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440A -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Google Patents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5440A KR20150015440A KR1020147028849A KR20147028849A KR20150015440A KR 20150015440 A KR20150015440 A KR 20150015440A KR 1020147028849 A KR1020147028849 A KR 1020147028849A KR 20147028849 A KR20147028849 A KR 20147028849A KR 20150015440 A KR20150015440 A KR 201500154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device
- electrode
- constituent unit
- binder
- fluorin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title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QYKIQEUNHZKYBP-UHFFFAOYSA-N Vinyl ether Chemical group C=COC=C QYKIQEUNHZKYB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20001567 vinyl 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25000004185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UUAGAQFQZIEFAH-UHFFFAOYSA-N chlorotrifluoroethylene Chemical group FC(F)=C(F)Cl UUAGAQFQZIEFA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HCDGVLDPFQMKDK-UHFFFAOYSA-N hexafluoropropylene Chemical group FC(F)=C(F)C(F)(F)F HCDGVLDPFQMKDK-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5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JZQAAQZDDMEFGZ-UHFFFAOYSA-N bis(ethenyl) hexanedi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CC(=O)OC=C JZQAAQZDDMEFG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IYNRVIKPUTZSOR-HWKANZROSA-N ethenyl (e)-but-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 IYNRVIKPUTZSOR-HWKANZRO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MWZJGRDWJVHRDV-UHFFFAOYSA-N 1,4-bis(ethen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OCCCCOC=C MWZJGRDWJVHRD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FFYWKOUKJFCBAM-UHFFFAOYSA-N ethen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 FFYWKOUKJFCBA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3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1 polytetrafluoroethylene, tetrafluoroethylene- 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870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oxydisulfate Substances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AZSKTXWXKYQJF-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S([O-])=O VAZSKTXWXKYQ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17 redox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5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874 anionic emuls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56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1 fluor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SURQXAFEQWPFPV-UHFFFAOYSA-L iron(2+) sulfate hept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O.O.O.[Fe+2].[O-]S([O-])(=O)=O SURQXAFEQWPFP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5010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UBZPKHOEPUJKR-UHFFFAOYSA-N Ox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O MUBZPKHOEPUJ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21 sod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ZZXUZKXVROWEIF-UHFFFAOYSA-N 1,2-but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1COC(=O)O1 ZZXUZKXVROWE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ZKWTJUDCOPSNM-UHFFFAOYSA-N 1-ethen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CCOC=C UZKWTJUDCOPS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CAHUFWKIQLBNB-UHFFFAOYSA-N 3-(3-methoxypropoxy)propan-1-ol Chemical compound COCCCOCCCO QCAHUFWKIQLB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QUCIEFHOVEZAU-UHFFFAOYSA-N Diammon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 PQUCIEFHOVEZ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THFKEDIFFGKHM-UHFFFAOYSA-N Di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OCCOC XTHFKEDIFFGK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LUUGHFHXGJENI-UHFFFAOYSA-N Piperazine Chemical compound C1CNCCN1 GLUUGHFHXGJE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1 carbon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280 chlorinated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JKIXWOMBXYWOQ-UHFFFAOYSA-N ethenoxyethane Chemical compound CCOC=C FJKIXWOMBXYW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8 fre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1 organic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17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WGJFPHUCFXLBL-UHFFFAOYSA-M rongalite Chemical compound [Na+].OCS([O-])=O XWGJFPHUCFXLB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Substances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57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834 vinyl ether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HXKESCWFMPTFT-UHFFFAOYSA-N 1,1,1,2,2,3,3-heptafluoro-3-(1,2,2-trifluoroethenoxy)propane Chemical compound FC(F)=C(F)OC(F)(F)C(F)(F)C(F)(F)F KHXKESCWFMPT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ZRATKBZKBZXGL-UHFFFAOYSA-N 1,1,2,2-tetrafluoro-1-(1,1,2,2,2-pentafluoroethoxy)-2-(1,2,2-trifluoroethenoxy)ethane Chemical compound FC(F)=C(F)OC(F)(F)C(F)(F)OC(F)(F)C(F)(F)F QZRATKBZKBZX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DNOYSHANFZLB-UHFFFAOYSA-N 1,1,2,2-tetrafluoro-1-(1,2,2-trifluoroethenoxy)-2-(trifluoro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FC(F)=C(F)OC(F)(F)C(F)(F)OC(F)(F)F LFDNOYSHANFZ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DMMKOCNFSTXRU-UHFFFAOYSA-N 1,1,2,3,3-pentafluoroprop-1-ene Chemical group FC(F)C(F)=C(F)F NDMMKOCNFSTX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LTXWCKMNMYXEA-UHFFFAOYSA-N 1,1,2-trifluoro-2-(trifluoromethoxy)ethene Chemical compound FC(F)=C(F)OC(F)(F)F BLTXWCKMNMYXE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HWOZCZUNPZPW-UHFFFAOYSA-N 1,2,3,3,4,4-hexafluor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FC1=C(F)C(F)(F)C1(F)F QVHWOZCZUNPZP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DJRHDTYUXHAR-UHFFFAOYSA-N 1,3-dioxolan-2-one;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CCOC(=O)OC OADJRHDTYUXH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40 1,4-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H]C1=C([H])C([*:2])=C([H])C([H])=C1[*:1] 0.000 description 1
- FXCXOKOKILDXCL-UHFFFAOYSA-N 1-but-2-enoxybut-2-ene Chemical group CC=CCOCC=CC FXCXOKOKILDX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GRCEFMXPHEBL-UHFFFAOYSA-N 1-ethenoxypropane Chemical compound CCCOC=C OVGRCEFMXPHE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PVQAHEFVXVKT-UHFFFAOYSA-N 2-(2,4-difluorophenoxy)pyridin-3-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1OC1=CC=C(F)C=C1F LCPVQAHEFVXV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ZVSXRMYJUNFX-UHFFFAOYSA-N 2-[2-(2-hydroxypropoxy)propoxy]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O)COC(C)COC(C)CO LCZVSXRMYJUN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VJXMYDOSMEPO-UHFFFAOYSA-N 3-prop-2-enoxyprop-1-ene Chemical group C=CCOCC=C ATVJXMYDOSME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WNSFEAWWGGSKJ-UHFFFAOYSA-N 4-acetyl-4-methylheptanedi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C)(C(=O)C)CCC#N XWNSFEAWWGGS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XZMHODJXOQERH-UHFFFAOYSA-N 4-but-3-enoxybut-1-ene Chemical group C=CCCOCCC=C YXZMHODJXOQE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YBDSHDYDJGLJ-UHFFFAOYSA-N C(CCCCC(=O)OC=C)(=O)OC=C.C(CCCCC(=O)O)(=O)O Chemical compound C(CCCCC(=O)OC=C)(=O)OC=C.C(CCCCC(=O)O)(=O)O FBYBDSHDYDJG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FXCZIKWLKDENS-UHFFFAOYSA-H C(CCCCC(=O)[O-])(=O)[O-].[In+3].C(CCCCC(=O)[O-])(=O)[O-].C(CCCCC(=O)[O-])(=O)[O-].[In+3] Chemical compound C(CCCCC(=O)[O-])(=O)[O-].[In+3].C(CCCCC(=O)[O-])(=O)[O-].C(CCCCC(=O)[O-])(=O)[O-].[In+3] SFXCZIKWLKDENS-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8 Cellop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301278 Ceri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VBJJZOQPCKUOR-UHFFFAOYSA-L EDTA disodium salt dihydrate Chemical compound O.O.[Na+].[Na+].[O-]C(=O)C[NH+](CC([O-])=O)CC[NH+](CC([O-])=O)CC([O-])=O OVBJJZOQPCKUOR-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3 LiAsF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991 LiNi0.5Co0.2Mn0.3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WLGWRNCHHEHPY-UHFFFAOYSA-L O.[Na+].OCS(=O)[O-].[Na+].OCS(=O)[O-] Chemical compound O.[Na+].OCS(=O)[O-].[Na+].OCS(=O)[O-] FWLGWRNCHHEHP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45 Poly(methacryl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65 Polyparaphe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3 Potassium brom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252 ac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2 alk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92 alkenyl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OALFLHFSFEMLP-UHFFFAOYSA-N azane;2,2,3,3,4,4,5,5,6,6,7,7,8,8,8-pentadecafluoro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H4+].[O-]C(=O)C(F)(F)C(F)(F)C(F)(F)C(F)(F)C(F)(F)C(F)(F)C(F)(F)F YOALFLHFSFEM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WCNWICUDXNCTI-UHFFFAOYSA-N azanium;2,2,3,3,4,4,5,5,6,6,6-undecafluorohexanoate Chemical compound N.OC(=O)C(F)(F)C(F)(F)C(F)(F)C(F)(F)C(F)(F)F OWCNWICUDXNC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62 bulk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08 dec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FJZTKMCQFMBMA-UHFFFAOYSA-L disodium diacetate dihydrate Chemical compound [Na+].O.O.C(C)(=O)[O-].[Na+].C(C)(=O)[O-] MFJZTKMCQFMBM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BNIILDVGGAEEIG-UHFFFAOYSA-L disod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OP([O-])([O-])=O BNIILDVGGAEEI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KDQPSPMLNJTZAL-UHFFFAOYSA-L disodium hydrogenphosphate dihydrate Chemical compound O.O.[Na+].[Na+].OP([O-])([O-])=O KDQPSPMLNJTZA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DGLRDKLJZLEJCY-UHFFFAOYSA-L disodium hydrogenphosphate dodec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O.O.O.O.O.O.O.O.[Na+].[Na+].OP([O-])([O-])=O DGLRDKLJZLEJC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6 doctor blad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VGUFUZHNYFZLC-UHFFFAOYSA-N dodecyl benzenesulfonate;sodium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C1=CC=CC=C1 GVGUFUZHNYFZ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EGHWIAOTJPCHQ-UHFFFAOYSA-N ethenyl bu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 MEGHWIAOTJPCH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MDXMIHZUJPRHG-UHFFFAOYSA-N ethenyl dec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C=C CMDXMIHZUJPR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BDADGJLZNIRFQ-UHFFFAOYSA-N ethenyl oc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OC=C QBDADGJLZNIR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WXSTHGICQLQT-UHFFFAOYSA-N ethenyl 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 UIWXSTHGICQL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033 eth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2303 ethers for general anesthesi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22 flu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UCNUKMRBVNAPB-UHFFFAOYSA-N 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C XUCNUKMRBVNAP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02 mesophase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76 metal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JRBAMWJDBPFIM-UHFFFAOYSA-N methyl vin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C XJRBAMWJDBPF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5 micr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5 mod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03 mono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9 monosod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08 ox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68 peroxymonosulfur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7 polyace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037 potassium bro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6 potassium bro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5 salting ou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3542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JPJDKMHJJGVTQ-UHFFFAOYSA-M sod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OP(O)([O-])=O AJPJDKMHJJGV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264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CHQMHPLRPQMAMX-UHFFFAOYSA-L sodium persulfate Substances [Na+].[Na+].[O-]S(=O)(=O)OOS([O-])(=O)=O CHQMHPLRPQMAM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L succinate(2-)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HXJUTPCZVOIRIF-UHFFFAOYSA-N sulfolane Chemical compound O=S1(=O)CCCC1 HXJUTPCZVOIR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JQDYXPAQVBCA-UHFFFAOYSA-J tetrasodium;ethane-1,2-diamine;tetraacetate Chemical compound [Na+].[Na+].[Na+].[Na+].CC([O-])=O.CC([O-])=O.CC([O-])=O.CC([O-])=O.NCCN FEJQDYXPAQVBCA-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23 trifluoromethyl group Chemical group FC(F)(F)*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184—Monomers containing fluorine with fluorinated vin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186—Monomers containing fluori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186—Monomers containing fluori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 C08F214/18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with non-fluorinated vin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6—Tetrafluoroethene
- C08F214/265—Tetrafluoroethe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6—Tetrafluoroethene
- C08F214/265—Tetrafluoroethe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 C08F214/267—Tetrafluoroethen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with non-fluorinated vin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8—Carbon pastes or blends; Binders or additives therei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짐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팽윤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를 제공한다.
구성 단위 (A), 구성 단위 (B), 및 구성 단위 (C) 를 갖고,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에 대한 구성 단위 (C) 의 몰비가 0.01/100 ∼ 3/100 인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구성 단위 (A) 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B) 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C) 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고,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며, 탄소 원자수가 5 ∼ 30 인 유기 화합물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A), 구성 단위 (B), 및 구성 단위 (C) 를 갖고,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에 대한 구성 단위 (C) 의 몰비가 0.01/100 ∼ 3/100 인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구성 단위 (A) 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B) 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C) 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고,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며, 탄소 원자수가 5 ∼ 30 인 유기 화합물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내전압성, 내산화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고출력, 고용량, 및 우수한 사이클 특성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용 또는 전기 자동차용의 캐패시터,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몰비율이 56/44 인 함불소 공중합체를 바인더로 하여 이차 전지를 제작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전해액에 대하여 비팽윤성의 수용성 고분자 재료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와, 정극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한 불소 수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 를 함유하는 바인더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의 바인더는,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나 용해를 잘 일으키지 않아 그 결착력의 저하가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 특성이나 고온 특성이 양호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 이용되고 있는 바인더는 밀착성은 우수하지만, 전해액에 의한 팽윤 억제 (내전해액성) 면에서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인더는, 그 바인더에 함유되는 불소 수지의 밀착성이 낮기 때문에, 전극에 고정된 전극 활물질이 탈락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짐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팽윤을 양호하게 억제하여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이것을 사용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 [14] 의 구성을 갖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1] 하기 구성 단위 (A), 하기 구성 단위 (B), 및 하기 구성 단위 (C) 를 갖고, 상기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에 대한 상기 구성 단위 (C) 의 몰비가 0.01/100 ∼ 3/100 인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구성 단위 (A)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B) : 에틸렌 및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C) :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고,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며, 탄소 원자수가 5 ∼ 30 인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CY1Y2=CY3-O- … (1)
(식 중, Y1, Y2, Y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이다)
CZ1Z2=CZ3-OCO- … (2)
(식 중, Z1, Z2,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이다)
[2]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가 CH2=CH-O- 이고,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가 CH2=CH-OCO- 인 [1]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3]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이 하기 식 (I), (II) 또는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CR1R2=CR3-O-R4-O-CR5=CR6R7 … (I)
CR8R9=CR10-OCO-R11-COO-CR12=CR13R14 … (II)
CR15R16=CR17COOCH=CH2 … (III)
(식 중,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2, R13, R14,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메틸기, R4, R11 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렌기, R15,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4]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아디프산디비닐, 크로톤산비닐 또는 메타크릴산비닐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5] 상기 구성 단위 (A) 와 상기 구성 단위 (B) 의 몰비 (A)/(B) 가 30/70 ∼ 90/10 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6]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불화비닐리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7]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8]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와 액상 매체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9] 상기 액상 매체가 수계 매체이고, 그 수계 매체 중에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8]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10]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진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의 라텍스인 [8] 또는 [9]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11] 상기 [8]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과 전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12] 집전체와, 그 집전체 상에 형성된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및 전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갖는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13] 집전체 상에 [11] 에 기재된 전극 합제를 도포하여 그 전극 합제의 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전극 합제의 층으로부터 액상 매체를 제거하여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12]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의 제조 방법.
[14] 상기 [12] 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전해액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는,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짐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은,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짐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는, 전극 활물질간의 밀착성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밀착성이 양호함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은, 전극 활물질간의 밀착성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밀착성이 양호함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 활물질간의 밀착성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밀착성이 양호함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로는, 리튬 이온 일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리튬 이온 캐패시터 등을 들 수 있다. 축전 디바이스로는,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하는 것이 밀착성, 내전해액성, 충방전 특성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이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HFP, 불화비닐리덴을 VdF,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CTFE,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를 PAVE,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를 PMVE,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를 PPVE, 에틸렌을 E, 프로필렌을 P 로 기재한다.
구성 단위란,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중합체 중의 단위를 말한다.
또, 구성 단위 (A) 가 되는 단량체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이하, 단량체 (a) 라고도 한다. 동일하게 구성 단위 (B) 가 되는 단량체인 에틸렌 및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단량체 (b) 라고도 하고, 구성 단위 (C) 가 되는 단량체인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을 단량체 (c) 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는 단량체 (a)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A), 단량체 (b)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B) 및 단량체 (c)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C) 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구성 단위 (A) 는 TFE, HFP, VdF, 및 CTF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 단위이다. 이들 중 함불소 공중합체의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TFE, HFP, 및 VdF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함불소 공중합체는 상기 중 2 종 이상의 단량체에 기초하는 2 종 이상의 구성 단위 (A) 를 갖고 있어도 된다.
구성 단위 (B) 는 E 및 P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 단위이다. 함불소 공중합체의 유연성, 및 밀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구성 단위 (B) 로는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불소 공중합체는 구성 단위 (B) 로서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양방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구성 단위 (A) 와 구성 단위 (B) 의 몰비 [(A)/(B)] 는 30/70 ∼ 90/10 이 바람직하고, 30/70 ∼ 80/20 이 보다 바람직하고, 30/70 ∼ 70/30 이 더욱 바람직하고, 40/60 ∼ 60/40 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밀착성 (결착성) 과 우수한 내전해액성 (팽윤 억제) 이 동시에 얻어지기 쉽다.
구성 단위 (C) 는 하기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그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 단위이다. 이 유기 화합물은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고,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며, 탄소 원자수가 5 ∼ 30 인 유기 화합물이다. 또한, 함불소 공중합체는 상기 유기 화합물의 2 종 이상에 기초하는 2 종 이상의 구성 단위 (C)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상기 유기 화합물인 단량체 (c) 를 단량체 (a) 나 단량체 (b) 에 공중합시킴으로써, 가교 구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특히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및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은 단량체 (a) 나 후기하는 단량체 (d) 등의 함불소 모노머와의 반응성이 우수하다.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의 탄소 원자수는 5 ∼ 30 이며, 5 ∼ 20 이 바람직하고, 5 ∼ 1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탄소 원자수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된다.
식 (1) 에 있어서, Y1, Y2, 또는 Y3 으로서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5 가 보다 바람직하다. Y1, Y2, 또는 Y3 으로서의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식 (2) 에 있어서, Z1, Z2, 또는 Z3 으로서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5 가 보다 바람직하다. Z1, Z2, 또는 Z3 으로서의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로는 CH2=CH-O- 가 바람직하고,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로는 CH2=CH-OCO- 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의 수는 2 ∼ 4 개가 바람직하고, 2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상기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다. 유기 화합물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기 중 1 개 이상은 상기 비닐에테르기, 상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기이어도 된다. 비닐에테르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기로는, 예를 들어 알릴에테르기, 3-부테닐에테르기, 2-부테닐에테르기 등의 상기 비닐에테르기 이외의 알케닐에테르기, 알릴옥시카르보닐기, 3-부테닐옥시카르보닐기, 2-부테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의 상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크로토닐기 등의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닐에테르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기로는 탄소수 6 이하의 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로는, 상기 비닐에테르기를 2 개 갖는 화합물, 상기 비닐에스테르기를 2 개 갖는 화합물, 상기 비닐에테르기 1 개와 상기 비닐에스테르기 1 개를 갖는 화합물, 비닐에테르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기 1 개와 상기 비닐에테르기 1 개를 갖는 화합물, 비닐에테르기, 비닐에스테르기 이외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기 1 개와 상기 비닐에스테르기 1 개를 갖는 화합물 등의 이중 결합을 2 개 갖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로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 하기 식 (I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 및 하기 식 (III) 으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CR1R2=CR3-O-R4-O-CR5=CR6R7 … (I)
CR8R9=CR10-OCO-R11-COO-CR12=CR13R14… (II)
CR15R16=CR17COOCH=CH2 … (III)
(식 중,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2, R13, R14,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메틸기, R4, R11 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렌기, R15,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로는, R1, R2, R3, R5, R6, R7 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 원자나 알킬기 등인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R1, R2, R3, R5, R6, R7 이 모두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R4 로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2 ∼ 6 의 폴리메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식 (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식 (I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로는, R8, R9, R10, R12, R13, R14 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 원자인 화합물 등도 사용할 수 있지만, R8, R9, R10, R12, R13, R14 가 모두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1 로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2 ∼ 6 의 폴리메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식 (II) 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아디프산디비닐을 들 수 있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에 있어서, R16 및 R17 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크로톤산비닐, 메타크릴산비닐을 들 수 있으며, 크로톤산비닐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구성 단위 (A) ∼ (C) 외에, 추가로 PAVE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 (d) 에 기초하는 1 종 이상의 구성 단위 (D) 를 가져도 된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구성 단위 (D) 는 필수는 아니지만, 이것을 함유시킴으로써 함불소 공중합체의 유연성이 보다 향상되어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진다.
PAVE 로는, 하기 식 (IV) 로 나타내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CF2=CF-O-Rf … (IV)
(식 중, Rf 는 탄소 원자수 1 ∼ 8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 8 의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Rf 로는, 탄소 원자수 1 ∼ 6 이 바람직하고, 1 ∼ 5 가 보다 바람직하다.
PAVE 의 구체예로는, PMVE, PPVE, 퍼플루오로(3,6-디옥사-1-헵텐), 퍼플루오로(3,6-디옥사-1-옥텐), 퍼플루오로(5-메틸-3,6-디옥사-1-노넨) 등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가 구성 단위 (D) 를 갖는 경우,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 중 구성 단위 (D) 의 비율이 0.01 ∼ 40 몰%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2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구성 단위 (D) 를 함유시킨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쉽다.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전극 활물질간의 밀착성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밀착성이 양호함과 함께, 전해액에 의한 함불소 공중합체의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진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단위 (A) ∼ (D) 외에, 그들 이외의 구성 단위인 단량체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E) 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단량체 (e) 는 단량체 (a) ∼ (d) 이외의 단량체이다.
단량체 (e) 로는, 불화비닐,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시클로부텐, CH2=CHCF3, CH2=CHCF2CF3, CH2=CHCF2CF2CF3, CH2=CHCF2CF2CF2CF3, CH2=CHCF2CF2CF2CF2CF3 등의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류 등의 함불소계 단량체,
이소부틸렌, 펜텐 등의 α-올레핀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카프로산비닐, 카프릴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등의 비불소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 중 구성 단위 (E) 의 비율은 10 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5 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 (구성 단위 (A), (B), (D), (E) 의 합계) 에 대한 구성 단위 (C) 의 몰비는 0.01/100 ∼ 3.0/100 이다. 그 몰비가 0.01/100 이상이면, 얻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로는, 단량체 (c) 를 공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가교 구조가 팽윤의 억제에 기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몰비가 3/100 이하이면,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져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또, 단량체 (c) 중의 이중 결합이 미반응 상태로 잔존하기 어렵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미반응의 이중 결합의 잔존이 적은 것이, 그 이중 결합의 산화에 의한 전극의 열화가 잘 생기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몰비의 하한치는 0.01/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0.02/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1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몰비의 상한치는 1.5/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0.8/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1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1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0.5/100 이하이면,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의 양호한 유연성이 얻어지기 쉽고,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쉽다.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 구성 단위 (A), (B), (D) 의 조합의 구체예로는, 하기 (X1) ∼ (X9)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지는 함불소 공중합체를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밀착성 (결착성) 과 우수한 유연성이 동시에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X1) ∼ (X4) 가 보다 바람직하고, (X1), (X2) 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X1) ∼ (X9) 에 조합하는 구성 단위 (C) 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모두 상기 바람직한 구성 단위 (C) 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1)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2)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VdF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3)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P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4)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M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5)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HF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6)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7)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M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8)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PP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9) HF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의 조합.
(X1) ∼ (X4) 의 조합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밀착성 (결착성) 과 우수한 유연성이 동시에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각 구성 단위의 바람직한 몰비는 하기와 같다.
(X1) :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 40/60 ∼ 60/40 (몰비),
(X2) :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VdF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 30 ∼ 60/20 ∼ 60/1 ∼ 40 (몰비),
(X3) :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P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 30 ∼ 60/10 ∼ 40/10 ∼ 40 (몰비),
(X4) : TF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PMVE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 30 ∼ 60/10 ∼ 40/10 ∼ 40 (몰비).
함불소 공중합체의 무니 점도는 5 ∼ 200 이 바람직하고, 10 ∼ 170 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100 이 가장 바람직하다.
무니 점도는, JIS K6300 에 준하여 직경 38.1 ㎜, 두께 5.54 ㎜ 의 L 형 로터를 사용하여, 121 ℃ 에서, 예열 시간을 1 분간, 로터 회전 시간을 10 분간으로 설정하여 측정되며, 주로 고무 등의 고분자 재료의 분자량의 기준이다. 또, 무니 점도는 값이 클수록 간접적으로 고분자량인 것을 나타낸다. 5 ∼ 200 의 범위이면,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밀착성 (결착성) 과 우수한 내전해액성 (팽윤 억제) 이 동시에 얻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는, 구성 단위 (A) ∼ (C) 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로서, 특히 구성 단위 (C) 를 함유함으로써 함불소 공중합체간에서의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전해액에 의한 팽윤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C) 의 몰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가교 구조에 의한 함불소 공중합체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고,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밀착성과 우수한 내전해액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함불소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함불소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는, 유화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의 분자량 (무니 점도) 이나 공중합체 조성의 조정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유화제의 존재하에 수성 매체 중에서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법에서는, 수성 매체, 유화제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단량체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함불소 공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유화 중합 공정을 거쳐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를 얻는다. 유화 중합 공정에 있어서 pH 조정제를 첨가해도 된다.
(수성 매체)
수성 매체란, 물 단독,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제의 혼합물이다. 수용성 유기 용제로는, 물과 임의의 비율로 용해시킬 수 있는 공지된 화합물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유기 용제로는, 알코올류가 바람직하고, tert-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tert-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 중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유기 용제는 5 질량부 미만이며, 1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얻어지는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를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로서 사용한 경우, 제조 공정에 의해서 작업 환경 대책 등의 취급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유화제)
유화제는 유화 중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공지된 유화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라텍스의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온성 유화제가 바람직하고, 아니온성 유화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유화제로는, 유화 중합법에 있어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술폰산나트륨,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숙신산디알킬에스테르술폰산나트륨,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나트륨 등의 탄화수소계 유화제 ;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 퍼플루오로헥산산암모늄 등의 함불소 알킬카르복실산염 ; 하기 식 (V)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V) 로 기재한다) 등을 들 수 있다.
F(CF2)pO(CF(X)CF2O)qCF(X)COOA … (V).
식 (V) 중, X 는 불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또는 NH4 를 나타내고, p 는 1 ∼ 10 의 정수를 나타내고, q 는 0 또는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합물 (V) 에 있어서, X 는 불소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고, A 는 Na, -NH4 가 바람직하고, p 는 1 ∼ 5 가 바람직하고, q 는 1 ∼ 2 가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유화제로는, 중합 특성,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이기 때문에, 라우릴황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유화제의 사용량은, 유화 중합 공정에서 생성되는 함불소 공중합체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 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5 ∼ 3.8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7 ∼ 3.2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에서 얻어지는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에 있어서의 유화제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라텍스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그 라텍스를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로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pH 조정제)
pH 조정제는 무기염이 바람직하고, 유화 중합에 있어서의 pH 조정제로서 공지된 무기염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구체적으로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의 인산염 ;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염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인산수소이나트륨 2 수화물, 인산수소이나트륨 12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원하는 pH 로 조정하기 위해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염기류 ; 황산, 염산, 질산 등의 산류 등을 병용해도 된다.
후술하는 유화 중합 공정에 있어서의 수성 매체 중의 pH 는 4 ∼ 12 가 바람직하고, 6 ∼ 11 이 보다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중합 속도나 얻어지는 라텍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수용성 개시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개시제로는, 과황산류나 수용성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황산류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등, 수용성 유기 과산화물로는, 디숙신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과황산류가 바람직하고, 과황산암모늄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기구는 (1)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열을 가하여 라디칼 분해를 일으키게 하는 열분해형 중합 개시제계이어도 되고, (2)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산화 환원계 촉매 (이른바 레독스 촉매) 를 병용하는 레독스 중합 개시제계이어도 된다.
어느 계에서나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유화 중합 공정에서 생성되는 함불소 공중합체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01 ∼ 3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1 ∼ 1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1) 열분해형 중합 개시제계에서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수용성 개시제이고, 1 시간 반감기 온도가 50 ∼ 100 ℃ 인 것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수용성 개시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레독스 중합 개시제계에서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레독스 촉매로는, 과황산암모늄과 하이드록시메탄술핀산나트륨과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염 2 수화물과 황산제일철을 병용하는 계, 과망간산칼륨과 옥살산을 병용하는 계, 브롬산칼륨과 아황산암모늄을 병용하는 계, 과황산암모늄과 아황산암모늄을 병용하는 계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특히 과황산암모늄과 하이드록시메탄술핀산나트륨 (롱갈리트 촉매라고도 한다) 과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염 2 수화물과 황산제일철을 병용하는 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 공정)
유화 중합 공정은 공지된 유화 중합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우선 내압 반응기를 탈기한 후, 그 반응기 내에 수성 매체, 유화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제, 및 레독스 중합 개시제계에서는 레독스 촉매를 투입한다. 이어서, 소정의 중합 온도로 승온시킨 후, 단량체를 공급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촉매 (레독스 중합 개시제계에서는 롱갈리트 촉매 등) 를 공급한다. 중합 개시제가 활성화되어 중합 반응이 개시되면, 반응기 내의 압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 즉 중합 반응의 개시 (반응 시간의 시점) 는 반응기 내의 압력 저하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압력 저하를 확인하고 나서, 단량체를 추가 공급하고, 소정의 중합 온도 및 소정의 중합 압력을 유지하면서,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함불소 공중합체를 생성시킨다. 중합 반응을 진행시키면서 각 단량체를 서서히 공급함으로써, 공중합 조성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중합 반응 기간에 추가 공급되는 단량체 혼합물의 합계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반응기 내를 냉각시켜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 시간의 종점),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를 얻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는 수성 매체 중에 함불소 공중합체의 입자 및 유화제를 함유한다.
(1) 열분해형 중합 개시제계의 경우, 중합 반응 기간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는 50 ℃ ∼ 100 ℃ 가 바람직하고, 60 ℃ ∼ 9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65 ℃ ∼ 8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온도가 이 범위이면, 중합 속도가 적절하여 제어하기 쉽고, 또 생산성이 우수하여, 라텍스의 양호한 안정성이 얻어지기 쉽다.
중합 반응 기간에 있어서의 중합 압력은 1.0 ∼ 10 ㎫G 가 바람직하고, 1.5 ∼ 5.0 ㎫G 가 보다 바람직하고, 1.7 ∼ 3.0 ㎫G 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이 1.0 ㎫G 미만이면, 중합 속도가 지나치게 느린 경우가 있다. 상기 범위이면 중합 속도가 적절하여 제어하기 쉽고, 또 생산성이 우수하다.
(2) 레독스 중합 개시제계의 경우, 중합 반응 기간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는 0 ℃ ∼ 100 ℃ 가 바람직하고 10 ℃ ∼ 9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 ∼ 6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온도가 이 범위이면, 중합 속도가 적절하여 제어하기 쉽고, 또 생산성이 우수하여, 라텍스의 양호한 안정성이 얻어지기 쉽다.
중합 반응 기간에 있어서의 중합 압력은 1.0 ∼ 10 ㎫G 가 바람직하고, 1.5 ∼ 5.0 ㎫G 가 보다 바람직하고, 1.7 ∼ 3.0 ㎫G 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이 1.0 ㎫G 미만이면, 중합 속도가 지나치게 느린 경우가 있다. 상기 범위이면 중합 속도가 적절하여 제어하기 쉽고, 또 생산성이 우수하다.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 중의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20 ∼ 200 ㎚ 가 바람직하고, 30 ∼ 15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150 ㎚ 가 더욱 바람직하고, 50 ∼ 1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평균 입자직경이 20 ㎚ 이상이면, 그 함불소 공중합체에 의해 전극 활물질 표면 전체가 조밀하게 덮이지 않아 내부 저항의 증가를 억지할 수 있다. 또, 그 평균 입자직경이 200 ㎚ 이하이면, 전극 활물질의 양호한 결착력이 얻어지기 쉽다. 그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유화제의 종류, 첨가량 등 공지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의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오츠카 전자사 제조 레이저 제타 전위계 ELS-8000 등을 사용하여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이하, 간단히 바인더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와 액상 매체를 함유한다.
액상 매체는 상기 수성 매체 또는 함불소 공중합체를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용매의 예로는, 불화탄화수소, 염화탄화수소, 불화염화탄화수소, 알코올,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한 점이나,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점에서,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상기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라텍스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함유되는 함불소 공중합체의 비율은 바인더 조성물 전체 중 5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 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 35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인더 조성물 전체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후술하는 그 바인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극 합제를 조제했을 때에, 전극 합제의 양호한 점도가 얻어지기 쉬워 집전체 상에 두께가 높은 도포를 실시할 수 있다. 그 함불소 공중합체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그 바인더 조성물에 전극 활물질 등을 분산시켜 전극 합제를 조제할 때에, 양호한 분산 안정성이 얻어지기 쉬워 전극 합제의 양호한 도포성이 얻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함불소 공중합체를 전술한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등으로 제조하여, 중합 후의 함불소 공중합체가 현탁 중합 매체에 분산된 상태, 상기 수성 매체에 유화 분산된 상태,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태의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합에 있어서의 용매 또는 상기 수성 매체 등의 분산매가 상기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구성하는 액상 매체가 된다. 또, 중합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을 물, 유기 용제 등의 액상 매체로 희석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로서 중합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을 그대로 또는 희석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가 수성 매체에 분산된 상태의 것, 즉 상기 라텍스나 그것을 수성 매체로 희석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함불소 공중합체의 제조시에 사용한 유화제, 개시제, pH 조정제 등의 수성 매체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로는, 중합에 의해 얻어진 함불소 공중합체의 라텍스 등으로부터 응집, 정제 등에 의해 고체 상태의 함불소 공중합체를 단리시키고, 그 고체를 다시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수성 분산매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 함불소 공중합체 및 액상 매체 이외의 다른 성분 등의 성분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히 「전극 합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는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전극 활물질을 함유한다. 필요에 따라 도전재를 함유해도 되고, 이들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정극 활물질로는 MnO2, V2O5, V6O13 등의 금속 산화물 ; TiS2, MoS2, FeS 등의 금속 황화물 ; LiCoO2, LiNiO2, LiMn2O4 등의 Co, Ni, Mn, Fe, Ti 등의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리튬 복합 금속 산화물 등 ; 이들 화합물 중의 천이 금속의 일부를 다른 금속으로 치환한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또한,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면에 탄소 재료나 무기 화합물을 피복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부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코크스, 그라파이트, 메소페이즈 피치 소구체, 페놀 수지, 폴리파라페닐렌 등의 고분자 화합물의 탄화물 ; 기상 성장 카본 파이버, 탄소 섬유 등의 탄소질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리튬과 합금화 가능한 Si, Sn, Sb, Al, Zn 및 W 등의 금속도 들 수 있다. 전극 활물질은 기계적 개질법에 의해 표면에 도전재를 부착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 합제의 경우, 사용하는 전극 활물질은 전해질 중에서 전위를 가함으로써 가역적으로 리튬 이온을 삽입 방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무기 화합물이어도 유기 화합물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정극의 제조에 사용하는 전극 합제에는 도전재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재를 함유시킴으로써, 전극 활물질끼리의 전기적 접촉이 향상되고, 활물질층 내의 전기 저항을 낮출 수 있어 비수계 이차 전지의 방전 레이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전재로는,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기상 성장 카본 섬유, 및 카본 나노 튜브 등의 도전성 카본을 들 수 있다.
전극 합제가 도전재를 함유하면, 소량의 도전재의 첨가로 전기 저항의 저감 효과가 커져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전극 합제에 있어서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의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합제 중의 전극 활물질의 비율은 20 ∼ 90 질량% 가 바람직하고, 30 ∼ 8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 7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극 합제 중의 함불소 공중합체의 비율은 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5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8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전극 합제가 도전재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전극 합제 중의 도전재의 비율은 0 질량% 초과이며,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3 ∼ 8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극 합제 중의 고형분 농도는 30 ∼ 95 질량% 가 바람직하고, 40 ∼ 8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45 ∼ 8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은 집전체와, 그 집전체 상에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및 전지 활물질을 함유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집전체로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등의 금속박, 금속 망상물, 금속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정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부극 집전체로는 구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집전체의 두께는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극 합제를 집전체의 적어도 편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에 의해 전극 합제 중의 매체를 제거하고,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필요에 따라서, 건조 후의 전극 활물질층을 프레스하여 원하는 두께로 성형해도 된다.
전극 합제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법, 딥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아법, 익스트루전법 및 브러시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상온 부근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건조는 다양한 건조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 진공 건조, (원) 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법을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가열식 진공 건조기 등에서는 통상적으로 실온 ∼ 200 ℃ 가 바람직하다. 프레스 방법으로는 금형 프레스나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축전 디바이스로서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을 정극 및 부극 중 적어도 일방의 전극으로서 구비함과 함께 전해액을 구비한다. 추가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액은 전해질과 용매를 함유한다. 용매로는,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카보네이트 (DMC), 에틸렌카보네이트 (EC), 디에틸카보네이트 (D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C), 부틸렌카보네이트 (BC), 및 메틸에틸카보네이트 (MEC) 등의 알킬카보네이트류 ; γ-부티로락톤, 포름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1,2-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 술포란, 및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함황 화합물류가 사용된다. 특히 높은 이온 전도성이 얻어지기 쉽고, 사용 온도 범위가 넓기 때문에,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로는 LiClO4, LiBF4, LiPF6, LiAsF5, CF3SO3Li, (CF3SO2)2NLi 등의 리튬염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시험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함불소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
각 예에서 제조한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를 염화칼슘의 1.5 질량% 수용액에 첨가하여, 염석시켜 함불소 공중합체를 응집 석출시키고, 이온 교환수에 의해 세정 후, 100 ℃ 의 오븐에서 15 시간 건조시켜 함불소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함불소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은 용융 NMR 분석, 불소 함유량 분석 및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로부터 산출하였다.
(2) 밀착성 (박리 강도)
각 예에서 제조한 전극 (정극) 을 폭 2 ㎝ × 길이 10 ㎝ 의 단책상 (短冊狀) 으로 절단하고, 전극 합제의 도포막면을 위로 하여 고정시켰다. 전극 합제의 도포막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고, 테이프를 10 ㎜/min 의 속도로 90°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의 강도 (N) 를 5 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박리 강도로 하였다. 이 값이 클수록 바인더에 의한 밀착성 (결착성) 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즉, 바인더에 의해 결착되어 있는 전극 활물질간의 밀착성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3) 내전해액성 (팽윤도)
각 예에서 제조한 함불소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상기 (1) 에 기재된 방법으로 함불소 공중합체를 얻었다.
내전해액성은 얻어진 함불소 공중합체를 고온 (50 ℃) 의 전해액에 침지시켰을 때의 팽윤도로부터 산출하였다. 팽윤도는 50 ℃ 의 에틸렌카보네이트/에틸메틸카보네이트 = 50/50 (체적%) 의 혼합액 중에 함불소 공중합체를 168 시간 침지시킨 후, 데칸테이션에 의해 전해액을 제거하고, 전해액에 의해 팽윤시킨 함불소 공중합체의 중량 (Ws) 을 측정하고, 계속해서 100 ℃ 에서 8 시간 진공 건조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의 건조 중량 (Wd) 을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팽윤도 = Ws/Wd
(4) 충방전 사이클 특성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의 평가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예에서 제조한 정극을 직경 18 ㎜φ 의 원형으로 잘라내고, 이것과 동일 면적의 리튬 금속박 및 폴리에틸렌제의 세퍼레이터를 리튬 금속박, 세퍼레이터, 정극의 순서로 2016 형 코인 셀 내에 적층하여 전지 요소를 제작하고, 1 M-LiPF6 의 에틸메틸카보네이트-에틸렌카보네이트 (체적비 1 : 1) 의 비수 전해액을 첨가하고, 이것을 밀봉함으로써 코인형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60 ℃ 에 있어서, 0.2 C 에 상당하는 정전류로 4.5 V (전압은 리튬에 대한 전압을 나타낸다) 까지 충전하고, 추가로 충전 상한 전압에 있어서 전류치가 0.02 C 가 될 때까지 충전을 실시하고, 그런 후에 0.2 C 에 상당하는 정전류로 3 V 까지 방전시키는 사이클을 실시하였다. 1 사이클째 방전시의 방전 용량에 대한 10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의 용량 유지율 (단위 : %) 을 구하여, 전지의 충방전 측정의 지표로 하였다. 용량 유지율의 값이 높을수록 우수하다.
또한, 1 C 란 전지의 기준 용량을 1 시간에 방전시키는 전류치를 나타내고, 0.2 C 란 그 1/5 의 전류치를 나타낸다.
(5) 방전 레이트 특성
(4) 충방전 특성 시험과 동일하게 작성한 코인형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를 사용하여, 60 ℃ 에 있어서, 0.2 C 에 상당하는 정전류로 4.5 V (전압은 리튬에 대한 전압을 나타낸다) 까지 충전하고, 추가로 충전 상한 전압에 있어서 전류치가 0.02 C 가 될 때까지 충전을 실시하고, 그런 후에 0.2 C 에 상당하는 정전류로 3 V 까지 방전 후, 상기와 동일하게 충전을 실시하고, 3 C 에 상당하는 정전류로 3 V 까지 방전시킴으로써, 방전 레이트 특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0.2 C 방전 후의 방전 용량을 100 % 로 했을 때의, 3 C 방전 후의 방전 용량의 유지율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초기의 방전 용량비로 하였다. 초기의 방전 용량비가 높으면, 전극 내의 저항이 작아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방전 용량비 (%) = (3 C 방전 용량/0.2 C 방전 용량) × 100
이어서, (4) 의 충방전 특성 시험에 있어서, 100 사이클의 충방전 사이클을 실시한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3 C 방전을 실시하여 100 사이클 후의 방전 용량비를 산출하였다. 100 사이클 후의 방전 용량비가 높으면, 충방전 사이클 후도 전극 내의 저항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 함불소 공중합체 A 의 제조
본 예에서는 레독스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였다.
즉, 교반용 앵커 날개를 구비한 내용적 3200 ㎖ 의 스테인리스강제의 내압 반응기의 내부를 탈기한 후, 그 반응기에 1700 g 의 이온 교환수, 유화제로서 13.3 g 의 라우릴황산나트륨, pH 조정제로서 인산수소이나트륨 12 수화물의 60 g 및 수산화나트륨의 0.9 g,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의 4.4 g (1 시간 반감기 온도 82 ℃) 을 첨가하였다. 또한 200 g 의 이온 교환수에, 레독스 촉매로서 0.4 g 의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염 2 수화물 (이하, EDTA 라고 기재한다) 및 0.3 g 의 황산제일철 7 수화물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이 때의 반응기 내의 수성 매체의 pH 는 9.2 였다.
이어서, 40 ℃ 에서, TFE/P = 88/12 (몰비) 의 단량체 혼합 가스를 반응기의 내압이 2.50 ㎫G 가 되도록 압입하였다. 앵커 날개를 300 rpm 으로 회전시키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 를 10.0 으로 조정한 하이드록시메탄술핀산나트륨 2 수화물 (이하, 롱갈리트라고 기재한다) 을 반응기에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시켰다.
중합 온도를 40 ℃ 로 유지하고, 적절히 TFE/P = 56/44 (몰비) 의 단량체 혼합 가스를 자압 (自壓) 으로 압입하면서, 반응기의 내압을 2.50 ㎫G 부근으로 유지하며 중합 반응을 계속하였다.
계속해서, TFE/P 의 단량체 혼합 가스의 압입량이 10 g 이 된 시점에서,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 17/83 (질량비) 용액의 0.1 ㎖ 를 반응기 내에 질소 배압으로 압입하였다. 이후, TFE/P 의 단량체 혼합 가스의 압입량이 690 g 까지, 10 g 마다 그 아디프산디비닐의 tert-부탄올 용액의 0.1 ㎖ 를 압입하여, 합계 6.9 ㎖ 압입하였다. TFE/P 의 단량체 혼합 가스의 압입량의 총량이 700 g 이 된 시점에서, 반응기의 내온을 10 ℃ 까지 냉각시켜 함불소 탄성 공중합체 A 의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 시간은 6 시간이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은 29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A 의 공중합 조성은 TFE (A) 와 P (B) 의 비 (A)/(B) = 56/44 (몰비) 이고, 구성 단위 (C) 이외의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 (즉 TFE (A) 와 P (B) 의 합계) 에 대한 아디프산디비닐 (C) 의 몰비 [(C)/{(A)+(B)}] 는 0.05/100 이었다.
또, 그 라텍스 중에 잔존하는 아디프산디비닐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함불소 공중합체 A 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는 1700 ㎝-1 부근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기초하는 흡수는 확인되지 않은 점에서, 아디프산디비닐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중의 2 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모두 반응하여 공중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 A 의 물성 (무니 점도 및 평균 입자직경) 을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함불소 공중합체 A 라텍스를 바인더 조성물로서 이용하여, 전극 합제를 조제하였다.
즉, 정극 활물질로서 LiNi0.5Co0.2Mn0.3O2 (AGC 세이미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세리온 C」, 탭 밀도 2.4 g/㎤, 평균 입자직경 : 12 ㎛) 의 100 질량부, 도전재로서 아세틸렌 블랙의 7 질량부를 혼합하고, 점도 조정제로서 농도 1 질량% 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40 질량부 첨가하여 혼련한 후, 함불소 공중합체 A 라텍스를 10 질량부 첨가하여 전극 합제 1 을 얻었다.
얻어진 전극 합제 1 을 두께 15 ㎛ 의 알루미늄박 (집전체) 에 닥터 블레이드로 건조 후의 두께가 6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 ℃ 의 진공 건조기에 넣고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로 40 ㎛ 가 되도록 압연하여 정극 1 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밀착성, 내전해액성,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실시예 2] 함불소 공중합체 B 의 제조
본 예에서는, 실시예 1 에 있어서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용액의 첨가량을 변경하였다.
즉, 반응기에 대한 TFE/P 의 단량체 혼합 가스의 압입량 10 g 마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용액의 0.5 ㎖ 를 반응기 내에 질소 배압으로 압입하여, 합계 34.5 ㎖ 압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B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은 29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B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2 및 전극 2 를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3] 함불소 공중합체 C 의 제조
본 예에서는 열분해형 중합 개시계를 이용하여, 중합 온도를 75 ℃ 로 하였다.
즉, 레독스 촉매로서 EDTA 및 황산제일철 7 수화물을 이용하지 않고, 중합 온도를 7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함불소 공중합 C 를 함유하는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 시간은 9 시간이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C 의 함유량은 29 질량% 이다. 함불소 공중합체 C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3 및 전극 3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4] 함불소 공중합체 D 의 제조
본 예에서는, 단량체 (c) 로서 아디프산디비닐 대신에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를 사용하였다.
즉 실시예 1 에 있어서, 압입하는 아디프산디비닐의 tert-부탄올 용액을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tert-부탄올 = 12/88 (질량비)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D 의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 시간은 6 시간이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D 의 함유량은 28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D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 그 라텍스 중에 잔존하는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함불소 공중합체 D 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는 1700 ㎝-1 부근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기초하는 흡수는 확인되지 않은 점에서,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중의 2 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모두 반응하여 공중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4 및 전극 4 를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5]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제조
본 예에서는, 단량체 (c) 로서 아디프산디비닐 대신에 크로톤산비닐을 사용하였다.
즉 실시예 1 에 있어서, 압입하는 아디프산디비닐의 tert-부탄올 용액을 크로톤산비닐/tert-부탄올 = 9.5/90.5 (질량비) 용액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 시간은 6 시간이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함유량은 28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 그 라텍스 중에 잔존하는 크로톤산비닐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적외 흡수스펙트럼에는 1700 ㎝-1 부근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기초하는 흡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크로톤산비닐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중의 2 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중 일방은 모두 반응하여 공중합되어 있고, 타방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일부가 미반응 상태로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5 및 전극 5 를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6] 함불소 공중합체 F 의 제조
본 예에서는, 실시예 1 에 있어서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용액의 첨가량을 변경하였다.
즉, 반응기에 대한 TFE/P 의 단량체 혼합 가스의 압입량이 10 g 마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용액의 2 ㎖ 를 반응기 내에 질소 배압으로 압입하여, 합계 138.0 ㎖ 압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F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F 의 함유량은 30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F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6 및 전극 6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7] 함불소 공중합체 K 의 제조
본 예에서는, 실시예 1 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 가스 및 중합 온도를 변경하였다.
즉 반응기에 압입하는 단량체 혼합 가스를, 25 ℃ 에서 TFE/P/VdF = 25/6/69 (몰비) 의 혼합 가스를, 반응기의 내압이 2.50 ㎫G 가 되도록 압입하고, 또 중합 반응이 개시된 후에, 중합 온도를 25 ℃ 로 유지하고, 적절히 TFE/P/VdF = 39/26/35 (몰비) 의 단량체 혼합 가스를 자압으로 압입하여 중합 반응을 계속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K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K 의 함유량은 30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K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10 및 전극 10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1] 함불소 공중합체 G 의 제조
아디프산디비닐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G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E 의 함유량은 28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G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7 및 전극 7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2] 함불소 공중합체 H 의 제조
실시예 1 에 있어서, 압입하는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용액의 조성을 아디프산디비닐/tert-부탄올 = 47/53 (질량비) 용액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H 의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 시간은 6 시간이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H 의 함유량은 29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H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 그 라텍스 중에 잔존하는 아디프산디비닐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함불소 공중합체 H 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는 1700 ㎝-1 부근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기초하는 흡수는 확인되지 않은 점에서, 아디프산디비닐 단위의 양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모두 반응하여 공중합되어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8 및 전극 8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함불소 공중합체 J 의 제조
아디프산디비닐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J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J 의 함유량은 28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J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9 및 전극 9 를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4] 함불소 공중합체 L 의 제조
아디프산디비닐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함불소 공중합체 L 의 라텍스를 얻었다. 라텍스 중에 있어서의 함불소 공중합체 L 의 함유량은 30 질량% 였다. 함불소 공중합체 L 의 공중합 조성 및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극 합제 11 및 전극 11 을 조제하여,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표 1 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7 의 함불소 공중합체는 단량체 (c)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C) 를 본 발명의 범위에서 갖는 것이다. 그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는 밀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전해액에 의한 팽윤이 작아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용량 유지율이 양호하였다.
이에 반하여, 단량체 (c) 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3, 4 에서는, 밀착성은 양호했지만, 팽윤도가 높았다. 또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에 대한 구성 단위 (C) 의 몰비 ((C)/{(A)+(B)}) 의 값이 3.5/100 으로 높은 비교예 2 에서는, 내팽윤성은 양호하지만, 밀착성이 낮았다.
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함불소 공중합체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면, 단량체 (c) 를 사용하지 않는 함불소 공중합체 G, 함불소 공중합체 J, 함불소 공중합체 L 는 모두 함불소 공중합체가 테트라하드로푸란에 완전히 용해된 데에 반하여, 단량체 (c) 를 사용한 함불소 공중합체 A, 함불소 공중합체 B, 함불소 공중합체 C, 함불소 공중합체 D, 함불소 공중합체 E, 함불소 공중합체 F, 함불소 공중합체 K, 함불소 공중합체 H 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완전히 용해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단량체 (c) 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C) 를 함유함으로써 함불소 공중합체간에서의 가교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바인더로서 적합하다.
또한, 2012년 4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02713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Claims (14)
- 하기 구성 단위 (A), 하기 구성 단위 (B), 및 하기 구성 단위 (C) 를 갖고, 상기 구성 단위 (C) 를 제외한 전체 구성 단위의 합계에 대한 상기 구성 단위 (C) 의 몰비가 0.01/100 ∼ 3/100 인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구성 단위 (A)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B) : 에틸렌 및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구성 단위 (C) :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고, 그 이중 결합의 적어도 1 개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의 이중 결합 또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의 이중 결합이며, 탄소 원자수가 5 ∼ 30 인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
CY1Y2=CY3-O- … (1)
(식 중, Y1, Y2, Y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이다)
CZ1Z2=CZ3-OCO- … (2)
(식 중, Z1, Z2,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비닐에테르기가 CH2=CH-O- 이고,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닐에스테르기가 CH2=CH-OCO- 인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이 하기 식 (I), (II) 또는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CR1R2=CR3-O-R4-O-CR5=CR6R7 … (I)
CR8R9=CR10-OCO-R11-COO-CR12=CR13R14 … (II)
CR15R16=CR17COOCH=CH2 … (III)
(식 중,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2, R13, R14,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메틸기, R4, R11 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렌기, R15,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아디프산디비닐, 크로톤산비닐 또는 메타크릴산비닐인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A) 와 상기 구성 단위 (B) 의 몰비 (A)/(B) 가 30/70 ∼ 90/10 인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불화비닐리덴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와 프로필렌에 기초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와 액상 매체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매체가 수계 매체이고, 그 수계 매체 중에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진 상기 함불소 공중합체의 라텍스인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과 전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합제.
- 집전체와, 그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및 전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갖는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 집전체 상에 제 11 항에 기재된 전극 합제를 도포하여 그 전극 합제의 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전극 합제의 층으로부터 액상 매체를 제거하여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제 12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의 제조 방법.
- 제 12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전해액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02713 | 2012-04-27 | ||
JP2012102713 | 2012-04-27 | ||
PCT/JP2013/061948 WO2013161828A1 (ja) | 2012-04-27 | 2013-04-23 |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440A true KR20150015440A (ko) | 2015-02-10 |
Family
ID=4948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8849A KR20150015440A (ko) | 2012-04-27 | 2013-04-23 |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590251B2 (ko) |
EP (1) | EP2843740B1 (ko) |
JP (1) | JP6070699B2 (ko) |
KR (1) | KR20150015440A (ko) |
CN (1) | CN104247108A (ko) |
WO (1) | WO20131618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3965B2 (ja) * | 2011-02-18 | 2016-02-09 | 旭硝子株式会社 | 含フッ素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含フッ素共重合体ラテックス、電極製造用バインダー、蓄電デバイス用電極合剤および蓄電デバイス用電極 |
JP6222098B2 (ja) | 2012-10-19 | 2017-11-01 | 旭硝子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組成物の製造方法 |
JP7260818B2 (ja) * | 2019-07-25 | 2023-04-1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結着剤、固体電池用スラリー、固体電池用電極及び二次固体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328172T2 (de) * | 1992-12-25 | 2000-12-21 | Tdk Corp | Lithium-sekundärbatterie |
IT1265461B1 (it) * | 1993-12-29 | 1996-11-22 | Ausimont Spa | Fluoroelastomeri comprendenti unita' monomeriche derivanti da una bis-olefina |
KR100201056B1 (ko) * | 1994-10-19 | 1999-06-15 | 이노우에 노리유끼 |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
JP3467499B2 (ja) * | 1995-06-29 | 2003-11-17 |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 エポキシ基含有フッ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こ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電極構造体および二次電池 |
JPH09157616A (ja) * | 1995-12-08 | 1997-06-17 | Daikin Ind Ltd | 含フッ素接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性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
JP3692965B2 (ja) | 2000-05-15 | 2005-09-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正極の製造方法 |
CA2347872A1 (en) * | 2000-05-18 | 2001-11-18 |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 Die attach adhesives with vinyl ether and carbamate or urea functionality |
DE602005018228D1 (de) * | 2004-08-04 | 2010-01-21 | Asahi Glass Co Ltd | Elastomeres fluorcopolymer, dieses enthaltende zusammensetzung und vernetzte kautschuke |
WO2006080259A1 (ja) * | 2005-01-27 | 2006-08-03 | Kureha Corporation | フッ化ビニリデン系コア/シェル型重合体およびその非水系電気化学素子における利用 |
JP4945905B2 (ja) * | 2005-02-25 | 2012-06-06 | 旭硝子株式会社 | 電線用絶縁被覆層 |
DE602007001279D1 (de) * | 2006-01-13 | 2009-07-30 | Asahi Glass Co Ltd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m Fluorcopolymer und vernetztem Fluorkautschuk |
JP2009029892A (ja) * | 2007-07-26 | 2009-02-12 | Asahi Glass Co Ltd | 含フッ素弾性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架橋ゴム部材 |
US9236612B2 (en) * | 2007-11-14 | 2016-01-12 | Kureha Corporation | Positive electrode mixture for nonaqueous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
JP5402644B2 (ja) * | 2008-02-01 | 2014-01-29 | 旭硝子株式会社 | エチレン−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系共重合体 |
EP2343325A4 (en) * | 2008-11-05 | 2012-04-11 | Asahi Glass Co Ltd | FLUORINATED ELASTIC CO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TICULATED RUBBER |
CN102598375B (zh) | 2009-11-06 | 2015-12-16 | 旭硝子株式会社 | 二次电池用粘合剂组合物、使用其的二次电池用电极合剂以及二次电池 |
JP5476980B2 (ja) * | 2009-12-25 | 2014-04-23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
JP2011134649A (ja) * | 2009-12-25 | 2011-07-07 | Toyo Ink Sc Holdings Co Ltd |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樹脂微粒子 |
EP2624341B1 (en) * | 2010-09-30 | 2017-06-14 | Asahi Glass Company, Limited |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and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and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
JP2012102713A (ja) | 2010-11-15 | 2012-05-31 | Nissan Motor Co Ltd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5853965B2 (ja) | 2011-02-18 | 2016-02-09 | 旭硝子株式会社 | 含フッ素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含フッ素共重合体ラテックス、電極製造用バインダー、蓄電デバイス用電極合剤および蓄電デバイス用電極 |
CN103650222A (zh) | 2011-07-29 | 2014-03-19 | 旭硝子株式会社 | 蓄电装置用粘合剂 |
WO2013147077A1 (ja) | 2012-03-28 | 2013-10-03 | 旭硝子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 |
-
2013
- 2013-04-23 WO PCT/JP2013/061948 patent/WO201316182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23 EP EP13782486.8A patent/EP284374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4-23 KR KR1020147028849A patent/KR201500154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4-23 JP JP2014512619A patent/JP607069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4-23 CN CN201380020594.6A patent/CN104247108A/zh active Pending
-
2014
- 2014-10-27 US US14/524,856 patent/US959025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43740A1 (en) | 2015-03-04 |
WO2013161828A1 (ja) | 2013-10-31 |
US20150044561A1 (en) | 2015-02-12 |
JPWO2013161828A1 (ja) | 2015-12-24 |
EP2843740A4 (en) | 2016-03-16 |
US9590251B2 (en) | 2017-03-07 |
CN104247108A (zh) | 2014-12-24 |
JP6070699B2 (ja) | 2017-02-01 |
EP2843740B1 (en)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63470B2 (ja) | 二次電池用結着剤、二次電池用電極合剤、二次電池用電極及び二次電池 | |
KR101947979B1 (ko) | 이차 전지용 결착제 및 이차 전지용 전극합제 | |
JP5053073B2 (ja) | フッ化ビニリデン系コア/シェル型重合体およびその非水系電気化学素子における利用 | |
US9714336B2 (en) | Method for producing fluorinated copolymer latex, fluorinated copolymer latex, binder for producing electrode, electrode mixture for storage battery device, and electrode for storage battery device | |
JP5637142B2 (ja) | 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用電極合剤、及び二次電池 | |
KR20180089492A (ko) | 바인더 조성물, 바인더 분산액, 전극 합제, 전극,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및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 |
US20140147745A1 (en) | Binder for storage battery device | |
US9490484B2 (en) | Binder for storage battery device | |
KR20150076155A (ko) | 축전 디바이스용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 |
JP6070699B2 (ja) |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 | |
WO1998049737A1 (en) | Vinylidene fluoride polymer-based binder solution and electrode-forming composition | |
JP2002249589A (ja) | ゲル組成物 | |
JP2018063932A (ja) | 二次電池用結着剤及び二次電池用電極合剤 | |
WO2015111724A1 (ja) | 蓄電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バインダー組成物、電極合剤、電極および二次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