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799A -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799A
KR20120091799A KR1020110011800A KR20110011800A KR20120091799A KR 20120091799 A KR20120091799 A KR 20120091799A KR 1020110011800 A KR1020110011800 A KR 1020110011800A KR 20110011800 A KR20110011800 A KR 20110011800A KR 20120091799 A KR20120091799 A KR 2012009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ressing plate
clothing
fix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룡
홍석기
이경옥
김성민
김종석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799A/ko
Publication of KR2012009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장치 및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Laundry Fix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주름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주름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주름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wrinkle)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고정장치 및 상기 의류고정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장치 및 상기 의류고정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타면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단 양측 또는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마주보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누름판을 연결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에 거치된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타면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wrinkle)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고정장치 및 상기 의류고정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에 형성된 주름(crease)이 구겨지지 않도록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장치 및 상기 의류고정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무빙행어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의류고정장치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의류고정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의 건조 및 리프레쉬(refresh)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를 일례로 설명한다.
여기서, 리프레쉬(refresh)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등을 수행하는 의류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이 필요한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1)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수용부의 내부로 공기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공급장치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부(2)는 공기나 열풍을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미도시) 또는 수분, 미스트(miast) 또는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공기유입부(13)를 통해 공기나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수분유입부(11)를 통해 미스트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공기를 가열하여 의류수용부(1)에 공급하는 배기식 또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그 과정에서 제습 및 열교한하는 순환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식의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의류수용부의 내부와 의류처리장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도시)에 열교환을 위한 히터(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순환식의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수용부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5)를 통해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유입부(13)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미도시)를 구비하게 될 것이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위한 열교환수단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순환식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해 히트펌프(heat pump,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미도시),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는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증발하는 구성이므로 증발기와 접촉하는 공기는 냉각되며 공기가 냉각되는 동안 공기가 포함하고 있던 수분은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가 가지고 있던 잠열을 주변공기에 방출하는 구성이므로 증발기에서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가열된 뒤 의류수용부(1)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식 히터 등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 전기식 히터 등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온 건조공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가 일례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미도시)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미스트만을 공급하는 경우)라면 초음파진동수단(미도시)을 통해 미스트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해도 무방하다.
상기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는 의류의 거치를 위한 선반(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4)은 의류가 움직임 없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수분공급장치에서 각각 공급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에 의해 의류가 리프레쉬(refresh)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선반(4)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프레임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3)나 수분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이 선반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선반에 거치된 의류로 열풍이나 스팀 등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는 종래 드럼식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와 같이 엉킨 상태가 아니므로 탈취 및 주름제거는 물론이고 의류의 건조에 있어서도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선반(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수용부(1)가 제공하는 공간을 구분하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선반이 구비되되 상기 의류수용부(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열풍이나 스팀 등이 의류수용부(1)로 공급될 때 의류를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무빙행어(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5)는 의류수용부에 수납된 의류를 흔들어주되 의류끼리 엉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효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무빙행어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무빙행어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무빙행어(5)는 의류수용부(1)의 상단(17) 외측(의류수용부 외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51)과,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옷걸이(6)가 지지되는 행어바(53)와, 행어바(53)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행어바 지지부(55)를 포함한다.
상기 행어바 지지부(55)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행어바(53)와 결합하며, 의류수용부(1)의 상단(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행어바 지지부(55)가 관통하는 의류수용부의 상단(17)에는 가스켓(G)이 구비되어 공급장치부(2)에서 제공되는 열풍이나 스팀 등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51)에는 행어바(53)가 의류수용부(1) 내부에서 운동(도면 상 좌우방향 왕복운동, 도면 상 전후방향 왕복운동 또는 왕복운동과 회전운동이 조합된 운동 등)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56),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행어바(53)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부(58), 모터(56)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력변환부(5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57)는 모터(56)에 구비되는 주동풀리(571), 상기 주동풀리와 벨트(575)로 연결되는 종동풀리(573), 상기 종동풀리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57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변환부(58)는 후술할 슬롯(591)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585),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577)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581), 슬롯삽입부와 축 결합부를 이어주는 회전암(58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591)은 슬롯하우징(59)을 통해 상기 행어바(53)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변환부(58)의 슬롯삽입부(585)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슬롯(591)은 상기 행어바(53)의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행어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b)는 행어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축 결합부와 종동풀리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B)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심미감을 위해 상기 동력변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환부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빙행어는 모터(56)가 회전하면 종동풀리(573)가 벨트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에 결합된 회전축(577)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삽입부(585)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궤적(C)을 그리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행어바(53)에 구비된 슬롯(591)은 행어바(5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되 그 길이가 슬롯삽입부(55)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더 길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슬롯(591)은 슬롯삽입부(585)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 직선왕복운동(화살표 참고)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롯(591)이 고정된 행어바(53) 역시 의류수용부(1)의 내부에서 수평방향 직선왕복운동을 통해 의류를 운동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슬롯(591)이 행어바(53)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면 행어바(53)는 도면 상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것이고, 상기 슬롯(591)의 길이가 슬롯삽입부(585)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작게 구비되면 행어바(53)는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조합된 왕복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행어바(53) 또는 옷걸이(6)에 거치된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고정장치는 의류수용부(1)에 위치한 의류를 고정시켜 의류에 형성된 고유한 주름(crease)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의류의 사용 시 또는 의류의 세탁 시 발생되는 구김(wrinkle)은 공급장치부(2)에서 의류수용부(1)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스팀에 의해 제거되고, 의류에 형성된 고유한 주름(crease)은 상기 의류고정장치에 의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의류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7)는 의류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판(71),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타면을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누름판(73, 74), 상기 누름판을 지지판(7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75), 상기 누름판을 지지판(71)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7)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71)은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판바디(711), 상기 지지판바디에 구비되는 통기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712)는 상기 지지판바디(711)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의류가 지지판과 누름판에 의해 고정되더라도 공급장치부(2)에서 제공되는 열풍이나 스팀에 의류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바디에는 의류에 구비된 봉제선(또는 솔기, seam 도 4의 'S')이 수용되는 수용홈(7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봉제선은 천의 끝과 끝을 봉합했을 때 생기는 선으로 의류는 봉제선이 형성된 부위가 봉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비해 약간 두껍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713)은 의류의 일면을 지지판바디(711)에 안착시킬 경우 의류가 봉제선의 두께에 의해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누름판은 연결수단(75)을 통해 지지판(7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데 본 실시예에 구비된 누름판은 지지판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누름판(73)과 제2누름판(7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의 구조는 동일한 바 제1누름판(73)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누름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누름판(73)은 일면이 지지판바디(711)에 의해 지지된 의류의 다른 면을 눌러주는 누름판바디(731)로 구비될 수 있고, 의류의 구김(wrinkle)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판 경사면(7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 경사면(733)은 상기 누름판바디(731)가 상기 지지판바디(711)에 접촉하는 부위에 구비되되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바디(731)가 지지판바디(711)에 지지된 의류를 눌러 고정할 경우 의류에 누름판바디(731) 외주면 형상의 구김이 발생될 수 있는데 누름판바디(731)에 상술한 누름판 경사면을 구비시키면 누름판에 의한 구김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7)는 상기 지지판(71)에도 지지판 경사면(715)를 더 구비시킬 수 있는데 상기 지지판 경사면(715)은 상기 누름판 경사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 경사면(715)의 형상은 누름판 경사면(733)과 마찬가지로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거나 소정곡률 반경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누름판(73)과 제2누름판(74)은 지지판(71)의 상단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각 누름판(73, 74)이 연결수단(75)을 통해 회전할 경우 지지판바디(711)를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71)에는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누름판 가이더(714)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 가이더(714)는 상기 지지판바디(711)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되 누름판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75)은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이 지지판바디(7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구조나 착탈힌지 구조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3은 지지판과 각 누름판이 제1힌지(75)와 제2힌지(76)에 의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착탈힌지 구조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나아가, 상기 의류고정장치는 각 누름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78, D-D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78)는 제1누름판(73)과 제2누름판(74)을 사용자가 개폐시킬 때 각 누름판의 위치를 고정하여 의류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 D-D는 누름판에 구비되는 돌기(781), 지지판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783)의 구조를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각 누름판을 회전시키면 돌기(781)가 회전하면서 돌기수용홈(783)에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각 누름판을 원하는 각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류를 의류고정장치로 고정할 때 사용자는 각 누름판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의류에 구비된 주름(crease)을 누름판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에 구비된 주름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은 상기 연결수단(75)이 지지판바디(711)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수단(75)이 지지판바디의 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은 지지판바디의 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일면을 고정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수단(77)은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지지판바디(711)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7)에 적용 가능한 고정수단(77)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4 (a)는 도 3의 A-A 부분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77)은 각 누름판(73, 74)의 바디(731, 741) 외주면으로부터 지지판바디(71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후크(771)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의 봉제선(또는 솔기)가 지지판바디(711)의 수용홈(713)에 위치하도록 의류의 일면을 지지판바디(711)에 거치시킨 뒤 각 누름판의 외주면에 구비된 후크(771)가 지지판바디(711)에 결합하도록 각 누름판(73, 74)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판에 거치된 의류를 고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만, 사용자는 의류에 구비된 고유한 주름(crease)이 훼손되지 않도록 의류의 주름이 지지판바디(711)와 각 누름판바디(731, 741)가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의류를 거치시켜야 한다.
도 4 (b)는 도 3의 B-B부분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체결바(773) 및 체결바 고정돌기(735)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바 고정돌기(735)는 각 누름판(73, 74)의 바디(731, 741)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773)는 상기 체결바 고정돌기(735)가 수용되는 홈(7733)을 구비하여 지지판바디(711)에 회전축(7731)을 통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누름판을 회전시켜 의류의 일면을 지지판에 고정한 뒤 상기 체결바(773)의 홈(7733)에 체결바 고정돌기(735)를 삽입시킴으로써 의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b)는 체결바는 지지판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체결바 고정돌기는 각 누름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바는 각 누름판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체결바 고정돌기는 지지판바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4 (c)는 도 3의 C-C부분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가압판(7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775)은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누름판의 상단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바디(7753), 상기 바디를 지지판바디(7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7751), 상기 바디(7753)의 일단에 구비되어 누름판과 접촉하는 접촉면(77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판바디(711)에 의류를 거치시킨 뒤 누름판바디(731)을 회전시켜 의류의 일면을 누른 뒤 상기 가압판(775)를 누름판 방향으로 회전(화살표참고)시켜 누름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가압판(775)의 바디(7753)가 탄성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지지판바디(711)에 힌지(751) 결합된 누름판바디(731)을 회전시키기만하면 가압판(775)을 누름판바디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를 의류고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도 4 (c)에 도시된 고정수단은 도 6이나 도 7에 도시된 의류고정장치(8, 9)의 경우 도 3의 B-B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고정수단은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는 도 4에 개시된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도 4 (a), (b) 및 (c)에 개시된 고정수단 중 두 개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4에 개시된 고정수단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와 의류고정장치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4, 도 6 및 도 7에 개시된 의류고정장치(7, 8, 9)와 의류처리장치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행어바(53)에 지지되어 상기 의류고정장치(7)가 착탈되는 옷걸이(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6)는 의류를 지지하는 거치부(63),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행어바의 홈(531)에 착탈 가능한 옷걸이 고리(61), 거치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수평바(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판 착탈수단(79)은 상기 옷걸이(6)에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판바디(711)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장바(791), 상기 연장바에 구비되어 옷걸이의 수평바(65)에 착탈 가능한 착탈바(7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바(795)는 연장바(791)가 결합하는 연결홀(7951)과 옷걸이의 수평바(65)가 삽입되는 수용후크(7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수용부(716, 도 3참고)으로부터 연장바(791)을 인출시킨 뒤 착탈바(795)에 구비된 수용후크(7953)를 옷걸이의 수평바(65)에 결합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바지(T)에 구비된 고유한 주름(crease)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판 착탈수단(79)은 바지(T)와 같은 의류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바(791)에 구비되는 집게(79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바지가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진 채 의류고정장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지지판 착탈수단(79)은 착탈바(795)가 옷걸이(6)의 수평바(65)에 착탈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착탈바의 구조를 변경하여 옷걸이의 거치부(6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5 (b)와 같이 옷걸이(6)에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는 집게(67)가 구비된다면 상기 지지판 착탈수단(79)은 의류고정장치에 필수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다.
즉, 옷걸이(6)의 수평바(65)에 집게(67)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바지(T)와 같은 의류의 일단을 집게에 고정시킨 뒤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에 의류고정장치(7)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의류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8)는 도 3에 개시된 의류고정장치(7)와 마찬가지로 지지판(81), 누름판(83, 84), 누름판을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85), 상기 누름판을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81)은 의류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판바디(811), 지지판바디에 구비되는 통기홀(812), 지지판바디에 구비되어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또는 솔기)이 수용되는 수용홈(8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은 지지판바디(811)의 일측(도면 상 우측)에 구비되어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일면을 고정하는 제1누름판(83)과, 지지판바디(811)의 타측(도면 상 좌측)에 구비되어 의류의 일면을 고정하는 제2누름판(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83, 84)는 누름판 경사면(833)을 각각 더 포함하여 누름판에 의한 구김(wrinkl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한다.
한편, 의류고정장치(8)에 의한 구김(wrinkle)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바디(811)에도 지지판 경사면(8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85)은 힌지(85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착탈힌지(미도시)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착탈힌지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고정수단(87)은 지지판바디(8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누름판을 가압하는 고정단(871)과 고정단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87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8)는 상술한 레버에 더해 도 4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8)도 옷걸이(6)에 의류고정장치를 착탈시키는 지지바 착탈수단(89)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 착탈수단(89)은 지지판바디(81)에서 인출 가능한 연장바(891), 연장바에 구비되어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는 집게(893), 연장바에 구비되어 옷걸이에 탈부착 가능한 착탈바(89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 착탈수단이 구비된 의류고정장치(8)의 경우 상기 지지판바디(81)에는 상기 연장바(891)를 수용하기 위한 바수용부(815, E-E참고)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8)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먼저 지지판바디(811)에 의류의 일면을 안착시킨 뒤 의류에 구비된 고유한 주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지지판바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레버(87)의 고정단(871)이 각 누름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873)을 회전시켜 의류의 주름을 고정하게 되며, 의류가 고정된 의류고정장치(8)는 옷걸이(6)를 통해 행어바(53)의 홈(531)에 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9)는 의류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판(91),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누름판(93), 상기 누름판을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수단(95), 상기 누름판을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97)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91)은 도 3이나 도 6에 개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판바디(911), 지지판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통기홀(912), 의류에 구비된 봉제선(또는 솔기)를 수용하여 의류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홈(913)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판(91)은 후술할 착탈힌지(951)가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판바디(91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지지판 회전축(91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93)은 상기 지지판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판바디(911)에 지지된 의류의 일면을 고정하는 누름판바디(931), 상기 누름판바디에 구비되는 누름판 통기홀(933)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 통기홀(933)은 공급장치부(2)에서 의류수용부(1)로 공급되는 열풍이나 수분이 의류고정장치(9)에 고정된 의류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충분한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바디를 관통하는 하나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누름판(93)은 후술할 착탈힌지(95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누름판바디(93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누름판 회전축(937)을 더 포함한다.
한편, 누름판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91)은 상기 지지판바디(911)에 접촉하는 부위에 누름판 경사면(93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누름판 경사면(935)는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반경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누름판에 의한 의류의 구김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판바디(911)에도 지지판 경사면(914)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누름판(93)을 지지판(91)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95)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힌지구조가 일례가 될 수 있으나 착탈힌지(951)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힌지(951)는 지지판에 구비된 지지판 회전축(917)과 누름판에 구비된 누름판 회전축(937)을 연결하는 힌지바디(9511), 상기 힌지바디(9511)에 구비되어 누름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9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고정장치(9)에 의류를 고정할 때 의류에 구비된 고유한 주름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는 누름판(93)을 열어 지지판바디(911)에 의류를 위치시킨 뒤 누름판바디(931)를 지지판바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고정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누름판바디(931)는 착탈힌지(951)에 구비된 슬롯(9513)에 의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지지판바디(911)에 지지된 의류의 주름(crease)이 누름판바디에 의해 훼손되지 않도록 정렬한 다음 누름판바디(931)를 지지판바디(91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의 주름을 훼손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97)은 상기 착탈힌지(951)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 회전축(917)에 착탈 가능한 착탈후크(971)로 구비되되 상기 착탈힌지(951)는 상기 누름판(9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누름판의 회전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착탈후크(971)가 구비된 착탈힌지(951)가 누름판바디(931)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상기 누름판바디(931)를 도면 상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도면 상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판바디(931)의 좌측에 구비된 착탈후크(971)을 지지판바디(911)의 회전축(9157)로부터 분리시키면 누름판바디(931)는 도면 상 우측으로 회전 가능하고, 사용자가 누름판바디의 우측에 구비된 착탈후크(971)를 지지판바디의 회전축(9157)로부터 분리시키면 누름판바디는 도면 상 좌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9)는 상술한 착탈후크(971)에 더해 도 4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장치(9)도 옷걸이(6)에 의류고정장치를 착탈시키는 지지바 착탈수단(99)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 착탈수단(99)은 지지판바디(911)에서 인출 가능한 연장바(991), 연장바에 구비되어 의류의 일단을 고정하는 집게(993), 연장바에 구비되어 옷걸이에 탈부착 가능한 착탈바(99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 착탈수단이 구비된 의류고정장치(9)의 경우 상기 지지판바디(911)에는 상기 연장바(991)를 수용하기 위한 바수용부(915)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의류수용공간 2: 공급장치부
3: 도어 4: 선반 5: 무빙행어
53: 행어바 6: 옷걸이 7: 의류고정장치
71: 지지판 73, 74: 누름판 75: 연결수단
77: 고정수단 79: 지지판 착탈수단

Claims (26)

  1.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타면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의류에 구비된 솔기(seam)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지지된 의류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통기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옷걸이에 착탈 시키는 지지판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착탈 수단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에 고정되는 착탈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과 접촉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누름판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누름판 경사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판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에 착탈 가능한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누름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누름판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는 홈을 구비한 체결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가압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단 양측 또는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누름판과 상기 제2누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누름판 가이더를 상기 지지판의 상단 양측 또는 하단 양측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판과 상기 제2누름판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제1힌지, 상기 제2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제2힌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에 착탈 가능한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마주보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는 레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누름판을 연결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에 착탈 가능한 착탈후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누름판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2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에 거치된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의 타면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누름판을 상기 지지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옷걸이에 착탈 시키는 지지판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착탈 수단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에 고정되는 착탈후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단 양측 또는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지지판의 마주보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누름판과 제2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누름판을 연결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고정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10011800A 2011-02-10 2011-02-10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20091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00A KR20120091799A (ko) 2011-02-10 2011-02-10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00A KR20120091799A (ko) 2011-02-10 2011-02-10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99A true KR20120091799A (ko) 2012-08-20

Family

ID=4688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00A KR20120091799A (ko) 2011-02-10 2011-02-10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799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099225A1 (en) * 2014-12-19 2016-06-2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60075033A (ko) *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097824A1 (en) * 2015-05-29 2016-11-3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321413A1 (en) * 2016-11-11 2018-05-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321414A1 (en) * 2016-11-11 2018-05-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094822A (ko) * 2018-08-14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4153156B (zh) * 2014-07-23 2019-01-29 游振兴 多功能自动智能洗衣柜
KR20190017844A (ko) * 2019-02-08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4A (ko) * 2020-02-20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3A (ko) * 2020-02-20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RE48255E1 (en) 2013-12-05 2020-10-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2301689A (zh) * 2019-07-30 2021-02-02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WO2021029697A1 (ko) * 2019-08-13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56310A (ko) * 2020-08-06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59A (ko) * 2020-09-16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60A (ko) * 2018-11-16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210310181A1 (en) * 2018-02-22 2021-10-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193235B2 (en) * 2016-11-11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20002933A1 (en) * 2020-05-07 2022-0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20210192B2 (en) * 2019-07-30 2022-01-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20154390A9 (en) * 2020-05-07 2022-05-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072818A (ko) * 2020-09-1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230083469A1 (en) * 2020-05-26 2023-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US11987924B2 (en) 2018-06-01 2024-05-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ed B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8205E1 (en) 2013-07-1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RE48481E1 (en) 2013-07-17 2021-03-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RE49038E1 (en) 2013-07-17 2022-04-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RE49744E1 (en) 2013-07-17 2023-12-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RE49100E1 (en) 2013-12-05 2022-06-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RE48255E1 (en) 2013-12-05 2020-10-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4153156B (zh) * 2014-07-23 2019-01-29 游振兴 多功能自动智能洗衣柜
USRE49678E1 (en) 2014-12-19 2023-10-0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9809924B2 (en) 2014-12-1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2021191468A (ja) * 2014-12-19 2021-12-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衣類処理装置
KR20210118794A (ko) * 2014-12-19 2021-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9205860A (ja) * 2014-12-19 2019-12-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USRE48559E1 (en) 2014-12-19 2021-05-18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60075033A (ko) *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099225A1 (en) * 2014-12-19 2016-06-2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9752276B2 (en) 2015-05-29 2017-09-0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097824A1 (en) * 2015-05-29 2016-11-3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111624B2 (en) 2016-11-11 2021-09-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1176525A (ja) * 2016-11-11 2021-11-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衣類処理装置
JP2019537478A (ja) * 2016-11-11 2019-12-2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US10563345B2 (en) 2016-11-11 2020-02-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611300A1 (en) * 2016-11-11 2020-02-19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527715A1 (en) * 2016-11-11 2019-08-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321414A1 (en) * 2016-11-11 2018-05-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713541B2 (en) 2016-11-1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527714A1 (en) * 2016-11-11 2019-08-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713540B2 (en) 2016-11-1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19534099A (ja) * 2016-11-11 2019-11-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US11680362B2 (en) 2016-11-11 2023-06-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9923256A (zh) * 2016-11-11 2019-06-2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JP2021049371A (ja) * 2016-11-11 2021-04-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US11680363B2 (en) 2016-11-11 2023-06-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9891017A (zh) * 2016-11-11 2019-06-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EP3321413A1 (en) * 2016-11-11 2018-05-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2120086A (ja) * 2016-11-11 2022-08-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US11098439B2 (en) 2016-11-11 2021-08-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088833A1 (en) * 2016-11-11 2018-05-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3463355A (zh) * 2016-11-11 2021-10-0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463355B (zh) * 2016-11-11 2024-04-0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463348A (zh) * 2016-11-11 2021-10-0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463356A (zh) * 2016-11-11 2021-10-0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463356B (zh) * 2016-11-11 2024-04-1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WO2018088834A1 (en) * 2016-11-11 2018-05-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10348321A1 (en) * 2016-11-11 2021-11-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193235B2 (en) * 2016-11-11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052954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940137A1 (en) * 2016-11-11 2022-01-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713537B2 (en) * 2018-02-22 2023-08-0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10310181A1 (en) * 2018-02-22 2021-10-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87924B2 (en) 2018-06-01 2024-05-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94822A (ko) * 2018-08-14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60A (ko) * 2018-11-16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613841B2 (en) 2018-11-1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17844A (ko) * 2019-02-08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771768A1 (en) * 2019-07-30 2021-02-0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32295A3 (en) * 2019-07-30 2024-04-2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821137B2 (en) 2019-07-30 2023-11-21 Lg Electronics Inc. Wrinkle removal module
CN112301689A (zh) * 2019-07-30 2021-02-02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AU2020210192B2 (en) * 2019-07-30 2022-01-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114302989B (zh) * 2019-08-13 2024-04-2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11795609B2 (en) 2019-08-13 2023-10-2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114302989A (zh) * 2019-08-13 2022-04-0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WO2021029697A1 (ko) * 2019-08-13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015702A4 (en) * 2019-08-13 2023-08-02 LG Electronics Inc. GARMENT TREATMENT APPARATUS
KR20200110283A (ko) * 2020-02-20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4A (ko) * 2020-02-20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708660B2 (en) * 2020-05-07 2023-07-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708661B2 (en) * 2020-05-07 2023-07-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20154390A9 (en) * 2020-05-07 2022-05-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20002933A1 (en) * 2020-05-07 2022-0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30083469A1 (en) * 2020-05-26 2023-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56310A (ko) * 2020-08-06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72818A (ko) * 2020-09-1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59A (ko) * 2020-09-16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799A (ko)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67494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36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363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964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652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1039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08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4450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3784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3278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4044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RU27748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