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408A - 블랭킷 제조장치 및 블랭킷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랭킷 제조장치 및 블랭킷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408A
KR20150044408A KR20140139628A KR20140139628A KR20150044408A KR 20150044408 A KR20150044408 A KR 20150044408A KR 20140139628 A KR20140139628 A KR 20140139628A KR 20140139628 A KR20140139628 A KR 20140139628A KR 20150044408 A KR20150044408 A KR 20150044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base film
composition
comma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331B1 (ko
Inventor
구범모
이승헌
황지영
손용구
김주연
박제섭
이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4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2Blanket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23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B05C11/045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characterised by the blades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for lift-off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9/00Applying the material to the internal surface of hollow articles other tha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20/00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 B05D2420/01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first layer from the substrat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601/00Inorganic fillers
    • B05D2601/20Inorganic fillers used for non-pigmentation effect
    • B05D2601/22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14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characterised by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블랭킷 제조장치, 블랭킷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블랭킷, 상기 블랭킷이 구비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 및 이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랭킷 제조장치 및 블랭킷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BLAN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LANKET}
본 출원은 2013년 10월 16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2333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블랭킷 제조장치, 블랭킷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블랭킷, 상기 블랭킷이 구비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 및 이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소자는 기판 상에 수많은 층들의 패턴이 형성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소정의 패턴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고, 화학적 에칭, 스트립핑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환경에 유해한 화학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곧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턴 형성방법으로서 인쇄롤을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이 제안되었다.
롤 프린팅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크게 그라비아 인쇄 및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법의 2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패턴이 형성된 블랭킷이 구비된 전사롤을 이용하여 블랭킷 상에 잉크를 도포한 후 여분의 잉크를 긁어내고 인쇄를 하는 인쇄방식으로서, 출판용, 포장용, 셀로판용, 비닐용, 폴리에틸렌용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인쇄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표시 소자에 적용되는 능동 소자나 회로 패턴의 제작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전사롤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잉크를 전사하기 때문에, 원하는 표시 소자의 면적에 대응하는 전사롤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의 표시 소자의 경우에도, 1회의 전사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는 기판상에 레지스트용인 잉크 패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표시 소자의 각종 패턴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의 경우, TFT 뿐만 아니라 상기 TFT와 접속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화소 전극, 캐패시터용 금속 패턴을 패터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은 딱딱한 마스터 몰드에 실리콘계 수지를 캐스팅하여 제조되었는바, 이렇게 제조된 블랭킷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럿 스케일로 양산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밀한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주로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이 채용된다.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 방법은 패턴 형성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속도가 향상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광받는 기술이지만, 정밀한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양질의 블랭킷이 요구된다. 즉, 블랭킷의 특성에 따라서 패턴의 품질이 좌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품질의 인쇄용 블랭킷 제작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890호
본 명세서는 블랭킷 제조장치, 블랭킷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블랭킷, 상기 블랭킷이 구비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 및 이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필름이 공급되는 정반;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를 수평이동하는 콤마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전면(全面) 중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면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1) 기재 필름을 정반에 밀착시키는 단계; 2)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3)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에 콤마 블레이드를 수평이동시켜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 및 4) 상기 블랭킷 조성물을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여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전면(全面) 중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면인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블랭킷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인 블랭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블랭킷이 구비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을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제조된 블랭킷은 두께 편차가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블랭킷 제조장치는 두께가 균일한 대면적의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홀 구조 및 라인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가 구비된 정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홀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가 구비된 정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라인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가 구비된 정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코터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콤마 블레이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블랭킷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제조된 블랭킷의 두께 균일도 측정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필름이 공급되는 정반;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를 수평이동하는 콤마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정반으로 제공되고,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료나 두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100 μm 이상 350 μ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공정간 이동 및 체결과정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재 필름의 두께 균일도 등의 물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제조장치는 기재 필름 제공부; 및 기재 필름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제공부 및 기재 필름 회수부는 기재 필름을 간헐(間歇)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간헐 연속적은 얼마 동안 시간 간격을 두고 기재 필름의 공급을 멈추었다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기재 필름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영역으로 공급할 때는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하고 건조 또는 경화되는 순간에는 정밀한 코팅을 위해 기재 필름의 공급을 멈출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제공부 및 기재 필름 회수부는 기재 필름을 제공하고 회수할 수 있다면, 특별히 구조, 재질, 형태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정반(定盤, surface plate)은 정확하며 평활 (平滑)하게 다듬질된 평면을 가진 블록 또는 테이블을 말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평활한 평면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정반의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반의 두께 편차는 15 μ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반 상에서 형성되는 블랭킷의 두께 편차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반의 두께 편차가 적을수록 블랭킷의 두께 편차가 감소하며, 그 결과 블랭킷을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에 적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인쇄압력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두께 편차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화강암, 인조 화강암, 다이아몬드 레진, 세라믹, 금속 및 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화강암, 인조 화강암 등을 포함하는 석정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반에 기재 필름 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밀착수단은 상기 정반 표면에 형성된 홀 구조, 홈 구조 및 라인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구조와 라인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자 형태의 교차점들에 홀 구조를 갖고, 나머지 직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홈으로 이루어진 라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구조의 진공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 필름 밀착수단으로서 진공 흡입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정반의 평탄도를 유지 하기 위해서 정반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진공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반 상에 블랭킷을 제조할 때 진공 흡입부가 구비되는 정반 상면의 가장자리는 블랭킷 중 제거될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밀착수단은 기재 필름이 정반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수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 밀착수단은 기재 필름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정반의 측면부에 구비된 니핑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터부에 의해서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스퍼터링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블랭킷 조성물은 롤 프린팅용 전사롤 또는 인쇄롤에 구비되는 블랭킷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랭킷 조성물은 실록산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는 1만cp 이상 100만cp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목적의 블랭킷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는 5만cp 이상 15만cp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랭킷과 같은 두꺼운 코팅에서의 두께 균일도 확보가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는 5만cp 이상 10만cp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대적으로 탈포가 용이해짐에 따라 블랭킷 두께 균일도 확보가 더욱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콤마 블레이드는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를 수평이동한다. 이때, 상기 콤마 블레이드가 정반에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 표면을 수평이동하면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한다. 여기서, 수평이동은 정반의 상면과 평행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콤마 블레이드는 “쉼표”의 형태의 단면을 갖는 블레이드를 말한다.
상기 콤마 블레이드가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면서 수평이동할 때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콤마 블레이드로 블랭킷 조성물의 일부를 걷어낸다. 이때,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는 정반의 상면과 정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110)의 거리로 조절된다. 블랭킷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콤마 블레이드로 걷어지는 블랭킷 조성물은 콤마 블레이드 중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면(130)과 접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는 기재 필름에 도포되는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나이프, 닥터블레이드, 스퀴즈 등과 같은 판형의 수단으로는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가 높으면 접촉되는 블랭킷 조성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나이프, 닥터블레이드, 스퀴즈 등과 같은 판형의 수단의 수평이동이 쉽지 않으며 저항에 의해 휘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판형의 수단으로 고점도의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 및 표면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코팅되는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는 0.1 mm 이상 100 mm 이하일 수 있다. 코팅 두께가 얇을수록 조성물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되는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는 0.1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0.4 mm 이상 2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반의 상면과 정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110)의 거리는 200 μm 이상 5 m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0 μm 이상 2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콤마 블레이드는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각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을 곡면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절삭가공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콤마 블레이드(100)의 전면(全面) 중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130)이 각진 면일 수 있다.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각이 진 면에서, 어느 하나의 면과 상기 어느 하나의 면과 이웃하는 면이 이루는 예각은 5 °이상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설계치수는 30R 이상 120R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장비 설계 및 제작 시 코팅작업을 위한 블레이드 이동에 대해 적당한 중량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설계치수의 단위인 R은 반지름(mm)을 의미하며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표기방식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110)로부터 상기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부는 콤마 블레이드를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부는 콤마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고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 기재 필름을 정반에 밀착시키는 단계; 2)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3)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에 콤마 블레이드를 수평이동시켜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 및 4) 상기 블랭킷 조성물을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여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블랭킷 제조방법에서 기재 필름, 정반, 블랭킷 조성물 및 콤마 블레이드의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1) 기재 필름을 정반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정반 표면에 형성된 홀 구조, 홈 구조 및 라인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공 흡입부를 통해 상기 기재 필름에 진공음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정반에 상기 기재 필름이 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기재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정반에 상기 기재 필름이 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상기 1) 단계 이전에 기재 필름의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상기 1) 단계 이전에 기재 필름 제공부와 기재 필름 회수부를 통해 정반 상에 기재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1) 단계 이후에는 기재 필름 제공부와 기재 필름 회수부를 통해 상기 기재 필름에 장력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정반에 상기 기재 필름이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2)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 단계에서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터부에 의해서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스퍼터링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는 조성이 상이한 블랭킷 조성물을 2회 이상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랭킷 조성물은 실록산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전에,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 필름과 블랭킷 조성물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라이머층은 실란계 커플링제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0 μm 초과 1 μm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빠른 건조에 따른 얼룩 등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스프레이법, 브러쉬 또는 거즈를 이용한 코팅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3)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에 콤마 블레이드를 수평이동시켜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110)로부터 상기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콤마 블레이드가 수평이동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구조의 진공 흡입부가 구비된 석정반 상에 기재 필름을 공급하고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조성물이 도포된 석정반 위에 도 6과 같이 콤마 블레이드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4) 상기 블랭킷 조성물을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여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콤마 블레이드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 블랭킷 조성물이 정반 상에 위치한 상태로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블랭킷 조성물을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는 시간은 3 시간 이상 24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4) 단계 이후에 열 또는 UV 조사를 통해 정반 상의 블랭킷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전에 기재 필름 상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4) 단계 후에 상기 블랭킷 상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능층은 블랭킷의 물성 등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층을 의미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평탄화층, 슬립층, 쿠션층 등일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 및 슬립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블랭킷 상에 평탄화층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평탄화층의 두께는 200 μm 이상 1,000 μm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블랭킷 상에 슬립층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슬립층의 두께는 20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4) 단계 이후에 형성된 블랭킷의 이물 검사 등의 불량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 단계 이후에 형성된 블랭킷을 설치할 롤의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랭킷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기재 필름 등을 롤과 롤 사이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블랭킷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기에 블랭킷의 두께 안정화 및 코팅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당한 길이의 초기 생산분이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블랭킷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기포 및 표면 이물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장력 조절 장치와 각종 지지롤에 의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시 장력이 적당하지 않거나 지지롤의 오염 및 손상에 의해 블랭킷의 두께 균일도 확보가 어렵다.
특히, 제조하는 블랭킷의 면적이 커질수록 상술한 단점들의 영향이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균일한 블랭킷을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정반 상에 위치한 기재 필름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동없이 정반 상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여 초기 생산분을 버리는 손실비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블랭킷 조성물 표면에 기포 및 이물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이동하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블랭킷이 손상 또는 오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 제조방법은 제조하는 블랭킷의 면적이 커지더라도 균일한 두께의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라 제조된 블랭킷의 두께 균일도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블랭킷은 면적이 1300mm×1800mm이며,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가 20 μm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블랭킷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인 블랭킷을 제공한다. 이 경우 두께 편차가 적어 블랭킷의 두께가 균일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랭킷을 이용하여 정밀한 패턴을 전사 또는 인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랭킷은 블랭킷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이며, 면적이 1000 mm×1000 mm 이상인 대면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랭킷의 면적이 1300 mm×1800 mm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대면적이고 두께가 균일한 블랭킷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피인쇄체에 정밀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블랭킷의 면적이 1400 mm×2200 mm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두께가 균일한 블랭킷이 필요한 롤 또는 평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블랭킷의 용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상기 블랭킷이 구비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을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블랭킷을 이용한 마이크로 패턴을 복제하는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콤마 블레이드
110: 모서리,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단부
130: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

Claims (21)

  1. 기재 필름이 공급되는 정반;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를 수평이동하는 콤마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전면(全面) 중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면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조성물의 점도는 1만cp 이상 100만cp 이하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는 0.1 mm 이상 100 mm 이하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각이 진 면에서, 어느 하나의 면과 상기 어느 하나의 면과 이웃하는 면이 이루는 예각은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인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화강암, 인조 화강암, 다이아몬드 레진, 세라믹, 금속 및 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기재 필름 밀착수단이 구비된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밀착수단은 상기 정반 표면에 형성된 홀 구조, 홈 구조 및 라인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정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제조장치는 기재 필름 제공부; 및 기재 필름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장치.
  11. 1) 기재 필름을 정반에 밀착시키는 단계;
    2)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블랭킷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3) 상기 블랭킷 조성물이 도포된 정반 위에 콤마 블레이드를 수평이동시켜 도포된 블랭킷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 및
    4) 상기 블랭킷 조성물을 상온에서 건조 또는 경화하여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전면(全面) 중 블랭킷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이 각이 진 면인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이전에 기재 필름의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정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콤마 블레이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정반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콤마 블레이드가 수평이동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정반 표면에 형성된 홀 구조, 홈 구조 및 라인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공 흡입부를 통해 상기 기재 필름에 진공음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정반에 상기 기재 필름이 밀착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기재 필름 제공부와 기재필름 회수부를 통해 상기 기재 필름에 장력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정반에 상기 기재 필름이 밀착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 조성물은 실록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전에,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 후에, 상기 블랭킷 상에 슬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랭킷 제조방법.
  19. 청구항 1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의 블랭킷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두께 편차가 20 μm 이하인 블랭킷.
  20. 청구항 19의 블랭킷이 구비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
  21. 청구항 20의 리버스 오프셋 인쇄롤을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장치.
KR1020140139628A 2013-10-16 2014-10-16 블랭킷 제조장치 및 블랭킷 제조방법 KR101717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339 2013-10-16
KR1020130123339 2013-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08A true KR20150044408A (ko) 2015-04-24
KR101717331B1 KR101717331B1 (ko) 2017-03-16

Family

ID=5282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628A KR101717331B1 (ko) 2013-10-16 2014-10-16 블랭킷 제조장치 및 블랭킷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34809B2 (ko)
KR (1) KR101717331B1 (ko)
CN (1) CN105451996B (ko)
TW (1) TWI560078B (ko)
WO (1) WO20150569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401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전성 입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2322B (zh) * 2020-04-10 2021-11-23 内蒙古警通标牌制作有限责任公司 一种机动车号牌反光膜预印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856A (ja) * 2001-11-06 2003-05-14 Sumitomo Rubber Ind Ltd オフセット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100038612A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면적 블랭킷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대면적 블랭킷 제조방법
KR20110021367A (ko) * 2009-08-26 201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용 블랭킷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62339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아모 콤마 코팅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0299C3 (de) * 1971-03-04 1973-10-04 Maschinenfabrik Augsburg-Nuernberg Ag, 8900 Augsburg Farbmesser fur Farbwerke von Druckmaschinen
JPS5816894A (ja) * 1981-07-24 1983-01-31 Sumitomo Rubber Ind Ltd 印刷用オフセツトブランケツトの製造方法
CN1040733C (zh) * 1991-11-26 1998-11-18 株式会社明治橡胶化成 制造可压缩的印刷用毡的方法及其硫化装置
US5760864A (en) * 1995-07-20 1998-06-02 Kabushiki Kaisha Toshiba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display devices using a stainless steel suction plate having a phosphorus doped nickel coating
JP2002293056A (ja) 2001-03-29 2002-10-09 Sumitomo Rubber Ind Ltd 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KR100942675B1 (ko) * 2006-10-20 2010-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롤 인쇄성이 뛰어난 2층 구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703B1 (ko) * 2007-04-13 201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세패턴 형성 방법
KR101165879B1 (ko) 2008-10-02 201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턴 블랭킷 제조방법
KR20110004739A (ko)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0058B2 (en) * 2010-03-19 2016-05-17 Lg Chem, Ltd.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320491B2 (ja) * 2011-07-13 2013-10-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用の自動二輪車用タイヤ
TWI556987B (zh) * 2013-08-01 2016-11-1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平板印刷用毯及使用彼所製造之微細圖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856A (ja) * 2001-11-06 2003-05-14 Sumitomo Rubber Ind Ltd オフセット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100038612A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면적 블랭킷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대면적 블랭킷 제조방법
KR20110021367A (ko) * 2009-08-26 201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용 블랭킷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62339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아모 콤마 코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401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전성 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4809B2 (en) 2019-10-08
CN105451996A (zh) 2016-03-30
US20160200130A1 (en) 2016-07-14
WO2015056983A1 (ko) 2015-04-23
CN105451996B (zh) 2019-04-19
TWI560078B (en) 2016-12-01
US20190291495A1 (en) 2019-09-26
US11254158B2 (en) 2022-02-22
TW201527135A (zh) 2015-07-16
KR101717331B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7748B (zh) 用于将薄片应用到基板的方法和设备
TW201343400A (zh) 積層製品,用以形成積層製品之裝置及方法
US20070178237A1 (en) Method for patterning coatings
US11254158B2 (en) Blank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lanket manufacturing method
CN104155805A (zh) 一种取向膜的制备方法
CN100508121C (zh) 用于涂层图形化的方法
TW200417783A (en) Glass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4176691A (ja) 鏡面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1455B1 (ko) 인쇄용 블랭킷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TWI556987B (zh) 平板印刷用毯及使用彼所製造之微細圖案
KR20120014501A (ko) 패턴 형성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1430998B1 (ko) 연질의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전 옵셋 인쇄 방법
KR20150062954A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9716A (ko) 오프셋 인쇄장치와 인쇄방법
KR20200069654A (ko) 나노 임프린트 방식을 이용한 나노구조의 양면 패턴 형성 방법
KR20110024032A (ko)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5850B1 (ko) 두께 균일도가 향상된 패턴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9904B1 (ko) 10um 이하 미세 선폭 인쇄방법
JP7493704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KR20090065899A (ko) 미세 회로가 형성된 필름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16107159A (zh) 一种纳米压印用拼版模版的制备方法
KR20160037815A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1218A (ko) 자외선 롤투롤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잔류층이 없는 패턴전사 장치 및 방법
CN101666973A (zh) 晶圆级压印方法
JP2011037020A (ja) 印刷方法とそれに用いる溶剤吸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