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929A -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929A
KR20170027929A KR1020150124311A KR20150124311A KR20170027929A KR 20170027929 A KR20170027929 A KR 20170027929A KR 1020150124311 A KR1020150124311 A KR 1020150124311A KR 20150124311 A KR20150124311 A KR 20150124311A KR 20170027929 A KR20170027929 A KR 2017002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rner
housing
body por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835B1 (ko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835B1/ko
Priority to CN201610261354.0A priority patent/CN106483834B/zh
Priority to US15/255,055 priority patent/US10095190B2/en
Publication of KR2017002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Abstract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을 갖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워치는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벤딩된 코너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SMART WATCH AND METHOD OF CHANGE COMPONENT THEROF}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손목 시계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워치(SMART WATCH)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스마트 워치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손목 시계로서, 모바일 운영 체제를 설치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워치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을 갖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마트 워치의 부품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는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벤딩된 코너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과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에 연결된 상기 바디부의 타변들이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만나는 변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팔각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코너부는 삼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너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때,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와 중첩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디부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기 코너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기 바디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바디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코너부와 마주보는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 주변의 불투명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하는 형상기억합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커버는 상기 바닥부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에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제1 하우징으로부터 벤딩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은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벤딩된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와 상기 바디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너부를 펼쳐 평평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을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와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1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과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2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제2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상기 제2 바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윈도우 커버와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제2 하우징으로부터 평평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은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된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와 상기 바디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코너부를 접어 벤딩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을 상기 제2 하우징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추가 공정 없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일 구성요소,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일 구성요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평면도로서, 도 1의 윈도우 커버(WC)가 생략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DPP) 및 상기 표시부(DPP)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LI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LIP)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감을 수 있는 밴드부재(BM), 상기 표시부(DPP)에 고정되어 상기 밴드부재(BM)와 연결되는 고정부재(FM), 및 상기 고정부재(FM)와 상기 밴드부재(BM)를 연결하는 나사부재(S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재(SM)는 상기 고정부재(FM)를 관통하여 상기 밴드부재(BM)와 연결된다. 상기 나사부재(SM)는 상기 고정부재(FM) 내에서 회전가능 하다.
상기 스마트 워치(SW)는 상기 표시부(DPP)의 일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부(DPP)를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부(CO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COP)는 예컨대, 복수의 버튼(BT, button), 다이얼(DL, di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P)는 상기 윈도우 커버(WC), 표시패널(DP), 회로기판(PCB), 및 하우징(HU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상기 표시패널(DP) 상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상기 표시부(DPP)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DA)과 상기 표시영역(DA) 주변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의 배면에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을 정의하는 유색의 유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윈도 커버(WC)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표시영역(DA)은 원형이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마트 워치(SW)는 상기 윈도우 커버(WC)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터치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윈도우 커버(WC)에 의해 정의된 상기 표시영역(DA)과 중첩되는 부분을 통해 영상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가요성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DP)은 사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표시패널(DP)의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HUS)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패널(DP)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DP)은 바디부(BP) 및 코너부(CP)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BP)는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BP)는 팔각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표시패널(DP)의 전체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바디부(BP)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BP)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바디부(BP)의 일변과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에 연결된 상기 바디부(BP)의 타변들이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만나는 변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부(CP)는 삼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너부(CP)의 형상은 상기 표시패널(DP)의 전체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표시패널(DP)의 모가 진 가장자리마다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DP)은 사각형상이므로,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표시패널(DP)의 각 모가 진 가장자리마다 위치하는 4개의 상기 코너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코너부(CP)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을 기준으로 벤딩되어 상기 바디부(BP)와 일정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일정각도(θ)는 약 90°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 일정각도(θ)는 상기 약 0° 이상 내지 약 180° 이하일 수 있다. 벤딩되는 상기 코너부(CP)의 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바디부(BP)는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PCB)는 상기 표시패널(DP)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PCB)는 상기 코너부(CP)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에 인접한 상기 바디부(BP)의 타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PCB)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PCB)은 벤딩되어 상기 표시패널(DP)의 배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PCB) 상에는 상기 표시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칩(DC)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로기판(PCB)과 상기 표시패널(DP) 사이에는 상기 회로기판(PCB)과 상기 표시패널(DP)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PCB)은 상기 표시패널(DP)에 용이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표시패널(DP)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표시패널(DP)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DP) 및 회로기판(PCB)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동일한 면적을 갖거나, 상기 윈도우 커버(WC)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바디부(BP)의 면적보다는 큰 면적을 갖고, 상기 바디부(BP)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CP)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코너부(CP)가 벤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HUS)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HU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로서, 도 2에서 상기 표시패널(DP)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하우징(HUS)이 분해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I-I'선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단면도로서, 상기 표시패널(DP)과 상기 하우징(HUS)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표시패널(DP)이 수납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BO) 및 측벽부(S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O)는 상기 바디부(BP)와 중첩된다. 상기 바닥부(BO)는 상기 바디부(BP)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BO)는 원형인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닥부(BO)는 상기 바디부(BP)의 면적보다 다소 큰 면적을 갖는다면, 그 형상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O)에는 상기 바닥부(BO)이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슬릿(SL)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슬릿(SL)은 상기 코너부(CP)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슬릿(SL)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릿(SL)은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릿(SL)은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의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SL)의 길이(T1-1)는 상기 코너부(CP)의 중간지점, 즉 상기 바디부(BP)의 일변과 연결된 상기 코너부(CP)의 일변들의 각 중간지점 사이의 거리(T1-2)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부(CP)의 상기 중간지점으로부터 상기 바디부(BP)의 일변까지의 일부분은 상기 바닥부(BO) 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슬릿(SL)의 폭(W1)은 상기 표시패널(DP)의 두께(W2)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릿(SL)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바닥부(BO)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릿(SL)은 상기 바닥부(BO)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 슬릿(SL)은 상기 코너부(CP)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부(BO)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코너부(CP)가 삽입되는 길이 즉, 상기 슬릿(SL)의 깊이(D1)보다 다소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측벽부(SI)는 상기 바닥부(BO)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바닥부(BO)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SI)의 높이, 즉 지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는 상기 바닥부(BO)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SI)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HUS)에 수납되는 상기 표시패널(DP)의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부분과 상기 회로기판(PCB)이 외부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스마트 워치(SW)로부터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원형의 상기 표시부(DPP)를 갖는다.
기존에는 원형의 스마트 워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형의 표시패널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기존의 다각형상을 갖는 표시패널의 일부분을 벤딩시킴으로써, 원형 표시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원형의 표시패널을 만드는 공정 대신, 기존의 다각형상의 표시패널(DP)을 만드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원형 스마트 워치(SW)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일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표시패널(DP) 및 하우징(HU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바디부(BP) 및 상기 바디부(BP)로부터 벤딩된 코너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표시패널(DP)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슬릿(SL)이 형성된 바닥부(BO) 및 상기 바닥부(BO)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측벽부(S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SL)의 길이(T2-1)는 상기 코너부(CP)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의 길이(T2-2)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바닥부(BO) 상에 노출되는 부분 없이 상기 슬릿(SL)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O)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코너부(CP)가 삽입되는 길이, 즉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바디부(BP)의 일변과 마주보는 상기 코너부(CP)의 꼭지점까지의 수직거리보다 다소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측벽부(SI)는 투명영역(TA) 및 상기 투명영역(TA) 주변의 불투명영역(O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투명영역(TA)은 상기 코너부(CP)의 적어도 일부분과 마주본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부(CP)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투명영역(TA)을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투명영역(TA)은 상기 코너부(CP)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투명영역(TA)에는 터치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영역(TA)을 터치하여 상기 코너부(CP) 또는 상기 바디부(BP)의 일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불투명영역(OA)은 상기 투명영역(T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패널(DP)의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부분 및 상기 회로기판(PCB) 등이 외부로 시인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표시패널(DP) 및 하우징(HU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바디부(BP) 및 상기 바디부(BP)로부터 벤딩되는 코너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이루는 일정각도는 약 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바디부(BP)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부(BP)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US)은 상기 표시패널(DP)이 수납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BO) 및 측벽부(S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BO)의 상기 바닥부(BO)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오목부(CC)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CC)는 상기 바디부(BP)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CC)는 팔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목부(CC)이 깊이(D2), 즉 상기 바닥부(BO)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CC)의 상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적어도 상기 바디부(BP)의 두께만큼 또는 상기 바디부(BP)의 두께와 상기 코너부(CP)의 두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코너부(CP)가 벤딩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CC)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이 상기 오목부(CC)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바닥부(BO)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부(CP)가 벤딩되어 상기 바디부(BP)와 중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보다 상기 하우징(HUS)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두께가 더욱 얇아진 원형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SW)는 표시패널(DP) 및 상기 표시패널(DP)의 배면에 위치하는 형상기억합금(SM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급(Shape Memory Alloy, SMA)은 코너부(CP)가 위치하는 바디부(BP)의 일변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SMA)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형상기억합금들(SMA)은 상기 바디부(BP)의 일변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온도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SMA)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약 180°를 이루는 평평한 표시패널(DP)이, 미리 설정된 상기 특정 온도에서 상기 코너부(CP)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약 9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SMA)이 상기 표시패널(DP)의 배면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표시패널(DP)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제1 하우징으로부터 벤딩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을 펼쳐 평평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을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는 제1 하우징(HUS-1)으로부터 벤딩된 표시패널(DP)을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표시패널(DP)은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BP) 및 상기 바디부(BP)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BP)로부터 벤딩되는 코너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닥부(BO)는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a에서는 일 예로써,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이루는 상기 일정각도는 약 90°인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1 하우징(HUS-1)은 상기 표시패널(DP)을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제1 바닥부(BO-1) 및 제1 측벽부(SI-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BO-1)는 상기 바디부(BP)와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BP)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CP)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닥부(BO-1)는 상기 바디부(BP)와 상이한 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닥부(BO-1)는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부(SI-1)는 상기 제1 바닥부(BO-1)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1 바닥부(BO-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SI)의 높이, 즉 지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는 상기 제1 바닥부(BP-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DP)은 상기 제1 하우징(HUS-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4b는 벤딩된 표시패널(DP)을 펼쳐 평평한 표시패널(DP)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BP)로부터 벤딩된 상기 코너부(CP)는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너부(CP)와 상기 바디부(BP)가 이루는 상기 일정각도는 약 180°일 수 있다.
상기 코너부(CP)는 상기 표시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 형상기억합금(미도시)이 특정 온도에서 변형됨에 따라 펼쳐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너부(CP)는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펼쳐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너부(CP)에는 전기가 통하면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표시패널(DP)이 상기 제1 하우징(HUS-1)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코너부(CP)에 전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상기 코너부(CP)가 다시 펼쳐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부(CP)가 펼쳐지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c는 평평한 표시패널(DP)을 상기 제1 하우징(HUS-1)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하우징(HUS-2)에 조립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은 상기 제2 하우징(HUS-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HUS-2)은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이 수납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제2 바닥부(BO-2) 및 제2 측벽부(SI-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부(BO-2)는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과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BP)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CP)의 면적의 합보다 다소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부(BO-2)는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c에서는 예로써, 사각형상을 갖는 표시패널(DP)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을 갖는 제2 바닥부(BO-2)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2 측벽부(SI-2)는 상기 제2 바닥부(BO-2)로부터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부(SI-2)는 상기 제2 바닥부(BO-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4d는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SW)의 일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d를 참고하면,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은 상기 표시패널(DP)의 일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PCB)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은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DP) 보다 더 큰 표시영역(DA)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상기 제2 하우징(HUS-2)과 윈도우 커버(WC)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e는 제2 하우징(HUS-2)과 윈도우 커버(WC)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e를 참조하면,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DP) 상에는 상기 표시영역(DA) 및 상기 표시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정의하는 윈도우 커버(WC)가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상기 제2 하우징(HUS-2)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하우징(HUS-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상기 제2 바닥부(BO-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는 상기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을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은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코너부와 상기 바디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코너부를 접어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부(CP)의 벤딩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DP)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DP)의 형상에 따라, 하우징(HUS-1, HUS-2)을 교체함으로써, 표시부(DPP)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스마트 워치(SW)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SW: 스마트 워치 DPP: 표시부
LIP: 연결부 COP: 조작부
WC: 윈도우 커버 DP: 표시패널
BP: 바디부 CP: 코너부
HUS: 하우징 BO: 바닥부
SI: 측벽부 SL: 슬릿
TA: 투명영역 OA: 불투명 영역
CC: 오목부 SMA: 형상기억합금

Claims (18)

  1.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벤딩된 코너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과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에 연결된 상기 바디부의 타변들이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만나는 변들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팔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너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때,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은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와 중첩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디부의 형상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기 코너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슬릿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기 바디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바디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코너부와 마주보는 투명영역 및 상기 투명영역 주변의 불투명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하는 형상기억합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커버는 상기 바닥부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변에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14. 제1 하우징으로부터 벤딩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은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벤딩된 코너부를 포함하는 것;
    상기 코너부와 상기 바디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너부를 펼쳐 평평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을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와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1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두께면과 마주보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과 중첩하며, 상기 바디부의 면적과 상기 코너부의 면적의 합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2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윈도우 커버와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18. 제2 하우징으로부터 평평한 표시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평평한 표시패널은 다각형상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변으로부터 연장된 코너부를 포함하는 것;
    상기 코너부와 상기 바디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코너부를 접어 벤딩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벤딩된 표시패널을 상기 제2 하우징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KR1020150124311A 2015-09-02 2015-09-02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KR10242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11A KR102425835B1 (ko) 2015-09-02 2015-09-02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CN201610261354.0A CN106483834B (zh) 2015-09-02 2016-04-25 智能手表和替换该智能手表的部件的方法
US15/255,055 US10095190B2 (en) 2015-09-02 2016-09-01 Smart watch and method of replacing component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11A KR102425835B1 (ko) 2015-09-02 2015-09-02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29A true KR20170027929A (ko) 2017-03-13
KR102425835B1 KR102425835B1 (ko) 2022-07-29

Family

ID=5810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311A KR102425835B1 (ko) 2015-09-02 2015-09-02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95190B2 (ko)
KR (1) KR102425835B1 (ko)
CN (1) CN1064838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578A (ko) * 2018-01-10 2019-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4404A (ja) * 2018-10-16 2020-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133994B (zh) * 2019-05-10 2021-01-26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一种手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386A (ko) * 1999-08-27 2001-03-15 에이취. 피. 렌취, 제이. 시티소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이용한 단일면 인쇄 회로
KR200365972Y1 (ko) * 2004-08-05 2004-10-28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손목시계
KR20130079736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30113900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50045556A (ko) * 2013-10-18 2015-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88839A (zh) * 2000-08-21 2003-01-01 西铁城时计株式会社 软质金属及其制造方法和装饰物品及其制造方法
WO2004047582A2 (en) * 2002-11-22 2004-06-10 Liquidmetal Technologies, Inc. Jewelry made of precious amorphous metal and method of making such articles
EP2289696B1 (en) * 2006-09-25 2015-11-04 Citizen Holdings Co., Ltd. Decorative par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27260B1 (ko) 2007-11-05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밴드형 휴대 단말기
US9459656B2 (en) *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93742A1 (en) * 2010-06-01 2011-12-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tibacterial alloy coating composition
JP6346441B2 (ja) * 2010-07-21 2018-06-20 ロレッ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Rolex Sa アモルファス金属合金を含む時計部品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9098242B2 (en) * 2011-09-30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KR200481926Y1 (ko) * 2012-03-23 2016-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계
US8724304B2 (en) * 2012-04-20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having fastened bent edges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2719B1 (ko) * 2012-12-20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KR102094889B1 (ko) 2013-08-2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881488B1 (fr) * 2013-12-06 2017-04-1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lliage amorphe massif à base de zirconium sans béryllium
EP3098333A4 (en) * 2014-01-21 2017-08-09 Centro de Investigación y Desarrollo Tecnológico en Electromecanica S.C. Electrolytic bath for producing antibacterial metal coatings containing nickel, phosphorus and nanoparticles of an antibacterial metal (ni-p-manp's)
CN203786478U (zh) * 2014-03-19 2014-08-20 王傲立 屏幕可伸缩的智能手表
CN203986448U (zh) * 2014-07-21 2014-12-10 深圳市嘉兰图设计有限公司 智能手表
WO2016059514A1 (en) *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1492779B1 (ko) 2014-10-27 2015-02-12 김석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CN204178148U (zh) * 2014-11-20 2015-02-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屏幕可伸缩的智能手表
CN104867406B (zh) * 2015-04-08 2018-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面板、显示装置及穿戴设备
US20170083110A1 (en) * 2015-09-22 2017-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386A (ko) * 1999-08-27 2001-03-15 에이취. 피. 렌취, 제이. 시티소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이용한 단일면 인쇄 회로
KR200365972Y1 (ko) * 2004-08-05 2004-10-28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손목시계
KR20130079736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30113900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50045556A (ko) * 2013-10-18 2015-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578A (ko) * 2018-01-10 2019-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835B1 (ko) 2022-07-29
US20170060092A1 (en) 2017-03-02
CN106483834B (zh) 2020-07-10
CN106483834A (zh) 2017-03-08
US10095190B2 (en)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4071B2 (ja) 折りたたみ式ディスプレイを含む電子装置
US9891734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TWI520668B (zh) 手持裝置外殼
JP6538982B2 (ja) 最小境界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9972228B2 (en) Annular multi-surface display device
JP2020076966A (ja) 表示パネルおよび情報処理装置
EP3232257B1 (en) Multi-sided display device
JP6895524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の組立て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TW201947297A (zh) 顯示設備及攜帶式終端
WO2017202367A1 (zh) 移动终端
JP2011150356A (ja) 携帯用表示装置
JP6722297B2 (ja) タッチ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アセンブリ、タッチディスプレイ及び電子機器
KR102425835B1 (ko)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JP2007140472A (ja) ウィンドウ組立体が具備された表示素子及びこれを含む携帯用端末
KR20070082976A (ko) 액정표시장치
US10234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949045B2 (en) Flexible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that have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different signal lines
US20110254780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panel
CN116088287A (zh) 一种设有柔性屏的折叠型智能穿戴设备及屏幕控制方法
KR102203909B1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1033767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Screen
US11597190B2 (en) Protective film and cover window including the same
US20210065598A1 (en) Image display device of slot machine apparatus
CN107305407B (zh) 保护壳及保护壳制造方法
CN208432935U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