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199A -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199A
KR20150036199A KR1020157002013A KR20157002013A KR20150036199A KR 20150036199 A KR20150036199 A KR 20150036199A KR 1020157002013 A KR1020157002013 A KR 1020157002013A KR 20157002013 A KR20157002013 A KR 20157002013A KR 20150036199 A KR20150036199 A KR 2015003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flavor
composition
sweetness
ch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히로 오자키
마사히로 다니
도모하루 이이다
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5003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44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corms, tubers or roots, e.g. glucomann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추잉 검 제품 등의 식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감미 및 향미의 지속성을 높이는 기술의 제공. 타마린드 시드 검 및 글루코만난 등의 증점 다당류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Description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FOOD COMPOSITION WITH IMPROVED FLAVOR PERSISTENCE}
본원 발명은 추잉 검 제품 등의 식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풍미 및 향미의 지속성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추잉 검 제품에 있어서의 중요 과제인 「향미 지속성의 향상」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특히 추잉 검에 있어서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향미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오랜 세월의 과제로 되어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여러 시도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분말상 또는 글리세린 혹은 물엿에 분산된 액상의 글루코만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의치, 치과 재료에 대한 비부착성 점탄성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분말상 또는 글리세린 혹은 물엿에 분산된 액상의 글루코만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의치, 치과 재료에 대한 점탄성 식품의 부착 방지제에 의해, 치아 등에 잘 부착되지 않고, 점탄성 식품의 소기 식감, 풍미 및 그 지속성을 저해하지 않는 부착 방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비부착성 점탄성 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저작감, 풍미 지속성, 일자 경과 안정성 중 어느 것인가에 여전히 문제가 있고, 특히 풍미 지속성이 우수한 추잉 검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미리 검 베이스를 산미료 및 고감미도 감미료 중 적어도 일방과 소정 온도에서 가열 혼합하여, 정미 (呈味) 흡착 검 베이스를 제작하고, a) 당해 정미 흡착 검 베이스를 당질과 혼합한 후에 당질을 가열 용융시키고, 그 후 냉각시켜 소정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드제를 첨가 혼합하거나, 또는, b) 당질을 가열 용융시키고, 그 후 냉각시켜 소정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드제와 당해 정미 흡착 검 베이스를 첨가하고, 얻어진 당질, 정미 흡착 검 베이스 및 시드제를 함유하는 유동성 추잉 검 생지를 성형형에 충전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지속성의 추잉 검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미 지속성의 추잉 검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봉입 재료와 향미료를 함유하고, 상기 봉입 재료 중에는 7 이상의 HLB 를 갖는 적어도 1 종류의 계면 활성제가 봉입되어 있고, 상기 봉입 재료는 폴리에틸렌,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락트산,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세트산프탈산비닐,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메타크릴산-co-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 폴리머 및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향미의 방출을 증대시킨 추잉 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에는, 2,000 ∼ 14,000 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유화제로 형성된 피복 중에 감미료가 포착된 감미료 송출계를 포함하는, 향미 지속성이 우수한 추잉 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5 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다관능성 카르복실레이트로 가교된 낮은 수용성의 매트릭스를 사이징한 후, 향미제를 배합시킨 매트릭스 조성물을 추잉 검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향미 지속 시간을 장기화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 특허문헌 5 의 추잉 검은 모두 매우 번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향미 지속성을 갖는 추잉 검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6 에는, 향미 물질을 첨가한 퐁당을 사용한 향미 지속성 추잉 검이 개시되어 있고, 또, 특허문헌 7 에는, 젤라틴과 타닌을 반응시킬 때에 감미료를 배합하여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감미 지속성 추잉 검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8 에는, 연질 PVA (폴리아세트산비닐) 검 베이스와, 아스파탐 등의 강력 감미료, 당류·당 알코올 등의 증량 감미료를 함유하는, 장시간 지속되는 감미를 갖는 추잉 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9 에는, 미생물의 균체 내에 감미료 등의 외인성 물질을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한 향미 지속성 추잉 검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10 에는, 수크랄로오스 및 토마틴을 공존시켜, 감미 및/또는 향미의 지속성이 향상된 추잉 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6 ∼ 특허문헌 10 의 추잉 검은 모두 미약한 감미나 향미가 장시간 지속되는 것으로, 강한 감미나 향미가 지속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호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302256호 일본 재공표특허공보 WO2007/100055호 일본 특허공보 제4751445호 일본 특허공보 제2610628호 일본 특허공보 제3667640호 일본 특허공보 소61-11575호 일본 특허공보 제2788646호 일본 특허공보 제3026816호 일본 특허공보 제3885195호 일본 특허공보 제4579050호
글루코만난 및 타마린드 시드 검을 함유하는 「증점 다당류」를 사용함으로써, 추잉 검의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식물 (可食物) 에 증점 다당류, 특히 글루코만난 (가식물 중 0.1 ∼ 3 %) 또는 타마린드 시드 검 (가식물 중 0.1 ∼ 3 %) 을 배합함으로써, 향미 및 감미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추잉 검 등의 식용 조성물에 대해, 간편하고 또한 저렴한 방법으로 강한 감미의 지속, 그리고 강한 향미의 지속을 발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매우 기호성이 높은 식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추잉 검 조성물의 감미 지속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추잉 검 조성물의 향미 지속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 발명은 증점 다당류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증점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및 글루코만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또, 본원 발명은 식용 조성물 중의 상기 증점 다당류의 배합률이 0.1 중량% ∼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식용 조성물이 추잉 검 조성물, 캔디 조성물, 타정 과자 조성물, 음료, 영양 보조 식품, 트로키제, 추어블정, 의약품 조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또,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용 조성물은 판검이나 입방체상의 검, 직방체상의 검, 볼 형상 검, 당의 검, 센터 리퀴드 검, 센터 파우더 검 등, 추잉 검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추잉 검 조성물의 형태 이외에도, 캔디 조성물, 타정 과자 조성물, 음료, 영양 보조 식품, 트로키제, 추어블정, 의약품 조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용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용 조성물이 추잉 검 조성물인 경우, 검 제조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작할 수 있다. 원료를 혼합시킨 후, 압연, 성형을 실시하여 제조한다. 또, 필요에 따라 당의를 실시하거나, 내부 충전을 실시하거나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감미료 (당류를 함유한다) 의 예로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당 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소르보오스, 프룩토오스, 람노오스, 리보오스, 이성화액당,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의 단당류;이소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룰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네오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말토오스, 멜리비오스, 락툴로오스,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오스 등), 올리고-N-아세틸글루코사민, 갈락토실수크로오스, 갈락토실락토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글루코피라노오스,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등), 겐티오올리고당 (겐티오비오스, 겐티오트리오스, 겐티오테트라오스 등), 스타키오스, 테안데올리고, 니게로올리고당 (니게로오스 등), 팔라티노오스올리고당, 팔라티노오스 시럽, 프락토올리고당 (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등), 푸락토푸라노실니스토오스, 폴리덱스트로오스, 말토실-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스, 테트라오스, 펜타오스, 헥사오스, 헵타오스 등), 라피노오스, 설탕 결합 물엿 (커플링 슈거), 대두 올리고당, 전화당, 물엿 등의 올리고당류;이소말티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트리이톨, 만니톨, 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티오올리고당,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등의 당 알코올;α-글루코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알리탐, 감초 추출물 (글리시리진), 글리시리진산삼암모늄, 글리시리진산삼칼륨, 글리시리진산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이암모늄, 글리시리진산이칼륨, 글리시리진산이나트륨, 쿠르쿨린,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시클라메이트, 수크랄로오스, 스테비아 추출물, 스테비아 분말, 둘신, 타우마틴 (토마틴), 천량차 추출물, 나이지리아 베리 추출물, 네오탐, 네오헤스페리딘디하이드로칼콘, 푸락토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브라질 감초 추출물, 미라클 푸르트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효소 처리 감초, 효소 분해 감초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그 외 벌꿀, 과즙, 과즙 농축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감미료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및 당 알코올류에 대해서는, 추잉 검 조성물에 배합시키는 경우, 50 ∼ 70 중량%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해서는, 추잉 검 조성물에 배합시키는 경우, 0 ∼ 2 중량%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증점 다당류의 예로는, 아우레에오바시듐 배양액, 숙시노글리칸, 아세틸화아디프산 가교 전분, 아세틸화 산화 전분, 아세틸화인산 가교 전분, 아마 시드 검, 아라비아 검, 아라비노갈락탄, 알긴산,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알로에베라 추출물, 웰란 검, 엘레미 수지, 옥테닐숙신산전분나트륨, 오크라 추출물, 키토산올리고당, 커들란, 해조 셀룰로오스, 카시아 검, 갈조 추출물, 가티 검, 카라기난, 카라야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로커스트 빈 검, 잔탄 검, 알로에 아르보레센스 추출물, 키틴, 키토산, 구아 검, 구아 검 효소 분해물, 글루코사민, 글루텐, 글루텐 분해물, 효모 세포벽, 구약나물 구근 추출물 (글루코만난), 사이리움 시드 검, 아세트산 전분, 고구마 셀룰로오스, 아르테미시아 스페로케팔라 시드 검, 산화 전분, 젤란 검, 스클레로 검, 세스바니아 검, 대두 다당류, 타마린드 시드 검, 타라 검, 담마 수지, 덱스트란,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전분인산에스테르나트륨, 트래거캔스 검, 닥풀, 코코넛 밀크, 낫토균 검, 미소 결정상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화인산 가교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푸르셀라란, 불레기말 추출물, 풀루란, 펙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마크로호모프시스 검, 만난, 메틸셀룰로오스, 복숭아 수지, 람산 검, 인산 가교 전분, 인산화전분, 인산모노에스테르화인산 가교 전분, 레반, 레넷 카세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 다당류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증점 다당류에 대해서는, 추잉 검 조성물에 배합시키는 경우, 0.1 ∼ 3.0 중량%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향료의 예로는, 오렌지유, 레몬유, 그레이프프루트유, 라임유, 탄제린유, 만다린유 등의 감귤 정유류, 페퍼민트유, 스피어 민트유와 같은 민트 정유류, 올스파이스, 아니스 시드, 바질, 로렐, 카더몬, 샐러리, 클로브, 시나몬, 커민, 딜, 갈릭, 파슬리, 메이스, 머스타드, 어니언, 파프리카, 로즈메리, 페퍼와 같은 공지된 스파이스 정유류 또는 올레오레진류, 리모넨, 리날롤, 네롤,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시트랄, L-멘톨, 오이제놀, 신나믹알데히드, 아네톨, 페릴라알데히드, 바닐린, γ-운데카락톤, 카프로산알릴, L-카르본, 말톨 등과 같은 공지된 단리, 또는 합성 향료, 및, 이들 감귤 정유류, 민트 정유류, 스파이스 정유류 또는 단리·합성 향료를 목적에 따른 비율로 혼합한 시트러스 믹스, 믹스 민트, 각종 프루트 등을 표현시킨 조합 향료를 들 수 있고, 그 외에, 검용 유용성 기제인 카로틴, 클로로필, 토코페롤 등을 함유해도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 예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료에 대해서는, 추잉 검 조성물에 배합시키는 경우, 0 ∼ 3 중량%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샘플의 조제)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각 원재료로 이루어지는 이하의 4 종의 추잉 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Ⅰ) 증점 다당류 배합 없음 (컨트롤)
(Ⅱ) 타마린드 시드 검 배합
(Ⅲ) 글루코만난 배합
(Ⅳ) 타마린드 시드 검, 글루코만난 배합
(TI 법 (Time Intensity 법) 을 사용한 지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 방법에 대하여)
강도 (맛의 세기) 를 세로축에, 시간을 가로축에 취하고, 임의의 정미 (또는 정미 전체) 의 강도를 시간과 함께 플롯하여 곡선을 얻는다. 이 곡선을 기초로, 평가하는 샘플의 정미 밸런스를 보거나, 조미료 등의 첨가 효과를 표현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가 방법 상세〉
〔평가 방법〕
저작은 메트로놈을 사용하여 80 회/min 의 페이스로 실시하였다. 편저작, 양쪽 저작 등, 씹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고, 각자의 자유로 하였다. 감미 및 향미를 각각 별도로 평가하였다. 감미 및 향미의 강도는 평가 패널의 강도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또한, 훈련된 전문 패널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미의 지속 평가에 대하여)
TI 법을 사용하여, 전문 패널 6 명으로 감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 1 장당 2.5 g 으로 조정한 샘플을 1 장만 저작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미 강도의 수치는 컨트롤 ((Ⅰ) 증점 다당류 없음) 의 감미 피크치를 8, 감미가 완전히 없어진 값을 0 으로 하였다. 메트로놈을 사용하여 80 회/min 의 페이스로 저작을 실시하고, 감미 강도를 0 ∼ 10 의 11 단계의 정수치로 평가하였다. 샘플을 입에 넣었을 때를 기점 (0 초) 으로 하여, 감미 강도에 대해 10 초마다 플롯하여 곡선을 얻었다.
얻어진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의 결과에 있어서, 감미 강도가 「1」인 상태는 감미가 약간 지각되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그 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감미의 지속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때문에, 감미가 비교적 강하게 지각되는 감미 강도가 「2」이상이 되는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감미의 지속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컨트롤 (Ⅰ) 과 비교하여, 증점 다당류인 타마린드 시드 검을 배합한 (Ⅱ) 는 저작 개시 후 50 초 ∼ 5 분에 있어서, 증점 다당류인 글루코만난을 배합한 (Ⅲ) 은 저작 개시 후 50 초 ∼ 5 분 40 초에 있어서, 타마린드 시드 검과 글루코만난을 양방 배합한 (Ⅳ) 는 저작 개시 후 50 초 ∼ 5 분 50 초에 있어서, 각각 감미 강도가 증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점 다당류에 의한 추잉 검의 감미 지속 효과에 관한 통계 해석)
글루코만난 등의 증점 다당류를 배합한 추잉 검에 감미 증강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전술한 도 1 의 데이터에 대해 통계 해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해석)
샘플 2 품간의 평균치의 차이에 유의차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평균치의 차이의 검정 (t 검정) 을 실시하였다. 패널은 양 샘플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대응이 있는 평균치의 차이의 검정 (대응이 있는 t 검정) 으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평가 결과)
(Ⅱ) 의 감미 강도는 (Ⅰ) 에 비해 2 분 (p < 0.05), 4 분 (p < 0.05), 5 분 (p < 0.05) 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Ⅲ) 의 감미 강도는 (Ⅰ) 에 비해, 1 분 (p < 0.05), 2 분 (p < 0.05), 3 분 (p < 0.01), 4 분 (p < 0.01), 5 분 (p < 0.05), 5 분 30 초 (p < 0.05) 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Ⅳ) 의 감미 강도는 (Ⅰ) 에 비해, 1 분 (p < 0.05), 2 분 (p < 0.01), 3 분 (p < 0.01), 4 분 (p < 0.01), 5 분 (p < 0.05), 5 분 30 초 (p < 0.05) 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컨트롤 (Ⅰ) 과 비교하여, 증점 다당류인 타마린드 시드 검을 배합한 (Ⅱ) 는 저작 개시 후 2 분 그리고 4 분 ∼ 5 분에 있어서, 증점 다당류인 글루코만난을 배합한 (Ⅲ) 은 저작 개시 후 1 분 ∼ 5 분 30 초에 있어서, 타마린드 시드 검과 글루코만난을 양방 배합한 (Ⅳ) 는 저작 개시 후 1 분 ∼ 5 분 30 초에 있어서, 감미 강도가 유의하게 증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글루코만난이나 타마린드 시드 검 등의 증점 다당류를 배합한 추잉 검을 저작한 경우, 저작 개시 후 1 분 ∼ 5 분 30 초에 있어서 강한 감미가 지각되고, 감미가 강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유의한 차를 갖고 나타났다.
(향미의 지속 평가에 대하여)
TI 법을 사용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3 명으로 향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향미란, 감미 및 플레이버의 종합적인 강도로 하였다. 각각 1 장당 2.5 g 으로 조정한 샘플을 1 장만 저작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향미 강도의 수치는 컨트롤 ((Ⅰ) 증점 다당류 없음) 의 향미 피크치를 10, 향미가 완전히 없어진 값을 0 으로 하였다. 감미 강도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메트로놈을 사용하여 80 회/min 의 페이스로 저작을 실시하고, 향미 강도를 0 ∼ 10 의 11 단계의 정수치로 평가하였다. 샘플을 입에 넣었을 때를 기점 (0 초) 으로 하여, 향미 강도에 대해 1 분마다 플롯하여 곡선을 얻었다.
얻어진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의 결과에 있어서, 향미 강도가 「1 ∼ 2」인 상태는 향미가 약간 지각되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그 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향미의 지속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때문에, 향미가 비교적 강하게 지각되는 향미 강도가 「3」이상이 되는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향미의 지속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컨트롤 (Ⅰ) 과 비교하여, 증점 다당류인 타마린드 시드 검을 배합한 (Ⅱ) 는 저작 개시 후 3 분 ∼ 8 분에 있어서, 증점 다당류인 글루코만난을 배합한 (Ⅲ) 은 저작 개시 후 2 분 ∼ 8 분에 있어서, 타마린드 시드 검과 글루코만난을 양방 배합한 (Ⅳ) 는 저작 개시 후 2 분 ∼ 8 분에 있어서, 각각 향미 강도가 증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글루코만난이나 타마린드 시드 검 등의 증점 다당류를 배합한 추잉 검을 저작한 경우, 저작 개시 후 2 분 ∼ 8 분에 있어서 강한 향미가 지각되고, 향미가 강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나타났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글루코만난 및 타마린드 시드 검에서 선택되는 증점 다당류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또한 저렴한 방법으로 추잉 검의 강한 감미의 지속, 그리고 강한 향미의 지속을 발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매우 기호성이 높은 추잉 검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추잉 검뿐만 아니라, 캔디 조성물, 타정 과자 조성물, 음료, 영양 보조 식품, 트로키제, 추어블정, 의약품 조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용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2년 7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156665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5)

  1. 증점 다당류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및 글루코만난에서 선택되는 식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 다당류의 배합률이 식용 조성물 중 0.1 중량% ∼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조성물이 추잉 검 조성물, 캔디 조성물, 타정 과자 조성물, 음료, 영양 보조 식품, 트로키제, 추어블정, 의약품 조성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57002013A 2012-07-12 2013-07-11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KR20150036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6665A JP2014018087A (ja) 2012-07-12 2012-07-12 香味持続性を向上させた食用組成物
JPJP-P-2012-156665 2012-07-12
PCT/JP2013/004285 WO2014010244A1 (ja) 2012-07-12 2013-07-11 香味持続性を向上させた食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199A true KR20150036199A (ko) 2015-04-07

Family

ID=4991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013A KR20150036199A (ko) 2012-07-12 2013-07-11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018087A (ko)
KR (1) KR20150036199A (ko)
TW (1) TW201420019A (ko)
WO (1) WO2014010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1968A (ja) * 2014-12-16 2016-06-23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スポーツ飲料
CN110393692B (zh) * 2019-09-04 2023-03-31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拉丝植物增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858A (en) * 1978-10-12 1980-04-14 Kanebo Shokuhin Kk Soft chewing gum
JPH06303911A (ja) * 1993-04-16 1994-11-01 Kanebo Ltd チューインガムの製法
JP3659775B2 (ja) * 1997-09-04 2005-06-15 森永製菓株式会社 ゼリー様飲食品
JP4302256B2 (ja) * 1999-09-29 2009-07-22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非付着性粘弾性食品と付着防止方法
JP2001275600A (ja) * 2000-03-30 2001-10-09 Tajimaya Shokuhin Kk 豆乳チーズの製造方法
JP4035390B2 (ja) * 2001-07-12 2008-01-23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液状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7719B2 (ja) * 2001-12-13 2008-04-23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6259B2 (ja) * 2002-09-30 2011-08-10 森永製菓株式会社 低離水性ゲル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1419A (ja) * 2004-09-14 2006-03-30 Sanei Gen Ffi Inc ハイドロコロイドの粘度を増加させる方法及び増粘組成物
JP2008048602A (ja) * 2004-12-06 2008-03-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水分散性セルロースと少なくとも1種の多糖類を含有する増粘剤
JP4579783B2 (ja) * 2005-07-06 2010-11-10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乳酸菌含有打錠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61309A (ja) * 2008-04-24 2009-11-12 Ina Food Industry Co Ltd ゲル含有飲食品
JP2010081807A (ja) * 2008-09-29 2010-04-15 Kracie Foods Ltd 粉末打錠チューインガム用口中成形剤及び粉末打錠チューインガムの口中崩壊感防止方法
JP2011254709A (ja) * 2010-06-05 2011-12-22 Taiyo Kagaku Co Ltd 食品品質改良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0019A (zh) 2014-06-01
JP2014018087A (ja) 2014-02-03
WO2014010244A1 (ja)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7145B2 (ja) 経口摂取又は経口使用のための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化合物、組成物、及び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溶解度を増強するための方法
AU2011252754B2 (en) Flowable liquid composition
WO2010124870A1 (de) Konzentrierte, cremige bis feste und trockene zusammensetzungen einer öl-in-wasser-emulsio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sensorisch und ernährungsphysiologisch verbesserter nahrungsmittel
KR101973825B1 (ko) 향신료 추출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
CN105072924A (zh) 封装的胞浆分离的微生物体颗粒
WO2014148044A1 (ja) 知覚過敏緩和用口腔組成物
WO2018190310A1 (ja) 品質改善剤並びにその用途
US20060177553A1 (en) Method of powdering nonsugar component and powdering base
JP4044128B1 (ja) タンパク質含有液状組成物用増粘化剤
EP3603418A1 (en) Method for producing preparation containing thickening polysaccharide
CN102458146A (zh) 挤出颗粒
KR20150036199A (ko) 향미 지속성을 향상시킨 식용 조성물
US20230148642A1 (en) Sweetener formulations
JP2010227042A (ja) 餅様の食感と風味を有する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91762A (ja) チュアブル錠用組成物及びチュアブル錠
KR102191355B1 (ko)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JP4994336B2 (ja) パン
WO2017047804A1 (ja) 増粘多糖類含有製剤の製造方法
JP5507253B2 (ja) 「ナキ」の抑制されたラクトスクロース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とその製造方法
JP6133037B2 (ja) ポーラス状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18606B2 (ja) 水溶性物質の徐放組成物
WO2014057637A1 (ja) 空腹感を緩和する組成物
JP2006193662A (ja) 増粘組成物用添加剤
WO2017047803A1 (ja) 増粘多糖類含有製剤の製造方法
JP2006081420A (ja) 高糖度ゲル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