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719B1 -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719B1
KR101992719B1 KR1020120149175A KR20120149175A KR101992719B1 KR 101992719 B1 KR101992719 B1 KR 101992719B1 KR 1020120149175 A KR1020120149175 A KR 1020120149175A KR 20120149175 A KR20120149175 A KR 20120149175A KR 101992719 B1 KR101992719 B1 KR 10199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ignal
switch
signal
flexible displa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945A (ko
Inventor
김용일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719B1/ko
Priority to US13/931,662 priority patent/US9389776B2/en
Publication of KR2014007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복합스위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는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입력이 용이하고 스위칭오류가 감소한다.

Description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SWITCHING COMPLEX,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GENERATING INPUT SIG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한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적은 소비전력, 얇은 두께, 작은 크기 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는 얇은 두께의 패널, 이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들, 모듈, 케이스 등을 포함한다.
평판표시장치의 일종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휘어질 수 있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이 휘어질 수 있는 경우, 외부에 대한 충격에 패널이 깨지는 불량이 감소하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용 평판표시장치의 경우 입력을 할 수 있는 영역이 작아서 손가락에 의한 입력시 쉽게 오타가 발생한다. 특히 온/오프, 모드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종료 등과 같은 주요동작에서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인 타이핑오타에 비해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이외의 동작을 입력장치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고가의 센서로 인한 제조비용의 증가, 센서의 미세한 오류로 인한 추가적인 보정과정의 필요성 등으로 인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력이 용이한 복합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스위치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스위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는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굴곡되는 코너와 상기 쥐는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디지털신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ut-Up-Table; LU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부,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입력신호생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영상이 표시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진다.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입력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굴곡되는 코너와 상기 쥐는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개로 구획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각 구획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일측 코너가 굴곡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굴곡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개로 구획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각 구획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복수개의 코너가 굴곡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굴곡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디지털신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터치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의 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스위칭신호를 검출한다. 이후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상기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검출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스위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구부러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코너가 구부러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검출한다. 이후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상기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검출한다. 이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제1 스위칭신호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입력신호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휘어진 정도를 세밀하게 관찰할 필요 없이 휘어진 여부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보정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검출오류가 감소한다. 또한 저가의 센서만으로도 휘어진 여부를 검출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부(10), 케이스(20), 제어부(50), 터치스위치(400) 및 스위칭 컴플렉스(5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는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부가 휘어지지 않는 평판표시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입력신호(IN), 터치신호(TOUCH) 및 영상데이터(도시되지 않음)를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표시부(10)에 인가한다.
터치스위치(400)는 물리적인 터치작용을 전기적인 신호인 터치신호로 변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위치(40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펜 등의 터치에 의해 변화하는 커패시턴스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스위치가 터치에 의한 압력변화, 전류변화, 광량변화 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스위칭 콤플렉스(500)는 제1 스위치(100), 제2 스위치(200), 입력신호생성부(300) 및 저장장치(35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쥐는 여부 및 쥐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1 스위칭신호(S1)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경시키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스위치(200)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코너를 구부리는 경우, 구부리는 여부 및 구부리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스위칭 신호(S2)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200)는 인장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터를 구부려서 발생되는 인장력을 전기신호로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200)는 광섬유를 포함하고 인장력으로 인한 광섬유의 구부러짐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200)는 단순한 접촉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스위치는 평상시에 두 전극이 접촉되어 있다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가 휘어지는 경우 휘어짐에 따라 스위치의 두 전극이 서로 이탈되어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입력신호 생성부(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인가받아 입력신호(IN)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신호 생성부(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에 해당하는 입력신호(IN)를 저장장치(350)로부터 리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350)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가 디지털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쥐는 감도, 휘는 정도 등에 따른 오류가 감소하고 아날로그신호를 보정하는 과정이 생략되며 제품불량이 감소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가 아날로그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일부를 쥐고 다른 한손으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를 구부리는 경우, 제1 스위치(100) 및 제2 스위치(200)에서 각각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한다.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는 입력신호생성부(300)에 인가된다. 입력신호생성부(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저장장치(35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하는 입력신호(IN)를 생성한다.
생성된 입력신호(IN)는 입력신호생성부(300)로부터 출력하여 제어부(50)에 인가된다.
제어부(50)는 입력신호(IN)에 해당하는 동작신호를 표시부(10)에 인가한다.
따라서 쥐는 위치 및 구부리는 코너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어 표시부(10)에 표시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표시부(10), 제어부(50), 터치스위치(400) 및 스위칭 콤플렉스(500)는 케이스(20) 내에 수납된다.
케이스(20)는 연성재료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제2 스위치(200)는 케이스(20)의 내면 상에 배치되어, 케이스(20)의 코너가 휘어지는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200)는 케이스(20)의 코너가 휘어지는 여부만을 감지하고, 휘어지는 정도는 감지하지 않는다.
표시부(10)는 제2 스위치(200)가 배치된 케이스(20)에 수납된다.
제1 스위치(100)는 표시부(10)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6개의 제1 스위치(100)들을 포함하며, 제1 스위치(100)들은 스크린을 6개의 구획으로 나눈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다.
터치스위치(400)는 제1 스위치(100) 상에 배치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00) 및 제2 스위치(200)가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하는 동안에는 터치스위치(400)는 터치신호(TOUCH)를 생성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스위치(100) 및 제2 스위치(200)가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하는 동안에 터치스위치(400)가 쥐는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신호(TOUCH)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터치신호(TOUCH) 및 입력신호(IN)를 비교하여 터치위치 및 쥐는 위치가 동일한 경우, 쥐는 것에 의한 제2 스위칭신호(S2)에 우선권을 주어 터치신호(TOUCH)에 의한 동작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표시부(10)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S1)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100), 표시부(10)의 코너에 배치되어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S2)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200), 및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IN)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30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준비한다(S100).
사용자의 손에 의해 표시부(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제1 스위치(100)를 통하여 제1 스위칭신호(S1)를 생성한다(S200).
이어서, 입력신호 생성부(300)를 통하여 생성된 제1 스위칭신호(S1)를 검출한다(S300).
사용자의 손에 의해 표시부(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제2 스위치(200)를 통하여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한다(S400).
이후에, 입력신호 생성부(300)를 통하여 생성된 제2 스위칭신호(S2)를 검출한다(S500).
계속해서, 제1 스위칭신호(S1)가 검출되는 동안에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입력신호생성부(300)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에 대응되는 입력신호(IN)를 선택하여 출력한다(S600). 즉, 제1 스위칭신호(S1)과 제2 스위칭신호(S2)가 동시에 생성되는 경우에 입력신호(IN)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표시부(1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IN)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700).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쥐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100) 및 표시부(10)의 코너의 굴곡을 감지하는 제2 스위치(200)를 포함하여 다양한 입력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칭컴플렉스(500)의 오류가 감소하고 보정과정이 생략되며 제품불량이 감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부(1010), 제어부재(1050), 터치스위치(1400) 및 스위칭 컴플렉스(15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10)는 영상을 표시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스위칭 콤플렉스(1500)는 제1 스위치(1100) 및 제2 스위치(120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110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쥐는 여부 및 쥐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1 스위칭신호(S1)을 생성한다.
제2 스위치(1200)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코너를 구부리는 경우, 구부리는 여부 및 구부리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스위칭 신호(S2)를 생성한다.
제어부재(1001)은 제어부(1050), 입력신호생성부(1300) 및 저장장치(1350)를 포함한다.
제어부(1050)는 입력신호(IN), 터치신호(TOUCH) 및 영상데이터(도시되지 않음)를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표시부(1010)에 인가한다.
입력신호 생성부(1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인가받아 입력신호(IN)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신호 생성부(1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에 해당하는 입력신호(IN)를 저장장치(1350)로부터 리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1350)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신호(IN)는 입력신호생성부(1300)로부터 출력하여 제어부(1050)에 인가된다.
제어부(1050)는 입력신호(IN)에 해당하는 동작신호를 표시부(1010)에 인가한다.
터치스위치(1400)는 물리적인 터치작용을 전기적인 신호인 터치신호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쥐는 위치 및 구부리는 코너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어 표시부(1010)에 표시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00) 및 제2 스위치(1200)가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하는 동안에는 터치스위치(1400)는 터치신호(TOUCH)를 생성하지 않는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스위치(1100) 및 제2 스위치(1200)가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하는 동안에 터치스위치(1400)가 쥐는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신호(TOUCH)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쥐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1100) 및 표시부(1010)의 코너의 굴곡을 감지하는 제2 스위치(1200)를 포함하여 다양한 입력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칭컴플렉스(1500)의 오류가 감소하고 보정과정이 생략되며 제품불량이 감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부(2010), 제어부재(2001) 및 스위칭 컴플렉스(2500)를 포함한다.
표시부(2010)는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스위칭 콤플렉스(2500)는 제2 스위치(2200) 및 터치부(2450)를 포함한다.
제2 스위치(2200)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코너를 구부리는 경우, 구부리는 여부 및 구부리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스위칭 신호(S2)를 생성한다.
터치부(2450)는 제1 스위치(2100) 및 터치스위치(2400)를 포함하고, 물리적인 터치작용을 전기적인 신호인 감지신호(S1&TOUCH)로 변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부(245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펜 등의 터치에 의해 변화하는 커패시턴스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스위치가 터치에 의한 압력변화, 전류변화, 광량변화 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1 스위치(210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쥐는 여부 및 쥐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1 스위칭신호(S1)을 생성한다.
터치스위치(240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신호(TOUCH)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2100)와 터치스위치(2400)는 일체로 형성되며, 터치부(2450)에서 생성된 신호는 제1 스위칭신호(S1)과 터치신호(TOUCH)가 혼합된 하나의 감지신호(S1&TOUCH)를 포함한다.
제어부재(2001)는 제어부(2050), 입력신호 생성부(2300) 및 저장장치(2350)를 포함한다.
제어부(2050)는 입력신호(IN) 및 영상데이터(도시되지 않음)를 인가받아 영상신호를 표시부(2010)에 인가한다.
입력신호 생성부(2300)는 제2 스위칭신호(S2) 및 감지신호(S1&TOUCH)를 인가받아 입력신호(IN)를 생성한다. 입력신호 생성부(2300)는 제2 스위칭신호(S2) 및 감지신호(S1&TOUCH)가 동시에 인가되는지 판단하여,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 감지신호(S1&TOUCH)를 제1 스위칭신호(S1)로 인식한다. 반면에, 제2 스위칭신호(S2) 및 감지신호(S1&TOUCH)가 동시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입력신호생성부(2300)는 감지신호(S1&TOUCH)를 터치신호(TOUCH)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신호 생성부(2300)는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에 해당하는 입력신호(IN)를 저장장치(2350)로부터 리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2350)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신호(S1&TOUCH) 및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를 포함한다.
생성된 입력신호(IN)는 입력신호생성부(2300)로부터 출력하여 제어부(2050)에 인가된다.
제어부(2050)는 입력신호(IN)에 해당하는 동작신호를 표시부(2010)에 인가한다.
따라서 쥐는 위치 및 구부리는 코너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어 표시부(2010)에 표시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표시부(2010), 제어부(도 8의 2001), 터치부(2450) 및 제2 스위치(2200)는 케이스(2020) 내에 수납된다.
케이스(2020)는 연성재료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제2 스위치(2200)는 케이스(2020)의 내면 상에 배치되어, 케이스(2020)의 코너가 휘어지는 여부를 감지한다.
표시부(2010)는 제2 스위치(2200)가 배치된 케이스(2020)에 수납된다.
터치부(2450)는 표시부(2010)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부(2450)는 표시부(2010)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신호(S1&TOUCH)는 제1 스위치(100)의 제1 스위칭신호(S1)와 터치스위치(2400)는 터치신호(TOUCH)를 구분하지 않고 생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표시부(2010)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 또는 터치에 따라 감지신호(S1&TOUCH)를 생성하는 터치부(2450), 표시부(2010)의 코너에 배치되어 코너의 굴곡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S2)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2200), 및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IN)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230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준비한다(S2100).
사용자의 손에 의해 표시부(20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거나 터치하는 경우, 터치부(2450)를 통하여 감지신호(S1&TOUCH)를 생성한다(S2200).
이어서, 입력신호 생성부(2300)를 통하여 생성된 감지신호(S1&TOUCH)를 검출한다(S2300).
사용자의 손에 의해 표시부(20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제2 스위치(2200)를 통하여 제2 스위칭신호(S2)를 생성한다(S2400).
이후에, 입력신호 생성부(2300)를 통하여 생성된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2500).
입력신호 생성부(2300)를 통하여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감지신호(S1&TOUCH)를 터치신호(TOUCH)로 인식한다(S2550). 본 실시예에서 감지신호(S1&TOUCH)가 터치신호(TOUCH)로 인식되는 경우, 입력신호 생성부(23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감지신호(S1&TOUCH)가 터치신호(TOUCH)로 인식되는 경우, 통상적인 터치에 의한 동작, 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에 의한 문자표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신호 생성부(2300)를 통하여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감지신호(S1&TOUCH)를 제1 스위칭 신호(S1)로 인식한다(S2600).
계속해서, 입력신호생성부(2300)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신호(S1) 및 제2 스위칭신호(S2)에 대응되는 입력신호(IN)를 선택하여 출력한다(S2700).
마지막으로, 표시부(201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IN)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2800).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터치부(245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S1&TOUCH)를 제1 스위칭신호(S1) 또는 터치신호(TOUCH)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 및 제조비용이 감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서는 쥐는 위치 및 휘는 횟수를 변수로 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화면을 ①부터 ⑥까지 6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휘어지는 부분은 두 번째 구역(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쥐는 위치는 ①,③,④,⑤ 및 ⑥의 5가지가 가능하다.
[표 1]은 본 실시예에서 쥐는 위치에 따른 제1 스위칭신호(S1)와 휘어지는 여부에 따른 제2 스위칭신호(S2)에 따른 입력신호(IN)를 나타내는 룩업테이블(LUT)이다.
S1 S2 IN
1 X 1
O 2
3 X 3
O 4
4 X 5
O 6
5 X 7
O 8
6 X 9
O 10
[표 1]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으로 모두 10가지 종류의 입력신호(IN)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이므로, 입력오류가 없는 10가지 종류의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X) 입력신호(IN)는 1, 3, 5, 7 및 9이며, 이 경우에는 밝기조절, 소리조절 등의 보조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O) 입력신호(IN)는 2, 4, 6, 8 및 10이며, 프로그램의 on/off, 모드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종료 등의 5가지 주요동작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서는 쥐는 위치 및 휘는 횟수를 변수로 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화면을 ①부터 ⑥까지 6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휘어지는 부분은 첫 번째 구역(①) 및 두 번째 구역(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쥐는 위치는 ③,④,⑤ 및 ⑥의 4가지와 휘어지는 위치(①,②)의 반대쪽(②,①)의 2가지가 가능하다.
[표 2]는 본 실시예에서 쥐는 위치에 따른 제1 스위칭신호(S1)와 휘어지는 여부에 따른 제2 스위칭신호(S2)에 따른 입력신호(IN)를 나타내는 룩업테이블(LUT)이다.
S1 S2 IN
1 X 1
R 2
2 X 3
L 4
3 X 5
R 6
L 7
4 X 8
R 9
L 10
5 X 11
R 12
L 13
6 X 14
R 15
L 16
[표 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으로 모두 16가지 종류의 입력신호(IN)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이므로, 입력오류가 없는 16가지 종류의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X) 입력신호(IN)는 1, 3, 5, 8, 11 및 14이며, 이 경우에는 주요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음량조절, 밝기조절 등의 보조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R)이 휘어지는 것에 해당하는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입력신호(IN)는 2, 6, 9, 12 및 15이고, 좌측(L)이 휘어지는 것에 해당하는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입력신호(IN)는 4, 7, 10, 13 및 16이며, 프로그램의 on/off, 모드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종료 등의 10가지 주요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휘어지는 부분은 상부의 우측(R) 및 상부의 좌측(L)이었으나, 하부의 다른 코너들 또는 중앙부분 등 다양한 부분이 휘어질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방법에서는 쥐는 위치 및 휘는 횟수를 변수로 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화면을 ①부터 ⑥까지 6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휘어지는 부분은 두 번째 구역(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쥐는 위치는 ①,③,④,⑤ 및 ⑥의 5가지가 가능하다.
[표 3]은 본 실시예에서 쥐는 위치에 따른 제1 스위칭신호(S1)와 휘어지는 여부에 따른 제2 스위칭신호(S2)에 따른 입력신호(IN)를 나타내는 룩업테이블(LUT)이다.
S1 S2 IN
1 X 1
1회 2
2회 3
3 X 4
1회 5
2회 6
4 X 7
1회 8
2회 9
5 X 10
1회 11
2회 12
6 X 13
1회 14
2회 15
[표 3]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으로 모두 15가지 종류의 입력신호(IN)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이므로, 입력오류가 없는 15가지 종류의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X) 입력신호(IN)는 1, 4, 7, 10 및 13이며, 이 경우에는 밝기조절, 음량조절 등의 보조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1회 또는 2회로 검출되는 경우(1회, 2회) 입력신호(IN)는 2, 3, 5, 6, 8, 9, 11, 12, 14 및 15이며, 프로그램의 on/off, 모드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종료 등의 10가지 주요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휘어지는 횟수는 1회 또는 2회이었으나, 3회 이상의 횟수로 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의 실시예 및 도 14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화면을 ①부터 ⑥까지 6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휘어지는 부분은 첫 번째 구역(①) 및 두 번째 구역(②)에 위치한다. 또한 각 휘어지는 부분이 1회 또는 2회 휘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쥐는 위치는 ③,④,⑤ 및 ⑥의 4가지와 휘어지는 위치(①,②)의 반대쪽(②,①)의 2가지가 가능하다.
[표 4]는 본 실시예에서 쥐는 위치에 따른 제1 스위칭신호(S1)와 휘어지는 여부에 따른 제2 스위칭신호(S2)에 따른 입력신호(IN)를 나타내는 룩업테이블(LUT)이다.
S1 S2 IN
1 X 1
R-1회 2
R-2회 3
2 X 4
L-1회 5
L-2회 6
3 X 7
R-1회 8
R-2회 9
L-1회 10
L-2회 11
4 X 12
R-1회 13
R-2회 14
L-1회 15
L-2회 16
5 X 17
R-1회 18
R-2회 19
L-1회 20
L-2회 21
6 X 22
R-1회 23
R-2회 24
L-1회 25
L-2회 26
[표 4]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의 조합으로 모두 26가지 종류의 입력신호(IN)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신호(S1)와 제2 스위칭신호(S2)는 디지털신호이므로, 입력오류가 없는 26가지 종류의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X) 입력신호(IN)는 1, 4, 7, 12, 17 및 22이며, 이 경우에는 주요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음량조절, 밝기조절 등의 보조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R)이 휘어지는 것에 해당하는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입력신호(IN)는 2, 3, 8, 9, 13, 14, 18, 19, 23 및 24이고, 좌측(L)이 휘어지는 것에 해당하는 제2 스위칭신호(S2)가 검출되는 경우 입력신호(IN)는 5, 6, 10, 11, 15, 16, 20, 21, 25 및 26이며, 프로그램의 on/off, 모드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종료 등의 20가지 주요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쥐는 여부 및 위치, 휘는 여부, 위치 및 횟수 등 다양한 변수들을 조합하여 오류가 없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입력신호(IN)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쥐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 및 표시부의 코너의 굴곡을 감지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다양한 입력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칭 컴플렉스의 오류가 감소하고 보정과정이 생략되며 제품불량이 감소한다.
또한, 하나의 터치부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1 스위칭신호 또는 터치신호로 이용할 수 있어서, 부품수 및 제조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쥐는 여부 및 위치, 휘는 여부, 위치 및 횟수 등 다양한 변수들을 조합하여 오류가 없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입력신호(IN)를 생성할 수 있다.
10, 1010, 2010 : 표시부 1001, 2001 : 제어부재
50, 1050, 2050 : 제어부 100, 1100, 2100 : 제1 스위치
200, 1200, 2200 : 제2 스위치 300, 1300, 2300 : 입력신호 생성부
350, 1350, 2350 : LUT 400, 1400, 2400 : 터치 스위치
2450 : 터치부 500, 1500, 2500 : 스위칭 컴플렉스

Claims (20)

  1. 표시부의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코너의 굴곡 위치 및 상기 코너의 굴곡 횟수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쥐는 위치, 상기 굴곡 위치 및 상기 굴곡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ut-Up-Table; LU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복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되는 코너와 상기 쥐는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디지털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구역들로 나누어지고 영상이 표시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 위치 및 상기 코너의 굴곡 횟수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쥐는 위치, 상기 굴곡 위치 및 상기 굴곡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ut-Up-Table; LU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되는 코너와 상기 쥐는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각 구획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일측 코너가 굴곡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굴곡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각 구획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복수개의 코너가 굴곡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굴곡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디지털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삭제
  15.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터치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7. 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구역들로 나누어진 표시부 상의 각 구역 내에 배치되어 쥐는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 위치 및 상기 코너의 굴곡 횟수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쥐는 위치, 상기 굴곡 위치 및 상기 굴곡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ut-Up-Table; LU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쥐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스위칭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상기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신호가 검출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스위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신호 생성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너가 복수회 구부러지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생성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생성방법.
  20.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표시부의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굴곡 위치 및 상기 코너의 굴곡 횟수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의 위치, 상기 굴곡 위치 및 상기 굴곡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저장된 룩업테이블(Lut-Up-Table; LU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입력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상기 코너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스위칭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를 제1 스위칭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칭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신호 생성방법.
KR1020120149175A 2012-12-20 2012-12-20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KR10199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75A KR101992719B1 (ko) 2012-12-20 2012-12-20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US13/931,662 US9389776B2 (en) 2012-12-20 2013-06-28 Switching complex,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generating input sig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75A KR101992719B1 (ko) 2012-12-20 2012-12-20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45A KR20140079945A (ko) 2014-06-30
KR101992719B1 true KR101992719B1 (ko) 2019-10-01

Family

ID=5097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175A KR101992719B1 (ko) 2012-12-20 2012-12-20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89776B2 (ko)
KR (1) KR101992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3710A1 (en) * 2013-08-23 2016-07-14 Apple Inc. Remote control device
KR102425835B1 (ko) * 2015-09-02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7441A1 (en) * 2002-03-29 2003-12-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
US20110310038A1 (en) * 2010-06-18 201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ouch coordinates in touc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7422A1 (en) 2006-03-30 2007-10-25 Xuuk, Inc.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US20100045705A1 (en)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TWI393935B (zh) 2009-01-08 2013-04-21 Prime View Int Co Ltd 用於可撓性顯示裝置之觸控結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7441A1 (en) * 2002-03-29 2003-12-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
US20110310038A1 (en) * 2010-06-18 201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ouch coordinates in touc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45A (ko) 2014-06-30
US9389776B2 (en) 2016-07-12
US20140176457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8527B2 (en) Control circuit of electrostatic capacitiv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262027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852368B2 (ja)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TWI434207B (zh) 觸控感測系統、電子觸控裝置及觸控感測方法
US9430137B2 (en) Touch panel device and display method including dynamically adjusting a magnification ratio
JP2010154090A (ja) 携帯端末
WO201007118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キー配置制御方法
JP2002351606A5 (ja) 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子装置
CN116092384A (zh) 电子设备
EP1873622A2 (en) A keypad touch user interface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2064075A (ja) 文字入力装置
CN107957809A (zh) 用于驱动显示面板的设备和方法
WO2013038719A1 (ja)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9201508B2 (en) Alternative glove-based key entry for mobile devices
KR101992719B1 (ko) 복합스위치,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방법
WO2016113783A1 (ja) 入力装置
CN106990852B (zh) 输入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8186279A (ja) 遠隔操作式入力装置
KR20090062190A (ko)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JP6133245B2 (ja) 電子装置を搭載した車両
KR101158234B1 (ko)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제어방법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JP2011113352A (ja) 電気機器
KR101018459B1 (ko)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US11003301B2 (en) Control panel of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