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718A -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718A
KR20150028718A KR20140109451A KR20140109451A KR20150028718A KR 20150028718 A KR20150028718 A KR 20150028718A KR 20140109451 A KR20140109451 A KR 20140109451A KR 20140109451 A KR20140109451 A KR 20140109451A KR 20150028718 A KR20150028718 A KR 2015002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ange portion
outer container
inner contain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903B1 (ko
Inventor
타다시 나에무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3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25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2575/565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means explicitly used for susp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는,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2)와, 금속층(52)을 함유한 외측 용기(3)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된 구성으로 한다. 본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기로서의 가스 배리어성에 우수한 한편,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운 식품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CONTAINER FOR F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상, 고형상 등의 식품을 속에 넣기 위한 용기(容器)로서, 전자 레인지로의 가열일 때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용기는, 가스 배리어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용 용기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용기에 충전된 식품을 전자 레인지로 가열할 때, 종전에는, 유리제 용기나 도자기제 용기에 식품을 옮겨 담고 나서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식품의 옮겨 담음을 행하고 있었던 것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용기를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한 경우, 용기의 플랜지 단부(端部)에 노출한 금속층에서 스파크를 발생하여, 용기가 연소될 가능성이 있고, 내용물의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용기를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한 때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금속박의 양면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그 용기의 플랜지 단부를 외장체(外裝體)로 덮은 구성으로 하고, 상기 용기의 저부 외면의 중앙부에, 손실계수(損失係數)(ε·tanδ)가 0.001 이하, 연화점 온도가 100℃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높이가 3.5㎜ 이상의 스파크 방지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스파크 방지 부재의 단면적이 용기 저면적에 대해 1% 이상, 또한,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여러 특징을 구비한 스파크 방지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용기의 플랜지 단부를 외장체로 덮어서 금속층의 단부가 노출하지 않도록 함에 의해, 전자 레인지로의 가열할 때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2006-131270호 공보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금속층이 노출하는 부분은 없지만, 금속층을 포함하는 용기이기 때문에, 이 용기를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면, 금속층의 존재에 의해 전자파가 차폐되어 버려, 용기에 들어가고 있는 식품에의 전자파 조사(照射)는, 용기의 개구부(통상,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부터만으로 되어, 식품의 가열 효율이 낮고, 식품의 가열 온도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고(식품에서 부분적으로 가열 온도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고), 또한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에서는 가열 불균일에 의해 돌비(突沸) 현상이 생기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용기 중의 금속층이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된 식품의 온도(열량)를 용기의 외면에 전하기 쉽고,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한 후에 용기를 취출할 때에 그대로 손으로 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다른 물품과의 접촉, 외적 충격 등에 의해, 금속층의 일부가 노출할 가능성이 있고, 이와 같이 금속층의 일부가 노출한 용기를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면, 스파크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로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운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2]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外方)을 향하여 제1 플랜지부가 연설(延設)되고, 그 제1 플랜지부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하방을 향하여 단부(段部)가 연장되고, 그 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2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3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3 플랜지부의 윗면이 상기 내측 용기의 제1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서 적층되고, 상기 제3 플랜지부의 선단연(先端緣)이, 상기 내측 용기의 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3] 상기 내측 용기의 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內方)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는 전항 2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4]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의 윗면이, 상기 외측 용기의 제3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전항 3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5] 상기 내측 용기의 제2 플랜지부의 하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상기 외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전항 2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6]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4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4 플랜지부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상방을 향하여 단부가 연장되고, 그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5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6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6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외측 용기의 제4 플랜지부의 윗면에 맞닿아서 적층되고, 상기 제6 플랜지부의 선단연이, 상기 외측 용기의 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7] 상기 외측 용기의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는 전항 6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8]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내측 용기의 제6 플랜지부의 윗면에 맞닿아 있는 전항 7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9] 상기 외측 용기의 제5 플랜지부의 윗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상기 내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전항 6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10]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에폭시 수지, 에폭시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알루미늄인 전항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11]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는 상기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되고,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에 상기 양 용기가 분리되어 상기 내측 용기만이 전자 레인지 가열에 제공되어 사용되는 것인 전항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
[12]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가열 용융 수지를 사출 성형함에 의해,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하는 수지로서,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3]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 시트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제 시트에 압공(壓空)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행함에 의해, 내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내측 용기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4]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성형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용 시트에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행함에 의해, 외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외측 용기를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5]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성형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용 시트에 드로잉 성형을 행함에 의해, 외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외측 용기를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6]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 시트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제 시트에 드로잉 성형을 행함에 의해, 내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내측 용기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7]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의 재질은,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전항 13 내지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의 발명(식품용 용기)에서는,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된 구성이기 때문에, 식품이 충전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를 보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외측 용기가 금속층을 함유함에 의해, 용기로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식품이 충전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 속의 식품에 대해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분리하여, 식품이 충전된 내측 용기만을 전자 레인지에 넣어서 가열을 행할 수가 있고, 그 내측 용기는,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2]의 발명에서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3]의 발명에서는, 내측 용기의 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한층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4]의 발명에서는, 되돌림 플랜지부의 윗면이, 외측 용기의 제3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5]의 발명에서는, 내측 용기의 제2 플랜지부의 하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외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즉 내측 용기의 제2 플랜지부가, 외측 용기의 구성 부재(제3 플랜지부 등)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분리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6]의 발명에서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7]의 발명에서는, 외측 용기의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한층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8]의 발명에서는, 되돌림 플랜지부의 하면이, 내측 용기의 제6 플랜지부의 윗면에 맞닿아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일체화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9]의 발명에서는, 외측 용기의 제5 플랜지부의 윗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내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즉 외측 용기의 제5 플랜지부가, 내측 용기의 구성 부재(제6 플랜지부 등)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분리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10]의 발명에서는, 내측 용기의 외면의 재질 및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이, 각각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용기는 내열성에 우수함과 함께, 양 용기가 충분히 분리 가능한 상태로 밀착 일체화된 것으로 된다.
[11]의 발명에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는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는, 외측 용기가 금속층을 함유함에 의해, 용기로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에 양 용기가 분리되어,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내측 용기만이 전자 레인지 가열에 제공되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
[12]의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13]의 발명에 의하면,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14]의 발명에 의하면,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15]의 발명에 의하면, 드로잉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16]의 발명에 의하면, 드로잉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17]의 발명에서는, 충분히 분리 가능한 상태로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품용 용기를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차에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열린 사출 성형틀에 외측 용기를 세트한 상태, (B)는 사출 성형틀을 클로징한 상태, (C)는 사출 성형이 종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차에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수지제 시트와 외측 용기를 압공 성형틀에 세트하여 진공흡인하고 있는 상태, (B)는 압공 성형한 직후의 상태, (C)는 압공 성형틀을 개방하여 소정 위치에서 절단을 행하여 식품용 용기를 취출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4의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차에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성형용 시트와 내측 용기를 드로잉 성형 장치에 세트한 상태, (B)는 드로잉 성형을 행하고 있는 도중 상태, (C)는 드로잉 성형이 종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1)는, 금속층을 갖지 않는 수지제의 내측 용기(2)와, 적어도 금속층(52)을 갖는 외측 용기(3)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1)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에 도시한다. 내측 용기(2)는, 저벽(底壁)(2a)과, 그 저벽(2a)의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진 주측벽(周側壁)(2b)을 구비하고, 상기 주측벽(2b)의 상단에 개구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외측 용기(3)는, 저벽(3a)과, 그 저벽(3a)의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진 주측벽(3b)을 구비하고, 상기 주측벽(3b)의 상단에 개구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용기(2)의 저벽(2a)은, 평면시 원형상(圓形狀)이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주측벽(2b)은, 개략 원통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외측 용기(3)의 저벽(3a)은, 평면시 원형상이고, 상기 외측 용기(3)의 주측벽(3b)은, 개략 원통형상이다.
상기 내측 용기(2)의 상단의 개구부(20)의 주연(주측벽(2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1 플랜지부(21)가 연설되고, 그 제1 플랜지부(21)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하방을 향하여 단부(23)가 연장되고, 그 단부(23)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2 플랜지부(22)가 연설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외측 용기(3)의 상단의 개구부(30)의 주연(주측벽(3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3 플랜지부(33)가 연설되어 있다(도 1 참조).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용기(2)는, 단일한 수지층(단층(單層))으로 형성된 내측 용기이고, 상기 외측 용기(3)는, 금속층(52)의 일방의 면에 제1 수지층(내측층)(51)이 적층되고, 상기 금속층(52)의 타방의 면에 제2 수지층(외측층)(53)이 적층된 3층 구성의 외측 용기이다(도 1 참조).
그리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 즉, 상기 내측 용기(2)의 저벽(3a)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의 저벽(3a)의 내면이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주측벽(3b)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의 주측벽(3b)의 내면이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외측 용기(3)의 제3 플랜지부(33)의 윗면이 상기 내측 용기(2)의 제1 플랜지부(21)의 하면에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제3 플랜지부(33)의 선단연이, 상기 내측 용기(2)의 단부(23)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개략 적합상태(適合狀態)로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도 1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가열 용융 수지가 사출 성형됨에 의해, 외측 용기(3)의 내면에 내측 용기(2)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 용기(2)의 제2 플랜지부(22)의 하면에, 상기 외측 용기(3)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내측 용기(2)의 제2 플랜지부(22)가, 외측 용기(3)의 구성 부재(제3 플랜지부(33) 등)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구성이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할 때의 분리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내측 용기(2)의 제2 플랜지부(22)를 손으로 쥐고서 그 제2 플랜지부(22)를 변형시키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고, 이에 의해, 밀착 일체화되어 있던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식품용 용기(1)에서는, 보존 중 등의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는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가 밀착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인데, 이때, 외측 용기(3)가 금속층(52)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용 용기(1)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식품이 충전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의 중의 식품에 대해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하여, 식품이 충전된 내측 용기(2)만을 전자 레인지에 넣어서 가열을 행할 수가 있고, 이때, 내측 용기(2)는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1)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의 구성을 구비하고 나서, 또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내측 용기(2)의 단부(23)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24)가 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24)의 윗면이, 상기 외측 용기(3)의 제3 플랜지부(33)의 하면에 맞닿아 있다(도 3 참조). 이 제2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1)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에서 이루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면서, 또한 다음과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즉, 내측 용기(2)의 단부(23)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24)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2, 3)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되돌림 플랜지부(24)의 윗면이, 외측 용기(3)의 제3 플랜지부(33)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일체화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압공(壓空) 성형에 의해 형성된 내측 용기(2)가 성형과 동시에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4에 도시한다. 내측 용기(2)는, 저벽(2a)과, 그 저벽(2a)의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진 주측벽(2b)을 구비하고, 상기 주측벽(2b)의 상단에 개구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외측 용기(3)는, 저벽(3a)과, 그 저벽(3a)의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진 주측벽(3b)을 구비하고, 상기 주측벽(3b)의 상단에 개구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용기(2)의 저벽(2a)은, 평면시 원형상이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주측벽(2b)은, 개략 원통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외측 용기(3)의 저벽(3a)은, 평면시 원형상이고, 상기 외측 용기(3)의 주측벽(3b)은, 개략 원통형상이다.
상기 외측 용기(3)의 상단의 개구부(30)의 주연(주측벽(3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4 플랜지부(34)가 연설되고, 그 제4 플랜지부(34)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상방을 향하여 단부(36)가 연장되고, 그 단부(36)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5 플랜지부(35)가 연설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내측 용기(2)의 상단의 개구부(20)의 주연(주측벽(2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6 플랜지부(26)가 연설되어 있다(도 4 참조).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용기(2)는, 단일한 수지층(단층)으로 형성된 내측 용기이고, 상기 외측 용기(3)는, 금속층(52)의 일방의 면에 제1 수지층(내측층)(51)이 적층되고, 상기 금속층(52)의 타방의 면에 제2 수지층(외측층)(53)이 적층된 3층 구성의 외측 용기이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 즉, 상기 내측 용기(2)의 저벽(3a)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의 저벽(3a)의 내면이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주측벽(3b)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의 주측벽(3b)의 내면이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제6 플랜지부(26)의 하면이 상기 외측 용기(3)의 제4 플랜지부(34)의 윗면에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제6 플랜지부(26)의 선단연이, 상기 외측 용기(3)의 단부(36)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3)가 개략 적합상태로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도 4 참조).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드로잉 성형에 의해 형성된 외측 용기(3)가 성형과 동시에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용기(3)의 제5 플랜지부(35)의 윗면에, 상기 내측 용기(2)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외측 용기(3)의 제5 플랜지부(35)가, 내측 용기(2)의 구성 부재(제6 플랜지부(26) 등)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구성이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할 때의 분리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측 용기(3)의 제5 플랜지부(35)를 손으로 쥐고서 그 제5 플랜지부(35)를 변형시키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고, 이에 의해, 밀착 일체화되어 있던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식품용 용기(1)에서는, 보존 중 등의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는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가 밀착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인데, 이때, 외측 용기(3)가 금속층(52)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용 용기(1)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식품이 충전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의 중의 식품에 대해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는,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분리하여, 식품이 충전된 내측 용기(2)만을 전자 레인지에 넣어서 가열을 행할 수가 있고, 이 때, 내측 용기(2)는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 어렵고, 식품의 가열 효율이 높고, 식품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1)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1)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의 구성을 구비하고 나서, 또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외측 용기(3)의 단부(36)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37)가 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37)의 하면이, 상기 내측 용기(2)의 제6 플랜지부(26)의 윗면에 맞닿아 있다(도 5 참조).
이 제4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1)에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식품용 용기에서 이루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면서, 또한 다음과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즉, 외측 용기(3)의 단부(36)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37)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일체화 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가 있어서, 양 용기(2, 3)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다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되돌림 플랜지부(37)의 하면이, 상기 내측 용기(2)의 제6 플랜지부(26)의 윗면에 맞닿아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의 일체화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사출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
우선, 사출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한 예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서, 61은, 제1 사출 성형틀(成形型)이고, 그 내측의 성형면은, 도 1의 외측 용기(3)의 외면 형상에 꼭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62는, 제2 사출 성형틀이고, 그 내측의 성형면은, 도 1의 내측 용기(2)의 내면 형상에 꼭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사출 성형틀(62)의 성형면의 중심부에 사출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1 사출 성형틀(61)과 상기 제2 사출 성형틀(62)을 맞붙여서 클로징한 때에 이들 양 사출 성형틀(61, 62)의 사이에, 상기 도 1의 식품용 용기(1)에 대응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C) 참조).
그리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사출 성형틀(61, 62)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사출 성형틀(61)의 내측의 성형면에, 금속층(52)을 함유한 외측 용기(3)를 적합상태로 세트한다. 상기 외측 용기(3)는, 드로잉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뒤이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사출 성형틀(61, 62)을 클로징함에 의해, 성형용 캐비티(64)를 형성시킨다. 이 성형용 캐비티(64)는, 상기 도 1의 식품용 용기(1)의 내측 용기(2)에 대응한 3차원 공간을 갖는 성형용 공극이다. 다음에,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용융 수지를 사출구멍(63)을 통하여 상기 성형용 캐비티(64)에 사출하여,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가열 용융 수지를 사출 성형함에 의해,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3)를 겹치고, 뒤이어 냉각을 행함에 의해, 도 1의 식품용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즉,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내측 용기(2)의 재질(가열 용융 수지의 재질)은,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출한 용융 수지의 열에 의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가 용착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된 것으로 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압공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
다음에, 압공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압공 성형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한 예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서, 71은, 압공 성형틀이고, 그 내측의 성형면은, 도 3의 외측 용기(3)의 외면 형상에 꼭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73은, 상기 압공 성형틀(71)을 수용한 윗면 개방의 수용체(收容體)이고, 72는, 덮개체이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73)의 내부에 상기 압공 성형틀(71)을 배치하고, 그 압공 성형틀(71)의 내면에 금속층(52)을 함유한 외측 용기(3)를 적합상태로 세트함과 함께, 상기 수용체(73)의 위에 수지제 시트(70)를 재치하고, 또한 이 위에 상기 덮개체(72)를 재치(載置)하고, 수지제 시트(70)를 가열한 후, 수용체(73)와 덮개체(72)로 둘러싸여진 공간을 진공흡인한다. 또한, 상기 외측 용기(3)는, 드로잉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뒤이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 시트(70)의 상방측에서 압축 공기를 넣음에 의해, 수지제 시트(70)를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겹쳐서 압공 성형한다. 그리고 나서,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72)를 벗겨내고, 소정 위치에서 절단을 행한 후, 이형(離型)함에 의해, 도 3의 식품용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즉,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압공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내측 용기(2)의 외면의 재질(수지제 시트(70)에서의 외측 용기(3)와 맞닿는 측의 면의 재질)은,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열된 수지제 시트(70)의 열에 의해,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가 용착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된 것으로 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용기(2)의 외면의 재질이,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재질과 동일한 경우에도, 수지제 시트(70)의 가열 온도 등의 압공 성형 조건을 특정 범위의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공 성형에 대신하여 진공 성형을 행함으로써 똑같이 하고,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도 3 참조)를 제조할 수 있다.
[드로잉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
다음에, 드로잉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드로잉 성형을 이용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한 예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81은, 펀치이고, 그 성형면은, 도 4의 외측 용기(3)의 저면의 형상에 꼭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82는, 주름 억제부이다. 83은, 다이스이고, 고정대(84)의 위에 고정되어 있다. 85는, 지지부이고, 상기 주름 억제부(82)와의 사이에 성형용 시트(80)를 끼워 넣는 것이고,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스(83)에 내측 용기(2)를 적합상태로 세트한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진공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뒤이어, 지지부(85) 및 내측 용기(2)의 위에, 금속층(52)을 함유하는 성형용 시트(80)를 재치한다. 뒤이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름 억제부(82)를 하강 이동시켜서, 지지부(85)의 윗면과 주름 억제부(82)의 하면으로 성형용 시트(80)의 양단부를 끼워 넣고, 더욱 주름 억제부(82)를 하강 이동시킨다. 뒤이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름 억제부(82)를 지지부(85)의 윗면에 맞닿을 때까지 더욱 하강 이동시킴과 함께, 펀치(81)도 하강 이동시킴에 의해, 성형용 시트(80)를 드로잉 성형하여,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3)를 겹침에 의해, 도 4의 식품용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즉,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드로잉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성형의 과정에서 가열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재질(성형용 시트(80)에서의 내측 용기(2)와 맞닿는 측의 면의 재질)은, 내측 용기(2)의 외면의 재질과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 용기(2)의 두께는, 0.5㎜ 내지 1.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용기(2)는, 금속층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제의 용기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단층(단일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층(복수의 수지층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제 내측 용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내측 용기는, 양호한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알맞다.
상기 외측 용기(3)의 두께는, 0.05㎜ 내지 0.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용기(3)는, 금속층(52)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적어도 금속층(52)을 포함하는 복층(적층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적층체 구성의 외측 용기(3)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층(52)의 일방의 면에 제1 수지층(51)이 적층되고, 상기 금속층(52)의 타방의 면에 제2 수지층(53)이 적층된 3층 구성의 외측 용기(3)를 예시할 수 있다(도 1, 3 내지 5 참조).
상기 금속층(52)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구리, 은, 탄탈 등의 단(單)금속 외에, 이들 금속의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티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금속층(52)은, 알루미늄층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순알루미늄계 합금 또는 8000번계(係)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성형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측 용기(2)의 재료와, 외측 용기(3)의 재료의 조합의 알맞은 예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외측 용기의 구성례에 있어서 적층 구성인 경우에는 좌측에 기재된 재료가 내면(내측 용기와 접하는 면)이 되는 재료이다. 진공 성형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내측 용기(2)의 재료와 외측 용기(3)의 재료의 조합의 알맞은 예는, 압공 성형에서 나타냈던 알맞은 예와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또한, 표 1, 2에 기재된 하기 약호는, 각각 하기 재료(층)를 의미한다.
「PP」 : 폴리프로필렌
「C-PET」 :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PP」 :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AL」 : 알루미늄(박(箔))
「PE」 : 폴리에틸렌
「Ny」 : 나일론
「수지 코트」 :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된 수지층이고, 그 수지종(樹脂種)으로서는, 에폭시 수지, 에폭시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구성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외측 용기(3)가 밀착되는 일 없이 단지 겹쳐져서 배치되고, 상기 양 용기(2, 3)의 플랜지부끼리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또는 플랜지부끼리가 분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음(예를 들면 점착제로 점착(粘着)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구성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양 용기(2, 3)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상기 내측 용기(2)와 상기 외측 용기(3)와의 일체화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에 접착제(接着劑)를 통하여 상기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접착제를 배치하는 위치는, 양 용기(2, 3)의 사이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 내측 용기(2)의 저벽(2a)과 외측 용기(3)의 저벽(3a)의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
2) 내측 용기(2)의 주측벽(2b)과 외측 용기(3)의 주측벽(3b)의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
3) 내측 용기(2)의 제1 플랜지부(21)와 외측 용기(3)의 제3 플랜지부(33)의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
4) 내측 용기(2)의 제6 플랜지부(26)와 외측 용기(3)의 제4 플랜지부(34)의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1)과 2)의 양쪽이 채용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의 일부와,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일부에 접하여 접착제가 배치된 양태라도 좋고, 상기 내측 용기(2)의 외면의 전부와 상기 외측 용기(3)의 내면의 전부에 접하여 접착제가 배치된 양태라도 좋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아크릴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접착제로서는, 핫멜트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의 단어는, 그 접착제층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된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사람의 손의 힘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접착력을 구비한 접착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1)는, 상기 예시 설명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조 방법은, 그 한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례의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전항에서 설명한 「사출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 도 1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외측 용기(3)로서, 알루미늄(A8021-O재)으로 형성된 두께 120㎛의 외측 용기를 이용하고, 230℃로 가열된 가열 용융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성형용 캐비티 내에 사출함에 의해, 외측 용기(3)의 내면에 용융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두께 1.0㎜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두께 120㎛의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비교례 1>
외측 용기(3)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내측층)(30㎛)/알루미늄층(120㎛)/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외측층)(200㎛)의 3층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식품용 용기를 얻었다.
<실시례 2>
전항에서 설명한 「압공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외측 용기(3)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내측층)(30㎛)/알루미늄층(120㎛)/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외측층)(200㎛)의 3층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를 이용하고, 수지제 시트(70)로서, 두께 1.0㎜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하고, 145℃로 가열한 수지제 시트(70)를 외측 용기(3)의 내면에 겹쳐서 압공 성형하여, 두께 1.0㎜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두께 350㎛의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실시례 3>
외측 용기(3)로서, 폴리에틸렌층(내측층)(30㎛)/알루미늄층(120㎛)/폴리에틸렌층(외측층)(200㎛)의 3층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4>
외측 용기(3)로서,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두께 120㎛의 외측 용기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5>
수지제 시트(70)로서, 160℃로 가열한 두께 0.6㎜의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시트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6>
수지제 시트(70)로서, 160℃로 가열한 두께 0.6㎜의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시트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7>
전항에서 설명한 「드로잉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성형용 시트(80)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내측층)(30㎛)/알루미늄층(120㎛)/결정성 폴리프로필렌층(외측층)(200㎛)의 3층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를 이용하고, 내측 용기(2)로서,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두께 1.0㎜의 내측 용기를 이용하고, 성형용 시트(80)에 드로잉 성형을 행함에 의해 외측 용기(3)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외측 용기(3)를 내측 용기(2)의 외면에 겹침에 의해, 두께 1.0㎜의 내측 용기(2)의 외면에 두께 350㎛의 외측 용기(3)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2, 3)가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된 식품용 용기(1)를 제조하였다.
<실시례 8>
성형용 시트(80)로서, 폴리에틸렌층(내측층)(30㎛)/알루미늄층(120㎛)/폴리에틸렌층(외측층)(200㎛)의 3층 적층 시트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9>
성형용 시트(80)로서, 두께 120㎛의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10>
내측 용기(2)로서,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두께 0.6㎜의 내측 용기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실시례 11>
내측 용기(2)로서,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두께 0.6㎜의 내측 용기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례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식품용 용기(1)를 얻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식품용 용기에 관해 하기 평가법에 의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표 2]
Figure pat00002
<성형성 평가법>
얻어진 식품용 용기의 내측 용기나 외측 용기에 파단(破斷), 핀홀이 없고 성형성이 우수한 것을 「○」, 용기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는 파단, 핀홀이 없지만, 용기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파단 또는 핀홀이 인정되는 것이 드물게 있던 것을 「△」, 파단 또는 핀홀이 인정된 것을 「×」로 하였다.
<밀착성 평가법>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충분히 밀착하고 있던 것을 「○」, 밀착력이 약한 것이지만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밀착하고 있고 실사용 가능한 것을 「△」,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거의 밀착하지 않든지 또는 전혀 밀착하지 않은 것을 「×」로 하였다.
<분리성 평가법>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일 없게 사람의 손으로 스무스하게 분리할 수 있었던 것을 「○」, 큰 힘을 이용하면 사람의 손으로 분리할 수 있었던 것을 「△」,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충분히 용착하여서 사람의 손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였었던 것을 「×」로 하였다.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 1 내지 11의 식품용 용기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밀착하고 있고 양호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음과 함께,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사람의 손으로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분리할 수가 있었다. 또한, 성형성에도 우수하고, 파단, 핀홀이 없고, 용기로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함을 알았다.
이에 대해, 비교례 1의 식품용 용기에서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레인지로의 가열할 때에 내측 용기만을 전자 레인지에 넣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수프, 죽 등의 액상 식품, 어육류나 야채의 조리 완료 식품 등의 고형상 식품 등의 식품이 속에 충전된 식품용 용기로서 사용된다. 식품이 충전된 본 발명의 식품용 용기 속의 식품에 대해 전자 레인지로 가열을 행할 때에는,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분리하여, 식품이 충전된 내측 용기만을 전자 레인지에 넣고 가열을 행한다.
본 출원은, 2013년 9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2013-184683호의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고, 그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및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내라면, 그 정신을 일탈한 것이 아닌 한 어떠한 설계적 변경도 허용하는 것이다.
1 : 식품용 용기
2 : 내측 용기
3 : 외측 용기
20 : 개구부
21 : 제1 플랜지부
22 : 제2 플랜지부
23 : 단부
24 : 되돌림 플랜지부
26 : 제6 플랜지부
30 : 개구부
33 : 제3 플랜지부
34 : 제4 플랜지부
35 : 제5 플랜지부
36 : 단부
37 : 되돌림 플랜지부
52 : 금속층
70 : 수지제 시트
80 : 성형용 시트

Claims (17)

  1.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상기 외측 용기가 겹쳐져서 상기 양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1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1 플랜지부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하방을 향하여 단부가 연장되고, 그 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2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3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3 플랜지부의 윗면이 상기 내측 용기의 제1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서 적층되고, 상기 제3 플랜지부의 선단연이, 상기 내측 용기의 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의 윗면이, 상기 외측 용기의 제3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제2 플랜지부의 하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상기 외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4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4 플랜지부의 외방측의 주연으로부터 개략 상방을 향하여 단부가 연장되고, 그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5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의 개구부의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제6 플랜지부가 연설되고, 그 제6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외측 용기의 제4 플랜지부의 윗면에 맞닿아서 적층되고, 상기 제6 플랜지부의 선단연이, 상기 외측 용기의 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의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되돌림 플랜지부가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림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내측 용기의 제6 플랜지부의 윗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의 제5 플랜지부의 윗면에서의 적어도 외방측의 주연부에, 상기 내측 용기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에폭시 수지, 에폭시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까지는 상기 양 용기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되고, 전자 레인지 가열을 행할 때에 상기 양 용기가 분리되어 상기 내측 용기만이 전자 레인지 가열에 제공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12.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가열 용융 수지를 사출 성형함에 의해,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하는 수지로서,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3.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 시트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제 시트에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행함에 의해, 내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내측 용기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4.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성형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용 시트에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행함에 의해, 외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외측 용기를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5.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성형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용 시트에 드로잉 성형을 행함에 의해, 외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외측 용기를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6. 금속층을 함유하지 않은 수지제 시트와, 적어도 금속층을 함유하는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제 시트에 드로잉 성형을 행함에 의해, 내측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그 내측 용기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에 겹쳐서, 상기 양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외면의 재질은, 상기 외측 용기의 내면의 재질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40109451A 2013-09-06 2014-08-22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8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4683A JP6267899B2 (ja) 2013-09-06 2013-09-06 食品用容器
JPJP-P-2013-184683 2013-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718A true KR20150028718A (ko) 2015-03-16
KR102188903B1 KR102188903B1 (ko) 2020-12-09

Family

ID=527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451A KR102188903B1 (ko) 2013-09-06 2014-08-22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67899B2 (ko)
KR (1) KR102188903B1 (ko)
CN (2) CN104417920B (ko)
TW (1) TWI63105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7422A (zh) * 2016-05-20 2017-11-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层均热锅的制备方法
CN107397424A (zh) * 2016-05-20 2017-11-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均温不沾锅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899B2 (ja) * 2013-09-06 2018-01-2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食品用容器
JP6389076B2 (ja) * 2014-07-11 2018-09-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CN104802432B (zh) * 2015-04-20 2017-10-27 嘉兴市牧天塑料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八角形容器的生产方法
JP6738625B2 (ja) * 2015-06-01 2020-08-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容器および包装体
JP6211045B2 (ja) * 2015-07-23 2017-10-11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蓋
JP6706486B2 (ja) * 2015-11-17 2020-06-1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6726525B2 (ja) * 2016-05-18 2020-07-2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容器用積層シートおよび容器
ES2911974B2 (es) * 2020-11-20 2022-09-23 Palec Ecologico S L Caja isotermica para almacenar y transportar productos
JP7382685B1 (ja) 2023-08-21 2023-11-17 有限会社山本商事 加熱保存容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749U (ko) * 1976-12-03 1978-07-05
JPH01164117U (ko) * 1988-05-06 1989-11-16
JPH0761434A (ja) * 1993-08-24 1995-03-07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カップ並びにその口元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218235A (ja) * 1997-02-06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5853A (ja) * 1998-06-03 2000-03-28 Jienna Internatl:Kk 即席食品容器
JP2006131270A (ja) 2004-11-08 2006-05-25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016Y1 (ko) * 1970-12-14 1975-06-25
US3785544A (en) * 1972-05-15 1974-01-15 Phillips Petroleum Co Tray with strengthening member
JPS6294543A (ja) * 1985-10-08 1987-05-01 東洋製罐株式会社 深絞り成形容器
JPH09290815A (ja) * 1996-04-24 1997-11-11 Utsui:Kk 抄造容器、及び抄造容器を用いた包装体
JP4220044B2 (ja) * 1998-12-17 2009-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射出成形容器
JP3549854B2 (ja) * 2000-08-09 2004-08-04 花王株式会社 断熱容器
JP6267899B2 (ja) * 2013-09-06 2018-01-2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食品用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749U (ko) * 1976-12-03 1978-07-05
JPH01164117U (ko) * 1988-05-06 1989-11-16
JPH0761434A (ja) * 1993-08-24 1995-03-07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カップ並びにその口元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218235A (ja) * 1997-02-06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5853A (ja) * 1998-06-03 2000-03-28 Jienna Internatl:Kk 即席食品容器
JP2006131270A (ja) 2004-11-08 2006-05-25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7422A (zh) * 2016-05-20 2017-11-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层均热锅的制备方法
CN107397424A (zh) * 2016-05-20 2017-11-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均温不沾锅具
CN107397422B (zh) * 2016-05-20 2020-11-1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层均热锅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67899B2 (ja) 2018-01-24
TWI631055B (zh) 2018-08-01
KR102188903B1 (ko) 2020-12-09
CN204341687U (zh) 2015-05-20
CN104417920B (zh) 2018-04-27
JP2015051783A (ja) 2015-03-19
CN104417920A (zh) 2015-03-18
TW201509766A (zh)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8718A (ko)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6350557B2 (ja) パウチ、内容物封入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552668C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 parts, container parts,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foil, multilayer foil
JP5466982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容器
TWI641542B (zh) Microwave storage container
KR20160007344A (ko)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TWI714765B (zh) 容器用積層片材及容器
AU2018203070B2 (en) Tray
JP4220044B2 (ja) 電子レンジ用射出成形容器
JP6407637B2 (ja) 食品用容器
JPH10218235A (ja)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2907B2 (ja)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容器
JP2016210492A (ja) ホット飲料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WO2014029729A1 (en) Tray
JP2019181927A (ja)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JP5756509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包装容器
JP3216626U (ja) 食品容器
WO2005082742A1 (fr) Recipient pour aliments chauffes dans un four a micro-ondes
JP6623045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H04147838A (ja) 容器
JP2556395B2 (ja) 容器の製造法
KR20190050290A (ko)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