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002A -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002A
KR20150017002A KR1020157001799A KR20157001799A KR20150017002A KR 20150017002 A KR20150017002 A KR 20150017002A KR 1020157001799 A KR1020157001799 A KR 1020157001799A KR 20157001799 A KR20157001799 A KR 20157001799A KR 20150017002 A KR20150017002 A KR 2015001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abilizer
effective amount
eye
oxi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브쿠마르 마하데반
프랭크 몰록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1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3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e.g. pizotif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용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눈용 조성물{Stabilized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oxidatively unstable components}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눈용 성분들의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6년 3월 17일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인 비-가출원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60/783,55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눈에 국소 투여하기 위한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 형태 중 하나로 제형화되며, 투여시까지 무균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눈용(ophthalmic) 치료제는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무균 포장으로 포장되거나 가열 살균된다. 불행하게도, 많은 치료제가 특히 상승된 온도에서 산화에 안정하지 않다.
EDTA, 디궤스트 (Dequest) 및 데스페랄 (Desferal)이 사용되어 고압 멸균 동안 특정 치료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산화성 분해에 민감한 불안정한 치료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다른 화합물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는 본 발명에 의해서 충족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안정화제를 눈용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은 눈의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제학적 또는 건강기능학적 화합물을 나타내며, 그러한 화합물은 산소 및 특정 전이금속의 존재하에 분해된다. 약제학적 화합물의 예에는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살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진통제, 마취제, 항알레르기제, 비만 세포 안정화제,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혈관신생 억제제; 항대사제, 섬유소용해제, 신경보호 약물, 혈관생성억제 스테로이드, 동공확대제, 조절마비성 동공확대제 (cyclopegic mydriatic); 축동제 (miotic); 혈관수축제; 혈관확장제, 혈액응고 방지제; 항암제, 안티센스 작용제 (antisense agent), 면역 조절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인테그린 길항제 (integrin antagonist);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VEGF 길항제; 및 면역억제제 등이 포함된다. 특히, 약제학적 작용제의 예에는 아크리바스틴 (acrivastine), 안타졸린 (antazoline), 아스테미졸 (astemizole), 아자타딘 (azatadine), 아젤라스틴 (azelastine), 부클리진 (buclizine), 부피바카인 (bupivacaine), 세티리진 (cetirizine), 클레마스틴 (clemastine), 시클리진 (cyclizine), 사이프로헵타딘 (cyproheptadine), 에바스틴 (ebastine), 에메다스틴 (emedastine), 에페드린 (ephedrine), 유카트로핀 (eucatropine), 펙소페나딘 (fexofenadine), 호마트로핀 (homatropine), 하이드록시진 (hydroxyzine), 케토티펜, 레보카바스틴 (levocabastine), 레보세테리진 (levoceterizine), 로메플록사신 (lomefloxacin), 메클리진 (meclizine), 메피바카인 (mepivacaine), 메퀴타진 (mequitazine), 메트딜라진 (methdilazine), 메타피릴렌 (methapyrilene), 미안세린 (mianserin), 나파졸린 (naphazoline), 노라스테미졸 (norastemizole), 노레바스틴 (norebastine), 오플록사신 (ofloxacin), 옥시메타졸린 (oxymetazoline), 페니라민 (pheniramine), 페닐레프린 (phenylephrine), 피소스티그민 (physostigmine), 피쿠마스트 (picumast), 프로메타진 (promethazine), 스코폴아민 (scopolamine), 테르페나딘 (terfenadine), 테트라하이드로졸린 (tetrahydrozoline), 티에틸페라진 (thiethylperazine), 티몰롤 (timolol), 트리메프라진 (trimeprazine), 트리프롤리딘 (triprolidine),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화합물은 아크리바틴, 안타졸린, 아스테미졸, 아자타딘, 아젤라스틴, 클레마스틴, 사이프로헵타딘, 에바스틴, 에메다스틴, 유카트로핀, 펙소페나딘, 호마트로핀, 하이드록시진, 케토티펜, 레보카바스틴, 레보세테리진, 메클리진, 메퀴타진, 메트딜라진, 메타피릴렌, 노라스테미졸, 노레바스틴, 옥시메타졸린, 피소스티그민, 피쿠마스트, 프로메타진, 스코폴아민, 테르페나딘, 테트라하이드로졸린, 티몰롤, 트리메프라진, 트리프롤리딘,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화합물은 페니라민, 케토티펜,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노르 케토티펜, 올로파타딘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화합물은 케토티펜,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건강기능학적 화합물의 예에는 비타민 및 보충제, 예컨대, 비타민 A, D, E, 루테인 (lutein), 제아크산틴 (zeaxanthin), 리포산 (lipoic acid),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눈용으로 적합한 지방산, 예컨대, 오메가 3 및 오메가 6 지방산, 이의 조합물 및 약제학적 화합물과의 조합물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또는 건강기능학적 화합물은, 주위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산화성 촉매가 없는 이들 화합물의 용액에 비해서, 이들 화합물과 산화성 촉매 (예컨대, 금속 및 금속성 염)의 용액이 주위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함께 혼합되는 경우에 분해되는 것들이다.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또는 건강기능학적 화합물은 산화성 촉매와 함께 약 20분 동안 약 120℃로 가열되는 경우에 약 10% 더 넘게 분해되는 것들이다. 본 발명의 눈용 조성물 중의 산화에 불안정 약제학적 성분의 농도는 약 2㎍/ml 내지 약 0.5g/ml,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1㎍/ml 내지 약 10,000㎍/ml이다.
용어 "눈용 조성물"은 눈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액체, 에어로졸, 또는 젤을 나타낸다. 용어 "안정화제"는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의 금속 촉매된 산화성 분해를 억제하는 킬레이트 조성물 (chelant composition)을 나타낸다. 안정화제의 예에는 실리카, 키틴 유도체, 예컨대, 키토산,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 (아스파르트산-코-ω-아미노산 (참조: CAN:129:54671, Shibata, Minako et al., Graduate School Environmental Earth Science,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Macromolecular Symposia (1998), 130, 229-244) 및 폴리머 아미드, 예컨대, 폴리[이미노카보닐(2,5-디하이드록시-1,4-페닐렌)카보닐이미노-1,4-페닐렌메틸렌-1,4-페닐렌], CAS # 87912-00-3, 폴리머 락탐,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노 카복실산,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트리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폴리머 아민, 예컨대, 폴리알릴아민, 크라운 에테르, 예컨대, 18-크라운-6, 21-크라운-7, 및 24-크라운-8, 셀룰로오즈 및 이의 유도체, 및 N,N,N',N',N",N"-헥사(2-피리딜)-1,3,5-트리스(아미노메틸)벤젠, 및 특정의 거대고리 리간드, 예컨대, 크라운 에테르, 리간드 함유 노트 (knot) 및 카테난드 (catenand) (참조: David A. Leigh et al Angew . Chem Int . Ed ., 2001, 40, No. 8, pgs. 1538-1542 and Jean-Claude Chambron et al., Pure & Appl . Chem ., 1990, Vol. 62, No. 6, pgs. 1027-1034)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안정화제는 폴리아미노 카복실산,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트리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안정화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DTPA"), 또는 DTPA의 염, 예컨대, CaNa3DTPA, ZnNa3DTPA 및 Ca2DTPA이다. 용어 "유효량"은 약제학적 성분의 산화성 분해를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안정화제의 양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눈용 조성물 중의 금속 대 킬레이트화제의 몰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 약 1 대 킬레이트 조성물 약 1 초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 약 1 대 킬레이트 조성물 약 2 이상이다. 농도 한계와 관련하여, 안정화제는 약 2.5μmol/l 내지 약 5000μmol/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μmol/l 내지 약 1000μmol/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μmol/l 내지 약 1000μmol/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μmol/l 내지 약 500μmol/l의 눈용 조성물 중의 농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및 안정화제 외에, 눈용 조성물은 적합한 눈용 담체를 함유한다. 적합한 담체는 항산화제 (라디칼 스캐빈저: radical scavenger), 점활제 (demulcent), 살균제,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완충제, 긴장 조정제 (tonicity adjusting agent),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습윤화제, 증점제, 물, 염수 용액, 무기 오일, 페트롤륨 젤리 (petroleum jelly), 수용성 용매, 예컨대, C15-20 알코올, C15 -20 아미드, 양쪽성 이온으로 치환된 C15 -20 알코올, 0.5 내지 5중량%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또는 무기 오일, 에틸 올레이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눈용의 그 밖의 비독성 수용성 폴리머, 예컨대, 셀룰로오즈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알칼리금속염,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키토산 및 스클레로글루칸 (scleroglucan),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중성 생성물, 예컨대, 젤라틴, 알긴산염, 펙틴, 트라가칸트 (tragacanth), 카라야검 (karaya gum), 잔탄검 (xanthan gum), 카라기닌 (carrageenin), 한천 및 아카시아, 전분 유도체, 예컨대, 전분 아세테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및 그 밖의 합성 생성물, 예컨대, 폴록사머, 예를 들어, 폴록사머 F127 (Poloxamer F12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예컨대, 중성 카보폴 (Carbopol), 또는 이들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담체는 물, 셀룰로오즈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알칼리금속염,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중성 카보폴,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담체의 농도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 조합물 등의 농도의 0.1 내지 100000배이다. 눈용 조성물이 점안제인 경우, 바람직한 담체는 물, pH 완충된 염수 용액, 또는 이의 혼합물 등이다. 바람직한 담체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나트륨, 나트륨 보레이트 (sodium borate),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또는 이의 상응하는 칼륨 염을 포함하는 염을 함유하는 수성 염수 용액이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조합되어 산과 이의 짝염기 (conjugate base)를 포함하는 완충된 용액을 형성하여서, 산과 염기의 첨가가 단지 pH의 비교적 작은 변화를 유발시키게 한다. 완충된 용액은 추가적으로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MES), 수산화나트륨,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2,2',2"-니트릴로트리에탄올,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설폰산,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등,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보레이트 완충된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된 염수 용액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및 유효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유효량 및 안정화제는 모두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안정화제를 눈용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는 산소 및 특정의 전이금속의 존재하에 분해되는 눈용 조성물 중의 성분을 나타낸다. 불안정한 부형제의 예는 수렴제 (astringent), 점활제, 연화제, 긴장 항진제 (hypertonicity agent), 유질성 작용제 (oleaginous agent), 등장화제 (tonicity agent), 점막의태제 (mucomimetic agent)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하게는, 불안정한 부형제의 예는 셀룰로오즈 유도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알루론산, 메틸셀룰로오즈, 덱스트란, 젤라틴, 폴리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포비돈 라놀린, 무기 오일, 파라핀, 페트롤라툼 (petrolatum), 백색 연고 (white ointment), 백색 페트롤라툼, 백색 왁스 및 황색 왁스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안정화제" 및 "유효량"은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 및 유효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 "안정화제" 및 "유효량"은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안정화제를 중합 가능한 그룹으로 작용성화시키고,
(b) 유효량의 단계 (a)의 생성물을 한 종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중합시키고,
(c)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단계 (b)의 폴리머와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유효량" 및 "안정화제"는 모두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용어 작용성화는 중합 가능한 그룹을 안정화제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을 의미한다. 중합 가능한 그룹의 예는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스티렌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라디칼 화학종에 첨가될 수 있는 올레핀 부분 함유 화합물, 예컨대, 프로필렌, 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단계 (b)의 중합 생성물은 눈용 조성물에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일 수 있다. 단계 (b)의 중합 생성물은 눈용 조성물에 용해성이 아니어서, 단계 (b)의 중합 생성물이 로드 (rod), 디스크, 컨테이너, 필름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안정화제를 중합 가능한 그룹으로 작용성화시키고,
(b) 유효량의 단계 (a)의 생성물을 한 종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중합시키고,
(c)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단계 (b)의 폴리머와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 "유효량", "안정화제", "중합가능한 그룹" 및 "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모두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위한 컨테이너 (container)로서, 중합 가능한 그룹에 의해 작용성화된 유효량의 안정화제와 한 종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유효량", "안정화제", "중합 가능한 그룹" 및 "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모두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을 위한 컨테이너로서, 중합 가능한 그룹에 의해 작용성화된 유효량의 안정화제와 한 종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용어 "산화에 불안정한 부형제", "유효량", "안정화제", "중합 가능한 그룹" 및 "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모두 이들의 상기된 의미 및 바람직한 범위를 지닌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이점은 무수하다. 첫째로, 케토티펜은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으로 공지되어 있다. 케토티펜 푸마레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은 EDTA를 함유하며, 이들 조성물의 pH는 약 5.5이다. 이들 EDTA 용액은 산화성 분해에 대해서 케토티펜 푸마레이트를 안정화시키며, 이들 용액의 pH는 눈에 대한 한계치 미만이고, 이러한 용액을 사용하는 일부 환자는 이러한 용액의 낮은 pH 값으로 인해서 불편할 듯하다[참조: Tang, I., Wong, D.M., Yee, D.J. and Harris, M.G. 1996, The pH of multi-purpose soft contact lens solutions. Optom. Vis. Sci. 73:746-749. Adler, F.H. 1959 Physiology of the Eye. Third edition. p.40. Brawner, L.W. and Jessop, D.G. 1962. A review of contact lens solutions. Contacto 6:49-51].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EDTA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용액의 pH 값 보다 높은 pH 값에서 케토티펜 푸마레이트의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눈용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pH 6.6 내지 약 pH 7.2,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pH 6.8 내지 약 pH 7.0이다.
두 번째로, DTPA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의 수명 (shelf life)는 EDTA 또는 PAA중 하나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용액의 수명에 비해서 우수함이 밝혀졌다. 세 번째로, 열을 가하면 많은 약제학적 성분의 분해율이 증가함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보다 높은 온도, 예컨대, 살균 온도와 연관된 분해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예가 기재되고 있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콘택트 렌즈뿐만 아니라 그 밖의 전문분야에서의 이들 지식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그 밖의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케토티펜 (Ketotifen) 및 PAA 또는 EDTA에 의한 안정성 연구결과이다.
도 2는 케토티펜 및 PAA 또는 EDTA에 의한 안정성 연구결과이다.
도 3은 케토티펜 및 PAA 또는 DTPA에 의한 안정성 연구결과이다.
하기 용어가 이하 사용된다.
PAA
평균 분자량이 200,000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용액 A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탈이온수 : NaCl (0.83중량%), 붕산 (0.91중량%),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데카하이드레이트 (0.1중량%).
성분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초기 시험
과도한 양의 특정의 전이금속 및 이들의 염은 케토티펜 푸마레이트를 분해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시판되는 성분내에 함유된 금속 및 염의 양은 다양하여, 용액 A의 시험 배치 (batch)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200g의 용액 A를 주위 온도에서 혼합하고,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5 mg ± 2 mg)를 첨가하고, 균일할 때까지 혼합하였다. 여섯 개의 유리 바이알에 3ml의 상기 용액을 충전시켰다. 이러한 바이알을 폴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으로 막고, 세 개의 바이알을 124℃에서 18분 동안 가열하였다. 각각의 처리된 바이알 (1.0-1.5ml)의 샘플을 HPLC로 분석하고, 비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처리된 바이알 중의 케토티펜의 양이 5 % 이하 (≤5%)로 감소하면, 성분은 추가의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며, 용액 A의 더 큰 배치를 이들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 PAA , EDTA 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용액의 제조
PAA (2000㎍/mL)를 용액 A에 첨가하고, 50㎍/mL의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약 36㎍/mL의 케토티펜)을 시스템에 용해시켰다. EDTA (100㎍/mL)을 또 다른 용액 A 배치에 첨가하고, 50㎍/mL의 케토티펜 푸마레이트를 시스템에 용해시켰다. 음수 1 및 음수 12 (-1.0 및 -12.0) 디옵터 에타필콘 A 콘택트 렌즈 (diopter etafilcon A contact lense)를 3ml의 각각의 상기 용액을 함유하는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바이알을 PTFE 코팅된 고무 마개로 밀봉하고, 124℃에서 18분 동안 살균하고, 주위 온도에서 1년 동안 저장하였다. 샘플을 1년에 걸쳐서 수거하고 케토티펜의 존재에 대해서 HPLC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PAA 및 EDTA에 의한 시간에 따른 케토티펜의 실질적인 분해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PAA , DTPA 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용액의 제조
용액 A의 배치를 분리하기 위해서, Ca2DTPA (각각 100㎍/mL 및 300㎍/mL, 213 및 640μmol/L) 및 2000㎍/mL (0.2%, 약 18.51mmol/L 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의 PAA를 첨가하고, 약 25㎍/mL의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약 18㎍/mL의 케토티펜)을 시스템 각각에 용해시켰다. 각각의 용액의 3ml 샘플을 콘택트 렌즈를 함유하는 각각의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바이알 세트를 PTFE 마개로 덮고, 124℃에서 18분 동안 살균하고, 80℃에서 2주 동안 저장하였다. 샘플을 다양한 간격으로 수거하고 케토티펜의 존재에 대해서 HPLC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이들 결과는 PAA에 의한 시간에 따른 케토티펜의 실질적인 분해가 존재하지만, DTPA의 칼슘염에 의한 분해는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 산화촉매를 함유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용액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50㎍/mL, 약 36㎍/mL의 케토티펜)를 약 500㎍/mL의 DTPA (약 1272μmol/L의 DTPA) 또는 EDTA의 나트륨 염 (Na2C10H14O8N2·2H2O, 1344μmol/L의 EDTA) 중 하나를 함유하는 용액 A에 용해시켰다. 표 1에 열거된 약 50㎍/mL의 염을 각각의 용액에 용해시키고, 약 3mL의 각각의 용액을 몇 개의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이들 바이알을 PTFE 코팅된 고무 스토퍼로 밀봉하고, 표 1에 지시된 바와 같이 0, 1, 2 또는 3회 살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회 살균 주기를 124℃에서 18분 동안 수행하였다. 샘플을 표 2에 지시된 간격으로 케토티펜의 농도에 대해서 HPLC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산화성 촉매의 존재하에 DTPA가 EDTA에 비해서 산화성 분해량을 감소시킴을 나타내고 있다.
[염]
(ug/mL)
금속 염 용액
16 MnSO4.H2O 망간 용액
18 KMnO4
16 MnOAc3
25 FeSO4.7H2O 철 용액
25 Fe2O12S3.nH2O
25 NiSO4.7H2O 니켈 용액
25 NiF6K2
25 CuSO4 구리 용액
26 Cu2O
  DTPA 안정화된 시스템 EDTA 안정화된 시스템
# 주기 Fe Cu Ni Mn Fe Cu Ni Mn
0 36.29 36.35 36.40 35.57 36.15 35.78 36.34 33.54
1 35.14 36.13 36.48 34.33 19.41 35.33 34.46 23.98
2 34.10 36.19 36.10 33.71 12.84 34.89 32.75 18.01
3 33.28 35.92 36.22 33.34 7.73 34.71 29.91 12.89

Claims (13)

  1.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의 유효량을, 올로파타딘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 (ophthalmic composition)에 첨가함을 포함하여, 상기 눈용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2.5μmol/l 내지 5000μmol/l, 20μmol/l 내지 1000μmol/l 또는 100μmol/l 내지 600μmol/l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100μmol/l 내지 1000μmol/l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의 칼슘염이고,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100μmol/l 내지 1000μmol/l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용 조성물의 pH가 6.6 내지 7.2 또는 6.8 내지 7.2인 방법.
  7. 올로파타딘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에 불안정한 약제학적 성분,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눈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2.5μmol/l 내지 5000μmol/l, 100μmol/l 내지 1000μmol/l 또는 100μmol/l 내지 600μmol/l인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인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100μmol/l 내지 1000μmol/l인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200μmol/l 내지 1000μmol/l인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의 칼슘염이고, 상기 안정화제의 유효량이 100μmol/l 내지 1000μmol/l인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눈용 조성물의 pH가 6.6 내지 7.2 또는 6.8 내지 7.2인 조성물.
KR1020157001799A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눈용 조성물 KR20150017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55706P 2006-03-17 2006-03-17
US60/783,557 2006-03-17
PCT/US2007/064142 WO2007109523A2 (en) 2006-03-17 2007-03-16 Stabilized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oxidatively unstable compon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937A Division KR20140083056A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002A true KR20150017002A (ko) 2015-02-13

Family

ID=384216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09A KR101454674B1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KR1020147014937A KR20140083056A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KR1020157001799A KR20150017002A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눈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09A KR101454674B1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KR1020147014937A KR20140083056A (ko) 2006-03-17 2007-03-16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8466174B2 (ko)
EP (1) EP2010143B1 (ko)
JP (1) JP5275214B2 (ko)
KR (3) KR101454674B1 (ko)
CN (1) CN101420934B (ko)
AR (1) AR059927A1 (ko)
AU (1) AU2007227091B2 (ko)
BR (1) BRPI0709549A2 (ko)
CA (2) CA2908828C (ko)
HK (2) HK1127998A1 (ko)
RU (2) RU2462234C2 (ko)
TW (1) TWI454286B (ko)
WO (1) WO20071095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12657A (es) 2006-03-31 2009-02-19 Vistakon Pharmaceuticals Llc Tratamientos de las alergias oculares.
EP2471508B1 (en) 2006-09-29 2017-03-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of making an ophthalmic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ocular allergies
US20090239954A1 (en) * 2008-03-19 2009-09-24 Collins Gary L Phosphate buffered ophthalmic solutions displaying improved efficacy
US20100226999A1 (en) * 2009-03-06 2010-09-09 Tracy Quevillon-Coleman Process for forming stabilized ophthalmic solutions
IT1393419B1 (it) * 2009-03-19 2012-04-20 Medivis S R L Composizioni oftalmiche a base di acidi grassi polinsaturi omega-3 e omega-6.
JP5675183B2 (ja) * 2009-06-16 2015-02-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組成物
US20120225918A1 (en) 2011-03-03 2012-09-06 Voom,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Ptosis
WO2017073708A1 (ja) * 2015-10-29 2017-05-04 テイカ製薬株式会社 外用剤
CA3093371A1 (en) 2018-03-09 2019-09-12 Portol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 selective syk inhibitor
US10799481B1 (en) 2019-05-06 2020-10-13 Rvl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762A (en) * 1978-09-27 1981-12-08 Lever Brothers Company Stabilization of hydrogen peroxide
DD150694A1 (de) * 1980-04-16 1981-09-16 Gisela Raether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pharmazeutischen praeparaten mit oxidationsempfindlichen bestandteilen
DE3640708C2 (de) * 1986-11-28 1995-05-18 Schering Ag Verbesserte metallhaltige Pharmazeutika
ATE141803T1 (de) * 1988-08-04 1996-09-15 Ciba Geigy Ag Verfahren zur konservierung ophthalmischer lösungen und zusammensetzungen dafür
US5514732A (en) * 1993-07-22 1996-05-07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nti-bacterial, insoluble, metal-chelating polymers
WO1995025518A1 (en) 1994-03-18 1995-09-28 Ciba-Geigy Ag Aqueous solution of levocabastine for ophthalmic use
JPH07324034A (ja) 1994-05-30 1995-12-12 Toa Yakuhin Kk フマル酸ケトチフェン含有の点眼剤
US5683993A (en) 1995-06-22 1997-11-04 Ciba Vision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polymers
US6020373A (en) * 1995-10-20 2000-02-01 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Chelate derivatives as protectors against tissue injury
RU2140236C1 (ru) * 1996-08-20 1999-10-27 Хабаровский филиал МНТК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иабетической ретинопатии
AR002194A1 (es) * 1997-03-17 1998-01-07 Sanchez Reynaldo Alemany Instrumento computarizado para el analisis del movimiento.
US5980882A (en) * 1997-04-16 1999-11-09 Medeva Pharmaceuticals Manufacturing Drug-resin complexes stabilized by chelating agents
JPH11189528A (ja) * 1997-12-26 1999-07-13 Lead Chemical Co Ltd 安定性の改善された皮膚適用製剤
EP0938896A1 (en) * 1998-01-15 1999-09-01 Novartis AG Autoclav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lating agent
JPH11279205A (ja) * 1998-03-26 1999-10-12 Nippon Tenganyaku Kenkyusho:Kk ヒアルロン酸類製剤の分解抑制方法
CN1138542C (zh) * 1998-04-02 2004-02-18 诺瓦提斯公司 通过特定应用的抗氧化剂稳定药物组合物的方法
PT1037627E (pt) 1998-07-14 2001-11-30 Alcon Lab Inc Utilizacao do acido 11-(3-dimetilaminopropilideno)-6,11-dihidrodibenz¬b,e|oxepin-2-acetico e seus sais derivados farmaceuticamente aceitaveis para a produca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doencas inflamatorias oftalmicas nao-alergicas e para a prebencao da neovascularizacao ocular
US6395756B2 (en) 1999-12-23 2002-05-28 Novartis Ag Use of ophthalmic agent
RU2196594C2 (ru) * 2000-09-25 2003-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мелия НПП"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ым, тонизирующим и регенераторным действием
DE60104872T2 (de) 2000-09-28 2005-09-01 Novartis Ag Stabilisierte ophthalmische wasserstoffperoxidlösung
TW586946B (en) * 2000-12-22 2004-05-11 Novartis Ag Process to improve stability
RU2191012C1 (ru) * 2001-06-20 2002-10-2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центр (медико-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спытательного института военной медицины МО РФ Глазные капли для лечения эндотелиально-эпителиальной дистрофии роговицы
RU2201213C1 (ru) * 2001-07-04 2003-03-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Глазные капли "карнозин"
US20030133986A1 (en) 2001-11-21 2003-07-17 Fu-Pao Tsao Compositions for stabilizing poly (carboxylic acids)
US20070092582A1 (en) * 2002-01-18 2007-04-26 Fu-Pao Tsao Methods of preserving ophthalmic solutions and preserved ophthalmic solutions
CN1753683B (zh) * 2002-12-20 2010-05-26 视可舒研究公司 预防和治疗不良眼部病症的眼用制剂
US20050244509A1 (en) * 2004-03-17 2005-11-03 Fu-Pao Tsao Ophthalmic solutions
US20070077303A1 (en) * 2005-09-30 2007-04-05 Azaam Alli Methods for providing oxidatively stable ophthalmic compositions
EP2471508B1 (en) * 2006-09-29 2017-03-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of making an ophthalmic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ocular allerg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1843A1 (en) 2014-01-09
TWI454286B (zh) 2014-10-01
EP2010143A2 (en) 2009-01-07
AU2007227091A1 (en) 2007-09-27
US20070265234A1 (en) 2007-11-15
US20170007592A1 (en) 2017-01-12
US9474746B2 (en) 2016-10-25
US8466174B2 (en) 2013-06-18
WO2007109523A2 (en) 2007-09-27
RU2008141172A (ru) 2010-04-27
HK1132176A1 (en) 2010-02-19
BRPI0709549A2 (pt) 2011-07-19
CA2646424A1 (en) 2007-09-27
EP2010143B1 (en) 2015-08-12
JP2009530314A (ja) 2009-08-27
RU2012125612A (ru) 2013-12-27
TW200808355A (en) 2008-02-16
AU2007227091B2 (en) 2013-02-07
US20180050026A1 (en) 2018-02-22
CN101420934A (zh) 2009-04-29
KR101454674B1 (ko) 2014-10-27
CA2646424C (en) 2015-12-29
CN101420934B (zh) 2014-03-19
HK1127998A1 (zh) 2009-10-16
AR059927A1 (es) 2008-05-07
KR20080111065A (ko) 2008-12-22
CA2908828C (en) 2018-01-16
CA2908828A1 (en) 2007-09-27
JP5275214B2 (ja) 2013-08-28
KR20140083056A (ko) 2014-07-03
WO2007109523A3 (en) 2008-04-10
RU2462234C2 (ru)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74B1 (ko) 산화에 불안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안과용 조성물
KR101421519B1 (ko) 자기 보존 수성 약제학적 조성물
JP2009102291A (ja) チモロール、ドルゾラミドおよびブリモニジンからなる薬学的に安定な化合物
JP2009102291A6 (ja) チモロール、ドルゾラミドおよびブリモニジンからなる薬学的に安定な化合物
KR20010012521A (ko) 방부 조성물
JP2003206241A (ja) 眼科用剤
JP2014088371A (ja) プラノプロフェン含有水性組成物
KR101891144B1 (ko) Lfa-1 저해제 제형
WO2013085769A1 (en) Cellulosic gel composition with improved viscosity stability
JP5582768B2 (ja) 非イオン性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
KR920002329B1 (ko) 항-알레르기성 점안제
JPH0296515A (ja) 点眼液
JP5650397B2 (ja) 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
JP2002020320A (ja) 点眼液用防腐剤
JP2010532349A (ja) 安定化された眼科用液剤
US20100226999A1 (en) Process for forming stabilized ophthalmic solutions
JP6401699B2 (ja) 両性イオン性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用組成物
EP4248970A1 (en) Op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cetirizine and tocofersolan
JP4470393B2 (ja) 安定である点眼剤
Laddha et al. Development, optimization and enhancement of transcorneal permeation of Timolol Maleate from a novel in situ gel
JPH02164826A (ja) トコフェロール類含有液剤
JP2016041749A (ja) 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