀딩부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의 양 측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의류의 상태를 개선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와 같은 직물로 이루어진 물품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세탁기는 수조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척함에 따라 세탁 과정 외에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기보다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세탁수를 통한 별도의 세탁과정 없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 처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고 강한 기류 또는 진동 등으로 기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통해 미세먼지와 주름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본래 갖고 있는 칼주름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의 칼라, 소매, 단추 부분 등과 같은 특수 부위의 주름을 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개시는 의류가 본래 가지고 있는 칼주름을 선명하게 만들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칼라, 소매, 단추 부분 등과 같은 의류의 특수 부위의 주름을 펼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의류 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구가 마련된 내부 도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의 사이에 의류가 로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도어와 함께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와 별개로 상기 내부 도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외부 도어;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열판;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의류의 일단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홀딩부;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홀딩부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의 양 측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홀딩부가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홀더 설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홀더 설치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되며,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을 향해 일정한 힘을 인가하는 압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압착판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선회시키도록 형성되는 페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페달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페달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압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압착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페달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페달에 설치되며, 상기 페달을 원위치 시키는 복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압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상기 압착판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압착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 및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풋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풋 스위치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풋 스위치에 인가된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립 각각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의류를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개구의 양측에 마련된 투명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외부 도어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작동부가 마련된 고정 레버; 및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레버의 걸림부가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레버의 작동부를 누르면, 상기 고정 레버의 걸림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빠져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내부 도어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의류를 장착하는 의류 장착 단계; 및 상기 의류 처리장치가 다림질을 수행하는 다림질 수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림질 수행 단계는, 분사 장치가 작동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의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외부 도어의 열판이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순환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 장착 단계는, 상기 내부 도어가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어를 여는 단계; 상기 내부 도어의 홀딩부로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고, 한 쌍의 클립으로 의류의 양측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도어를 닫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려져서 상기 의류의 일단을 상기 압착판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페달을 놓으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상기 의류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풋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풋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려져서 상기 의류의 일단을 상기 압착판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풋 스위치를 놓으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상기 의류의 일단을 가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특수 다림질을 선택하는 단계; 외부 도어를 여는 단계; 내부 도어에 설치된 홀딩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홀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눌러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홀딩부에 의류의 특수 부위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놓는 단계; 상기 홀딩부가 상기 의류의 특수 부위에 힘과 열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눌러 상기 홀딩부에서 상기 의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에 의하면,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 의류에 대해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바지와 같이 원래 주름이 있는 의류의 주름을 더욱 선명하게 하여 칼주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에 의하면,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장착한 상태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없는 의류의 특수 부위를 홀딩부를 이용하여 다림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외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내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장치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도어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외부 도어에 설치된 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홀딩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홀딩부의 단면도;
도 10은 내부 도어에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가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는 도 12의 홀딩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도 12의 홀딩부가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한 쌍의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하단 클립이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 외의 다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가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의류의 특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의 특수 부위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로 셔츠의 소매를 다림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외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내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장치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도어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외부 도어에 설치된 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홀딩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홀딩부의 단면도;
도 10은 내부 도어에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가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는 도 12의 홀딩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도 12의 홀딩부가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한 쌍의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하단 클립이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 외의 다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가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의류의 특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의 특수 부위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로 셔츠의 소매를 다림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외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 도어가 열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장치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는 캐비닛(10), 내부 도어(20), 및 외부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 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이 마련되며, 캐비닛(10)의 전면은 의류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수용 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은 중간판(13)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중간판(13)의 상부는 의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을 형성하며, 하부의 공간에는 분사 장치와 순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 도어(20)는 캐비닛(10)의 전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내부 도어(20)는 캐비닛(10)의 전면의 일측에 힌지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20)는 힌지를 중심으로 캐비닛(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내부 도어(20)가 닫히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이 닫히게 된다.
내부 도어(20)는 개구(21)가 마련된다. 개구(21)는 바지의 윤곽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1)의 상단의 폭은 좁고, 개구(21)의 하단의 폭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의 하부는 일정 높이까지 하단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21)의 폭은 바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구(21)는 제2홀더 설치부(23)에 의해 상부 개구(21-1)와 하부 개구(22-2)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바지의 안쪽 부분은 개구(21)를 통해 노출되고, 바지의 가장자리는 내부 도어(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부 도어(20)에 투명 창(24)이 설치된 경우에는 바지의 가장자리는 투명 창(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부 도어(20)의 개구(21)를 통해 수용 공간(11)의 스팀과 압축 공기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내부 도어(20)에는 개구(21)의 양측으로 투명 창(24)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창(24)을 통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되는 의류, 예를 들면, 바지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창(24)은 제2홀더 설치부(23)에 의해 상부 투명 창(24-1)와 하부 투명 창(24-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의 외측에 캐비닛(10) 및 내부 도어(2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설치된다.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의 전면과의 사이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33), 즉 다림질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와 함께 캐비닛(10)에 대해 회전하거나, 내부 도어(20)와 별개로 내부 도어(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20)가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도어(30)만 열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열려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이 개방될 수 있다.
외부 도어(30)가 내부 도어(20)에 고정되어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가 일체로 열리거나, 내부 도어(20)와 관계 없이 외부 도어(30)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의 사이에는 도어 결합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결합장치(40)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도어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결합장치(40)는 외부 도어(30)에 설치되는 고정 레버(41)와 내부 도어(20)에 설치되는 고정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버(41)는 외부 도어(30)의 측면(30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 레버(41)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내부 도어(20)의 고정부(45)에 걸리는 걸림부(42)가 마련되고, 고정 레버(41)의 타단에는 작동부(43)가 마련된다. 고정 레버(41)의 중앙부에는 외부 도어(30)의 측면(30c)에 고정되는 회전축(44)이 설치된다. 외부 도어(30)의 전면(30a)은 고정 레버(41)를 가릴 수 있도록 외부 도어(30)의 측면(30c)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 레버(41)는 외부 도어(30)에 의해 가려져서 의류 처리장치(1)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는다.
고정부(45)는 내부 도어(20)의 전면(20a)의 일측에 마련되며,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삽입되는 삽입홈(46)과 걸림부(42)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47)을 포함한다. 걸림턱(47)은 삽입홈(46)의 입구의 상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는 고정부(45)의 삽입홈(46)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42)가 걸림턱(47)에 걸려 고정 레버(41)가 고정부(45)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외부 도어(30)의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내부 도어(20)의 고정부(45)의 걸림턱(47)에 걸리면,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 레버(41)의 작동부(43)를 외부 도어(30)의 전면(30a)을 향해 누르면, 즉, 고정 레버(41)의 작동부(43)에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고정 레버(41)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고정부(45)의 걸림턱(47)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도어(30)를 회전시키면,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외부 도어(30)는 열판(31)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판(31)은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부 도어(30)에 설치된 열판(31)과 내부 도어(20)의 전면이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3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열판(31)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위치하는 의류에 접촉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열판(31)은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에 열을 인가하여 다림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판(31)은 외부 도어(30)의 후면(30b)에 설치될 수 있다. 열판(31)은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열판(3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의 내부에 전열선이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열판(31)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면 열판(31)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판(31)은 외부 도어(30)의 후면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외부 도어에 설치된 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열판(31)과 외부 도어(30)의 후면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열판(31)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의 사이에 장착되는 의류, 예를 들면, 바지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판(31)이 바지에 열을 인가하면서 동시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하면,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 사이에 바지를 장착하고,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면, 바지의 칼주름을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내부 도어(20)에 대해 외부 도어(30)를 닫으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에는 의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33), 즉 다림질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은 바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의 상측에는 의류의 일단, 예를 들면, 바지의 일단을 잡을 수 있도록 홀딩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7, 도 8,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에 사용되는 홀딩부(50)의 일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홀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홀딩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내부 도어에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홀딩부(50)는 베이스판(51)과 압착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51)은 내부 도어(20)의 전면(20a)에 설치되며 압착판(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베이스판(51)은 힌지축(5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1a)를 포함한다. 지지부(51a)는 힌지축(56)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마련된다.
압착판(5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판(51)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된다. 압착판(52)은 힌지축(56)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압착판(52)의 양측단에는 힌지축(56)의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57)가 마련된다. 압착판(52)의 일단에는 압착판(52)에 대해 일정 각도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해제부(53)가 설치될 수 있다.
압착판(52)은 내부 도어(20)의 전면을 향해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압착판(52)은 의류의 일단을 가압하여 의류를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판(51)과 압착판(52) 사이에는 가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로는 토션 스프링(56)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토션 스프링(56)이 베이스판(51)의 지지부(51a)의 양측으로 힌지축(56)에 설치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56)은 압착판(52)이 의류를 가압하였을 때, 의류가 자중에 의해 압착판(52)과 내부 도어(20) 사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의류에 소정의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가 압착판(52)의 해제부(53)를 누르면, 압착판(5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판(52)과 내부 도어(20) 전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압착판(52)은 가열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재(54)는 압착판(52)의 내면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홀딩부(50)는 압착판(52)에 의해 눌리는 부분에 일정한 압력과 열을 인가할 수 있다.
홀딩부(5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압착판(52)의 해제부(53)를 누르면,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압착판(52)과 내부 도어(20)의 전면 사이에 의류를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압착판(52)의 해제부(53)에 인가한 힘을 제거하면, 압착판(52)이 토션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의류를 가압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홀딩부(50)는 사용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딩부(50)는 내부 도어(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압착판(52)을 선회시키도록 형성되는 페달(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페달(70)에 힘이 인가되면,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의 전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페달(70)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의 전면을 가압한다.
이를 위해, 홀딩부(50)는 페달(70)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압착판(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착판(52)을 일정 각도 선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60)는 전면으로 돌출된 구동축(61)과 측면으로 돌출된 링크(6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64)의 선단에 힘을 인가하여 링크(64)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구동축(61)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구동축(61)의 선단에는 수커플러(62)가 설치된다. 압착판(52)의 지지돌기(57)에는 구동축(61)의 수커플러(62)와 결합되는 암커플러(63)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60)의 수커플러(62)를 압착판(52)의 암커플러(63)에 결합하면, 구동부(60)의 구동축(61)의 회전에 따라 압착판(52)이 선회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커버(68)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68)의 일면에는 구동부(60)의 구동축(61)이 돌출되는 구멍(68a)이 마련된다. 압착판(52)의 타측에는 더미 커버(69)가 마련될 수 있다. 더미 커버(69)는 커버(68)와 동일한 형상으로 커버(68)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68)와 더미 커버(69)는 베이스판(5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판(51)은 커버(68)와 더미 커버(69)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압착판(52)은 구동부(60)와 페달(70)을 연결하는 와이어(77)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도어(20)의 전면의 상부에는 홀딩부(50)가 설치되고, 내부 도어(20)의 하부에는 페달(70)이 설치된다. 내부 도어(20)의 후면 상부에는 와이어(77)를 지지 및 안내하는 상부 풀리(76)가 설치되며, 내부 도어(20)의 후면 하부에는 와이어(77)를 지지 및 안내하는 하부 풀리(75)가 설치된다.
페달(70)의 일단은 페달 하우징(71)에 설치된 페달축(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페달(70)의 타단은 내부 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27)을 통해 내부 도어(2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페달(70)은 페달축(7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페달(70)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 탄성부재(74)(도 11a 참조)로 지지될 수 있다.
페달 하우징(71)은 내부 도어(20)의 후면에 설치된다. 복원 탄성부재(74)는 페달 하우징(71)의 내부에 페달(70)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원 탄성부재(74)로 2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코일 스프링(74)의 일단은 페달 하우징(71)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페달(7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페달(70)에 시계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코일 스프링(74)이 압축되어 페달(7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페달(70)에 인가된 힘이 제거되면, 코일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해 페달(7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페달 하우징(71)의 하면에는 하부 풀리(75)가 설치될 수 있다.
페달(70)의 일단에는 페달(70)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링크(73)가 설치된다. 따라서, 페달(70)이 회전하면, 회전 링크(73)가 페달(70)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 링크(73)의 일단에는 와이어(77)의 일단(77a)이 연결된다. 와이어(77)는 하부 풀리(75)와 상부 풀리(76)를 통해 구동부(60)의 링크(64)에 연결된다. 즉, 와이어(77)의 타단(77b)은 구동부(60)의 링크(64)의 일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페달(70)이 회전하면, 구동부(60)의 링크(64)가 회전하여 압착판(52)이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여, 페달(70)에 의한 압착판(52)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의 압착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페달(70)을 밟지 않으면, 즉, 페달(70)에 힘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50)의 압착판(52)은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근접한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페달(70)을 밟으면, 즉,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70)에 힘이 인가되면, 페달(70)은 페달축(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 링크(73)가 페달(70)과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링크(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링크(73)에 연결된 와이어(77)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와이어(77)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77)의 타단(77b)에 연결된 구동부(60)의 링크(6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60)의 링크(6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부(60)의 구동축(6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구동축(61)에 연결된 압착판(52)도 힌지축(5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진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발로 페달(70)을 눌러 홀딩부(50)가 벌어진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손으로 의류, 예를 들면, 바지의 일단을 압착판(52)의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페달(70)에서 발을 떼면, 압착판(52)이 가압부재(56), 즉 2개의 토션 스프링에 의해 바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페달(70)은 2개의 코일 스프링(7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페달(70)을 이용하여, 홀딩부(50)를 작동시키면, 사용자는 두손을 이용하여 의류를 홀딩부(5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를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판은 모터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홀딩부(50')는 베이스판(51), 압착판(52), 모터(60'), 및 풋 스위치(7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51)과 압착판(52)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판(51)과 압착판(52)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압착판(51)의 일측에는 모터(60')가 설치된다. 모터(60')는 풋 스위치(78)와 전선(79)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터(60')는 홀딩부(50')의 압착판(5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모터(60')의 회전축과 압착판(52)의 지지돌기(57)는 커플러로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는 도 8에 도시된 커플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암커플러(63)는 압착판(52)의 지지돌기(57)에 설치되고, 수커플러(62)는 모터(60')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60')의 회전축에 고정된 수커플러(62)를 압착판(52)의 암커플러(63)에 결합하면, 모터(60')와 압착판(52)이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60')가 작동하면, 압착판(52)이 회전할 수 있다.
모터(6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착판(52)의 가압부재(5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압착판(52)을 내부 도어(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풋 스위치(78_는 내부 도어(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60')를 온 및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풋 스위치(78)를 누르면, 즉, 풋 스위치(78)에 힘이 인가되면, 모터(60')가 작동하여 모터(60')의 회전축이 회전한다. 풋 스위치(78)에 힘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터(60')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모터(60')의 회전축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풋 스위치(78)에 힘이 인가되면, 모터(60')의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로부터 이격된다. 풋 스위치(78)에 인가된 힘이 제거되면, 모터(60')는 작동하지 않고, 가압부재(56)에 의해 압착판(52)은 내부 도어(20)를 향해 가압되어 압착판(52)이 닫힌 상태가 된다.
이하, 도 13a와 도 13b를 참조하여, 풋 스위치(78)에 의한 압착판(52)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a는 도 12의 홀딩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2의 홀딩부가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풋 스위치(78)를 밟지 않으면, 즉, 풋 스위치(78)에 힘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50')의 압착판(52)은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근접한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풋 스위치(78)를 밟으면, 즉, 풋 스위치(78)에 힘이 인가되면, 모터(60')가 작동하여 회전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60')의 회전축에 연결된 압착판(52)도 힌지축(5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판(52)이 내부 도어(2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진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발로 풋 스위치(78)를 눌러 홀딩부(50')가 벌어진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손으로 의류, 예를 들면, 바지의 일단을 압착판(52)의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풋 스위치(78)에서 발을 떼면, 모터(6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압착판(52)이 가압부재(56), 즉 2개의 토션 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힌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압착판(52)이 바지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풋 스위치(78)를 이용하여, 홀딩부(50')를 작동시키면, 사용자는 두손을 이용하여 의류를 홀딩부(5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를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홀딩부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딩부(80)는 베이스(81)와 가압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1)와 가압부(8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82)의 선단은 베이스(81)에 대해 일정 각도 변형되었다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82)의 선단과 베이스(81) 사이에 의류의 일단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81)와 가압부(82)를 포함하는 홀딩부(80)는 탄성이 있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81)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가압부(82)는 베이스(8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82a)와 수직부(82a)에서 베이스(8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82b)를 포함한다. 베이스(81)를 마주하는 평행부(82b)의 일면에는 베이스(81)를 향해 돌출된 턱부(82c)가 마련된다. 홀딩부(80)는 탄성을 갖는 수지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가압부(82)는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이스(81)와 가압부(82)의 턱부(82c) 사이에 의류의 일단을 삽입할 수 있다. 삽입된 의류는 가압부(82)의 턱부(82c)에 의해 베이스(81)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81)는 내부 도어(2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81)는 내부 도어(2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8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20)의 전면에는 홀딩부(50, 50', 80)가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홀더 설치부(22,23)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홀더 설치부(22,23)는 내부 도어(20)의 전면(20a)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20)는 2개의 홀더 설치부, 즉 제1홀더 설치부(22)와 제2홀더 설치부(23)를 포함한다. 제1홀더 설치부(22)는 내부 도어(2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제2홀더 설치부(23)는 제1홀더 설치부(22)의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다. 제2홀더 설치부(23)는 내부 도어(20)의 중심에서 약간 위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홀더 설치부(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의류의 일단을 홀딩부(50, 50')에 고정하기 쉬운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홀더 설치부(22,23)에는 홀딩부(50,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홀딩부(50,50')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홀더 설치부(22,23)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20)의 개구(21)의 하부 양측에는 한쌍의 클립(85)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클립(85)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 공간(33)에 홀딩부(50, 50')의 아래에 설치된다. 한 쌍의 클립(85)은 홀딩부(50,50')에 고정된 의류(C)의 하부의 양측, 예를 들면, 바지 하부의 양측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마련된다(도 16 참조).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한 쌍의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클립(85)의 전단은 의류(C), 예를 들면, 바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클립(85)은 내면 도어(20)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클립(85)은 각각 스프링(8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86)의 일단은 클립(85)의 후단에 고정되며, 스프링(86)의 타단은 내면 도어(20)에 설치된 고정편(87)에 고정된다. 스프링(86)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립(85)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6)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6)은 주변의 온도, 즉, 캐비닛(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수축되도록 형성된다. 즉, 실내 온도에서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6)은 신장된 상태이고, 캐비닛(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6)은 수축된 상태가 된다.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는 외부 도어(30)의 열판(31)이 작동하거나 분사 장치에 의해 스팀이 발생할 때 상승한다. 따라서, 외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열판(31)이 작동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6)이 압축되므로 한 쌍의 클립(85)이 의류(C)를 잡아당긴다. 이 상태에서 열판(31)이 의류(C)에 열과 압력을 가하므로 다림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20)의 개구(21)의 하단에는 홀딩부(50,50')에 고정된 의류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하단 클립(8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하단 클립이 설치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하단 클립(88)이 바지(C)의 하단을 잡아 아래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하단 클립(88)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89)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 클립(88)의 구조는 상술한 한 쌍의 클립(85)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는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장치(1)는 의류 지지장치(91), 분사 장치(92), 순환 장치(93), 열판(31), 가열부재(54), 메모리(94), 입력장치(95), 디스플레이(96), 및 프로세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지지장치(91)는 의류 처리장치(1)의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에 마련되어 의류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의류 지지장치(91)는 수용 공간(11)의 상단에 배치되어 의류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지지장치(91)는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되고, 의류 처리장치(1)의 외부로부터 의류를 지지하는 상태로 다시 수용 공간(11)에 장착될 수 있다.
분사 장치(92)는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의류에 스팀 또는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분사 장치(92)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 장치(92)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의류를 압착함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묻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사 장치(92)는 수용 공간(1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분사 장치(92)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팀 또는 공기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순환 장치(93)는 수용 공간(11)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순환 장치(93)는 수용 공간(11)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수용 공간(11)에 유입된 공기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수용 공간(11)에 고온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 장치(93)는 수용 공간(11)에 고온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의류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의류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장치(93)는 고온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가열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은 히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순환 장치(93)는 수용 공간(11)의 하부, 즉 중간판(13)의 아래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1)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순환 장치(93)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판(31)은 의류 처리장치(1)의 외부 도어(30)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여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에 대해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열판(31)의 구조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부재(54)는 홀딩부(50, 50')의 압착판(52)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여 압착판(52)에 의해 가압된 의류의 특수부위에 대해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가열부재(54)는 상술한 홀딩부(50,50')의 가열부재(54)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94)는 프로세서(9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의류 처리장치(1)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94)는 의류 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과, 의류 처리장치(1)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4)는 프로세서(9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90)에 의한 데이터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94)는 의류 처리장치(1) 내의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장치(95)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8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장치(1)의 입력 장치(95)는 디스플레이(96),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 전원 버튼(98), 동작 버튼(99)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6)는 선택된 의류처리코스, 의류 처리장치(1)의 상태, 이상 감지 경보 등, 사용자가 의류 처리장치(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96)는 이러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LCD, CR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은 표준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표준 버튼(97a),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미세먼지 버튼(97b), 의류 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급속 버튼(97c), 의류를 살균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살균 버튼(97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은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건조 버튼(97e), 의류의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는 다림질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다림질 버튼(97f), 및 의류의 특수부위의 다름질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 다림질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특수 다림질 버튼(97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은 일 예일 뿐이며, 의류 처리장치(1)가 상술한 코스 외의 다른 의류 처리 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다른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전원 버튼(98)은 의류 처리장치(1)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전원 버튼(98)을 누르면, 의류 처리장치(1)에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는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을 사용하여 의류 처리장치(1)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전원 버튼(98)을 다시 누르면, 의류 처리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상태가 된다.
동작 버튼(99)은 의류 처리장치(1)가 의류 처리코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동작 버튼(99)을 누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처리코스가 수행된다. 의류 처리장치(1)가 동작 중에 동작 버튼(99)을 누르면, 의류 처리장치(1)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입력장치(95)가 복수의 버튼(97,98,99)으로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입력장치(95)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 전원 버튼(98), 동작 버튼(99)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웨어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의류 처리장치(1) 내의 각 구성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는 스팀 기능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 분사 장치(9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건조 기능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 순환 장치(9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90)는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분사 장치(92), 순환 장치(93), 및 열판(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특수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홀딩부(50,50')의 가열부재(5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90)는, 예를 들면, 전자회로기판과 같은 처리 회로, ASIC, ROM, RAM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부품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의류 처리장치(1)를 제어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프로세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프로세서(9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를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 외의 다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내부 도어(20)를 열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을 개방한다(S191). 이때, 사용자가 외부 도어(30)의 고정 레버(41)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의류 처리장치(1)의 내부 도어(20)가 개방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마련된 의류 지지장치(91)를 분리하여 외부로 꺼낸 후, 의류 지지장치(91)에 의류를 장착한다(S192). 의류가 장착된 의류 지지장치(91)를 다시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내부 도어(20)를 닫아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을 밀폐한다(S193). 이때, 외부 도어(30)는 내부 도어(2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를 동작시킨다(S194).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장치(95)(도 18 참조)에 마련된 복수의 의류 처리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97) 중 하나를 선택하고, 동작 버튼(99)을 눌러 의류 처리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준 코스(97a)를 선택하고, 동작 버튼(99)을 눌러 의류 처리장치(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90)는 분사 장치(92)와 순환 장치(93)를 제어하여 선택된 의류 처리코스에 대응하는 의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의류 처리코스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내부 도어(20)를 열어 의류 지지장치(91)에 장착된 의류를 빼낸다(S195).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는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류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를 사용하여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 도어(30)를 연다(S201). 이때, 사용자가 외부 도어(30)에 마련된 고정 레버(41)의 작동부(43)(도 5 참조)를 누르면,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내부 도어(20)에 마련된 고정부(45)에서 빠지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20)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도어(30)만 열 수 있다. 외부 도어(30)를 열면, 내부 도어(2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내부 도어(20)에 마련된 홀딩부(50)와 한 쌍의 클립(85)을 이용하여 의류를 장착한다(S202). 예를 들어, 바지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홀딩부(50)에 바지의 일단(원래 바지의 하단)을 고정하고, 바지의 타단(원래 바지의 상단)에 인접한 바지의 양측부를 한 쌍의 클립(85)으로 고정한다(도 16 참조).
이때, 사용자가 발로 내부 도어(20)의 하부에 마련된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를 누르면, 홀딩부(50)의 압착판(52)이 벌어진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바지의 일단을 홀딩부(5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에서 발을 떼면, 압착판(52)이 원 위치로 복귀하여 바지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로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를 조작하여 홀딩부(50)의 압착판(52)을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바지의 일단을 홀딩부(50)에 고정하는 것을 두손으로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 도어(20)에 의류의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외부 도어(30)를 닫는다(S203). 외부 도어(30)를 닫으면,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내부 도어(20)의 고정부(45)의 걸림턱(47)에 걸려 외부 도어(30)가 내부 도어(20)에 고정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다림질 코스를 수행한다(S204).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장치(95)에서 다듬질 코스 선택 버튼(97f)을 누르고, 동작 버튼(99)을 눌러 의류 처리장치(1)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프로세서(90)는 의류 처리장치(1)를 제어하여 다림질 코스를 수행한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프로세서(90)가 의류 처리장치(1)를 제어하여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가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림질 코스 선택 버튼(97f)과 동작 버튼(99)이 눌려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세서는 다림질 코스를 수행한다.
먼저, 프로세서(90)는 분사 장치(92)를 작동시켜(S211),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으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한다. 분사 장치(92)에서 발생된 스팀은 내부 도어(20)의 개구(21)를 통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로 공급된다. 고온의 스팀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90)는 외부 도어(30)의 후면에 마련된 열판(31)을 온 시킨다(S212). 즉, 프로세서(90)는 열판(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판(31)이 가열되도록 한다. 열판(31)이 가열되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에 대해 다림질이 수행된다.
프로세서(90)는 열판(31)에 전원을 공급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3). 설정 시간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 의류에 대해 적절한 다림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90)는 열판(31)을 오프 시킨다(S214). 즉, 프로세서(90)는 열판(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어서, 프로세서(90)는 순환 장치(93)를 작동시켜(S215),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과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를 건조시킨다. 즉, 순환 장치(93)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그러면, 고온의 공기는 내부 도어(20)의 개구(21)를 통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에 공급되므로 다림질이 완료된 의류가 건조될 수 있다.
다듬질 코스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 레버(41)를 작동시켜 외부 도어(30)를 연다(S205). 그러면, 내부 도어(20)의 전면에 장착된 의류가 노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홀딩부(50)와 한 쌍의 클립(85)에서 의류를 분리한다(S206).
이어서, 사용자가 외부 도어(30)를 닫으면(S207), 의류의 다림질이 완료된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를 사용하여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의 다른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외부 도어(30)를 열고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의류를 장착하고 외부 도어(30)를 닫는 과정(S221, S222, S223)은 상술한 도 20의 과정(S201, S202, S20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도어(30)를 닫은 후, 사용자는 내부 도어(20)를 연다(S224). 이때, 외부 도어(30)를 닫으면, 외부 도어(30)의 고정 레버(41)의 걸림부(42)가 내부 도어(20)의 고정부(45)의 걸림턱(47)에 걸리게 되므로, 내부 도어(20)를 열면, 외부 도어(30)도 내부 도어(2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내부 도어(20)를 연 후, 사용자는 내부 도어(20)의 투명 창(24)을 통해 의류가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상태를 확인한다(S225). 의류의 장착 상태가 정상이면, 사용자는 내부 도어(S226)를 닫는다.
만일, 의류의 장착 상태가 비정상이면, 사용자는 외부 도어(30)의 고정 레버(41)를 작동시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를 분리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내부 도어(20)에 장착된 의류의 장착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 레버(41)를 이용하여 외부 도어(30)와 내부 도어(20)를 결합한 후, 투명 창(24)을 통해 의류의 장착 상태를 다시 확인한다. 의류의 장착 상태가 정상이면, 사용자는 내부 도어를 닫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다림질 코스를 수행한다(S227). 의류 처리장치(1)가 다림질 코스를 수행하는 것은 상술한 도 21의 제어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림질 코스가 완료된 뒤 의류를 분리하는 과정(S228, S229, S230)은 상술한 도 20의 과정(S205, S206, S207)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방법과 같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한 의류의 장착 상태를 확인한 후, 다림질을 수행하면, 의류의 오장착에 의한 다림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는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의류를 장착하여 다림질을 수행할 수 없는 의류의 특수 부위에 대해 별도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의 특수 부위는 상술한 다림질 코스를 이용하여 다림질을 할 수 없는 의류의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의류의 특수 부위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츠(100)의 칼라(101), 소매(102), 단추 부분(103) 등을 말한다. 참고로,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의류의 특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23에 도시된 셔츠(100)의 특수 부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로 다림질할 수 있는 부분의 일 예를 나타낼 뿐이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는 부분적으로 다림질이 필요한 다양한 의류의 다양한 부분에 대해서도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의 특수 부위를 다림질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로 의류의 특수 부위에 다림질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사용자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의 홀딩부로 셔츠의 소매를 다림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특수 다림질을 선택한다(S241). 예를 들면, 사용자는 도 18의 입력 장치(95)에서 특수 다림질 선택 버튼(97g)을 눌러 특수 다림질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외부 도어(30)를 연다(S242). 이때, 외부 도어(30)의 고정 레버(41)를 작동시키면, 내부 도어(20)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 도어(30)만 열 수 있다. 그러면, 내부 도어(2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홀딩부(50)의 위치를 조절한다(S243). 예를 들어, 홀딩부(50)가 내부 도어(20)의 상단, 즉, 제1홀더 설치부(22)에 위치하면, 홀딩부(50)를 제2홀더 설치부(23)로 이동시킨다. 홀딩부(50)가 제2홀더 설치부(23)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의류(100)의 특수 부위(102)를 홀딩부(50)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만일, 홀딩부(50)가 제2홀더 설치부(23)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홀딩부(50)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를 누른다(S244). 그러면, 홀딩부(50)의 압착판(52)이 선회하여 내부 도어(20)의 전면과 압착판(5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홀딩부(50), 즉 압착판(52)의 아래에 의류(100)의 특수 부위(102)를 세팅한다(S245). 도 25는 셔츠(100)의 손목(102)을 홀딩부(50)의 압착판(52)에 세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의류(100)의 특수 부위(102)를 홀딩부(50)에 세팅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에서 발을 뗀다(S246). 그러면, 홀딩부(50)의 압착판(52)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의류(100)의 특수 부위(102)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압착판(52)에 마련된 가열부재(54)에 전원이 인가되어 압착판(52)이 가열된다. 따라서, 의류(100)의 특수 부위(102)는 압착판(52)에 의해 가압되면서 동시에 가열부재(54)에 의해 열이 인가되므로 다림질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의류의 특수 부위(102)의 다림질이 완료되면, 다시 사용자는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를 눌러 홀딩부(50)의 압착판(52)을 선회시켜, 압착판(52)에 의해 다림질된 의류의 특수 부위(102)를 분리할 수 있다.
입력장치(95)에서 특수 다림질 코스 선택 버튼(97g)이 눌려지면, 프로세서(90)는 페달(70) 또는 풋 스위치(78)의 작동에 따라 압착판(52)의 가열부재(54)를 온/오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90)는 의류 처리장치(1)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작동시키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에 의하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된 의류에 대해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바지와 같이 원래 주름이 있는 경우에는 주름을 더욱 선명하게 하여 칼주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장치(1)에 의하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30) 사이의 공간(33)에 장착한 상태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없는 의류의 특수 부위를 홀딩부(50)를 이용하여 다림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의류 처리장치
10; 캐비닛
11; 수용 공간 20; 내부 도어
21; 개구 22,23; 홀더 설치부
24; 투명 창 30; 외부 도어
31; 열판 33; 다림질 공간
40; 도어 결합장치 41; 고정 레버
42; 걸림부 45; 고정부
47; 걸림턱 50,50',80; 홀딩부
51; 베이스판 52; 압착판
54; 가열부재 55; 힌지축
60; 구동부 60'; 모터
61; 구동축 64; 링크
70; 페달 71; 페달 하우징
73; 회전 링크 75; 하부 풀리
77; 와이어 78; 풋 스위치
81; 베이스 82; 가압부
85; 클립 86,89;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90; 프로세서 91; 의류 지지장치
92; 분사 장치 93; 순환 장치
94; 메모리 95; 입력장치
96; 디스플레이 97; 코스 선택 버튼
11; 수용 공간 20; 내부 도어
21; 개구 22,23; 홀더 설치부
24; 투명 창 30; 외부 도어
31; 열판 33; 다림질 공간
40; 도어 결합장치 41; 고정 레버
42; 걸림부 45; 고정부
47; 걸림턱 50,50',80; 홀딩부
51; 베이스판 52; 압착판
54; 가열부재 55; 힌지축
60; 구동부 60'; 모터
61; 구동축 64; 링크
70; 페달 71; 페달 하우징
73; 회전 링크 75; 하부 풀리
77; 와이어 78; 풋 스위치
81; 베이스 82; 가압부
85; 클립 86,89;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90; 프로세서 91; 의류 지지장치
92; 분사 장치 93; 순환 장치
94; 메모리 95; 입력장치
96; 디스플레이 97; 코스 선택 버튼
Claims (20)
-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구가 마련된 내부 도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의 사이에 의류가 로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도어와 함께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와 별개로 상기 내부 도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외부 도어;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열판;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의류의 일단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홀딩부;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홀딩부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의 양 측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클립;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홀딩부가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홀더 설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홀더 설치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되며,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을 향해 일정한 힘을 인가하는 압착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압착판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선회시키도록 형성되는 페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페달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페달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일정한 힘을 인가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압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압착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페달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페달에 설치되며, 상기 페달을 원위치 시키는 복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압착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상기 압착판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압착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 및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풋 스위치;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착판이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풋 스위치에 인가된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압착판을 상기 내부 도어를 향해 가압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립 각각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의류를 잡아당기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적어도 한 개의 하단 클립;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개구의 양측에 마련된 투명 창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바지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작동부가 마련된 고정 레버; 및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레버의 걸림부가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레버의 작동부를 누르면, 상기 고정 레버의 걸림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빠져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내부 도어와 별개로 회전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과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열판을 상기 내부 도어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 의류 처리장치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 사이의 공간에 의류를 장착하는 의류 장착 단계; 및
상기 의류 처리장치가 다림질을 수행하는 다림질 수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림질 수행 단계는,
분사 장치가 작동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의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외부 도어의 열판이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순환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장착 단계는,
상기 내부 도어가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어를 여는 단계;
상기 내부 도어의 홀딩부로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고, 한 쌍의 클립으로 의류의 양측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도어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려져서 상기 의류의 일단을 상기 압착판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페달을 놓으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상기 의류의 일단을 가압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풋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풋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려져서 상기 의류의 일단을 상기 압착판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풋 스위치를 놓으면,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상기 의류의 일단을 가압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특수 다림질을 선택하는 단계;
외부 도어를 여는 단계;
내부 도어에 설치된 홀딩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홀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눌러 상기 홀딩부의 압착판이 벌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홀딩부에 의류의 특수 부위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놓는 단계;
상기 홀딩부가 상기 의류의 특수 부위에 힘과 열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페달 또는 풋 스위치를 눌러 상기 홀딩부에서 상기 의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페달 또는 풋 스위치에 의해 온 및 오프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583A KR20210062398A (ko) | 2019-11-21 | 2019-11-21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CT/KR2020/015937 WO2021101172A1 (ko) | 2019-11-21 | 2020-11-13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7/100,485 US11525208B2 (en) | 2019-11-21 | 2020-11-20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583A KR20210062398A (ko) | 2019-11-21 | 2019-11-21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2398A true KR20210062398A (ko) | 2021-05-31 |
Family
ID=7597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583A KR20210062398A (ko) | 2019-11-21 | 2019-11-21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525208B2 (ko) |
KR (1) | KR20210062398A (ko) |
WO (1) | WO2021101172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623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13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WO2023080617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34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22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30126820A (ko)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지모비코리아 | 의류 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11293A (en) * | 1953-11-10 | 1957-10-29 | Russell D Holm | Apparel rack |
US5305484A (en) | 1988-01-13 | 1994-04-26 | J.S.F. Holdings (Cork) Limited |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
JPH10314500A (ja) * | 1997-05-14 | 1998-12-02 | Izumi Prod Co | スチーム付きハンガー |
ES2252270T3 (es) * | 2001-08-29 | 2006-05-16 | Exeq S.A. | Prensa compacta de planchado automatico para pantalones. |
KR200347471Y1 (ko) | 2004-01-13 | 2004-04-13 | 호명호 | 바지 상단 다림질기 |
KR101319879B1 (ko) * | 2007-01-10 | 2013-10-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잠금 장치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
KR101435797B1 (ko) * | 2007-08-03 | 2014-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110048343A (ko) | 2009-11-02 | 2011-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 장치 |
KR102099175B1 (ko) | 2013-07-17 | 2020-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099179B1 (ko) * | 2013-12-05 | 2020-04-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599104B1 (ko) * | 2016-11-11 | 2023-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8727379A (zh) | 2016-11-11 | 2024-10-0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KR102667329B1 (ko) * | 2016-12-23 | 2024-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KR20180136806A (ko) * | 2017-06-15 | 2018-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관리기 |
KR102472993B1 (ko) | 2018-01-08 | 2022-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620273B1 (ko) | 2018-02-22 | 2023-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KR20190110290A (ko) * | 2018-03-20 | 2019-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 장치 |
KR20190116093A (ko) | 2018-04-03 | 2019-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19194567A1 (ko) * | 2018-04-03 | 2019-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6356541A (zh) | 2018-06-01 | 2023-06-30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设备 |
KR101988323B1 (ko) | 2018-08-14 | 2019-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208748389U (zh) * | 2018-08-27 | 2019-04-16 |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 衣物处理设备 |
KR102052976B1 (ko) | 2019-02-08 | 2019-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10019865A (ko) | 2019-08-13 | 2021-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9
- 2019-11-21 KR KR1020190150583A patent/KR2021006239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
- 2020-11-13 WO PCT/KR2020/015937 patent/WO202110117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1-20 US US17/100,485 patent/US11525208B2/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623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13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WO2023080617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34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080622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30126820A (ko)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지모비코리아 | 의류 건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01172A1 (ko) | 2021-05-27 |
US20210156075A1 (en) | 2021-05-27 |
US11525208B2 (en) | 2022-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62398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19132B1 (ko) |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 |
US10604879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101507783B1 (ko) | 가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CN118727379A (zh) | 衣物处理装置 | |
CN114657754A (zh) | 衣物处理设备 | |
KR102000450B1 (ko) |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 |
CN111801459B (zh) | 具有用户感测功能的衣物器具 | |
KR102599104B1 (ko) | 의류처리장치 | |
AU2022271505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002933A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10271772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284362B1 (ko) | 의류 건조장치 | |
KR102596966B1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102032910B1 (ko) | 의류 관리용 건조설비 | |
EP1710342B1 (en) | Household appliances for washing and/or drying clothes | |
KR20210098407A (ko) | 의류처리장치 | |
CN219930533U (zh) | 衣物烘干控制系统及衣物护理设备 | |
KR101071496B1 (ko) | 의복 구김 제거 장치 | |
AU2022204625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CN118632953A (zh) | 衣物处理装置 | |
JP3009175B2 (ja) | アイロン装置 | |
CN116670353A (zh) | 衣物处理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