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7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7875B1 KR102647875B1 KR1020180063621A KR20180063621A KR102647875B1 KR 102647875 B1 KR102647875 B1 KR 102647875B1 KR 1020180063621 A KR1020180063621 A KR 1020180063621A KR 20180063621 A KR20180063621 A KR 20180063621A KR 102647875 B1 KR102647875 B1 KR 102647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ing
- fixing
- hinge
- doo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100313377 Caenorhabditis elegans sti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13382 Dictyostelium discoideum sti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516335 Rattus norvegicus Neca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59016 TFIP1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출원번호 10-2013-0150441)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도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300),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400,500),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40)와, 상기 지지부(540)의 측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600),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열풍 또는 수분을 공급하는 공급부(700)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의 수용공간에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캐비닛 하부에 위치한 공급부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를 압박하여 탈취와 동시에 구김을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캐비닛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열풍 또는 수분이 공급되어 건조 및 탈취되거나 구김이 제거될 수 있었다. 그리고, 압박부로 의류의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의류의 구김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거나, 의류에 주름(crease,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형성시키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후 다림질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도 도출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의류(P)의 측면에서 회전하면서 가압하므로, 상기 의류(P)의 일측면부터 타측면까지 순차적으로 가압하였다.
이로인해, 상기 의류(P) 중 상기 압박부(600)에 가까운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압박부(600) 중 멀리 구비된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의류가 고르게 압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의류(P)가 상기 압박부(600)에 압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박부(600)에 밀려 상기 의류가(P)가 틀어지거나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P)를 거치부에 거치하여도 이를 고정할 수 없어 가압시 의류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박부(600)로 인해 상기 의류(P)의 주름이 더 많이 발생하거나, 의도한 방향과 전혀 다른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압박부(600)가 너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류(P)의 특정영역만 압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P)가 수용공간에 거치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없어, 거치된 의류(P)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이 정작 가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의류가 틀어지거나, 위치 또는 형태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거치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가압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압박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가압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고정하여 가압하여도 의류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고정되는 고정력을 강화하여도, 상기 의류를 착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1바디를 상기 의류에서 분리시키는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는 상기 의류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힌지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서 회전하는 방향이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일면에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를 지지하는 인출힌지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힌지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출힌지를 지지하는 수용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힌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힌지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어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바디와, 상기 인출바디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인출바디는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내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에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절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바디의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리브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가 이동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조절리브 또는 상기 이동리브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조절리브 또는 상기 이동리브의 양측면 중 나머지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가 끼워지는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일면이 적어도 아래로 볼록하거나 위로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파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지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의 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바디를 상기 고정클립으로 밀어내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는 상기 제2고정바디를 수용하여 상기 제2고정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지지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의류가 틀어지거나, 위치 또는 형태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거치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가압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압박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가압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고정하여 가압하여도 의류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고정되는 고정력을 강화하여도, 상기 의류를 착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회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가 회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가 가압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의 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가 거치되는 높이가 유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회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가 회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가 가압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의 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가 거치되는 높이가 유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0)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P)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0)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700),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P)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400,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하의와 같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의류(P)까지 접혀지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220)에 수용되어 의류(P)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강화플레스틱 등 수지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220)을 형성하는 이너바디(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210)는 의류(P)에서 배출된 이물질이나 공급부에서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학반응하지 않고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일례로 ABS, ASA 와 같은 스티렌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210)는 일면에 상기 공급부(7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700)에서 열풍이나 수분을 공급받거나, 상기 공급부(70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210)는 상기 공급부(700)와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구(230,240,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0)에는 수용공간(220)과 분리된 공급부(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00)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가열된 공기이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수용공간(2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22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인 경우, 공급부(700)가 수용공간(220)의 하부에 위치되기만 하면 열풍이나 스팀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수용공간(220)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이너바디(210)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부(700)의 전방까지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공간(220)에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부(700)에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이너바디(21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주면과 상기 도어(300)의 내면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부에서 의류(P)를 수용공간(220) 에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제1거치부(400)와,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면 또는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의류(P)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제2거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거치부(400)는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부에서 옷걸이 형상이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P)가 수용공간(220) 내부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거치부(500)는 의류(P)가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주면(표면)이나,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400)는 의류(P)가 접히지 않고 온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수용공간(22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바디(210)의 상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이너바디(210)의 측면 중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거치부(400)는 의류(P)가 수용공간(220)에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급부(700)에서 공급되는 공기나 수분이 의류(P)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거치부(500)는 상기 의류(P)를 상기 수용공간(2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거치부(500)는 적극적으로 의류(P)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주름(crease)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거치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20) 또는 상기 도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P)를 고정하는 고정부(520)와, 상기 이너케이스(220) 또는 상기 도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의류(P)를 가압하는 압박부(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600)는 고정부(520)가 구비되는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면에 가압 또는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내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520)에 거치된 의류(P)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2는 상기 제2거치부(500)가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의류(P)를 가압할 수 있다면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도어의 내면 또는 상기 이너바디(210)의 내면 중 복수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거치부(500)가 상기 도어(300)에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상기 제2거치부(500)가 상기 이너바디(210)의 측면에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2(a)와 도2(b)를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의 높이방향과 나란하게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박부(600)는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P)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상기 의류(P)를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의류(P)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상기 의류(P)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박부(60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의류(P)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20)의 거치된 의류(P)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P)는 상기 고정부(520)에 거치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지는 힘을 받게 된다. 만약,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의류(P)의 측면 또는 너비 방향으로 압박하면 상기 의류(P)의 자중 방향과 상기 압박부(600)가 압박하는 방향이 달라, 의류(P)가 틀어지거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P)가 오히려 상기 압박부(600)에 의해 구김이 발생하거나, 원치 않는 영역이 압박되어 주름이 의도치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의류(P)의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하게 되면 상기 압박부(600)가 압박하는 방향이 상기 의류(P)의 자중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상기 의류(P)가 비틀어지거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고정부(520)에 의류(P)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P)가 압박되더라도 상기 의류(P)의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압박부(600)에 의해 구김이 발생하거나, 의도치 않은 부분에 주름(crease)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600)는 높이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도어(300)의 내면 또는 상기 이너바디(210)의 측면이 높이를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박부(600)는 너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비닛(100)이 높이와 너비의 비율이 더 크게 구비될수록 상기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으며, 상의 뿐만 아니라 하의의 전 영역이 압박부(600)에 의해 압박되어 다림질 자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거치부(500)는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의류(P)를 가압할 때, 상기 압박부(600)와 접촉되지 않는 의류(P)의 표면이 온전히 가압될 수 있도록 지지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40)는 상기 고정부(5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P)의 표면을 지지 또는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540)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압박부(600)가 압박할 때 의류(P)를 가압하는 지지판(5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판(541)은 상기 압박부(600)의 압축력의 반작용을 상기 의류(P)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의류(P)를 온전히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40)는 상기 지지판(54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P)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격홈(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542)은 상기 지지판(541)의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지지판(541)과 상기 압박부(600)의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홈(542)은 상기 의류(P)가 하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의에 구비된 봉제선이 가압되어 의류(P)의 표면에 불필요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지지부(54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P)를 가압할 수 있는 압박바디(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610)는 일정 두께를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541)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압박바디(610)을 관통하여 상기 의류(P)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관통홀(620)은 상기 압박바디(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이격홈(542)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의류(P)가 상기 봉제선에 의해 불필요하게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압박바디(610)가 상기 의류(P)를 가압하여도 공기나 스팀이 상기 의류(P)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압박바디(6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630)는 상기 고정부(520)의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5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압박바디(610)가 상기 도어(300)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50)은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압박바디(610)가 캐비닛의 높이방향 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550)은 상기 이너케이스 및 상기 도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결합부(500) 구비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압박부(600)는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P)를 가압하는 제1바디(611)와,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류(P)를 가압하는 제2바디(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에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서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바디(610)가 상기 도어(3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도,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가 서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압박바디(610)의 회전반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된 상기 압박바디(6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압박바디(61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핸들(6121)이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상기 압박부(600)를 상기 도어(300)에서 상기 수용공간(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상기 압박바디(610)가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힌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힌지(900)는 상기 제2바디(612)가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하는 방향이 상기 제1바디(611)가 상기 도어(300)에서 회전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에 각각 결합되는 부착판(910)과, 상기 부착판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920)는 상기 부착판(910)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압박바디(610)을 핸들(6121)을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2바디(612)와 상기 제1바디(611)는 일정각도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와 반대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바디(611)가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되어 높은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2바디(612)이 하단 또는 핸들은 상기 제1바디(611)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바디(611)를 충분히 높게 들어올려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시켜도, 상기 제2바디(612)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2바디(612)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려도, 상기 제1바디(611)는 상기 제2바디(612)보다 훨씬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즉, 키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용자도 충분히 상기 압박바디(610)을 회전시켜 의류(P)를 고정부(520)에 거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612)와 상기 제1바디(611) 및 상기 지지부(540)가 형성하는 영역이 상기 제2바디(612)가 상기 제1바디(61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보다 더 넓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류(P)를 상기 고정부(520)에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4는 제1바디(611)와 제2바디(612)가 회전하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부(600)는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힌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힌지(800)도 상기 제2바디(612)가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하는 방향이 상기 제1바디(611)가 상기 도어(300)에서 회전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힌지(800)는 상기 제2바디(612)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612)를 지지하는 인출힌지(820)와, 상기 제1바디(611)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힌지(820)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출힌지(820)를 지지하는 수용힌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힌지(810)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용바디(812)와, 상기 수용바디(8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 홈(8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2)는 내부에 상기 인출힌지(820)가 수용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출바디(822)와 상기 수용바디(812)는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가 회전하는 궤적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바디(822)와 상기 수용바디(812)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회전하는 궤적과 대응하여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가 나란하게 구비되었을 때, 상기 수용바디(812)는 자유단이 상기 제2바디(612)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바디(612)가 과회전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인출힌지(820)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어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바디(822)와, 상기 인출바디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8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토퍼(823)가 상기 가이드홈(81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인출힌지(820)가 상기 수용힌지(810)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823)가 상기 가이드홈(813)에 수용되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인출힌지(820)가 상기 수용힌지(81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813)은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가 완전히 포개어 지는 것이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용힌지(810)와 상기 인출힌지(820)는 상기 압박바디(6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611)는 상기 수용힌지(810)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힌지관통홀(611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힌지(810)는 상기 제1바디(611)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바디(611)를 지지하는 고정리브(8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2)는 상기 고정리브(8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관통홀(611b)을 통해 제1바디 외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612) 상기 인출힌지(820)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힌지관통홀(612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출힌지(820)는 상기 제2바디(611)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바디(612)를 지지하는 지지리브(8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바디(822)는 상기 지지리브(81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힌지관통홀(612b)를 통해 제2바디 외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지지부(540)에 거치된 의류(P)를 가압할 때와 같이 상기 제1바디(611)와 상기 제2바디(612)가 나란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용힌지(810)에 상기 인출힌지(820)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23)는 상기 가이드홈(813)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되는 경우, 상기 인출힌지(820)는 상기 수용힌지(810)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823)는 상기 가이드홈(813)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지지부(540)에서 더 멀리 이격되면, 상기 인출힌지(820)는 상기 수용힌지(810)에서 최대한 인출되고, 상기 스토퍼(823)는 상기 가이드홈(813)의 말단에 위치한다. 이때까지,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한다.
이후에는, 상기 스토퍼(823)가 상기 가이드홈(813)의 말단에 고정되므로, 상기 인출힌지(820)가 상기 수용힌지(810)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을 멈추고 상기 제1바디(611)를 상부로 들어올린다.
다시 상기 압박부(600)가 상기 지지부(540)를 향하여 회전하면, 상기 순서를 역순으로 하여 진행된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P)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거치부(500)는 상기 고정부(520)를 상기 도어(30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500)가 도어(30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510)는 일면이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고정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520)가 상기 도어(3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무거운 의류(P)도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결합바디(510)와, 상기 결합바디(510)에서 상기 고정부(52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조절리브(5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절리브(512)의 양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결합되는 결합리브(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513)는 상기 도어(300)의 내면에 볼트나 너트 등의 결합부재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바디(510) 및 상기 고정부(52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550)는 상기 결합리브(513)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리브(513)의 하부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50)는 상기 결합리브(513)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내구성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50)는 돌출된 고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박바디(610)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기 힌지결합부(630)는 상기 회전축(550)에 체결되는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결합바디(510)의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바디(521)와, 상기 고정바디(521)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리브(512)와 결합되는 이동리브(522)와, 상기 고정바디(521)의 전방에 구비되어 의류(P)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523)은 판형상으로 구비된 고정바디(52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클립(523)는 상기 의류(P)를 파지하는 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의류(P)는 상기 고정클립(523)과 상기 고정바디(52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표면이 상기 지지부(540)에 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제2거치부(500)에 의류(P)가 고정되어 압박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바디(610)는 상기 힌지결합부(63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부(540)에서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2바디(612)는 상기 제1바디(611)와 반대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바디(611)의 말단보다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의류(p)를 상기 고정클립(523)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의류(P)는 지지부(54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ㅇㅣㅆ다.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지지클립(524)으로 상기 의류(P)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P)는 일단이 상기 고정클립(523)에 고정되고, 측면이 상기 지지클립(524)에 고정되어 거치될 수 있다.
도6(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압박부(600)을 상기 지지부(540)를 향하여 회전시켜 상기 의류(P)를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어도, 상기 압박부(60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의류(P)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300)를 닫고, 의류처리장치(10)를 작동하여 상기 의류에 열풍 또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600)가 가압하는 영역의 구김이 제거되고, 상기 의류의 측단에는 주름(creas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상기 의류(P)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고정부(520)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결합부(510)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가 가변될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p)의 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압박부(600)로 가압되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7(a)와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디(520)는 상기 결합부(5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리브(520)는 상기 조절리브(512)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리브(512)는 상기 이동리브(520)를 향하는 일면에 슬라이드 홈(512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이동리브(520)는 상기 슬라이드홈(5121)에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리브(520)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바디(511)와 상기 고정바디(52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521)가 이동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111)과, 상기 결합바디(511)와 상기 고정바디(52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안내돌기(5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정바디(521)의 배면에 상기 안내돌기(5211)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결합바디(511)의 전면에 상기 안내돌기(5211)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레일(5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5211)와 상기 가이드레일(5111)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520)에 외력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더라도, 양측면에 구비되느 상기 이동리브(522)와 상기 조절리브(512) 중 어느 한 쪽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7(c)와 도7(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520)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부(520)가 상기 결합부(510)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리브(522)는 상기 조절리브(512)의 슬라이드 홈(5121)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안내돌기(5211)는 상기 가이드레일(511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의류(p)의 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가 제2거치부(500)에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8은 상기 고정부(520)의 높이가 조절된 후에 그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20)가 상기 결합부(510)에서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는 고정되어야만 상기 고정부(520)의 높이가 조절되는 의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제2거치부(500)는 상기 고정부(520)가 상기 결합부(510)에 고정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부(530)는 상기 조절리브(512) 또는 상기 이동리브(522)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532)와, 상기 조절리브(512) 또는 상기 이동리브(522)의 양측면 중 나머지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홀(5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삽입부(532)가 상기 조절리브(512)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533)이 상기 이동리브(522)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삽입부(532)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533) 중 삽입되는 위치가 달라지면서 상기 고정부(520)가 높이가 조절된 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가 고정되면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532)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단면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530)가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스프링(531)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절리브(512)에는 상기 삽입부(53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삽입부(530)가 상기 이동리브(522)나 상기 조절리브(51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때는 상기 삽입부(530)가 상기 스프링(531)을 향하여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홀(533)과 마주할때는 상기 스프링(5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533)로 투입되어 상기 고정부(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530)도 상기 고정홀(533)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삽입부(532)가 상기 고정홀(533)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고정부(5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9는 상기 고정클립(523)에 상기 의류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쉽게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클립(523)은 일면이 적어도 아래로 볼록하거나 위로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파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지홈(5235)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홈(5235)는 상기 고정클립(523)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고정클립(523)의 하단에 파지홈(5235)까지 상기 의류(P)를 밀어넣고, 상기 상단에 구비된 파지홈(5235)에 노출된 상기 의류(P)를 잡아당겨 상기 의류(P)를 상기 고정클립(52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클립(523)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비되더라도 파지홈(5235)로 인해 상기 의류(p)가 용이하게 상기 고정클립(523)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523)는 상기 파지홈(5235)이 상단과 하단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고정클립(523)이 길이방향으로 물결형 또는 아래로 볼록과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521)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고정바디(5211)와, 상기 제1고정바디의 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바디(5212)와, 상기 제1고정바디(5211)와 상기 제2고정바디(52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바디(5212)를 상기 고정클립(523)으로 밀어내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5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클립(523)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5212)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2고정바디(5212)를 밀어 상기 고정클립(523)과 상기 제2고정바디(5212)에 틈 또는 공간을 형성한 뒤, 상기 의류(P)를 상기 제2고정바디(5212)와 상기 고정클립(523)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고정바디(5212)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고정바디(5212)는 상기 고정클립(523)으로 이동하여 상기 의류(P)를 상기 고정클립(523)으로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제2고정바디(5212)가 불규칙하게 진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바디(5211)가 상기 제2고정바디(5212)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바디(5211)는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바디(5212)의 외주면을 수용하며 상기 제2고정바디(52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5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또한, 상기 제2고정바디(5212)는 상기 안내리브(521b)에 수용되어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수용리브(5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급부(7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공급부(700)는 수용공간(220)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0), 수용공간(220)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220)의 공기를 공급부(700)에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210)는 상기 공급부(700)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50)와, 상기 공급부(700)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흡입구(240)와, 상기 공급부(700)에서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받는 스팀구(250)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00)는 공기보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열풍을 생성하므로, 상기 열풍이 수용공간(220)에 온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수용공간(220)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 수용공간(220)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부가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2)를 모두 포함하고, 공기공급부(71)는 열풍을 수용공간(220)에 공급하며 수분공급부(72)는 스팀을 수용공간(220)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기공급부(71)는 수용공간(2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11), 상기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13), 수용공간(2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220)에 구비된 공기배출부(250) 및 공기흡입부(230)를 통해 수용공간(220) 내부와 연통한다.
상기 공기배출부(250)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22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220)과 공급부(700)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700) 내부에 구비된 순환덕트(711)가 일단은 공기흡입부(2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배출부(250)에 연결된다면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220)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수단으로, 도 2는 열교환부의 일례로 히트펌프(heat pump)를 도시한 것이다.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고,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며,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2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축기(C)와 공기배출부(2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부(240)를 통해 수용공간(220)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220)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230)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는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면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은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의 제거를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탱크(745),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배수관(747) 및 배수펌프(74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745)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배수탱크(745)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배수탱크 리드(7451), 배수관(747)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74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7453)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기계실 도어(74)가 공급부(700)을 개방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서 분리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공급부(700)을 폐쇄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배수탱크를 기계실 도어에서 분리할 때 배수탱크 내부의 물이 배수탱크 외부로 누출되는 것도 방지).
한편,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72)는 공급부(7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721), 상기 저장부(72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725), 저장부(721)를 수분배출부(250)에 연결하는 수분공급관(72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수단이고,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220)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의 상부면(또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74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721)에는 기계실 도어(74)가 공급부(700)을 폐쇄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공급부(700)을 개방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서 분리되는 연결관(72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743)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급수탱크(743)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 리드(7431), 상기 연결관(723)이 삽입되는 배출구(미도시),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체크밸브(74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즉,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면 저장부(721)는 급수원으로부터 필요한 때에 물을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급수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상술한 제어가 불가능한데 상기 급수탱크(743)는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탈취나 구김(wrinkle)을 제거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의류가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므로 스팀이나 열풍의 공급이 완료된 뒤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200 의류수용부 210 이너케이스 220 수용공간 230 흡입부 240 열풍공급부 250 스팁공급
300 도어
700 공급부
400 제1거치부
500 제2거치부
510 결합부 511 결합바디 5111 가이드홈
512 조절리브 5121 안내홈 5122 안내홀
513 결합리브
520 고정부 521 고정바디
522 이동바디
523 고정클립
5235 파지홈
524 지지클립
530 위치결정부 531 스프링 532 삽입부
540 지지부 541 지지바디 542 지지홈
550 힌지부
600 압박부 610 압축바디 611 제1바디
611b 제1힌지관통홀
612 제2바디 612a 핸들
612b 제2힌지관통홀
620 바디관통홀
630
900 연결힌지 910 부착판 920 회전힌지
800 슬라이드 힌지
810 수용힌지 811 고정리브 812 수용바디 813 가이드홈
820 인출힌지 821 지지리브 822 인출바디 823 스토퍼
100 캐비닛
200 의류수용부 210 이너케이스 220 수용공간 230 흡입부 240 열풍공급부 250 스팁공급
300 도어
700 공급부
400 제1거치부
500 제2거치부
510 결합부 511 결합바디 5111 가이드홈
512 조절리브 5121 안내홈 5122 안내홀
513 결합리브
520 고정부 521 고정바디
522 이동바디
523 고정클립
5235 파지홈
524 지지클립
530 위치결정부 531 스프링 532 삽입부
540 지지부 541 지지바디 542 지지홈
550 힌지부
600 압박부 610 압축바디 611 제1바디
611b 제1힌지관통홀
612 제2바디 612a 핸들
612b 제2힌지관통홀
620 바디관통홀
630
900 연결힌지 910 부착판 920 회전힌지
800 슬라이드 힌지
810 수용힌지 811 고정리브 812 수용바디 813 가이드홈
820 인출힌지 821 지지리브 822 인출바디 823 스토퍼
Claims (16)
-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부가 구비된 제1면과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바디; 및
상기 압박바디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며 상기 압박바디를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바디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의류가 통과하게 구비되는 의류 통과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바디는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압박바디가 회전할 때, 상기 제2바디가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가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압박바디의 회전반경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상하로 놓인 상태의 길이보다 축소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바디는
상기 의류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힌지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서 회전하는 방향이 상기 제1바디가 회전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를 지지하는 인출힌지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힌지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출힌지를 지지하는 수용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힌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힌지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어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바디와,
상기 인출바디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인출바디는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에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절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바디의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리브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가 이동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조절리브 또는 상기 이동리브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조절리브 또는 상기 이동리브의 양측면 중 나머지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의류가 끼워지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일면이 적어도 아래로 볼록하거나 위로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파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지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의 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고정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바디를 상기 고정클립으로 밀어내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디는 상기 제2고정바디를 수용하여 상기 제2고정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지지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3621A KR102647875B1 (ko) | 2018-06-01 | 2018-06-01 | 의류처리장치 |
US16/427,517 US11535976B2 (en) | 2018-06-01 | 2019-05-3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U2019203836A AU2019203836B2 (en) | 2018-06-01 | 2019-05-31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CN201910469420.7A CN110552133B (zh) | 2018-06-01 | 2019-05-31 | 衣物处理装置 |
EP19177662.4A EP3575480A1 (en) | 2018-06-01 | 2019-05-31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CN202310102200.7A CN115976811A (zh) | 2018-06-01 | 2019-05-31 | 衣物处理装置 |
AU2021204707A AU2021204707B2 (en) | 2018-06-01 | 2021-07-06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US18/074,913 US12054877B2 (en) | 2018-06-01 | 2022-12-05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U2023201762A AU2023201762A1 (en) | 2018-06-01 | 2023-03-21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KR1020240033894A KR20240035986A (ko) | 2018-06-01 | 2024-03-11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3621A KR102647875B1 (ko) | 2018-06-01 | 2018-06-01 | 의류처리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33894A Division KR20240035986A (ko) | 2018-06-01 | 2024-03-11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7439A KR20190137439A (ko) | 2019-12-11 |
KR102647875B1 true KR102647875B1 (ko) | 2024-03-15 |
Family
ID=690037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3621A KR102647875B1 (ko) | 2018-06-01 | 2018-06-01 | 의류처리장치 |
KR1020240033894A KR20240035986A (ko) | 2018-06-01 | 2024-03-11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33894A KR20240035986A (ko) | 2018-06-01 | 2024-03-11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4787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3336A (ko) | 2021-05-11 | 2022-11-18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4005B1 (ko) * | 1996-06-26 | 2004-11-03 | 훨풀 코포레이션 | 의복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8344A (ko) * | 2009-11-02 | 2011-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 장치 |
KR102599104B1 (ko) * | 2016-11-11 | 2023-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8
- 2018-06-01 KR KR1020180063621A patent/KR102647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3-11 KR KR1020240033894A patent/KR2024003598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4005B1 (ko) * | 1996-06-26 | 2004-11-03 | 훨풀 코포레이션 | 의복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7439A (ko) | 2019-12-11 |
KR20240035986A (ko) | 2024-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8481E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11965283B2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US11713541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USRE48255E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US11680362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2401643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193235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240035986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1936690B (zh) | 衣物处理装置 | |
CN110552133B (zh) | 衣物处理装置 | |
KR10205297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3410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58701B1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