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916A -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916A
KR20150007916A KR1020137003496A KR20137003496A KR20150007916A KR 20150007916 A KR20150007916 A KR 20150007916A KR 1020137003496 A KR1020137003496 A KR 1020137003496A KR 20137003496 A KR20137003496 A KR 20137003496A KR 20150007916 A KR20150007916 A KR 2015000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permeable
resin
powd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조 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신 에므에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신 에므에르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신 에므에르피
Publication of KR2015000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59Organic ingredients with special effects, e.g. oil- or water-repellent, antimicrobial, flame-resistant, magnetic, bactericidal, odour-influencing agents; 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1Organic fillers or organic fibrous fillers, e.g. ground leather waste, wood bark, cork powder, vegetable flour; Other 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Post-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3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e.g. metals, carbon fibres, Na2CO3, metal layers; Post-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8Polymeric granules, particles or powder, e.g. core-shell particles,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2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3/00Macromolecular materials of the coating layers
    • D06N2203/02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N2203/024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N2203/026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0Particulate form, e.g. powder, granu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therm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2Permeability or impermeability properties
    • D06N2209/121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14Furniture,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투습성 기재의 층과, 상기 투습성 기재의 층의 적어도 일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의 층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고,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고,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에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며,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양은 20 내지 80 질량%이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80 내지 2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온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은 상기 다층시트를 구성 요건의 모두 또는 일부로 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침구이다.

Description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Multi-layered sheet, thermal structure comprising it, and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ed sheet}
본 발명은 흡습에 의한 발열성을 이용한 보온성이 뛰어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다층 시트를 구성 요건의 모두 또는 일부로 포함하는 침구나 방한 옷 등의 보온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구에 있는 에너지 자원을 소중히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 소비가 없거나 에너지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보온 또는 가온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 대해, 취침에 앞서 또는 취침 시에 실내를 가온하는 것이 아니라, 침구에 의해 충분한 따뜻함을 얻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보온에 유효하다라고 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그 금속의 보온 성능을 적용한 구조물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신축성 및 흡,투습성의 기재(구체적으로는, 편물, 직포, 부직포, 종이 또는 플라스틱 시트), 그 기재의 한 면에 도포된 알루미늄 분말 또는 미세 알루미늄 박편이 분산된 수지의 층 및 해당 수지의 층의 표면을 가리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부터 이루어지는 보온용 시트상 구조물이 개시되고 있다. 이 보온용 시트상 구조물은 몸에 붙여 사용하거나 의류에 형성된 보존공간에 넣는 것으로 적용되며, 이 구조물은 세탁이 예정되지는 않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박막층 및 착색재 함유층을 가지는 금속 함유 직포이며, 금속 박막층 및 색재함유층은 직포 표면을 구성하는 실조부에 형성되고, 한편 125 Pa에서의 공기 투과율이 0. 5cc/cm2/sec 이상인 금속 함유 직포이 개시되고 있다.
이 직포의 특징은 열적 특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디자인, 유연성 및 환기성에도 뛰어난 점에 있다. 그러나, 이 직포이 세탁되면, 알루미늄은 수산화 알루미늄으로서 바뀌어 버린다.
금속의 보온 성능 대신, 흡습 발열의 원리를 응용한 가온도 공지된 사실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및 4에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던 폴리카르복시산처리 셀룰로오스 섬유가 흡습 발열성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에 부착된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은 세탁에 의해 녹아 버린다. 즉, 내세탁성이 부족하다. 또한, 내세탁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가열 처리, 소핑(soaping) 처리(특허 문헌 3), 양생(curing) 처리, 산처리(특허 문헌 4) 등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라고 해도 충분한 내세탁성이 부여된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허 문헌 3에는 미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발열량은 인체가 착용시의 따뜻함을 느끼기에는 불충분하고, 이것이 무명 제품 착용시에 차갑게 느끼는 원인이 되고 있다라는 기재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도 셀룰로오스 섬유는 양모와 같이 보온성이 우수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닿으면 차갑게 느끼는 것이 결점인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옷감의 이면에 흡방출성 등을 가지는 물질을 입자상 첨가물로서 포함한 방풍 방수성 수지를 코팅한 겉옷(외의, 外衣)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입자상 첨가물의 예로서는, 콜라겐 섬유, 해면(sea sponge), 키틴(chitin), 셀룰로오스, 젤라틴, 양모 및 비단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7에는 수지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적어도 깃털의 미세 분말을 5 내지 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발수 처리 조성물의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8에는 셀룰로오스 분말, 코르크 분말, 목분 등의 유기 충전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 표면층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9에는 마이크로 캡슐 내에 축열성 물질이 내포된 축열성 캡슐을 수지 바인더로 섬유 구조물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성 섬유 구조물의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9에는 상기 축열성 섬유 구조물에는 흡,방습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콜라겐 분말, 실크 분말, 양모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키틴(chitin) 분말, 대두(soy) 분말 등의 천연 유기물 미분말이 배합될 수 있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다.
특허 문헌 10에는 실크 피브로인을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저분자 폴리펩티드 수용액과, 120 ℃ 이하에서 경화되는 수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재료용 코팅 조성물의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10의 상기 조성물은 알루미늄 단독 또는 복합물, 또는 산화물 등의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가 혼입되어 있을 수 있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다.
: 특개평6-3570 : 특개2005-169970 : 특개2000-256962 : 특개2004-36025 : 특개2010-31434 : 특개평6-123002 : 특개2001-3268 : 특개평8-84653 : WO2001/092010 : 특개평10-212456
에너지의 절약을 위해, 충분한 따뜻함을 제공하는 침구 등에 대한 욕구가 있다. 여기서, 고요한 환경에서의 취침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금속박(metal foil)을 포함하는 제품은 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금속박이 서로 스칠 때의 소리가 취침의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시트나 모포 등의 침구는 반복 세탁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탁에 의해 알루미늄이 물에 녹아 내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처리된 섬유의 사용도 내세탁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체적으로는 흡습 발열성을 나타내는 분립체를 사용한, 뛰어난 보온성을 나타내는 다층 시트 및 그 시트와 시트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의 제조 방법 면에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과는 다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옷감이나 폴리머 필름 등의 투습성 기재의 적어도 일 표면상에, 특정의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함유하는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립체의 흡습 발열 특성에 의거하여 뛰어난 보온성이 발현된다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투습성 기재의 층과, 상기 투습성 기재의 층의 적어도 일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의 층의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투습성 기재에 접착되는 수지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고,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며,
상기 투습성 수지 전체량에 있어서,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양은 20 내지 80 질량%이고,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80 내지 2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대해서는, 투습성 수지의 층은 투습성 기재의 층의 일 표면 상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5 내지 100 g/m2여도 괜찮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특히 펄프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것도 바람직하다.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습성 수지는 아크릴계 모노머(즉, 아크릴계 수지의 전구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 하는 아크릴계 바인더에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가 첨가되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에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가 첨가되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투습성 기재의 층 및 투습성 수지의 층에 더하여, 투습성 수지의 층의 일 표면 또는 양면 모두의 표면상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존재하는 것, 또는,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90% RH)는 4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은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 특히 방수·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가 투습성 수지의 층의 일 표면 또는 양면 모두의 표면상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을 가지는 것인 경우에는, 일면 또는 양면 모두의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외측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을 통해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투습성 수지가 더욱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의 양은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에 있어서 40 질량% 이하인 모양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분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세탁시에 있어서 알루미늄 분말의 용해를 막기 위해서, 알루미늄 분말 함유 투습성 수지의 층의 양측으로 방수·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루미늄 분말 함유 투습성 수지의 층과 방수·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알루미늄 분말 함유 투습성 수지의 층과 방수·투습성 폴리머 필름(I)과의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은 상기 몇 개의 모양의 다층 시트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용 구조물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습성 기재로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그러한 수지의 전구체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10 내지 200 g/m2의 양으로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그러한 수지의 전구체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투습성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형성된 투습성 수지는 그 전체량 중,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를 20 내지 80 질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80 내지 20 질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은 기계적 코팅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도포량은 10 내지 50 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습 발열성 분립체에 의해 흡습 발열 효과가 발현되기 위하여 충분한 따뜻함을 나타내는 다층 시트와, 상기 다층 시트를 구성 요건의 모두 또는 일부로 하는 침구 등의 보온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및 보온용 구조물은 내세탁성이 뛰어나므로 종래의 침구 등과 같은 제품 수명이 실현된다.
투습성 수지에 알루미늄 분말도 함유시키면, 더욱 보온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투습성 기재가 레이즈드(raised) 편물을 포함한 경우에도 보온 성능이 높아진다. 레이즈드(raised) 편물이 마이크로 섬유 제품이면 한층 더 보온 성능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 있어서, 투습성 기재의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상에 함유되고 있는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서는 깃털 이불(comforter)이나 양모 이불(comforter)과 같은 따뜻함이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원 절약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분말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와 블랭크(Blank)와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와 블랭크(Blank)와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을 사용해 취침했을 경우의 침구 온도의 측정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과 블랭크(Blank)의 보온용 구조물을 사용해 취침한 경우의 침구와 사람 사이의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와 블랭크(Blank)와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와 블랭크(Blank)와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양모 가수분해물 분말 및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분말의 흡습 발열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와 블랭크(Blank)와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과 블랭크(Blank)의 보온용 구조물을 사용해 취침한 경우의 침구와 사람 사이의 온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교예의 다층 시트(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사용한 경우)와 블랭크(Blank)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 사용)와 비교예의 다층시트(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양모의 분말을 사용)의 흡습 발열의 측정 결과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100은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상기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일 표면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갖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200은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상기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양쪽 모두의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 3 x, 3 y를 갖춘다. 투습성 수지의 층 3, 3 x, 3 y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31로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33을 포함한다. 다층 시트 100 및 200에서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으로 투습성 수지의 층 3, 3 x, 3 y와의 경계가 일직선으로 그려져 있지만, 그 경계는 애매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달리 말하면,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31로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분말 33을 포함한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외측(즉, 도 1 및 2에 있어서의 투습성 수지의 층 3, 3 x, 3 y)뿐만 아니라,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내부에도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후술하듯이, 투습성 기재가 편물이나 직포인 경우에는, 투습성 수지의 층 3, 3 x, 3 y가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표면상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투습성 기재의 층 1 내부에서 만나며, 그 표면 근방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전체에도 투습성 수지의 층 3, 3 x, 3 y의 형성 시에 해당기재 내로 비집고 들어간 투습성 수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양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300은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그 일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 3과,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를 갖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400은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그 양쪽 모두의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 3 x, 3 y와, 투습성 수지의 층 3 x의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를 갖춘다. 다층 시트 400은 2개의 투습성 수지의 층 3 x, 3 y를 가지지만, 그 중 하나인 3 x만이 그 표면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로 덮여 있는 예이다. 덧붙여, 이러한 예에 있어서의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 대신에,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배치되고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500은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그 일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 3과,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와,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의 외측에 존재하는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를 개입시켜 접착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7 a를 갖춘다.
다층시트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다른 표면상에도 다른 투습성 수지의 층을 갖추고 있는 것도 포함한다. 그 경우, 한편의 투습성 수지의 층의 표면상에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으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외측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을 개입시켜 접착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존재하고 있어도 괜찮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더욱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600에 있어서, 투습성 기재의 층 1은 외측에 배치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1 a, 안쪽에 배치된 투습성 폴리머 필름(II) 1 b, 이것들을 접착하는 투습성 접착제의 층 1 c를 포함한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I) 1 b의 표면상에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31,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33및 알루미늄 분말 35를 포함하는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형성될 수 있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표면상에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가 존재한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 대신에,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배치되고 있어도 괜찮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의 외측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을 개입시켜 접착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를 갖추고 있어도 괜찮다. 또한,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다른 표면상, 즉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1 a의 다른 표면상에도, 다른 투습성 수지의 층을 갖추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한편의 투습성 수지의 층의 표면상은 투습성 폴리머 필름(I)으로 덮여 있어도,
나아가, 상기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외측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을 개입시켜 접착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가 존재하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은 예를 들면, 모포, 시트, 부패드, 무릎 덮개 및 옷감, 이불(comforter) 커버 등의 침구로서, 또는 판초 등의 방한 의료로서, 또는 방재용 시트나 침낭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상기 보온용 구조물의 재료로서 상기 보온용 구조물의 구성 요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각층을 구성하는 재료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대해 사용되고 있는 용어 「필름」은 본 기술 분야에 있어 이용되고 있는 용어 「시트」라고 치환 가능하다.
투습성 기재의 층 1을 구성하는 투습성 기재는 습분, 즉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재료, 구체적으로는 편물, 직포, 투습성 부직포, 투습성 폴리머 필름(이하,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등으로 구성된다. 편물 및 직포는 높은 환기성을 나타내지만, 환기성이 높은 경우에는 동시에 투습성에도 뛰어나다. 따라서, 편물 및 직포에 대해서, 특히 「투습성」이라고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당연하게 투습성이며, 게다가 그 습분을 투과 키는 정도는 높다.
편물이나 직포를 구성하는 실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 섬유이든지, 반 합성 섬유여도, 합성 섬유여도 괜찮다. 따뜻함의 관점으로부터는, 마이크로 섬유를 사용한 레이즈드(raised) 편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습성 부직포도 투습성의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펀본드(spun-bonded) 부직포, 서멀본드(thermal bonded) 부직포, 멜트브라운(melt brown) 부직포, 스펀 레이스(spun-lace) 옷감, 스펀 니들(spun-niddle) 부직포라도 좋다. 또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도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I)도 투습성의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머 필름의 주된 재료인 폴리머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 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덧붙여 폴리머 필름에는 가소제, 열안정제, 착색재,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등의 이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괜찮다.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 필름은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투습성이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한편 높은 투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또한, 방수성과 투습성의 양자를 겸비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의 주 재료인 폴리머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 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이다. 또한, 소프트·세그먼트(segment)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부분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폴리우레탄 분자 중의 폴리옥시에틸렌 부분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폴리머 필름의 투습도가 높아지므로, 소망한 투습도가 발현되도록 폴리우레탄 분자의 화학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러한 성질이 발현되도록 폴리우레탄 분자의 화학 구조를 설계하면 좋다.
투습성 기재의 층 1은 단층이어도 복층이어도 괜찮다. 복층의 경우, 그 구성의 예로서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1 a, 투습성 폴리머 필름(II) 1 b, 이들을 접착하는 투습성 접착제의 층 1 c로부터 이루어지는 모양을 들 수 있다. 편물, 직포, 투습성 부직포 및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의 재질등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대로이다.
투습성 접착제의 층 1 c를 구성하는 접착제는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와,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을 접착하는 것이고, 형성되는 접착제의 층 1 c가 투습성이 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매 타입에 있어서, 에멀젼 타입, 핫멜트타입,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 타입, 2액의 반응 경화 타입, 자기 가교 타입이라도 좋다. 덧붙여 접착제의 주성분인 폴리머의 층,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인 모노머가 중합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의 층은 특별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투습성이다.
투습성 기재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400 g/m2/24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7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성 기재가 투습성 부직포를 포함한 경우에는 투습성 기재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의 상한은 5,000 g/m2/24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 g/m2/24시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습성 기재가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을)를 포함한 경우에는 투습성 기재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의 상한은 2,000 g/m2/24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g/m2/24시간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투습성 기재의 두께는 단층의 경우, 편물은 100 내지 400 g/m2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 내지 25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직포나 부직포에서는 그 두께가 100 내지 300 g/m2인 것이,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0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의 경우에는 그 두께는 10 내지 100μm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5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복층의 경우에 있어서, 각층은 통상은 단층인 경우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투습성 접착제의 층 1 c의 두께는 기계적 코팅의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량으로 10 내지 5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3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은 접착제 또는 바인더가 경화나 세팅해 형성된 층이다.
그러므로, 이는 접착제 또는 바인더로부터 유래하고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인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포함한다. 접착제나 바인더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층 5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에도 접착하며, 형성되는 수지층은 투습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제나 바인더의 주성분인 폴리머의 층, 또는 접착제나 바인더의 주성분인 모노머가 중합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의 층은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투습성이다. 접착제 또는 바인더는 용매타입, 에멀젼·타입, 핫·멜트타입,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 타입, 2액의 반응 경화 타입, 자기 가교 타입으로도 좋다. 2액의 반응 경화 타입의 경우, 통상은 상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와 한편의 물약을 혼합하고, 그 다음에 또 한편의 물약을 혼합한다.
여기서, 「경화」란 용매 타입이나 에멀젼·타입의 접착제의 경우, 용매(수계의 것을 포함한다)가 증발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의 고형분인 폴리머가 굳어지는 것을,
핫·멜트타입의 접착제의 경우, 온도의 저하에 의해 접착제의 성분이 굳어지는 것을,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 타입의 경우, 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의 성분(수지 또는 폴리머의 전구체인 모노머)가 반응해 경화하는 것을,
2액의 반응 경화 타입의 경우, 2 종류의 물약 각각의 성분끼리가 반응해 경화하는 것을 말한다.
투습성 수지를 구성하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우레탄계, 비닐아세테이트계, 전분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수지를 들 수가 있다. 이 중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를 제공하는 접착제로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접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용매타입, 1액타입, 에멀젼·타입)과, 아크릴계 수지의 전구체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에멀젼·타입이나 수용액, 용매 타입)이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자외선이나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자기 가교에 의해(이상, 1액타입), 또는 성분끼리의 반응에 의해(2액타입) 모노머들이 중합됨으로써 아크릴산계의 폴리머 또는 수지가 된다. 또한, 투습성 수지는 그 주성분인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성질로서, 또는 부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가소제 등의 성질에 의거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 수지를 구성하는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이란, 다음과 같다:
(1) 비수용성: 통상, 그 성질이 물에 불용이라고 되고 있는 것. 물에 녹지 않거나, 지극히 녹기 어려운 경우도 포함한다.
(2) 흡습 발열성: 수증기를 흡수할 수가 있어 그 결과적으로 발열 성질.
(3) 분립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립체」의 정의에는 과립이나 세립 등의 입체와, 결점 분체, 미분체, 초미분체, 및 통상은 분말이라고 호칭되는 분체가 포함된다.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제성의 관점으로부터 분말이 바람직하다.
(4)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상기 (1) 내지 (3)을 충족하는 물질의 주성분인 화학 조성의 예로서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5)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상기 (1) 내지(3)을 충족하는 물질의 주성분인 화학 조성의 예로서 케라틴, 피브로인, 콜라겐 등의 경단백질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물」의 의미 및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의 일례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이다. 원료 셀룰로오스에 미네랄을 접촉시키면, 글루코시드 결합의 일부가 가수분해된다. 가수분해 후, 글루코오스의 중합도, 즉 평균 분자량은 가수분해전의 것과 비교해 더 작아진다. 또한, 가수분해에 의해, 중량당의 작용기(구체적으로는 OH기)의 수가 늘어난다. 덧붙여 셀룰로오스 수용성 가수분해물은 투습성 수지를 구성하는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은 아니다.
원료 셀룰로오스로서는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린트(lint), 린터(linter), 폭쇄펄프(explosion pulp), 탈묵펄프(deinked pulp), 재생펄프, 미생물이 생산하는 셀룰로오스, 무명의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목분, 코코넛 허스크(coconut husk) 등의 리그노 셀룰로오스류, 레이온(rayon), 큐브라(cupra), 리오셀(lyocell),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펄프 셀룰로오스, 그 중에서 목재 펄프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며, 이를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린트(lint)나 린터(linter)를 가수분해해 제조되었다
면 유래의 셀룰로오스 분말을 사용해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분말로서 겉보기 비중이 0.08 내지 0. 36 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9 내지 0. 30 g/cm3인 것도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은 10 내지 6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5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2 내지 45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에 대해, 「동물」에는, 포유류 뿐만 아니라, 조류도 포함된다.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재료의 예로서는 양모, 캐시미어, 모헤어(mohair)등의 짐승의 털, 거위나 집오리 등의 물새의 깃털, 비단실, 콜라겐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짐승의 털은 그 주성분이 케라틴 단백질이며, 비단실의 주성분은 피브로인 단백질이다. 짐승의 털은 탈지화와 활성탄소처리가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짐승의 털이 라놀린(lanolin) 등의 유지분에 덮여 있으면,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에 의해 짐승의 털이 접착되기 어려워지거나, 흡습 발열 성능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단백질성 재료의 가수분해물의 분말은 재료인 짐승의 털, 깃털,실, 섬유 등을 가수분해 처리 및 기계적 처리(분급 및/또는 분쇄)하여 생산된다. 가수분해에 의해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고, 또한, 중량당의 작용기(구체적으로는 COOH기와 NH2기)의 수가 늘어난다. 나아가, 단백질성 재료의 수용성 가수분해물은 투습성 수지를 구성하는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가 아니고,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이 아니다.
또한,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은 10 내지 6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겉보기 비중은 0.2 내지 0.7g /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0. 3 내지 0.5g/cm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이나, 짐승의 털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작게 분쇄한 다음, 그것을 조립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과립화나 세립화한 것도 본 발명에 대해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투습성 수지는 게다가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투습성 수지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의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와,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면 이러한 상승효과에 의해 보온 성능이 높아진다.
알루미늄 분말에는 원자화가루(atomize powder), 건식 분쇄가루(조각가루) 및 습식 분쇄가루(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알루미늄가루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알루미늄 분말을 취급하는데 있어서의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은 10 내지 15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에 있어서,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양은 20 내지 8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질량%이며,
식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이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80 내지 20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5 질량%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 질량%이다.
여기서, 「투습성 수지 전체량」이란, 예를 들면 용매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했을 경우, 그 고형분에서 얻어지는 수지의 양을 의미한다. 용매의 양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을 병용하는 경우, 그 양은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에 있어서 4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식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이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 이외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 분말 등의 고형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투습성 수지 전체량 중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양은 20 내지 8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질량%이다.
상기의 양으로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고형 성분이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에 의해 제대로 고정되는 한편, 투습성 기재와 투습성 수지 중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로 접착된다(후기하듯이, 투습성 수지의 투습성 기재와는 마주보지 않는 면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 등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 등과 투습성 기재에 접착한다.).
또한, 이러한 양으로 식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이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사용 것에 의해, 충분한 흡습 발열 효과가 발휘된다.
투습성 수지중에 포함되는 식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인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 1 m2 당의 양으로 가리켰을 경우(투습성 수지의 층이 양쪽 모두의 표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2층의 합계로), 5 내지 100 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g, 5 내지 50 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 내지 50 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 등의 식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인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 이외의 분말 등도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병용되는 분말 등의 양과의 합계로, 5 내지 10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g/m2, 5 내지 50 g/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 내지 50 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로,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의 양은, 5 내지 30 g/m2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5 g/m2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 내지 25 g/m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의 양은 5 내지 7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 g/m2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 내지 50 g/m2로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분말의 양은 3 내지 30 g/m2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5 g/m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 있어서, 투습성 수지의 층 3은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적어도 일 표면상에 형성되고 있지만,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표면상 이외에도, 투습성 기재의 층 1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투습성 기재가 편물이나 직포인 경우, 그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도포하면, 도포된 조성물의 일부는 편물이나 직포의 내부에 침투한다.
따라서, 건조 등의 수단에 의해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형성한 후에는, 편물이나 직포의 내부나 표면 근방에, 도포 시에 침투한 조성물로부터의 투습성 수지가 존재한다.
또한, 투습성 수지용의 조성물에 편물이나 직포를 침지한 후, 해당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등의 수단으로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편물이나 직포의 표면상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까지 침투한 투습성 수지가 존재한다.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이러한 관계에 있는 형태도,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 포함된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표면상에 있어서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계적 코팅의 경우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도포량으로, 10 내지 6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내지 40 g/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손으로 칠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코팅과 같이 얇게 코팅하지 못하기 때문에, 100 내지 200 g/m2정도의 도포량이 된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일 표면을 가리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는 투습성의 폴리머 필름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습성 폴리머·필름(I)의 주된 재료인 폴리머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 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머 필름에는 가소제, 열안정제, 착색재,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등의 이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괜찮다.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 필름은, 특수한 물건을 제외해, 통상적으로 투습성이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높은 투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또한, 방수성과 투습성의 양자를 겸비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주된 재료인 폴리머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에서도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소프트·세그먼트(segment)로서 폴리(하이드록시에틸렌) 부분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폴리우레탄 분자 중의 폴리(하이드록시에틸렌) 부분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폴리머 필름의 투습도가 높아지므로, 소망한 투습도가 발현되도록, 폴리우레탄 분자의 화학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러한 성질이 발현되게, 폴리우레탄 분자의 화학 구조를 설계하면 좋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는 400 g/m2/24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7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8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5,000 g/m2/24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g/m2/24시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두께는 투습성과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10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50 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습도는 높아지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부족하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 있어서,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일 표면을 가리기 위해, 상기 투습성 폴리머 필름(I) 대신에,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를 사용해도 괜찮다. 편물, 직포, 투습성 부직포에 대해서는, 투습성 기재에 있어서의 이러한 설명을 원용한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I) 5의 외측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를 개입시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7 a가 존재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또한,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를 구성하는 접착제는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와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을 접착할 수가 있으나, 형성되는 접착제 층이 투습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나아가, 접착제의 주성분인 폴리머의 층,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인 모노머가 중합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의 층은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투습성이다.
접착제는 용매 타입, 에멀젼·타입, 핫·멜트타입,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 타입, 2액의 반응 경화 타입, 자기 가교 타입이라도 좋다.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계적 코팅의 경우, 접착제의 도포량으로 10 내지 6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내지 40 g/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손으로 칠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코팅과 같이 얇게 코팅하지 못하기 때문에, 100 내지 200 g/m2 정도의 도포량이 된다.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대해서는 투습성 기재의 설명의 란에 기재한 설명을 원용한다.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의 층 7 a 및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의 투습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 등이 투습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7 a와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와의 복합체로서 400 g/m2/24시간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 g/m2/24시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습성 기재에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그러한 수지의 전구체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와,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10 내지 200 g/m2의 양으로 도포하는 공정과,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그러한 수지의 전구체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투습성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은 기계적 코팅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도포량이 10 내지 5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투습성 기재의 층 1과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의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포함하는 것, 또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과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형성되도록 건조하고, 모노머의 중합 등을 실시한다.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양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일 표면상에 도포한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 건조된 후 (또는 모노머가 중합된 후), 다른 편의 표면상에도 해당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로 도포하며, 그 후, 건조, 모노머의 중합 등을 실시한다.
또는, 투습성 기재를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침지하고 꺼낸 후, 건조 등을 실시한다.
(2)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을 가지는 다층 시트(투습성 기재의 층 1이 단층으로부터 되는 경우)
편물, 직포, 투습성 부직포 또는 투습성 폴리머 필름의 한 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같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포함하는 것, 또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과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것)를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 다음에, 도포된 조성물의 표면을 투습성 폴리머 필름(I)으로 덮는다. 필요에 따라, 폴리머 필름(I)의 외측으로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성물 중의 모노머를 중합시키기 위한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한다.
(3) 투습성 수지의 층 3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을 가지는 다층 시트(투습성 기재의 층 1이 복층으로부터 되는 경우)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의 한 면상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 1 c용의 접착제를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 다음에, 도포된 접착제의 표면을 투습성 폴리머·필름(II)으로 덮는다. 필요에 따라, 폴리머 필름(II)의 외측으로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접착제 중의 모노머를 중합시키고. 이와 같이 수행하여 투습성 기재를 제조한다.
투습성 기재의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의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의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포함하는 것, 또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등과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것)를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 다음에, 적용된 조성물의 표면을 투습성 폴리머 필름(I)으로 가린다. 필요에 따라, 폴리머 필름(I)의 외측으로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중의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또한,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한 면상에 도포할 수 있고, 도포된 조성물의 표면이 투습성 기재로 덮혀질 수도 있다. 이때, 투습성 기재 중의 투습성 폴리머 필름(II)은 도포된 조성물을 마주본다.
(4)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외측으로 투습성 접착제의 층7 b를 더욱 개입시켜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7 a가 존재하는 경우
(2) 또는 (3)에 기재한 방법으로, 투습성 기재, 투습성 수지 및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복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복합체의 투습성 폴리머·필름(I)의 표면상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 7 b용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 다음에, 도포된 접착제의 표면을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7 a로 가린다.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7 a의 한 면상에 투습성 접착제의 층 7b용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포된 접착제의 표면을 상기 복합체로 가려도 좋다.
(5)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양측으로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존재해, 투습성 수지의층 3의 양쪽 모두의 표면이,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로 덮여 있는 다층 시트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 다음에, 도포된 조성물의 표면을 편물,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로 가린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형성되도록, 건조, 모노머의 중합 등을 실시한다. 투습성 기재의 층 1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 3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 다음에, 도포한 조성물의 표면을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로 가린다. 투습성 수지의 층 3이 형성되도록, 건조, 모노머의 중합 등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은, 그 전부 또는 일부에,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인 모포, 시트, 무릎 덮개, 판초 및 방재용 시트는 그 전부가 본 발명의 다층 시트로부터 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이 매트리로 사용될 수 있는 패드인 경우에는 겉감 및/또는 안감으로서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이 이불(comforter) 커버나 침낭인 경우에는, 그 전체를 본 발명의 다층 시트로 구성해도 괜찮고, 또는, 그 일부(예를 들면, 그 형태가 주머니 모양이면, 그 1/2(한편의 면))를 본 발명의 다층 시트로 구성해도 괜찮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투습도의 측정
두께가 다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3종에 대해, 릿시법(Lyssy method)
(JIS K7129(A법))에서, 이하의 조건으로 투습도를 측정했다.
(1) 측정 기기
릿시 사 제품인 증기 투과 분석기(Vapor Permeation Tester L80-4000)
(2) 측정 조건
40 ℃, 90%RH
(3)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투습도
12 μ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 우레탄 필름 923 g/m/24 hours
15 μ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 우레탄 필름 887 g/m/24 hours
20 μ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 우레탄 필름 458 g/m/24 hours
<실시예 2>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
2 종류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에 대하여, 흡습에 의한 발열(온도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일본 제지 케미컬 사(Nippon Paper Chemical Industries Co., Ltd.) 제품인 W-100GK: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비중=0.3 ~ 0.4 g/cm3, 겉보기 비중=0.20~0.30 g/cm3, 평균 입자 지름= 약 37μm
(b) 일본 제지 케미컬 사(Nippon Paper Chemical Industries Co., Ltd.) 제품인 W-50GK: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겉보기 비중=0.15 ~ 0.20 g/cm3, 평균 입자 지름= 약 45μm
(c) 블랭크(Blank):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40 cm×40 cm
(2)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23 ℃, 90%RH
(3) 측정 방법
(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9 g를 측량하여 취한 후, 직경 100 mm의 샬레에 넣어 균등하게 나누었다.
(ii-1)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내에 온도 측정기의 측정 부위(센서)가 묻혀지도록, 온도 측정기를 고정하였다.
(ii-2) 블랭크(Blank)의 직포는 그 한 변의 길이가 1/4이 되도록 접어 구부려 그 크기가 10 cm×10 cm인 16층 구조물로 하였으며, 16층 구조물의 두께 방향의 한가운데(위로부터 8층 하부표면, 아래로부터 8층 상부 표면 사이)에 온도 측정기를 사이에 끼워넣었다.
(iii) 샬레 및 직포을 23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에 넣고 시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하였다.
(4) 결과
결과를 표 2 및 도 7에 나타낸다. 표 2 및 도 7에 나타내었듯이, 블랭크(Blank)(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만)과 비교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은 흡습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시험 개시부터 1시간 후에 대해서도 블랭크(Blank) 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3>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1)
투습성 기재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면혼방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이 아크릴계 수지, 그리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인 다층 시트를 제작해, 시간에 따라 온도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시료 1: 실시예 1로 사용한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
시료 2: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블랭크(Blank): 시료 2와 같다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인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제 W-100 GK를 혼합한 것
(c) 투습성 폴리머 필름(I)
실시예 1로 사용한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2) 다층 시트(시료 1, 2)의 제조 방법
(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1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3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것에 (i)에서 조제한 톨루엔으로 적신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더해 잘 교반하였으며, 이를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52 내지 55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48 내지 45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iii) (ii)로부터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하였다.
(iv)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v) (iv)에서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켜, 30 cm×24 cm크기로 잘라 측정용 시료로 한다.
덧붙여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시료 1, 2)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20.6 g/m2였다.
(3)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23 ℃, 90%RH
(4) 측정 방법
시료 1, 2 및 블랭크(Blank)(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만) 각각을 한 변의 길이가 1/4가 되도록 교대로 접어 구부려 그 크기가 7.5 cm×6 cm인 16층 구조물로 한다. 이 16층 구조물의 두께의 중간(위로부터 8층 하부면 한편 아래로터 8층 상부면 사이)에 온도 측정기가 이들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구조물은 23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에 들어갈 수 있고. 각 구조물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5) 결과
결과를 표 3 및 도 8에 나타낸다. 표 3 및 도 8에 나타내었듯이, 블랭크(Blank)(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인 시료 1 및 2는 흡습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시험 개시부터 1시간 후에도 블랭크(Blank)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4>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2)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하기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한 것이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인 다층 시트를 제작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 기제.
오직 기제만(블랭크(Blank))으로, 상기 기제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칼 사 제품인 W-100 GK를 혼합한 것(시료 a용의 조성물)이며,
또한, 알루미늄 페이스트인 하야시화학공업사 제품인 알루미늄 페이스트 A2를 혼합한 것(시료 b용의 조성물), 및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양자를 혼합한 것(시료 c용의 조성물)를 사용했다.
또한,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알루미늄 함유율은 75 질량%이며, 잔부는 주로 지방산(20 질량%) 및 용매(5 질량%)이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약 80μm이다.
(c) 투습성 폴리머 필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2)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조제
(a)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혼합한 것(시료 a용의 조성물)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1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3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를 톨루엔으로 적신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더해 잘 교반하여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52 내지 55 질량%의 기재에 접착한다. 수지와 48 내지 45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b)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한 것(시료 b용의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것에 알루미늄 페이스트 15 g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53 내지 56 질량%의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37 내지 34 질량%의 알루미늄 분말과, 잔부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c)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의 양자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시료 c용의 조성물)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1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3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것에 톨루엔으로 적신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알루미늄 페이스트 15 g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35 내지 38 질량%의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33 내지 32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25 내지 24 질량%의 알루미늄 분말과 잔부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3)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면혼방직 물건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한다.
(ii)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iii) (ii)에서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켜, 30 cm×24 cm크기로 잘라 측정용 시료로 한다.
또한,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시료 a, b, c)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및 알루미늄 분말의 양은 다음과 같았다.
(시료 a)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약 20.0 g/m2
(시료 b) 알루미늄 분말 약 19.5 g/m2
(시료 c)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약 18.7 g/m2+알루미늄 분말 약 18.7 g/m2
(4)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23 ℃, 90%RH
(5) 측정 방법
시료 각각을 그 한 변의 길이가 1/4가 되도록 교대로 접는다. 그 크기가 7. 5 cm×6 cm인 16층 구조물로 한다. 이 16층 구조 물건의 두께 방향의 한가운데(위로부터 8층 하부면, 아래로부터 8층상부면 사이)에 온도계를 삽입했다. 그 구조물은 23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로 들어가고, 각 구조의 온도는 시간에 따라 측정되어졌다.
(6) 결과
결과를 표 4 및 도 9에 나타낸다. 표 4 및 도 9로부터 분명히 나타나는 것처럼, 블랭크(Blank)(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가 사용된 것)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인 시료 a 및 c는 흡습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시험 개시부터 1시간 후에도 블랭크(Blank)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반사열에 의한 보온 성능이 알려져 있는 알루미늄 분말이 사용된 시료 b와 비교하면, 시료 a는 보다 단시간에 최고 온도에 도달해, 이 점에 대해서,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사용에 우위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료 c는 시료 a 및 b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5> 다층 시트의 내세탁성의 측정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이며,
투습성 수지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이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인 다층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내세탁성을 시험했다.
(1) 다층 시트의 재료
(a) 투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2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을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다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로 접착시킨 것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
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제 W-100 GK를 혼합한 것
(c) 투습성 폴리머 필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2)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의 일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를 100g/m2로 코팅하고, 코팅된 접착제의 표면을 12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i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1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30 g를 더하고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를 (ii)에서 조제된 톨루엔으로 적신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로 첨가하여 교반하였으며, 이를 투습성 수지방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iv) (iii)에서 조제된 조성물을 (i) 및 조제한 투습성 기재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표면상에 100 g/m2로 코팅한다.
(v)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vi) (v)에서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켜 측정용 시료로 한다.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10.3g/m2였다.
(3) 시험 방법
일반 재단법인 가켄 테스트 센터에서, JIS 0217 103법으로 내세탁성을 시험했다. 시험 조건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제 물흐름 비율 세탁 헹굼 (첫번째) 헹굼(두번째)
온도 시간 온도 시간 온도 시간
세탁물 합성세제 또는 천연세제
(ADEKA; Kao에서 제조)
강함 1 : 30 40 ℃ 5 분 30 ℃
이하
2 분 30 ℃
이하
2 분
(4) 결과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세탁 회수 30회 이상이라도 이탈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층시트가 내세탁성이 뛰어난 것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세탁 횟수 외관 바느질 상태 색상 고착 단위변화
(넓이)
단위변화
(길이)
10 번 좋음 좋음 5 (4-5) 1.2 % - 0.7 %
20 번 좋음 좋음 5 (4-5) 1.5 % - 0.7 %
30 번 좋음 좋음 5 (4-5) 1.5 % - 1.0 %
<실시예 6> 보온용 구조물제 침구 사용시의 온도의 측정(No. 1)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인 시트 및 이불(comforter) 커버를 제조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취침했을 경우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했다.
1. 온도 측정 시험에 제공한 침구
(1) 본 발명의 시트
(1-1) 재료
(a) 투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제 마이크로·섬유로 제조된 무톤(mouton)형 (mouton-like) 편물, 평방미터당 무게(Metsuke) = 200 g/m2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Tou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유자:65 질량%)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제 W-100 GK를 20 질량%, 알루미늄 페이스트인 하야시화학공업 사 제품 알루미늄페이스트 A2를 15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
또한,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알루미늄 함유율은 75 질량%이며, 잔부는 주로 지방산(20 질량%) 및 용매(5 질량%)이다.
나아가, 알루미늄 분말의 평균입자 지름은 약 80μm이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23.3 내지 25.5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44.8 내지 43.5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25.2 내지 24.5 질량%의 알루미늄 분말과, 잔부의 지방산이 된다.
(c) 투습성 폴리머 필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1-2) 제조 방법
(i) 무톤(mouton)형 편물의 일 표면상에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20 g/m2의 양으로 코팅한다.
(ii)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iii) (ii)에서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킨다
제조된 시트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9.8 g/m2이며, 알루미늄 분말의 양은 약 7.3 g/m2였다.
(1-3) 사용 방법
무톤(mouton)형 편물의 면이 인체 측이 되도록 본 발명의 시트로 매트리스의 표면을 가린다.
(2) 본 발명의 이불(comforter) 커버
(2-1)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시트와 폴리에스테르제 마이크로·섬유로 제조된 양털 편물(Metsuke=150 g/m2)을 봉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시트는 무톤(mouton)형 편물의 면이 외측(폴리우레탄 필름이 이불(comforter) 커버의 내면에서 만나 이불(comforter)과 마주보도록)에 배치한다.
(2-2) 사용 방법
이불(comforter) 커버에 이불(comforter)을 넣어 플리스(fleece) 편물의 면이 바깥 공기측(무톤(mouton)gud 편물의 면이 인체측으로)이 되도록, 시트 위에 이불(comforter)을 둔다.
(3) 블랭크(Blank)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제의 시트 및 이불(comforter) 커버
(4) 사용한 요(futon)
(4-1) 요(Shiki-futon)
소재: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충전제: 폴리에스테르 100%, 3 kg
(4-2) 이불(comforter)
소재: 면 100%(40×40/230개)
충전제: 다운 90% + 스몰 깃털 10%, 1.2 kg
2. 측정
(1) 침구의 사용 상황
표 7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침구를 사용해 취침하고,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했다.
블랭크
(Blank)
실험 실험

침대보
조건
피험자 아래 Futon mattress Futon mattress Futon mattress
폴리에스테르 면 혼방 시트 본 발명의 시트 본 발명의 시트
피험자 위 Comforter Comforter Comforter
폴리에스테르 면 혼방
Comforter cover
폴리에스테르 면 혼방
Comforter cover
본 발명의Comforter cover


피험자
(42 세;
남자)
체온 실험전 36.1˚ 36.1˚ 35.9˚
실험후 35.7˚ 35.9˚ 36.3˚
몸무게
실험전 56.6 kg 56.8 kg 56.0 kg
실험후 56.0 kg 56.6 kg 56.0 kg
(2) 측정 장치
쿠스모토 화학사 제품 환경 시뮬레이터
HIOK사 제품 온도 측정기 LR8500
(3) 측정시의 설정 조건
10 ℃, 50%RH. 또한 실측치는 온도는 9.9 내지 10.4 ℃, 습도는 47.1 내지 50.7 %RH였다.
(4) 측정 방법
피험자는 시트 위에 위를 향해 누워, 이불(comforter)을 덮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한다. 온도 측정기의 센서 부분(직경 2 mm의 막대 모양 부분)을 피험자의 오른쪽 엉덩이 밑에 배치해, 사람과 침구와의 사이에 있어 온도를 측정한다(도 10 참조).
(5) 결과
결과를 표 8 및 도 11에 나타낸다. 표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 구조물 제품인 침구를 사용하면, 사람과 침구 사이의 온도가 블랭크(Blank)에 비해 높아졌다. 또한, 시트와 이불(comforter) 커버의 양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보온 구조 물건을 사용(시험 2)하면 시트만의 경우(시험 1)에 비해 한 층 더 온도가 높아졌다.
(단위: ℃)
실험 경과시간분
0 1 3 5 10 20 30 40 50 60 90 120
블랭크
(Blank)
11.4 14.9 25.3 27.9 29.7 31.3 32.0 32.8 33.2 33.8 34.6 35.0
실험 1 11.7 21.4 27.1 29.4 31.3 32.7 33.6 34.1 34.6 35.0 35.6 35.7
실험 2 11.7 22.5 29.1 31.0 33.7 35.0 35.3 35.4 35.6 35.7 36.0 36.0
실온 10.3 10.1 10.4 10.1 9.5 9.9 9.9 9.9 9.9 9.9 10.0 10.2
<실시예 7>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3)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투습성 수지로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시료 및 블랭크(Blank) 모두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 GK를 혼합한 것
(2)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60 g를 칭량하고, 톨루엔 6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24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한 톨루엔들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첨가하고 교반하였으며,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42 내지 39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58 내지 61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iii) (ii)에서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한다.
(iv) 얻을 수 있던 복합물을 하루동안 자연 건조한 후, 4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덧붙여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33.3 g/m2였다.
(3) 측정 방법
일반 재단법인 가켄 테스트 센터의 흡습 발열 B법(개량법)
http://www.kaken.or.jp/research/2002/theme2002-08.html 참조
(3-1) 측정 조건
측정 시간: 30분간
시험 실온도: 20±2℃
습도: 초기는 40%RH, 가습시(측정시)는 90%RH
측정면: 시험 시료의 표면(투습성 수지의 옆)
세탁 처리: 미처리
(3-2) 측정 방법의 개요
(i) 시험 시료가 들어간 반응 용기에 건조공기를 공급해, 반응 용기 내를 40%RH로 한다.
(ii) 항습(40%RH)이 되어 2시간이 경과하면, 포화 수증기의 공급급을 개시한다.
(iii) 포화 수증기의 공급이 시작되면, 시료의 표면(투습성 수지의 옆)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4) 결과
결과를 표 9, 표 10 및 도 12에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분명히 나타나는 것처럼,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흡습 발열 작용 때문에 블랭크(Blank)에 비해 상승 온도가 1.0 ℃높았다.
실험 경과시간(분)
0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발명품
20.8 20.7 20.8 22.8 23.3 23.3 23.1 22.8 22.6 22.4 22.3 21.8 21.5 21.4
블랭크
(Blank)
20.9 20.8 20.9 22.4 22.1 21.8 21.6 21.4 21.3 21.2 21.2 21.1 21.1 21.0
초기온도 최고온도 온도증가 블랭크(Blank)와 차이
본 발명품 20.7 ℃ 23.4 ℃ 2.7 ℃ 1.0
블랭크
(Blank)
20.8 ℃ 22.5 ℃ 1.7 ℃ -
<실시예 8>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의 측정 및 내세탁성의 평가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셀룰로오스 가수 분해물의 분말들이 아크릴계 수지이며, 그리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인 다층 시트를 제작해,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시료 및 블랭크(Blank) 모두,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스펀(spun) 니들(niddle) 부직포(두께=80 g/m2;투습도=3,280 g/m2/24시간(JIS K7129(A법);릿시법(Lyssy method);40 ℃;90%RH))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 GK를 혼합한 것
(c) 투습성 폴리머 필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2) 다층 시트(시료 I, II, III)의 제조 방법
(i) 시료 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3 g를 칭량하고, 톨루엔 6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시료 I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10 g을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시료 III :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8 g를 칭량하고, 톨루엔 16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시료 IV: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3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70 g을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시료 V: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4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9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시료 V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75 g를 칭량하고, 톨루엔 150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10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된 톨루엔으로 적신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적량 첨가하고 교반하여,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해당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하기의 비율로 포함한다.
시료 I: 수지=85.7 내지 84.2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14.3 내지 15.8 질량%
시료 II: 수지=78.3 내지 76.2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21.7 내지 23.8 질량%
시료 III: 수지=69.2 내지 66.7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30.8 내지 33.3 질량%
시료 IV: 수지=34.0 내지 31.4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66.0 내지 68.6 질량%
시료 V: 수지=28.6 내지 26.3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71.4 내지 73.7 질량%
시료 VI: 수지=19.4 내지 17.6 질량%,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80.6 내지 82.4 질량%
(iii) (ii)에서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100 g/m2로 코팅한다.
(iv)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투습성 폴리머 필름으로 가린다.
(v) (iv)에서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킨다.
(3) 흡습 발열의 측정
시료 I내지 V를 30 cm×24 cm 크기로 잘랐다. 이러한 시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측정했다.
(4) 내세탁성의 평가
시료 I내지 V를 20 cm×20 cm 크기로 잘랐다. 이러한 시료를 가정용 소형 세탁기로 액체 세탁용 세제에서 세탁(세탁=5분;탈수=1분;헹굼=5분;탈수=1분;세척=5분;탈수=1분)하여, 실내(25 ℃)에서 말렸다. 이것을 30회 반복했다.
(5) 결과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이 적은 시료 I은 발열에 의해 도달하는 최고 온도가 낮고, 한편,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 동안에서의 시간이 길다. 한편,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이 너무 많은 시료 VI은 내세탁성이 뒤떨어진다.
초기온도 최대온도 온도증가 블랭크(blank)와의 차이 최대온도
도달시간
내세탁성
시료 I 11.0 ℃ 23.1 ℃ 12.1 ℃ 0.3 ℃ 14 분 無 이탈
시료 II 11.2 ℃ 23.7 ℃ 12.5 ℃ 0.7 ℃ 12 분 無 이탈
시료 III 10.9 ℃ 23.7 ℃ 12.8 ℃ 1.0 ℃ 12 분 無 이탈
시료 IV 11.3 ℃ 24.8 ℃ 13.5 ℃ 1.7 ℃ 10 분 無 이탈
시료 V 11.0 ℃ 25.0 ℃ 14.0 ℃ 2.2 ℃ 8 분 無 이탈
시료 VI 11.2 ℃ 25.3 ℃ 14.1 ℃ 2.3 ℃ 7 분 無 이탈
블랭크
(Blank)
10.8 ℃ 22.6 ℃ 11.8 ℃ - 12 분 -
<실시예 9>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4)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이 아크릴계 수지이며, 그리고,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인 다층 시트를 제작해,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했다.
(1) 시료의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수성 에멀젼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추부(Chubu) 사이덴(Saiden) 사 제품 밴스타(Vanstar) X1417B10(연속상:수;고형분 농도=45 내지 50%)에,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 GK를 혼합한 것
(c) 투습성 폴리머 필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2) 블랭크(Blank)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 /110×76개), 30 cm×24cm
(3) 다층 시트(시료)의 제조 방법
(i)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20 g를 칭량하고, 물 40 g를 더해 물로 적시게 한다.
(ii) 수성 에멀젼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 8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한 물 넣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첨가하여 잘 교반하고,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투습성 수지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투습성 수지는 64.3 내지 66.7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35.7 내지 33.3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iii) (ii)로부터 조제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의 일 표면상에, 100 g/m2로 코팅한다.
(iv) 코팅된 조성물의 표면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가린다
(v) (iv)로부터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키고 30cm×24 cm에 잘라 측정용 시료로 한다.
덧붙여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14.3 g/m2였다.
(4)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23 ℃, 90%RH
(5) 측정 방법
시료와 블랭크(Blank) 각각을 그 한 변의 길이가 1/4가 되도록 교대로 굽혀 그 크기가 7. 5 cm×6 cm인 16층 구조물로 한다. 이 16층 구조물의 두께 방향의 한가운데(위로부터 8층 하부면, 아래로부터 8층 상부면 사이)에 온도 측정기를 이들 사이에 삽입하고, 23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에서 시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한다.
(6) 결과
결과를 표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표 12 및 도 13로부터 분명히 나타나는 것과 같이,
블랭크(Blank)(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만)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인 시료는 흡습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시험 개시부터 약 10 분 후에는 블랭크(Blank)보다 1.5 ℃ 높은 최고 온도에 도달하였으며, 시험 개시부터 1시간이 지나도 블랭크(Blank)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실험
경과시간(분)
0 2 4 6 8 10 12 14 16 18 20 30 40 50
발명 시료 11.6 17.2 21.3 23.2 24.0 24.2 24.1 23.8 23.6 23.4 23.2 22.8 22.7 22.6
블랭크
(Blank)
10.4 15.6 19.9 21.8 22.5 22.7 22.7 22.6 22.5 22.3 22.1 21.9 22.1 22.1
<실시예 10>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 및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 및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에 대해, 흡습에 의한 열(온도 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이즈미염공 사 제품의 양모(탈지화와 활성 탄소 처리 및 가수분해 처리후의 것)를 분쇄한 분말, 겉보기 비중=0.44 g/cm3, 평균 입자 지름= 약 40μm
(b) 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GK: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가루
비중=0.3 ~ 0.4 g/cm3, 겉보기 비중=0.20 ~ 0.30 g/cm3, 평균 입자 지름=약 37μm
(2)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30 ℃, 90%RH
(3) 측정 방법
(i) 분말 150 g를 칭량하고, 이를 직경 100 mm의 샬레에 넣어 균등하게 나누었다.
(ii) 분말 내에 온도 측정기의 측정 부위(센서)가 묻혀지도록, 온도 측정기를 고정한다.
(iii) 샬레를 30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에 넣은 후 시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한다.
(4) 결과
결과를 표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표 13 및 도 14로부터 분명한 것 같이,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비교해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은 한층 더 높은 흡습 발열성을 나타냈다.

분말 종류
경과시간(분)
0 2 4 6 8 10 12 15 17 20 25
양모의
가수분해물
분말
21.0 25.6 29.1 31.4 32.3 32.4 31.8 31.2 31.0 30.8 30.8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분말
21.1 23.6 26.3 28.4 30.7 31.3 31.0 30.3 30.0 30.0 30.2
<실시예 11>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5)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다층 시트와,
투습성 수지가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다층 시트를 제작하여 흡습 발열에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시료 및 블랭크(Blank) 모두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b-1)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이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이즈미소메공 사 제품인 가수분해 처리 무명 분말(평균 입자 지름:약 40μm)을 혼합한 것
(b-2)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이즈미염공 사 제품의 양모를 분쇄한 분말(즉, 탈지화, 활성탄소 처리 및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진 양모의 분말)을 혼합한 것
(2) 본 발명의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 또는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 60 g를 칭량하고, 톨루엔 6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24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한 톨루엔을 포함하는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 또는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더해 잘 교반하여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42 내지 39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58 내지 61 질량%의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 또는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iii) (ii)로부터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한다.
(iv) 얻을 수 있던 복합물을 하루동안 자연 건조한 후, 4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덧붙여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 또는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약 33.3 g/m2였다.
(3) 측정 방법
일반 재단법인 가켄 테스트 센터의 흡습 발열 B법(개량법)
http://www.kaken.or.jp/research/2002/theme2002-08.html 참조
(3-1) 측정 조건
측정 시간: 30분간
시험 실온도: 20±2 ℃
습도: 초기는 40%RH, 가습시(측정시)는 90%RH
측정면: 시험 시료의 표면(투습성 수지의 옆)
세탁 처리: 미처리
(3-2) 측정 방법의 개요
(i) 시험 시료가 들어간 반응 용기에 건조공기를 공급해, 반응 용기 내를 40%RH로 한다.
(ii) 항습(40%RH)이 되어 2시간이 경과하면, 포화 수증기의 공급을 개시한다.
(iii) 포화 수증기의 공급이 시작되면 시료의 표면(투습성 수지의 옆)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4) 결과
결과를 표 14, 표 15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블랭크(Blank)는 시험 개시 후, 곧(약 3분 후)에 최고 온도에 이르러, 그 후 급속히 온도가 저하했다.
무명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최고 온도에 이르기까지 약간 시간을 필요로 하였고(약 5분), 최고 온도는 블랭크(Blank)의 경우보다 약간 낮았지만, 최고 온도에 이른 후에는 시험 종료(30 분간)까지 블랭크(Blank) 보다 약 0.5 ℃ 더 높은 온도가 유지되었다.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최고 온도에 이르기까지 약간 시간을 필요로 하였고(약 5분), 최고 온도는 블랭크(Blank)의 경우와 거의 같았지만, 발열이 시험 종료(30분간)까지 지속했다. 즉,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서는 장시간에 걸치는 발열을 기대할 수 있다.
분말의 종류에 의한 발열 거동이 상이한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분말을 구성하는 성분의 화학 조성들 간의 차이, 추가적으로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의 친화성도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분말과 수지가 친화성이 뛰어난 경우, 수분의 분말에의 도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 시간을 요하지만, 수분이 분말에 도달한 후에는 일정한 발열 거동이 유지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분말과 수지가 친화성에 뒤떨어지는 경우, 수분의 분말에의 도달은 빠르기 때문에, 짧은 시간 중에는 온도가 상승하지만, 가온된 수분의 수지로부터의 투과·이탈이 있기 때문에, 발열과 가온된 습분의 이탈 사이의 차이만이 온도상승으로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Figure pct00004
초기
온도
최고
온도
온도
증가
블랭크(Blank)와 차이
발명 생산물
(무명 가수분해물 분말)
20.7 ℃ 22.0 ℃ 1.3 ℃ - 0.4 ℃
발명 생산물
(양모 가수분해물 분말)
20.6 ℃ 22.5 ℃ 1.9 ℃ 0.2 ℃
블랭크(Blank) 20.8 ℃ 22.5 ℃ 1.7 ℃ -
<실시예 12> 보온용 구조물제 침구 사용시의 온도의 측정(No. 2)
본 발명의 보온용 구조물인 침구를 제작하고, 이를 사용해 취침했을 경우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했다.
1. 온도 측정 시험에 제공한 보온용 구조물인 침구
(1) 재료
(1-1) 투습성 기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5μm의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1-2)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2-1) 조성물 a
코팅면적 1 m2에 대하여,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5%) 53 g,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실시예 10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2.28 g,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 GK) 1.14 g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조성물 a를 조제한다.
이 조성물 a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69.9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20.1 질량%의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10.0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다.
(1-2-2) 조성물 b
코팅면적 1 m2에 대하여,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5%) 53 g,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실시예 10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1.14 g,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일본 제지 케미컬 사 제품 W-100 GK) 1.14 g, 알루미늄 페이스트(숲화학공업사 제품 알루미늄 페이스트 A2) 1.14 g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해 조성물 b를 조제하였다.
이때,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알루미늄 함유율은 75 질량%이며, 잔부는 주로 지방산(20질량%) 및 용매(5 질량%)이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약 80μm이다.
이 조성물 b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70.3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10.1 질량%의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10.1 질량%의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과, 7.6 질량%의 알루미늄 분말과, 잔부의 지방산 등을 포함한다.
(1-3) 조성물 a에 의해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외측에 배치되는 재료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 섬유 재질의 무톤(mouton)형 레이즈드(raised) 편물
(1-4) 조성물 b에 의해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외측에 배치되는 재료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 섬유 재질의 실키(silky) 레이즈드(raised) 편물
(2) 제조 방법
(i)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 표면상에, 조성물 a를 코팅하고 코팅면을 무톤(mouton)형 편물로 가린다.
(ii) (i)로 부터 조제된 복합체를 40 ℃에서 12시간 건조시킨다.
(iii)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 표면상에 조성물 b를 코팅하고, 코팅면을 실키-편물로 가린다.
덧붙여 제조된 침구의 양모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3.42 g/m2로,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의 양은 2.28 g/m2이며, 알루미늄 분말의 양은 0.855 g/m2였다.
2. 측정
(1) 침구의 사용 상황
요 위에 1에서 제작한 침구를 무톤(mouton)형 레이즈드(raised) 편물측이 윗쪽면이 되도록 깔고, 그 위에 피험자(42세, 남성, 56 kg)가 누웠다.
피험자에게 1에서 제작한 침구를 무톤(mouton)형 레이즈드(raised) 편물 측이 인체 측을 향하게 하고 그 위에 이불(comforter)을 덮었다.
블랭크(Blank) 시험도 같은 피험자로 수행했다. 요 위에 1에서 제작한 침구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 45×45/110×76개) 재질의 시트를 깔고, 그 위에 피험자가 누웠다. 피험자에게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 45%,45×45/110×76개) 재질의 이불(comforter) 커버로 덮인 이불(comforter)을 덮었다.
(2) 측정 장치
쿠스모토 화학 사 제품인 환경 시뮬레이터
HIOK사 제품인 온도 측정기 LR8500
(3) 측정시의 설정 조건
9 ℃, 50%RH. 덧붙여 실측치는 온도는 9.9 내지 10.2 ℃.
(4) 측정 방법
피험자는 시험 동안 일정한 자세를 유지한다. 온도 측정기의 센서 부분(지름 2 mm의 막대 모양 부분)을 피험자의 오른쪽 엉덩이 아래 배치해 사람과 침구와의 사이에 두어 온도를 측정한다(도 10 참조).
(5) 결과
결과를 표 16 및 도 16에 나타낸다. 표 16 및 도 16으로부터 분명히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보온 구조물인 침구를 사용하면 시험 개시부터 약 5분 경과 후에는 사람과 침구와의 사이의 온도가 블랭크(Blank)에 비해 높아졌다. 시험 개시부터 2시간 후에 대해도 본 발명의 보온 구조물 침구를 사용한 편이 온도가 더 높았다.ㅁ
(단위: ℃)

실험
경과시간(분)
0 5 10 20 30 40 50 60 90 120
블랭크
(Blank)
11.4 27.9 29.7 31.3 32.0 32.8 33.2 33.8 34.6 35.0
본발명품 11.7 29.2 32.4 33.8 34.5 35.3 35.9 36.3 36.3 36.0
실온 10.2 10.1 9.9 10.1 10.1 10.1 10.2 10.1 10.0 9.9
<실시예 13>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6)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가수분해 하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다층 시트(비교예 시료)를 제작하고,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비교예 시료 및 블랭크(Blank) 모두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65%, 면 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가수분해 되어 있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이즈미염공 사제;겉보기 비중:0.4 g/cm3;평균 입자 지름:약 60μm)를 혼합한 것
(2) 비교예의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 60 g를 칭량하고, 톨루엔 60 g을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24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한 톨루엔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분말(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것)을 더해 잘 교반하였으며,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투습성 수지는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투습성 수지는 42 내지 39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58 내지 61 질량%의 셀룰로오스 분말(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것)을 포함한다.
(iii) (ii)로부터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한다.
(iv) 얻을 수 있던 복합물을 하루동안 자연 건조한 후, 4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덧붙여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셀룰로오스 분말(가수분해 되지 않은 것)의 양은 약 33.3 g/m2였다.
(3) 측정 방법
일반 재단법인 가켄 테스트 센터의 흡습 발열 B법(개량법)
http://www.kaken.or.jp/research/2002/theme2002-08.html 참조
(3-1) 측정 조건
측정 시간: 30분간
시험 실온도: 20±2 ℃
습도: 초기는 40%RH, 가습시(측정시)는 90%RH
측정면: 비교예의 다층 시트는, 투습성 수지의 옆
세탁 처리: 미처리
(3-2) 측정 방법의 개요
(i) 블랭크(Blank) 시료인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 또는 비교예의 다층 시트가 들어간 반응 용기에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반응 용기 내를 40%RH로 한다.
(ii) 항습(40%RH)이 되어 2시간이 경과하면, 포화 수증기의 공급을 개시한다.
(iii) 포화 수증기의 공급이 시작되면, 시료의 표면(비교예의 다층 시트에 대해서는 투습성 수지의 옆)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4) 결과
결과를 표 17, 표 18 및 도 17에 나타낸다. 블랭크(Blank)(폴리에스테르·면혼방직포만)은 시험 개시 후 곧(약 3 분 후)에 최고 온도에 이르러, 그 후 급속하게 온도가 저하했다. 비교예의 다층 시트는 최고 온도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은 블랭크(Blank)보다 길고(약 4분), 최고 온도는 블랭크(Blank)의 경우보다 1.3 ℃ 더 낮았다.
블랭크(Blank)에서는 시험 개시부터 약 8 분 후에 비교예의 다층 시트의 최고 온도와 같은 온도까지 온도가 저하하였으며, 그 후의 블랭크(Blank)과 비교예의 다층 시트의 온도의 변화는 거의 같았다.
도 17을 도 12(실시예 7)와 비교하면 분명히 나타나는 것처럼,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을 포함한 투습성 수지의 층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서는 최고온도가 블랭크(Blank)보다 높고, 한편, 시험종료시까지 블랭크(Blank)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가수분해되어 있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을 포함한 투습성 수지의 층을 가지는 비교예의 다층 시트에서는 시험중 계속적으로 블랭크(Blank)보다 온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투습성 수지에 첨가하는 셀룰로오스 분말로서 가수 분해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 효과가 얻어짐이 분명해졌다.
(단위: ℃)

실험
경과시간(분)
0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가수분해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
20.9 20.9 20.9 21.4 21.6 21.6 21.6 21.6 21.5 21.5 21.5 21.4 21.4 21.3
블랭크
(Blank)
21.0 21.0 21.0 22.6 22.5 22.2 21.9 21.8 21.6 21.5 21.5 21.3 21.3 21.2
초기온도 최대
온도
온도
증가
Blank
가수분해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분말
20.9 ℃ 21.6 ℃ 0.7 ℃ - 0.9 ℃
블랭크(Blank) 21.0C ℃ 22.6 ℃ 1.6 ℃ -
<실시예 14> 다층 시트의 흡습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의 측정(No. 7)
투습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이며, 투습성 수지가 가수분해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가수분해된 양모 분말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다층시트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했다.
(1) 사용 재료
(a) 투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면혼방 직포(폴리에스테르 65%, 면45%, 45×45/110×76개)
(b)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인 토우페(Tohpe) 사 제품 아크릴·바인더 XE-3773(톨루엔(용매) 함유, 고형분 농도=16 내지 18%)에 탈지화, 활성탄소 처리가 이루어졌으며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양모 분말(겉보기 비중:0.7 g/cm3;평균 입자 지름:약 80μm), 또는 탈지화, 활성탄소 처리 및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진 양모 분말(실시예 10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을 혼합한 것
(2)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i)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또는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진 양모 분말 30 g을 칭량하고, 톨루엔 30 g를 더해 톨루엔으로 적시게 한다.
(ii) 아크릴계 수지 접착제 240 g를 칭량하고, 이에 (i)에서 조제한 톨루엔을 포함하는 양모 분말을 첨가하고 잘 교반하여 투습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성 수지는 56 내지 59 질량%의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와, 44 내지 41 질량%의 양모 분말을 포함한다.
(iii) (ii)로부터 조제된 조성물을 투습성 기재의 일 표면상에, 200 g/m2로 코팅한다.
제조된 다층 시트(즉, 건조 후)의 양모 분말의 양은 약 20 g/m2였다.
(3)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
항온항습기: 야마토 과학 사(Yamato Scientific Co., Ltd.) 제품인 HUMIDIC CHAMBER IG-42M
온도 측정기: 요코가와 미터&인스트루먼트 사(Yokogawa Meters & Instruments Corporation) 제품 μR1800 자동온도기록계
측정 조건: 30 ℃, 90%RH
(4) 측정 방법
측정용 시료 각각을 그 한 변의 길이가 1/4이 되도록 교대로 꺾어, 그 크기가 7.5 cm×6 cm인 16층 구조물로 한다. 이 16층 구조물의 두께 방향의 한가운데(위로부터 8층 하부면, 아래로부터 8층 상부면 사이)에 온도 측정기를 이들 사이에 삽입하고, 30 ℃, 90%RH로 설정된 항온항습기 내에 넣어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였다.
(5) 결과
결과를 표 19 및 도 18에 나타낸다. 표 19 및 도 18로부터 분명히 보이는 것처럼,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양모 분말을 포함한 수지층이 형성된 다층 시트(비교예)와 비교하여,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진 양모 분말을 포함한 수지층이 형성된 다층 시트(발명예)는 흡습 발열에 의해 온도가 보다 높게 상승했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개시부터 약 10 분 후에는 비교예보다 1.0 ℃ 높은 최고온도에 도달하였으며, 시험 개시부터 40 분 후에도 비교예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단위: ℃)

실험
경과시간(분)
0 2 4 6 8 10 12 15 17 20 25 30
가수분해 되지 않는
양모의 분말
19.4 25.8 28.7 30.8 31.3 31.4 31.3 31.1 30.9 30.8 30.6 30.6
양모 가수분해물 분말 19.8 25.6 29.1 31.4 32.3 32.4 32.2 31.8 31.4 31.2 30.8 30.8
1 :투습성 기재의 층
1a : 편물, 직포 또는 부직포
1b : 투습성 폴리머 필름(II)
1c : 투습성 접착제의 층
3, 3 x, 3 y : 투습성 수지의 층
5 : 투습성 폴리머 필름(I)
7a : 편물, 직포 또는 부직포
7b : 투습성 접착제의 층
31 :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33 :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
35 : 알루미늄 분말
100, 200, 300, 400, 500, 600 : 다층 시트

Claims (14)

  1. 투습성 기재의 층과,
    상기 투습성 기재의 층의 적어도 일 표면상에 형성된 투습성 수지의 층을 포함하며,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의 층의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고,
    투습성 수지는 투습성 기재에 접착되는 수지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고,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며,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의 양은 20 내지 80질량%이며,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의 양은 80 내지 2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발열성인 비수용성의 분말형태 또는 분립체의 양이 5 내지 1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발열성인 비수용성의 분말형태 또는 분립체가 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발열성인 비수용성의 분말형태 또는 분립체가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가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투습성 수지층의 일 표면 또는 양면 상에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투습도(JIS K7129(A법); 릿시법(Lyssy method))가 400 g/m2/24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이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투습성 폴리머 필름(I)의 외측에 편물(knit fabric), 직포(woven fabrics) 또는 투습성 부직포를 더 포함하고,
    폴리머 필름(I)과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 사이에 투습성 접착제 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투습성 수지의 일 표면 또는 양면 상에 편물, 직포 또는 투습성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수지는 알루미늄 분말을 더 포함하며, 그 양은 투습성 수지의 전체량 중에 있어서 4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시트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13. 투습성 기재로
    상기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의 전구체와,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이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10 내지 200 g/m2의 양으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의 전구체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투습성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형성된 투습성 수지는 그 전체량 중, 투습성 기재에 접착하는 수지를 20 내지 80 질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비수용성 흡습 발열성 분립체를 80 내지 20 질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은 기계적 코팅에 의해서 수행되며, 그 도포량이 10 내지 5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37003496A 2012-04-18 2012-08-29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50007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0395 WO2013157085A1 (ja) 2012-04-18 2012-04-18 多層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る保温用構造物
JPPCT/JP2012/060395 2012-04-18
PCT/JP2012/064377 WO2013157151A1 (ja) 2012-04-18 2012-06-04 多層シート、それを備える保温用構造物及び多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PCT/JP2012/064377 2012-06-04
PCT/JP2012/071785 WO2013157156A1 (ja) 2012-04-18 2012-08-29 多層シート、それを備える保温用構造物及び多層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16A true KR20150007916A (ko) 2015-01-21

Family

ID=4938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496A KR20150007916A (ko) 2012-04-18 2012-08-29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84692A4 (ko)
KR (1) KR20150007916A (ko)
CN (1) CN103492177A (ko)
RU (1) RU2013102964A (ko)
TW (1) TW201350062A (ko)
WO (3) WO2013157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3343B2 (en) 2014-03-31 2017-02-21 Ceraloc Innovation Ab Composite boards and panels
FR3034109B1 (fr) * 2015-03-27 2017-03-24 Ferrari Serge Sas Textile enduit anti condensation
JP2017080938A (ja) * 2015-10-24 2017-05-18 株式会社エムズ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繊維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JP6721343B2 (ja) * 2016-01-14 2020-07-15 セーレン株式会社 調湿性カバー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673408B (zh) * 2017-12-20 2019-10-01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吸溼發熱劑及其製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386A (ja) * 1983-12-12 1985-07-05 Hiraoka & Co Ltd 非通気性吸放湿性防水シ−ト
JPS62110983A (ja) * 1985-11-08 1987-05-22 旭化成株式会社 合成繊維の改質法
JPH063570Y2 (ja) * 1990-02-28 1994-02-02 共和レザー株式会社 保温用シート状物及び保温具
JPH063570U (ja) 1991-01-30 1994-01-18 ベクス ネイリング マシ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釘打機の釘送り装置
JPH06123002A (ja) * 1992-10-07 1994-05-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スーツ、ジャケット、スラックス、スカート等の外衣
JP2933834B2 (ja) * 1994-09-19 1999-08-16 アキレス株式会社 床暖房具
JPH10212456A (ja) * 1997-01-28 1998-08-11 Masatoshi Koyanagi 繊維材料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機能性繊維材料
JP2000129574A (ja) * 1998-10-23 2000-05-09 Toyobo Co Ltd 高吸放湿吸湿発熱性不織布
EP0933467B1 (en) * 1998-01-28 2004-08-2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retaining,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s
JP2000256962A (ja) 1999-03-11 2000-09-19 Shikibo Ltd 吸湿発熱性を有するセルロース繊維、繊維製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0328455A (ja) * 1999-05-25 2000-11-28 Sekisui Chem Co Ltd 繊維処理剤
JP2001003268A (ja) * 1999-06-21 2001-01-09 Toyo Ink Mfg Co Ltd 衣料用新規撥水処理組成物ならびにその塗工物
JP2001003262A (ja) 1999-06-23 2001-01-09 Heihachi Kobayashi Cam搭載用吸い上げ式、一枚裁断機
JP2001064876A (ja) * 1999-06-25 2001-03-13 Komatsu Seiren Co Ltd 保温性布帛およびその用途
JP2001172866A (ja) * 1999-12-20 2001-06-26 Toyobo Co Ltd 保温性に優れた吸湿発熱性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
JP2002038375A (ja) * 2000-05-16 2002-02-06 Toyobo Co Ltd 吸放湿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1092010A1 (en) * 2000-05-31 2001-12-06 Idemitsu Technofine Co., Ltd. Heat-storing dotted sheet, heat-storing cotton wadding, heat-storing fiber structure, heat-storing laminate and heat-storing cloth product
JP4516204B2 (ja) * 2000-11-27 2010-08-04 東洋紡績株式会社 透湿性防水布帛
JP2002266113A (ja) * 2001-02-28 2002-09-18 Mizuno Corp 吸放湿吸水発熱性繊維を含有する人造皮革を使用した保温品
JP2002339150A (ja) * 2001-05-14 2002-11-27 Toray Ind Inc 中 綿
JP3585454B2 (ja) * 2001-05-24 2004-11-04 倉敷紡績株式会社 吸湿発熱性セルロース系繊維
JP2003102784A (ja) * 2001-09-28 2003-04-08 Toyobo Co Ltd 吸湿/吸水発熱性おむつ
JP4249951B2 (ja) * 2002-07-02 2009-04-08 倉敷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繊維の湿潤発熱加工方法
JP4487554B2 (ja) 2003-12-15 2010-06-23 東レ株式会社 金属含有熱的迷彩布帛および金属含有熱的迷彩布帛の製造方法
JP5135120B2 (ja) * 2008-07-25 2013-01-30 萩原 敏夫 セルロース系繊維材料の改質加工法
CN201619778U (zh) * 2009-11-25 2010-11-03 天津市天塑科技集团有限公司技术中心 五层高热封性热封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02964A (ru) 2016-06-10
WO2013157156A1 (ja) 2013-10-24
WO2013157151A1 (ja) 2013-10-24
TW201350062A (zh) 2013-12-16
WO2013157085A1 (ja) 2013-10-24
EP2684692A4 (en) 2015-11-04
EP2684692A1 (en) 2014-01-15
CN103492177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7916A (ko) 다층 시트, 이를 포함하는 보온용 구조물 및 다층 시트의 제조 방법
US8844158B2 (en) Super absorber polymer fel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973005B1 (ko) 시클로덱스트린 함유시트
US9040631B1 (en) Padding
KR200465820Y1 (ko) 건강 기능성 침구류
AU2010349863A1 (en) Animal excrement disposa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276772A1 (en) Multi-layered sheet, thermal structure comprising it, and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ed sheet
CN110090110A (zh) 一种强吸收抗菌纸尿片的制备方法
PT1485529E (pt) Tecido de colchão e processo para o fabricar, assim como um colchão.
TWM328459U (en) Structure improvement of breathable and waterproof fabrics
US5607746A (en) Cloth for waterproof suits
WO2012038451A1 (en) Covering material
KR20180030680A (ko) 온열구
KR102347677B1 (ko) 기화열을 활용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 냉감 의류
CN110215350B (zh) 一种干爽、透气的纸尿裤及其生产工艺
CN110129990B (zh) 一种单向导湿发热纤维被芯及其制备方法
CN107049592A (zh) 一种热敷暖袋及其生产工艺
KR101403675B1 (ko)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직물
JPWO2013157156A1 (ja) 多層シート、それを備える保温用構造物及び多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H0673665A (ja) 竹微粉末含有布製品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CN203801825U (zh) 一种防水透湿的抗辐射复合织物
KR100462566B1 (ko) 숯함유 유연성부재를 위한 숯도료
JP3021366U (ja) 保温布団
CN205651743U (zh) 烫金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