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104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04B1
KR102599104B1 KR1020160150163A KR20160150163A KR102599104B1 KR 102599104 B1 KR102599104 B1 KR 102599104B1 KR 1020160150163 A KR1020160150163 A KR 1020160150163A KR 20160150163 A KR20160150163 A KR 20160150163A KR 102599104 B1 KR102599104 B1 KR 10259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clip
support portion
left clip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955A (ko
Inventor
최정렬
임형규
김선용
남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04B1/ko
Priority to PCT/KR2017/012716 priority patent/WO2018088834A1/en
Priority to US15/809,106 priority patent/US11111624B2/en
Priority to JP2019524452A priority patent/JP7123922B2/ja
Priority to CN201780068133.4A priority patent/CN109891017A/zh
Priority to EP19200161.8A priority patent/EP3611300B1/en
Priority to EP17201242.9A priority patent/EP3321413B1/en
Priority to EP21195037.3A priority patent/EP3940137A1/en
Publication of KR2018005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55A/ko
Priority to JP2021083630A priority patent/JP7378441B2/ja
Priority to US17/402,499 priority patent/US11680363B2/en
Priority to US17/402,495 priority patent/US11680362B2/en
Priority to US18/143,930 priority patent/US20230272576A1/en
Priority to JP2023123209A priority patent/JP2023134839A/ja
Priority to KR1020230149206A priority patent/KR2023015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된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의 좌우 양단을 착탈 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헹굼, 건조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회전하는 드럼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여 세탁, 건조, 리프레셔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드럼에서 꺼낸 의류는 구김이 많아서 바로 입을 수 없는 문제, 세탁수를 이용한 잦은 세탁은 의류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구동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또는 회전하는 드럼을 제거하고,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 건조, 리프레셔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출시되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crease)을 다시 눌러주고, 의류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셔는 의류에 생성된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함으로써 미리 형성된 주름(crease) 이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어, 의류에 이중으로 주름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살균, 및 구김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의 주름이 선명하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 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지 않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된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의 좌우 양단부을 착탈 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의류의 중심에 구비된 봉제선을 가압하지 않도록 의류의 좌우 양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셔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의류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좌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와 사이에 의류의 좌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좌측 클립; 상기 제1지지부의 우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와 사이에 의류의 우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우측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좌측 클립과,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우측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의류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제2 좌측 클립 가압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의류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제2 우측 클립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름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에서 연장된 제2 좌측 클립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에서 연장된 제2 우측 클립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폴더와,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우측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살균, 및 구김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의 주름이 선명하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미리 형성된 주름 외에 다른 주름이 생성되지 않도록 의류를 압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과,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3)와, 수용공간(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11)와, 수용공간(31)에 의류를 지지하기 위하여 의류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310)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3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의류지지부(310)는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도어의 너비방향, Y축 방향)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의류지지부(312)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의 내측면(11a)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의류지지부(312)는 도어(11)에 고정되는 베이스(54), 베이스(54)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지지부(51, 52, 53)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내부에 수용공간(31)과 분리된 기계실(7)과,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7)은 수용공간(3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일 수 있다.
공급부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와 수용공간(31)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부가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2)를 모두 포함하고, 공기공급부(71)는 열풍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며 수분공급부(72)는 스팀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공기공급부(71)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11),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13),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5) 및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와 연통하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 순환덕트, 공기배출부, 수용공간 순으로 순환된다.
공기배출부(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된 순환덕트(711)의 일단은 공기흡입부(36)에 연결되고, 순환덕트(711)의 타단은 공기배출부(35)에 연결된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하여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가 히트펌프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고,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며,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축기(C)와 공기배출부(35)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는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여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탱크(745),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배수관(747) 및 배수펌프(749)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공급부(72)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721), 저장부(72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725), 저장부(721)를 수분배출부(37)에 연결하는 수분공급관(72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수단이고, 히터(725)는 저장부(7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3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급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743)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721)에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급수탱크(743)에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급수탱크(743)에서 분리되는 연결관(72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공간(31)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므로 스팀이나 열풍의 공급이 완료된 뒤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뚜렷하게 하는 프레셔(9)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서(9, presser)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셔(9)는 수용공간(31)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11)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프레셔(9)는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91)와, 지지부(91) 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부(91)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91)는 수용공간(31)을 향하는 도어(11)의 표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지지부(91)가 도어(11)의 표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지지바디(91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압축부(93)는 도어(11)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바디(931), 압축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31)으로 유입된 스팀이나 열풍을 지지바디(911)에 거치된 의류에 공급하는 바디관통홀(933)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931)의 일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압축바디(931)의 타단(자유단)은 도어(11)나 지지바디(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압축바디(931)는 체결부(971, 973)에 의해 도어(11)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다. 체결부는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홈(971)과, 도어(11)와 압축바디(9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착탈홈(97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973)로 구비될 수 있다.
옷걸이(200)의 고리(H)를 제2의류지지부(5)에 거치시킴으로써 바지와 같은 의류가 펼쳐진 상태로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의류가 거치되면, 사용자는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971, 973)를 통해 압축바디(931)와 지지바디(911)를 결합시킨다. 의류가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공기공급부(71)나 수분공급부(72)가 수용공간(31) 내부로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면, 수용공간(31) 내부의 열풍이나 스팀은 바디관통홀(933)을 통해 의류에 공급된다. 의류에 발생된 구김의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은 뚜렷해지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바지와 같은 의류의 경우 봉제선(Sewing Line)이 존재하는데 프레셔(9)가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비되면 봉제선에 의해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셔(9)에는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봉제선과 같은 의류의 일부영역이 압축되지 않도록 하는 홈(913, 935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홈이 지지바디(911)에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913), 압축바디(931)에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937)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지지바디 홈(913)은 도어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표면이 수용공간(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압축바디 홈(937) 역시 도어(1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압축바디(931)의 표면이 지지바디(911)에서 멀어지는 방향(수용공간(31)을 향하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디 홈(913)은 지지바디(911)의 중앙에 위치되고, 압축바디 홈(937)은 압축바디(93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에 구비된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이나 압축바디 홈(937)에 위치시킨 뒤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 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켜서 의류를 가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류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의류의 형태가 변경되어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바디(911)에 위치한 의류를 압축바디(931)로 가압하기 전에 의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100, 6300, 6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의 봉제선을 지지바디 홈(913)에 위치시키고, 의류에 기설정된 주름을 맞춘 후 고정부(6100, 6300, 6500)를 통해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바디(931)를 지지바디(911)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봉제선이 지지바디 홈(913)에서 이탈되거나, 의류에 이중주름이 발생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부(6100, 6300, 6500)는 프레셔(9)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의 좌우 양단부을 착탈 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6100, 6300, 6500)는 의류의 중심에 구비된 봉제선을 가압하지 않도록 의류의 좌우 양단부만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6100, 6300, 6500)는 프레셔(9)의 하부에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셔(9)가 도어(11)의 내측면(11a)설치된 경우에는 고정부도 도어(11)의 내측면(11a)에서 프레셔(9)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프레셔(9)가 수용공간(31)의 내측면에 구비된 경우에는 고정부(6100, 6300, 6500)도 수용공간(31)의 내측며에서 프레셔(9)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프레셔(9)는 의류지지부에 거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고정부(6100, 6300, 6500)는 프레셔 자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지지바디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는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의류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6110)와, 제1지지부(6110)의 좌측단에 구비되되, 제1지지부(6110)와 사이에 의류의 좌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좌측 클립(6130)과, 제1지지부(6110)의 우측단에 구비되되, 제1지지부(6110)와 사이에 의류의 우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우측 클립(6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6110)는 지지바디(911)의 하측에 구비되거나, 지지바디(9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1지지부(6110)가 지지바디(911)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1지지부(6110)의 의류처리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 길이는 제1 좌측 클립 및 제1 우측 클립의 높이방향(Z출 방향) 길이 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부(6110)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플라스틱, 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6110)의 중심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고정되며, 제1지지부(6110)의 양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6110)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제1지지부의 중심부(6111)가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되며, 제1지지부(6110)의 중심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좌측 날개(6113)와,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우측 날개(6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날개(6113)는, 제1지지부의 중심부에서 의류를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좌측 날개 경사부(6113a)와, 제1 좌측 날개 경사부에 연결되며 제1 좌측 클립(6130)과 함께 의류의 양면을 각각 가압하는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좌측 날개 경사부(6113a)는,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는 도어의 내주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좌측 날개(6113)는,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의 끝단에서 도어의 내측면(11a)으로 연장되는 제1 좌측 날개 연장부(61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좌측 날개 연장부(6113c)의 끝단은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와 제1 좌측 클립(6130) 사이로 의류가 삽입되면,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는 도어측으로 외력을 받아 이동하며, 제1 좌측 날개 연장부(6113c)는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c)가 도어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좌측 날개(6113)는, 제1 좌측 날개 경사부(6113a)에서 도어 측으로 연장되거나,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제1 좌측 날개 경사부(6113a)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좌측 날개 돌출부(611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날개 돌출부(6113d)는 제1 좌측 날개 경사부(6113a)를 도어의 내측면(11a)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에 외력이 작용하면, 제1 좌측 날개 돌출부(6113d)는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의 회전 중심이 되어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우측 날개(6115)는, 제1지지부의 중심부에서 의류를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우측 날개 경사부(6115a)와, 제1 우측 날개 경사부에 연결되며 제1 우측 클립(6150)과 함께 의류의 양면을 각각 가압하는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우측 날개 경사부(6115a)는,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는 도어의 내주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우측 날개(6115)는,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의 끝단에서 도어의 내측면(11a)으로 연장되는 제1 우측 날개 연장부(61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우측 날개 연장부(6115c)의 끝단은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와 제1 우측 클립(6130) 사이로 의류가 삽입되면,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는 도어측으로 외력을 받아 이동하며, 제1 우측 날개 연장부(6115c)는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c)가 도어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우측 날개(6115)는, 제1 우측 날개 경사부(6115a)에서 도어 측으로 연장되거나, 도어의 내측면(11a)에서 제1 우측 날개 경사부(6115a)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우측 날개 돌출부(6115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날개 돌출부(6115d)는 제1 우측 날개 경사부(6115a)를 도어의 내측면(11a)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에 외력이 작용하면, 제1 우측 날개 돌출부(6115d)는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의 회전 중심이 되어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6130)과 제1 우측 클립(615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6130)은, 제1지지부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와 함께 의류의 좌측단부의 앞뒤면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한다.
제1 좌측 클립(6130)은, 도어의 내측면(11a)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지지바디(911) 보다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바디와 압축바디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의 위치 및 의류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6130)은, 도어의 내측면(11a)에 체결되는 제1 좌측 클립 체결부(6131)와, 제1 좌측 클립 체결부에서 제1지지부의 중심부(61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좌측 클립 가압부(613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 체결부(6131)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1 좌측 체결홀(617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 가압부(6133)는, 제1 좌측 날개 가압부(6113b)와 함께 의류의 좌측단부의 양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1 좌측 클립 가압부(6133)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1 좌측 날개(6113)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좌측 날개 돌출부(6113d)는 제1 좌측 클립 가압부(6133)의 끝단과 제1지지부의 중심부(611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봉제선이 제1지지부와 제1 좌측 클립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우측 클립(6150)은, 제1지지부의 우측단에 구비되며,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와 함께 의류의 우측단부의 앞뒤면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한다.
제1 우측 클립(6150)은, 도어의 내측면(11a)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지지바디(911) 보다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바디와 압축바디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의 위치 및 의류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우측 클립(6150)은, 도어의 내측면(11a)에 체결되는 제1 우측 클립 체결부(6151)와, 제1 우측 클립 체결부에서 제1지지부의 중심부(61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우측 클립 가압부(615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우측 클립 체결부(6151)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1 우측 체결홀(617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우측 클립 가압부(6153)는, 제1 우측 날개 가압부(6115b)와 함께 의류의 우측단부의 양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1 우측 클립 가압부(6153)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1 우측 날개(6115)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우측 날개 돌출부(6115d)는 제1 우측 클립 가압부(6153)의 끝단과 제1지지부의 중심부(611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봉제선이 제1지지부와 제1 우측 클립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의류의 끝단을 고정한 옷걸이(H)를 압축바디(93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2의류지지부(312)에 거치하고, 의류에서 구김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설정된 부분을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의류의 봉제선이 지지바디 홈(913) 또는 압축바디 홈(937)에 놓이도록 지지바디(911)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미리 잡혀진 주름이 압축바디(931)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도록 의류의 형태를 정렬한다.
압축바디(931)를 닫는 도중에 의류의 위치 및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류의 좌우 양단부를 제1 좌측 클립(6130)과 제1 우측 클립(6150)에 고정시킨다. 이후에 도 6b와 같이, 압축바디(931)을 지지바디(911)에 체결하여 의류를 가압하고,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고 미리 잡혀있던 주름을 뚜렷하게 눌러준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는 수용공간(31)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좌측 클립(6310)과, 수용공간(31)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우측 클립(6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6310)과 제2 우측 클립(633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과 제2 우측 클립은 수용공간의 내측면 또는 도어의 내측면(11a) 또는 프레셔(9)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7은 도어의 내측면(11a)에 제2 좌측 클립과 제2 우측 클립이 구비된 경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좌측 클립(6310)는, 의류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함께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는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설치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며, 의류의 좌측단부 일면을 지지한다.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을 도어의 내측면(11a)에 체결하기 위하여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도어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2 좌측 클립 체결부(6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는 그 끝단에서 의류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제2 좌측 클립 지지돌기(6311a)를 포함하며, 제2 좌측 클립 지지돌기(6311a)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2 좌측 지지홈(6318)에 삽입되며, 제2 좌측 클립 체결부(6316)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2 좌측 체결홀(6317)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2 좌측 클립(6310)을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의 회전축은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의류로부터 외력을 받아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탄성력은 복원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는, 저장된 탄성력을 복원력으로 하여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사이로 인입된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제2 좌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의 회전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의 회전축에 제2 좌측 클립 탄성부재(6313)을 구비할 수 있다. (도10 참조)
제2 우측 클립(6330)는, 의류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함께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는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설치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며, 의류의 우측단부 일면을 지지한다.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을 도어의 내측면(11a)에 체결하기 위하여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도어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2 우측 클립 체결부(6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는 그 끝단에서 의류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제2 우측 클립 지지돌기(6331a)를 포함하며, 제2 우측 클립 지지돌기(6331a)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2 우측 지지홈(6338)에 삽입되며, 제2 우측 클립 체결부(6336)는 도어의 내측면(11a)에 구비된 제2 우측 체결홀(6337)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2 우측 클립(6330)을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의 회전축은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의류로부터 외력을 받아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탄성력은 복원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는, 저장된 탄성력을 복원력으로 하여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사이로 인입된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제2 우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의 회전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의 회전축에 제2 우측 클립 탄성부재(63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10 참조)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에서 연장된 제2 좌측 클립 손잡이(6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손잡이(6315)에 힘을 가하면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는 의류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도록 회전한다.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좌측 클립 연장부(6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연장부(6314)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연장부(6314)와 제2 좌측 지지부(6311)는 의류 측을 향해서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의류를 향해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좌측 클립 연장부의 의류의 중심방향으로 길이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의 의류의 중심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의 회전축(6312a)는 제2 좌측 클립 연장부(6314)의 끝단 또는 끝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6312a)를 양측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좌측 클립 연장부는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의 양쪽으로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신된 바와 같이, 제2 좌측 클립 연장부는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를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제2 좌측 클립 관통홀(6314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좌측 클립 탄성부재(6313)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의 회전축(6312a)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좌측 클립 탄성부재(6313)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력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의 끝단이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측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는 위하여,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6311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재질의 댐퍼(6311a)는 의류와 사이에서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의류가 제2 좌측 클립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좌측 클립(6310)은, 제2 좌측 클립 지지부(6311)와, 제2 좌측 클립 가압부(6312)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의류의 중심부 측으로 올수록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좌측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61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에서 연장된 제2 우측 클립 손잡이(6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손잡이(6335)에 힘을 가하면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는 의류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도록 회전한다.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우측 클립 연장부(6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연장부(6334)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연장부(6334)와 제2 우측 지지부(6332)는 의류 측을 향해서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의류를 향해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우측 클립 연장부의 의류의 중심방향으로 길이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의 의류의 중심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의 회전축(6332a)는 제2 우측 클립 연장부(6334)의 끝단 또는 끝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6332a)를 양측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우측 클립 연장부는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의 양쪽으로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신된 바와 같이, 제2 우측 클립 연장부는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를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제2 우측 클립 관통홀(6334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우측 클립 탄성부재(6333)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의 회전축(6332a)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우측 클립 탄성부재(6333)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력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의 끝단이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측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는 위하여,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6331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재질의 댐퍼(6331b)는 의류와 사이에서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의류가 제2 우측 클립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우측 클립(6330)은, 제2 우측 클립 지지부(6331)와, 제2 우측 클립 가압부(6332)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의류의 중심부 측으로 올수록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제2 우측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611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의류를 제2 클립 지지부(6311, 6331)과, 제2 클립 연장부(6314, 6334) 사이로 의류를 인입하면, 의류에 의해서 힘을 외력을 받는 제2 클립 가압부(6312, 6332)는 회전하고(제2 클립 손잡이(6315, 6335)에 외력을 작용하여 제2 클립 가압부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회전된 제2 클립 가압부(6312, 632)의 회전축(6312a, 6332ㅁ)에 구비된 제2 좌측 탄성부재(6313, 6333)에 의해서 복원력을 받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를 가압한다.
반대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2 클립 손잡이(6315, 6335)에 외력을 작용하면, 제2 클립 가압부(6312, 6332)는 제2 클립 지지부(6311, 6331)에서 이격되도록 회전하여, 의류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도록 하고, 의류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500)은,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공간(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폴더(6510)와,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공간(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우측 폴더(653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폴더와 우측폴더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좌측폴더와 우측폴더에 의해 의류가 가압되더라도 의류의 봉제선(중심부)는 가압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500)은 수용공간(31)의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거나, 도어의 내주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거나, 프레셔(9)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2는 프레셔(9)에 고정부가 구비된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500)는 지지바디(9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바디 연장부(911a)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6500)은 압축바디(931)의 하측에 근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디(911)와 압축바디(931)에 압착되는 의류에서 최대로 근접한 의류의 부분을 고정하여 의류의 위치 및 의류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좌측 폴더(6510)는 의류의 자측 단부를 가압하는 좌측 폴더바디(6511)와, 좌측 폴더바디를 지지바디의 연장부(91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좌측 폴더힌지(6513)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폴더바디(6511)는 의류와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 폴더힌지(6513)는 좌측 폴더바디(6511)와 지지바디 연장부(911a)와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임계각도 내로 회전시, 좌측 폴더바디(6511)가 지지바디 연장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내부에 토션 스크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폴더바디(6511)의 표면에는 의류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우측 폴더(6530)는 의류의 자측 단부를 가압하는 우측 폴더바디(6531)와, 우측 폴더바디를 지지바디의 연장부(91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우측 폴더힌지(6533)로 구성될 수 있다.
우측 폴더바디(6531)는 의류와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우측 폴더힌지(6533)는 우측 폴더바디(6531)와 지지바디 연장부(911a)와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임계각도 내로 회전시, 우측 폴더바디(6531)가 지지바디 연장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내부에 토션 스크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폴더바디(6531)의 표면에는 의류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폴더와 우측 폴더는 의류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각각 가압하여 의류의 위치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바디에 지지되는 의류를 압축바디로 가압할 때 이중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3: 의류수용부
7: 기계실 9: 프레셔
11a: 내측면 11: 도어
31: 수용공간 35: 공기배출부
36: 공기흡입부 37: 수분배출부
54: 베이스 71: 공기공급부
72: 수분공급부 74: 기계실 도어
91: 지지부 93: 압축부 611c: 날개 가압부 711: 순환덕트
713: 열교환부 714: 냉매관
715: 블로워 721: 저장부
723: 연결관 725: 히터
727: 수분공급관 743: 급수탱크
745: 배수탱크 747: 배수관
749: 배수펌프 911a: 연장부
911: 지지바디 913: 지지바디 홈
931: 압축바디 933: 바디관통홀
937: 압축바디 홈 971: 착탈홈
973: 체결돌기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된 프레셔;
    상기 프레셔로 의류를 가압하기 전에, 의류의 좌우 양단부을 착탈 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의류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의류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의류의 중심에 구비된 봉제선을 가압하지 않도록 의류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셔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의류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좌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와 사이에 의류의 좌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좌측 클립;
    상기 제1지지부의 우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와 사이에 의류의 우측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우측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좌측 클립과,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우측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의류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제2 좌측 클립 가압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의류의 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사이로 의류가 인입시에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제2 우측 클립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에서 연장된 제2 좌측 클립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의 인입 방향으로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에서 연장된 제2 우측 클립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인입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고무재질의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측 클립은,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제2 좌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좌측 클립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우측 클립은,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로 의류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 및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제2 우측 클립 지지부와 상기 제2 우측 클립 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의류의 좌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폴더와, 의류의 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우측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50163A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63A KR102599104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US15/809,106 US11111624B2 (en) 2016-11-11 2017-11-10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524452A JP7123922B2 (ja) 2016-11-11 2017-11-10 衣類処理装置
CN201780068133.4A CN109891017A (zh) 2016-11-11 2017-11-10 衣物处理装置
PCT/KR2017/012716 WO2018088834A1 (en) 2016-11-11 2017-11-10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7201242.9A EP3321413B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200161.8A EP3611300B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195037.3A EP3940137A1 (en) 2016-11-11 2017-11-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1083630A JP7378441B2 (ja) 2016-11-11 2021-05-18 衣類処理装置
US17/402,499 US11680363B2 (en) 2016-11-11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402,495 US11680362B2 (en) 2016-11-11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143,930 US20230272576A1 (en) 2016-11-11 2023-05-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3123209A JP2023134839A (ja) 2016-11-11 2023-07-28 衣類処理装置
KR1020230149206A KR20230155402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63A KR102599104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206A Division KR20230155402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55A KR20180052955A (ko) 2018-05-21
KR102599104B1 true KR102599104B1 (ko) 2023-11-06

Family

ID=624534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63A KR102599104B1 (ko) 2016-11-11 2016-11-11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9206A KR20230155402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206A KR20230155402A (ko) 2016-11-11 2023-11-0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9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875B1 (ko) * 2018-06-01 2024-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78318B1 (ko) * 2018-12-27 2024-06-2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를 롤링하여 주름 제거가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062398A (ko) *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367545A (zh) * 2020-03-09 2021-09-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架、叠衣机及控制方法
WO2021241863A1 (ko) * 2020-05-26 2021-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79B1 (ko) * 2009-05-01 2013-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직물 처리 시스템 및 부속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75B1 (ko) *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79B1 (ko) * 2009-05-01 2013-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직물 처리 시스템 및 부속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55A (ko) 2018-05-21
KR20230155402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8441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59910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3B1 (ko) 의류처리장치
RU25765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59910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5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