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365A -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365A
KR20150014365A KR1020140084803A KR20140084803A KR20150014365A KR 20150014365 A KR20150014365 A KR 20150014365A KR 1020140084803 A KR1020140084803 A KR 1020140084803A KR 20140084803 A KR20140084803 A KR 20140084803A KR 20150014365 A KR20150014365 A KR 2015001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reagent
sample liquid
ligh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874B1 (ko
Inventor
요시로 마타노
다다시 가와노
아키오 이시이
히로코 다나카
다쿠미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어드밴스트 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어드밴스트 테크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5001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간편하고 쉽고 신속하게 장치의 에러를 특정할 수 있는 수질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셀(6)에 샘플액을 주입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과, 셀(6)에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 스텝과, 셀(6) 내에 있어서 샘플액 및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 스텝과, 셀(6) 내에 있어서, 반응 스텝을 거친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성분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하는 수질분석장치(1)이며,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및 측정 스텝에 있어서, 셀(6)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셀(6)로부터 나온 광을 광검출부(8)에 의해 검출하고, 그 광검출부(8)에 의해 얻어진 광검출데이터 또는 해당 광검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된 연산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격납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장치.

Description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WATER QUALITY}
본 발명은,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 등의 액체시료(샘플액)에 포함되는 질소나 인 등을 분석하는 수질분석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수질분석장치는, 자외선 흡광 광도법(紫外線吸光光度法)을 사용한 것으로서, 샘플액에 소정의 시약을 주입하고 시약과 샘플액을 반응시킨 후에, 이 샘플액에 광(光)을 조사(照射)하여 흡광 측정을 함으로써 샘플액에 포함된 질소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42216호
그러나, 종래의 수질분석장치에서는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예를 들면 시행착오적으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에러발생공정(스텝)을 특정하여, 해당 에러발생공정을 확인함으로써, 에러 원인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에러발생공정을 특정할 수 있다고 해도, 이 에러발생공정에 있어서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가 많으며, 그것들을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원인을 특정하는 것은 극히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라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하고 쉬우며 신속하게 장치의 에러발생공정 또는 그 에러 원인을 특정하는 것을 그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장치는, 셀에 샘플액을 주입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과, 상기 셀에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샘플액 및 상기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반응 스텝을 거친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 대상 성분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하는 수질분석장치로서, 상기 샘플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상기 반응 스텝 및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광을 조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셀로부터 나온 광을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하여, 그 광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광검출 데이터 또는 해당 광검출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된 연산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것이라면,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및 측정 스텝에 있어서, 셀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광검출데이터 또는 연산데이터를 데이터 격납부에 격납하므로, 이 격납된 데이터를,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등의 확인만으로, 상기 모든 스텝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에러발생 공정이나 에러 원인을 특정할 수 있다. 이 에러 발생공정이나 에러 원인으로는, 예를 들면 시약의 열화, 각 스텝에서 사용되는 주변기기의 열화나 고장 등의 불량, 샘플액이나 시약의 주입 실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스텝은, 샘플액에 광을 조사하여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 성분을 측정하고, 상기 샘플액 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및 상기 반응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조사하는 광과,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샘플액에 조사하는 광은 동일한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및 반응 스텝에 있어서, 측정 스텝에서 사용되는 광원으로부터 셀에 광을 조사할 수가 있으므로, 별도 광원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장치구성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구성은, 반응 스텝과 측정 스텝을 동일 셀로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질분석장치를 사용한 분석방법으로는, 셀에 샘플액을 주입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과, 상기 셀에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샘플액 및 상기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 스텝과, 상기 반응 스텝을 거친 상기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성분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샘플액 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상기 반응 스텝 및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광을 조사함과 더불어 상기 셀로부터 나온 광을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광검출 데이터 또는 해당 광검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된 연산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하고 신속하게 장치의 에러발생 공정 또는 에러 원인을 특정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질분석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질분석장치의 질소성분 분석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동일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질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한 질소성분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동일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질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한 질소성분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질분석장치(1)는, 예를 들면 상하수 등의 액체시료(샘플액)에 포함되는 질소나 인 등의 소정의 측정 대상 성분의 농도를 자외선 흡광 광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액을 분석하는 분석기기(2)와, 분석기기(2)를 제어하는 제어기기(3)를 구비한다.
분석기기(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액을 계량하는 샘플액 계량기구(4)와, 시약을 계량하는 시약계량기구(5)와, 샘플액 계량기구(4)에 의해 계량된 샘플액 및 시약계량기구(5)에 의해 계량된 시약이 주입되는 측정셀(6)과, 측정셀(6)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7)과, 측정셀(6)로부터 나온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8)을 구비한다.
샘플액 계량기구(4)는, 샘플액을 소정의 일정량으로 계량하는 것이며, 샘플액을 수용하는 샘플 수용기(도시하지 않음)와, 계량부(4a)와, 계량부(4a)로 계량된 샘플액을 측정셀(6)에 도입하는 샘플액 배관(4b)을 구비한다. 이 샘플액 배관(4b)에는 관내의 개폐를 실시하는 제1개폐변(開閉弁, 4c)이 설치되어 있다.
시약계량기구(5)는, 시약을 소정의 일정량으로 계량하는 것으로서, 시약을 수용하는 시약용기(도시하지 않음)와, 계량부(5a)와, 계량부(5a)에서 계량된 시약을 측정셀(6)에 도입하는 시약배관(5a)을 구비한다. 이 시약배관(5b)에는, 관내의 개폐를 실시하는 제2개폐변(5c)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의 시약은, 샘플액에 포함되는 질소 성분 분석을 하기 위한 시약이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펠옥소2황산칼륨 및 염산이 사용된다. 또한 시약 계량기구(5)는 시약마다 설치되어 있다.
측정셀(6)은, 샘플액 계량기구(4)에 의해 계량된 일정량의 샘플액이 주입됨과 함께, 시약 계량기구(5)에 의해 계량된 일정량의 시약이 주입되어, 후술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pH 조정 스텝, 측정 스텝 및 폐액(廢液)스텝이 실시되는 것이다.
광원(7)은, 측정셀(6)에 소정 파장의 광(예를 들면 220㎚ 등의 자외선 파장대역을 지닌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광원으로는, 예를 들면 키세논 램프 등의 UV램프나 자외선 LED 등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광검출부(8)는, 광원(7)으로부터 측정셀(6)에 조사되어, 해당 측정셀(6)을 투과한 광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광검출부(8)로는 예를 들면 측정셀(6)을 투과한 소정파장의 광(자외선 파장대역을 지닌 광)을 그 광강도에 맞는 전기신호(광검출 데이터)로 변환하는 광전자 증배관(光電子增倍管, PMT)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석기기(2)는, 제어기기(3)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기(3)는, CPU, 내부 메모리, I/O 버퍼회로, AD 컨버터 등을 구비한 전용 내지 범용 컴퓨터이며, 내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정보처리를 행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제어부(10), 데이터 관리부(11), 데이터 격납부(12), 표시부(13), 농도 연산부(14)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기(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기기(2)를 시퀀스 제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pH 조정 스텝, 측정 스텝 및 폐액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분석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샘플액 주입 스텝은, 분석제어부(10)가 샘플액 계량기구(4)를 제어하여, 계량된 샘플액을 측정셀(6) 내에 주입하는 공정이다.
시약 주입 스텝은, 분석제어부(10)가 시약계량기구(5)를 제어하여, 계량된 시약(수산화나트륨 및 펠옥소2황산칼륨)을 측정셀(6) 내에 주입하는 공정이다.
반응 스텝은, 분석제어부(10)가 히터(15)를 제어하여, 측정셀(6) 내에 혼합된 샘플액 및 시약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가열함과 함께, 자외선 광원(9)을 제어하여 용액에 자외선조사를 실시하여, 용액에 포함된 샘플액을 시약에 의해 가수분해하는 공정이다. 이 자외선 광원(9)은, 가수분해반응에 필요한 파장을 조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UV 램프, LE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은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pH 조정 스텝은, 분석제어부(10)가 시약계량기구(5)를 제어하여, 계량된 시약(염산)을 용액에 첨가하여, 용액을 중화시키는 공정이다.
측정 스텝은, 분석제어부(10)가 광원(7)을 제어하여 측정셀(6)에 광을 조사하여, 측정셀(6)로부터 나온 투과광을 광검출부(8)에 의해 검출하는 공정이다. 이 광검출부(8)에 의해 얻어진 광검출 데이터는 농도연산부(14)에 출력되어, 농도 연산부(14)가 해당 검출데이터를 사용하여 샘플액에 포함되는 질소 농도를 측정한다.
폐액 스텝은, 측정 스텝을 거친 측정셀(6) 내의 용액을 배출하는 공정이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기(3)는, 분석제어부(10), 데이터 관리부(11), 데이터 격납부(12), 표시부(13)에 의해,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pH 조정 스텝, 측정 스텝 및 폐액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분석처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또는 그 에러 원인을 특정하기 위한 원인 측정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질분석장치(1)에 무언가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제어기기(3)의 분석제어부(10)는, 다음 일련의 분석처리에 있어서, 샘플액 주입 스텝에서 폐액 스텝까지, 광원(7)을 제어하여 측정셀(6)에 광을 연속적으로 조사한다. 이 측정셀(6)을 투과한 광은 광검출 데이터로서 광검출부(8)에서 검출되어 데이터 관리부(11)에 송신된다. 데이터 관리부(11)는, 광검출 데이터 또는 광검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한 흡광도를 나타내는 연산데이터를, 데이터 격납부(12)에 격납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11)는, 농도연산부(14)에 있어서 연산된 흡광도를 나타내는 연산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연산데이터를 데이터 격납부(12)에 격납해도 된다.
데이터 격납부(12)는, 장치 내부에 내장된 내부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며, 정상적으로 질소분석이 행해졌을 경우의 데이터(기준 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준데이터 격납부(12a)와, 광검출부(8)로부터 검출한 데이터(실데이터)를 격납하는 실데이터 격납부(12b)를 구비한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부(11)로부터 송신된 실데이터를 실데이터 격납부(12b)에 격납한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부(11)는, 기준데이터 격납부(12a)에 격납된 기준 데이터 및 실데이터 격납부(12b)에 격납된 실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부(13)에 송신한다. 표시부(13)는, 이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꺾은선 그래프로서 표시한다. 유저나 관리자는, 이 꺾은선 그래프를 확인함으로써, 샘플액 주입 스텝에서 폐액 스텝까지의 일련의 분석처리에 있어서 어느 스텝에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지, 또는 그 에러의 원인을 특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스텝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및 그 에러 원인에 대해서 열거한다.
샘플액 주입 스텝에 있어서는, 샘플액이 측정셀(6)에 주입되어 있지 않은 에러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 원인으로는 샘플액 계량기구(4)의 불량이나 샘플액의 주입 실수 등을 들 수 있다.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는 시약이 측정셀(6)에 주입되어 있지 않은 에러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 원인으로는, 시약 계량기구(5)의 불량이나 시약(펠옥소2황산칼륨 및 수산화 나트륨)의 주입 실수 등을 들 수 있다.
반응 스텝에 있어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에러나 반응 스피드가 늦는 에러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 원인으로는 히터(15)나 자외선광선(7 및 9)의 열화나 고장에 의한 불량, 시약의 열화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 스텝에 있어서는 중화되지 않는 등의 에러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 원인으로는, 시약(염산)의 주입 실수 등을 들 수 있다.
측정 스텝에 있어서는 정상적인 측정치가 되지 않는 에러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 원인으로는 광원(7)이나 광검출부(8)의 열화나 고장에 의한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측정 스텝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각 스텝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에러가 원인인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측정 스텝에서는 측정 스텝 이전의 전처리 스텝 전체의 에러를 체크할 수도 있다.
폐액 스텝에 있어서는, 폐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에러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에러의 원인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폐액기구 등의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측정셀(6)에 광원(7)으로부터 광을 조사할 때에는, 측정셀(6) 내의 시약에도 광이 조사되므로, 실데이터 격납부(12b)에 있어서 격납된 실데이터에는, 시약을 투과한 광의 광검출 데이터 또는 연산데이터도 포함된다. 여기서 각각의 시약의 흡광도의 특성은 미리 알고 있으므로, 이들 실데이터를 표시한 그래프로부터 시약의 종류나 양 등까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11)는, 기준 데이터 격납부(12a)에 격납된 기준 데이터 및 실데이터 격납부(12b)에 격납된 실데이터를,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예를 들면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에 보존하여, 이 보존 데이터를 유저 또는 관리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확인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수질분석장치(1)를 사용한 에러 원인의 특정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도 3 및 도 4는, 표시부(13)가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연산데이터의 그래프이며, 가로축에 시간(sec), 세로축에 광검출부(8)에서 수광한 광량을 나타낸다. 또한, 도 3, 도 4 모두 기준데이터와 실데이터를 동일 그래프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샘플액 주입 스텝에서 측정 스텝까지의 기준 데이터를 나타낸 파형(A)과 실데이터를 나타낸 파형(B)을 겹쳐서 표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파형(A)와 파형(B)를 비교하면, 원으로 에워싼 부분(r1)에 있어서 에러 발생시의 파형(B)는, 정상시의 파형(A)으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다. 이것은 pH 조정 스텝에 있어서, 용액 중에 시약으로서 포함되는 펠옥소2황산칼륨의 양이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pH 조정 스텝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측정셀(6) 내에 염산이 주입되지 않고 용액이 중화되어 있지 않는 에러의 원인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시약 주입 스텝에서 pH 조정 스텝까지의 기준데이터의 파형(A), 및, 실데이터의 파형(C), 파형(D), 파형(E)를 겹쳐서 표시한 것이다.
실데이터가 파형(C)인 경우에는, 파형(A)와 파형(C)을 비교하면,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 파형(C)은 파형(A)에 비하여 흡광도가 작고, 반응 스텝(자외선 광원의 점등시)에 있어서, 파형(C)은 파형(A)의 직선부분의 연장선상에 있는 점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이것으로부터, 파형(C)의 실데이터에서는,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 샘플액에 시약인 펠옥소2황산칼륨이 주입되어 있지 않거나, 이 시약이 전혀 기능하고 있지 않을(예를 들면 순수(純水)가 주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에러 원인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데이터가 파형(D)인 경우에는, 파형(A)과 파형(D)를 비교하면,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 파형(D)는 파형(A)에 비하여 흡광도가 작으며 반응 스텝에 있어서, 광량의 상승속도(일어남)의 경사각도가 파형(A)보다도 가파르게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파형(D)의 데이터에서는,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 샘플액에 주입한 펠옥소2황산칼륨이 열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에러 원인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데이터가 파형(E)인 경우에는, 파형(A)와 파형(E)을 비교하면, 시약 주입 스텝에 있어서, 파형(E)는 파형(A)와 마찬가지로 흡광도가 커져 있지만, 반응 스텝에 있어서, 파형(A)에 비해서 파형(E)는 광량의 상승속도(일어남)의 경사각도가 파형(A)보다도 완만하게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반응 스텝에 있어서 셀에 조사되는 자외선 광원(9)이 열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에러 원인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수질분석장치(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지닌다.
샘플액 주입 스텝에서 폐액 스텝까지, 측정셀(6)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진 광검출 데이터 또는 연산 데이터를 데이터 격납부(12)에 격납하므로, 이 격납된 데이터를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등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상기 모든 스텝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에러 발생공정이나 에러 원인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측정셀(6)에 있어서, 샘플액 주입 스텝에서 측정 스텝까지 행하므로, 스텝의 도중에 셀을 교환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간편한 장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pH 조정 스텝 및 폐액스텝에 있어서, 측정 스텝에서 사용되는 광원(7)으로부터 측정셀(6)에 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별도 광원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장치구성을 더욱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스텝에 있어서 광검출 데이터 또는 연산 데이터를 격납하고 있지만, 특정 스텝에 있어서만, 광검출 데이터 또는 연산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스텝에 있어서 동일한 광원을 사용하고 있지만, 측정 스텝에서 셀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샘플액 주입 스텝, 시약 주입 스텝, 반응 스텝, pH 조정 스텝 및 폐액 스텝에 있어서 측정셀(6)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는 별도의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그 취지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수질분석장치 6 : 셀(측정셀)
8 : 광검출부

Claims (3)

  1. 셀에 샘플액을 주입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과, 상기 셀에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샘플액 및 상기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반응 스텝을 거친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성분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한 수질분석장치로서,
    상기 샘플액 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상기 반응 스텝 및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상기 셀로부터 나온 광을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그 광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광검출 데이터 또는 해당 광검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된 연산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스텝은, 샘플액에 광을 조사하여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 성분을 측정하며,
    상기 샘플액 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및 상기 반응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조사하는 광과,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샘플액에 조사하는 광이 동일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장치.
  3. 셀에 샘플액을 주입하는 샘플액 주입 스텝과, 상기 셀에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샘플액 및 상기 시약을 반응시키는 반응 스텝과, 상기 셀 내에서 상기 반응 스텝을 거친 상기 샘플액에 포함되는 소정의 측정대상성분을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샘플액 주입 스텝, 상기 시약 주입 스텝, 상기 반응 스텝 및 상기 측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셀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상기 셀로부터 나온 광을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광검출 데이터 또는 해당 광검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산된 연산 데이터를 데이터 격납부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방법.
KR1020140084803A 2013-07-29 2014-07-07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 KR102274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7069 2013-07-29
JP2013157069A JP6174411B2 (ja) 2013-07-29 2013-07-29 水質分析装置及び水質分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365A true KR20150014365A (ko) 2015-02-06
KR102274874B1 KR102274874B1 (ko) 2021-07-08

Family

ID=5249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03A KR102274874B1 (ko) 2013-07-29 2014-07-07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74411B2 (ko)
KR (1) KR102274874B1 (ko)
CN (2) CN104345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386B1 (ko) * 2021-06-16 2022-10-27 주식회사 테크로스 스마트십 대응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20230067285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테크로스 전기분해용 전극 상태 판단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9608A1 (de) * 2015-11-13 2017-05-18 Endress+Hauser Conducta Gmbh+Co. Kg Automatisches Analysegerät und Verfahren
JP6665751B2 (ja) * 2016-10-05 2020-03-1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水質分析計
CN112557307B (zh) * 2020-12-09 2022-09-27 武汉新烽光电股份有限公司 天空地一体化湖库水质监测融合数据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216A (ja) 1996-11-09 1998-05-29 Horiba Ltd 全窒素測定装置
KR19980025531A (ko) * 1996-10-02 1998-07-15 이승배 반구면경식 비열용량 측정법
KR20110037469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pH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 측정방법
KR20110102866A (ko) * 2008-12-25 2011-09-19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분광측정장치, 분광측정방법 및 분광측정 프로그램
KR20130076796A (ko) * 2010-06-04 2013-07-08 토루 오바타 겔 입자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43B2 (ja) * 1985-03-25 1994-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分析装置
JP2953904B2 (ja) * 1993-04-02 1999-09-27 オルガノ株式会社 水中のシリカ成分の分析装置
JPH0743306A (ja) * 1993-07-24 1995-02-14 Horiba Ltd シリカ分析装置およびシリカ分析方法
JPH07243964A (ja) * 1994-03-07 1995-09-19 Doriko Kk 水質測定装置及び水質測定方法、並びに排水処理方法
JP3168125B2 (ja) * 1994-09-10 2001-05-21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試薬注入装置と試薬注入方法
JPH1090275A (ja) * 1996-09-12 1998-04-10 Hitachi Ltd 自動化学分析装置
JP2000275252A (ja) * 1999-03-26 2000-10-06 Olympus Optical Co Ltd 分析装置の分析過程確認方法、および自動分析装置
JP2001106703A (ja) * 1999-10-06 2001-04-17 Mitsubishi Rayon Co Ltd 品質予測反応制御システム
JP2002107353A (ja) * 2000-09-29 2002-04-10 Shimadzu Corp 水質分析装置
JP4006203B2 (ja) * 2001-08-21 2007-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分析装置及び化学分析方法の精度管理方法
JP4201118B2 (ja) * 2001-10-19 2008-12-24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光分析用セルとこのセルを用いた光分析装置及び光分析方法
JP4287753B2 (ja) * 2004-01-19 2009-07-0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分析装置
CN101151521A (zh) * 2005-03-29 2008-03-26 希森美康株式会社 试样分析方法及试样分析装置
JP2007292495A (ja) * 2006-04-21 2007-11-08 Olympus Corp 分析装置、分析方法および分析プログラム
JP4654256B2 (ja) * 2008-02-28 2011-03-1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
WO2009116633A1 (ja) * 2008-03-19 2009-09-24 Obata Toru ゲル粒子測定装置
JP2010008402A (ja) * 2008-05-30 2010-01-14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反応過程データの異常判定支援方法及び自動分析装置
JP5414286B2 (ja) * 2009-01-16 2014-02-12 株式会社東芝 自動分析装置
CN101865833A (zh) * 2009-11-24 2010-10-20 宇星科技发展(深圳)有限公司 一种水质总磷总氮在线监测方法及监测系统
JP5599219B2 (ja) * 2010-04-20 2014-10-0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及び自動分析方法
EP2594944B1 (en) * 2010-07-14 2020-06-0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ic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806884B2 (ja) * 2010-09-24 2015-11-1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全血免疫測定装置及び全血免疫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31A (ko) * 1996-10-02 1998-07-15 이승배 반구면경식 비열용량 측정법
JPH10142216A (ja) 1996-11-09 1998-05-29 Horiba Ltd 全窒素測定装置
KR20110102866A (ko) * 2008-12-25 2011-09-19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분광측정장치, 분광측정방법 및 분광측정 프로그램
KR20110037469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pH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 측정방법
KR20130076796A (ko) * 2010-06-04 2013-07-08 토루 오바타 겔 입자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386B1 (ko) * 2021-06-16 2022-10-27 주식회사 테크로스 스마트십 대응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20230067285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테크로스 전기분해용 전극 상태 판단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74B1 (ko) 2021-07-08
JP6174411B2 (ja) 2017-08-02
CN104345033A (zh) 2015-02-11
CN113390808A (zh) 2021-09-14
CN113390808B (zh) 2024-04-26
JP2015025792A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3494B2 (en) Measuring device
JP6116117B2 (ja) 水分濃度測定装置の校正方法及び校正装置
KR20150014365A (ko) 수질분석장치 및 수질분석방법
JP5229806B2 (ja) 水中における二酸化炭素濃度の測定装置及び方法
JPH04259847A (ja) 光学分析装置及びその校正方法
CN102809544B (zh) 总铅在线自动监测仪
CN105716680B (zh) 用于确定表示液体量的值的设备以及其应用
US20120022794A1 (en) Turbidity Measuring Device
CN109827902A (zh) 水质检测设备及其水质检测方法、装置
EP3969897B1 (en) Ultra low range chlorine measurement
US20190242864A1 (en) Water quality sensing
JP6665751B2 (ja) 水質分析計
KR102209901B1 (ko) 액체 분석 장치
US10345321B2 (en) Automatic analyzer and method
KR20180048644A (ko) 액체 매질 중의 물질 농도 또는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07225B2 (en) Method for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chlorate-ions in an aqueous solu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chlorate-ions and control unit
US20210372924A1 (en) Zinc measurement
CN208607147U (zh) 一种碳硫分析仪红外光自动检测装置
US10514369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easured value of a measurand in process automation technology and its method of use
JP2012150076A (ja) 分子間相互作用の測定システム、分子間相互作用の測定プログラム、及び、分子間相互作用の測定方法
JP2011117747A (ja) シリカ濃度測定装置及びシリカ濃度測定方法
CN105223149A (zh) 测量系统及其光学元件
JP2006162385A (ja) オゾン水中のオゾン濃度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