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556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556A
KR20150045556A KR20130124697A KR20130124697A KR20150045556A KR 20150045556 A KR20150045556 A KR 20150045556A KR 20130124697 A KR20130124697 A KR 20130124697A KR 20130124697 A KR20130124697 A KR 20130124697A KR 20150045556 A KR20150045556 A KR 2015004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bending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030B1 (ko
Inventor
여길환
감범수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030B1/ko
Priority to US14/301,365 priority patent/US92918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4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94Piezoelectric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수의 비절곡 영역 및 상기 비절곡 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 영역으로 구분되고,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비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비절곡 영역 상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접힘을 감지 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입력 방식 및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티브이, 모니터, 노트북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접어서 휴대하다가, 이를 다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히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비절곡 영역 및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 영역으로 구분되고,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접힘을 감지 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의 상기 절곡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더 구비한다.
상기 커버필름의 외측면은 엠보싱 구조를 갖는다.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신호배선이 배치되는 배선 영역 및 신호배선이 배치되지 않는 데드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데드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배선 영역에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다수의 팬아웃 라인을 포함하는 다수의 팬아웃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팬아웃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배선 영역상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배선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정의되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블랙 매트릭스 영역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 영역내에 배치되는 블랙 메트릭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블랙 메트릭스와 오버랩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센서로 구비되는 직렬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상기 직렬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직렬 센서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사각형이며, 제1 내지 제4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경사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1 모서리 측의 상기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1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1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2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2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3절곡 영역은 상기 제3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3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3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4절곡 영역은 상기 제4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4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4 모서리 측에 제공된다.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폭 방향으로 접히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접히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어레이 기판이 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이 상기 대향 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드 영역에 제공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패드 영역의 끝단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서 패드 상에는 연성 회로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 패드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패드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하여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는 압전 소자이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접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입력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형상을 유지시키므로,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휘어짐에 따라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璨?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인쇄회로기판(110), 연성회로기판(120), 구동칩(130), 플렉서블 표시패널(200), 프레임부(4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에 데이터 구동신호 및 게이트 구동신호 등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110) 및 인쇄회로기판(110)을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에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120)을 포함한다.
연성회로기판(120)은 구동칩(130)이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20)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연성회로기판(120a~120d)를 포함한다.
구동칩(130)은 데이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130)은 제1 내지 제4 구동칩(130a~130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구동칩(130a~130d)은 각각 제1 내지 제4 연성회로기판(120a~120d)에 실장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하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어레이 기판(210), 대향 기판(290) 및 광 제어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 기판(290)은 어레이 기판(210)에 대향하여 어레이 기판(210)과 결합되고, 광 제어층은 어레이 기판(210)과 대향 기판(290)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광제어층은 액정층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210)은 게이트 드라이버(211),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4m), 다수의 화소(PX), 팬아웃부(213)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11)는 상기 어레이 기판(21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게이트 구동신호를 수신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11)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11)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게이트 구동 라인(212)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드라이버(211)는 어레이 기판(210)에 박막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은 어레이 기판(210)의 표시 영역(DA)내에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PX) 측으로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1)과 수직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어 대응하는 화소(PX)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4m)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어레이 기판(210) 상의 표시영역(DA)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화소(PX) 측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4m)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어, 대응하는 화소(PX)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화소(PX)는 표시 영역(DA)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한다.
팬아웃부(213)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비표시 영역(NDA)내에 배치되며, 연성회로기판(120)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4m)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팬아웃부(213)는 상기 제1 내지 제4 연성회로기판(120a~120d)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 제1 내지 제4 팬아웃부(213a~213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팬아웃부(213a~213d)는 제1 방향(D1)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1 팬아웃부(213a)는 다수의 제1 팬아웃 라인(a1~am)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 팬아웃 라인(a1~am)의 일단은 제1 연성회로기판(1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DL1~D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팬아웃부(213b~213d)는 각각 제2 내지 제4 팬아웃 라인(b1~bm, c1~cm, d1~dm)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2 내지 제4 팬아웃 라인(b1~bm, c1~cm, d1~dm)의 일단은 각각 제2 내지 제4 연성회로기판(120b~ 120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DLm+1~DL2m, DL2m+1~DL3m, DL3m+1~DL4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블랙 매트릭스(미도시)를 포함한다. 블랙 매트릭스는 비표시 영역(NDA)에 정의되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블랙 매트릭스 영역(미도시)에 구비된다. 블랙 매트릭스는 어레이 기판(210)의 상면 또는 대향 기판(290)의 배면의 블랙 매트릭스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블랙 매트릭스 측으로 입사된 광을 차광한다.
어레이 기판(210)은 패드 영역(PA)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210)의 일측변은 대향 기판의 일측변보다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패드 영역(PA)을 형성한다. 따라서, 패드 영역(PA)에서 어레이 기판(210)은 대향 기판(290)과 중첩되지 않으며, 어레이 기판(210)의 패드 영역(PA)은 대향 기판(290)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다. 상기 패드 영역(PA)에는 팬아웃부(213)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이 경우, 패드부(미도시) 및 연성회로기판(120)은 패드 영역(PA)상에서 오버랩(overlap)되며, 이방성 도전 필름(anis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어레이 기판(210) 상에는 배선 영역 및 데드 영역이 정의된다. 배선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 중 각종 신호 배선이 배치된 영역이며, 데드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 중 배선 영역이 아닌 영역, 즉 신호 배선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다. 여기서 신호 배선은 게이트 구동 라인(212),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4m) 등을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다. 어레이 기판(210) 및 대향 기판(290)은 가요성을 가지며, 높은 광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예를 들어 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변(S1~S4)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CN1~CN4)를 갖는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외력에 의하여 절곡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및 절곡되지 않는 제1 내지 제5 비절곡 영역(231~23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1~234)은 각각 제1 내지 제4 모서리(CN1~CN4) 측에 구비된다. 제5 비절곡 영역(235)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중앙부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5 비절곡 영역(235)은 평면에서 봤을 때 팔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제5 비절곡 영역(235)의 네 개의 직선변들 제외한 네 개의 경사변에 인접하여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1~234)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 되며, 제2 방향(D2)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폭 방향으로 정의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 영역(221)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대해서 기울어진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5 비절곡 영역(231, 235) 사이에 구비된다. 제2 절곡 영역(222)은 제3 방향(D3)과 직교하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며, 제2 및 제5 비절곡 영역(232, 235) 사이에 구비된다. 제3 절곡 영역(223)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제3 및 제5 비절곡 영역(233, 23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4 절곡 영역(224)은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며, 제4 및 제5 비절곡 영역(234, 235) 사이에 구비된다.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은 소정의 폭을 갖는다.
프레임부(4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구비되며, 제1 내지 제5 비절곡 영역(231~235)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프레임부(400)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 및 제1 내지 제4 에지 프레임(421~42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은 각각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제1 내지 제4 변(S1~S4)을 따라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은 제5 비절곡 영역(235)이 절곡되지 않도록 제5 비절곡 영역(235)를 지지한다.
제1 에지 프레임(421)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 비절곡 영역(231)에 구비되어, 제1 비절곡 영역(231)의 에지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에지 프레임(421)은 제1 모서리(CN1)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되어,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L'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에지 프레임 (421)는 제1 비절곡 영역(231)이 절곡되지 않도록 제1 비절곡 영역(231)을 지지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에지 프레임(422~424)는 각각 제2 내지 제4 모서리(CN2~CN4)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내지 제4 에지 프레임(422~424)은 각각 제2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2~234)이 절곡되지 않도록 제2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2~234)을 지지한다.
프레임부(400)는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각 에지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411~414, 421~424)은 각 에지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411~414, 421~424) 사이에 구비된 절곡 영역(221~224) 만큼 이격 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각 절곡 영역(221~224)은 프레임부(4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절곡될 수 있다. 각 절곡 영역(221~224)이 절곡되는 형상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해당 부호가 인용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을 따라 접힌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제1 절곡 영역(221)을 따라 절곡되면 제1 비절곡 영역(231)은 제5 비절곡 영역(235)의 상면 측으로 접힌다. 마찬 가지로, 제2 내지 제4 절곡 영역(222~224)이 절곡되면 그에 따라, 제2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2~234)도 제5 비절곡 영역(235)의 상면 측으로 접힌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231~234)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배면측으로 접힐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프레임부(40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 및 제1 내지 제4 에지 프레임(421~424) 각각의 내측에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400) 중 제3 에지 프레임(423)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부(401) 및 측면 프레임부(401)의 일단으로부터 측면 프레임부(401)와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부(402) 및 측면 프레임부(401)의 타단으로부터 측면 프레임부(401)와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부(403)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제3 비절곡 영역(233)의 에지는 측면,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401~403)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제3 에지 프레임(423)과 결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나머지 에지 프레임(421, 422, 424) 및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나머지 에지 프레임(421, 422, 424) 및 제1 내지 제4 사이드 프레임(411~414)과 결합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나, 프레임부(400)에 의해 각 비절곡 영역(231~235)은 그 형상이 유지된다. 반면, 절곡 영역(221~224)은 프레임부(400)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으므로 외력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휘어진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형상에 따라 영상이 왜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표시장치를 지지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프레임부(400)에 의하여 그 형상이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한 손 만으로도 표시장치(1000)를 지지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을 통해 접히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표시장치(1000)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1000)의 휴대성, 편의성 및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은 각각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을 커버한다.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은 가요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은 일 예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보다는 가요성이 적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곡 영역(220)의 가요성이 조절되도록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의 물질, 두께 및 배치되는 영역 등이 결정된다.
도 4에는 제3 커버필름(243)의 단면이 도시된다.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의 기능 및 구성을 유사하므로, 대표적으로 제3 커버필름(243)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커버필름(243)은 상부 커버필름(243a) 및 하부 커버필름(243b)을 포함한다. 상부 커버필름(243a)는 대향기판(29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하부 커버필름(243b)은 어레이 기판(2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3 커버필름(243)은 엠보싱 구조를 갖고 있어 외부의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제3 절곡 영역(223)의 반복적인 절곡에 의한 스트레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 시킨다.
구체적으로, 엠보싱 구조는 상부 커버필름(243a)의 상면 및 하부 커버필름(243b)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 구조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3 절곡 영역(2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이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을 커버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커버필름(241~244)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의 가요성이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 이상의 크기의 외력을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이 절곡되며, 그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접히며, 그 이하의 크기의 외력 또는 중력만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이 절곡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접혀지지 않는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 및 프레임부(400)를 포함한 일부의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해당 부호가 인용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0)는 적어도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접힘을 감지하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각각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과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접힘을 감지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포함한다. 압전 소자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전 소자는 전류 또는 전압을 생성한다. 압전 소자의 재료로써는 인공 압전 결정, 인공 압전 세라믹, 무연 압전 세라믹, 중합체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물질들이 사용 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접힘에 따라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도 함께 휘어지면,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에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에 가해진 압력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폴딩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제3 센서부(613)의 단면이 도시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의 기능 및 구성을 유사하므로, 대표적으로 제3 센서부(613)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센서부(613)는 어레이 기판(210)의 제3 절곡 영역(223)에 배치되고, 상부 센서부(613a) 및 하부 센서부(613b)를 포함한다. 상부 센서부(613a)는 어레이 기판(2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하부 센서부(613b)는 어레이 기판(2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3 절곡 영역(223)이 절곡 되면, 제3 절곡 영역(223)을 따라 상부 센서부(613a) 및 하부 센서부(613b)는 절곡된다. 그 결과, 상부 및 하부 센서(613a, 613b)는 상부 및 하부 센서(613a, 613b)에 가해진 압력에 대응하여 폴딩 신호를 생성한다.
상부 및 하부 센서(613a, 613b)는 각각 어레이 기판(210)의 배면 및 상면에 배치되므로, 제3 절곡 영역(223)이 절곡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센서(613a, 613b)가 생성하는 폴딩 신호의 크기는 상이하다. 이 경우, 상부 및 하부 센서(613a, 613b)가 생성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폴딩 신호를 이용하여 제3 절곡 영역(223)이 어느 측으로 절곡 되었는지 측정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부 및 하부 센서부(613a, 613b)가 어레이 기판(210)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및 하부 센서부(613a, 613b)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센서부(613a, 613b)는 각각 대향 기판(290)의 상면 및 어레이 기판(210)의 배면에 구비 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각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에서의 절곡의 정도에 따라 폴딩 신호를 발생 시킨다. 이 경우, 표시장치(1000)는 폴딩 신호를 수신받아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절곡 영역(221~224)을 절곡 시킴으로써 표시장치에 원하는 입력을 인가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절곡 영역(222)의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해당 부호가 인용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210)은 절연막(280)을 포함한다. 절연막(280)은 어레이 기판(210) 상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612)와 신호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어레이 기판(210)은 패드 영역(PA)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640)를 포함한다. 센서 패드(640)는 제1 연성회로기판(120a) 및 어레이 기판(210)의 패드 영역(PA) 사이에 개재된다. 센서 패드(640)의 일단은 제1 연성회로기판(120a)과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패드(640)의 타단은 제2 센서부(6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센서부(612)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패드 영역(PA)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612)는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631~63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631~633)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되며, 제2 절곡 영역(222)과 오버랩되고, 제2 방향(D2)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631~633)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631~633)가 병렬로 연결되면, 각 직렬 센서부(631~633)에서 발생된 폴딩 신호의 전류는 합쳐진다. 따라서, 제2 센서부(612)에서 발생되는 폴딩 신호의 전류 값은 증가 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2 절곡 영역(222)의 절곡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1 직렬 센서부(631)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센서(620)를 포함한다. 각 센서(620)는 예를 들어 상술한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직렬 센서부(632~634)도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센서(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센서(620)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각 센서(620)에서 발생하는 폴딩 신호의 전압 값은 합쳐진다. 따라서, 각 직렬 센서부(631~634)에서 발생되는 폴딩 신호의 전압 값은 증가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2 절곡 영역(222)의 절곡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부(612)는 패드 영역(PA) 내의 배선 영역 상에 배치되어 신호 배선들과 오버랩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직렬 센서부(631, 632)는 일부의 제1 팬아웃 라인(a1, a2)와 오버랩된다.
어레이 기판(210)은 절연막(280)을 더 포함한다. 절연막(280)은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 및 어레이 기판(210) 사이에 게재되어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 및 어레이 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직렬 센서부(631, 632)와 일부의 제1 팬아웃 라인(a1, a2) 사이에는 절연막(280)이 개재되어 제1 및 제2 직렬 센서부(631, 632)와 일부의 제1 팬아웃 라인(a1, a2)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612)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배선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므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의 배치를 위해 별도의 영역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가 배치되더라도 비표시 영역(NDA)의 크기는 유지된다.
이상에서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가 패드 영역(PA) 내에 배치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다양한 영역에 배치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매트리스 영역과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221~224)이 오버랩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센서부(611~614)는 해당 블랙 매트릭스 영역에 배치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해당 부호가 인용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외력에 의하여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311) 및 제2 절곡 영역(312), 절곡되지 않는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 프레임부(500) 및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을 포함한다.
제1 절곡 영역(311)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제2 절곡 영역(31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 되며, 제2 방향(D2)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폭 방향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은 사각형이다.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는 제1 및 제2 절곡 영역(311, 312)에 의해 구분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은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사분할 되도록 플렉서블 표시패널(200)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은 각각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절곡 영역(311)은 제1 및 제2 비절곡 영역(321, 322) 사이 및 제3 및 제4 비절곡 영역(323, 324) 사이에 구비되며, 그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절곡 영역(321)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접힌다. 제2 절곡 영역(312)은 제1 및 제4 비절곡 영역(321, 324) 사이 및 제2 및 제3 비절곡 영역(322, 323) 사이에 구비되며, 그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2 절곡 영역(312)을 따라 제2 방향(D2)으로 접힌다.
프레임부(5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구비되며,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1~324)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프레임부(400)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부(501~504)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501)는 제1 모서리(CN1)로부터 제1 및 제4 변(S1, S4)을 따라 연장되어 180˚회전한 'L'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프레임부(501)는 제1 비절곡 영역(321)이 절곡되지 않도록 제1 비절곡 영역(321)을 지지한다. 이와 마찬 가지로, 제2 내지 제4 프레임부(502~504)도 각각 제2 내지 제4 모서리(CN2~CN4) 측에 배치되며, 제2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2~324)이 절곡되지 않도록 제2 내지 제4 비절곡 영역(322~324)을 지지한다.
프레임부(500)는 제1 및 제2 절곡 영역(311, 312)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프레임부(500)는 각 프레임부(501~504) 사이에 배치된 절곡 영역(311~314) 만큼 이격 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각 절곡 영역(311~314)은 프레임부(5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프레임부(500)에 의하여 그 형상이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한 손 만으로도 표시장치(미도시)를 지지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은 제1 및 제2 절곡 영역(311, 312)을 통해 접히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표시장치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의 휴대성, 편의성 및 편리성이 증대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는 적어도 비표시 영역(NDA)의 제1 및 제2 절곡 영역(311, 312)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접힘을 감지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3 센서부(711, 713)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절곡 영역(311)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되며, 제2 및 제4 센서부(712, 714)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절곡 영역(31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접힘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접힘에 따라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도 함께 휘어지면,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에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에 가해진 압력에 대응하여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폴딩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표시장치는 폴딩 신호를 수신받아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절곡 영역(311, 312)을 절곡 시킴으로써 표시장치에 원하는 입력을 인가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절곡 영역(31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8의 도면 부호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해당 부호가 인용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210)은 패드 영역(PA)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740)를 포함한다. 센서 패드(740)는 제3 연성회로기판(120c) 및 어레이 기판(210)의 패드 영역(PA) 사이에 개재된다. 센서 패드(740)의 일단은 및 제3 연성회로기판(120c)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패드(740)의 타단은 제1 센서부(7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센서부(711)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패드 영역(PA)에 배치되며, 제1 센서부(711)는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721~72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721~723)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절곡 영역(311)과 오버랩되며, 제2 방향(D2)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직렬 센서부(721~723)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직렬 센서부(721)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센서(730)를 포함한다. 각 센서(730)는 예를 들어, 상술한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3 직렬 센서부(721~723)도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센서(73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711)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데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신호 배선들과 오버랩 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711)는 제2 및 제3 팬아웃부(213b, 213c)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는 어레이 기판(210) 상의 데드 영역에 배치되므로, 표시패널(210)은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의 배치를 위해 별도의 영역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센서부(711~714)가 배치되더라도 비표시 영역(NDA)의 크기는 유지된다.
이상 도 1 내지 도 9에서는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이 사각형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표시패널(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a)은 타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어레이 기판(210a) 및 대향 기판(290a) 및 표시 영역(DA1)은 타원형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200b)의 각 모서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 경우, 어레이 기판(210b) 및 대향 기판(290b) 및 표시 영역(DA2)의 각 모서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NDA: 비표시 영역 200: 플렉서블 표시패널 221~224: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
231~234: 제1 내지 제4 비절곡 영역
400: 프레임부 611~614: 제1 내지 제4 센서부

Claims (20)

  1. 다수의 비절곡 영역 및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 영역으로 구분되고,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다수의 비절곡 영역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절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접힘을 감지 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내의 상기 절곡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의 외측면은 엠보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신호배선이 배치되는 배선 영역 및 신호배선이 배치되지 않는 데드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데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배선 영역에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다수의 팬아웃 라인을 포함하는 다수의 팬아웃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팬아웃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배선 영역상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배선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정의되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블랙 매트릭스 영역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 영역내에 배치되는 블랙 메트릭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블랙 메트릭스와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센서로 구비되는 직렬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상기 직렬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직렬 센서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사각형이며, 제1 내지 제4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경사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1 모서리 측의 상기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1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1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2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2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3절곡 영역은 상기 제3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3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3 모서리 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4절곡 영역은 상기 제4 모서리 측의 플렉시블 표시패널이 상기 제4 절곡 영역을 따라 접히도록 상기 제4 모서리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폭 방향으로 접히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접히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어레이 기판이 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이 상기 대향 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드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패드 영역의 끝단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드 상에는 연성 회로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 패드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패드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하여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전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24697A 2013-10-18 2013-10-18 표시장치 KR10209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97A KR102091030B1 (ko) 2013-10-18 2013-10-18 표시장치
US14/301,365 US9291843B2 (en) 2013-10-18 2014-06-1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97A KR102091030B1 (ko) 2013-10-18 2013-10-1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556A true KR20150045556A (ko) 2015-04-29
KR102091030B1 KR102091030B1 (ko) 2020-03-19

Family

ID=5282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97A KR102091030B1 (ko) 2013-10-18 2013-10-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91843B2 (ko)
KR (1) KR1020910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29A (ko) * 2015-09-02 2017-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KR20170080882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텀블러와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80025037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폴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34109A (ko) * 2016-09-27 2018-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121989B2 (en) 2016-01-29 2018-11-0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member at bending axis
KR20190004585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장치
CN113763819A (zh) * 2021-09-14 202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574A (ko) * 2013-11-27 2015-06-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테두리
CN104464540B (zh) * 2014-12-25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320630B1 (ko) * 2015-04-28 202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817261B2 (en) * 2015-04-28 2017-11-14 Lg Display Co., Ltd. Curved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typ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I576739B (zh) * 2015-11-05 2017-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CN105629592B (zh) * 2016-01-15 2019-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及其制备方法
CN105932174B (zh) * 2016-06-27 2017-1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封装结构
KR102568386B1 (ko) * 2016-09-30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5137B1 (ko) * 2016-10-11 2023-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535825B2 (en) 2017-01-24 2020-01-14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USD847814S1 (en) *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20079B1 (ko) * 2017-06-16 2022-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917806B2 (ja) * 2017-06-30 2021-08-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018251A1 (en) * 2017-07-17 2019-0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ND LIMIT FILM
CN107342310B (zh) * 2017-08-23 2020-03-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75096S1 (en) * 2017-11-28 2020-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53147B1 (ko) * 2017-12-11 2022-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59746B2 (en) * 2018-03-09 2023-05-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08766979B (zh) * 2018-05-25 2020-09-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686251B (zh) * 2018-12-25 2021-12-3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429108B (zh) * 2019-07-08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4072869B (zh) * 2020-04-30 202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20077268A (ko) * 2020-12-01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6580637A (zh) * 2021-11-29 2023-08-1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屏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494A1 (en) * 2005-04-22 2006-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s as an input device
KR101240724B1 (ko) * 2012-02-29 2013-03-1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JP2013068719A (ja) * 2011-09-21 2013-04-18 Sony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支持基板
KR20130113901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23089U1 (de) 1996-05-23 1997-12-11 Siemens Ag Piezoelektrisches Element
US7050835B2 (en) 2001-12-12 2006-05-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JP4359757B2 (ja) 2003-09-17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8325159B2 (en) 2004-04-14 2012-12-04 Elo Touch Solutions, Inc. Acoustic touch sensor
JP2006174506A (ja) 2005-02-08 2006-06-2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JP2006287982A (ja) 2005-07-13 2006-10-1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KR101231106B1 (ko) 2006-03-17 201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방법
CN101689004B (zh) 2007-05-09 2013-10-23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具有用于柔性显示器的清洁单元的电子装置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2671A (ja) 2008-12-25 2010-07-08 Sharp Corp 表示装置
KR20090084779A (ko) 2009-05-27 2009-08-05 오휘진 버튼형 터치스크린의 구현 방법
KR101097842B1 (ko) 2009-07-15 2011-12-23 한국과학기술원 유연 디스플레이의 형상 고정 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1780419B1 (ko) 2011-02-15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839615B1 (ko)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5811588B2 (ja) 2011-05-18 2015-11-11 国立大学法人佐賀大学 複合センサ
US20140368782A1 (en) * 2011-12-08 2014-12-18 Tovis Co., Ltd.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494A1 (en) * 2005-04-22 2006-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s as an input device
JP2013068719A (ja) * 2011-09-21 2013-04-18 Sony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支持基板
KR101240724B1 (ko) * 2012-02-29 2013-03-1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KR20130113901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29A (ko) * 2015-09-02 2017-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KR20170080882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텀블러와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121989B2 (en) 2016-01-29 2018-11-0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member at bending axis
KR20180025037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폴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34109A (ko) * 2016-09-27 2018-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04585A (ko) * 2017-07-04 2019-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장치
KR20220015484A (ko) * 2017-07-04 2022-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3763819A (zh) * 2021-09-14 202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9544A1 (en) 2015-04-23
US9291843B2 (en) 2016-03-22
KR102091030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30B1 (ko) 표시장치
EP2990913B1 (en) Touch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reof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US20140313439A1 (en) Display device
US20180081472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US9626053B2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joint touch control display
US10606106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KR102412456B1 (ko) 표시장치
KR20140122875A (ko) 플렉서블 장치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JP201308042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CN106526931A (zh)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面板的制备方法
EP3876079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60313838A1 (en)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US90361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873816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213893A (zh) 显示装置
KR102381908B1 (ko) 표시패널과 그 정전기 방전 방법
KR20150002970A (ko) 액정 표시 장치
JP4439453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8131554A1 (ja) 表示装置
KR20200113104A (ko) 표시 장치
KR20160125273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