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40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407A
KR20210098407A KR1020210100056A KR20210100056A KR20210098407A KR 20210098407 A KR20210098407 A KR 20210098407A KR 1020210100056 A KR1020210100056 A KR 1020210100056A KR 20210100056 A KR20210100056 A KR 20210100056A KR 20210098407 A KR20210098407 A KR 2021009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mpression
clothes
support body
compress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141B1 (ko
Inventor
김재형
장세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1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며,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수분챔버; 및 상기 수분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구김 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주름(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잡아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을 형성시키려면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후 다리미와 같은 주름 형성 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pleat)은 강화하고, 구김(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주름)은 제거하는 프레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며,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수분챔버; 및 상기 수분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분챔버는 상기 압축바디에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압축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수분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된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를 상기 히터에 연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가열된 수증기를 상기 수분챔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수분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를 상기 진동자에 연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수분챔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수분챔버의 좌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 가압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수분챔버의 우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 가압하는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의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분챔버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지바디 홈; 상기 지지바디 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 및 상기 지지바디 홈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축바디 중 상기 지지바디를 향하는 면에 전도체로 구비된 가열판; 상기 가열판과 상기 압축바디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전도체로 구비된 제1가열판;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전도체로 구비된 제2가열판; 상기 제1가열판과 상기 제1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1열원; 및 상기 제2가열판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2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전도체로 구비되고, 상기 전도체를 가열하는 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지지바디 또는 상기 지지바디가 고정된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지지바디 또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상기 지지바디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의류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제1의류지지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시키는 제2의류지지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수용공간 공기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용공간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용공간 수분공급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며,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로 수분을 공급하는 바디 관통홀; 상기 압축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의류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지지바디를 향하는 상기 압축바디의 일면에 전도체로 구비된 가열판; 상기 가열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 관통홀에 연통하는 가열판 관통홀; 및 상기 가열판과 상기 압축바디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는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바디 홈; 상기 압축바디 홈의 좌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 가압하는 제1바디; 상기 압축바디 홈의 우측에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 가압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전도체로 구비된 제1가열판;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전도체로 구비된 제2가열판; 상기 제1가열판과 상기 제1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1열원; 및 상기 제2가열판과 상기 제2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2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전도체로 구비되고, 상기 전도체를 가열하는 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은 강화하고, 구김은 제거하는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 가능한 프레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의류에 스팀 및 열을 공급 가능한 프레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의류에 열을 공급 가능한 프레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2, 수용공간), 상기 제1챔버(2)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31, 34, 도 2 참고), 상기 제1챔버(2)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pleat)은 강화하고, 의류의 구김(wrinkle,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은 주름)은 펴주는 프레서(P)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31, 34)는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챔버(3)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챔버(2)와 분리된 공간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2챔버(3)가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격벽(17)을 통해 분리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에는 캐비닛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캐비닛의 전방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캐비닛의 전방면(11)을 향해 회전 가능한 도어(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챔버(2)는 상기 전방면(11)에 구비된 투입구(111)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제2챔버(3)는 상기 전방면(11)에 구비된 연통구(112)를 통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연통구(112)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도어(3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가 전방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면, 상기 투입구(111) 및 제2챔버 도어(35)는 동시에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
상기 도어(13)에는 옷걸이 또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1의류지지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2)에는 옷걸이 또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2의류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의류지지부(15)가 상기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도어의 일면(도어의 내주면)에 돌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1의류지지부(15)는 옷걸이(H1)를 지지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상기 제2의류지지부는 상기 제1챔버(2)의 너비방향(Y축 방향) 또는 제1챔버의 깊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지바(27), 상기 지지바의 양단을 상기 제1챔버(2)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바 고정부(2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7)는 옷걸이(H2)의 고리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옷걸이(H1, H2)에 고정된 의류는 상기 제1의류지지부(15) 및 상기 제2의류지지부(27, 29)를 통해 상기 제1챔버(2)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챔버(2)로 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 가능한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 및 상기 제1챔버(2)로 가열된 수증기(steam) 또는 미가열 수증기(mist)를 공급하는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공급부가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 및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는 상기 제1챔버(2) 내부의 공기를 제1챔버의 외부로 배출한 뒤 다시 제1챔버로 안내하는 덕트(311), 상기 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와 제2챔버(3)는 상기 격벽(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21)와 공급구(23)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데, 상기 덕트(311)는 일단은 상기 배출구(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구(2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덕트(311)는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덕트(311) 내부에서 회전하는 팬(318) 및 상기 덕트(31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한 뒤 가열하는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 있다.
히트펌프로 구비된 열교환부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제공하는 냉매관(317), 상기 냉매관(317)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구(21)와 팬(318)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312, 증발기), 상기 냉매관(317)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312)와 팬(318)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313, 응축기), 냉매가 상기 냉매관(317)을 따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압축기(315),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기(3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312)와 제2열교환기(313)는 덕트(31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315) 및 팽창기(316)는 상기 덕트(31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축기(315) 및 팽창기(316)는 상기 제2챔버 도어(35)가 연통구(112)를 개방한 때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312)는 상기 덕트(311)로 유입된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관(317)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하면서 증발하고,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하면서 응축(제습)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313)는 압축기(315)에서 배출된 냉매가 가진 열을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도 2는 상기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가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2)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는 상기 제2챔버(3)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탱크(341), 상기 저장탱크(341) 내부에 구비된 탱크 히터(343), 상기 저장탱크(341)를 상기 제1챔버(2)에 연결하는 공급관(34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41)는 물을 저장하는 수단이고, 상기 탱크 히터(343)는 저장탱크(34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공급관(345)은 저장탱크(341) 내부의 스팀을 제1챔버(2)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관(345)은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3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격벽(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수분공급구(25, 도 1 참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41)는 제2챔버 도어(35)에 고정된 급수탱크(351)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351)는 상기 제2챔버 도어(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탱크(351)는 연결관(353)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34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53)은 밸브(35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펌프가 없더라도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급수탱크(35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탱크(34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탱크(351)는 상기 저장탱크(34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된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저장탱크 내부의 수증기를 수분공급구(25)로 안내하는 공급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에는 컨트롤패널(1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31)에는 상기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 및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 및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를 통해 제1챔버(2)에 수분과 가열된 공기(열풍)가 공급되는 동안 의류가 제1챔버(2)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탈취나 구김을 제거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수분과 열풍의 공급 중 의류가 제1챔버(2)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 presser)는 제1챔버(2)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서(P)는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프레서(P)가 도어(13)의 내주면(제1챔버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프레서(P)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프레서(P)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는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4),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의류를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부(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된 지지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축부(6)는 상기 지지바디 또는 상기 지지바디가 고정된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지지부(4)가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바디(4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압축부(6)는 상기 지지바디(41) 또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1)는 너비(Y축 방향 길이)가 높이(Z축 방향 길이)보다 짧은 사각형상의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1)는 상기 도어(13)에 고정되는 고정부(411), 상기 고정부(411)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지지면(412) 및 제2지지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1)와 달리 상기 제1지지면(412)의 자유단과 상기 제2지지면(413)의 자유단은 도어(13)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412)과 제2지지면(413)의 자유단이 도어(13)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압축 가능하다. 각 지지면(412, 413)이 일종의 판 스프링 역할(의류를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바디(41)에는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Sewing Line)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홈(42)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바디 홈(42)은 상기 고정부(4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서 각 지지면(412, 413)까지의 거리가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상기 고정부(411)의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됨으로써 두 개의 지지면(412, 4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부(6)는 체결부(71, 73, 75)를 통해 지지바디(41) 또는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압축바디(6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압축바디(61)가 도어(13)의 내주면에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압축바디(61)를 도어(13)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71)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71)는 상기 지지바디(41)의 높이방향(제1챔버의 높이방향, Z축 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상기 압축바디(61)에 제공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바디(61)는 상기 힌지(71)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41)가 위치된 방향 및 상기 지지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압축바디(61)에 구비된 체결돌기(73),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7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홈(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디(41)를 향하는 압축바디(61)의 일면에는 수분챔버(63)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챔버(63)는 수분공급부(8)에서 공급되는 수분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수분챔버(63)는 지지바디를 향하는 압축바디(61)의 일면이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1)와 압축바디(61)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에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수분챔버(63)는 상기 압축바디(61)의 높이방향(제1챔버의 높이방향, 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챔버(63)는 상기 지지바디 홈(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챔버가 지지바디 홈(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는 것은 압축바디(61)가 지지바디(41)를 향해 회전하면 상기 수분챔버(63)가 지지바디 홈(42)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구비됨을 의미한다. 상기 수분챔버(63)가 상기 지지바디 홈(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면, 상기 수분챔버(63)는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바디(61)는 상기 수분챔버(63)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바디(612)와 제2바디(613)로 구분되는데, 상기 제1바디(612)는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의 제1지지면(412)에 가압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바디(613)는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의 제2지지면(413)에 가압하는 영역이다.
상기 수분공급부(8)는 상기 압축바디(61)와 지지바디(4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챔버(63)로 가열된 수증기(스팀)이나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미스트)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도 3은 상기 수분공급부(8)가 압축바디(6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압축바디(61)에는 상기 제1바디(612)와 제2바디(6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분공급부(8)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부(65), 상기 장착부(65)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된 전력공급부(615)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8)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부(6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저장바디(81), 상기 저장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83), 상기 저장바디(81)가 장착부(65)에 삽입되면 상기 히터(83)를 전력공급부(651)에 연결하는 접속단자(831),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스팀을 상기 수분챔버(63)로 배출하는 배출부(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831)는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에 노출도록 구비되어 상기 히터(83)와 상기 전력공급부(6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저장바디(81)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면에 상기 히터(83)가 삽입되는 저장바디 관통홀(8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의 개방된 상부면은 커버(85)에 의해 폐쇄되는데, 상기 커버(85)는 상기 저장바디(8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바디(81)로의 급수나 저장바디(81)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부(851)는 상기 커버(85)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배출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배출부(851)는 상기 저장바디(81) 및 커버(85)가 상기 장착부(65)에 결합된 때 상기 수분챔버(6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수분공급부(8)가 미스트를 상기 수분챔버(63)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수분공급부(8)는 장착부(6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저장바디가 장착부(65)에 삽입되면 진동자를 상기 전력공급부에 연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수분챔버(63)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압축바디(61)를 상기 지지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뒤 의류(C)가 고정된 옷걸이(H1)를 제1의류지지부(15)에 거치하면, 의류는 지지바디(41)의 표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체결돌기(73)가 체결홈(75)에 결합할 때까지 상기 압축바디(61)를 지지바디(41)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압축바디(61)를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61)가 도어 내주면에 고정되면, 의류는 상기 압축바디(61)와 지지바디(41) 사이에서 압축된다.
사용자는 의류의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42)에 위치시켜야만 봉제선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수분공급부(8)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분챔버(63)로 스팀이나 미스트가 공급되고, 상기 수분챔버(63)로 공급된 스팀이나 미스트는 대부분이 의류에 공급될 것이다.
이후 제어부는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는 제1챔버(2)에 습도는 낮고 온도는 높은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의류(C)에 공급된 수분은 상기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가 작동하는 동안 증발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의류에 존재하는 냄새는 수분과 함께 증발할 것이고, 의류에 존재하는 구김은 보다 쉽게 제거될 것이며, 의류의 주름은 강화될 것이다.
상술한 설명은 상기 수분챔버(63)가 압축바디(61)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수분챔버는 지지바디(4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C)에 발생한 구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의류의 주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상기 프레서(P)에는 가열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9)는 상기 지지바디(41)를 향하는 압축바디(61)의 일면에 고정된 가열판(91) 및 상기 가열판(91)과 압축바디(6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9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91)은 금속과 같은 전도체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압축바디(61) 면적의 80% 이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분챔버(63)는 상기 압축바디(61)에 구비된 챔버 수용부(631), 상기 가열판(91)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수용홈(631)에 삽입되는 챔버 형성부(633)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열원(95)은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판(91)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가열판 와이어 홈(913)이 구비되고, 상기 압축바디(61)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바디 와이어 홈(61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가열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9)는 상기 압축바디(61)의 제1바디(612)에 고정된 제1가열판(93, 전도체), 상기 제2바디(613)에 고정된 제2가열판(94, 전도체), 상기 제1가열판(93)과 상기 제1바디(6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열판(93)에 열을 공급하는 제1열원(961), 상기 제2가열판(94)과 제2바디(6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열판(94)에 열을 공급하는 제2열원(963)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열원(961)과 제2열원(963)은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열판(93)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제1와이어 홈(9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열판(94)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제2와이어 홈(941)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바디(612)와 제2바디(613)에도 제1열원(961)과 제2열원(963)을 각각 수용하는 바디 제1와이어 홈(615a) 및 바디 제2와이어 홈(615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가열부(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9)는 지지바디(41) 및 상기 지지바디(41)를 가열하는 열원(95)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디(41)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도체로 구비되어야 한다. 도 7은 지지바디(41) 전체가 전도체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원(95)은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41)의 배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가열부(9)가 구비된 프레서(P)는 수분공급부(8)를 통해 의류에 수분을 공급할 때 또는 수분을 공급한 후 가열부(9)로 의류를 가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구김제거, 주름 강화, 탈취 및 건조가 가능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가열부(9)만 구비된 프레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프레서(P)는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4),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의류를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부(6), 상기 지지부와 압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의류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9)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바디(41)로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6)는 지지바디 또는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압축바디(6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9)는 상기 지지바디(41)와 압축바디(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41)의 세부구조는 앞서 설명한 지지바디의 구조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바디(61)에는 바디 관통홀(67)이 구비되는데, 상기 바디 관통홀(67)은 수용공간 공기공급부(31) 및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를 통해 제1챔버(2)로 공급되는 공기와 수분을 압축바디(61)와 지지바디(41)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로이다.
상기 가열부(9)는 상기 지지바디(41)를 향하는 압축바디(61)의 일면에 전도체로 구비된 가열판(91), 상기 가열판(9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 관통홀(67)에 연통하는 가열판 관통홀(917), 및 상기 가열판(91)과 압축바디(6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열판(91)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9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바디(61)에는 압축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611)이 구비되고, 상기 압축바디 홈(611)의 양측에는 상기 압축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612) 및 제2바디(6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판(91)에는 상기 압축바디 홈(611)에 안착되는 가열판 홈(9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 홈(915)은 의류의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압축바디(61)가 지지바디(41)에 접촉한 때 상기 지지바디 홈(42)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프레서(P)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수용공간 수분공급부(34)의 작동 시 수분이 상기 바디 관통홀(67) 및 가열판 관통홀(917)을 통해 의류에 공급된다. 이후, 제어부가 상기 열원(95)에 전력을 공급하면 가열판(91)이 가열되고, 상기 가열판(91)의 열은 의류에 전달될 것이다. 수분이 공급된 의류에 압축바디(61)로 압력을 가하면서, 가열판(91)으로 열을 공급하면, 의류의 탈취, 구김제거, 및 주름제거가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가열부(9)는 상기 제1바디(612)에 고정된 제1가열판(93), 전도체),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된 제2가열판(94), 상기 제1가열판(93)과 제1바디(6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1열원(961), 및 상기 제2가열판(94)과 제2바디(6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2열원(963)으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열원(961, 963)들은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하는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가열판(93, 94)과 각 바디(612, 913)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홈(931, 941, 615a, 615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의 가열부(9)는 지지바디(4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열원(95)에 의해 가열되는 전도체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열원(95)은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하는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41)의 배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1: 투입구
112: 연통구 13: 도어 2: 제1챔버
3: 제2챔버 31: 수용공간 공기공급부 311: 덕트
34: 수용공간 수분공급부 35: 제2챔버 도어 P: 프레서
4: 지지부 41: 지지바디 42: 지지바디 홈
6: 압축부 61: 압축바디 611: 압축바디 홈
612: 제1바디 613: 제2바디 63: 수분챔버
65: 장착부 651: 전력공급부 67: 바디 관통홀
8: 수분공급부 81: 저장바디 811: 저장바디 관통홀
83: 히터 831: 접속단자 85: 커버
851: 배출부 9: 가열부 91: 가열판
915: 가열판 홈 917: 가열판 관통홀 93: 제1가열판
94: 제2가열판 95: 열원

Claims (15)

  1. 전방면이 개구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형성면들 중 일면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서는,
    상기 형성면에 구비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와 함께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 또는 상기 압축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적어도 일부가 전도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와이어로 구비되는 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지지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형성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형성면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은 각각 상기 도어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상기 압축바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힌지; 및
    상기 압축바디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디의 일측은 상기 압축바디의 타측보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 더 가까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압축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서에 위치한 의류에 가열된 수증기나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프레서에 위치한 의류를 향하는 일면에서 상기 압축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디 홈은 상기 압축바디의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디는,
    상기 압축바디 홈의 일측에서 상기 압축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와 함께 의류를 가압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압축바디 홈의 타측에서 상기 압축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와 함께 의류를 가압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압축바디 홈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6A 2018-06-01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378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56A KR102378141B1 (ko) 2018-06-01 2021-07-2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23A KR102662309B1 (ko) 2018-06-01 2018-06-01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6A KR102378141B1 (ko) 2018-06-01 2021-07-29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23A Division KR102662309B1 (ko) 2018-06-01 2018-06-0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407A true KR20210098407A (ko) 2021-08-10
KR102378141B1 KR102378141B1 (ko) 2022-03-24

Family

ID=6900372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23A KR102662309B1 (ko) 2018-06-01 2018-06-01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6A KR102378141B1 (ko) 2018-06-01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55424A KR20240064605A (ko) 2018-06-01 2024-04-25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23A KR102662309B1 (ko) 2018-06-01 2018-06-0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5424A KR20240064605A (ko) 2018-06-01 2024-04-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62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1972A4 (en) * 2020-02-07 2024-03-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0419A1 (en) * 2013-07-17 2015-01-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200A (ja) * 1981-10-14 1983-04-18 株式会社東芝 衣類プレス器
JP2002166098A (ja) * 2000-12-05 2002-06-11 Naomoto Kogyo Kk ズボンプレッサ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0419A1 (en) * 2013-07-17 2015-01-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141B1 (ko) 2022-03-24
KR20190137441A (ko) 2019-12-11
KR20240064605A (ko) 2024-05-13
KR102662309B1 (ko)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481E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99179B1 (ko) 의류처리장치
US1198792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6460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4526B1 (ko) 의류처리장치
AU202225282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7813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898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