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03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033A
KR20160075033A KR1020140184457A KR20140184457A KR20160075033A KR 20160075033 A KR20160075033 A KR 20160075033A KR 1020140184457 A KR1020140184457 A KR 1020140184457A KR 20140184457 A KR20140184457 A KR 20140184457A KR 20160075033 A KR20160075033 A KR 20160075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base plate
press plat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751B1 (ko
Inventor
안덕우
박주민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51B1/ko
Priority to EP15201190.4A priority patent/EP3034684B1/en
Priority to US14/974,050 priority patent/US9809924B2/en
Priority to CN201810200013.1A priority patent/CN108193464B/zh
Priority to CN201510963748.6A priority patent/CN105714543B/zh
Priority to JP2017532881A priority patent/JP6568217B2/ja
Priority to PCT/KR2015/014024 priority patent/WO2016099225A1/en
Publication of KR2016007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033A/ko
Priority to US16/180,206 priority patent/USRE48559E1/en
Priority to JP2019142078A priority patent/JP6942761B2/ja
Priority to US17/228,439 priority patent/USRE49678E1/en
Priority to JP2021146009A priority patent/JP7295180B2/ja
Priority to KR1020210125778A priority patent/KR102378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751B1/ko
Priority to JP2023094614A priority patent/JP202311387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40Holders or stretchers for the article to be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은 상기 처리챔버를 통해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 상기 프레스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리버설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주름제거모듈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열리거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설치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방향과 연동하여 주름제거모듈에 설치된 프레스플레이트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 구조 또는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 (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 및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4-0016093
본 발명은 하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주름제거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의 개폐방향을 리버설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의의 설치 시, 하의에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은 상기 처리챔버를 통해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 상기 프레스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리버설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리버설모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1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2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힌지의 반대편인 타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랫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및 제 2 힌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 사이에 조립되는 캡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리버설을 위한 설치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부; 상기 베이스고정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부에 비해 상기 도어와 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의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베이스탄성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은 상기 처리챔버를 통해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1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2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힌지의 반대편인 타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랫치; 상기 제 1 힌지 및 제 2 힌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 사이에 조립되는 캡커버;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리버설을 위한 설치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위장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주름제거모듈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열리거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의 개폐방향과 연동하여 주름제거모듈에 설치된 프레스플레이트의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 구조 또는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개폐방향이 리버설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분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개폐방향이 리버설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름제거모듈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구획시키는 분리판(11)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11)의 상측에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12)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11) 하측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14)가 형성된다.
상기 처리챔버(12)에는 의류가 거치되고, 스팀 또는 공기 순환 등을 통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냄새를 탈취한다.
상기 사이클챔버(14)에는 상기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30)과, 상기 처리챔버(12)에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유닛(40)과, 상기 처리챔버(12)의 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히트펌프유닛(50)과, 상기 각 유닛(30)(40)(5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30), 스팀유닛(40), 히트펌프유닛(50), 제어유닛(60) 등과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각 행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들의 조립체를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클어셈블리로 정의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처리챔버(12)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히트펌프유닛(50)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의 흡입 측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챔버(1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송풍팬(32)으로 안내하는 인릿덕트(34)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유닛(4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고, 후술되는 급수탱크(72)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팀은 처리챔버(12)로 토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트펌프유닛(50)을 통해 상기 처리챔버(12)로 유동되게 유로가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0)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되고,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처리챔버(12) 내부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트펌프유닛(50)은 상기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챔버(14)의 전방에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모듈(70)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릿덕트(34) 전방 측에 상기 탱크모듈(70)이 설치되는 탱크모듈프레임(71)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71)은 상기 분리판(11)과 결합되어 상기 사이클챔버(14)를 외부와 분리시킨다.
상기 탱크모듈(70)은 상기 스팀유닛(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72)와, 상기 처리챔버(1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74)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72)는 상기 스팀유닛(40)과 연결되고, 상기 스팀유닛(40)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드레인탱크(74)는 상기 히트펌프유닛(50)과 연결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5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처리챔버(1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 물도 상기 드레인탱크(74)로 안내되어 저장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패널(22)과, 상기 도어패널(22) 및 케이스(10)를 힌지 연결시키는 힌지부(24)와, 상기 도어패널(22)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의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상기 도어(20) 및 케이스(10)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어개스킷(26)과, 상기 도어패널(22)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챔버(1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분리판(11)으로 안내하는 도어라이너(8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라이너(80)는 상기 도어패널(22)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패널(22)과 평행하게 형성된 라이너부(82)와, 상기 라이너부(82)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처리챔버(12) 내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라이너가이드부(84)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패널(22)을 둘러싸게 상기 도어개스킷(26)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개스킷(26)을 통해 상기 도어(20) 및 케이스(10)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너부(82)는 상기 도어패널(22)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라이너가이드부(84)는 상기 라이너부(8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부(82)에서 상기 처리챔버(12) 측으로 편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이너가이드부(84)의 하단은 응축수가 맺혀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언더컷 형상의 드랍부(86)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개스킷(26) 중 일부는 상기 라이너가이드부(84)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라이너(80)를 따라 드랍된 응축수가 상기 탱크모듈(70)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100)이 도어(20)에 구비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설치되는 의류(105, 이하 하의라고 한다)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밀착되어 하의(105)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의(105)는 걸이부재(120)에 고정된 후, 케이스(10) 내측에 형성된 걸이부(25)에 배치된다.
상기 걸이부재(120)는 본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바지걸이가 사용되고, 스카프, 목돌이 등이 걸리는 경우 다른 종류의 걸이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이부(25)는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하의의 길이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패널(22) 또는 도어라이너(8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에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부(112)와, 상기 베이스고정부(1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부(112)에 비해 상기 도어(20)와 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베이스탄성판(11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고정부(112))는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체결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13)를 통해 상기 도어(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베이스탄성판(114)은 상기 베이스고정부(112)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베이스탄성판(115) 및 우측베이스탄성판(1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베이스탄성판(115) 및 우측베이스탄성판(116)은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도어(20)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체결부(113)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거나 비틀리면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와 균일하게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하의(105)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좌측베이스탄성판(115)에 먼저 압력이 가해진 후 상기 우측베이스탄성판(116)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탄성판(114)이 체결부(113)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소정각도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하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하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고정부(112)는 상기 베이스탄성판(114)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부(112)에 하의의 봉제부(106)를 위치시킨다.
상기 봉제부(106)는 직물이 겹쳐져 형성되는 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차를 형성시키지 않는 경우 프레스플레이트(140)에 의한 압력이 집중되어 하의의 주름이 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도어(20) 사이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탄성지지하는 베이스탄성부재(118)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탄성부재(118)는 본 실시예에서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판스프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미도시)의 탄성력을 통해 탄성을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탄성부재(118)는 상기 좌측베이스탄성판(115)의 상측 및 하측, 상기 우측베이스탄성판(116)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제부(106)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프레스회피부(142)와, 상기 베이스탄성판(114)과 밀착되는 프레스부(144)가 상기 프레스회피부(142)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에는 스팀을 하의에 공급하기 위해 개방된 개구부(145)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145)는 상기 프레스회피부(142)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개구부(145)는 상기 프레스부(144)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1개로 형성되는 대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에 다공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며, 다양한 모양 또는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하의(105)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1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1개의 판으로 제작되어 프레스플레이트에서 가해지는 압력은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1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고정부(110)에 하의의 봉제부(106)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상기 봉제부(106)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의(105) 전체에 고르게 압력을 가해 주름이 효과적으로 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어(20)는 힌지부(24)의 설치위치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리게 설치할 수도 있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리게 설치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의 프레스플레이트(140)는 도어(20)의 여는 방향에 대해 대응되도록 우측에서 좌측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릴 수 있는 리버설구조(130)로 구성된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을 위한 리버설구조(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프레스플레이트(140)의 일측를 결합시키고,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를 회전시키는 제 1 힌지(152) 및 제 2 힌지(15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프레스플레이트(14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의 밀착 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키는 랫치(160)와, 상기 제 1 힌지(152) 및 제 2 힌지(154) 사이에 배치된 캡커버(170)와, 상기 제 1, 2 힌지(152)(154) 및 캡커버(170)가 설치된 반대편에 위치되어, 설치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위장커버(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되는 설치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힌지(152)는 좌측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프레스플레이트(140)를 힌지 연결시킨다.
상기 제 2 힌지(154)는 좌측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프레스플레이트(140)를 힌지 연결시킨다.
상기 캡커버(170)는 상기 제 1, 2 힌지(152)(154)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랫치(160, latch)는 상기 힌지들(152)(154)의 반대편인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플레이트(14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를 상호 걸림시킨다.
상기 랫치(160)는 당업자에게 널리 안려진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위장커버(180)는 상기 캡커버(170)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반대 방향으로 열리게 구조가 변경될 때, 상기 힌지들(152)(154) 및 캡커버(170)가 설치될 빈 공간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2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목적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주름제거모듈(10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리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 수 있도록 리버설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상태로 프레스플레이트(140)의 여는 방향을 리버설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도 8과 같은 상태로 리버설되는 경우,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2 힌지(152)(154) 및 캡커버(170)를 프레스플레이트(140) 우측에 설치하고, 위장커버(180)를 좌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리버설을 완료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100)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개폐방향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100)은 도어(20)의 개폐방향과 연동하여 프레스플레이트(140)의 개폐방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 또는 왼손잡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개폐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케이스 11 : 분리판
12 : 처리챔버 13 : 드레인그릴
14 : 사이클챔버 20 : 도어
30 : 송풍유닛 40 : 스팀유닛
50 : 히트펌프유닛 60 : 제어유닛
70 : 탱크모듈 72 : 급수탱크
74 : 드레인탱크 80 : 도어라이너
82 : 라이너부 84 : 라이너가이드부
86 : 드랍부 87 : 개스킷베이스고정부
90 : 응축수안내부재 92 : 안내부재바디
94 : 안내면 96 : 결합부
100 : 주름제거모듈 105 : 하의
106 : 봉제부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걸이부재 140 : 프레스플레이트
152 : 제 1 힌지 154 : 제 2 힌지
160 : 랫치 170 : 캡커버
180 : 위장커버

Claims (6)

  1.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은
    상기 처리챔버를 통해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스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리버설모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버설모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1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2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힌지의 반대편인 타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랫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및 제 2 힌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 사이에 조립되는 캡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리버설을 위한 설치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위장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부;
    상기 베이스고정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부에 비해 상기 도어와 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의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베이스탄성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의류에 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제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은
    상기 처리챔버를 통해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1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 2 힌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힌지의 반대편인 타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랫치;
    상기 제 1 힌지 및 제 2 힌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 사이에 조립되는 캡커버;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프레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제 2 힌지 및 캡커버의 리버설을 위한 설치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위장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184457A 2014-12-19 2014-12-19 의류처리장치 KR10230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57A KR102306751B1 (ko) 2014-12-19 2014-12-19 의류처리장치
US14/974,050 US9809924B2 (en) 2014-12-19 2015-12-1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15201190.4A EP3034684B1 (en) 2014-12-19 2015-12-1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510963748.6A CN105714543B (zh) 2014-12-19 2015-12-21 衣物处理装置
JP2017532881A JP6568217B2 (ja) 2014-12-19 2015-12-21 衣類処理装置
PCT/KR2015/014024 WO2016099225A1 (en) 2014-12-19 2015-12-2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810200013.1A CN108193464B (zh) 2014-12-19 2015-12-21 衣物处理装置
US16/180,206 USRE48559E1 (en) 2014-12-19 2018-11-05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2019142078A JP6942761B2 (ja) 2014-12-19 2019-08-01 衣類処理装置
US17/228,439 USRE49678E1 (en) 2014-12-19 2021-04-12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2021146009A JP7295180B2 (ja) 2014-12-19 2021-09-08 衣類処理装置
KR1020210125778A KR102378142B1 (ko) 2014-12-19 2021-09-23 의류처리장치
JP2023094614A JP2023113878A (ja) 2014-12-19 2023-06-08 衣類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57A KR102306751B1 (ko) 2014-12-19 2014-12-19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778A Division KR102378142B1 (ko) 2014-12-19 2021-09-2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33A true KR20160075033A (ko) 2016-06-29
KR102306751B1 KR102306751B1 (ko) 2021-09-30

Family

ID=56365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457A KR102306751B1 (ko) 2014-12-19 2014-12-1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25778A KR102378142B1 (ko) 2014-12-19 2021-09-23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778A KR102378142B1 (ko) 2014-12-19 2021-09-2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663A1 (ko) * 2018-01-08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799A (ko) *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40016093A (ko) 2012-07-30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799A (ko) *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40016093A (ko) 2012-07-30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663A1 (ko) * 2018-01-08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001960B2 (en) 2018-01-08 2021-05-1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512422B2 (en) 2018-01-08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624148B2 (en) 2018-01-08 2023-04-1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794A (ko) 2021-10-01
KR102306751B1 (ko) 2021-09-30
KR102378142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761B2 (ja) 衣類処理装置
USRE49744E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75032A (ko) 의류처리장치
US8037626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259513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7754A (ko) 의류 처리장치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4002764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4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6467B1 (ko) 의류처리장치
CN115559096A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