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674A - 캡 및 캡부 구조 - Google Patents

캡 및 캡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674A
KR20150034674A KR20147023070A KR20147023070A KR20150034674A KR 20150034674 A KR20150034674 A KR 20150034674A KR 20147023070 A KR20147023070 A KR 20147023070A KR 20147023070 A KR20147023070 A KR 20147023070A KR 20150034674 A KR20150034674 A KR 20150034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inlet
container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503B1 (ko
Inventor
노부히토 나카가와
와타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 B65B47/06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using fold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및 용기의 캡부 구조는, 유개통형상의 계량부(21)에서의 용기 외방으로 돌출하는 덮개부(21a)측의 주벽부(21b)를 덮는 외각부(23)를 구비하고, 외각부(23)가 계량부(21)의 덮개부(21a)측의 주벽부(21b)를 캡 둘레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캡 외방으로 노출시키는 노치부(27)를 갖는다.

Description

캡 및 캡부 구조{CAP AND CAP POR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캡 및 용기의 캡부(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7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2012-148401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세제, 액체 표백제, 액체 유연제, 용제 등의 액상물이나, 입상 세제, 입상 표백제, 입상 조미료 등의 분립물(粉粒物)을 수납하는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口部)에 캡을 나합(螺合)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캡의 착탈에 의해 입구부를 개폐시킨다. 상기 캡의 중에는, 유개통형상(有蓋筒狀)의 계량부(計量部)의 외주에 나합통부(螺合筒部)를 배치하고, 계량부에서의 나합통부보다도 상방(용기 외방)에 위치한 주벽부(周壁部)를 외각부(外殼部)로 덮어서 이중구조로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경우, 단순한 통형상의 계량부의 외관에 둥그스름함을 갖게 하는 등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152639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 비교적 대경의 나합통부의 외면이 아니라, 그 상방의 외각부의 외면을 파지하고 캡을 회전시키는 사용자가 드문드문 보인다. 그러나, 외각부가 둥그스름함이 있는 외관의 경우는 특히,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운 것이 생각되고, 캡의 개폐하기 쉬움의 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또한, 계량부의 주벽부의 내주면에는 각인(刻印)이나 인자(印字)에 의한 계량 눈금이 기재되는데, 캡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도, 계량부의 주벽부가 외각부로 덮여진 이중 구조인 경우에는, 캡 외방에서 계량 눈금이 시인되기 어렵고, 이 점에서도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및 용기의 캡부 구조에 있어서, 캡의 개폐하기 쉬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 내측의 계량 눈금의 시인하기 쉬움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개통형상의 통 내에 구비된 유개통형상의 주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에 대해 회전 조작에 의해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외주를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계합부는, 상기 계합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고정한 때에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단(端)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각부가, 상기 주벽부의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한 부위 중 일부를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으로 캡 외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된 노치부를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는, 이 양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회전 조작을 수반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계합하고, 상기 본체부의 덮개부측의 주벽부가 용기 외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그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고정하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덮개부측의 주벽부의 외주를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부가, 상기 본체부의 덮개부측의 주벽부를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캡 외방으로 노출시키는 노치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서는, 제1의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가, 상기 본체부의 통형상의 중심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양태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노치부가, 상기 입구부의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하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서는, 제1 또는 제2의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에,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따라 입벽부(立壁部)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서는, 제1부터 제3의 어느 하나의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본체부의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계량 눈금을 기재한 계량부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상기 주벽부에서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캡 외방으로 노출하는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양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1부터 제3의 어느 하나의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계량 눈금을 기재한 계량부가 되고, 적어도 상기 주벽부에서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캡 외방으로 노출하는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에서는, 제1부터 제4의 어느 하나의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계합부가, 상기 입구부에 나합에 의해 계합 가능한 나선형상의 회전 계합부 나사산(山)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가, 상기 회전 계합부에 나합에 의해 계합 가능한 나선형상의 입구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양태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회전 계합부가, 상기 입구부에 나합에 의해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6의 양태에서는, 제5의 양태의 캡을 구비하는 용기의 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계합부 나사산 또는 상기 입구부 나사산의 적어도 일방의 나합 종단부에, 타방의 나합 선단부를 상기 캡의 둘레 방향으로 부딪치게 하여 상기 캡의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양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5의 양태의 캡을 구비하는 용기의 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캡에 마련되는 당접부(當接部)를 상기 입구부에 마련되는 피당접부에 당접시켜서, 상기 캡의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7의 양태에서는, 상기 규정부가, 상기 회전 계합부 나사산 또는 상기 입구부 나사산의 상기 나합 종단부에 나합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으로 연설(延設)된 당접부에서, 상기 나합 연설선단부에 대해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8의 양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개통형상의 통 내에 구비된 유개통형상의 주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에 대해 회전 조작에 의해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외주를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계합부는, 상기 계합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고정한 때에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단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의 다른 측면에서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회전 조작을 수반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계합하고, 상기 본체부의 덮개부측의 주벽부가 용기 외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그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고정하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덮개부측의 주벽부의 외주를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의하면, 캡에 외각부를 마련함에 의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임과 함께, 외각부의 노치부를 손가락걸기부(指掛部)로 하여 캡의 파지나 토오크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캡의 회전 조작을 하기 쉽게 하여 입구부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캡의 본체부에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부를 마련하는 경우, 주벽부의 노치부에서의 노출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면, 주벽부가 전둘레에 걸쳐서 외각부에 덮여진 이중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본체부 내의 계량 눈금이나 내용물이 시인하기 쉽게 되어, 캡의 계량구로서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의하면, 캡에 마련된 한 쌍의 노치부에 의해, 캡을 손가락으로 손잡기 쉽게 하고, 또한 주벽부의 노출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 의하면, 캡에 입벽부를 마련함에 의해 회전 조작의 토오크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캡의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 의하면, 캡의 주벽부의 노치부에서의 노출 부분에서 계량 눈금이나 계량부 내의 내용물을 시인하기 쉽게 하여, 캡의 계량구로서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에 의하면, 캡의 외각부의 노치부를 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입구부에의 나합 조작을 하기 쉽게 하여, 캡의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양태에 의하면, 캡의 나합 조작하기 쉬움에 수반하는 너무 죄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양태에 의하면, 다른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가공하기 쉽고 간이하며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에 의해 너무 죄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의 양태에 의하면, 캡에 마련된 외각부에 의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임과 함께, 외각부를 피한 부위를 손가락걸기부로 하여 캡의 파지나 토오크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캡의 회전 조작을 하기 쉽게 하여 입구부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캡의 본체부에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부를 마련하는 경우, 주벽부의 외각부를 피한 부위에서의 노출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면, 주벽부가 전둘레에 걸쳐서 외각부에 덮여진 이중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본체부 내의 계량 눈금이나 내용물이 시인하기 쉽게 되고, 캡의 계량구로서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계량 캡 부착 용기의 캡 주변의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계량 캡 부착 용기의 계량 캡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계량 캡을 C1 축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상기 계량 캡의 외각부측을 본체부의 원통형상에서의 지름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상기 계량 캡의 노치부측을 본체부의 원통형상에서의 지름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VI-VI 단면도.
도 7은 상기 계량 캡의 제1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상기 계량 캡의 제2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계량 캡의 제3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계량 캡이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상기 규정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계량 캡 부착 용기(용기)(1)의, 입구부를 위를 향하여 놓은 표준적인 상태(이하, 정립상태(正立狀態))의 정상부(頂部)의 종단면도이다. 계량 캡 부착 용기(1)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서의 상기 정상부에 위치하는 입구부(3)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계량 캡(캡)(20)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일반적으로 내용물로서 액체 세제, 액체 표백제, 액체 유연제, 용제 등의 액상물이나, 입상 세제, 입상 표백제, 입상 조미료 등의 분립물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 본체(2)의 입구부(3)는, 중공의 보틀체(4)의 내구부(內口部)(5)와, 상기 내구부(5)에 장착된 노즐 캡(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틀체(4)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캡(6)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계량 캡(2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내구부(5)는, 용기 본체(2)의 상하 방향에 따른 원통형상을 하고 있다. 보틀체(4)의 내부 공간(K1)은, 이 내구부(5)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정립상태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노즐 캡(6)은, 개략 유저통형상(有底筒狀)으로 구성되고, 이 내구부(5)에 대해, 이 내구부(5)의 상방부터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 캡(6)의 내면이 내구부(5)의 외면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량 캡(20)은, 개략 유개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노즐 캡(6)에 대해 이 노즐 캡(6)의 상방부터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의 내면이 노즐 캡(6)의 외면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구부(5), 노즐 캡(6) 및 계량 캡(20)은, 상기 정립상태의 상하 방향에 따라 계량 캡(20)의 통형상에서의 개략 중심축에 해당하는 축선(C1)(이하, 단지 축선(C1)이라고 한다)을 공유하고 있다. 이하, 축선(C1)에 따른 방향을 캡 축방향, 축선(C1)에 직교한 방향을 캡 지름 방향, 축선(C1) 중심의 주회(周回) 방향을 캡 둘레 방향이라고 칭한다. 캡 축방향에서의 내구부(5)의 개방측을 보틀 상방, 내구부(5)의 보틀 내방측을 보틀 하방이라고 칭한다.
노즐 캡(6)은, 내구부(5)에 캡 둘레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을 가함에 의해 나합되는 본체측 나합통부(7)와, 본체측 나합통부(7)의 보틀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캡 지름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고리형상(環狀)의 본체측 플랜지부(8)를 갖고 있다. 노즐 캡(6)은, 본체측 플랜지부(8)의 내주방(內周方)에서 보틀 하방으로 팽출하여 내구부(5) 내로 들어가는 유저원통형상의 삽입부를 갖고 있다. 삽입부(9)에는, 보틀 하방으로 볼록한 V자형상으로 형성된 저벽부(9a)와, 이 저벽부(9a)의 일방의 경사면부터 보틀 상방으로 단면 U자형상을 하고 늘어나는 통부(桶部)(10)가 구비되어 있다. 노즐 캡(6)은, 본체측 플랜지부(8)의 캡 지름 방향 중간부로부터 보틀 상방으로 기립하는 원통형상의 외구부(外口部)(11)와, 본체측 플랜지부(8)의 캡 지름 방향 중간부로부터 보틀 하방으로 수하(垂下)하여 내구부(5)의 내주에 밀접(密接)하는 원통형상의 본체측 실-립부(12)를 갖고 있다. 도면 중 부호 S1은 삽입부(9)에서의 원통형상의 주벽부(9b)와 통부(10)의 저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부호 13은 저벽부(9a)의 일방의 경사면부터 최하단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보틀체(4)의 내부 공간(K1)을 개구시키는 개구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내구부(5)의 외주에는 제1 나사산(5a)이 나선형상으로 돌설되고, 본체측 나합통부(7)의 내주에는 제1 나사산(5a)을 나합시키도록 구성된 제2 나사산(7a)이 나선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외구부(11)의 외주에는 제3 나사산(입구부 나사산)(11a)이 나선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은, 보틀 상방부터 신장하여 통부(10)를 수용하도록 삽입부(9) 내로 들어가는 유개원통형상의 본체부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본체부의 후술하는 주벽부(21b)가 내주면에 계량 눈금을 마련함으로써, 본체부가 그대로 계량부(21)로 되어 있다. 계량 캡(20)은, 캡 축방향에서 계량부(21)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계량부(21)로부터 외주방(外周方)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캡측 나합통부(회전 계합부)(22)를 갖고 있다. 계량 캡(20)은, 계량부(21)의 덮개부(21a)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계량부(21)의 주벽부(21b)의 외주를 덮도록 연장되고, 캡측 나합통부(22)의 보틀 상방까지 늘어난 외각부(23)를 갖는다. 계량 캡(20)은, 캡측 나합통부(22)의 보틀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캡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계량부(21)의 캡 축방향 중간부 또는 외각부(23)의 하단 연부에 접속되는 캡 측 플랜지부(24)를 갖는다. 캡(20)은, 캡 측 플랜지부(24)의 캡 지름 방향 내측부터 보틀 하방으로 수하하여, 노즐 캡(6)의 외구부(11)의 내주에 밀접하는, 원통형상의 캡 측 실-립부(25)를 갖고 있다. 도면 중 부호 S2는 계량부(21)의 주벽부(21b)와 외각부(23)와의 사이의 간극을 나타내고 있다.
계량 캡(20)의 캡측 나합통부(22)의 내주에는, 상술한 제3 나사산(11a)을 나합시키는 제4 나사산(회전 계합부 나사산)(22a)이 나선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제3 나사산(11a)에 대해 제4 나사산(22a)을 나합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회전 계합부(22)가 본체부(21)에 대해 회전 조작에 의해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량부(21)의 덮개부(21a)는, 보틀 상방으로 볼록한 돔형상을 하고, 이 덮개부(21a)의 외주연부로부터 외각부(23)가 보틀 하방을 향하여 만곡하면서 늘어나 있다. 덮개부(21a) 및 외각부(23)는 연속하는 구형상(球狀)의 일부의 외면을 형성하고, 캡 상부에 둥그스름함이 있는(표면이 곡면 형상을 갖는)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축선(C1)과 평행한 단면(종단면, 도 1 참조)에서, 계량부(21) 내에서 덮개부(21a)와 주벽부(21b)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예를 들면 95° 내지 120°,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110°)이다. 이 덮개부(21a)와 주벽부(21b)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임으로써, 계량부(21) 내에서의 액상의 내용물의 액 나며지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21a)의 외면에는, 계량부(21)의 개방단부(21c)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계량 캡(20)을 재치할 때의 다리가 되는 접지볼록부(接地凸部)(26)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볼록부(26)는,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5개 형성되어 있다. 접지볼록부(26)의 수는, 계량 캡(20)을 안정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 있으면 좋고, 기준으로서는 3개 내지 9개 정도 설치된다. 접지볼록부(26)의 수는, 홀수개인 쪽이 짝수개보다도 접지볼록부(26)의 상호의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계량부(21)의 개방단부(21c)는 캡 지름 방향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개방단부(21c)의 만곡 때문에, 계량부(21) 내의 액상의 내용물을 쏟아낼 때의 주벽부(21b) 외면으로의 내용물의 돌아들어감을 억제할 수 있다.
주벽부(21b)의 원통의 길이는, 덮개부(21a)로부터 회전 계합부(22)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계합부(22)와 본체부(21)와의 계합을 행한 때는, 주벽부(21b)는 덮개부(21a)에 가까운 단측(端側)의 일부가 용기 본체의 외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덮개부(21a)로부터 먼 단측의 일부가 용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계합을 행한 때에 주벽부(21b)의 원통의 길이 중 얼마만큼의 비율이 본체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얼마만큼의 비율이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지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주벽부(21b)의 원통의 길이중 1/3 내지 2/3이 본체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그 나머지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면, 캡(20)에 부착하고 있던 내용물이 캡(20)이나 노즐 캡(6)에 부착하지 않고 보틀(4) 내부로 되돌아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3, 4 및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각부(23)는, 예를 들면 캡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하는 2개소에, 각각 캡 축방향과 평행한 절단면(27a 및 27b)에 따르도록 노치된 노치부(27)를 갖고 있다. 환언하면, 외각부(23)의 노치부(27)는, 계량부(21)의 통형상의 중심축(C1)을 끼우고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보틀 상방측에서의 캡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하는 2개소)에 캡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노치부(27)의 크기의 기준으로서, 절단면(27a 및 27b)의 지름 방향의 폭은 캡(20)의 지름에 대해 50 내지 75% 정도, 또는, 절단면(27a 및 27b)의 각각의 면적은 캡(20)의 표면적에 대해 10 내지 30% 정도가 바람직하다.
양 절단면(27a 및 27b)은 서로 평행에 형성되고, 양 절단면(27a 및 27b) 사이의 거리는 계량부(21)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양 노치부(27)에는, 계량부(21)의 주벽부(21b)의 보틀 상방측의 일부가 노출부(21d)로서 배치된다. 양 노출부(21d)의 캡 둘레 방향 양 측방에는, 각각 절단면(27a 및 27b)에 따라, 캡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따라 입벽부(28)가 형성된다. 캡측 나합통부(22)의 보틀 하방측의 개방단부(22d)보다도 보틀 상방측에서, 캡 내부 공간이 캡 외면에 개구하는 일은 없다. 주벽부(21b)의 내주면에는, 각인 또는 인자등에 의해 계량 눈금이 기록되어 있다. 계량 캡(20)은, 적어도 양 노출부(21d)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광투과성을 갖는 소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노출부(21d)에서는, 상술한 계량 눈금을 캡 외방에서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중 부호 W는 절단면(27a 및 27b)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때의 노출부(21d)의 폭을, 부호 F는 절단면(27a 및 27b)에 따른 방향에서 본 때의 외각부(23)의 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노출부(21d)의 폭(W)은, 시인성이나 성형시의 빼기 구배 등을 고려하면, 적어도 2㎜는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W)의 크기는 기준으로서 약 2 내지 2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 중 선(L1)은 캡 나합통부의 상단 모서리부와 외각부(23)의 외면에 접하는 접선을 나타내고, 도면 중 선(R1)은 접선(L1)과 외각부(23)와의 접점(T1)을 통과한 캡 둘레 방향에 따른 가상 원(圓)을 나타내고 있다(도 2 및 3 참조). 양 노치부(27)는 가상 원(R1)을 노치하고 있고, 캡을 접선(L1)에 따른 평면상에 재치한 때의 굴러감을 억제할 수 있다. 계량 캡(2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로렛(널)이나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적어도 양 노출부(21d)의 외면은, 계량 눈금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캡측 나합통부(22)의 원통형상의 외주면은, 보틀 하방측의 개방단부(22d)로부터 돌아 들어온 내용물이 부착한 경우, 계량 캡(20)의 착탈시에 파지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원인이 되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해, 상기 계량 캡(20))에서는, 캡측 나합통부(22)의 개방단부(22d)로부터 이간한 외각부(23)의 양 노치부(27)를 파지부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부착이 억제되어 있다. 그와 함께, 캡측 나합통부(22)의 원통형상의 외주면보다도 손가락으로 쥐기 쉽고, 또한 캡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입벽부(28)에 의해 토오크도 입력하기 쉽다.
즉, 상기 계량 캡(20))에서는, 노치부(27)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손가락의 미끄럼이 충분히 억제되고, 또한 회전 조작이 하기 쉽고, 입구부(3)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계량부(21)의 주벽부(21b)를 덮는 외각부(23)를 부분적으로 노치하고, 계량부(21)의 주벽부(21b)에 부분적인 노출부(21d)를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계량부(21)의 주벽부(21b)가 전둘레에 걸쳐서 외각부(23)로 덮여진 이중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계량부(21) 내의 계량 눈금이나 내용물이 시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계량 캡(20)은 토오크를 입력하기 쉽기 때문에, 계량 캡(20)이 강하게 죄어져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상기 계량 캡 부착 용기(1))에서는, 외구부(11)의 제3 나사산(11a) 및 캡측 나합통부(22)의 제4 나사산(22a)의 적어도 일방의 나합 종단부에, 타방의 나합 선단부를 캡 둘레 방향으로 부딪치게 하여, 강한 죄임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벽부(규정부)가 돌설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외구부(11)의 제3 나사산(11a)의 나합 종단부(11c)에는, 제4 나사산(22a)의 나합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한 규제벽부(당접부)(31)가 연설(延設)(연설(連設))되어 있다. 이 규제벽부(31)가, 캡측 나합통부(22)의 제4 나사산(22a)의 나합 선단부(22b)를 보틀 둘레 방향으로 부딪치게 할 수가 있다. 규제벽부(31)와 캡측 나합통부(22)의 제4 나사산(22a)의 나합 선단부(22b)로, 계량 캡(20)이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31A)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캡측 나합통부(22)의 제4 나사산(22a)의 나합 종단부922c)에, 외구부(11)의 제3 나사산(11a)의 나합 선단부(11b)를 캡 둘레 방향으로 부딪치게 할 수 있는 규제벽부(부도시)가 연설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규정부가, 규제벽부와 외구부(11)의 제3 나사산(11a)의 나합 선단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규정부는, 각 나사산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규정부는, 캡측 나합통부(22)의 보틀 하방측의 개방단부(22d)에 계합부(33)를 돌설함과 함께, 개방단부(22d)와 캡 축방향에서 대향하는 본체측 플랜지부(8)의 윗면부(8a)에 계합부(33)를 캡 둘레 방향으로 부딪치는 피계합부(34)를 돌설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계량 캡(20)의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34A)가 이들 계합부(33) 및 피계합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정부는 캡 둘레 방향에서의 부딪침이 가능한 구조만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규정부를, 캡측 나합통부(22)의 보틀 하방측의 개방단부(22d)와 이것을 캡 축방향으로 부딪칠 수 있는 본체측 플랜지부(8)의 윗면부(8a)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규정부를, 계량부(21)의 개방단부(21c)와 이것을 캡 축방향으로 부딪칠 수 있는 삽입부(9)의 저부로 구성하여도 좋다. 통부(10)의 선단부 10a와 이것을 캡 축방향으로 부딪침 수 있는 계량부(21)의 덮개부(21a)로 상기 규정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의 각 규정부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시키고 이용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계량 캡(20)에 의하면, 계량부(21)에서의 용기 외방(용기 본체(2) 및 계량 캡(20)의 외방)에 위치하는 덮개부(21a)측의 주벽부(21b)를 덮는 외각부(23)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주벽부(21b)를 틀빼기(型拔) 등을 고려한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하면서도 외각부(23)에 의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계량 캡(20)의 외각부(23)가 계량부(21)의 주벽부(21b)를 캡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노치부(27)를 갖고 있음(외각부(23)가 캡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됨)으로써, 양 노치부(27)를 파지부로서 손가락으로 손잡기 쉽게 하고, 또한 토오크 입력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량 캡(20)의 회전 조작을 하기 쉽게 하여 입구부(3)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량 캡(20)의 외각부(23)의 노치부(27)에 캡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입벽부(28)를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계량 캡(20)에의 토오크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한 주벽부(21b)가 외각부(23)에 덮여지는 일 없이 캡 외방으로 노출하여 있음으로써, 계량부(21)의 주벽부(21b)가 전둘레에 걸쳐서 외각부(23)에 덮여진 이중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계량부(21) 내의 계량 눈금이나 내용물이 시인하기 쉽게 된다. 이에 의해, 계량 캡(20)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외각부(23)의 노치부(27)는 2개소로 한하지 않고, 제1의 변형례로서, 도 7에 도시하는 계량 캡(120)과 같이, 노치부(27)가 1개소라도 좋다. 노치부(27)는 3개소 이상이라도 좋지만, 손가락의 걸기 쉬움이나 노출부(21d)의 캡 둘레 방향의 폭에 의한 계량부(21)의 보기 쉬움을 고려하면, 노치부(27)의 수는 소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개소 또는 2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의 변형례로서, 도 8에 도시하는 계량 캡(220)과 같이, 외각부(23)와 캡측 나합통부(22)와의 사이의 캡 측 플랜지부(24)에 의한 단차를 없애고, 외각부(23)의 외면과 캡측 나합통부(22)의 외면을 같은면으로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주로 곡면에 의해 형성된 둥그스름함이 있는 외관을 강조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한편, 제3의 변형례로서, 도 9에 도시하는 계량 캡(320)과 같이, 계량부(21)의 덮개부(21a)를 평탄형상으로 하여 각(角)이 강조된 외관으로 하고 있음과 함께, 계량 캡(20)을 계량부(21)의 개방단부(21c)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재치한 때에 높은 안정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 밖의 변형례로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계량구로서 이용하지 않는 캡 및 상기 캡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적용되어 있어도 좋다. 캡 및 입구부의 나합 구조는, 캡 측을 수나사, 입구부측을 암나사로 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구조는, 용기의 구조 중, 캡을 나합에 의해 회전 계합시키는 스크루 캡 구조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바요네트 계합 등의 회전 계합을 이용한 구조에 적용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구조는, 노즐 캡을 갖지 않는 용기 본체(보틀체)의 입구부에 직접 캡을 장착하는 용기에 적용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은 본 발명의 한 예이고, 당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부가(附加), 생략, 치환, 및 기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 및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없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및 용기의 캡부 구조에 있어서, 캡의 개폐하기 쉬움을 향상시키다. 또한, 캡 내측의 계량 눈금의 시인하기 쉬움을 향상시킨다. 그 때문에 세제나 그 밖의 액체 등을 수납하고 계량하는 용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이들의 제품에 관한 분야에 폭넓게 도움이 되는 것이다.
1 : 계량 캡 부착 용기(용기)
2 : 용기 본체
3 : 입구부
20, 120, 220, 320 : 계량 캡(캡)
21 : 계량부(본체부)
21a : 덮개부
21b : 주벽부
22 : 캡측 나합통부(회전 계합부)
22b : 나합 선단부(당접부)
23 : 외각부
27 : 노치부
28 : 입벽부
31 : 규제벽부(피당접부)
31A : 규정부
33 : 계합부
34 : 피계합부
34A : 규정부

Claims (8)

  1.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개통형상의 통 내에 구비된 유개통형상의 주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에 대해 회전 조작에 의해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외주를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계합부는, 상기 계합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고정한 때에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단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각부가, 상기 주벽부의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한 부위 중 일부를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으로 캡 외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된 노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가, 상기 본체부의 통형상의 중심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에, 상기 입구부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따라 입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계량 눈금을 기재한 계량부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상기 주벽부에서의 상기 노치부에 의해 캡 외방으로 노출하는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계합부가, 상기 입구부에 나합에 의해 계합 가능한 나선형상의 회전 계합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가, 상기 회전 계합부에 나합에 의해 계합 가능한 나선형상의 입구부 나사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6. 제5항에 기재된 캡을 구비하는 용기의 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계합부 나사산 또는 상기 입구부 나사산의 적어도 일방의 나합 종단부에, 타방의 나합 선단부를 상기 캡의 둘레 방향으로 부짖치게 하여 상기 캡의 죄임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캡부 구조.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부가, 상기 회전 계합부 나사산 또는 상기 입구부 나사산의 상기 나합 종단부에 나합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으로 연설된 당접부에서, 상기 나합 연설선단부에 대해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캡부 구조.
  8.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캡에 있어서,
    유개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개통형상의 통 내에 구비된 유개통형상의 주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에 대해 회전 조작에 의해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 계합부와,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외주를 덮는 외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계합부는, 상기 계합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입구부에 대해 고정한 때에 상기 주벽부 중 덮개부측의 단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20147023070A 2012-07-02 2013-06-27 캡 및 캡부 구조 KR101962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8401 2012-07-02
JP2012148401A JP5934589B2 (ja) 2012-07-02 2012-07-02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部構造
PCT/JP2013/067683 WO2014007141A1 (ja) 2012-07-02 2013-06-27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674A true KR20150034674A (ko) 2015-04-03
KR101962503B1 KR101962503B1 (ko) 2019-03-26

Family

ID=4988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070A KR101962503B1 (ko) 2012-07-02 2013-06-27 캡 및 캡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34589B2 (ko)
KR (1) KR101962503B1 (ko)
CN (1) CN104411594B (ko)
HK (1) HK1207046A1 (ko)
WO (1) WO20140071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577A (ko) * 2017-02-16 2019-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KR20190118552A (ko) * 2017-02-16 2019-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229B2 (ja) * 2014-02-10 2017-08-30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
JP6584169B2 (ja) * 2015-06-30 2019-10-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計量キャップ
JP6628662B2 (ja) * 2016-03-29 2020-0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計量キャップ付き注出栓
CA3022920C (en) * 2016-05-05 2024-01-02 Berry Global, Inc. Closure
DE102016223043A1 (de) 2016-11-22 2018-05-24 Henkel Ag & Co. Kgaa Behälter mit Aufsatz
CN106516448B (zh) * 2016-11-30 2019-11-01 曼盛包装(上海)有限公司 用于立塑袋补充装的具有计量功能的快速转接装置
CN106697537B (zh) * 2016-11-30 2020-02-18 曼盛包装(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计量功能的液体补充装用支架结构
CA3066564A1 (en) * 2017-05-04 2018-11-08 Berry Global, Inc. Closure
DE102018205581A1 (de) * 2018-04-12 2019-10-17 Henkel Ag & Co. Kgaa Verschlusskappe für Waschmittelflasche
EP4163222A1 (en) * 2021-10-08 2023-04-12 Fater S.p.A.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848U (ko) * 1976-08-11 1978-03-04
JP2531987Y2 (ja) * 1990-02-28 1997-04-09 日本クラウンコルク 株式会社 計量筒壁を備えた容器蓋
JP2000062817A (ja) * 1998-08-25 2000-02-29 Kao Corp 注出容器
JP3152639U (ja) 2009-05-28 2009-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計量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45U (ko) * 1988-06-30 1990-01-19
JP5308751B2 (ja) * 2008-09-08 2013-10-09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5512166B2 (ja) * 2009-04-27 2014-06-04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5538193B2 (ja) * 2009-12-04 2014-07-02 花王株式会社 注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848U (ko) * 1976-08-11 1978-03-04
JP2531987Y2 (ja) * 1990-02-28 1997-04-09 日本クラウンコルク 株式会社 計量筒壁を備えた容器蓋
JP2000062817A (ja) * 1998-08-25 2000-02-29 Kao Corp 注出容器
JP3152639U (ja) 2009-05-28 2009-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計量キャ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577A (ko) * 2017-02-16 2019-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KR20190118552A (ko) * 2017-02-16 2019-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7141A1 (ja) 2014-01-09
JP5934589B2 (ja) 2016-06-15
KR101962503B1 (ko) 2019-03-26
CN104411594B (zh) 2016-06-29
HK1207046A1 (en) 2016-01-22
JP2014009026A (ja) 2014-01-20
CN104411594A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503B1 (ko) 캡 및 캡부 구조
US11939118B2 (en) Flip-top closure for a container
KR1015129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TW201332849A (zh) 具有澆注口的容器
US9499310B2 (en) Combination child-resistant package and collapsible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3124107A (ja) 計量キャップ
JP5783835B2 (ja) 詰め替え容器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JPH11105899A (ja) 容 器
WO2016104005A1 (ja) 容器
JP6175509B2 (ja) 計量容器
JP5270785B1 (ja) 容器
JP5193763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5151134A (ja) キャップ
WO2013114584A1 (ja) チューブ容器
US20130313272A1 (en) Pour assist device
JP2018095260A (ja) キャップ
RU2782717C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рлышка гибкой тонкостенной упаковки
JP6979897B2 (ja) 容器
JP7394616B2 (ja) 計量キャップ
JP3182767U (ja) キャップ構造
JP2015120520A (ja) キャップ
JP6976152B2 (ja) 計量キャップ
JP2006327671A (ja) 計量キャップ
JP6611332B2 (ja) 計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