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093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093A
KR20140016093A KR1020120083385A KR20120083385A KR20140016093A KR 20140016093 A KR20140016093 A KR 20140016093A KR 1020120083385 A KR1020120083385 A KR 1020120083385A KR 20120083385 A KR20120083385 A KR 20120083385A KR 20140016093 A KR20140016093 A KR 2014001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nozzle
steam
hot ai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181B1 (ko
Inventor
이영주
강우희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06F59/06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for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가 감싸지는 모형;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유동 장치; 상기 모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동 관; 및 상기 유동 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동 관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의 건조, 탈취,주름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 (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 외부에서 스팀 및 열풍을 분사하여, 의류에 스팀 및 열풍이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류에 스팀 및 열풍을 골고루 접촉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가 감싸지는 모형;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유동 장치; 상기 모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동 관; 및 상기 유동 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동 관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의류 내부에서 압력을 형성하여, 의류에 장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의류 내부에서 스팀 또는 열풍의 압력으로 자전하는 스팀 또는 열풍 분사 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첫째, 의류에 스팀 및 열풍을 골고루 분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스팀 및 열풍을 통해 의류에 장력을 형성하여,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스팀 또는 열풍의 압력으로 인해 추진력을 얻어, 스팀 또는 열풍 분사장치를 자전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연결관 및 회전 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a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배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의류 처리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형(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5)가 감싸지는 모형(100);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유동 장치(10); 상기 모형(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장치(10)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 장치(10)에서 발생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동 관(200); 및 상기 유동 관(200)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동 관(200)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노즐(300)을 포함한다.
의류(5)는 모형(100)을 감싼다. 의류(5)는 상의, 하의 외에도 모자, 목도리, 양말, 넥타이 등 직물소재로 형성된 것이면 충분하다.
모형(100)은 의류(5)가 감싸질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일 실시 예로, 모형(100)은 마네킹 형상일 수 있다. 모형(100)은 스팀 및 열풍이 모형(100) 내부에서 의류(5)에 접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10)이 형성된다. 모형(100)은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모형(100)의 내부는 후술할 유동 관(200)이 배치된다.
도면에는 상의가 씌워질 수 있는 모형(100)만 도시되어 있으나, 하의, 또는 스커트를 씌울 수 있는 모형(100)도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형(100)은 용도에 맞게 착탈 가능하게 캐비닛(2)에 거치 될 수 있다. 모형(100)은 용도에 맞게 착탈 가능하게 캐비닛(2)에 탈부착될 수 있다. 모형(100)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캐비닛(2)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모형(100)은 유동 관(2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모형(100)의 외부는 적어도 일부가 의류(5)에 의해 감싸지며, 내부는 유동 관(200)이 배치된다. 모형(100)의 내부는 후술할 노즐(300)이 배치된다. 모형(100)의 내부는 노즐(300)이 회전할 공간이 형성된다. 모형(100)은 적어도 노즐(300)의 회전 반경만큼의 공간이 필요하다.
일 실시 예로, 모형(100)은 유동 관(200)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모형(100)은 후술할 캐비닛(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형(100)은 캐비닛(2)에 의해 지지 된다. 모형(100)은 의류(5)의 목 부분이 씌워지는 모형(100)의 목 부분과 캐비닛(2)과 연결될 수 있다. 모형(100)의 캐비닛(2)의 기계실(400) 상단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모형(100)은 캐비닛(2)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모형(100)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캐비닛(2)과 연결될 수 있다. 유동 장치(10)는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킨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유동 관(200)은 모형(100) 내부에 배치된다. 유동 관(200)은 유동 장치(10)와 연결된다. 유동 관(200) 내부는 유동 장치(10)에서 공급되는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유동 관(200) 주변에는 노즐(300)이 배치된다. 유동 관(200) 주변에는 노즐(3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동 관(200)은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고, 유동 관(200) 주변에 배치된 노즐(300)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유동 관(200)은 수개의 경로로 분할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유동 관(200)의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직선의 봉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300), 연결 관(331) 및 회전 링(35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3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관(20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노즐(300)은 유동 관(200)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한다.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중심 축으로 회전한다. 노즐(300)의 토출 방향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노즐(300)은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노즐(300)은 스팀 또는 열풍의 분사면적이 넓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즐(300)의 형태는 스팀 또는 열풍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노즐(300)은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노즐(300)의 끝단은 스팀 또는 열풍이 분출되는 곳이다. 다른 실시 예로, 노즐(300)은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노즐(300)이 부채꼴 형상인 경우, 스팀 또는 열풍이 유입되는 곳은 부채꼴의 중심부이고, 스팀 또는 열풍이 방출되는 곳은 부채꼴의 호 부분이다.
일 실시 예로, 의류 처리 장치(1)는 일 측은 노즐(300)과 연결되고, 타 측은 유동 관(200)과 연결된 연결 관(3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관(331)은 노즐(300)과 연결된다. 연결 관(331)은 유동 관(200)고 연결된다. 연결 관(331)은 유동 관(200)에서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른다. 연결 관(331)을 흐르는 스팀 또는 열풍은 노즐(300)로 토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관(331)은 노즐(300)에서 토출되는 스팀 및 열풍으로 인해 회전하도록, 노즐(3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굽을 수 있다. 노즐(300)에서 토출되는 스팀 또는 열풍으로 인해 노즐(300)은 토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추진력을 얻은 노즐(300)은 자전한다. 노즐(300)과 연결된 연결 관(331)은 자전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연결 관(331)(331)은 'L'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연결 관(331)(341)은 나선형 형상일 수 있다. 연결 관(331)의 반경 방향 길이, 굽힘의 정도, 굽힘 방향은 의류(5)가 씌워지는 모형(100)의 형태, 크기 및 토출 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3내지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의류 처리 장치(1)는, 연결 관(331)의 타 측에 배치되고, 유동 관(200)의 원주 면을 감싸는 회전 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의 외주 면과 접한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의 일부를 감싼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 링(350)은 연결 관(331)과 연결된다. 회전 링(350)과 연결된 연결 관(331)은 유동 관(2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 링(350)과 연결 관(331)은 스팀 및 열풍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회전 링(350)과 유동 관(20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링(350)과 유동 관(200)의 연결지점은 스팀 및 열풍이 누출될 수 없도록 실링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실링 수단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과 돌기일 수 있다.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단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과 돌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회전 링(350)의 내주면 또는 유동 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링(350)의 내주면 또는 유동 관(200)의 외주면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돌기(37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370)는 회전 홈(230)에 끼워질 수 있다. 회전 돌기(370)와 회전 홈(230)은 서로 형합하는 형상이다. 회전 돌기(370)와 회전 홈(23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370)와 회전 홈(230)은 마찰력이 감소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 돌기(370)와 회전 홈(230)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관(200)은 유동 관(200)을 흐르는 스팀 및 열풍이 회전 링(350)과 연결된 연결 관(331)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통기 공(25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 공(250)은 유동 관(200)과 회전 링(350)이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통기 공(250)은 복수의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노즐(300)의 배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노즐(30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노즐(300)의 배치 간격은 스팀 및 열풍의 분사 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노즐(300)의 분사 방향은 노즐(300)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노즐(300)은 의류(5) 내부에 배치된다. 노즐(300)에서 토출된 스팀 및 온풍은 의류(5)의 표면적을 넓힌다. 스팀 및 온풍은 의류(5)에 장력을 형성한다.
노즐(300)은 상기 유동 관(200)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 관(200)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고, 상기 스팀 또는 열풍의 토출 압력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자전할 수 있도록 토출방향이 원주방향 성분을 갖을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노즐(300)은 회전 링(35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30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300)은 하나의 회전 링(350)에 다수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노즐(300)의 방향은 원주 방향 성분이 많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즐(300)의 방향은 회전 링(350)이 형성하는 원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도 6b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될 수 있다. 노즐(300)은 연결 관(331)과 연결된다. 연결 관(331)은 회전 링(350)과 연결된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30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노즐(300)은 하나의 회전 링(350)에 한 개만 연결될 수도 있다. 노즐(300)의 방향은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노즐(300)의 방향은 원주 방향 성분이 많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즐(300)의 방향은 회전 링(350)이 형성하는 원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300)의 방향은 유동 관(200)이 형성하는 원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 링(350)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c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로, 복수의 노즐(300)은 하나의 회전 링(350)에 다수가 연결될 수 있다. 노즐(300)은 연결 관(331)과 연결된다. 연결 관(331)은 회전 링(350)과 연결된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30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전 링(35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노즐(300)의 방향은 동일한 높이의 노즐(30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300)의 방향은 동일한 높이의 회전 링(35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300)의 방향은 동일한 높이의 연결 관(33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300)의 방향은 유동 관(200)이 형성한 원주의 접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회전 링(350)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연결 관(331)의 유무, 연결 관(331)의 개수, 연결 관(331)의 반경 방향 길이, 연결 관(331)의 원주방향 성분, 노즐(300)의 개수, 노즐(300)의 배치 방향 등은 의류(5)가 씌워지는 모형(100)의 내적, 노즐(300)이 회전하는 회전 반경, 스팀 및 열풍의 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기계실(400)은 후술할 캐비닛(2)에 형성된다. 도면에는 캐비닛(2)의 하단부에 형성돼있으나, 필요에 따라 캐비닛(2) 상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기계실(400)에는 유동 장치(10)가 설치된다. 유동 장치(10)는 기체의 흐름을 만드는 팬(11);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3); 및 고온 다습한 기체를 발생시키는 스팀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유동 장치(10)는 스팀 또는 온풍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로 유동 장치(10)는 기체의 흐름을 만드는 팬(11)(fan)일 수 있다. 팬(11)은 송풍기, 통풍기라고도 하며, 날개, 프로펠러 등을 회전시켜 공기를 빨아내거나 송풍하는 기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유동 장치(10)는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3)일 수 있다. 히터(13)는 도선을 감은 코일, 온도조절장치(thermostat)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코일은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유동 장치(10)는 스팀기(15)일 수 있다. 스팀기(15)는 물을 기체 상태로 상변화 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스팀은 저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스팀은 공기 중에 형성된 눈에 보이는 작은 물방울 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팀기(15)는 100도 씨의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스팀기(15)는 가열수단, 가열수단과 열교환 하는 금속관, 상기 금속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기(15)에 공급되는 물은 필요에 따라 세제, 방향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히터(13) 및 스팀기(15)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 장치는 후술할 급수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유동 장치(10)는 팬(11), 히터(13), 스팀기(15)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11), 히터(13) 등은 스팀기(15)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옷감의 종류, 오염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유동 장치(1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3)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해 상기와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계실(400)에는 급수부(31), 배수부(35) 및 제습부(33)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부(31)는 기계실(400)에 설치된다. 급수부(31)에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는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캐비닛(2)의 측면이나, 도어(3)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부(31)는 스팀기(15)와 연결된다. 급수부(31)는 스팀기(15)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부(31)는 냉각수 공급장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습부(33)는 기계실(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부(33)는 스팀기(15)에서 토출된 스팀이 의류(5)를 통과한 후 남은 수분을 제거한다. 제습부(33)는 히터(13)에서 토출된 열풍이 의류(5)를 통과한 후 머금은 수분을 제거한다. 제습부(33)는 팬(11)에서 토출된 공기가 의류(5)를 통과한 후 머금은 수분을 제거한다.
제습부(33)가 제거한 수분은 응축된다. 응축된 수분은 배수부(35)로 모인다. 배수부(35)로 모인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배수부(35)는 제습부(33)와 연결된다. 배수부(35)는 의류(5)를 경유한 오염된 수분이 모이는 장소이다. 배수부(35)에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실(400)에는 유동 장치(10), 배수부(35), 제습부(33) 및 배수부(35)가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설치 및 배치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는 모형(100)이 안착 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 및 캐비닛(2)을 개폐하는 도어(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 내부에는 모형(1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캐비닛(2) 내부에는 모자, 넥타이, 목도리 등을 걸 수 있는 걸림 돌기(7)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하단에는 기계실(400)이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하단에는 유동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하단에는 제습부(33), 배수부(35) 및 급수부(31)가 포함될 수 있다.
캐비닛(2)의 전면에는 캐비닛(2)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어(3)는 캐비닛(2)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3)에는 모자, 넥타이, 목도리 등 직물소재의 액세서리를 거는 걸림 돌기(7)가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5)에 향기를 공급하는 방향 장치(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장치(9)는 캐비닛(2) 내부 또는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5)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취 장치는 캐비닛(2) 내부 또는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어(3)를 열고, 캐비닛(2) 내부에 있는 모형(100)을 꺼내거나, 전방으로 기울여, 모형(100)에 의류(5)를 씌운다. 의류(5)를 모형(100)에 씌운 후, 사용자는 모형(100)을 캐비닛(2)에 넣고, 도어(3)를 닫는다.
사용자는 급수부(31)에 물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지 외부에서 확인하고, 만약 물이 부족하다면, 캐비닛(2) 하단에 위치한 급수부(31)에 물을 보충한다. 사용자는 팬(11), 히터(13), 스팀기(15) 중 의류(5)의 상태, 옷감, 의류(5)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유동 장치(10)를 가동시킨다. 사용자는 도어(3)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여 유동 장치(10)를 가동시킨다.
유동 장치(10)에서 발생한 온풍 또는 스팀은 유동 장치(10)에서 토출되어, 유동 관(200)을 흐른다. 유동 관(200)을 흐르는 스팀 또는 온풍은 유동 관(200) 측면에 형성된 통기 공(250)을 빠져나와 연결 관(331)으로 흐른다.
연결 관(331)을 흐르는 스팀 또는 온풍은 노즐(300)을 통해 토출된다. 노즐(300)로부터 토출된 스팀 또는 온풍의 압력으로 인해, 노즐(300)은 토출방향과 반대로 추진력을 얻는다. 노즐(300)과 연결된 연결 관(331)은 유동 관(200)과 회전 링(350)으로 연결되므로, 노즐(300)은 회전 가능하다. 스팀 및 온풍은 모형(100)에 형성된 구멍(110)을 지나 의류(5)에 접한다.
상기와 같은 노즐(300)의 회전을 통해 스팀 및 온풍의 토출방향은 지속적으로 변경된다. 또한, 노즐(300)은 유동 관(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되므로, 의류(5)의 내측면은 스팀 및 온풍과 골고루 접촉한다. 또한, 스팀 및 온풍의 토출 압력은 의류(5)에 장력을 형성하여, 의류(5)를 팽팽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의류(5)에 발생한 불필요한 구김이 제거된다.
의류(5)를 통과한 스팀 및 온풍은 오염된 수분을 머금는다. 오염된 수분은 제습부(33)에 의해 응축된다. 오염된 응축수는 배수부(35)로 모인다. 사용자는 배수부(35)에 모인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캐비닛(2) 내부에는 방향장치 및 탈취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의류(5) 관리 장치를 거친 의류(5)는 불필요한 냄새의 제거는 물론, 향기를 머금게 되어, 사용자는 의류(5)를 항상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의류 처리 장치 5: 의류
2: 캐비닛 3: 도어
7: 걸림 돌기 9: 방향 장치
10: 유동 장치 11: 팬
13: 히터 15: 스팀기
31: 급수부 33: 제습부
35: 배수부 100: 모형
110: 구멍 200: 유동 관
230: 회전 홈 250: 통기 공
300: 노즐 331: 연결 관
341: 연결 관 350: 회전 링
370: 회전 돌기 400: 기계실

Claims (19)

  1. 의류가 감싸지는 모형;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유동 장치;
    상기 모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동 관; 및
    상기 유동 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동 관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유동 관을 중심 축으로 회전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끝단으로 갈수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부채꼴 형상인 의류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개가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은 상기 유동 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의류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유동 관과 연결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스팀 및 열풍으로 인해 회전하도록, 상기 노즐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굽은 의류 처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관의 원주면을 감싸는 회전링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의 내주면 또는 상기 유동 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홈이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의 내주면 또는 상기 유동 관의 외주면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돌기가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관과 회전 링이 접하는 면은,
    상기 유동 관에서 상기 연결관으로 상기 스팀 및 상기 열풍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관에 통기공이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장치는,
    기체의 흐름을 만드는 팬;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고온 다습한 기체를 발생시키는 스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이 안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또는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직물소재의 액세서리를 거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의류 처리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는 방향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은,
    상기 노즐에서 토출된 스팀 및 열풍이 상기 의류와 접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9. 의류가 감싸지는 모형;
    스팀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유동 장치 ;
    상기 모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 또는 열풍이 흐르는 유동 관; 및
    상기 유동 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 관을 통해 공급된 스팀 또는 열풍을 토출하고, 상기 스팀 또는 열풍의 토출 압력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자전할 수 있도록 토출방향이 원주방향 성분을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20083385A 2012-07-30 2012-07-30 의류 처리 장치 KR10199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85A KR101992181B1 (ko) 2012-07-30 2012-07-30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85A KR101992181B1 (ko) 2012-07-30 2012-07-30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93A true KR20140016093A (ko) 2014-02-07
KR101992181B1 KR101992181B1 (ko) 2019-06-24

Family

ID=5026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385A KR101992181B1 (ko) 2012-07-30 2012-07-30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81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86A1 (en) * 2014-08-12 2016-02-18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597104B1 (ko)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97106B1 (ko) 2014-12-19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034678A1 (en) *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EP3034683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84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60075033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75032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8759446A (zh) * 2018-08-10 2018-11-06 张菁倩 一种裤袜速干设备
KR20190127637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8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6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106870A (ko) 2014-12-19 202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25433A1 (ko) * 2019-12-17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27906A (ko) 2020-09-02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486083B2 (en) * 2020-09-22 2022-11-01 Gabriela Doyle Sock-pair joi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900A (ja) * 1989-11-22 1991-07-12 Yoshiyuki Kobayashi 衣服仕上げ装置
JPH05111592A (ja) * 1991-10-21 1993-05-07 Paramount Bed Co Ltd マツトレス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200433234Y1 (ko) * 2006-09-12 2006-12-08 성빈 김 소방관 방화복의 세탁 및 건조장치
KR20090102400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900A (ja) * 1989-11-22 1991-07-12 Yoshiyuki Kobayashi 衣服仕上げ装置
JPH05111592A (ja) * 1991-10-21 1993-05-07 Paramount Bed Co Ltd マツトレス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200433234Y1 (ko) * 2006-09-12 2006-12-08 성빈 김 소방관 방화복의 세탁 및 건조장치
KR20090102400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86A1 (en) * 2014-08-12 2016-02-18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10704190B2 (en) 2014-08-12 2020-07-0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60075032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988708A1 (en) 2014-12-19 2022-04-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79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83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81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84A1 (en)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60075033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75031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97106B1 (ko) 2014-12-19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764053B2 (en) 2014-12-19 2017-09-19 Lg Electronics Inc.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976410B2 (en) 2014-12-19 2024-05-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597104B1 (ko)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965282B2 (en) 2014-12-19 2024-04-2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751044A2 (en) 2014-12-19 2020-12-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611301A1 (en) 2014-12-19 2020-02-19 LG Electronics Inc. -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660202A1 (en) 2014-12-19 2020-06-03 LG Electronics Inc. -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666963A1 (en) 2014-12-19 2020-06-17 LG Electronics Inc. -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666964A1 (en) 2014-12-19 2020-06-17 LG Electronics Inc. -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65281B2 (en) 2014-12-19 2024-04-2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795608B2 (en) 2014-12-19 2023-10-2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10516A (ko) 2014-12-19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106870A (ko) 2014-12-19 202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18794A (ko) 2014-12-19 2021-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249670A2 (en) 2014-12-19 2023-09-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20029629A (ko) 2014-12-19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29630A (ko) 2014-12-19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29631A (ko) 2014-12-19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313071B2 (en) 2014-12-19 2022-04-2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034678A1 (en) * 2014-12-19 2016-06-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KR20230014791A (ko) 2014-12-19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792A (ko) 2014-12-19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8759446A (zh) * 2018-08-10 2018-11-06 张菁倩 一种裤袜速干设备
KR20190127636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8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7A (ko) 2019-11-05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25433A1 (ko) * 2019-12-17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27906A (ko) 2020-09-02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27649A (ko) 2020-09-02 202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486083B2 (en) * 2020-09-22 2022-11-01 Gabriela Doyle Sock-pair jo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181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181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AU200425223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774217B1 (ko) 건조기
CN101629379B (zh) 具有芳香物质供应模块的干衣机
US20090211109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227030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5731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88754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8769997B2 (en) Laundry machine
JP5658215B2 (ja) 衣類処理装置
KR20060111128A (ko) 세탁 장치
KR20140038801A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3201899B (zh) 衣物处理设备
KR201100432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217902A1 (zh) 桶体组件和衣物处理设备
US20150176193A1 (en)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 for removing wrinkles on textile clothe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said wrinkle removal
US8209879B2 (en) Method for removing chemistry buildup in a dispensing dryer
CN102066643A (zh) 在顶板中设置有芳香剂供应模块的干衣机
KR2023010483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49357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83051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930079B (zh) 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