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191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191A
KR20150031191A KR20140119947A KR20140119947A KR20150031191A KR 20150031191 A KR20150031191 A KR 20150031191A KR 20140119947 A KR20140119947 A KR 20140119947A KR 20140119947 A KR20140119947 A KR 20140119947A KR 20150031191 A KR20150031191 A KR 2015003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cover
spool
main body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090B1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3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경량화 및 조립성의 향상을 실현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1)와, 스풀(14)과, 핸들(12)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1)는, 개구부(開口部)(27c)를 가지는 프레임(17)과, 개구부(27c)에 배치 가능한 제1 측 커버부(18a)를 가지고 있다. 스풀(14)은, 프레임(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12)은, 스풀(1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측 커버부(18a)는, 구멍부(128a)를 가지는 커버 본체부(28a)와, 구멍부(128a)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 방지 부재(61)를 가지고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가 프레임(17)의 내부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커버 본체부(28a)에 장착된다. 또한, 이물 방지 부재(61)는, 이물 방지 부재(61)의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보지(保持)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 특히 양 베어링 릴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 침입 방지 구조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에는, 본체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seal) 부재가 측 커버에 취부(取付)된 것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실 부재는, 모래 등의 이물이, 측 커버의 구멍부로부터 침입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실 부재는, 나사에 의하여, 측 커버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45444호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 예를 들어 실 부재에 의하여, 측 커버의 구멍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었다. 실 부재는, 나사에 의하여 측 커버에 나사 멈춤되기 때문에, 측 커버에는 나사 받이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나사를 확실히 나합(螺合)시키기 위하여는, 나사 받이부의 높이를 확보할 필요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측 커버의 중량이나 크기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한편으로, 측 커버의 중량 및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려고 하면, 나사 받이부의 크기가 작아져 버린다. 이 경우, 나사도 작아지기 때문에, 실 부재를 측 커버에 장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경량화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프레임 본체와, 개구부에 배치 가능한 커버부를 가지고 있다. 스풀은, 프레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은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는, 구멍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구멍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 방지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물 방지 부재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가 프레임 본체의 내부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본체부에 장착된다. 또한, 이물 방지 부재는, 이물 방지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본체부에 보지(保持)된다.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가, 탄성 변형에 의하여 커버부에 장착되고,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부에 보지된다. 이와 같이,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를 커버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특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버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특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는 것 없이, 이물 방지 부재를 본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곡률 반경(半徑)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 및 이물 방지 부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의 형상과 커버부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즉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제2 곡률 반경)을, 커버부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제1 곡률 반경)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부의 경량화 및 이물 방지 부재의 조립성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본체부가, 실질적으로 원형상(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의 형상과 커버부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예를 들어 커버부의 본체부를 실질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물 방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부의 경량화 및 이물 방지 부재의 조립성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본체부가, 복수의 보지부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보지부는, 이물 방지 부재를 보지한다. 이물 방지 부재는 복수의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계합부 각각은, 복수의 보지부 각각에 계합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4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복수의 계합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보지부에 감합(嵌合)된다. 적어도 하나의 계합부를 제외하는 다른 계합부는, 상기 보지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물 방지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계합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지부에 접촉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감합 및/또는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이물 방지 부재의 돌기부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당접(當接)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면외(面外)로 휘게 할 수 있다. 이 휨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보다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4 또는 5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보지부가, 제1 오목부 또는 제1 볼록부이다.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는, 제1 오목부에 계합하는 제2 볼록부, 또는 제1 볼록부에 계합하는 제2 오목부이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인 제2 볼록부(또는 제2 오목부)를, 커버부의 보지부인 제1 오목부(또는 제1 볼록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의하여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즉, 특별한 부재를 이용하는 것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물 방지 부재를, 커버부의 보지부에,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발명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커버부의 보지부가, 커버부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는,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부의 보지부 및 이물 방지 부재의 계합부 각각이, 각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다. 즉, 커버부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 및 조립성의 향상을 실현 가능한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양 베어링 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제1 측 커버부의 개방 상태)
도 5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제1 측 커버부를 제외한다)
도 6a는 제1 측 커버부의 사시도
도 6b는 제1 측 커버부의 부분 단면도(돌기 없음)
도 6c는 제1 측 커버부의 부분 단면도(돌기 있음)
도 7은 착탈 유닛의 분해 사시도(제1 측 커버부를 제외한다)
도 8은 압박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요동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연결 부재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양 베어링 릴의 기본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은, 주로,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11)와, 핸들(12)과, 스타 드래그(13)와, 스풀(14)과, 스풀축(26)과, 스풀 액세스 기구(30)와, 커버 개방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액세스 기구(30)에는, 후술하는 커버 개방 기구(50)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스풀 액세스 기구(30)에는, 릴 본체(11)의 일부, 예를 들어 프레임(17)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2)은, 스풀을 회전하기 위한 것이다. 핸들(12)은, 릴 본체(11)의 측방(側方)에 배치되어 있다. 스타 드래그(13)는, 핸들(12)의 릴 본체(1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것이다.
스풀(14)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14)은,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14a)와, 줄 감기 몸통부(14a)의 양단에 대경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14b) 및 제2 플랜지부(14c)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4b)는, 핸들(12)과 반대쪽에 설치되고, 제2 플랜지부(14c)는, 핸들(12) 측에 설치된다. 줄 감기 몸통부(14a)의 내주 측에는, 스풀축(26)이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상의 취부부(14d)(도 2를 참조)가 설치된다. 취부부(14d)는, 원판상(圓板狀)의 연결부(14e)(도 2를 참조)를 통하여, 줄 감기 몸통부(14a)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풀(14)의 줄 감기 몸통부(14a)의 내주 측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스풀축(26)의 일단(一端)(도 2의 우단(右端))은, 제1 베어링(25a)에 의하여, 후술하는 릴 본체(11)의 제1 측판부(1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26)의 타단(他端)(도 2의 좌단(左端))은, 릴 본체(11)의 제2 측 커버부(18b)(후술한다)에 설치되는 보스부의 제2 베어링(25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1)는, 프레임(17)(프레임 본체의 일례)과, 프레임(17)의 좌우 측면을 덮는 제1 측 커버부(18a)(커버부의 일례) 및 제2 측 커버부(18b)와, 양 베어링 릴(10)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17d)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7)은, 좌우 1쌍의 제1 측판부(17a) 및 제2 측판부(17b)와, 복수의 연결부(17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부(17a)는, 실질적으로 원형(圓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판부(17a)는, 제1 측판 본체부(27a)와, 제1 측판 본체부(27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27b)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 본체부(27a)는, 개구(22a)와, 요동(搖動)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도 3을 참조)를 가지고 있다. 개구(22a) 및 통상부(27b)의 내주부에 의하여, 스풀(14)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27c)(개구부의 일례)가 구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에는, 후술하는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7c), 예를 들어 통상부(27b)의 내주 측에는, 스풀 지지부(15)와, 제1 측 커버부(18a)와, 후술하는 커버 개폐부(16)와, 착탈부(着脫部)(19)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스풀 지지부(15)와, 제1 측 커버부(18a)와, 커버 개폐부(16)는, 착탈부(19)를 통하여, 통상부(27b)의 내주 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착탈부(19)와 통상부(27b)가, 베이어닛(bayonet) 방식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착탈부(19)와 통상부(27b)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의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7c)에는, 캐스팅(casting)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스풀 제동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0)는, 스풀(14)의 회전에 따라, 스풀(14)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장치(20)는, 주로, 회전 부재(20a)와, 복수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20b)와,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20c)을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20a)는, 스풀축(26)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브레이크 슈(20b) 각각은, 회전 부재(20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6개의 브레이크 슈(20b)가, 회전 부재(20a)의 외주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브레이크 슈(20b)는, 도시하지 않는 로크(lock) 구조에 의하여, 요동 불가능하게 설정 가능하다.
브레이크 드럼(20c)은, 브레이크 슈(20b)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4)의 회전을 제동한다. 브레이크 드럼(20c)은, 후술하는 제동 조작부(118d)의 조작량에 따라, 스풀(14)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브레이크 드럼(20c)이 스풀(14)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드럼(20c)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20a)가 스풀(14)과 함께 회전하면, 브레이크 슈(20b)는, 원심력에 의하여 요동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슈(20b)가, 위치 결정 후의 브레이크 드럼(20c)에 접촉하고, 스풀(14)의 회전이 제동된다. 덧붙여, 브레이크 드럼(20c)은, 스풀 액세스 기구(30)(스풀 지지부(15))에 포함되는 부재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부(17b)는, 연결부(17c)를 통하여, 제1 측판부(17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측판부(17b)에는, 제2 측 커버부(18b)가 장착된다. 제2 측판부(17b)와 제2 측 커버부(18b)의 사이에는, 스풀(14)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1)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17c)는, 제1 측판부(17a) 및 제2 측판부(17b)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측판부(17a)와 제2 측판부(17b)를 연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부(18a)는, 핸들(12)과 반대쪽에 있어서, 프레임(17)의 측면을 덮는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제1 측 커버부(18a)는,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를 덮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는,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배치 가능하다.
도 4, 도 5, 및 도 6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부(18a)는, 커버 본체부(28a)와, 지지부(28b)와, 이물 방지 부재(61)를 가지고 있다.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곡률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본체부(28a)는,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부(28a)에는, 복수의 구멍부(128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부(128a)는, 커버 본체부(28a)의 경량화 및 의장성(意匠性)을 향상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에는, 실질적으로 원환상(圓環狀)의 돌출부(128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8b)는, 후술하는 스풀 지지부(15)의 당접부(35d)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는 회전 멈춤된다.
또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8b)는, 이물 방지 부재(61)를 보지하기 위한 복수의 보지부(128c)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보지부(128c)가, 돌출부(128b)에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보지부(128c)는, 원주(圓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부(128b)의 내주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지부(128c)는, 오목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제1 오목부의 일례)이다.
지지부(28b)는, 커버 개폐부(16)에 대하여 제1 측 커버부(18a)를 개폐하기 위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8b)는,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 측에 있어서, 커버 본체부(28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8b)는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28b)의 내주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 즉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28b)는, 스풀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스풀 지지부(15)와 겹치도록, 커버 본체부(28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 커버부(18a)에는, 개구부(18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8d)에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조작부(118d)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 방지 부재(61)는, 제1 측 커버부(18a)의 커버 본체부(28a)에 설치된 복수의 구멍부(128a)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탄성 부재이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이물 방지 부재(61)는, 커버 본체부(28a)의 내면 측에 장착되고,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보지된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고 보지된다. 이물 방지 부재(61)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이물 침입 방지 구조(60)의 구성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부(18b)는, 핸들(12)과 같은 측에 있어서, 프레임(17)의 측면을 덮는 부재이다. 제2 측 커버부(18b)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1)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 조작부(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낚싯대 장착부(17d)는, 하측의 연결부(17c)에 일체 형성된다. 제1 측판부(17a)와 제2 측판부(17b)의 사이에는, 핸들(12)에 연결된 스풀(14)이 배치된다.
덧붙여, 릴 본체(11)의 내부에는, 스풀(14)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레벨 와인드(level wind) 기구(도시하지 않음)나 핸들(12)의 회전을 스풀(14)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 액세스 기구의 구성 및 커버 개방 기구의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액세스 기구(30)는, 제1 측판부(17a)(프레임(17))와, 스풀 지지부(15)와, 제1 측 커버부(18a)와, 커버 개폐부(16)와, 착탈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스풀 액세스 기구(30)에 있어서의, 제1 측판부(17a)(프레임(17))와, 스풀 지지부(15)와, 제1 측 커버부(18a)와, 커버 개폐부(16)는, 커버 개방 기구(50)를 구성하고 있다. 즉, 스풀 액세스 기구(30)는, 커버 개방 기구(5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버 개방 기구(50)는, 착탈부(19)를 제외하고, 상기의 스풀 액세스 기구(30)의 구성과 같다. 이 때문에, 스풀 액세스 기구(30)의 구성 및 커버 개방 기구(50)의 구성을, 동시에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스풀 지지부(15), 착탈부(19), 커버 개폐부(16), 및 제1 측 커버부(18a)를, 「착탈 유닛(29)」이라고 기재된다. 또한, 제1 측판부(17a) 및 제1 측 커버부(18a)는, 상기의 릴 본체(11)에 있어서 이미 설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풀 지지부(15)는, 스풀(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세하게는, 스풀 지지부(15)는, 스풀축(26)을 통하여, 스풀(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 지지부(15)는, 제1 측판부(17a)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스풀 지지부(15)는,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5)는, 베이스 부재(35)와, 상술한 브레이크 드럼(20c)을 가진다. 베이스 부재(35)는, 베이스 본체(35a)와, 제1 베어링(25a)을 수납하기 위한 베어링 수납부(35e)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본체(35a)는, 브레이크 수납부(35b)와, 테두리부(35c)와, 당접부(35d)(도 4를 참조)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수납부(35b)는, 브레이크 캠(20d) 및 브레이크 슈(20b)를 수납하는 부분이다. 브레이크 수납부(35b)에는, 브레이크 슈(20b)에 액세스하기 위한 창부(115e)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20b)는, 이 창부(115e)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또는 요동 불가능하게 설정된다.
테두리부(35c)는, 브레이크 수납부(35b)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당접부(35d)는, 제1 측 커버부(18a)를 회전 멈춤하는 부분이다. 당접부(35d)는, 브레이크 수납부(35b)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가 개방된 경우에, 제1 측 커버부(18a)의 돌출부(128b)(도 6a를 참조)가, 스풀 지지부(15)의 당접부(35d)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는 회전 멈춤된다. 또한, 제1 측 커버부(18a)의 돌출부(128b)는, 압박 부재(37)를 계지(係止)하는 부분으로서도 이용된다.
베어링 수납부(35e)는, 베이스 본체(35a)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수납부(35e)는, 베이스 본체(35a)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있어서, 스풀축(26)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5)는, 베어링 수납부(35e)에 수납된 제1 베어링(25a)(도 2를 참조)을 통하여, 스풀축(26)의 일단(도 2의 우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브레이크 드럼(20c)은, 베이스 부재(35)에, 브레이크 캠(20d)을 통하여 계합한다. 브레이크 캠(20d)은, 브레이크 드럼(20c)의 내주부와 베어링 수납부(35e)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캠(20d)의 외주부에는,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브레이크 드럼(20c)의 내주부에는, 캠 홈에 계합하는 캠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동 조작부(118d)가 회동(回動) 조작되면, 제동 조작부(118d)에 고정된 제1 기어부(121)와, 제1 기어부(121)에 맞물리는 브레이크 드럼(20c)의 제2 기어부(122)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 회전에 수반하여, 브레이크 드럼(20c)이 회전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드럼(20c)이, 브레이크 캠(20d)을 통하여, 브레이크 드럼(20c)이 스풀(14)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브레이크 드럼(20c)이 스풀(14)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드럼(20c)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고, 브레이크 드럼(20c)에 브레이크 슈(20b)가 접촉한 경우의 스풀의 제동력이 결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개폐부(16)는, 제1 측 커버부(18a)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버 개폐부(16)는,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있어서, 스풀(14)과 제1 측 커버부(18a)의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 개폐부(16)는, 스풀 지지부(15) 및 제1 측 커버부(18a)에 계합한다. 예를 들어, 커버 개폐부(16)는,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 및 제1 측 커버부(18a)의 지지부(28b)(도 6a를 참조)에 계합한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개폐부(16)는, 커버 개폐 구조(36)와, 압박 부재(37)(도 8을 참조)를 가지고 있다. 커버 개폐 구조(36)는, 제1 측 커버부(18a)를 개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 개폐 구조(36)는, 커버 폐색 자세와 커버 개방 가능 자세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 커버부(18a)를, 스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스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커버 개폐 구조(36)는, 커버 개방 가능 자세와 커버 개방 자세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 커버부(18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나아가, 커버 개폐 구조(36)는, 스풀 지지부(15) 및 제1 측 커버부(18a)에 계합한다.
덧붙여,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배치되었을 때의 자세를, 커버 폐색 자세라고 정의한다. 또한, 스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측 커버부(18a)가 이동하였을 때의 자세, 즉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間隙)이 형성되었을 때의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를, 커버 개방 가능 자세라고 정의한다. 나아가, 제1 측 커버부(18a)가 개방되었을 때의 자세를, 커버 개방 자세라고 정의한다.
커버 개폐 구조(36)는, 요동 부재(38)와, 연결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요동 부재(38)는, 제1 측 커버부(18a)를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부재이다. 요동 부재(38)는, 스풀 지지부(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38)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의 요동 본체부(38a)와,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와, 노치부(38c)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를 가지고 있다.
요동 본체부(38a)는, 스풀 지지부(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요동 본체부(38a)는, 스풀 지지부(15)의 테두리부(35c)에 대향한 상태로, 스풀 지지부(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요동 본체부(38a)의 내주부에는,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가 배치된다. 요동 부재(38)의 회전 범위, 즉 요동 부재(38)의 요동 범위는, 제1 측판부(17a)에 형성된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도 3을 참조)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는, 요동 부재(38)를 요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는, 요동 본체부(38a)의 외주부에 있어서, 스풀축(26)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는,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도 3을 참조)에 배치된다.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가 조작되면, 요동 부재(38)가 요동한다. 노치부(38c)는, 요동 본체부(38a)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38c)에는, 후술하는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가 배치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는, 요동 본체부(38a)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는, 후술하는 제2 연결 부재(42)가 배치된다(도 5를 참조).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있어서, 제2 연결 부재(42)는 이동 가능하다.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는, 제1 구멍부(39a)와, 제2 구멍부(39b)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멍부(39a)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일단 측에 형성된다. 제2 구멍부(39b)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타단 측에 형성된다. 제2 구멍부(39b)는 제1 구멍부(39a)보다 내경(內徑)이 크다.
여기에서,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1 자세라고 정의한다. 또한, 제1 측 커버부(18a)가 개방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의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2 자세라고 정의한다. 요동 부재(38)는, 제1 자세 및 제2 자세에 있어서, 후술하는 연결 부재(40)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는, 스풀 지지부(15) 및 제1 측 커버부(18a)를 연결하고, 또한 요동 부재(38)의 요동에 따라 제1 측 커버부(18a)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 부재(40)는, 제1 연결 부재(41)와, 제2 연결 부재(42)를 가진다.
제1 연결 부재(41)는, 요동 부재(38)와 제1 측 커버부(18a)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5)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 부재(41)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41)의 일부가,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 부재(41)는,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제2 연결 부재(42)에 계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41)는, 구멍부(41a)를 가지고 있다. 이 구멍부(41a)에 제2 연결 부재(4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연결 부재(42)는 제1 연결 부재(41)에 계합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부재(42)는, 제1 연결 부재(41)의 구멍부(4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연결 부재(42)는, 제1 측 커버부(18a)의 지지부(28b)(도 6a를 참조)에 연결되고, 제1 측 커버부(18a)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한다. 나아가, 제2 연결 부재(42)는, 요동 부재(38)를 위치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 부재(42)는, 요동 부재(38)의 요동 본체부(38a)의 요동에 따라,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를 이동 가능하다.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 요동 부재(38)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일단 측에서, 제2 연결 부재(42)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2 자세인 경우, 요동 부재(38)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타단 측에서, 제2 연결 부재(42)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42)는, 축부(43)와, 머리부(44)를 가지고 있다. 축부(43)는, 제1 연결 부재(41)의 구멍부(4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축부(43)는, 축 본체부(43a)와, 수나사부(43b)를 가지고 있다. 축 본체부(43a)는, 머리부(44)와 수나사부(43b)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축 본체부(43a)는, 요동 부재(38)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계합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에서는, 축 본체부(43a)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1 구멍부(39a)에 배치된다. 축부(43)의 수나사부(43b)는, 제1 측 커버부(18a)의 지지부(28b)(암나사부)에 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연결 부재(42)는, 제1 측 커버부(18a)에 장착된다.
머리부(44)는 축부(43)보다 확대된 부분이다. 머리부(44)는, 축부(43)의 일단에 있어서, 축부(4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파선(破線)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계합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에서는,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1 구멍부(39a)에 계합한다(도 10을 참조). 한편으로,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2 자세인 경우(제1 측 커버부(18a)가 개방 가능한 상태)에서는,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2 구멍부(39b)에 계합한다.
여기에서, 제2 연결 부재(42) 및 요동 부재(38)의 관계와, 요동 부재(38)의 위치 결정에 관하여, 설명을 하여 둔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 제2 연결 부재(42)의 축부(43)(축 본체부(43a))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1 구멍부(39a)에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1 구멍부(39a)의 가장자리부(39c)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경우, 즉 제1 측 커버부(18a)의 외주부가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에 당접한 상태에 있어서, 요동 부재(38)가, 제1 측 커버부(18a) 및 제2 연결 부재(42)(머리부(44))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요동 부재(38)는, 위치 결정되고, 또한 빠짐 방지된다.
한편으로,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변경되고, 요동 부재(38)의 자세가 제2 자세로 설정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2 구멍부(39b)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2 구멍부(39b)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 부재(38)는 요동 불가능하다. 즉, 제2 연결 부재(42)(머리부(44))에 의하여, 요동 부재(38)는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는,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2 구멍부(39b)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스풀 지지부(1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다. 그러나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와 제1 측 커버부(18a)와의 사이에는, 제1 연결 부재(41)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1 연결 부재(41)에 의하여, 제2 연결 부재(42)는 빠짐 방지되어 있다. 덧붙여,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제1 연결 부재(41)에 당접한 상태에서는, 제2 연결 부재(42)는, 제1 측 커버부(18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압박 부재(37)는, 제1 측 커버부(18a)를 압박하기 위한 부재이다. 압박 부재(37)는,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를 폐색하는 커버 폐색 자세로부터,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한 커버 개방 자세로,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압박 부재(37)는, 커버 폐색 자세로부터,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를 개방 가능한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를 변경한다. 다음으로, 압박 부재(37)는,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부터 커버 개방 자세로,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를 변경한다.
압박 부재(37)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커버 개폐 구조(36)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측 커버부(18a)를 개방 가능하게 압박한다. 상세하게는, 압박 부재(37)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연결 부재(4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측 커버부(18a)를, 스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또한, 압박 부재(37)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연결 부재(41)에 계합하고, 제1 측 커버부(18a)를 개방 가능하게 압박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37)는, 비틀림 용수철부(37a)와, 제1 계지부(37b)와, 제2 계지부(37c)를 가지고 있다.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연결 부재(41)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 커버부(18a)에 있어서의 지지부(28b)의 외주부 및 제2 연결 부재(42)에 있어서의 축부(43)(축 본체부(43a))의 외주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부재(42)가, 제1 구멍부(39a)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지지부(28b)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한편으로, 제2 연결 부재(42)가, 제2 구멍부(39b)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지지부(28b)의 외주부 및 축부(43)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상기의 외주부에 있어서 신축(伸縮)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제1 구멍부(39a)의 가장자리부(39c)에 계합한 상태, 즉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에서는,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연결 부재(41)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요동 부재(38)가 회전하여,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제2 구멍부(39b)에 도달하면,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제1 측 커버부(18a)를, 스풀 지지부(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제1 연결 부재(41)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폐색 자세로부터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 변경된다.
또한,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제1 측 커버부(18a)에 대하여, 비틀림력의 반력(反力)을 준다. 상세하게는, 제1 계지부(37b)는, 제1 측 커버부(18a),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의 돌출부(128b)에 계지된다. 제2 계지부(37c)는, 커버 개폐 구조(36),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41)에 계지된다. 예를 들어, 제2 계지부(37c)는, 제1 연결 부재(41)의 계지 구멍(41b)(도 5를 참조)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비틀림 용수철부(37a)는, 제2 계지부(37c)(계지 구멍(41b))를 지지점으로서, 제1 측 커버부(18a)에 대하여, 비틀림력의 반력을 준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개방 가능 자세가 되면, 비틀림 용수철부(37a)의 비틀림력의 반력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부터 커버 개방 자세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압박 부재(37)가,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를, 커버 폐색 자세, 커버 개방 가능 자세, 커버 개방 자세의 순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가 열린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부(19)는, 스풀(14)과 제1 측 커버부(18a)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에 배치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부(19)는, 스풀 지지부(15)와 요동 부재(38)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착탈부(19)는, 스풀 지지부(15)의 테두리부(35c)와 요동 부재(38)의 요동 본체부(38a)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착탈부(19)는, 상기의 배치 형태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다.
착탈부(19)는, 제1 측판부(17a)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착탈부(19)는, 스풀 지지부(15) 및 커버 개폐 구조(36)에 계합한다. 착탈부(19)는, 제1 측 커버부(18a)가 열린 상태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이 상태로, 착탈부(19)는, 스풀 지지부(15), 제1 측 커버부(18a), 및 커버 개폐부(16)를, 제1 측판부(17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부(19)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착탈부(19)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의 원환부(19a)와,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와, 복수의(예를 들어 3개의) 베이어닛 돌기(19c)를 가지고 있다.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는, 원환부(19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는, 요동 부재(38)의 노치부(38c)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의 내주부에는, 홈부(도시하지 않는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를 요동 부재(38)의 노치부(38c)에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의 요동 부재(38)의 빠짐 방지가 행하여진다. 덧붙여, 착탈부(19)의 요동 범위는, 노치부(38c)의 원주 방향의 길이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복수의(예를 들어 3개의) 베이어닛 돌기(19c)는, 원환부(19a)의 외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에는, 베이어닛 홈(27d)(도 4를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부(19)가 회전하면, 이 베이어닛 홈(27d)에 베이어닛 돌기(19c)가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착탈 유닛(29)(스풀 지지부(15), 제1 측 커버부(18a), 커버 개폐부(16), 및 착탈부(19))는,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에 장착된다. 또한,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부(19)를 상기와는 반대 측으로 회전하면, 베이어닛 돌기(19c)와 베이어닛 홈(27d)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착탈 유닛(29)이,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로부터 떼어 내진다.
이와 같이, 스풀 지지부(15), 착탈부(19), 커버 개폐부(16), 및 제1 측 커버부(18a)를, 하나의 유닛 단위 즉 착탈 유닛(29)의 단위로,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스풀 액세스 기구와 커버 개방 기구의 조립 및 동작>
스풀 액세스 기구(30)에 포함되는 착탈 유닛(29)은, 다음과 같이 조립되고 동작한다.
우선, 착탈부(19)와 커버 개폐부(16)의 요동 부재(38)가 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착탈부(19)의 조작 손잡이(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가, 요동 부재(38)의 노치부(38c)에 배치되도록, 착탈부(19)와 요동 부재(38)가 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의 홈부(도시하지 않는다)가, 노치부(38c)에 감합되도록, 착탈부(19)가 요동 부재(38)에 조립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 개폐부(16)의 요동 부재(38)가, 착탈부(19)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다음으로, 착탈부(19)와 요동 부재(38)가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착탈부(19)가, 스풀 지지부(15)의 테두리부(35c)에 대향하도록, 스풀 지지부(15)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착탈부(19)는,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착탈부(19) 및 요동 부재(38)가,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의 외주에 배치된다.
계속하여, 커버 개폐부(16)의 제2 연결 부재(42)가, 커버 개폐부(16)의 제1 연결 부재(41)를 통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이물 방지 부재(61)를 포함한다)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연결 부재(42)의 축부(43)가, 제1 연결 부재(41)의 구멍부(41a)에 삽통(揷通)된다. 그리고 압박 부재(37)의 제1 계지부(37b)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돌출부(128b)에 계합시키고, 압박 부재(37)의 비틀림 용수철부(37a)를 제1 측 커버부(18a)의 지지부(28b)에 배치한 상태로, 제2 연결 부재(42)의 축부(43)(수나사부(43b))가, 제1 측 커버부(18a)의 지지부(28b)에 나합된다. 그리고 압박 부재(37)의 제2 계지부(37c)가, 제1 연결 부재(41)의 계지 구멍(41b)에 계합된다.
계속하여, 제1 측 커버부(18a)가 열린 상태로, 제1 연결 부재(41)가,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47)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를, 요동 부재(38)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의 제2 구멍부(39b)에 배치한 상태로, 제1 연결 부재(41)가, 나사(47)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5)의 브레이크 수납부(35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착탈 유닛(29)(스풀 지지부(15), 착탈부(19), 커버 개폐부(16)(요동 부재(38) 및 연결 부재(40)), 및 제1 측 커버부(18a))이 조립된다.
계속하여, 착탈 유닛(29)이 제1 측판부(17a)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가,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요동 부재(38)의 노치부(38c)에 배치된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하여, 착탈 유닛(29)과 제1 측판부(17a)은 베이어닛 결합된다. 바꾸어 말하면, 착탈 유닛(29)에 있어서의 착탈부(19)의 베이어닛 돌기(19c)를, 제1 측판부(17a)에 있어서의 통상부(27b)의 베이어닛 홈(27d)에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 유닛(29)이, 제1 측판부(17a)에 장착된다.
덧붙여, 이 상태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는, 압박 부재(37)에 의하여 압박되고, 열려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요동 부재(38)의 자세는 제1 자세이다.
계속하여, 제1 측 커버부(18a)를 제2 연결 부재(42)의 축심 둘레에 회전시키면, 압박 부재(37)가 비틀리고,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와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측 커버부(18a)가, 스풀 지지부(15)를 향하여 밀어 넣어지면, 압박 부재(37)가 압축되고,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통상부(27b)에 당접한다.
이 상태로,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가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를 따라 일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있어서의 제2 구멍부(39b)로부터 제1 구멍부(39a)로 이동하고, 제1 구멍부(39a)의 가장자리부(39c)에 얹힌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의 개구부(27c)를 덮은 상태로, 제1 측 커버부(18a)가 제1 측판부(17a)(통상부(27b))에 보지된다. 이 상태가,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풀(14), 스풀 지지부(15), 및 제1 측 커버부(18a)는, 스풀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으로, 제1 측 커버부(18a)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요동용의 조작 손잡이(38b)가 요동 부재용의 긴 구멍부(22b)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있어서의 제1 구멍부(39a)의 가장자리부(39c)로부터 제2 구멍부(39b)로 이동한다. 그러면, 압박 부재(37)의 늘어나는 힘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와 함께, 제2 연결 부재(42)가, 스풀 지지부(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연결 부재(42)의 머리부(44)가, 위치 결정용의 긴 구멍부(39)에 있어서의 제2 구멍부(39b)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연결 부재(41)에 당접한다. 즉, 제1 측 커버부(18a)가, 스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폐색 자세로부터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 변경된다.
계속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 변경되면, 제1 측 커버부(18a)가, 압박 부재(37)의 비틀림력의 반력에 의하여, 제2 연결 부재(42) 둘레에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자세가, 커버 개방 가능 자세로부터 커버 개방 자세로 변경된다. 즉, 제1 측 커버부(18a)가 열린다.
계속하여,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를 조작하면, 착탈 유닛(29)과 제1 측판부(17a)의 베이어닛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로, 착탈 유닛(29)이, 스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내지면, 착탈 유닛(29)이 제1 측판부(17a)로부터 떼어 내진다.
덧붙여, 제1 측 커버부(18a)가 열려 있을 때에, 착탈용의 조작 손잡이(19b)가 조작되지 않는 한, 착탈 유닛(29)은, 제1 측판부(17a)에 장착된 채이다. 이 상태에서는, 유저(user)는, 스풀 지지부(15)의 창부(115e)를 통하여, 브레이크 슈(20b)를, 요동 가능하게 또는 요동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물 침입 방지 구조의 구성>
이물 침입 방지 구조(60)는, 양 베어링 릴(10)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물 침입 방지 구조(60)는, 제1 측판부(17a)(프레임(17))와, 제1 측 커버부(18a)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측 커버부(18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부(128a)를 가지는 커버 본체부(28a)(도 4를 참조)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 방지 부재(61)(도 6a를 참조)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1 측판부(17a) 및 제1 측 커버부(18a)는, 상기의 릴 본체(11)에 있어서 이미 설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물 방지 부재(61)는, 제1 측 커버부(18a)에 포함되는 부재이다. 이 기본 구성에 관하여는, 상기의 릴 본체(11)에 있어서 이미 설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기본 구성을 제외하는 구성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의 내면 측에 장착되고,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보지된다. 예를 들어,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본체부(28a)의 제1 곡률보다 작은 제2 곡률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본체부(28a)의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28d)(제2 곡률을 가지는 부분)가,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128d)(제1 곡률을 가지는 부분)에 장착된다.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128d)는, 커버 본체부(28a)의 돌출부(128b)의 일부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 방지 부재(61)는, 실질적으로 C자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C자 판상으로 형성된 본체부(61a)와,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61b)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이다.
본체부(61a)는, 예를 들어 제2 곡률의 곡률 중심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장착된다. 복수의(예를 들어, 3개의) 계합부(61b) 각각은, 본체부(61a)의 외주부(제2 곡률을 가지는 부분)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61b)는, 본체부(61a)의 외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볼록부(제2 볼록부의 일례)이다.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계합부(61b)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돌기(61c)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계합부(61b) 중 하나가, 돌기(61c)를 가지고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61c)를 가지지 않는 2개의 계합부(61b)는,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배치된다. 한편으로, 돌기(61c)를 가지는 계합부(61b)는, 대응하는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감합된다. 상세하게는, 계합부(61b)의 돌기(61c)를, 보지부(128c)의 벽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돌기(61c)를 가지는 계합부(61b)가,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감합된다. 이와 같이, 커버 본체부(28a)의 보지부(128c)에 대한 계합부(61b)의 배치 및 감합과, 상술한 본체부(61a)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는, 커버 본체부(28a)에 보지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3개의 계합부(61b) 중의 하나가, 돌기(61c)를 가지고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3개의 계합부(61b) 중의 2개, 또는 3개의 계합부(61b) 모두가, 돌기(61c)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본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1)와, 스풀(14)과, 핸들(12)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1)는, 개구부(27c)를 가지는 프레임(17)과, 개구부(27c)에 배치 가능한 제1 측 커버부(18a)를 가지고 있다. 스풀(14)은, 프레임(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12)은, 스풀(1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측 커버부(18a)는, 구멍부(128a)를 가지는 커버 본체부(28a)와, 구멍부(128a)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 방지 부재(61)를 가지고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가 프레임(17)의 내부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커버 본체부(28a)에 장착된다. 또한, 이물 방지 부재(61)는, 이물 방지 부재(61)의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부(28a)에 보지된다.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가,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에 장착되고, 복원력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에 보지된다. 이와 같이,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를 제1 측 커버부(18a)에 장착하기 위하여, 특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 측 커버부(18a)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특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는 것 없이, 이물 방지 부재(61)를 커버 본체부(28a)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측 커버부(18a)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B)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에 있어서의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 커버부(18a) 및 이물 방지 부재(61)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측 커버부(18a)에 있어서의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61)의 형상과 제1 측 커버부(18a)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즉 이물 방지 부재(61)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제2 곡률 반경)을, 제1 측 커버부(18a)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제1 곡률 반경)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경량화 및 이물 방지 부재(61)의 조립성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C)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의 커버 본체부(28a)가, 실질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실질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61)의 형상과 제1 측 커버부(18a)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부(18a)의 커버 본체부(28a)를 실질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물 방지 부재(61)를 실질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부(18a)의 경량화 및 이물 방지 부재(61)의 조립성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D)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의 커버 본체부(28a)가, 복수의 보지부(128c)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보지부(128c)는, 이물 방지 부재(61)를 보지한다. 이물 방지 부재(61)는, 복수의 계합부(61b)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계합부(61b) 각각은, 복수의 보지부(128c) 각각에 계합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E)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에 있어서의 복수의 계합부(61b)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돌기(6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계합부(61b)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돌기(61c)가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당접한 상태로,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감합된다. 이물 방지 부재(61)에 있어서의 다른 계합부(61b)는,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배치된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감합 및/또는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이물 방지 부재(61)의 돌기(61c)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면외로 휘게 할 수 있다. 이 휨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보다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F)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가, 제1 오목부 또는 제1 볼록부이다.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는, 제1 오목부에 계합하는 제2 볼록부, 또는 제1 볼록부에 계합하는 제2 오목부이다.
이 경우,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인 제2 볼록부(또는 제2 오목부)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인 제1 오목부(또는 제1 볼록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의하여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즉, 특별한 부재를 이용하는 것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물 방지 부재(61)를,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에, 확실히 위치 결정하고 장착할 수 있다.
(G) 본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가, 제1 측 커버부(18a)에 있어서의 커버 본체부(28a)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는,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 및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 각각이, 각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물 방지 부재(61)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다. 즉, 제1 측 커버부(18a)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측 커버부(18a)에 돌출부(128b)가 형성되고, 스풀 지지부(15)에 당접부(35d)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스풀 지지부(15)에 돌출부(128b)를 형성하고, 제1 측 커버부(18a)에 당접부(35d)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에 있어서, 3개의 계합부(61b)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계합부(61b)의 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떻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61c)가 형성되는 계합부(61b)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가, 실질적으로 C자 판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물 방지 부재(61)가 탄성 부재이고, 또한 이물 방지 부재(61)의 곡률(제2 곡률)이, 제1 측 커버부(18a)의 곡률(제1 곡률)보다 작으면, 이물 방지 부재(61)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가 볼록부이고,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가 오목부인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물 방지 부재(61)의 계합부(61b)가 오목부이고, 제1 측 커버부(18a)의 보지부(128c)가 볼록부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10: 양 베어링 릴
11: 릴 본체
12: 핸들
14: 스풀
17: 프레임(프레임 본체의 일례)
15: 스풀 지지부
18a: 제1 측 커버부(커버부의 일례)
16: 커버 개폐부
27c: 개구부
28b: 연결부
30: 스풀 액세스 기구
35d: 당접부
36: 커버 개폐 구조
37: 압박 부재
37a 비틀림 용수철부
37b: 제1 계지부
37c: 제2 계지부
50: 커버 개방 기구
60: 이물 침입 방지 구조
61: 이물 방지 부재
61b: 계합부
61c: 돌기
128a: 구멍부
128c: 보지부
128b: 돌출부

Claims (7)

  1.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 가능한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구멍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구멍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는,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 방지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보지(保持)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곡률 반경(半徑)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상(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이물 방지 부재를 보지하는 복수의 보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물 방지 부재는,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지부 각각에 계합(係合)하는 복수의 계합부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계합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지부에 감합(嵌合)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합부를 제외하는 다른 상기 계합부는, 상기 보지부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제1 오목부 또는 제1 볼록부이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계합하는 제2 볼록부, 또는 상기 제1 볼록부에 계합하는 제2 오목부인,
    양 베어링 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이물 방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KR1020140119947A 2013-09-13 2014-09-11 양 베어링 릴 KR102278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0359 2013-09-13
JP2013190359A JP6198539B2 (ja) 2013-09-13 2013-09-13 両軸受け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91A true KR20150031191A (ko) 2015-03-23
KR102278090B1 KR102278090B1 (ko) 2021-07-16

Family

ID=5266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947A KR102278090B1 (ko) 2013-09-13 2014-09-11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1837B2 (ko)
JP (1) JP6198539B2 (ko)
KR (1) KR102278090B1 (ko)
CN (1) CN104430227B (ko)
MY (1) MY167924A (ko)
TW (1) TWI6367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537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99776B2 (ja) * 2016-01-13 2019-10-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KR101823115B1 (ko) * 2017-01-13 2018-01-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02877B2 (ja) * 2018-12-25 2023-01-1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86A (ja) * 1999-10-13 2001-04-1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45444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2095392A (ja) * 2000-09-20 2002-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3204739A (ja) * 2002-01-16 2003-07-2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本体
JP2008005719A (ja) * 2006-06-27 2008-01-1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0357A (en) * 1952-05-27 1956-08-28 Enterprise Mfg Co Salt water reel
US3166269A (en) * 1960-01-05 1965-01-19 Veroli Elio Fishing reel with friction clutch
US3612425A (en) * 1969-06-23 1971-10-12 Shakespeare Co Bait-casting reel
JPS615130Y2 (ko) * 1980-07-04 1986-02-17
JPH0429779Y2 (ko) * 1987-10-30 1992-07-20
JP2563861Y2 (ja) * 1990-10-18 1998-02-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922783B2 (ja) * 1994-04-18 1999-07-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H1146635A (ja) * 1997-08-08 1999-02-23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US6189823B1 (en) * 1998-03-30 2001-02-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having side plates efficient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frames of reel body
JP3525055B2 (ja) * 1998-07-27 2004-05-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TW440425B (en) *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TW467718B (en) * 1999-10-05 2001-12-11 Shimano Kk Reel body of double bearing reel
JP2001148973A (ja) * 1999-11-26 2001-06-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2000135A (ja) * 2000-06-26 2002-01-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2369643A (ja) * 2001-06-15 2002-12-2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065066A (ja) * 2002-08-05 2004-03-04 Daiwa Seiko Inc 魚釣用片軸受型リ−ル
SG114660A1 (en) * 2003-04-16 2005-09-28 Shimano Kk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7175121B2 (en) * 2003-10-28 2007-02-13 Shimano Inc.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JP4785448B2 (ja) * 2005-07-20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SG144041A1 (en) * 2006-12-21 2008-07-29 Shimano Kk Reel unit of spinning reel
JP4901500B2 (ja) * 2007-01-23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US9055735B2 (en) * 2012-06-07 2015-06-16 Shimano Inc. Spinning reel and spinning-reel reel unit
JP6411009B2 (ja) * 2013-03-29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部品
JP6177625B2 (ja) * 2013-08-16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7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86A (ja) * 1999-10-13 2001-04-1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45444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2095392A (ja) * 2000-09-20 2002-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3204739A (ja) * 2002-01-16 2003-07-2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本体
JP2008005719A (ja) * 2006-06-27 2008-01-1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1837B2 (en) 2017-03-14
TWI636729B (zh) 2018-10-01
KR102278090B1 (ko) 2021-07-16
US20150076270A1 (en) 2015-03-19
MY167924A (en) 2018-09-28
TW201519760A (zh) 2015-06-01
CN104430227A (zh) 2015-03-25
JP2015053918A (ja) 2015-03-23
CN104430227B (zh) 2018-06-19
JP6198539B2 (ja)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1189A (ko) 양 베어링 릴
KR20150031191A (ko) 양 베어링 릴
KR20150031190A (ko) 양 베어링 릴
JP2015053916A5 (ko)
JP2015053917A5 (ko)
JP2015053918A5 (ko)
KR20100069574A (ko) 듀얼 베어링 릴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US10253826B2 (en) Clutch control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JP2004141103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5084455B2 (ja) 電柱支線用蔓巻防止具
US20190141972A1 (en) Dual-bearing reel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TWI754113B (zh) 軸承收容構造及雙軸承捲線器
KR200375048Y1 (ko) 보빈의 풀림 방지구
JP2020010603A (ja) 両軸受リール
JP2019004865A (ja) 両軸受リール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KR102200068B1 (ko) 장력 조절형 낚시용 온릴
TWI780108B (zh) 電動捲線器
JP3109215U (ja) 二方向コード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