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757A - 다성분 구강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성분 구강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757A
KR20140143757A KR1020147025290A KR20147025290A KR20140143757A KR 20140143757 A KR20140143757 A KR 20140143757A KR 1020147025290 A KR1020147025290 A KR 1020147025290A KR 20147025290 A KR20147025290 A KR 20147025290A KR 20140143757 A KR20140143757 A KR 2014014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de
apatite
oral care
care composi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힐
알란 제이 콜링스
이안 베인즈
데이비드 지 길럼
Original Assignee
페리오프로덕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오프로덕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페리오프로덕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4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 칼슘 이온의 공급원, 포스페이트 이온의 공급원, 및 안정화된 이산화염소을 포함하며, 치약, 구강 스프레이 또는 마우스 워시/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성분 구강 헬스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내의 여러가지 상이한 성분들은 대상자 구강의 치아와 점막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의 외관을 변화시키거나 불쾌취를 교정하기 위해, 이들을 세정하고, 향기를 부여하거나 보호하는데 있어서 함께 상승작용을 한다. 이들은 치아우식증을 억제하고, 치아 재광화를 촉진하며 상아질 과민성,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을 완환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다성분 구강 케어 조성물{MULTICOMPONENT ORAL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은 치약, 구강 스프레이 또는 마우스 워시/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성분 구강 헬스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 내의 여러 상이한 성분들은 대상자의 구강 내의 치아 및 점막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치아와 점막을 세정하고 이들에 향을 부여하거나 보호하여 이들의 외관을 변화시키거나 불쾌한 냄새를 바로잡는데 있어서 한데 상승 작용을 한다. 이들은 치아우식증(caries)을 억제하고, 치아 재광화(remineralization)를 촉진하며 상아질 과민증상,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사람과 동물에 있어서 치아 무기질은 칼슘 아파타이트, Ca5(PO4)3OH에 기초한다. 천연의 치아 아파타이트는 고도로 고체 치환되어 있으며 결정 격자 중의 Ca2 +양이온은 예컨대 Sr2 +, Mg2 + 또는 Zn2 +에 의해, 또는 2개의 Na+ 양이온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포스페이트 (PO4)3- 음이온은 카보네이트 이온 (CO3 2 -)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며, Na+ 양이온은 Ca2 + 양이온을 대체하거나 또는 히드록실 이온 (OH-)의 보조 손실될 수 있다. 히드록실 이온은 또한 플루오라이드 이온 (F-)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이 후자의 치환은 치아 법랑질에서 쉽게 일어나며 몇 가지 이로운 효과가 있다. 칼슘 아파타이트의 결정 구조에서, 히드록실 이온은 Ca(II) 이온들의 삼각 평면에서 약간 위쪽에 위치하는 반면 (도 3 참조), 이보다 크기가 작은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Ca(II) 삼각형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히드록시아파타이트(HA)는 약간 왜곡된 단사정(monoclinic crystal) 구조를 갖는 반면, 플루오르아파타이트는 보다 대칭적인 육방정(hexagonal crystal)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플루오르아파타이트는:
i) 산 용해에 대해 보다 안정하고 치아우식 형성 세균에 의해 생산된 산에 대해 보다 내성이 크며;
ii) 보다 잘 형성되는데, 이는 플루오르아파타이트가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비해 용해도가 더 낮은 생성물을 갖기 때문이다.
이들 두 가지 인자의 결과, 지난 50년간 가용성 플루오라이드 염이 치약, 마우스 린스 및 음용수에 첨가되어 왔으며, 치아우식 치료에 있어서 플루오라이드의 역할은 잘 문서화되어 그 역할이 널리 인식되어 왔다. 플루오라이드의 예방적 수단으로서의 사용은 잘 확립되어 있다.
세균의 활동의 결과로서 치아에 형성되는 플라크는 이를 닦는 행위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플라크는 마우스에서 칼슘 플루오라이드(CaF2)와 같은 플루오라이트-유사 종(플루오르ite-like species)이 형성되는 곳으로 알려진, 입 안의 플루오라이드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 치아 플라크 (치태:dental plaque) 생체막의 축적은 한편으로는 플루오라이드 저장소로서 요구되는 반면, 치아우식과 치은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산-생성 세균 공급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치주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의 존재는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플루오라이드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결정 내에 집적되어, 크기가 더 커지고 덜 용해성인 결정을 만들어낸다. 이들 결정들은 덜 녹고 덜 반응성이므로, 이들은 산 용해에 대해 보다 안정적이고 충치-형성 세균에 의해 생산된 산에 대해 내성이 보다 강하며, 미생물 대사의 산 부산물에 의한 치아 구조의 용해가 쉽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결정에 미치는 플루오라이드의 작용은 치아우식 및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최소화에 도움이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타액 중의 유리 플루오라이드는 타액 분비 및 교환에 의해 급속히 희석된다. 타액 분비속도는 개인차가 매우 크고 하루에도 계속 변하며, 수면 중에는 거의 제로에 가깝게 감소한다. 타액 분비속도는 대개 하루 동안 약 0.25 내지 1.2 ml/분인 반면, 타액 용량은 대체로 약 1-10 ml이다. 또한, 타액 분비속도는 나이가 들수록 그리고 흡연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법랑질 및 초기 치아우식 병변으로의 플루오라이드 흡수(uptake) 그리고 결과적인 플루오르아파타이트의 형성은 플라크의 존재에 의해 지연된다. 플라크는 플루오라이드 흡수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플라크가 없으면, 법랑질로의 플루오라이드 흡수는 매우 급속히 일어난다. 플루오르아파타이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재광화가 플루오라이드에 더해 Ca2 + 및 PO4 3 - 이온의 두 가지 공급원 모두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루오라이드는 칼슘과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용액에서 플루오르아파타이트 결정의 침전을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치아의 탈회(demineralisation)를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한 증거는 플루오라이트가 철 흡수를 향상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 칼슘 및 포스페이트는 타액 자체로부터 나올 수 있다. 그러나, 특히 고령자와 흡연자와 같이 타액 분비속도가 낮은 개체에 있어서나, 타액 분비 속도가 감소되는 밤 시간대에는, 치약 자체에 F-, Ca2 +, 및 PO4 3 -의 추가 공급원이 들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F-, Ca2 +, 및 PO4 3 -의 가용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더욱 좋기로는, 잘 녹지 않는 미립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미립자는 입자가 치아 및 잇몸에 부착되고 서서히 용해되는 결과, 칼슘과 포스페이트의 조절 방출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생물활성 글라스(bioactive glasses), 및 특히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들 수 있다.
연구 결과 구강의 그램-음성 혐기성 세균와 몇몇 다른 구강 세균 종들은 히드로겐 설파이드 메틸 메르캅탄 및 디메틸 설파이드와 같은 휘발성 황 화합물(VSC: volatile sulphur compounds)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불쾌한 냄새를 풍기는 VSC는 주로 인간이나 동물 대상체의 구강 내에서 발견되는 함황 아미노산, 펩톤 또는 단백질에 대한 구강 미생물의 부패 작용을 통해 생성된다. 이 기질들은 타액 및 치태에서 쉽게 이용가능하거나 또는 단백질 식품 입자 및 박리된 구강 상피 식품 잔여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ClO2)는 클로라이트 이온 및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안정화제는 예컨대 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보네이트 완충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된 이산화염소의 pH가 중성 pH 미만으로 떨어지면, 분자 이산화염소 래디칼이 방출된다. 이산화염소는 인간이나 동물 대상체 구강 내의 세균에 대해 살균 및 정균 효과를 갖는다. 안정화된 이산화염소는 미생물의 세포벽과 반응하고 (세포벽 막 내의 단백질과 지방을 변화시킴), 강력한 산화제로서 작용하며(생체막을 함께 유지하는 다당류 매트릭스를 산화시킴), 곰팡이, 세균 및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킨다.
이산화염소는 플라크 형성, 치아우식증, 치은염 및 치주 질환에 관련된 세균을 죽이고, 구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이산화염소가 플라크-형성 세균을 파괴함에 따라, 이것은 물리적인 칫솔질과 연계하여, 플라크 제거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플라크 제거는 플루오라이드,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이 탈회된 치아 표면에 도달하는데 장애가 되는 물리적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치아 표면의 재광화를 촉진 및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 기술 분야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플라크 양의 최소화 및 치아 재광화를 용이하게 해주는 보다 효과적인 구강 케어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i)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
ii) 칼슘 이온의 공급원;
iii) 포스페이트 이온의 공급원; 및
iv)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들 성분들은 오늘날까지 단일 구강 케어 조성물에서 한데 사용된 적이 없다. 이 성분들의 조합은 놀랍게도 이들 각각의 성분들을 개별적인 베이시스로 사용한 경우 또는 이들 성분들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관찰되는 효과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거나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가용성 플루오라이드 염이다. 본 발명에서 상정되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예시적인 공급원으로는 소듐 플루오라이드, 포타슘 플루오라이드, 디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주석(II) 플루오라이드 (플루오르제일주석: stannous 플루오르ide), 디포타슘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칼슘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칼슘 플루오라이드,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헥사데실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N-헥사데실-N-2-히드록시-에틸암모니오) 암모늄 디플루오라이드, N,N',N'-트리스(폴리옥시에틸렌)-N-헥사데실-프로필렌디아민디히드로플루오라이드 디소듐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디포타슘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암모늄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마그네슘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또는 암모늄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이들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플루오라이드 농도가 불소로서 약 20 내지 약 1500 ppm이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구강 케어 조성물 중 농도가 약 0.1% 내지 약 3.0% (w/v), 일반적으로 약 0.25% 내지 약 2.0% (w/v), 더욱 일반적으로는 약 0.50% 내지 약 1.5% (w/v), 더더욱 일반적으로는 약 1.00% 내지 약 1.2% (w/v)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칼슘 이온과 포스페이트 이온은 나노결정성 아파타이트와 같은 아파타이트 종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나노결정성(Nano-crystalline)이라 함은 미결정(crystallite)의 크기가 100 nm 미만임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아파타이트의 미결정 크기는 쉐러 라인(Sherrer Line) 확장법을 이용하여 X선 회절 선으로부터 구한다. 이 방법에서, 002 반사도의 절반 높이의 폭 β002는 c축 방향의 미결정 길이에 반비례하며 다음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D = 0.9 λ/(β002cosθ)
식 중 D는 미결정 크기로서 nm 단위이고; λ는 입사 X선의 파장, 0.154 nm; β002는 002 반사(002 reflection)의 절반 높이에서의 폭이고 cosθ는 X선 입사각 (25.85o)의 코사인이다. 002 반사는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용어로서 예를 들면 'Elements of X선 Diffraction' (3rd Edition); B.D. Cullity (2001); Addison-Wesley Chapter 2; ISBN-10: 0201610914에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은 작은 nm 크기의 결정들에 있어서 무시할만한 기기선 확장(instrumental line broadening)을 무시하고 격자 및 고체 치환 효과에 있어서 스트레인 효과 역시 무시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단일의 한 가지 구강 케어 조성물 중에 플루오라이드, 칼슘, 포스페이트, 및 안정화된 이산화염소의 독특한 조합인 것으로서, 이들은 상승적으로 치아우식증을 억제하고, 치아의 재광화를 촉진하며 상아질 과민성, 치은염 및 치주 질환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따라, 이 조성물은 적절한 완충 시스템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정되는 예시적인 완충 시스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예컨대 치약, 구강 스프레이 또는 마우스 워시/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에 함유되거나 또는 구강 위생을 증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포뮬레이션에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포뮬레이션들은 물론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을 이용하면 함유된 성분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서 초기 치아우식증 병변의 재광화를 훨씬 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공급원은 플루오르아파타이트을 형성하기 n이한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제공하는 반면,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칼슘 이온과 포스페이트 이온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할 수 있고 이산화염소는 플라크를 형성하는 세균을 사멸시킨다. 이 조성물을 사용하면 플라크가 실질적으로 제거되고 치아 구조 내로의 Ca2 +, PO4 3 - 및 F- 이온의 흡수를 용이하게 해주며 재광화를 일으킨다. 이 조성물의 효과는 치아의 물리적 칫솔질과 조합 사용될 경우 더욱 증강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파타이트는 화학식 M5(PO4)3X에 기초하는데, 여기서 M은 Ca, Sr, Zn 또는 Mg일 수 있고, X는 F, Cl 또는 OH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특정한 아파타이트 화합물들은 따라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르아파타이트,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히드록시카보네이트화 아파타이트, 예컨대, 칼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칼슘 히드록시카보네이트화 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히드록시카보네이트화 아파타이트, 칼슘 플루오르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플루오르아파타이트, 혼합된 스트론튬/칼슘 아파타이트 또는 혼합된 히드록시플루오르아파타이트, 아연 치환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아연 카보네이트화히드록시아파타이트, 아연 플루오르아파타이트, 또는 옥타칼슘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용액은 구강 케어 조성물 중 약 0.05% 내지 약 2.0% (w/v), 전형적으로 약 0.075% 내지 약 1.0% (w/v), 더욱 전형적으로 약 0.10% 내지 약 0.5% (w/v), 더더욱 전형적으로 약 0.12% 내지 약 0.2% (w/v)의 농도를 가지고 및/또는 pH 또는 be buffered to a pH of between 약 6.0 및 약 8.0의 pH, 전형적으로는 약 7.0 및 약 8.0의 pH를 갖거나 이러한 pH를 갖도록 완충될 수 있다.
조성물이 치약 포뮬레이션으로 사용될 경우,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약 300 ppm 내지 약 1500 ppm의 플루오라이드 이온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조성물이 마우스 워시 또는 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으로서 사용될 경우,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의 활성 플루오라이드 이온 농도는 약 5 내지 약 500 ppm일 수 있다. '활성(active)' 플루오라이드 이온 농도라 함은 유리 상태이고 반응에 이용가능하여 재광화 공정에 참여하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양을 의미한다. 사용되는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에 따라, 이것은 전체적인 구강 조성물 중의 총 플루오라이드 이온 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산성화의 추가 구강 공급원을 사용하지 않고, 구강 내에서 가스상 이산화염소를 사용하기 위해,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용액을 칼슘 이온의 공급원, 포스페이트 이온의 공급원 및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과 조합 사용하는 용도가 제공된다. 칼슘 이온 및 포스페이트 이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파타이트 종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아파타이트는 구강 케어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3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아파타이트는, 아파타이트 질량의 적어도 약 3%의 크기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이되 상기 아파타이트는 미결정 크기가 약 200 nm 미만인 입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아파타이트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아파타이트는, 아파타이트 질량의 적어도 약 3%의 크기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이되 상기 아파타이트는 미결정 크기가 약 30 내지 약 50 nm 미만인 입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아파타이트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입자 질량의 적어도 50%는 입도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매, 농후제 또는 점도 조절제, 연마제, 풍미제, 방향성 성분, 보습제, 감미료, 캐리어, 재광화제, 필름형성제, 완충제, 냉각제, pH 조정제, 산화제 및 착색제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성분들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예로는 글리세롤, 물, 수화 실리카, 셀룰로스 검,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트리소듐 사카린, 멘타 추출물, 시트르산, 리모넨, 리날울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우스 워시 또는 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의 일 구체예에서, 이 포뮬레이션은 현탁액 중 HA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의가소성(pseudoplastic) 흐름을 나타내는 고수율 값을 갖는 선형 다당류 폴리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단당류 상의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가 카르복실기(R-COOH), 아실기(RCO-) 또는 설페이트기(R-OSO3 -)를 포함하는 관능기로 치환된 선형 다당류 검이 사용된다. 치환된 다당류의 이러한 종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긴, 잔탄 검, 젤란 검 및 카라기난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대상자의 구강 점막 및 치아를 우수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의 외관을 변화시키거나 불쾌취를 교정하기 위한 이들의 세정, 이들에 대한 향기 부여 또는 보호시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의 사용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아질 과민성(상아질 hypersensitivity)에 관한 것이다. 상아질 과민성은 치아 상아질 내부의 신경이 노출될 때 느껴지는 것으로, 차거나 더운 음식이 입 안으로 들어옴으로 해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기계적 자극과 연관된 통증을 일으킨다. 이것은 인구의 40% 이상에서 흔히 발생한다. 이것은 노출되어 개방된 상아질 세관으로 유체가 흘러들어감에 따른 결과로, 이로 인해 압력 변화가 야기되고 이것이 치아의 치수강에서의 신경 전달을 유발한다. 상아질 세관은 다음의 3가지 원인, 즉:
i) 잇몸이 퇴축되어 상아질을 노출시키는 치은 퇴축;
ii) 치아우식증 또는 산 부식의 결과로 인한 법랑질 손실; 또는
iii) 칫솔질에 수반되는 연마 마모의 결과로 인한 법랑질 손실
로 인해 노출되게 된다.
이에 대한 처치는 주로 상아질 세관을 밀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종종 상아질 세관을 폐색시키도록 고안된 특수 치약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아질 세관 개구부는 보통 직경이 약 2-5 마이크론이다.
이들 세관을 폐색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세관의 정상부 표면에 어떤 물질을 침착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접근법,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입자의 크기를 상아질 세관의 개구부와 필적하게 함으로써, 입자들이 세관 내로 유입되어 세관을 폐색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상아질 세관을 침투하는데 유효한 숫자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크기를 갖는 입자들이 충분히 많이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치아의 재광화 또는 상아질 과민성의 치료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구강 케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대상자의 구강의 치아와 점막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들을 세정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또는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 아파타이트는 구강 케어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3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아파타이트는 입자 질량의 적어도 약 3%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의 크기를 갖되 여기서 상기 아파타이트의 미결정 크기는 약 200 nm 미만인 입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파타이트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아파타이트 입도 분포는 입자 질량의 적어도 약 15%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의 크기를 갖되 여기서 상기 아파타이트 미결정 크기는 약 30 내지 약 50 nm인 입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파타이트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로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입자 질량의 적어도 약 50%는 입도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도 제공된다.
나노-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와 같은, 치약 중의 아파타이트 종은 약 100 nm 미만의 크기와 용이한 용해를 위해 커다른 표면적을 갖는 작은 미결정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아질 세관을 폐색시킬 수 있는 보다 큰 입자들은 수백개의 미결정들이 한데 응집되어 직경이 약 0.1 내지 5 마이크론인 구형 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아질 세관의 개구부와 유사한 크기가 된다.
표 1에, 나노-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범위로부터의 입도 데이터를, 특정 수치 미만의 부피 분획을 나타내는 D10, D50 및 D90 값으로 나타내었다. 표로부터, 이들이 상아질 세관의 개구부와 크기가 유사하고 따라서 상아질 세관을 폐색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1
모든 카보네이트 함량은 <1% 였고 너무 낮아서 정량할 수 없다. 검출된 카보네이트는 합성 도중 순수하게 대기 오염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목적이 아니라 설명 목적을 위해 제공된 도면들을 참조로 추가의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개방된 상아질 세관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세관 정상부가 침전 물질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상아질 세관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산-엣칭 처리된 상아질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폐색시킨 후의 상아질 세관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나노-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 (nHA)의 X선 분말 회절 패턴과 마이크로-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7a는 인간 어금니의 관상 중앙면의 엣칭 처리된 상아질 표면을 나타낸다.
도 7b는 생체막을 모방하는 뮤신-코팅된 상아질 표면을 나타낸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그러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대신 실리카 분말을 함유하는 이산화염소 치약으로 처리 후의 치아 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적용한 후 어금니의 치아 표면의 경도 값을 나타낸다.
도 9는 미처리 법랑질 샘플, 탈회된 법랑질 샘플 및 본 발명에 따른 치약으로 처리된 법랑질 샘플의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미처리 법랑질 샘플, 탈회된 법랑질 샘플 및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워시로 처리된 법랑질 샘플의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워시 중의 총 플루오라이드의 양을 재광화에 이용가능한 활성 플루오라이드 또는 유리 플루오라이드의 양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이용한 탈회 및 처리 동안의 법랑질 중량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워시를 이용하여 1일간 처리된 표면의 상아질 표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4 x 2분 처리 후, 재광화).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으로 칫솔질을 한 후 상아질 세관을 통한 플루이드 흐름의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개방된 상아질 세관의 주사 전자 현미경을 나타낸다. 이들 세관ㅇㄹ 폐색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세관 정상부의 표면 위에 물질을 침전시키는 것이다. 이 방식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세관 정상부에 물질 (이 경우, Colgate ProRelief)이 도시되어 있다. 보이는 바와 같이, 세관의 개구부가 많이 막혀있지는 않다.
도 3은 산 엣칭된 상아질, 즉 관상 중앙부를 통해 절제된 어금니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2분간 6%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산 엣칭 처리되었다. 세관들이 선명하게 보인다. 도 4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은 7.5 중량%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치아에 적용된 후의 이들 동일한 세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아질 세관들이 조성물 내의 입자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폐색됨에 따라, 상아질 세관을 통한 플루이드 흐름이 방지되어 대상자의 통증이 최소화된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도 5에서, 크기가 작은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Ca(II) 트라이앵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반면, 히드록실 이온은 Ca(II) 이온의 트라이앵글면의 약간 윗쪽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에는, 나노-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nHA)의 X선 분말 회절 패턴과 크기가 보다 큰 마이크로-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X선 회절 패턴이 비교 도시되어 있다. nHA의 회절 패턴이 마이ㅋ로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비해 더 뚜렷한 선 확장성(line broadening)을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다. Sherrer 라인 확장 분석법을 이용할 때 nHCA는 결정 크기가 30 내지 50nm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치약 포뮬레이션의 제조 방법은 다음 공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용기에, 정제수 BP를 첨가하고 교반을 개시한다. 소듐 사카린,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및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첨가하고 용해시킨다. 글리세린과 셀룰로스 검을 완전히 예비혼합하고 고전단 혼합을 이용하여 주용기에 첨가한다. 수화된 실리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첨가하고 매끄럽고 균질한 페이스트가 생성될 때까지 고전단 하에 혼합한다. 내용물의 온도를 40℃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차가운 물로 냉각되는 쟈켓이 용기에 구비되어 있다.
멘톨, 페퍼민트 오일 BP & 스피어민트 오일 BP를 별도의 용기에서 예비 혼합하여 분말 혼합물을 만든다. 이어서 이것을 주용기 내의 페이스트에 혼합하면서 첨가한다.
이산화염소 5% 용액 (등록상표 블렌드)을 혼합과 함께 페이스트에 첨가하고 페이스트의 pH를 구연산/정제수 BP 프리믹스를 이용하여 적절히 교반하면서 상세에 맞게 조정한다.
최종 치약 포뮬레이션은 1250 ppm의 이산화염소, 10900 ppm의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불소와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원자량과 분자량 (각각 19 및 145임)을 이용하여 계산시,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중 1428 ppm의 플루오라이드에 맞먹음) 및 75000 ppm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구강 린스 또는 마우스 워시 포뮬레이션의 제조방법을 다음 공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용기에 정제수 BP/EP를 첨가하여 80℃ (±5℃)로 가열한다. 이어서 물을 교반하고 인-라인 고전단 균질화기를 통해 재순환시킨다.
Kelcogel HA (고 아실 함량 젤란 검 - 글루코스, 람노스 및 글루쿠론산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다당류로서 매 글루코스 단위마다 치환기 글리세레이트 모이어티가 있고 하나 걸러(every second) 글루코스 단위마다 아세테이트 모이어티가 있음) 및 Cekol 4000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폴리머, 응집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생체부착을 돕는다)을 글리세롤에서 예비 혼합하여 습윤시킨다. 예비 혼합물(프리믹스) 함유 글리세롤을 열수에 첨가한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고 냉각 전에 15분간 균질화시킨다.
물의 온도가 ≤65℃에 도달하면,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용기에 첨가한 다음 소듐 시트레이트,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및 소듐 사카린을 첨가한다. 혼합물에 Na+ 이온df 도입하면 고 아실 함량 젤란 검이 농후화되어 플루이드,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겔이 형성된다. 혼합과 균질화를 계속한다.
용기 중 혼합물의 온도가 ≤55℃에 도달하면,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첨가한다. 혼합물이 완전히 분산되어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교반과 균질화를 계속한다. 이어서 균질화기의 작동을 멈추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더 냉각시킨다.
별도의 용기에서, 폴리소르베이트 20, PEG-60 수소첨가된 카스터 오일, Frescolat MGA 및 Coolmint FL72627을 첨가함으로써 풍미제 예비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성분들을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철저히 혼합한다.
용기 중 혼합물의 온도가 ≤40℃에 도달하면, 소듐 벤조에이트를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어서 풍미제 예비 혼합물을 주용기에 첨가하고 혼합을 계속한다.
용기 중 혼합물의 온도가≤35℃에 도달하면, 클로린 디옥사이드 용액을 첨가한다. 균질화기의 작동을 멈추고 혼합물을 혼합하고 적어도 15분간 균질화시킨다.
이어서 시트르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15분간 더 혼합하여, 생성물의 pH가 8.0-8.5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균질화 및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생성물을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최종 마우스 워시 또는 구강 린스 포뮬레이션은 1250 ppm의 이산화염소, 5000 ppm의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다시 불소와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원자량과 분자량을 각각 이용하여 계산시,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중 655 ppm의 플루오라이드에 맞먹음), 및 50000 ppm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측면들 중 하나는 이산화염소를 아파타이트 및 플루오라이드와 함께 조합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포뮬레이션 중 이산화염소의 역할은 치아 표면으로부터, 특히 노출된 상아질 표면으로부터 플라크와 생체막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상아질 세관이 개방되어, 아파타이트 입자에 의한 상아질 세관의 후속적인 폐색이 용이해진다. 종래, 상아질 세관에 대한 실험실 연구에서, 인간 어금니의 관상 중앙부의 폐색은 6% 시트르산 또는 35% 오르토인산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이산화염소는 치약 또는 구강 린스에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한다.
도 7a는 상아질 세관을 열기 위해 2분간 6% 시트르산으로 처리한 후 흔한 타액 단백질인 2.5% 뮤신 용액으로 페인트칠하고, 공기 건조시킨 다음 10% 포르말린 용액으로 안정화 처리가 행해진 인간 어금니의 관상 중앙부의 SE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방법을 물에 안정한 단백질 생체막을 생산하도록 반복하였다. 이 처리 후 세관들이 생체막으로 폐색된 것을 볼 수 있다(도 7b). 표 2에 기초한, 그러나 포뮬레이션 내의 폐색제, 히드록시아파타이트가 실리카 분말로 대체된 치약을 2분간 치아 표면에 적용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치약 내의 이산화염소는 단백질 층을 분해하여 상아질 세관을 개방시킨다(도 7c). 그러나, 치약 내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첨가된 실리카가 부정적인 방식으로 작용하여 상아질 세관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폐색시킨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산화탄소가 없는 포뮬레이션의 적용은 상아질 세관을 개방시키는데 실패하였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들 중 하나는 아파타이트가 플루오라이드 공급원과 연계하여 재광화를 촉진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특히 산 부식, 초기 치아우식증에 의하여 잃어버린 치아 미네랄을 대체하거나, 또는 상아질 세관을 폐색시키는 아파타이트를 보다 내구성이 좋은 불소첨가된(플루오르idated) 아파타이트로 전환시키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다음의 2 가지 기술에 의해 설명된다:
i) 표면 마이크로-경도 측정: 이는 무기질 함량 증가가 경도 증가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는
ii) 법랑질 슬라이스를 이용한 19F 고체상 핵자기공명 분광광도법을 이용하는 불소첨가된 아파타이트 형성의 직접적 증거 및 관련된 중량 변화 및 플루오라이드 측정.
마이크로-경도 테스트에 의한 법랑질 재광화의 정량
다음 실험 프로토콜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 어금니 15개를 모아, 소독하고, 수지에 매립시키고 종단면이 드러나도록 연마하고 1 마이크론 다이아몬트 페이스트로 마감하였다. 50 g 하중 하에 15초 동안, Vicker's 인덴터를 이용하여 법랑질 경도를 마이크로경도 테스터(Duramin-1/-2; Struers, Copenhagen, Denmark)로 평가하였다. 샘플 당 10개의 압흔(indentations)을 내었다. 2개의 대각선 방향의 압흔 길이를 측정한 다음, 이를 아래 방정식에 따라 마이크로경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02
식 중 F는 킬로그램-힘(kgf), A는 인덴터의 포인트 면적이고 d는 인덴터에 의한 좌대각의 평균 길이를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다.
치아 표본들을 탈회 용액(치아우식증이 일어나는 동안 산으로 인한 공격을 모방하기 위한 pH = 4.5, 50 mM 아세트산)에서 탈회시킨 다음 다시 한번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치약을 치아 표면에 적용하고 다시 경도를 측정하였다. 도 8은 경도 값을 나타낸다. 산 공격 후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만, 치약에 노출된 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므로 이는 재광화의 명백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루오르아파타이트 형성의 19 F MAS - NMR 연구
치아우식증이 없는 제1 어금니 및 소구치를 수집하여 3%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 용액에 24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치아를 아크릴산 수지에 장착하고 환식 다이아몬드 블레이드(Microslice 2, Malvern Instrument, UK)를 이용하여 슬라이스로 만들어 법랑질 섹션들(약 6 x 5 x 1 mm3)을 얻었다. 과다 상아질 부분은 P600 실리콘 카바이드 페이퍼로 연마하여 제거하였다.
이어서 탈이온수로 법랑질 블록들을 세정하고, 공기 중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디지털 마이크로밸런스를 이용하여 칭량하였다. 각각의 법랑질 섹션을 50 ml 아세트산 용액(0.1 M, pH = 4.0)에 침지시키고 37℃ 인큐베이터(KS 4000 I control, IKA)에서 60 rpm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법랑질 표본들을 본 발명에 따른 치약에 침지시켰다. Ultradex 치약 (아세ㅌ산 용액 (pH = 4.0)으로 1:10으로 희석하여 0.1M 최종 용액을 만들어, 실제 구강 상황을 모방함)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워시에서, Ultradex 재석회화 및 미백(Recalcifying 및 Whitening) 구강 린스 처리 용액 (0.2 M 아세트산 용액 (pH = 4.0)을 이용하여 두 가지 모두 1:2로 희석하여 실제 구강 상황을 모방함) 인큐베이터로 다시 되돌리고, 96 시간 동안 6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처리 후, 법랑질 블록들을 세척, 건조 및 칭량하였다. 법랑질의 중량 감소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법랑질 샘플(미처리, 24시간 탈회 및 탈회 후 처리된 것)을 20 Hz 하에 15초 동안, 25 ml 지르코니아 연마 단지를 이용하여 진동 밀 (MM200, Glen Creston Ltd, UK)로 분말이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어서 600 MHz (14.1T) Bruke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고상 NMR 실험에 이 분말을 이용하였다. 18 및 21 kHz에서 2.5 mm 로터 회전과 함께, 564.7 MHz의 공명 주파수로 19F 고상 NMR 측정을 실시하였다. 8회의 예비적인 더미 스캔 및 60초의 리사이클링 지연을 이용한 철야 스캔에 의해 스펙트럼을 얻었다. CF3Cl 주요 표품에 상대적으로 -120 ppm으로 스케일된 1M NaF 용액으로부터의 시그널을 이용하여 화학 이동을 참고삼았다.
NMR 스펙트럼은 미처리 법랑질 샘플과 탈회처리된 법랑질 샘플 모두에 있어서 평평한 선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 따라서, 두 가지 샘플 모두에서 플루오라이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것은 본래의 치아 샘플에는 플루오라이드가 유의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어서 치약과 구강 린스 샘플에 대한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HA와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MFP) 두 가지가 모두 함유된 치약은, MFP 단독 처리된 샘플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103 ppm의 화학 이동과 함께 플루오르아파타이트의 존재를 가리켰는데, 이 위치는 플루오르아파타이트에서의 불소의 화학 이동 (-102 ppm)과 거의 동일한 것이다. HA 치약 단독은 좋기로는
본래의 치아에 아마도 존재하였을 플루오라이트의 그것과 유사하게 매우 작은 시그널을 시그널을 나타내었다. 구강 린스로 처리된 법랑질 샘플은 약 -103 ppm에 중심을 둔 광범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탈회 처리 후, Ultradex Recalcifying and Whitening 치약 및 본 발명의 구강 린스 처리가 플루오르아파타이트 형성을 유발하였음을 나타낸다. 플루오르아파타이트에 대한 참고 스펙트럼은 순수한 합성 플루오르아파타이트에 기초하였는데, 이는 -102 ppm에서 화학 이동이 있는 뚜렷하게 샤프한 피크를 보였다. 치아 법랑질을 포함하는 아파타이트는 화학양론적이라기 보다 형성된 고체 입자이다. 이것은 Ca2 + 대신 마그네슘(Mg2 +) 및 망간(Mn2 +), 히드록실 (OH-) 대신 플루오라이드 (F-), 포스페이트 (PO4 3 -) 대신 카보네이트(CO3 2-)와 같은 다른 이온들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정 구조는 왜곡된다. 따라서, 탈회 및 후속적인 재광화에 의해, 형성된 플루오르아파타이트 결정들은 약간 흐트러진다. 이것은 Ultradex Recalcifying 및 Whitening 치약과 본 발명의 구강 린스로 처리된 법랑질의 스펙트럼이 플루오르아파타이트 레퍼런스와 비교시 더 광범한 피크를 나타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는 재광화를 촉진하고, 형성된 플루오르아파타이트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카보네이트화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비해 산에 대한 내성이 더 크다. 그러나, 포스페이트 이온이 불충분한 고농도 플루오라이드는 바람직하지 못한 칼슘 플루오라이드 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Ultradex Recalcifying 및 Whitening 구강 린스/본 발명의 마우스 워시는 660 ppm F-를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함유하며, 1:2 희석시, 이용가능한 총 F-는 330 ppm이었다. 그러나, 플루오라이드 선택적 전극 (ORION 9609BN PH/ISE 미터 모델 710 A, USA) (도 11)에 의해 검출된, 실제로 이용가능한 F-는 단지 24.5 ppm에 불과하였다. 재광화 후 F-는 19.5였고 이것은 5 ppm의 F- 손실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플루오라이드가 아파타이트 내로 통합됨을 더욱 확인해주는 것이다.
샘플 치약 표면의 중량 감소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MFP 및 HA 두 가지 모두 법랑질 탈회 및 중량 감소를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그러나 중량 감소의 최대 저감은 Ultradex Recalcifying 및 Whitening Oral 치약 처리 (즉 표 2의 조성물)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플루오라이드가 HA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탈회를 억제하고 재광화를 촉진함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도 13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은 본 발명의 마우스 워시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처리된 - 이 경우 1일 동안, 마우스 워시로 2분에 해당하는 처리를 4 로트 실시한 후 재광화 - 치아 표본이 상아질 세관을 폐색시킴으로써 상아질 과민성을 경감시킨다는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였음을 명백히 입증해준다.
도 14의 그래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으로 칫솔질한 후 상아질 세관을 통한 플루이드 프름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세관들이 재광화 공정에서 플루오라이드의 작용에 의해 성공적으로 폐색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과민성 치약의 효능의 척도로서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테스트이다.
따라서, 요약하자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규정된 성분들 중 어느 하나라도 결여하는 기존의 포뮬레이션에 비해 기술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이산화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포뮬레이션을 치아 표면에 적용할 경우, 상기 도 7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생체막을 분해하는데 실패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상아질 세관을 개방시키지 못한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즉, 칼슘 이온과 포스페이트 이온 두 가지 모두의 공급원)를 함유하지 않거나 다른 성분을 대신 사용하는 포뮬레이션을 적용할 경우 개방되 세관들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부분적으로 폐색됨에 따라, 재광화 공정 동안의 이들의 재충전을 방해하여, 상아질 과민성을 치료하는데도 방해가 된다. 마지막으로,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이 결여된 포뮬레이션은 치아의 재광화를 전혀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예시 목적을 위해 설명된 전술한 실시예들로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21)

  1. i)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
    ii) 칼슘 이온의 공급원;
    iii) 포스페이트 이온의 공급원; 및
    iv)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칼슘 이온의 공급원과 포스페이트 이온의 공급원은 아파타이트 종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아파타이트 종은 화학식 M5(PO4)3X에 기초하되, 식 중 M은 Ca, Sr, Zn 또는 Mg이고, X는 F, Cl 또는 OH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아파타이트 종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로아파타이트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아파타이트 종은 칼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칼슘 히드록시카보네이트화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히드록시카보네이트화아파타이트, 칼슘 플루오르아파타이트, 스트론튬 플루오르아파타이트, 혼합 스트론튬 칼슘 아파타이트 또는 혼합 히드록시플루오르아파타이트, 아연 치환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아연 카보네이트화히드록시아파타이트, 아연 플루오르아파타이트, 옥타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 중 2 가지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파타이트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30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고, 및/또는 아파타이트는, 입자 질량의 적어도 약 3%의 크기가 약 5 마이크론 미만이되, 상기 아파타이트는 쉐러 라인(Scherrer Line) 확장법으로 측정시, 미결정들의 크기가 약 200 nm 미만인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소듐 플루오라이드, 포타슘 플루오라이드, 디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tin(II)플루오라이드, 디포타슘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칼슘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칼슘 플루오라이드,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헥사데실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N-헥사데실-N-2-히드록시-에틸암모니오) 암모늄 디플루오라이드, N,N',N'-트리스(폴리옥시에틸렌)-N-헥사데실-프로필렌디아민디히드로플루오라이드 디소듐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디포타슘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암모늄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마그네슘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또는 암모늄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이들 중 2 가지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불소로서 20 내지 1500 ppm의 농도를 갖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치약으로서 사용될 경우, 플루오라이드 농도는 300 내지 1500 ppm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마우스 워시로서 사용될 경우, 활성 플루오라이드 농도는 5 내지 500 ppm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충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완충 시스템은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함유 종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는 약 6.0 내지 약 8.0인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마우스 워시 또는 구강 린스이면, 이것은 선형 다당류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선형 다당류 폴리머는 선형 다당류 검이고, 여기서 단당류 상의 1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는 칼복실기(R-COOH), 아실기(RCO-) 또는 설페이트기(R-OSO3 -)로부터 선택된 기를 포함하는 관능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아의 재광화 또는 상아질 과민성 치료에 사용되는 것인 구강 케어 조성물.
  1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강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마우스 워시 또는 구강 린스 포뮬레이션.
  18. 산성화의 추가 경구 공급원을 사용함이 없이 대상자의 구강에서 가스상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아파타이트 종 및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과 조합 사용되는 안정화된 이산화염소의 용도.
  19. 제17항에 있어서, 안정화된 이산화염소 용액은 농도가약 0.05% 내지 약 2.0% (w/v) 범위인 것인 용도.
  20. 대상자의 구강의 치아 및 점막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의 외관을 변화하거나 불쾌취를 교정하기 위해, 치아와 점막을 세정하고 이들에 향을 부여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강 케어 조성물의 용도.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자의 구강의 치아 및 점막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대상자의 치아와 점막을 세정하고 이들에 향을 부여하거나 보호하는 방법.
KR1020147025290A 2012-02-10 2013-02-04 다성분 구강 케어 조성물 KR20140143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02341.2 2012-02-10
GBGB1202341.2A GB201202341D0 (en) 2012-02-10 2012-02-10 Multicomponent oral care compostion
PCT/GB2013/050250 WO2013117913A2 (en) 2012-02-10 2013-02-04 Multicomponent oral car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57A true KR20140143757A (ko) 2014-12-17

Family

ID=4592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290A KR20140143757A (ko) 2012-02-10 2013-02-04 다성분 구강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4) US9211240B2 (ko)
EP (2) EP2812010B1 (ko)
JP (1) JP6101712B2 (ko)
KR (1) KR20140143757A (ko)
CN (1) CN104254336A (ko)
AU (1) AU2013217399B2 (ko)
BR (1) BR112014019654B1 (ko)
CA (1) CA2863674C (ko)
DK (1) DK2812010T3 (ko)
ES (2) ES2644050T3 (ko)
GB (2) GB201202341D0 (ko)
MX (1) MX343104B (ko)
NZ (1) NZ628772A (ko)
PL (2) PL2812010T3 (ko)
PT (2) PT3207934T (ko)
RU (1) RU2014136229A (ko)
WO (1) WO2013117913A2 (ko)
ZA (1) ZA2014064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9009A1 (en) 2008-07-10 2010-01-14 Micropure,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fungal infections
GB2478478C (en) * 2008-12-22 2020-03-04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demineralization of teeth
US20100233101A1 (en) 2009-02-13 2010-09-16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oxidative consumption of salivary biomolecules
CN105530909A (zh) 2013-07-23 2016-04-27 墨尔本大学 用于牙齿矿化的组合物及方法
RU2716134C2 (ru) 2013-12-24 2020-03-06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олова (II)
RU2720242C2 (ru) * 2014-12-24 2020-04-28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Минерализующие фторсодержащие композиции
CN106619157A (zh) * 2017-01-15 2017-05-10 南通上水电子科技有限公司 防龋抗敏纯净水及其制备方法
WO2018165708A1 (en) 2017-03-14 2018-09-20 The University Of Melbourne Treatment for gingivitis
CA3020197A1 (en) 2017-09-01 2019-03-01 Micropure, Inc. Aliphatic anionic compounds and oxidative compound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acy fo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20105106A (ja) * 2018-12-27 2020-07-09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CN113260592A (zh) * 2018-12-27 2021-08-13 白石钙新加坡有限公司 羟基磷灰石颗粒
JP2021008418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16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17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15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US11759405B2 (en) 2018-12-27 2023-09-19 Sunstar Suisse Sa Composition for oral cavity
JP7341748B2 (ja) * 2019-06-28 2023-09-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24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46102B2 (ja) * 2019-06-28 2023-09-19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41749B2 (ja) * 2019-06-28 2023-09-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28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41751B2 (ja) * 2019-06-28 2023-09-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58088B2 (ja) * 2019-06-28 2023-10-1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465658B2 (ja) 2019-12-27 2024-04-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WO2021138581A1 (en) 2020-01-03 2021-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nap locally administered for promoting periodontal health
GB202020423D0 (en) 2020-12-22 2021-02-03 Univ London Queen Mary Composition comprising calcium phosphate and a bioactive glass comprising fluorine
CN114014288B (zh) * 2021-11-09 2022-12-13 中南大学 一种氟化钙改性羟基磷灰石粉末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35618B (de) 1971-07-13 1977-03-25 Scheller Durodont Dr Mund- und zahnpflegemittel
US4348381A (en) * 1981-05-06 198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al remineralization composition
US4566636A (en) 1983-07-11 1986-01-28 Micropure, Incorporated Producing liquid droplets bearing electrical charges
US4545525A (en) 1983-07-11 1985-10-08 Micropure, Incorporated Producing liquid droplets bearing electrical charges
US4855135A (en) 1984-07-30 1989-08-08 Ratcliff Perry A Method for debriding
US4689215A (en) 1984-07-30 1987-08-25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US4886657A (en) 1984-07-30 1989-12-12 Ratcliff Perry A Method for preventing periodontitis
US4889714A (en) 1984-07-30 1989-12-26 Ratcliff Perry A Method for retarding dental plaque by killing streptococcus sanguis
US4818519A (en) * 1986-12-29 1989-04-04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plaque formation and plaque dependent diseases
US4837009A (en) 1986-03-31 1989-06-06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plaque formation and plaque dependent diseases
US4975285A (en) 1984-07-30 1990-12-04 Ratcliff Perry A Method for cleaning dental prosthetic devices
US4793989A (en) 1984-07-30 1988-12-27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US4788053A (en) 1984-07-30 1988-11-29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US4696811A (en) 1984-07-30 1987-09-29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JPS63501692A (ja) 1985-10-01 1988-07-14 マイクロピュア−・インコ−ポレ−テッド 帯電した液滴の形成
AU4953585A (en) 1985-10-01 1987-04-24 Micropure, Inc. Producing liquid droplets bearing electrical charges
IT1208577B (it) 1985-10-07 1989-07-10 Micropure Inc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produrre goccioline di liquido cariche elettricamente.
US4792442A (en) 1986-03-31 1988-12-20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US4925656A (en) 1986-03-31 1990-05-15 Ratcliff Perry A Method for retarding formation of dental plaque
US4851213A (en) 1986-03-31 1989-07-25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due to S. Sanguis
US4786492A (en) 1986-03-31 1988-11-22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EP0461105B1 (en) 1986-03-31 1996-09-18 RATCLIFF, Perry, A.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plaque formation and plaque dependent diseases
US4808389A (en) 1986-12-29 1989-02-28 Ratcliff Perry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US5348734A (en) 1990-11-20 1994-09-20 Micropure Inc. Oral health preparation and method
US5200171A (en) 1990-11-20 1993-04-06 Micropure, Inc. Oral health preparation and method
EP0613678B1 (en) 1986-12-29 1997-11-19 Micropure, Inc. Oral care composition
GB8811828D0 (en) 1988-05-19 1988-06-22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s
US4902498A (en) * 1988-06-01 1990-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GB8927073D0 (en) 1989-11-30 1990-01-31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s
US5052590A (en) 1990-05-09 1991-10-01 Ratcliff Perry A Resealable dual compartment container
US5112479A (en) 1990-05-30 1992-05-12 Micropure Filtration, Inc. Oil purification unit with cyclonic reservoir section and filtration section
ATE160286T1 (de) 1993-03-02 1997-12-15 Micropure Inc Mundpflegemittel
US5302373A (en) * 1993-06-10 1994-04-12 Church & Dwight Co., Inc. Liquid mouthwash containing a particulate bicarbonate suspension
US6200557B1 (en) 1993-07-06 2001-03-13 Perry A. Ratcliff Method of treating HIV by a topical composition
US5489435A (en) 1993-07-06 1996-02-06 Ratcliff; Perry A.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bnormal conditions of the epithelium of bodily orifices
US6136348A (en) 1997-12-05 2000-10-24 Ratcliff; Perry A. Compound and method for degrading amino acids
US6114398A (en) 1998-03-03 2000-09-05 Ratcliff; Perry A. Personal lubricant to prevent and stop itching
IT1299563B1 (it) * 1998-07-17 2000-03-16 Giovanni Dolci Uso odontostomatologico di materiali a base apatitica nanostrutturati
US6277363B1 (en) 1998-09-21 2001-08-21 Vortech,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hlamydia infection
US6208881B1 (en) 1998-10-20 2001-03-27 Micropure Medical, Inc. Catheter with thin film electrod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030391A (en) 1998-10-26 2000-02-29 Micropure Medical, Inc. Alignment gauge for metatarsophalangeal fusion surgery
DE19946645B4 (de) 1999-09-29 2012-01-26 Protec Carrier Systems Gmbh Verfahren zum Ablösen eines Foliensystems von einem elektrostatischen Haltesystem
JP3971881B2 (ja) * 2000-02-01 2007-09-05 株式会社サンギ 口腔用組成物
US6582682B2 (en) 2000-10-30 2003-06-24 Noville, Inc.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tabilized chlorine dioxide
US20030003059A1 (en) * 2001-04-03 2003-01-02 Frederic Dana Dentifrice compositions
US6878373B2 (en) 2001-12-03 2005-04-12 Micropure Technologies, Inc. Pro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Bacillus cereus RRRL B-30535
JP2007531771A (ja) 2004-04-01 2007-11-08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溶解可能な歯のホワイトニングストリップ
DE102004025030A1 (de) 2004-05-18 2005-12-15 S&C Polymer Silicon- und Composite-Spezialitäten GmbH Nano-Apatit-Füllstoffe enthaltende härtbare Restaurationsmaterialien
CA2474113A1 (en) 2004-07-26 2006-01-26 Jose Y. Ibusca All-in-one toothbrush, toothpaste, plaque & tartar remover
US20060134020A1 (en) * 2004-12-21 2006-06-22 Robinson Richard S Anti-caries oral care composition with a chelating agent
EP1885325A1 (en) * 2005-04-11 2008-02-13 Remedent NV Foam strip for the delivery of oral care compositions
US20060292092A1 (en) * 2005-06-22 2006-12-28 Deepak Sharma Oral care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GB0524803D0 (en) * 2005-12-05 2006-01-11 Glaxo Group Ltd Novel compositions
WO2007066837A1 (en) * 2005-12-06 2007-06-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Delivery system for tooth whitening component using in situ gelling
PL2705826T3 (pl) 2006-02-09 2020-11-02 The University Of Melbourne Kompozycja fluorku i sposoby mineralizacji zębów
WO2007118689A2 (de) * 2006-04-13 2007-10-25 S & C Polymer Silicon- Und Composite Spezialitäten Gmbh Zahnbleichmittel
WO2008147997A1 (en) 2007-05-24 2008-12-04 Ada Foundation Tooth fluoridating and remineralizing compositions and methods, based on nanoaggregate formation
US7875460B2 (en) 2007-07-09 2011-01-25 Micropure,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in a mouth rinse
US20090016973A1 (en) 2007-07-09 2009-01-15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Oral Disease
US8926951B2 (en) 2007-07-09 2015-01-06 Micropure, In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al disease by penetrating polymicrobial oral biofilms and killing oral pathogens
US20090317339A1 (en) * 2008-06-23 2009-12-24 Deepak Sharma Teeth Bleaching Compositions and Devices
US8697141B2 (en) 2008-08-26 2014-04-15 Micropure,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healing osteonecrosis of the jaw
GB2478478C (en) * 2008-12-22 2020-03-04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demineralization of teeth
US20100233101A1 (en) 2009-02-13 2010-09-16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oxidative consumption of salivary biomolecules
EP2531262B1 (en) * 2010-02-03 2016-05-25 Swissdent Cosmetics AG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precursor of chlorine dioxide and lipophilic excipients
US20120164084A1 (en) 2010-12-22 2012-06-28 Micropure, Inc. Composition and method to flavor or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chlorine dioxide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207934T (pt) 2021-02-01
BR112014019654A8 (pt) 2017-07-11
DK2812010T3 (da) 2017-11-06
US20170182092A1 (en) 2017-06-29
RU2014136229A (ru) 2016-04-10
EP2812010A2 (en) 2014-12-17
ZA201406491B (en) 2016-08-31
JP2015506971A (ja) 2015-03-05
CN104254336A (zh) 2014-12-31
US9211240B2 (en) 2015-12-15
ES2862431T3 (es) 2021-10-07
US20160081892A1 (en) 2016-03-24
CA2863674A1 (en) 2013-08-15
GB2499317A (en) 2013-08-14
PL3207934T3 (pl) 2021-06-14
US9408788B2 (en) 2016-08-09
EP3207934B1 (en) 2020-12-30
PT2812010T (pt) 2017-10-16
MX343104B (es) 2016-10-25
WO2013117913A2 (en) 2013-08-15
PL2812010T3 (pl) 2018-03-30
JP6101712B2 (ja) 2017-03-22
WO2013117913A3 (en) 2014-07-03
GB201202341D0 (en) 2012-03-28
US20180325942A1 (en) 2018-11-15
GB201301794D0 (en) 2013-03-20
EP3207934A1 (en) 2017-08-23
NZ628772A (en) 2016-03-31
US20150017107A1 (en) 2015-01-15
GB2499317B (en) 2014-01-08
EP2812010B1 (en) 2017-07-26
BR112014019654A2 (ko) 2017-06-20
AU2013217399B2 (en) 2017-05-11
ES2644050T3 (es) 2017-11-27
CA2863674C (en) 2018-07-03
MX2014009572A (es) 2015-02-05
BR112014019654B1 (pt) 2020-12-01
AU2013217399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788B2 (en) Multicomponent oral care composition
Enax et al. Synthetic hydroxyapatite as a biomimetic oral care agent.
TWI363633B (en) Biologically active nanoparticles of a carbonate-substituted hydroxyapatit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incorporating the same
TWI555534B (zh) 含四鹼基鋅-胺基酸-鹵化物複合物之口腔保健產品
EP2089040B1 (en) Oral care product
TW201526919A (zh) 包含鋅-胺基酸複合物的口腔用凝膠
WO2013034421A2 (en) Tooth remineralizing dentifrice
CN111093604B (zh) 口腔护理组合物
EP3668604B1 (en) Oral care composition
AU2014327414A1 (en) Dentifrice composition comprising sintered hydroxyapatite
CN108743424B (zh) 一种用于牙齿再矿化的口腔护理组合物
EP3547989B1 (en) Oral care composition
EP3500232B1 (en) Oral care composition
RU2426690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наночастицы замещенного карбонатом гидроксиапатит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включающие их композиции
EP3668478B1 (en) Oral care composition
Chen et al. Hydroxyapatite in Oral Care Products—A Review. Materials 2021, 14, 4865
WO2014124950A1 (en) Novel composition
EA039452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A042242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A038664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