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954A -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954A
KR20150062954A KR1020140161695A KR20140161695A KR20150062954A KR 20150062954 A KR20150062954 A KR 20150062954A KR 1020140161695 A KR1020140161695 A KR 1020140161695A KR 20140161695 A KR20140161695 A KR 20140161695A KR 20150062954 A KR20150062954 A KR 2015006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layer
layer
cushion
form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590B1 (ko
Inventor
김주연
구범모
이승헌
명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6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2Blanket structure
    • B41N10/04Blanket structure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2Blanke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04Intermediat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BLANKET FOR PRIN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2013년 11월 29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47803 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소자는 기판 상에 수많은 층들의 패턴이 형성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소정의 패턴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고, 화학적 에칭, 스트립핑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환경에 유해한 화학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곧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턴 형성방법으로서 인쇄롤을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이 제안되었다.
롤 프린팅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크게 그라비아 인쇄 및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법의 2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오목판에 잉크를 묻혀 여분의 잉크를 긁어내고 인쇄를 하는 인쇄방식으로서, 출판용, 포장용, 셀로판용, 비닐용, 폴리에틸렌용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인쇄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표시 소자에 적용되는 능동 소자나 회로 패턴의 제작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전사롤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잉크를 전사하기 때문에, 원하는 표시 소자의 면적에 대응하는 전사롤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의 표시 소자의 경우에도, 1회의 전사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는 기판상에 레지스트용인 잉크 패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표시 소자의 각종 패턴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의 경우, TFT 뿐만 아니라 상기 TFT와 접속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화소 전극, 캐패시너용 금속 패턴을 패터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은 딱딱한 마스터 몰드에 실리콘계 수지를 캐스팅하여 제조되었는바, 이렇게 제조된 블랭킷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럿 스케일로 양산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밀한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주로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이 채용된다.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 및 인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본 명세서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특허문헌 1 내지 3의 것들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문헌 1 내지 문헌 3의 명세서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의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다.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 방법은 패턴 형성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속도가 향상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광받는 기술이지만, 정밀한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양질의 블랭킷이 요구된다. 나아가, 블랭킷에 포함되는 쿠션층은 인압 마진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불균일한 발포 입자 사이즈로 인하여 쿠션층의 두께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블랭킷의 두께 편차를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8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00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3883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단위;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추가의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은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여 제1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추가의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여 제2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공극률이 큰 제1 쿠션층을 포함하여 인압 마진을 넓힐 수 있으며, 상기 제1 쿠션층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공극률이 거의 없는 제2 쿠션층에 의하여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경우,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단위 및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가 각각 다른 지지층에 제조되어 결합되므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의 교체가 용이하여 블랭킷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1 쿠션층 및 제2 쿠션층을 포함하는 1,000 ㎜ × 1,600 ㎜ 면적의 쿠션층 표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1,000 ㎜ × 1,600 ㎜ 면적의 쿠션층 표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지지층(101) 상에 제1 쿠션층(201) 및 제2 쿠션층(301)이 구비되고, 제2 쿠션층(301) 상에 표면 인쇄층(401)이 구비된 인쇄용 블랭킷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단위;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추가의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가 각각 분리되어 제조된 후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지지층(101) 상에 제1 쿠션층(201) 및 제2 쿠션층(301)이 구비되고, 제2 쿠션층(301) 상에 추가의 지지층(501)이 구비되고, 추가의 지지층(501) 상에 표면 인쇄층(401)이 구비된 인쇄용 블랭킷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지지층(101) 상에 제1 쿠션층(201) 및 제2 쿠션층(301)이 구비된 제1 단위가 제조되고, 추가의 지지층(501) 상에 표면 인쇄층(401)이 구비된 제2 단위가 각각 제조된 후, 제1 단위와 제2 단위가 서로 결합하여 인쇄용 블랭킷이 제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 빈 공간이란, 상기 쿠션층 내부에 쿠션층을 구성하는 물질이 아닌 기체로 형성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빈 공간이란, 상기 쿠션층 내부의 기공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은 내부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인쇄시 블랭킷의 인압 마진 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인쇄층의 수명을 향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쿠션층은 블랭킷의 인쇄시 발생하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인쇄시의 발생하는 압력을 버퍼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제1 인쇄층은 내부 빈 공간에 의하여 표면의 두께 편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표면의 두께 편차는 표면 인쇄층 표면의 패턴에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어 인쇄 불량률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내부 빈 공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제2 쿠션층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함으로써, 쿠션층의 표면 편차를 거의 없도록 하여 표면 인쇄층의 인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 제2 쿠션층을 포함하여 제1 쿠션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쿠션층 표면의 낮은 두께 편차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고, 패턴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인쇄층은 사용에 의한 마모 등 인쇄 특성이 저하되어 교체가 필요하지만, 쿠션층의 경우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블랭킷 교체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를 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단위가 각각 다른 지지체 상에서 제조되어 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만의 교체가 용이하여, 블랭킷 전체를 교체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쿠션층을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 중공 미소구 또는 내부 기공에 의하여 쿠션층 표면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여 쿠션층의 표면 두께 편차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인쇄층 표면의 불균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은 물리적으로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과 인접하는 상기 제2 쿠션층의 면의 반대 면의 표면 두께 편차는 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인쇄층과 가장 가까이 구비되는 상기 제2 쿠션층의 면의 표면 두께 편차는 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과 인접하는 상기 제2 쿠션층의 면의 반대 면의 표면 두께 편차는 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의 표면 두께 편차는 상기 제2 쿠션층의 표면 두께 편차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두께 편차는 상기 제2 쿠션층 표면의 두께 편차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쿠션층 표면의 두께 편차가 매우 크게 되므로 인쇄용 블랭킷 표면의 두께 편차도 매우 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 제2 쿠션층을 제1 쿠션층 상에 구비하여 표면 인쇄층의 표면 두께 편차를 최소화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두께 편차는 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두께 편차는 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인쇄용 블랭킷 표면 두께 편차는 상기 표면 인쇄층 표면의 두께 편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인쇄층 표면의 두께 편차는 상기 표면 인쇄층의 패턴부 및 비패턴부 각각의 표면 두께 편차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와 같은 낮은 두께 편차로 인하여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선폭 1 ㎛ 이상 5 ㎛ 이하의 미세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의 공극률은 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의 공극률은 0 % 이상 5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은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이 실질적으로 없는 치밀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은 중공미소구 또는 내부 기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은 인위적으로 내부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은 내부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하지만, 제조과정상 내부 빈공간이 일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쿠션층은 실질적으로 내부 빈 공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은 중공미소구 또는 내부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미소구는 미국 특허 제4,770,928호 등에 개시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으며, 중공 미소구 전체 부피에서 상기 빈 공간이 50 부피% 이상 95 부피%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특히, 잉크에 의한 쿠션층의 스웰링 방지를 고려한다면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메트(met))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등의 중합성의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모노머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껍질체가 형성된 중공미소구가 바람직하다. 중공미소구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그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00 ㎛ 이하, 또는 4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공미소구는 액상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중공미소구의 배합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중공미소구의 배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쿠션층이 부드럽게 되어서 인쇄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서 혼합물을 원하는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내부 기공은 발포 입자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입자가 포함된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경화함에 따라, 발포 입자가 기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 입자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50 ㎛ 이상 150 ㎛ 이하의 입경의 발포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 입자를 제1 쿠션층에 첨가함으로써, 인쇄시 블랭킷의 인압 마진 영역, 즉 균일한 패턴 인쇄의 인압 범위가 더욱 확장될 수 있으며, 블랭킷의 표면 인쇄층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포 입자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수지 내에 유기 용제와 함께 포함되어 있던 미발포 입자가 열경화에 의하여 유기 용제의 기화를 통해 발포하여 기공을 형성하는 것, 또는 이미 기공을 형성한 발포 입자가 실리콘계 수지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쇄층 표면의 두께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에 의한 인쇄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쿠션층이 구비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동종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두께 평탄화층과 상기 인쇄층 간의 계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은 각각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의 쇼어 A 경도는 20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상기 제1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보다 5 내지 15 더 큰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상기 제1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보다 5 내지 15 더 크며, 상기 제1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제2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30 이상 3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쇼어 A 경도는 일반적인 고무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JIS K 6301(스프링 타입 A형) 규격을 따르며 시험 스프링 하중은 539 내지 8,379 mN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 실리콘 오일은 실리콘계 수지의 연결(chain) 사이의 공간에 오일을 포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매가 침투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은 동일한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열경화성, 실온 경화성, 촉매 경화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PDM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비는 2:1 내지 3: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는 200 ㎛ 이상 2,8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는 400 ㎛ 이상 2,000 ㎛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는 1,000 ㎛ 이상 1,5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쿠션층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쿠션층의 인압 조절 효과가 우수하며, 인쇄용 블랭킷의 각 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우수한 인쇄용 블랭킷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가 200 ㎛ 미만인 경우 제1 쿠션층의 인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2,8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아 지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는 200 ㎛ 이상 7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는 400 ㎛ 이상 6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쿠션층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쿠션층의 표면 두께 편차를 커버하여 쿠션층의 표면 두께 편차를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가 200 ㎛ 미만인 경우에는 쿠션층의 표면 단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가 700 ㎛ 초과인 경우에는 제1 쿠션층의 인압 마진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쿠션층은 쿠션층의 닙(nip)압을 완화하고 압력을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고, PDMS를 기본 물질로 하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는 상기 제2 단위 전체 두께의 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가 상기 제2 단위 전체 두께의 50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위 전체 두께의 5 %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쿠션층의 역할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는 400 ㎛ 이상 3,0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는 1,000 ㎛ 이상 2,000 ㎛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는 1,500 ㎛ 이상 1,9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는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의 총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은 각각 고분자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은 이에 접하는 층의 신축을 억제하고, 인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축성이 작은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의 인장탄성률이 1,000 MPa 이상, 특별히 2,000 내지 5,000 MPa인 수지의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으로, 비교적 유연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필름 이외에 유연하여 롤에 구김 없이 감길 수 있는 물질들, 예를 들면 동판(cuppor), 스테인레스강(SUS) 호일 등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동판(cuppor) 또는 SUS 호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우레탄계 화합물이 코팅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으로 사용되는 PET의 경우, 아무 처리되지 않은 일반 PET의 경우 프라이머와의 부착을 내기 위하여, 종래에는 플라즈마(plasma) 및 코로나(corona) 처리 등을 실시하여 프라이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의 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그 효과가 영구적이지 않으며, 표면 처리 효과가 크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PET 내에 우레탄계 화합물을 코팅한 PE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수지의 열경화시 PET 또한 유리온도(Tg) 근처의 온도에서 팽창을 일으키기 때문에, 가능하면 일반등급의 PET 보다는 열 안정성이 높은 등급(grad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일반 PET를 충분히 열이력을 제거하는 고온 노출을 실시 한 후에 지지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치수 및 위치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방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의 두께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의 두께는 각각 100 ㎛ 이상 400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 인쇄층은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표면 인쇄층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표면 인쇄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공지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표면 인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0.2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으며, 0.4 mm 이상 0.7 mm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인쇄층의 두께를 이 범위 미만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액상 실리콘 레진의 도포량을 극히 소량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레벨링(leveling)성이 저하되고, 표면 인쇄층 두께의 균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두께가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 및 상기 쿠션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부착용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층과 상기 쿠션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부착용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지지층과 상기 쿠션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추가의 지지층 및 상기 표면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부착용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지지층과 상기 표면 인쇄층의 접착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슬립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층은 상기 제2 쿠션층의 끈적임을 완화하여 상기 추가의 지지층이 상기 제1 단위 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 코팅층은 끈적이지 않고 적당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2 단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슬립 코팅층은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슬립 코팅액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실리콘 오일, 말단이 수소로 치환된 실록산 및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액은 메이어 바(mayer bar) 또는 베이커 에플리케이터(baker applicator)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슬립 코팅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오프셋 인쇄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지지층은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여 제1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추가의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여 제2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공미소구 또는 발포 입자가 혼합된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상기 지지층 상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갭 코팅(Gap Coating)법에 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갭 코팅법은 콤마(comma)형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 상단에 코팅하고자 하는 실리콘계 수지와 같은 유체를 도포하고, 지지층 상에 일정한 거리(갭)로 블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블레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층 상의 진행 방향의 폭 방향으로 일정하고 균일한 두께로 코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갭 코팅법의 적용시, 일정한 갭으로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코팅이 가능하며,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탈포하고, 상기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가열 또는 UV에 의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온은 15 ℃ 이상 25 ℃ 이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지지층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한 후, 프라이머층을 코팅하고 건조하였다. 제1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 실리콘계 수지(100 중량부)에 발포 입자(노벨사, 익스판셀 920DET)(0.58 중량부)를 첨가하고, 이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경화제(10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제1 쿠션층 형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코팅하고 약 2일간 경화시켜 두께 1,200 ㎛의 제1 쿠션층을 제조하였다. 이후, 재2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실리콘계 수지와 동일한 수지(100 중량부)를 준비한 후, 이에 경화제(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탈포하였으며, 이를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코팅하고 24시간 경화하여 두께 500 ㎛의 제2 쿠션층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메이어 바(meyer bar)를 이용하여 슬립 코팅액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약 4시간 동안 건조하여 5 ㎛ 두께의 슬립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1 쿠션층 및 제2 쿠션층을 포함하는 1,000 ㎜ × 1,600 ㎜ 면적의 쿠션층 표면 두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의 제2 쿠션층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쿠션층을 제조하였다.
도 5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1,000 ㎜ × 1,600 ㎜ 면적의 쿠션층 표면 두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비교하여 보면, 제2 쿠션층이 없는 비교예 1은 쿠션층 표면 두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약 200 ㎛ 임에 반하여, 제2 쿠션층이 있는 실시예 1의 쿠션층 표면 두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30 ㎛ 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인쇄용 블랭킷 표면의 두께 편차는 쿠션층 표면의 두께 편차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낮은 두께 편차로 인하여 보다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함을 유추할 수 있다.
101: 지지층
201: 제1 쿠션층
301: 제2 쿠션층
401: 표면 인쇄층
501: 추가의 지지층

Claims (27)

  1.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
  2.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단위; 및 상기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추가의 지지층, 및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구비된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지지층 상에 구비된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구비되는 제2 쿠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의 90 % 이상은 상기 제1 쿠션층에 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가 각각 분리되어 제조된 후 결합된 것인 인쇄용 블랭킷.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은 물리적으로 접하여 구비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과 인접하는 상기 제2 쿠션층의 면의 반대 면의 표면 두께 편차는 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의 공극률은 5 % 이상 50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의 공극률은 0 % 이상 5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은 각각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상기 제1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보다 5 내지 15 더 큰 것인 인쇄용 블랭킷.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제2 쿠션층의 쇼어 A 경도는 30 이상 35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비는 2:1 내지 3:1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의 두께는 두께는 200 ㎛ 이상 2,800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의 두께는 20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는 400 ㎛ 이상 3,000 ㎛ 이하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내부 빈 공간은 중공미소구 또는 내부 기공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1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1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구비되는 슬립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
  2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오프셋 인쇄용인 것인 인쇄용 블랭킷.
  21.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2. 지지층은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제2 쿠션층을 형성하여 제1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추가의 지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추가의 지지층 상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여 제2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 및 상기 제2 단위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2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3.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공미소구 또는 발포 입자가 혼합된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상기 제1 지지층 상에 도포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4.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갭 코팅(Gap Coating)법에 의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5.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탈포하고, 상기 액상 실리콘계 수지를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도포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6.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27.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가열 또는 UV에 의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0140161695A 2013-11-29 2014-11-19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2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03 2013-11-29
KR20130147803 2013-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54A true KR20150062954A (ko) 2015-06-08
KR101652590B1 KR101652590B1 (ko) 2016-08-30

Family

ID=5319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695A KR101652590B1 (ko) 2013-11-29 2014-11-19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0321B2 (ko)
KR (1) KR101652590B1 (ko)
CN (1) CN105992696B (ko)
TW (1) TWI561402B (ko)
WO (1) WO20150804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53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오프셋 인쇄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6110B2 (ja) * 2017-08-09 2021-10-06 藤倉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シリコーン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18260A1 (en) * 2018-12-06 2020-06-11 Jabil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to form shoe sole foa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853A (ja) * 1999-06-09 2000-12-12 Fujikura Rubber Ltd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2001328368A (ja) * 2000-05-19 2001-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用ブラン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090003883A (ko)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090020076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용 인쇄롤
KR20110004739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5738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5568A (en) * 1972-02-24 1974-03-05 Dayco Corp Compressible printing blanke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770928A (en) * 1983-12-27 1988-09-13 Day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of curing a compressible printing blanket and a compressible printing blanket produced thereby
US5352507A (en) * 1991-04-08 1994-10-04 W. R. Grace & Co.-Conn. Seamless multilayer printing blanket
US6871591B2 (en) * 2001-07-10 2005-03-29 Reeves Brothers, Inc. Spray coating method of producing printing blankets
JP2003305967A (ja) * 2002-04-17 2003-10-28 Sumitomo Rubber Ind Ltd 組合せ型印刷用ブランケット
EP1388765A3 (en) * 2002-08-09 2010-04-07 Eastman Kodak Company Sleeved fuser member
JP4041378B2 (ja) * 2002-10-28 2008-01-30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印刷用ブランケット
US20070062394A1 (en) * 2005-09-19 2007-03-22 John Damewood Thermoset printing blanket
JP5452880B2 (ja) * 2008-04-09 2014-03-26 株式会社金陽社 印刷用ゴムブランケット
KR20100138529A (ko) *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인쇄층 사이에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인쇄 블랭킷
CN102781679B (zh) * 2010-03-05 2015-07-08 株式会社秀峰 印刷用橡皮布及印刷装置以及印刷用橡皮布的制造方法
JP5320491B2 (ja) * 2011-07-13 2013-10-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用の自動二輪車用タイヤ
CN203032110U (zh) * 2013-01-17 2013-07-03 上海新星印刷器材有限公司 一种双气垫层印刷橡皮布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853A (ja) * 1999-06-09 2000-12-12 Fujikura Rubber Ltd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2001328368A (ja) * 2000-05-19 2001-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用ブラン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090003883A (ko)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090020076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용 인쇄롤
KR20110004739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5738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53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오프셋 인쇄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24A1 (ko) 2015-06-04
US20160243873A1 (en) 2016-08-25
US10150321B2 (en) 2018-12-11
KR101652590B1 (ko) 2016-08-30
CN105992696B (zh) 2019-02-19
TWI561402B (en) 2016-12-11
TW201534491A (zh) 2015-09-16
CN105992696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00B1 (ko)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RU269529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тампа с рисунком, штамп с рисунком и способ отпечатывания
KR101652590B1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54158B2 (en) Blank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lanket manufacturing method
KR101251786B1 (ko)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62892B1 (ko)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미세 패턴
KR101365432B1 (ko) 슬립층이 구비된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1455B1 (ko) 인쇄용 블랭킷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8529A (ko) 표면인쇄층 사이에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인쇄 블랭킷
KR101430998B1 (ko) 연질의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전 옵셋 인쇄 방법
KR101810731B1 (ko)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KR20110024032A (ko)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739A (ko)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26248A (ja) シリコーンブランケット
CN101992623B (zh) 印刷方法及其使用的溶剂吸收体
CN102385083B (zh) 毯及其制造方法、和滤色器衬底及其制造装置和方法
KR101385850B1 (ko) 두께 균일도가 향상된 패턴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4523056B2 (ja) 転写体の製造法
KR20160037815A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5542018B2 (ja) シリコーンブランケット
JP2011056849A (ja) シリコーンブランケット
JP2006312282A (ja) 印刷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KR20100085533A (ko) 쿠션층의 슬립성이 향상된 인쇄용 블랭킷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35840A (ko) 용제 흡수체
KR20110015364A (ko) 인쇄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용제 흡수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