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859A - 전동기 - Google Patents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859A
KR20150056859A KR1020157010375A KR20157010375A KR20150056859A KR 20150056859 A KR20150056859 A KR 20150056859A KR 1020157010375 A KR1020157010375 A KR 1020157010375A KR 20157010375 A KR20157010375 A KR 20157010375A KR 20150056859 A KR20150056859 A KR 2015005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circumferential surface
ring
hol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276B1 (ko
Inventor
다이스케 니시지마
하루유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체 길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대(對)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동기(50)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동기(50)는,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부(2)와, 축부(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싱(1)을 구비하는 전동기(50)이다. 케이싱(1)에는, 회전축(S)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6)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6)에는, 고정 나사(9)가 돌려 넣어져 폐색(閉塞)되어 있다. 케이싱(1)과 고정 나사(9)와의 사이에는, O링(13)이 사이에 넣어져 케이싱(1) 내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억제하고 있다.

Description

전동기{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부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에서는, 축부의 일단측을 출력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더하여, 축부의 타단측도 출력축으로서 이용하는 것에도 대응할 수 있는 양축(兩軸) 대응의 전동기가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축부의 일단측을 축부의 부하측이라고도 하고, 축부의 타단측을 축부의 반(反)부하측이라고도 한다. 양축 대응의 전동기에서는, 반부하측으로부터도 케이싱의 외부로 축부를 도출(導出)할 수 있도록, 반부하측에서 회전축과 겹치는 케이싱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양축 대응의 전동기에 있어서, 축부의 부하측만을 출력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반부하측에서는 케이싱의 개구로부터 축부가 돌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내환경성(방수성, 방오성(防汚性) 등)이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부하측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 등에 의해서 막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는, 반부하측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나 볼트에 의해서 막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8-22388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1-9191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커버나 볼트의 머리분(分)만큼 전동기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서는, 커버와 케이싱과의 사이의 내환경성 대책이 거의 고려되어 있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O링에 의해서 내환경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지만, O링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O링의 열화(劣化)에 의해 내환경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체 길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대(對)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동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동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부와, 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전동기로서, 케이싱에는, 회전축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관통 구멍에 돌려 넣어지는 고정 나사와, 케이싱과 고정 나사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O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동기는, 전체 길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대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변형예 1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변형예 2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 3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 4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5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6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동기를 회전축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反)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전동기(50)는, 케이싱(1)의 내부에 적어도 그 일부가 수용된 축부(2)를,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축부(2)의 도시하지 않은 일단측(부하측)에서는, 축부(2)가 케이싱(1)의 외부로 도출(導出)된다. 그리고, 전동기(50)에 의해서 회전시켜지는 회전 대상이 축부(2)의 도출 부분에 연결된다. 즉, 축부(2)의 부하측이 출력축으로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전동기(50)가 구비하는 로터(rotor)나 스테이터(stator), 및 축부(2)의 부하측의 구성은, 일반적인 전동기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괜찮기 때문에,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또, 전동기(50)는, 축부(2)의 반부하측에도 회전 대상을 접속할 수 있는 양축(兩軸) 대응의 전동기이지만, 도 1에서는, 반부하측에는 회전 대상을 접속하지 않고 부하측에만 회전 대상을 접속하는 경우, 즉 편축(片軸) 사양으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동기(50)의 케이싱(1)은, 통체(筒體)(3)와 브라켓(4)을 가진다. 통체(3)는 부하측과 반부하측(축부(2)의 타단측)이 개방된 통 모양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통체(3)의 반부하측은, 브라켓(4)에 의해서 폐색(閉塞)된다. 브라켓(4)에는, 베어링(5)이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5)은,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부(2)를 지지하고 있다.
회전축(S)과 겹치는 브라켓(4)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의 내주면(7)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의 안쪽에는, 회전축(S)과 수직이 되는 받이면(8)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전동기(50)를 편축 사양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축부(2)의 반부하측은 케이싱(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축부(2)는 관통 구멍(6)을 관통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관통 구멍(6)은 고정 나사(9)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고정 나사(9)의 외주면(10)에는, 관통 구멍(6)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나사(9)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10) 부분의 외경 보다도 큰 외경이 되는 부분을 가지지 않고, 관통 구멍(6)의 개구부(6a)로부터 고정 나사(9)의 후단면(12)이 돌출하지 않는 위치까지 관통 구멍(6)에 돌려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6)을 폐색하는 고정 나사에 의해서, 전동기(50)의 전체 길이가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고정 나사(9)를 관통 구멍(6)에 돌려 넣음으로써, 고정 나사(9)의 선단면(11)과 관통 구멍(6)의 받이면(8)이 대향한다. 고정 나사(9)의 선단면(11)과 관통 구멍(6)의 받이면(8)과의 사이에는, O링(13)이 끼워 넣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면(11)의 외주부와 받이면(8)과의 사이에 O링(13)이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1)의 내부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O링(13)은, 관통 구멍(6)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보다도 열화(劣化)가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보다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변형예 1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 1에서는, 관통 구멍(6)의 내주면(7)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내주면(7a)과, 제1 내주면 보다도 안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내주면(7b)을 가진다. 또, 제1 내주면(7a) 부분의 내경 보다도 제2 내주면(7b) 부분의 내경 쪽이 작게 되어 있다.
또, 고정 나사(9)의 외주면(10)은, 제1 내주면(7a)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외주면(10a)과, 제1 외주면(10a) 보다도 선단측에 마련되어 제2 내주면(7b)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외주면(10b)을 가진다. 그리고, O링(13)이, 제2 내주면(7b)과 제2 외주면(10b)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또, 고정 나사(9)의 제2 외주면(10b)에는, O링(13)이 끼워지는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 1에 관한 전동기(50)에서도, 도 1에 예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기(50)의 전체 길이가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보다 한층 더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은, 변형예 2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 2에 관한 전동기(50)는, 상기 변형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O링(13)이 끼워지는 홈(15)이, 관통 구멍(6)의 제2 내주면(7b)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 1에 관한 전동기(50)에서도,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기(50)의 전체 길이가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보다 한층 더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변형예 3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나사(9)의 선단면(11)과 관통 구멍(6)의 받이면과의 사이에 O링(13)이 끼워 넣어진다. 다만, 관통 구멍(6)의 받이면(8)에 홈(6)이 형성되고, O링(13)은 이 홈 (6)에 끼워 넣어진다.
본 변형예 3에 관한 전동기(50)에서도,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기(50)의 전체 길이가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보다 한층 더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변형예 4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 4에 관한 전동기(50)는, 상기 변형예 3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O링(13)이 끼워지는 홈(17)이 고정 나사(9)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 4에 관한 전동기(50)에서도,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기(50)의 전체 길이가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보다 한층 더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변형예 5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 5에서는, 축부(2)의 반부하측도 케이싱(1)의 외부로 도출시키고, 반부하측에도 회전 대상을 연결할 수 있는 양축 사양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축부(2)가 관통 구멍(6)을 통과하여 케이싱(1)의 외부로 도출되므로, 관통 구멍(6)에 고정 나사는 돌려 넣어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관통 구멍(6)의 내주면(7)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통 구멍(6)의 내주면(7)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브라켓(4)을 재고로서 준비해 두면, 양축 사양의 전동기(50)에도 편축 사양의 전동기(50)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양축 사양의 전동기(50)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고, 편축 사양의 전동기(50)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통 구멍(6)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가공을 행하면 좋다.
따라서, 양축 사양의 전동기(50)에 이용되는 브라켓(4)과 편축 사양의 전동기(50)에 이용되는 브라켓(4)을 동일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양축 사양의 전동기(50)에 이용되는 경우에까지 나사산을 형성하는 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보다 한층 더 제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변형예 6에 관한 전동기(50)를 회전축(S)과 겹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반부하측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 6에서는, 도 6과 마찬가지로, 양축 사양의 전동기(5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 6에서는, 관통 구멍(6)의 내주면(7)과 축부(2)와의 공간이 오일 씰(18)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1) 내부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관통 구멍(6)의 내주면(7)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주면(7)과 오일 씰(18)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보다 한층 더 전동기(50)의 내환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변형예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고로서 준비하는 브라켓(4)의 공통화나, 나사산을 형성하는 가공의 생략에 의한 제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동기는, 양축 사양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전동기에 유용하다.
1 : 케이싱 2 : 축부
3 : 통체 4 : 브라켓
5 : 베어링 6 : 관통 구멍
6a : 개구부 7 : 내주면
7a : 제1 내주면 7b : 제2 내주면
8 : 받이면 10 : 외주면
10a : 제1 외주면 10b : 제2 외주면
11 : 선단면 12 : 후단면
13 : O링 14, 15, 16, 17 : 홈
18 : 오일 씰 50 : 전동기
S : 회전축

Claims (8)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전동기로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회전축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돌려 넣어지는 고정 나사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나사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O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에는,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면(先端面)과 대향하는 받이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O링은, 상기 선단면과 상기 받이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에는, 상기 O링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이면에는, 상기 O링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O링은, 상기 선단면의 외주부(外周部)와 상기 받이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내주(內周)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 보다도 안쪽에서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주면 부분의 내경 보다도 상기 제2 내주면 부분의 내경 쪽이 작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제1 내주면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외주면과, 상기 제1 외주면 보다도 선단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내주면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O링은,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주면에는, 상기 O링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주면에는, 상기 O링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KR1020157010375A 2012-10-30 2012-10-30 전동기 KR101559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8070 WO2014068683A1 (ja) 2012-10-30 2012-10-30 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859A true KR20150056859A (ko) 2015-05-27
KR101559276B1 KR101559276B1 (ko) 2015-10-08

Family

ID=4976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375A KR101559276B1 (ko) 2012-10-30 2012-10-30 전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31542B2 (ko)
JP (1) JP5349711B1 (ko)
KR (1) KR101559276B1 (ko)
CN (1) CN104756371A (ko)
DE (1) DE112012006971T5 (ko)
TW (1) TWI497879B (ko)
WO (1) WO2014068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170B1 (ko) * 2013-12-23 2015-11-10 뉴모텍(주) 팬 모터
TWI575849B (zh) * 2015-05-06 2017-03-21 佛山市建準電子有限公司 馬達
KR102411378B1 (ko) * 2015-09-18 2022-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WO2018051989A1 (ja) * 2016-09-16 2018-03-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0089205A (ja) * 2018-11-30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軸の支持構造
JP7243292B2 (ja) * 2019-02-28 2023-03-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1058010A (ja) * 2019-09-30 2021-04-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1404306A (zh) * 2020-03-24 2020-07-10 昌荣电机(深圳)有限公司 一种耐高温防尘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6857U (ko) * 1973-08-31 1975-05-10
JPS5072859U (ko) * 1973-11-08 1975-06-26
JPH0314940U (ko) * 1989-06-28 1991-02-14
US5254893A (en) * 1992-01-30 1993-10-19 Ide Russell D Shaft support assembly for use in a polygon mirror drive motor
JP3104054B2 (ja) 1995-02-13 2000-10-30 デンヨー株式会社 直列結合式エンジン駆動溶接機
JP2000217297A (ja) * 1999-01-21 2000-08-04 Tamagawa Seiki Co Ltd モ―タのオイルシ―ル構造
JP2001234958A (ja) 1999-12-13 2001-08-31 Asmo Co Ltd 電動ブレーキ装置用モータ及び電動ブレーキ装置のロック解除方法
JP3867519B2 (ja) * 2001-06-08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モータ
TWM251388U (en) 2003-12-23 2004-11-21 Troy Entpr Co Ltd Motor assembling structure
JP3990690B2 (ja) 2004-07-15 2007-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
JP2006144898A (ja) * 2004-11-19 2006-06-08 Sankyo Mfg Co Ltd 螺合部の緩み防止方法
JP2011091917A (ja) 2009-10-21 2011-05-06 Ihi Corp 回転機の出力調節方法および回転機
CN102097883B (zh) * 2010-12-24 2012-11-07 溧阳市科华机械制造有限公司 能防止灰砂进入电机内的电机端盖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6971T5 (de) 2015-07-09
KR101559276B1 (ko) 2015-10-08
TWI497879B (zh) 2015-08-21
JP5349711B1 (ja) 2013-11-20
WO2014068683A1 (ja) 2014-05-08
CN104756371A (zh) 2015-07-01
US9331542B2 (en) 2016-05-03
TW201417459A (zh) 2014-05-01
JPWO2014068683A1 (ja) 2016-09-08
US20150270758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276B1 (ko) 전동기
WO2009008225A1 (ja) 電動機付き過給機
CN101814798A (zh) 编码器组合
JP5765486B2 (ja) モータ、位置決め装置、搬送装置
US8436502B2 (en) Electric motor with sealing means
JP2009168181A (ja) スタータ用クラッチ
JP200917796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52900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レゾルバ構造
US8212443B2 (en) Motor and housing thereof
JP2010164168A (ja) 建設機械用走行ユニット
JP2021057975A (ja) モータ
JP4333754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5912771B2 (ja) レゾルバ
WO2014207780A1 (ja) 巻線型回転電機
JP202004060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ハウジング構造
CN113016122A (zh) 转向装置
TWI538359B (zh) 馬達及其阻隔件
KR101717513B1 (ko) 모터를 구비한 감속장치
CN210693583U (zh) 一种电机定子限位结构和电机
JP2018159335A5 (ko)
JP6314076B2 (ja) 回転電機及び防水構造体
TW201229350A (en) Motor structure for sewing machine
JP5284061B2 (ja) モータ
JP4810989B2 (ja) 減速機一体型アクチュエータ
JP201003206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