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319A -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319A
KR20140148319A KR1020140074046A KR20140074046A KR20140148319A KR 20140148319 A KR20140148319 A KR 20140148319A KR 1020140074046 A KR1020140074046 A KR 1020140074046A KR 20140074046 A KR20140074046 A KR 20140074046A KR 20140148319 A KR20140148319 A KR 2014014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paper
sheet
size information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오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41J11/44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by devices, e.g. programme tape or contact wheel, moved in correspondence with movement of paper-feeding devices, e.g. platen ro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65Managing print media, e.g. determining available sheet siz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인쇄장치는,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가,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급지되면, 반송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해서 보존한다. 인쇄 장치는,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지시를 받으면, 해당 사이즈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쇄 지시를 받으면, 사이즈 정보를 사용하여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인쇄장치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키가 조작되면,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사이즈 정보를 소거한다.

Description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복수의 사이즈의 용지가 적재가능한 급지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의 설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가, 적재된 용지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급지부에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해서 검출한 용지 사이즈를, 그 급지부에 대응하는 용지 사이즈로서 설정(기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이러한 종류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도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반송중의 용지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러한 종류의 센서로 측정한 사이즈를, 용지의 반송의 완료(인쇄 완료)에 따라, 급지부에 설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301079호).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8-267851호에는, 전원투입시나 급지부의 개폐 후에,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다른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될(용지 사이즈가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설정(기억)되어 있는 사이즈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화상형성장치에는, 인쇄 지시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행할 때에,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가, 기억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고, 유저에게 적절한 사이즈의 용지로의 교환을 재촉한다.
화상형성장치(인쇄장치)에서는, 급지부의 개폐가 행해졌다고 해도, 그전과 동일한 사이즈의 용지가 급지부에 공급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급지부의 개폐시에는, 인쇄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전원투입시에만 인쇄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인쇄장치는, 용지 사이즈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유저가 다른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하면, 전원 오프 상태로 되지 않는 한, 용지 사이즈 정보를 적절히 변경할 수 없다. 그 결과, 용지의 교환 후에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는, 기억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와,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와의 불일치에 의해, 인쇄 동작이 중단되고, 용지의 교환을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시트의 반송중에 해당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해서 보존하는 인쇄장치에서,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다른 사이즈의 시트로 교환되었다고 해도 중단하지 않고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인쇄장치의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시트가 급지되면, 반송 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로서 상기 인쇄장치의 기억부에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면,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구비하는, 인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인쇄장치의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급지되면, 반송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로서, 상기 인쇄장치의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와,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면,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시트의 반송중에 해당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해서 보존하는 인쇄장치에서,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다른 사이즈의 시트로 교환되었다고 해도 중단하지 않고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 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로 실행되는 인쇄 처리 및 용지의 사이즈 정보의 보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에 기술된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 인쇄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01)는, LAN 등의 네트워크(110)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110)를 통해서 PC(102)와 접속되어 있다. 다만, 인쇄장치(101)는, 네트워크(110)가 아니고, USB 케이블을 통해서 USB 접속에 의해 PC(102)에 접속되어도 된다. 유저는 PC(102)를 조작해서 PC(102)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 처리에 관한 설정을 행하고, PC(102)가 이들 설정과 함께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를 인쇄장치(101)에 송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장치(101)는, 조작부(도 2의 조작부 340)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110)를 통해서 PC(102)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스캐너(711)는, 화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레이저 출력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다면체(8면체 등)의 폴리곤 미러(712), 폴리곤 미러(712)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 및 f/θ 렌즈(결상 렌즈)(7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711)는, 원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로, 레이저 출력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변조함으로써 원고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이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출력부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은, 폴리곤 미러(712)의 반사면 중의 한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f/θ 렌즈(713) 및 반사 미러(714)를 통과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감광 드럼(715)의 표면을 라인 형태로 주사한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715)의 표면이 노광되어, 원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715)의 주변에는, 1차 대전기(717), 전체면 노광 램프(718), 용지(시트)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토너)를 회수하는 클리너부(723), 전사전(pre-transfer) 대전기(724), 및 현상 유닛(726)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726)은,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토너 상을 형성한다. 현상 유닛(726)의 중심축 P의 주위에는, 현상 슬리브 731Y, 731M, 731C, 및 731Bk, 토너 카트리지 730Y, 730M, 730C, 730Bk, 및 스크루(732)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 730Y, 730M, 730C, 및 730Bk은, 각각 옐로(Y)색, 마젠타(M)색, 시안(C) 및 블랙(Bk)색의 토너를 보유하고 있다. 스크루(732)는, 토너를 이송한다. 현상 슬리브 731Y, 731M, 731C, 및 731Bk은, 감광 드럼(715)과 접하여, 토너 카트리지 730Y, 730M, 730C, 730Bk으로부터 토너를 감광 드럼(715)의 표면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인쇄장치(101)는, 유저가 개폐가능한 도어(710)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710)를 개폐시킴으로써, 유저는, 도어(71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토너 카트리지 730Y, 730M, 730C, 730Bk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사 대전기인 전사 롤러(716)의 주위에는, 액추에이터판(719), 포지션 센서(720), 전사 드럼 클리너(725), 용지 프레싱 롤러(727), 및 정전기(static) 제거기(729)가 배치되어 있다.
급지부(급지 카세트) 735 및 736에는, 용지(791)가 수납되어, 적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급지부 735 및 736에는, 급지부 735 및 736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791)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급지부 735 및 736이, 적재되어 있는 용지(791)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검출하지 않는다. 또한, 급지부 735 및 736에는, 적재된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급지부 735 및 736가 적재되어 있는 용지(791)가 남아있지 않다(용지가 다 떨어졌다)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하지 않는다.
인쇄장치(101)에는, 또한 급지부 735 및 736으로부터 급지된 용지(791)가 반송되는 반송로 위에, 반송중의 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는, 반송로 위에 반송되는 용지(791)를 검출한다. CPU(301)(도 3)는,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용지(791)의 길이(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용지(791)가 검출된 시간과 용지(791)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용지(791)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인쇄장치(101)는 제어부(300)와, 제어부(300)에 접속된 프린터부(330), 조작부(340) 및 표시부(3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장치(101)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프린터부(330)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용지에 인쇄(출력)하는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프린터부(330)는, 전자사진방식, 잉크젯 방식 등의 프린터이며, 래스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용지 위에 인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부(330)는 전자사진방식의 프린터다. 조작부(340)는,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부를 갖고,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표시부(350)는, 유저가 입력한 정보, 유저에 통지하는 메시지, 인쇄장치(101)의 상태, 인쇄장치(101)에 있어서의 처리결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조작부(340)에는, Paper 키(341)가 하드웨어 키로서 설치되어 있다. 보통, Paper 키(341)는, 급지부 735 및 736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다 떨어진 것에 기인해서 인쇄 처리가 중단되었을 때에, 유저가 용지를 공급한 후에, 인쇄 처리를 재개해야 하는 것을 인쇄장치(101)에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Paper 키(341)는, 인쇄 지시(인쇄 잡)를 접수하지 않고, 인쇄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있는 동안, NVMEM(304)에 기억되어 있는, 급지부 735 및 736에 수납된 용지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클리어(소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렇게, Paper 키(341)는, 인쇄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있는 동안에, 기억부(NVMEM 304)에 보존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특정 키의 일례다.
제어부(300)는, 시스템 버스(310) 및 이미지 버스(320)를 구비하고, 이들 버스의 각각에 다양한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버스(310)에는, CPU(301), 플래쉬 R0M(302), RAM(303), NVMEM(304), 및 조작부 인터페이스(I/F)(30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버스(310)에는, LAN I/F(306), 이미지 버스 I/F(307), USB I/F(308), 및 표시부 I/F(30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버스(320)에는, 이미지 버스 I/F(307), 래스터 화상 프로세서(RIP)(321), 프린터부 I/F(322), 및 화상 처리부(323)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인쇄장치(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다. 플래쉬 R0M(302)은, 개서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CPU(301)가 인쇄장치(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RAM(303)은, CPU(301)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system work memory)를 제공한다. RAM(303)은, 플래쉬 R0M(302)으로부터 판독된 제어 프로그램이 로드(load)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린터부(330)에 있어서의 인쇄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격납되는 화상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NVMEM(304)은, 비휘발성의 메모리이며, 설정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다만, NVMEM(304)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또 다른 비휘발성의 기억장치로 대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NVMEM(304)은,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가 격납되는 기억부의 일례다.
조작부 I/F(305)는, 조작부(340)와 시스템 버스(31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시스템 버스(310)를 통해서 CPU(301)로부터 조작부(340)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조작부 I/F(305)는, 조작부(340)를 이용해서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시스템 버스(310)를 통해서 CPU(301)에 전송한다.
LAN I/F(306)은, 네트워크(LAN)(11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장치와, 디바이스 정보, 화상 데이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USB I/F(308)는, PC(102) 등의 외부장치를 USB 접속에 의해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다. 이미지 버스 I/F(307)는 시스템 버스(310)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가능한 이미지 버스(32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다. 이미지 버스(320)는, PCI 버스 또는 IEEE 1394 버스로 구성된다. 표시부 I/F(309)는, 표시부(350)와 시스템 버스(31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표시부 I/F(309)는, 시스템 버스(310)를 통해서 CPU(3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 및 표시해야 할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부(350)에 전송한다.
RIP(321)는, 페이지 기술 언어(PDL) 코드 등의 벡터 데이터를,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전개한다. 프린터부 I/F(322)는, 프린터부(330)와 제어부(30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며,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 제어 코멘드의 송수신, 전력공급 등을 행한다. 화상 처리부(323)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보정, 가공 및 편집과,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감마 보정 및 해상도 변환 등을 행한다. 화상 처리부(323)는, 또한 화상 데이터의 회전, 다치 화상 데이터에 대한 JPEG 등의 압축/신장 처리, 및 2치 화상 데이터에 대한 JBIG, MMR, MH 등의 압축/신장 처리를 행한다.
< 용지의 사이즈 정보의 설정 처리>
다음에, 도 4a 및 도 4b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인쇄장치(101)에 있어서, 프린터부(330)에 의한 프린트 동작은, CPU(301)에 의한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인쇄장치(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부 735 및 736으로부터 급지되어, 반송로 상에 반송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해서,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장치(101)는, 이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시트의 반송중에 해당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인쇄장치(101)는, 조작부(340)를 통해서 미리 유저에 의해 급지부 735 혹은 736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반송중의 용지의 사이즈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급지부 735 혹은 736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에서는, 인쇄장치(101)가 기억(보존)하고 있는, 급지부 735 혹은 736(여기에서는, 급지부(735)에 대해서 설명한다.)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나타낸다. 인쇄장치(101)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NVMEM(304)에 기억된 상태에서 용지 사이즈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도 4a 및 4b에 나타낸 "불명(unknown)"이란, 용지 사이즈 정보가 소거된 상태(미설정의 상태)에 대응하고, 급지부(735)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가 검출되지 않고, 해당 사이즈를 인쇄장치(101)가 기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인쇄장치(101)의 전원의 기동시에, 기억하고 있었던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101)는, 급지부 735 및 736이 유저에 의해 개폐되어도, 기억하고 있었던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01)는, 전원의 기동 후에, 인쇄 지시(인쇄 잡)에 따라 A4 사이즈의 용지를 사용하는 인쇄를 개시한다. 또한, 인쇄장치(101)가 용지 사이즈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급지부(735)로부터 용지가 급지되면, 인쇄장치(101)는 인쇄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급지부(735)로부터 용지를 급지해서 인쇄 처리를 행한다. 인쇄장치(101)는, 용지의 반송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그 후에, 인쇄장치(101)는, 반송이 완료하는 타이밍(또는 인쇄 처리가 완료하는 타이밍)에서 검출한 용지 사이즈를 NVMEM(304)에 보존함으로써 급지부(735)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한다. 또한, 인쇄장치(101)는, 인쇄 지시에 따라 복수매의 용지를 연속해서 급지할 경우에는, 모든 용지의 반송(배지)의 완료에 따라, 용지 사이즈를 기억하면 된다.
그 후에, 인쇄장치(101)는, 다시 인쇄 지시(인쇄 잡)에 따라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는, 기억한 용지 사이즈 정보를 사용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인쇄장치(101)는,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와, 인쇄장치(101)가 기억하고 있는, 급지부(735)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A4)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억하고 있는 용지 사이즈와,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와의 불일치가 생겼을 경우, 인쇄장치(101)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중단하고,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한다. 또는, 인쇄장치(101)는, 인쇄 대상의 화상의 사이즈를 조정해서 화상이 용지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인쇄 처리를 행한다.
도 4a에는, 인쇄장치(101)가, A4 사이즈의 용지에의 인쇄 처리의 완료 후에, A5 사이즈의 용지의 사용을 지정하는 인쇄 지시를 받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억하고 있는 용지 사이즈(A4)와,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A5)와의 불일치가 생긴 것에 의해, 인쇄장치(101)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중단하고, A5 사이즈의 용지로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인쇄 지시를 받기 전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A4 사이즈의 용지로부터 A5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되는 경우에도, 인쇄장치(101)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중단하고,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것은, 급지부(735)에는 용지의 사이즈 및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용지가 교환된 것을 인쇄장치(101)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쇄 처리의 실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유저는 조작부(340)에 배치된 에러 스킵 버튼(도시 생략)을 누름으로써, 인쇄장치(101)에 용지 사이즈의 불일치에 기인한 에러(용지 에러)를 무시시키고 인쇄 처리를 재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용지의 교환을 행하지 않고 인쇄 처리를 재개시킴으로써, A4 사이즈의 용지에 A5 사이즈의 화상을 인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는, 용지를 급지부(735)에 적재되어서 있는 A4 사이즈의 용지로부터 A5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하고, 이 교환에 의해 인쇄장치(1010에 인쇄 처리를 재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를 무시하고 인쇄 처리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인쇄장치(101)는, 인쇄 처리의 완료시에, 용지 사이즈를 새롭게 기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후에 재차, A5 사이즈의 용지의 사용을 지정하는 인쇄 지시를 받았을 경우에는, 인쇄장치(101)는, 기억하고 있는 용지 사이즈(A4)와의 불일치에 의해, 인쇄 처리를 중단하고, 용지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결과, 가령 유저가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적절한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해도, 인쇄 처리의 실행이 또 다시 중단된다. 그 결과, 생산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저하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쇄장치(101)는, 용지의 교환의 경우에 불필요한 인쇄 처리의 중단을 피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용지 사이즈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Paper 키(341)가 조작되면, 인쇄장치(101)는, NVMEM(304)에 보존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클리어(소거)한다. 이렇게, 인쇄장치(101)는, 기억하고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클리어함으로써, 그 후에 인쇄 지시를 받았을 때, 용지 사이즈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 처리를 시작할 경우에는, 인쇄장치(101)는, 인쇄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급지부(735)로부터 용지를 급지하고,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aper 키(341)가 조작된 후에, A5 사이즈의 용지의 사용을 지정하는 인쇄 지시를 받아도, 인쇄 처리가 중단되는 것을 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지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는 인쇄 처리>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인쇄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용지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는 인쇄 처리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차트에 나타낸 처리는, CPU(301)가 플래쉬 R0M(30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RAM(303)에 전개하고,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인쇄장치(101)상에서 실현된다.
스텝 S501에서, CPU(301)는, 인쇄장치(101)가 기동 처리의 실행 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인쇄장치(101)가 기동 처리의 실행 중인 경우에,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2로 진행시키고, 인쇄장치(101)가 기동 처리의 실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3로 진행시킨다. 스텝 S502에서, CPU(301)는, 인쇄장치(101)가 기동 처리의 실행 중일 경우에, NVMEM(304)에 보존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클리어(소거)한다. 여기에서, 기동 처리는, 조작부(340)의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 등이 조작되고, 인쇄장치(101)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기동할 때의 초기화 처리, 또는 인쇄장치(101)가 전력 절약 상태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기동할 때의 초기화 처리에 대응한다. 스텝 S502의 처리에 의해, 인쇄장치(101)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력 절약 상태에 있는 동안에, 유저에 의해 급지부 735 및 736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다른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되어도, 그 후에 불필요하게 인쇄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PU(301)는, 스텝 S502에서, NVMEM(304)에 보존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한 후에, 스텝 S503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인쇄 지시)를 접수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지시는, USB I/F(308) 또는 LAN I/F(306)을 통해서 PC(102)로부터, 또는 유저의 조작에 응답해서 조작부(340)로부터 인쇄 잡으로서 접수가능하다. CPU(301)는, 인쇄 지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511로 진행시키고, 인쇄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504로 진행시킨다.
스텝 S504에서, CPU(301)는, 프린터부 I/F(322)을 통해서 프린터부(330)에, 인쇄 지시(인쇄 잡)에 근거하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인쇄 처리의 실행을 시작한다. 이 인쇄 지시(인쇄 잡)에는, 인쇄에 사용하는 용지의 사이즈와, 용지의 급지원으로서 사용해야 하는 급지부가 인쇄 설정으로서 지정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인쇄 설정으로 용지의 급지원으로서 급지부(735)가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301)가, 프린터부 I/F(322)를 통해서, 프린터부(330)에 인쇄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면, 프린터부(330)로부터 CPU(301)에, 급지부(7355)로부터 용지의 급지를 개시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된다. 인쇄 처리의 실행에 의해 급지부(735)로부터 용지가 급지되고, 반송로상에 용지가 반송되고 있을 때, 반송로에 배치된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에 의해, 반송 중인 용지의 사이즈가 검출된다. 프린터부(330)는,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로부터의 출력 정보를 프린터부 I/F(322)을 통해서 CPU(301)에 전송한다. CPU(301)는, 용지 길이 검출 센서(741)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의거하여 반송 중인 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하고, 검출한 용지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쇄 처리의 완료까지 RAM(303)에 보유해 둔다. 또한, 프린터부(330)는, 급지부(735)로부터 반송로에 용지가 급지되지 않고,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다 떨어졌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그것을 CPU(301)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CPU(301)는, 인쇄 처리의 실행 중에, 용지의 떨어짐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인쇄 처리의 실행을 개시하면, CPU(301)는, 스텝 S505에서, 용지의 떨어짐 또는 용지 에러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용지 에러는, 인쇄 지시로 지정된 용지 사이즈와, 지정된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와의 불일치에 기인한 에러에 해당한다. 또한, NVMEM(304)에 용지 사이즈 정보가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관계없이 인쇄 처리를 계속한다. CPU(301)는, 스텝 S505에서, 용지의 떨어짐 또는 용지 에러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면,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6로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8로 진행시킨다. 스텝 S508에서, CPU(301)는, 1페이지의 화상의 인쇄를 프린터부(330)에 실행시켜, 처리를 스텝 S509로 진행시킨다.
스텝 S506에서, CPU(301)는, Paper 키(341)가 유저에 의해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용지의 떨어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CPU(301)는, 급지부(735)에 용지를 공급하는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한다. 유저는, 인쇄 지시로 지정한 사이즈의 용지를 급지부(735)에 공급하고, Paper 키(341)를 누름으로써 인쇄장치(101)에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CPU(301)는, Paper 키(341)가 눌러지면, 급지부(735)에 용지가 공급되었다고 판단하고, 스텝 S507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하도록, 프린터부(330)를 제어한다.
또한, 용지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CPU(3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인쇄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사이즈의 용지로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한다. 유저는, 용지의 교환을 행하고 Paper 키(341)를 누름으로써 인쇄장치(101)에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CPU(301)는, Paper 키(341)가 눌러지면,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교환되었다고 판단하고, 스텝 S507에서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하도록 프린터부(330)를 제어한다.
Paper 키(341)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 스킵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와 달리, CPU(301)는, 인쇄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를 이용해서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한다. 이 때문에, 급지부(735)로부터 급지된 용지의 사이즈가, 인쇄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와 여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CPU(301)는, 스텝 S505로부터 스텝 S507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507 후에,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5로 되돌리고, 또 다시 상기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용지의 떨어짐 또는 용지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용지 떨어짐 또는 용지 에러가 해소되었다)고 판정하면,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8로 진행시키고, 1페이지의 화상의 인쇄를 프린터부(330)에 실행시킨다. 그 후에, 스텝 S509에서, CPU(301)는, 인쇄 지시로 지정된 페이지 수의 인쇄가 완료했는지 아닌지, 인쇄 처리가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처리가 완료하지 않았다고 CPU(301)가 판정하면, CPU(301)는 처리를 스텝 S505로 되돌린다. 한편, CPU(301)는, 인쇄 처리가 완료했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스텝 S510로 진행시킨다.
스텝 S510에서, CPU(301)는, 인쇄 처리의 실행 중에 검출된 용지 사이즈에 대응하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급지부(735)에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로서 NVMEM(304)에 보존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인쇄 지시에 의해 복수매의 용지가 급지부(735)로부터 연속해서 급지되고, 인쇄가 행해질 경우에는, 복수매의 용지의 모든 배지가 완료했을 때에, 용지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1장의 용지의 배지가 완료했을 때에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보존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S503 또는 스텝 S510로부터 스텝 S511로 처리를 진행시키면, CPU(301)는, 인쇄 지시에 근거하는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Paper 키(341)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 스텝 S511에서, CPU(301)는, Paper 키(341)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NVMEM(304)에 보존되어 있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소거한다. 이 경우, CPU(301)는, 인쇄장치(101)가 구비하는 급지부 735 및 736의 각각에 대응하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해도 된다. 또는, 급지부 735 및 736의 개폐가 검출가능한 경우에는, CPU(301)는, 최후에 개폐된 급지부에 대응하는 용지 사이즈 정보를 소거해도 된다. 이 경우, 용지가 교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급지부에 대응하는 용지 사이즈 정보만을 소거할 수 있어, 보다 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101)는,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가, NVMEM(304)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급지부(735)로부터 용지가 급지되면, 반송 중인 용지의 사이즈를 검출해서 보존한다. 인쇄장치(101)는,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지시를 받으면, 해당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인쇄장치(101)는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쇄 지시를 받으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해서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인쇄장치(101)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사이즈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Paper 키(341)가 조작되면, NVMEM(304)에 보존되어 있는 사이즈 정보를 소거한다.
이에 따라, 급지부에서는 용지 사이즈를 검출할 수 없지만, 용지의 반송 중에는 용지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타입의 인쇄장치(101)에 있어서는,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가 다른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되어도, 그 후에 인쇄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급지부(73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다른 사이즈의 용지로 교환하는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지의 교환이 행해졌을 경우에, 유저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인쇄장치(101)에 있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쇄장치의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시트가 급지되면, 반송 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로서 상기 인쇄장치의 기억부에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면,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구비하는, 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와 상기 사이즈 정보가 나타내는 사이즈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상기 급지부로부터 시트를 급지시켜, 상기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와 상기 사이즈 정보가 나타내는 사이즈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급지부로부터 시트를 급지시켜, 상기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와 상기 사이즈 정보가 나타내는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중단하고,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교환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인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중단하고 있는 동안, 유저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면, 상기 지정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이용해서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재개하는, 인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수단은, 상기 인쇄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력 절약 상태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기동하면,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는, 인쇄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에 의해 복수매의 시트가 상기 급지부로부터 연속해서 급지될 경우,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상기 복수매의 시트의 모든 배지가 완료했을 때에 보존하는, 인쇄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시트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반송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반송로 상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시트가 통과했을 때의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반송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인쇄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다 떨어진 것에 기인해서 상기 인쇄 처리가 중단되었을 때에, 상기 인쇄 처리를 재개해야 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상기 인쇄장치의 조작부에 배치되는 하드웨어 키인, 인쇄장치.
  9. 인쇄장치의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급지되면, 반송중의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급지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로서, 상기 인쇄장치의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와,
    인쇄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상기 사이즈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특정 키가 조작되면, 상기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사이즈 정보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074046A 2013-06-21 2014-06-18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201401483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1057 2013-06-21
JP2013131057A JP2015003477A (ja) 2013-06-21 2013-06-21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319A true KR20140148319A (ko) 2014-12-31

Family

ID=5097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046A KR20140148319A (ko) 2013-06-21 2014-06-18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47812B2 (ko)
EP (1) EP2816414A1 (ko)
JP (1) JP2015003477A (ko)
KR (1) KR20140148319A (ko)
CN (1) CN1042389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1327B2 (en) 2012-03-23 2015-10-27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vehicle navigated shopping
US9547872B2 (en) 2012-02-22 2017-01-17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along a corridor
US10963951B2 (en) 2013-11-14 2021-03-30 Ebay Inc. Shopping trip planner
CN105196538A (zh) * 2015-08-08 2015-12-30 吴江中瑞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在打印过程中控制零件停止打印的方法及装置
JP6609140B2 (ja) 2015-08-25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アプリケーション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864A (en) * 1978-08-24 1991-08-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S60263138A (ja) * 1984-06-11 1985-12-26 Sharp Corp 紙サイズ記憶機能を備えた複写機
JPH0642094B2 (ja) * 1984-06-11 1994-06-01 シャープ株式会社 倍率変換複写機
JP3193487B2 (ja) * 1992-11-10 2001-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5689759A (en) * 1992-08-25 1997-11-18 Canon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and sheet size detecting device adapted for use therein
JPH08267851A (ja) 1995-03-28 1996-10-15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記録装置
JPH11189351A (ja) * 1997-12-26 1999-07-13 Oki Data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用紙カセット選択方法
JPH11301079A (ja) 1998-04-27 1999-11-02 Canon Inc 印刷方法、印刷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4085561B2 (ja) * 2000-07-05 2008-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5161787A (ja) * 2003-12-05 2005-06-23 Canon Inc 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印刷を行う際の制御方法
JP2005215976A (ja) * 2004-01-29 2005-08-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処理装置、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システム
JP4072520B2 (ja) * 2004-06-30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62574B2 (ja) * 2005-03-04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タンデム画像形成装置
JP4989260B2 (ja) * 2007-03-12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14970B2 (ja) * 2009-03-30 2011-11-1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11018977A (ja) * 2009-07-07 2011-01-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20002223A1 (en) * 2010-06-30 2012-01-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aper sheet supply method
JP5507434B2 (ja) * 2010-06-30 2014-05-28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供給方法
JP5814529B2 (ja) * 2010-09-08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用紙属性の設定方法、プログラム
JP2012068299A (ja) 2010-09-21 2012-04-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68954B2 (ja) * 2010-09-27 2015-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675269B2 (ja) * 2010-10-22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処理装置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6015A1 (en) 2014-12-25
CN104238973A (zh) 2014-12-24
EP2816414A1 (en) 2014-12-24
US9547812B2 (en) 2017-01-17
JP2015003477A (ja)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91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40148319A (ko)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201201855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ハイバネーション起動方法
JP20140855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03407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9705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1090283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3646B2 (ja) 画像形成装置
JP45744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US8305598B2 (en) Image-forming apparatus
US90700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KR10131778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589676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02201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용 제어 방법
JP4590292B2 (ja) 画像形成装置
JP6061531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53046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984350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90457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印刷装置
CN106476446B (zh) 打印装置和用于打印装置的控制方法
US20190246001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at selectively perform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based on a detected sheet size
JP6265116B2 (ja) 画像形成装置
EP3115849A1 (en) Select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select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5823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