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84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41B1
KR101737841B1 KR1020100140525A KR20100140525A KR101737841B1 KR 101737841 B1 KR101737841 B1 KR 101737841B1 KR 1020100140525 A KR1020100140525 A KR 1020100140525A KR 20100140525 A KR20100140525 A KR 20100140525A KR 101737841 B1 KR101737841 B1 KR 10173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frame
garment
hang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278A (ko
Inventor
김종석
홍석기
이경옥
김성민
박대윤
김성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의 손상방지 및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주름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주름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주름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주름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손상방지 및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에 지지된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는 의류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제2프레임, 힌지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개방시키도록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프레임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에 의해 지지되되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에 의해 지지되되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상기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프레임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와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양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 각각에 구비되는 회동바, 어느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상기 회동바가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회동바 수용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손상방지 및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무빙행어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의류고정부재와 옷걸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두 개의 의류고정부가 프레임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의류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의 건조 및 리프레쉬(refresh)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를 일례로 설명한다.
여기서, 리프레쉬(refresh)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등을 수행하는 의류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이 필요한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1)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수용부의 내부로 공기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공급장치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부(3)는 공기나 열풍을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미도시) 또는 수분, 미스트(miast) 또는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공기유입부(13)를 통해 공기나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수분유입부(11)를 통해 미스트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공기를 가열하여 의류수용부(1)에 공급하는 배기식 또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그 과정에서 제습 및 열교한하는 순환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식의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의류수용부의 내부와 의류처리장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도시)에 열교환을 위한 히터(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순환식의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5)를 통해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유입부(13)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미도시)를 구비하게 될 것이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위한 열교환수단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순환식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해 히트펌프(heat pump,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미도시),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는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증발하는 구성이므로 증발기와 접촉하는 공기는 냉각되며 공기가 냉각되는 동안 공기가 포함하고 있던 수분은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가 가지고 있던 잠열을 주변공기에 방출하는 구성이므로 증발기에서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가열된 뒤 의류수용부(1)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식 히터 등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 전기식 히터 등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온 건조공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가 일례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미도시)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미스트만을 공급하는 경우)라면 초음파진동수단(미도시)을 통해 미스트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해도 무방하다.
상기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는 의류의 거치를 위한 선반(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7)은 의류가 움직임 없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수분공급장치에서 각각 공급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에 의해 의류가 리프레쉬(refresh)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선반(7)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프레임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3)나 수분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이 선반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선반에 거치된 의류로 열풍이나 스팀 등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는 종래 드럼식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와 같이 엉킨 상태가 아니므로 탈취 및 주름제거는 물론이고 의류의 건조에 있어서도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선반(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수용부(1)가 제공하는 공간을 구분하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선반이 구비되되 상기 의류수용부(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열풍이나 스팀 등이 의류수용부(1)로 공급될 때 의류를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무빙행어(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9)는 의류수용부에 수납된 의류를 흔들어주되 의류끼리 엉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효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무빙행어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무빙행어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무빙행어(9)는 의류수용부(1)의 상단(17) 외측(의류수용부 외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91)과,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옷걸이(200)가 지지되는 행어바(93)와, 행어바(93)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행어바 지지부(95)를 포함한다.
상기 행어바 지지부(95)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9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행어바(93)와 결합하며, 의류수용부(1)의 상단(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행어바 지지부(95)가 관통하는 의류수용부의 상단(17)에는 가스켓(G)이 구비되어 공급장치부(3)에서 제공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91)에는 행어바(93)가 의류수용부(1) 내부에서 운동(도면 상 좌우방향 왕복운동, 도면 상 전후방향 왕복운동 또는 왕복운동과 회전운동이 조합된 운동 등)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96),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행어바(93)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부(98), 모터(96)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력변환부(9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97)는 모터(96)에 구비되는 주동풀리(971), 상기 주동풀리와 벨트(975)로 연결되는 종동풀리(973), 상기 종동풀리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97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변환부(98)는 후술할 슬롯(991)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985),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977)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981), 슬롯삽입부와 축 결합부를 이어주는 회전암(98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991)은 슬롯하우징(91)을 통해 상기 행어바(93)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변환부(98)의 슬롯삽입부(985)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슬롯(991)은 상기 행어바(93)의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행어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b)는 행어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축 결합부와 종동풀리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B)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심미감을 위해 상기 동력변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환부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빙행어는 모터(96)가 회전하면 종동풀리(973)가 벨트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에 결합된 회전축(977)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삽입부(985)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궤적(C)을 그리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행어바(93)에 구비된 슬롯(991)은 행어바(9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되 그 길이가 슬롯삽입부(95)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더 길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슬롯(991)은 슬롯삽입부(985)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 직선왕복운동(화살표 참고)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롯(991)이 고정된 행어바(93) 역시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서 수평방향 직선왕복운동을 통해 의류를 운동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슬롯(911)이 행어바(93)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면 행어바(93)는 도면 상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것이고, 상기 슬롯(911)의 길이가 슬롯삽입부(985)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작게 구비되면 행어바(91)는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조합된 왕복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재(8)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8)는 바지 등의 의류에 잡혀있는 주름(crease)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힌지결합된 제1프레임(81)과 제2프레임(8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81)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탄성바디(811), 상기 탄성바디에 구비되는 제1가압부(813), 탄성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압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가압부(8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83)은 제1프레임과 힌지결합(미도시)하며 상기 제1프레임(8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83) 역시 탄성바디(821), 상기 탄성바디(821)에 구비되되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가압부, 제2가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1가압부(823) 및 제2가압부(8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과 제2프레임(82)은 힌지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가압부(813)와 제2프레임의 제1가압부(823), 제1프레임의 제2가압부(815)와 제2프레임의 제2가압부(825)를 손잡이로 활용하여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일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개방된 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각각 탄성바디(811, 821)로 구비되고, 각 탄성바디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부는 사용자가 의류에 구비된 주름을 고정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재(8)는 사용자가 제1가압부(811, 821)나 제2가압부(813, 823) 중 어느 하나만을 가압할 경우 가압된 부분의 탄성바디(811, 821)만이 개방될 수 있다.
도 3(c)는 탄성바디(811, 821)의 상부에 위치한 제1가압부(813, 823)를 가압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의류고정부재(8)는 상부에는 개방부(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접합부(B)가 형성된다.
한편, 바지와 같은 의류에 구비된 주름은 바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를 가진 종래 의류고정부재의 경우 주름을 따라 고정하는 과정에서 주름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재(8)는 탄성바디(811, 821)로 구비되기 때문에 일단이 개방(A)되더라도 타단은 접합(B)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의류의 주름을 고정하기 매우 용이하다.
즉, 바지의 주름을 고정할 때 사용자는 의류고정부재의 일단을 의류에 고정시킨 뒤 바지의 주름을 정리하면서 의류고정부재의 나머지 일단을 의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고정부재(8)가 주름을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의류고정부재(8)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모두 탄성바디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만 탄성바디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구비된 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도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의류에 의류고정부재의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는 자국방지부재(스펀지 등, 미도시)가 탄성바디(811, 82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의류고정부재(8)와 행어바(93) 사이의 위치관계를 살펴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의류고정부재(8)를 통해 바지의 일단만을 고정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8)가 바지의 양단 주름을 고정하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의류의 주름고정에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바(93)가 구동부에 의해 의류수용부(1)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경우, 상기 의류고정부재(8)는 제1프레임(81)과 제2프레임(82)을 행어바(93)에 고정시켜 주는 옷걸이(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옷걸이(84)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1거치부(841), 상기 제1거치부에 구비되어 행어바의 홈(931)에 착탈 가능한 후크(843), 제1거치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수평바(845)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상 의류(C)가 바지인 경우 사용자는 수평바(845)에 바지를 거치하고, 기타의 의류인 경우 사용자는 제1거치부(841)를 통해 의류를 옷걸이에 거치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바(845)에 바지를 거치할 경우 바지가 수평바를 기준으로 접힌채 거치되므로 상술한 의류고정부재(8)를 통해 주름을 고정하는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84)는 바지가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진 채 옷걸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845)에 구비되는 고정구(8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고정부재(8)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기 옷걸이(84)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부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847)는 의류고정부재(8)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옷걸이(84)에 착탈 가능한한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행어바(93)가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운동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술한 옷걸이(84)가 필수적으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의류수용부(1)에 고정된 행어바(93)는 동력변환부(98) 등의 구성이 불요하므로 상기 옷걸이(84)의 수평바(84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힌 채 행어바(93)에 거치된 의류에 상기 의류고정수단(8)을 고정시킴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의류고정부재 간 결합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개시된 내용은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두 개 이상의 의류고정부재간 결합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지와 같은 의류는 양단에 주름이 구비되므로 하나의 의류고정부재를 사용하기 보다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주름을 고정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를 사용할 경우 도 5(a)와 같이 의류고정부재가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면 의류고정부재를 바지의 주름에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되는 의류고정부재(8)는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와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b)는 프레임 연결부재가 회동바(861)와 상기 회동바(861)를 고정시키는 회동바 수용홈(H)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동바(861)는 각각의 의류고정부재(8)에 구비된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동바 수용홈(미도시)은 상기 회동바가 구비된 프레임에 구비되되 회동바의 말단이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제1의류고정부재)와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제2의류고정부재)를 연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1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를 제1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 수용홈에서 분리시킨 뒤 제2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 수용홈에 제1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를 고정시키고, 제2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는 제1의류고정부재의 회동바 수용홈에 고정시킴으로써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달리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는 두 개의 회동바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는 두 개의 회동바 수용홈을 구비시켜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c)는 프레임 연결부재가 플레이트(863)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d)는 플레이트(863) 양단에 결합된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프레임 연결부재가 플레이트(863)로 구비될 경우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제1프레임(또는 제2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제1프레임(또는 제2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863)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863)는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86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의류고정부재(8)에는 상기 슬롯(865)에 삽입되는 슬롯결합돌기(8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지의 주름을 고정시킬 때 사용자는 의류고정부재(8)의 간격을 넓혀 플레이트(863)에 바지를 거치시켜 주름을 정리한 뒤 의류고정부재(8)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지의 주름고정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도 6은 의류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의류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부(6)는 제1프레임(611)과 제2프레임(613)이 구비된 탄성바디(61),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탄성바디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면(63),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탄성바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611)과 제2프레임(613)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고정면(63)과 제2고정면(65)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고정면과 제2고정면 사이에 바지를 삽입하여 바지의 주름을 고정하게 된다.
다만, 상기 탄성바디(61)는 사용자가 탄성바디(61) 상단의 제1고정면과 제2고정면의 간격을 넓히더라도 탄성바디(61) 하단의 제1고정면과 제2고정면의 간격은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고정부재(6)의 일단을 의류에 고정시킨 뒤 바지의 주름을 정리하면서 의류고정부재의 타단을 의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고정부재(6)에 의해 주름이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면(63)과 제2고정면(65)은 고정면 연결부(67)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의류수용부 3: 공급장치부
5: 도어 7: 선반 9: 무빙행어
91: 지지프레임 93: 행어바 95: 행어바지지부
96: 모터 97: 동력전환부 98: 동력변환부
99: 슬롯하우징 991: 슬롯 8: 의류고정부재
81: 제1프레임 82: 제2프레임 84: 옷걸이
85: 착탈부재 86: 프레임 연결부재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에 지지된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는 의류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개방된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를 가압한 경우에 상기 제1가압부가 구비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개방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2가압부가 구비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에 의해 지지되되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상기 옷걸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에 의해 지지되되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상기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고정부재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프레임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와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양단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의류고정부재 각각에 구비되는 회동바, 어느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상기 회동바가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의류고정부재에 구비된 회동바 수용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00140525A 2010-12-31 2010-12-31 의류처리장치 KR10173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525A KR101737841B1 (ko) 2010-12-31 2010-12-3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525A KR101737841B1 (ko) 2010-12-31 2010-12-3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278A KR20120078278A (ko) 2012-07-10
KR101737841B1 true KR101737841B1 (ko) 2017-05-19

Family

ID=4671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525A KR101737841B1 (ko) 2010-12-31 2010-12-3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75B1 (ko)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034684B1 (en) 2014-12-19 2017-10-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003820B1 (ko) 2017-12-08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988323B1 (ko) * 2018-08-1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967B1 (ko) * 1998-06-23 2002-02-02 모토유키 오리타니 클립붙이 행거
KR200274755Y1 (ko) * 2002-01-29 2002-05-09 이승열 바지의 주름 제거용 집게
KR100524400B1 (ko) * 2005-06-15 2005-10-28 박성수 빨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967B1 (ko) * 1998-06-23 2002-02-02 모토유키 오리타니 클립붙이 행거
KR200274755Y1 (ko) * 2002-01-29 2002-05-09 이승열 바지의 주름 제거용 집게
KR100524400B1 (ko) * 2005-06-15 2005-10-28 박성수 빨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278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4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91799A (ko)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0536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363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3894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3784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087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4044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3278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7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742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3588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6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