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531B1 - 치아 광화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광화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531B1
KR102221531B1 KR1020167004696A KR20167004696A KR102221531B1 KR 102221531 B1 KR102221531 B1 KR 102221531B1 KR 1020167004696 A KR1020167004696 A KR 1020167004696A KR 20167004696 A KR20167004696 A KR 20167004696A KR 102221531 B1 KR102221531 B1 KR 10222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p
acfp
solution
maintaining
c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229A (ko
Inventor
에릭 찰스 레이놀즈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390281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3902815A0/en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
Publication of KR2016004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61K9/0058Chewing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Confectionery (AREA)
  • Dairy Product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표면, 특히 치아 법랑질 광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 우식, 치아 부식 및 불소증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법랑질 내의 저광화 병변 (탈회 병변을 포함함)의 광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를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광화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MINERALIZATION}
본 발명은 치아 표면, 특히 치아 법랑질의 광화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 우식, 치아 부식 및 불소증과 같은 다양한 병태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법랑질에서의 저광화(hypomineralized) 병변 (탈회 병변(subsurface lesion))을 포함함)의 광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저광화 병변의 일반적인 원인은 우식 및 불소증이다.
치아 우식은 일반적으로 치태 치아병원균(odontopathogenic bacteria)에 의한 식사성 당질의 발효 때문에 치아의 경조직이 탈광화되는 것에서 생긴다. 치아 우식은 여전히 주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 또한, 복원된 치아 표면은 복원부의 주변부 주위에서 추가의 치아 우식에 걸리기 쉬울 수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플루오라이드의 사용을 통하여 치아 우식의 유병률이 감소되었다 해도, 상기 질환은 주요한 공중 보건 문제인 채로 있다. 치아 침식 또는 부식은 식이 산(dietary acid) 또는 역류된 산에 의한 치아 미네랄의 손실이다. 치아 과민성은 보호 광화층(protective mineralized layer), 백악질의 손실을 통한 노출된 상아질 세관으로 인한 것이다. 치석은 치아 표면 상의 인산칼슘 미네랄의 원하지 않는 부착이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상태, 치아 우식, 치아 침식, 치아 과민성 및 치석은 인산칼슘류의 수준의 불균형이다.
법랑질 불소증 (반점)이 거의 한 세기 동안 인식되어 왔지만, 플루오라이드의 병인학적 역할은 1942년까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불소증의 특징적인 외관은 다른 법랑질 장애와 구별될 수 있다. 법랑질의 불소증 병변(FLE)의 임상적 특징은 주파선조를 따라서 있는 미세한 불투명 선으로부터 백묵양(chalky, white) 법랑질까지의 범위의 연속체를 나타낸다. 불소증 병변 내의 저광화 탈회부(subsurface) 및 비교적 고도로 광화된 법랑질 외부 표면의 존재는 초기 법랑질 "백색 반점" 우식 병변을 시뮬레이션한다(simulate). 중증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병변에 연루된 법랑질의 깊이 및 저광화 정도가 증가한다. 불소증의 발병은 플루오라이드 노출의 양, 지속 기간 및 타이밍(timing)에 고도로 의존적이며, 혈청중 플루오라이드 농도의 상승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백묵질 "백색 반점" 병변은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 또는 발열 후와 같이 아동에 있어서 발육 중 치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병변은 치아 법랑질의 저광화(즉, 너무 적은 광화) 영역을 나타낸다.
병변 중증도에 따라, 불소증은 임상적으로 외부 법랑질의 복원적 대체 또는 미세 마모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러한 치료는 불만족스러우며, 그 이유는 상기 치료에 치아 조직의 복원 또는 제거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요망되는 것은 자연적인 외관 및 구조를 생성하도록 저광화 법랑질을 광화할 치료법이다.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와 무정형 인산칼슘의 특정 복합체("CPP-ACP", 레칼덴트(Recaldent)®)로서 구매가능함)는 시험관내에서 그리고 원위치에서 법랑질 탈회 병변을 재광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헌[Reynolds, 1998]; 문헌[Shen et al., 2001]; 문헌[Reynolds et al., 2003]).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The University of Melbourne)의 명의의 국제 특허 공개 WO 98/40406호 (이의 내용은 본원에 전적으로 참고로 포함됨)에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무정형 인산칼슘 복합체(CPP-ACP) 및 CPP-안정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 복합체(CPP-ACFP) (이는 알칼리 pH에서 생성됨)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한 복합체는 동물 및 인간의 원위치 우식 모델에서 법랑질 탈광화를 방지하고 법랑질 탈회 병변의 재광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헌[Reynolds, 1998]). 개선된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무정형 인산칼슘 복합체(CPP-ACP) 및 CPP-안정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 복합체(CPP-ACFP)는 국제 특허 공개 WO2006/056013호 및 국제 특허 공개 WO2006/135982호에 또한 기술되었다.
상기 복합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활성을 갖는 CPP는 상기 복합체가 전장 카제인 단백질의 일부든지 아니든지 간에 그렇게 한다. 전장 카제인의 트립신 소화 후 단리될 수 있는 활성 (CPP)의 예는 미국 특허 제5,015,628호에 특정되어 있으며, 펩티드 Bos αs1-카제인 X-5P (f59-79), Bos β-카제인 X 4P (f1-25), Bos αs2-카제인 X-4P (f46-70) 및 Bos αs2-카제인 X-4P (f1-21)를 포함한다.
개선된 또는 대안적인 저광화 병변의 치료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종래 기술에 대한 언급은 이 종래 기술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보통의 일반 지식의 일부 또는 임의의 다른 관할권을 형성한다는, 또는 이러한 종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해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이해되고 간주되는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될 수 있다는 인정 또는 임의의 형태의 시사가 아니며, 그렇게 취해져서는 안된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를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다. 전형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용액의 pH를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약 7.5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치아 병변의 병변내 유체의 pH를 6으로부터 7.5까지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된다. 상기 화합물은 산성 pH(즉, pH 7 미만)를 갖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치아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법랑질이다. 일 실시 양태에서, 치아 표면은 우식, 치아 침식 또는 불소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과 같은 법랑질 내의 병변이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수소 양이온(양성자)을 받아들일 수 있거나, 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원자가 전자를 공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염기이다. 상기 화합물은 보통은 반드시 염기, 예를 들어 다수의 산성 및 염기성 잔사를 갖는 폴리펩티드로 간주될 필요는 없을 수 있지만, 그렇더라도 용액의 pH를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7.5로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상기 화합물은 산성 pH(즉, pH 7 미만)를 갖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재광화를 필요로 하는 탈회 병변의 산성 병변내 유체의 pH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치아 병변의 병변내 유체의 pH를 6으로부터 7.5까지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히드록시드 이온을 방출하는 능력을 갖는 알칼리이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중성 또는 염기성 용액이 산에 노출될 때 완충제로서 중성 또는 염기성 용액(즉, 7 이상의 pH)의 pH를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또한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용액의 pH를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약 7.5로 유지할 수 있다.
염기로서 기술된 임의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염기는 구강 용도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염기로서 작용하며, 즉, 산의 존재 하에서, 단지 히드록시드 이온을 방출하거나 전자를 공여한다. 염기는 유리 염기 형태이거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수산화물, 염화물, 붕산염, 인산수소류 및 인산이수소류를 포함하는 인산염, 시트르산염, 탄산염, 중탄산염, 차아염소산염 (예컨대 차아염소산나트륨), 아민 및 알칼리 금속 염 형태를 포함하는 이의 임의의 염 형태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적합한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제일철, 수산화아연,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산화구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제이철,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우레아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염기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하이포플루오라이트가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에이전트(agent)로서 본 발명에서 또한 유용하다. 적합한 하이포플루오라이트는 원위치에서(표면 또는 탈회 병변임) 반응하여 플루오라이드 이온 및 히드록시드 (또는 또 다른 염기) 이온을 생성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잠재적으로 유리한 생성 결과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이 인회석의 결정 구조 내의 히드록시드를 치환하여 플루오르아파타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ACP 및/또는 ACFP는 포스포펩티드(PP)-안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ACP 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는 단단하게 결합된 그리고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복합체 중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은 7.0의 pH에서 형성된 ACP 또는 ACFP 복합체 중의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보다 더 적다. 임의로, ACP 또는 ACFP는 대부분 염기성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100몰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약 50몰의 범위이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추가의 인산칼슘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제형은 PP 안정화 ACP 및/또는 ACFP 복합체를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동일한 양의 인산칼슘과 함께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ACP 및/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및/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ACP의 상은 대부분 염기성 상이며, 여기서, ACP는 대부분 화학종 Ca2 +, PO4 3- 및 OH-를 포함한다. ACP의 염기성 상은 일반 화학식 [Ca3(PO4)2]x[Ca2(PO4)(OH)]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x≥1이다. 바람직하게는, x = 1 내지 5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x = 1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의 두 성분은 동일한 비율로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 양태에서, ACP의 염기성 상은 화학식 Ca3(PO4)2Ca2(PO4)(OH)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ACFP의 상은 대부분 염기성 상이며, 여기서, ACFP는 대부분 화학종 Ca2 +, PO4 3- 및 F-를 포함한다. ACFP의 염기성 상은 일반 화학식 [Ca3(PO4)2]x[Ca2(PO4)F]y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y = 1일 때 x≥1이거나 x = 1일 때 y≥1이다. 바람직하게는, y = 1이며, x = 1 내지 3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y = 1이며, x = 1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의 두 성분은 동일한 비율로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 양태에서, ACFP의 염기성 상은 화학식 Ca3(PO4)2Ca2(PO4)F를 갖는다.
일 실시 양태에서, ACP 복합체는 본질적으로 포스포펩티드, 칼슘, 포스페이트 및 히드록시드 이온과 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양태에서, ACFP 복합체는 본질적으로 포스포펩티드, 칼슘, 포스페이트, 플루오라이드 및 히드록시드 이온과 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ACP 또는 ACFP의 공급원(source)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의 광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치아 표면은 법랑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법랑질 내의 불소증 병변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증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법랑질 내의 우식 병변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우식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침식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법랑질 내의 병변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침식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백색 반점 병변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법랑질 상의 백색 반점 병변의 감소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법랑질 내의 병변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법랑질 내의 병변의 재광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법랑질 내의 병변을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고, 이어서 중탄산나트륨 또는 우레아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법랑질 내의 병변의 재광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은 중탄산나트륨 또는 우레아를 함유하는 구강청정제(mouthrinse) 또는 구강세정제(mouthwash)이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아니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없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안정화된 ACP 또는 ACFP의 공급원과 동시에, 안정화된 ACP 또는 ACFP의 공급원에 대한 전처리제로서, 또는 안정화된 ACP 또는 ACFP의 공급원에 대한 후처리제로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안정화된 ACP 또는 ACFP의 공급원과 동시에 또는 안정화된 ACP 또는 ACFP의 공급원에 대한 후처리제로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또는 ACFP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의해 또는 치과 보건 관리 전문가에 의해 구강, 치아 또는 병변에 적용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ACP 및/또는 ACFP는 포스포펩티드(PP)-안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ACP 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약 1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또는 약 1 내지 30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약 20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약 1분 내지 2시간, 또는 5분 내지 60분 또는 약 10분의 기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1일 내지 수 개월의 기간에 걸쳐 치아 표면에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표면을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기 1 내지 60분 전, 또는 1 내지 30분 전, 또는 1 내지 5분 전에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표면을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킨지 1 내지 60분 후, 또는 1 내지 30분 후, 또는 1 내지 5분 후에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복합체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치아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의 광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표면은 치아 법랑질이다. 전형적으로, 치아 표면은 백색 반점 병변; 불소증 병변; 우식 병변; 또는 치아 침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 중 1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변을 포함하는 치아 법랑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복합체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표면에 적용되는 동일 조성물 중에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치아 표면은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에 더하여 불소증, 치아 우식, 상아질 과민증 또는 치석, 백색 반점 병변; 불소증 병변; 우식 병변; 또는 치아 침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을 겪고 있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 광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병변의 pH를 6.0으로부터 7.5까지 상승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1가지 이상, 바람직하게는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은 크림형 치약(toothpaste), 가루 치약(toothpowder), 액상 치약, 구강세정제, 구강청정제, 구강 스프레이(mouth spray), 바니시(varnish), 치과용 시멘트(dental cement), 트로키(troche), 츄잉 검(chewing gum), 로젠지(lozenge), 치과용 페이스트, 치은 마사지 크림, 양치용 정제, 유제품 및 기타 식료품으로서 제형화된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조성물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에서 사용하기 위한, 광화제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대상체의 치아에 투여하고, 이어서 ACP 또는 ACFP 복합체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각각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복합체의 국소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기술된 제형으로 본 복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의 용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를 위한, 활성제로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는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 또는 용도에서,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을 적용하는 단계가 추가로 제공된다.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ACP 또는 ACFP와 동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ACP 또는 ACFP 공급원 전에 또는 그 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기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조성물 중의 포스포펩티드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는 단단하게 결합된 그리고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을 가지며, 여기서, 복합체 중 결합된 칼슘은 7.0의 pH에서 형성된 ACP 또는 ACFP 복합체 중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보다 더 적다. 임의로, ACP 또는 ACFP는 대부분 염기성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태양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조성물 중 안정화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100몰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약 50몰의 범위이다.
임의의 실시 양태에서, 조성물 중 ACP 및/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및/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염기 및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조성물이다. 염기는 중탄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하이포플루오라이트 또는 우레아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염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중 (a)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b) 안정화 ACP 및/또는 안정화 ACFP 복합체를 포함하는, 치아 우식, 불소증 및 치아 침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키트는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서 치아 표면의 광화에 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설명서는 본 키트를 사용하여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각각 중 1가지 이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에이전트 및 상기 복합체는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포스포펩티드(PP) 안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ACP 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키트는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유리 플루오라이드 이온 또는 플루오라이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루오르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제일주석, 규불화나트륨, 플루오르화은, 아민 플루오라이드 또는 임의의 금속 이온 플루오라이드 염.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하이포플루오라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용액 (전형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 기술된,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 및 이 태양의 추가의 실시 양태는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규정된 본 발명은 텍스트 또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거나 언급된 개별 특징 중 2가지 이상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까지 확대됨이 이해된다. 이러한 상이한 조합 전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인 태양을 구성한다.
이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가 상세하게 언급된다. 본 발명은 실시 양태와 함께 기술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 양태에 한정할 의도는 아님이 이해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많은 방법 및 재료를 인식할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술된 방법 및 재료에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언급된 특허 및 간행물 전부는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를 해석하기 위하여, 단수형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복수형을 또한 포함하며, 그 반대도 그렇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 문맥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하다"라는 용어 및 이 용어의 변이형, 예컨대 "포함하고 있는", "포함하는" 및 "포함된"은 추가의 첨가제, 구성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 문맥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하다" 및 함유하다"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를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 방법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치아 탈회부는 치아 표면에 접촉되는 상기 화합물 및 광화제가 임의의 표면 층, 즉, 펠리클(pellicle) 및/또는 치석을 통하여, 다공성 치아 표면을 통하여 재광화를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저광화 병변이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다. 치아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법랑질이다. 치아 표면은 우식, 치아 침식 또는 불소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과 같은 법랑질 내의 병변일 수 있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이론 또는 작용 양식에 의해 구애됨이 없이, 병변내 광화 동안의 염기성 pH의 유지는 임의의 산성 분자종에 의한 광화 과정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재광화 과정 동안 생성되는 산을 중화시킴으로써 광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치아 표면의 광화는 광화 과정 동안 병변의 pH를 증가시킴으로써 유의하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안정화된 용해성 형태의 ACP(CPP-ACP) 및 ACFP(CPP-ACFP)에 의한 법랑질의 광화는, 병변내 pH가 산성일 경우 병변내 pH를 증가시키거나 병변내 pH가 중성 또는 염기성일 경우 병변내 pH를 유지하는 화합물에 의해 향상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우식 발생 동안, 병변내 유체의 pH는 6 이하일 수 있다. 당해 화합물은 pH를 상승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pH에서 저광화 표면 또는 탈회부의 재광화가 일어날 수 있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약 1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또는 약 1 내지 30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약 20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이것이 달성되는 방법의 예로는 화합물을 구강 조성물, 예컨대 페이스트로 제형화하고, 그 후 조성물을 치아 표면과 접촉시키거나 조성물을 치아 표면에 적용하는 것이 있다. 구강 조성물, 예컨대 페이스트는 요구되는 시간 기간 동안 치아 상에 보유되기에 충분한 점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약 1분 내지 2시간, 또는 5분 내지 60분 또는 약 10분의 기간 동안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1일 내지 수 개월의 기간에 걸쳐 치아 표면에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표면을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키기 1 내지 60분 전, 또는 1 내지 30분 전, 또는 1 내지 5분 전에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표면을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와 접촉시킨지 1 내지 60분 후, 또는 1 내지 30분 후, 또는 1 내지 5분 후에 치아 표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ACP 및/또는 ACFP 복합체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치아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의 광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표면은 치아 법랑질이다. 전형적으로, 치아 표면은 백색 반점 병변; 불소증 병변; 우식 병변; 또는 치아 침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 중 1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변을 포함하는 치아 법랑질이다.
일 실시 양태에서, 치아 표면은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에 더하여 불소증, 치아 우식, 상아질 과민증 또는 치석, 백색 반점 병변; 불소증 병변; 우식 병변; 또는 치아 침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을 겪고 있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 광화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수소 양이온(양성자)을 받아들일 수 있거나, 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원자가 전자를 공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보통 염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산성 pH(즉, pH 7 미만)를 갖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치아 병변의 병변내 유체의 pH를 6으로부터 7.5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히드록시드 이온을 방출하는 능력을 갖는 알칼리이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중성 또는 염기성 용액이 산에 노출될 때 완충제로서 중성 또는 염기성 용액(즉, 7 이상의 pH)의 pH를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또한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용액의 pH를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약 7.5로 유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액의 pH의 증가 또는 유지의 언급은 탈회 병변 내의 유체, 즉, 병변내 유체의 pH의 증가 또는 유지를 포함한다.
염기로서 기술된 임의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염기는 구강 용도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염기로서 작용하며, 즉, 산의 존재 하에서, 단지 히드록시드 이온을 방출하거나 전자를 공여한다. 염기는 유리 염기 형태이거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수산화물, 염화물, 붕산염, 인산수소류 및 인산이수소류를 포함하는 인산염, 시트르산염, 탄산염, 중탄산염, 차아염소산염, 아민 및 알칼리 금속 염 형태를 포함하는 이의 임의의 염 형태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적합한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제일철, 수산화아연, 수산화구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제이철,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염기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하이포플루오라이트가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에이전트로서 본 발명에서 또한 유용하다. 적합한 하이포플루오라이트는 원위치에서 반응하여 플루오라이드 이온 및 히드록시드 (또는 또 다른 염기) 이온을 생성한다. 당업자라면 플루오라이드 이온이 인회석의 결정 구조 내의 히드록시드를 치환하여 플루오르아파타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는 "폐쇄형" 복합체일 수 있으며, 이는 문헌[Cross et al., 2007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13, 793-800]의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는 국제 특허 공개 WO2006/056013호에 기술된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를 포함하며, 이의 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는 단단하게 결합된 그리고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복합체 중 결합된 칼슘은 7.0의 pH에서 형성된 ACP 또는 ACFP 복합체 중의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보다 더 적다. 임의로, ACP 또는 ACFP는 대부분 염기성 형태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는 7.0 미만의 pH에서 형성되는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체는 약 5.0에서 7.0 미만까지의 범위의 pH에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체는 약 5.0 내지 약 6.0의 pH 범위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복합체는 약 5.0 또는 약 5.5의 pH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체 중 ACP 또는 ACFP는 대부분 염기성 형태로 존재한다.
안정화된 ACP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i) 1가지 이상의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 pH를 약 7.0 이하로 유지하면서 칼슘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및 히드록시드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들을 혼합하는 단계.
안정화된 ACP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i) 1가지 이상의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 pH를 약 7.0 이하로 유지하면서 칼슘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히드록시드 이온 및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들을 혼합하는 단계.
히드록시드 이온을 용액 내로 적정하여 넣어서 포스포펩티드 용액을 본질적으로 일정한 pH로 유지할 수 있다.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을 끊임없이 혼합하면서 그리고 포스포펩티드 용액에서의 인산칼슘 침전물의 형성을 회피하는 속도로 포스포펩티드 용액 내로 적정하여 넣을 수 있다.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는 또한 상기 복합체 중 ACP가 단단하게 결합된 그리고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을 갖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합체 중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은 7.0의 pH에서 형성된 ACP 또는 ACFP 복합체 중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보다 더 적으며, ACP 또는 ACFP는 대부분 염기성 형태로 존재하고, 이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하거나 수득된다:
a)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제1 용액, 포스페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제2 용액, 및 임의로,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약 5로부터 7 미만까지의 pH를 갖는, 포스포펩티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및
b) 히드록시드 이온의 첨가에 의해 상기 혼합 동안 상기 용액의 pH를 약 5.0에서 7.0 미만까지의 pH로 유지하는 단계.
"단단하게" 및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 및 포스페이트는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적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간략하게는, pH를 약 7.0 이하로 유지하면서 혼합한 포스포펩티드, 칼슘, 포스페이트 및 임의로 플루오라이드의 용액을 먼저 0.1 마이크로미터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여 복합체와 회합되지 않은 유리 칼슘 및 포스페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칼슘 및 포스페이트는 여과액에 존재하며 버려진다. 어떠한 방식으로도 복합체와 회합되지 않은 임의의 유리 칼슘 또는 포스페이트는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으며, 즉, 포스포펩티드에 의해 치아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0.1 마이크로미터 여과로부터의 보유물은 3000 mw 컷오프(cutoff) 필터를 통한 1,000 g에서의 15분간의 원심분리에 의해 추가로 분석될 수 있다. 생성된 여과액은 느슨하게 결합된 또는 복합체와 회합된 칼슘 및 포스페이트를 함유한다. 이러한 원심분리력에서, 복합체에 단단하게 결합되지 않은 칼슘 및 포스페이트는 방출되어 여과액 내로 이동한다. 복합체 중의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 및 포스페이트는 보유물 중에 보유된다. 그 후, 보유물 중의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 및 포스페이트의 양은 0.1 마이크로미터 여과의 보유물 중 칼슘 및 포스페이트의 총 양으로부터 여과액 중 칼슘 및 포스페이트의 양을 차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는 국제 특허 공개 WO2006/135982호에 기술된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복합체를 포함하며, 이의 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수퍼로딩된(superloaded)" 포스포펩티드 도는 포스포단백질(PP)은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이 수퍼로딩된 포스포펩티드 또는 포스포단백질이다. 수퍼로딩된 PP의 칼슘 이온은 PP 1몰당 Ca 30 내지 1000몰의 범위, 또는 PP 1몰당 Ca 3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50몰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양태에서, PP 1 mol당 Ca의 mol은 적어도 25, 30, 35, 40, 45 또는 50이다. 이것은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일 수 있다. 이 복합체는 임의의 pH (예를 들어, 3 내지 10)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A-B-C-를 포함하며, 여기서, A는 포스포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포스포세린이고, B는 포스포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이며, C는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또는 포스포아미노산이다. 포스포아미노산은 포스포세린일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PP 1몰당 칼슘 약 30몰 초과의 칼슘 이온 함량을 갖는 포스포펩티드 또는 포스포단백질(PP)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 복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100몰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슘 이온 함량은 PP 1몰당 칼슘 약 30 내지 약 50몰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된 포스포펩티드 또는 포스포단백질(PP)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를 제공한다:
(i) 칼슘, 무기 포스페이트 및 플루오라이드(임의적)를 포함하는 용액들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 (i)을 PP-ACP를 포함하는 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P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CPP)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동일한 양의 인산칼슘과 함께인 PP 안정화 ACP 및/또는 ACFP 복합체의 제형의 용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산칼슘은 CaHPO4 또는 락트산칼슘 또는 임의의 다른 용해성 인산칼슘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인산칼슘 (예를 들어, CaHPO4)은 PP 안정화 ACP 및/또는 ACFP 복합체와 건식 블렌딩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PP-ACP 및/또는 PP-ACFP 복합체:인산칼슘의 비는 약 1:1-5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25,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15이다. 일 실시 양태에서, PP-ACP 및/또는 PP-ACFP 복합체:인산칼슘의 비는 약 1:10이다.
구강에서 사용될 때 PP 1몰당 칼슘 약 30몰 초과의 칼슘 이온 함량을 갖는 포스포펩티드 또는 포스포단백질(PP) 안정화 무정형 인산칼슘(ACP) 및/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 복합체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제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i) PP-ACP 및/또는 PP-ACFP 복합체를 포함하는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ii) 유효량의 인산칼슘과 건식 블렌딩하는 단계; 및
(iii) 건식 블렌딩된 PP-ACP 및/또는 PP-ACFP와 인산칼슘의 혼합물을 구강 케어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건식 블렌딩을 위한 인산칼슘의 형태는 CaHPO4, Ca2HPO4 및 락트산칼슘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용해성 인산칼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 방법을 제공한다:
(i) 치아 표면을 단백질 파괴제(disrupting agent)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i) 치아 표면을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치아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법랑질이다. 일 실시 양태에서, 치아 표면은 우식, 치아 침식 또는 불소증에 의해 야기되는 병변과 같은 법랑질 내의 병변이다. 임의의 적합한 단백질 파괴제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치아 위의 펠리클과 같은 치료될 표면 위에 형성되는 단백질성 장벽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적합한 에이전트의 예는 표백제, 세제, 카오트로픽제(chaotropic agent), 예컨대 우레아, 고 포스페이트 농축물,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엔도펩티다아제, 프로테이나아제 및 엑소펩티다아제)의 칵테일 및 임의의 다른 단백질 가용화제, 파괴제 또는 가수분해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표백제의 예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계 표백제 및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계 표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표백제는 알칼리성 표백제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알칼리성 표백제는 NaOCl이다. 단백질 파괴제는 단백질을 가용화하여 단백질을 치아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제거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펠리클의 단백질을 그렇게 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유리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은 유리 플루오라이드 이온 또는 플루오라이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루오르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제일주석, 규불화나트륨 및아민 플루오라이드. 이들은 용액 (전형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1 ppm 초과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은 3 ppm 초과이다. 또 다른 실시 양태에서,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10 ppm 초과이다. 하기에 기술된 전형적인 실시 양태에서, 상기 양은 수 백 또는 수 천 ppm일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 함량은 전형적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보통 사용되는 방식으로 구강 조성물 중 ppm으로서 측정된다. 플루오라이드가 안정화된 ACP를 포함하는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경우, 상기 ppm은 이 공급원, 전형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플루오라이드의 용액 또는 현탁액 중 플루오라이드의 농도를 나타낸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태양 또는 실시 양태에서,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는 포스포펩티드(PP) 안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ACP 또는 ACFP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안정화 ACP 또는 ACFP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설명의 맥락에서 "포스포펩티드"는 1가지 이상의 아미노산이 포스포릴화된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A-B-C- 중 1가지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A는 포스포아미노 잔기이고, B는 포스포아미노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 아실 잔기이며, C는 글루타밀, 아스파르틸 또는 포스포아미노 잔기로부터 선택된다. 포스포아미노 잔기 중 임의의 것은 독립적으로 포스포세릴 잔기일 수 있다. B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측쇄가 상대적으로 크지도 않고 소수성도 아닌 잔기이다. 이것은 Gly, Ala, Val, Met, Leu, Ile, Ser, Thr, Cys, Asp, Glu, Asn, Gln 또는 Ly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열 내의 포스포아미노산 중 2가지 이상은 바람직하게는 연접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A-B-C-D-E를 포함하며, 여기서, A, B, C, D 및 E는 독립적으로 포스포세린, 포스포트레오닌, 포스포타이로신, 포스포히스티딘,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이며, A, B, C, D 및 E 중 2가지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은 포스포아미노산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포스포아미노산 잔기는 포스포세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의 연접 포스포세린 잔기이다. D 및 E가 독립적으로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일 실시 양태에서, ACP 또는 ACFP는 온전한 카제인 또는 카제인의 단편의 형태인 카제인 포스포펩티드(CPP)에 의해 안정화되며, 형성된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PP(ACP)8 ]n 또는 [(CPP)(ACFP)8]n을 갖고, 여기서, n은 1 이상, 예를 들어 6이다. 형성된 복합체는 콜로이드성 복합체일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 입자는 물에 현탁된 큰 (예를 들어, 100 nm) 콜로이드성 입자를 형성하도록 응집된다. 따라서, PP는 카제인 단백질 또는 포스포펩티드일 수 있다.
PP는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으며, 이것은 전장 카제인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더 큰 폴리펩티드의 맥락 내에 존재할 수 있거나, 이것은 카제인, 또는 다른 포스포아미노산 풍부 단백질, 예컨대 포스피틴의 트립신 또는 기타 효소적 소화 또는 화학적 소화에 의해, 또는 화학적 또는 재조합적 합성에 의해 단리될 수 있되, 단, 이것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서열 -A-B-C- 또는 A-B-C-D-E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어 서열 측면에 있는 서열은 임의의 서열일 수 있다. 그러나, αs1(59 79), β(1-25), αs2(46-70) 및 αs2(1-21)에서의 측면 서열이 바람직하다. 측면 서열은 임의로 1개 이상의 잔기의 결실, 부가 또는 보존적 치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측면 영역의 아미노산의 조성 및 서열은 결정적이지 않다.
포스포펩티드는 국제 특허 공개 WO2006/056013호, 국제 특허 공개 WO2006/135982호 또는 미국 특허 제5,015,628호에 기술된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존적 치환의 예가 하기 표 1에 예시되어 있다.
Figure 112016017719534-pct00001
또한 측면 서열은 천연 비발생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 암호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는 보통 조우되는 아미노산은 하기를 포함한다:
Glu 및 Asp에 있어서 2-아미노 아디프산(Aad);
Glu 및 Asp에 있어서 2-아미노피멜산(Apm);
Met, Leu, 및 기타 지방족 아미노산에 있어서 2-아미노부티르(Abu)산;
Met, Leu 및 기타 지방족 아미노산에 있어서 2-아미노헵탄산(Ahe);
Gly에 있어서 2-아미노이소부티르산(Aib);
Val, 및 Leu 및 Ile에 있어서 시클로헥실알라닌(Cha);
Arg 및 Lys에 있어서 호모아르기닌(Har);
Lys, Arg 및 His에 있어서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Dpr);
Gly, Pro, 및 Ala에 있어서 N-에틸글리신(EtGly);
Asn, 및 Gln에 있어서 N-에틸아스파리긴(EtAsn);
Lys에 있어서 히드록실라이신(Hyl);
Lys에 있어서 알로히드록실라이신(AHyl);
Pro, Ser, 및 Thr에 있어서 3-(및 4) 히드록시프롤린(3Hyp, 4Hyp);
Ile, Leu, 및 Val에 있어서 알로이소류신(Alle);
Ala에 있어서 ρ-아미디노페닐알라닌;
Gly, Pro, Ala에 있어서 N-메틸글리신(MeGly, 사르코신).
Ile에 있어서 N-메틸이소류신(MeIle);
Met 및 기타 지방족 아미노산에 있어서 노르발린(Nva);
Met 및 기타 지방족 아미노산에 있어서 노르류신(Nle);
Lys, Arg 및 His에 있어서 오르니틴(Orn);
Thr, Asn 및 Gln에 있어서 시트룰린(Cit) 및 메티오닌 술폭시드(MSO);
Phe에 있어서 N-메틸페닐알라닌 (MePhe), 트리메틸페닐알라닌, 할로(F, Cl, Br 및 I) 페닐알라닌, 트리플로우릴페닐알라닌.
일 실시 양태에서, PP는 αs1(59 79), β(1-25), αs2(46-70) 및 αs2(1-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포스포펩티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서, 안정화된 ACFP 또는 ACP 복합체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또는 불소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돕기 위하여 크림형 치약, 구강세정제 또는 구강용 제형과 같은 구강 조성물 내에 혼입된다. ACFP 또는 ACP 복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로 포함될 수 있다. 구강 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되는 CPP-ACP 및/또는 CPP-ACFP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약 2%의 CPP-ACP, CPP-ACFP 또는 이들 둘 모두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상기에 언급된 에이전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입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형태, 예컨대 크림형 치약, 가루 치약 및 액상 치약을 포함하는 치약, 구강세정제, 구강청정제, 구강 스프레이, 바니시, 치과용 시멘트, 트로키, 츄잉 검, 치과용 페이스트, 치은 마사지 크림, 양치용 정제, 유제품 및 기타 식료품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특정 구강 조성물의 유형 및 형태에 따라 추가의 공지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구강 조성물은 구강세정제, 린스 또는 스프레이와 같이, 특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액체일 수 있다. 그러한 제제에서, 비히클은 전형적으로 물-알코올 혼합물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휴멕턴트(humectant)를 포함하고, 이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물:알코올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20:1의 범위이다. 이러한 유형의 제제 중 물-알코올 혼합물의 총 양은 전형적으로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내지 약 99.9%의 범위이다. 전형적으로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다.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조성물은 가루 치약, 치과용 정제 또는 크림형 치약 (치과용 크림) 또는 겔형 치약과 같이 특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고체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다. 그러한 고체 또는 페이스트 구강 제제의 비히클은 일반적으로 치과용으로 허용가능한 폴리싱(polishing) 재료를 함유한다. 폴리싱 재료의 예로는 수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인산삼칼슘, 2수화 인산칼슘, 무수 인산이칼슘, 파이로인산칼슘, 오르토인산마그네슘, 인산삼마그네슘, 탄산칼슘, 수화 알루미나, 하소 알루미나, 규산알루미늄, 규산지르코늄, 실리카, 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다른 적합한 폴리싱 재료는 미립자형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멜라민-, 페놀계 물질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가교결합된 폴리에폭시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싱 재료는 약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 크기, 약 1.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 및 약 50,000 cm2/g 이하의 표면적을 갖는 결정성 실리카, 실리카 겔 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복합 무정형 알칼리 금속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투명한 겔이 이용될 때, 콜로이드성 실리카, 예컨대 실로이드(Syloid) 72 및 실로이드 74로서 상표명 실로이드(SYLOID)로 판매되는 것 또는 산토셀(Santocel) 100으로서 상표명 산토셀(SANTOCEL)로 판매되는 것의 폴리싱제, 알칼리 금속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복합체가 특히 유용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치약에서 보통 사용되는 겔화제-액체 (물 및/또는 휴멕턴트를 포함함) 시스템의 굴절률에 가까운 굴절률을 갖기 때문이다.
소위 "수불용성" 폴리싱 재료 중 많은 것은 특징이 음이온성이며, 이는 또한 소량의 용해성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이 예를 들어 문헌[Thorpe's Dictionary of Applied Chemistry, Volume 9, 4th Edition, pp. 510-511]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드렐염(Madrell's salt) 및 쿠롤염(Kurrol's salt)으로 공지된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의 형태가 적합한 재료의 추가의 예이다. 이러한 메타포스페이트 염은 단지 극미한 물 중 용해도를 나타내며, 따라서 보통은 불용성 메타포스페이트(IMP)로 칭해진다. 그 안에는 소량의 용해성 포스페이트 재료가 불순물로서 존재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4 중량% 이하와 같은 몇 퍼센트가 존재한다. 불용성 메타포스페이트의 경우 용해성 트리메타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용해성 포스페이트 재료의 양은 요망될 경우 물을 이용한 세척에 의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불용성 알칼리 금속 메타포스페이트는 상기 재료의 1% 이하가 37 마이크로미터 초과가 되도록 하는 입자 크기의 분말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싱 재료는 약 10% 내지 약 99%의 중량 농도로 고체 또는 페이스트 조성물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크림형 치약에 약 10% 내지 약 75%의 양으로, 그리고 가루 치약에 약 70% 내지 약 99%의 양으로 존재한다. 크림형 치약에서, 폴리싱 재료가 사실상 규산질일 때, 이것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기타 폴리싱 재료는 약 30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크림형 치약에서, 액체 비히클은 물 및 휴멕턴트를 전형적으로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80%의 범위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적합한 휴멕턴트/담체의 예가 된다. 또한 유리한 것은 물,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의 액체 혼합물이다. 굴절률이 중요한 고려 사항인 투명 겔에 있어서, 약 2.5 내지 30% (w/w)의 물, 0 내지 약 70% (w/w)의 글리세린 및 약 20 내지 80% (w/w)의 소르비톨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전형적으로 크림형 치약, 크림 및 겔은 천연 또는 합성 증점제 또는 겔화제를 약 0.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w/w)의 비율로 함유한다. 적합한 증점제는 합성 헥토라이트, 합성 콜로이드성 마그네슘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복합 점토이며, 이는 예를 들어 라포르테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Laporte Industries Limited)에 의해 시판되는 라포나이트(Laponite) (예를 들어 CP, SP 2002, D)로서 입수가능하다. 라포나이트 D는 대략적으로 중량 기준으로 58.00% SiO2, 25.40% MgO, 3.05% Na2O, 0.98% Li2O, 및 약간의 물과 미량 금속이다. 그의 진비중은 2.53이며, 이것은 8% 수분에서 1.0 g/ml의 겉보기 벌크 밀도(bulk density)를 갖는다.
다른 적합한 증점제는 아이리쉬 모스(Irish moss), 이오타 카라기난, 검 트래거캔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에틸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부틸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나트로솔(Natrosol)로서 입수가능함),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 예컨대 미세하게 분쇄된 실로이드 (예를 들어 244)를 포함한다. 가용화제, 예컨대 휴멕턴트 폴리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 셀로솔브, 예컨대 메틸 셀로솔브 및 에틸 셀로솔브, 야채유 및 왁스 (직쇄 내에 약 12개 이상의 탄소를 함유함), 예컨대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바셀린과 에스테르, 예컨대 아밀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인 바와 같이, 구강 제제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라벨링된 패키지로 판매되거나 또는 달리 유통됨이 이해된다. 따라서, 구강청정제의 병(jar)은 이것을 사실상 구강청정제 또는 구강세정제로서 설명하고 그 사용에 대한 지시를 갖는 라벨을 가지며; 크림형 치약, 크림 또는 겔은 일반적으로 압출 튜브, 전형적으로 알루미늄, 라이닝된(lined) 납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기타 스퀴즈(squeeze), 펌프 또는 가압 디스펜서 (그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한 것임) 내에 있으며, 이는 그것을 사실상 크림형 치약 겔 또는 치과용 크림으로 설명하는 라벨을 갖는다.
유기 표면 활성제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여 증가된 예방 작용을 달성하고, 구강 전체에 걸친 상기 활성제의 철저하고 완벽한 분산의 달성을 돕고, 본 조성물이 더 큰 미용적 허용가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유기 표면 활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제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세제 특성 및 발포 특성을 조성물에 부여하는 세제 재료를 표면 활성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적합한 예로는 고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모노술페이트의 수용성 염, 예컨대 수소화 코코넛유 지방산의 모노술페이트화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나트륨 염, 고급 알킬 술페이트, 예컨대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알킬 아릴 술포네이트, 예컨대 소듐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고급 알킬술포아세테이트, 1,2-디히드록시 프로판 술포네이트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저급 지방족 아미노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포화된 고급 지방족 아실 아미드, 예컨대 지방산, 알킬 또는 아실 라디칼 내에 12 내지 16개의 탄소를 갖는 것 등이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아미드의 예로는 N-라우로일 사르코신, 및 N-라우로일, N-미리스토일 또는 N-팔미토일 사르코신의 나트륨, 칼륨 및 에탄올아민 염이 있는데 이것에는 비누 또는 유사한 고급 지방산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서의 이러한 사르코나이트 화합물의 사용은 특히 유리하며, 그 이유는 이러한 물질이 산 용액에서의 치아 법랑질의 용해성의 약간의 감소를 발휘하는 것에 더하여 탄수화물 분해로 인한 구강에서의 산 형성의 억제에 있어서 장시간의 두드러진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긴 소수성 사슬 (예를 들어 약 1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의 지방족 사슬)을 갖는, 이와 반응성인 다양한 반응성 수소-함유 화합물의 축합 생성물 (상기 축합 생성물 ("에톡사머(ethoxamer)")은 친수성 폴리옥시에틸렌 모이어티(moiety)를 함유함),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지방 아미드,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플루로닉(Pluronic) 물질)이 있다.
전형적으로 표면 활성제는 약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표면 활성제는 본 발명의 활성제의 용해를 도울 수 있고 이에 의해 필요한 가용화 휴멕턴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다양한 다른 재료, 예컨대 미백제, 보존제, 실리콘, 클로로필 화합물 및/또는 암모니아 처리된(ammoniated) 물질, 예컨대 우레아, 디암모늄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구강 제제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adjuvant)는 존재할 경우, 요망되는 특성 및 특징에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제제에 혼입된다.
임의의 적합한 착향제 또는 감미 재료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적합한 착향제 성분의 예로는 착향유, 예를 들어 스피아민트, 페퍼민트, 윈터그린(wintergreen), 사사프라스(sassafras), 정향, 세이지, 유칼립투스, 마요라나, 계피, 레몬 및 오렌지와, 메틸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적합한 감미제는 수크로스, 락토스, 말토스, 소르비톨, 자일리톨, 소듐 시클라메이트, 페릴라르틴(perillartine), AMP(아스파르틸 페닐 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사카린 등을 포함한다. 적합하게는, 착향제 및 감미제는 각각 또는 함께 제제의 약 0.1% 내지 5% 초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로젠지에 또는 츄잉 검 또는 기타 제품에, 예를 들어 가온 검 베이스 내로 교반하여 넣거나 검 베이스(이의 예시적인 것으로는 젤루통(jelutong), 고무 라텍스, 비닐라이트 수지 등이 있음)의 외부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가소제 또는 연화제, 설탕 또는 기타 감미제 또는 예컨대 글루코스, 소르비톨 등과 함께,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중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상은 상이한 시간 기간에 걸친 성분들의 방출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에 있어서 이중상 조성물은 제1 상으로부터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바람직하게는 CPP-ACP 및/또는 CPP-ACFP를, 제2 상으로부터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방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중상 조성물은 이중상 츄잉 검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ACFP 및/또는 ACP 복합체 중 임의의 것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치과용, 항우식 조성물 및 치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치과용 조성물 또는 치료 조성물은 겔, 리퀴드(liquid), 고형물, 분말, 크림 또는 로젠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ACP 및/또는 ACFP 복합체는 그러한 조성물의 실질적으로 유일한 재광화 활성 성분이다. 예를 들어, 하기를 함유하는 크림 제형이 이용될 수 있다: 물; 글리세롤; CPP-ACP; D-소르비톨; 이산화규소;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Na); 프로필렌 글리콜; 이산화티타늄; 자일리톨; 인산; 구아 검; 산화아연; 소듐 사카린;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산화마그네슘; 부틸 p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본 발명은 치아 우식 또는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중 임의의 1가지 이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그의 사용 설명서와 함께 제공된 상기에 기술된 제형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본질적으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로 이루어진다. 임의의 이론 또는 작용 양식에 의해 구애됨이 없이,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양태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에 가장 중요하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그러한 성분 (필요할 경우 담체, 부형제 등과 함께)으로 이루어진 실시 양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중 (a)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b) CPP-ACP 및/또는 CPP-ACFP 복합체를 포함하는, 치아 우식, 불소증 및 치아 침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키트는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서 치아 표면의 광화에 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설명서는 본 키트를 사용하여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각각 중 1가지 이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에이전트 및 상기 복합체는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양으로 존재한다. 설명서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중 CPP-ACP 또는 CPP-ACFP 복합체 전에, 이것과 동시적으로 또는 이것 후에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적용할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의 키트는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이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중 CPP-ACP 또는 CPP-ACFP 복합체와 동시적으로 또는 CPP-ACP 또는 CPP-ACFP 복합체 후에 분배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태양에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대상체의 치아에 투여하고, 이어서 ACP 또는 ACFP 복합체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각각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합체의 국소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형으로 복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의 태양에서,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를 광화시키기 위한, 활성제로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의 광화는 치아 우식, 충치, 치아 침식 및 불소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첨가된 치과용 복원 재료를 포함하는 치과적 복원을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치과용 복원 재료의 베이스는 유리 이오노머 시멘트, 복합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복원 재료 (이는 양립가능함)일 수 있다. 치과용 복원 재료에 포함되는 안정화된 ACP 또는 ACFP, 바람직하게는 CPP-ACP 복합체 또는 CPP-ACFP 복합체의 양은 0.0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에이전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과용 복원 재료는 치과 실무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른 치과용 복원 재료는 특별한 치과용 복원 재료의 유형 및 형태에 따라 기타 이온, 예를 들어 항균 이온 Zn2 +, Ag+ 등 또는 기타 추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양태에 따른 치과용 복원 재료의 pH는 2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CPP-ACP 복합체 또는 ACFP 복합체를 함유하는 치과용 복원 재료의 pH는 약 2 내지 1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9의 범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7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 따르면,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및 광화제를 포함하는 바니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광화제는 임의의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복합체이며, 이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명세서는 구체적으로 인간에 있어서의 응용을 언급하지만, 본 발명은 수의학적 목적에 또한 유용함이 명백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태양은 가축, 예컨대 소, 양, 말 및 가금류; 반려 동물, 예컨대 고양이 및 개; 및 동물원 동물에 유용하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광화 조성물 또는 광화제의 일례는 하기를 포함한다 (감소하는 순서의 비율로):
글리세롤
CPP-ACP
D-소르비톨
이산화규소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Na)
프로필렌 글리콜
이산화티타늄
자일리톨
인산
구아 검
산화아연
소듐 사카린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산화마그네슘
부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그러한 조성물은 지씨 코포레이션(GC corporation)으로부터 명칭 투스 무스(Tooth Mousse)TM로 입수가능하다. 이것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적합한 기간 동안 치아 상에서의 그의 보유를 조장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또는 크림의 형태로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광화 조성물은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1
CPP-ACFP 및 CPP-ACP 용액의 제조
대략 78 mM Ca2 +, 48 mM 포스페이트 및 12 mM 플루오라이드의 농도의 최종 농도가 수득될 때까지 3.25 M CaCl2, 1.25 M Na2HPO4, 1 M NaOH 및 1 M NaF의 스톡(stock) 용액을 카제인의 10 내지 15% (w/v) 트립신 소화물에 대략 30개의 분취물로 첨가하였다. 용액들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즉, 분당 대략 1% 미만의 체적의 첨가). 포스페이트 용액의 분취물을 먼저 첨가하고, 이어서 칼슘 용액의 분취물을 첨가하였다. 철저하게 혼합하면서 NaOH를 사용하여 pH를 7.0, 6.5, 6.0, 5.5 및 5.0으로 유지하였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pH 고정기(stat)에 의해 자동적으로 첨가하였으며, 이때 히드록시드 이온의 첨가는 일반적으로 칼슘 이온들의 각각의 첨가 후에 하였다. 칼슘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히드록시드 이온 및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첨가 후, 용액을 0.1 마이크로미터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여 1 내지 2배 농축시켰다. 요망될 경우 보유물을 물로 세척하여 염 및 불활성 (및 쓴 맛의) 펩티드를 제거할 수 있다. 플루오라이드의 첨가 없이 CPP-ACP 용액들을 상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느슨하게 그리고 단단하게 결합된 칼슘 및 포스페이트의 측정
실시예 1에서 각각의 pH에 대하여 적정 및 여과를 완료시에, 각각의 보유물의 샘플을 취하였으며, 10% 미만이 여과액으로서 수집되었는데, 이는 3000 분자량 컷오프 센트리프렙(Centriprep) 3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였다. 샘플을 포함하는 센트리프렙을 JA 10.5 회전자를 이용하여 베크만(Beckman) J2-21 원심분리기에서 1,000 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센트리프렙 원심분리 전의 원래의 샘플 및 센트리프렙 원심분리 후 여과액의 샘플을 칼슘, 포스페이트 및 플루오라이드 농도의 분석용으로 취하였다. 원래의 샘플의 분석은 전체 칼슘, 포스페이트 및 플루오라이드 이온 농도를 제공하고, 여과액의 분석은 느슨하게 결합된 칼슘, 포스페이트 및 플루오라이드 농도를 제공하였다. 상기 전체 농도와 느슨하게 결합된 농도 사이의 차이는 CPP에 의해 Ca, Pi 및 F가 단단하게 결합된 것의 농도이다.
실시예 3
CPP-ACFP 및 CPP-ACP 용액의 제조
레칼덴트® (CPP-ACP)를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소재의 레칼덴트 프타이 리미티드(Recaldent Pty Ltd.)로부터 구매하였다. 상기 제품(#841117)은 중량 기준으로 14.3% 칼슘, 22.3% 포스페이트 및 47%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하였다. 상기 제품을 0.5%로 용해시키고, HCl의 첨가에 의해 pH 5.5로 조정하였다. 그 후, 2.5 M NaOH의 첨가에 의해 pH를 5.5로 유지하면서 3.25 M CaCl2 및 2 M NaH2PO4의 적정에 의해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을 첨가하였다. 용액이 반투명해질 때까지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의 적정을 계속하였다. 첨가한 칼슘 및 포스페이트의 농도를 기록하였다. 또한,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을 0.5% CPP-ACP 용액 내로 적정하여 넣고 추가의 인산칼슘의 첨가에 의해 pH를 5.5로 떨어뜨림으로써 용액을 형성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6017719534-pct00002
이러한 결과는 CPP-ACP가 칼슘 및 포스페이트 이온으로 수퍼로딩되어 준안정 용액 형태의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복합체를 생성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4
CPP-ACP 및 인산칼슘의 제형의 제조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칼덴트® (CPP-ACP) 분말을 중량 기준으로 1:10인 CPP-ACP:CaHPO4의 비로 CaHPO4 분말과 건식 블렌딩하였다. 그 후 이 분말을 당분 무함유 검 및 크림형 치약 제형에 1 내지 5% (w/w)로 첨가하였다.
실시예 5
하기 성분을 갖는 국소 크림을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글리세롤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D-소르비톨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Na)
프로필렌 글리콜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타늄
자일리톨
인산
플루오르화나트륨
착향제
소듐 사카린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실시예 6
하기 조성을 갖는 구강청정제 제형을 본 발명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알코올
폴록사머(Poloxamer) 407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플루오르화나트륨
착향제
소듐 사카린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실시예 7
하기 조성을 갖는 설탕 무함유 츄잉 검을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결정성 소르비톨/만니톨/자일리톨
검 베이스
탄산칼슘
글리세린
안정화된 ACP 및/또는 ACFP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
플루오르화나트륨
착향유
실시예 8
본 발명의 유효성을 하기에 설명한 실험에 의해 입증할 수 있었다. FLE (틸스트루프 페예르스코프 지수(Thylstrup Fejerskov Index), TF = 3)를 갖는 7개의 소구치를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소재의 로얄 덴탈 호스피탈(Royal Dental Hospital)로부터의 10세 내지 28세의 건강한 환자로부터 치과교정의 이유로 발치한 치아로부터 선택할 수 있었다. 고지된 환자 동의서가 발치된 치아에 대하여 획득되어야 하며, 연구 프로토콜은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The University of Melbourne)의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에 의해 승인되어야 한다. 그 후 모든 시편은 부착 연조직이 제거되어야 하며 실온에서 18% (w/v) 포르말린 아세테이트 용액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그 후 치아는 회전 고무 컵 및 속돌로 깨끗해지게 하며, 이중 탈이온수(DDW)에서 헹군다 (문헌[Fejerskov et al., 1988]). 해부학적 치관을 수냉식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치근으로부터 박편화한다. 각각의 치관을 박편화하여 각각이 FLE를 포함하는 한 쌍의 법랑질 블록을 제공한다. 파라필름(Parafilm)®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의 아메리칸 내셔널 캔(American National Can))의 직사각형 조각을 각각의 병변 위에 두고 주변 법랑질을 매니큐어 (미국 뉴욕주, 레블론(Revlon)TM)로 덮음으로써 각각의 병변 위에 4x4 mm2 윈도를 생성하여야 한다. 그 후, 파라필름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법랑질 병변 윈도가 보이게 하고, 이를 대조 윈도 및 테스트 윈도로서 절반으로 나누었다. 대조 윈도를 매니큐어로 덮었다. 각각의 시편의 두 병변을 하기 2개의 재광화 군 중 하나에 랜덤하게 할당하여야 한다: 제I군 - 5% (w/v) CPP-ACFP 또는 CPP-ACP를 이용한 처리 및 제II군 -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로 사전 컨디셔닝한 직후 5% (w/v) CPP-ACFP 또는 CPP-ACP를 이용한 처리. 제II군은 대안적으로, CPP-ACFP 또는 CPP-ACP를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과 동시적으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II군은 CPP-ACP 또는 CPP-ACFP, 이어서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CPP-ACFP는 레칼덴트 프타이 리미티드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소재)로부터 획득되며, 47.6% (w/w) CPP, 15.7% (w/w) Ca2 +, 22.9% (w/w) PO4 3- 및 1.2% (w/w) F-를 함유한다. CPP-ACFP를 증류하고 탈이온화한 물에 5% (w/v)로 용해시키고 HCl을 이용하여 pH 7.0으로 조정한다. 제1 군에 있어서, 각각의 시편을 37℃에서 5 ml 플라스틱 바이알 내의 2 ml의 5% (w/v), CPP-ACFP 내에 두어야 한다. CPP-ACFP 용액을 10일 동안 매일 교환해야 한다. 제2 군에 있어서, 각각의 시편을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 내에 20분 동안 두고, 헹구고, 그 후 5 ml 플라스틱 바이알 내의 2 ml의 5% (w/v) CPP-ACFP 내에 두어야 한다 (37℃에서). CPP-ACFP 용액을 10일 동안 매일 교환할 수 있다.
크로마 미터(Chroma Meter) (미놀타 크로마미터(Minolta ChromaMeter) CR241, 일본 소재의 미놀타)를 사용하여 표면 반사율을 기록한다. 표면 반사율 측정을 1978년에 국제 조명 위원회(Commission de L'Eclairage)에 의한 L*a*b* 색 공간에서 확립하며, 측정치를 3개의 색 차원(colour dimension)에서의 인간 색 지각에 관련시킨다 (국제 조명 위원회, 1978). L* 값은 백색으로부터 흑색까지의 색 그라디언트(gradient)를 나타내며, a* 값은 녹색으로부터 적색까지의 색 그라디언트를 나타내며, b* 값은 청색으로부터 황색까지의 색 그라디언트를 나타낸다 (국제 조명 위원회, 1978). 단지 L* 값 측정치를 더 높은 판독치를 갖는 더 흰색인 색 및 더 낮은 판독치를 갖는 더 어두운 색에서 사용할 수 있다. 크로마 미터에서의 시편의 재현가능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샘플을 위한 왁스 몰드(mold)를 제조하여 보관할 수 있다. 모든 샘플을 각각의 측정 전 60초 동안 치과용 트리플렉스 시린지(triplex syringe)를 이용하여 공기 건조시켰다. 개별 시편을 처리 전 및 후 10회 재위치화시킬 수 있으며, 색 반사율 L* 값을 기록하였다.
각각의 시편을 광화 용액으로부터 꺼내고, DDW에서 60초 동안 헹구고, 블로팅지(blotting paper)로 블로팅 건조시킨다. 대조 윈도 상의 매니큐어를 아세톤으로 온화하게 제거한다. 그 후 대조 윈도 및 테스트 윈도를 상기 윈도들 사이의 정중선을 통하여 절단함으로써 분리한다. 그 후, 2개의 절반-슬랩(slab)을 병변 윈도와 평행하게 두고, 냉 경화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독일 헤라우스 쿨체르 소재의 팔라두르(Paladur)) 내에 매립시켜야 한다. 상기 쌍 형성된 2개의 법랑질 절반-슬랩을 박편화하고, 미세 x선 사진술(microradiography) 및 미세농도계측적(microdensitometric) 영상 분석을 하여 미네랄 함량을 결정하는데, 이는 정확하게 문헌[Shen et al. (2001)]에 기술된 바와 같다.
각각의 병변 (대조 및 테스트)의 각각의 미세 x선 사진 영상의 정중선에 가까운 결함이 없는 영역을 선택하여 6회 스캐닝할 수 있다 (문헌[Shen et al., 2001]). 각각의 스캔은 전체 불소증 병변을 포함하도록 법랑질 표면으로부터 중앙-법랑질 영역까지 취해진 200개의 판독치를 포함하였다. 테스트 (CPP-ACFP-처리) 병변을 대조 (비처리) 병변과 정확하게 동일한 깊이까지 스캐닝하여야 한다. 각각의 스캔으로부터 수득된 회색 값을 각각의 박편에 포함된 알루미늄 스텝웨지(stepwedge)의 영상을 이용하여 등가의 알루미늄 두께(tA)로 환산한다 (문헌[Shen et al., 2001]). 문헌[Angmar et al. (1963)]의 식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각각의 판독치에 대하여 미네랄의 백분율 체적을 수득하였다: V=(52.77(tA) - 4.54) / tS. 여기서, V = 백분율로서의 미네랄의 체적이며; tA= 스캐닝된 회색 값으로부터 수득된 상대적인 알루미늄 두께이며; tS = 박편 두께(80 ㎛)이다.
사다리꼴 적분을 이용하여 각각의 병변에 있어서의 [병변 깊이 (mm)에 대한 체적 (%) 최소치]의 상기 농도계측 프로파일로부터 DZ 값을 계산하였다 (문헌[Reynolds, 1997]). 대조 윈도 내의 비처리 불소증 관련 법랑질의 프로파일 하의 면적과 인접한 정상 법랑질 사이의 차이를 DZf로 표기하며, 테스트 윈도 내의 CPP-ACFP-처리된 불소증 관련 법랑질 하의 면적과 인접한 정상 법랑질 사이의 차이를 DZr로 표기한다. 따라서 불소증 병변의 광화 백분율 (%M)은 (1- DZr/(DZf) x 100이었다 (문헌[Reynolds, 1997]).
미세 x선 촬영술 후 대조 FLE 및 광화된 FLE 둘 모두를 포함하는 박편을 에너지 분산 X선 분석(EDAX)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다 (문헌[Reynolds, 1997]). 평균 L* 값들을 쉐페(Scheffe) 다중 비교를 이용하여 일원 분류 분산 분석(ANOVA)을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평균 %M 값들을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또한 비교할 수 있다. 전체 평균 L* 및 %M 값을 대응 데이터 스튜던트 t-검정(paired data Student's t-test)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실시예 9
CPP-ACP에 의한 법랑질 탈회부 재광화에 대한 차아염소산염의 영향
인간 치아 법랑질 탈광화 탈회 병변을 문헌[Reynolds, (1997). J Dent Res 76:1587-1595]의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법랑질 표면을 폴리싱에 의해 제거하여 모든 흡착된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이는 연구용의 비코팅된 폴리싱된 법랑질 표면을 노출하도록 대략 50 내지 100 ㎛의 법랑질을 제거하였다. 더욱이, 탈회 병변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산 완충제는 단백질이 이러한 탈회 병변에 들어가지 않도록 단백질을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1% (w/v) CPP-ACP pH 5.0 용액을 5.0의 pH에서 실시예 1에 따라 준비한 CPP-ACP의 상업적 공급원인 레칼덴트® [크라프트 푸즈(Kraft Foods)]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모든 블록을 37℃에서 7일 동안 1% CPP-ACP pH 5 용액을 이용하여 재광화하였다. 그러나, CPP-ACP 재광화 기간의 시작시에 절반을 1% (v/v)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1분 동안 노출시켰다. 환언하면,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CPP-ACP를 탈회 병변에 동시적으로 노출시켰다. 재광화 후, 법랑질 블록을 매립시키고, 박편화하고, 횡방향 미세 x선 촬영 및 농도계측적 영상 분석을 하여 (이는 문헌[Reynolds (1997)]에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음) 표 3에 나타낸 미네랄 함량 증가 퍼센트 (재광화율 (%))를 결정하였다. 투키(Tukey) HSD 사후 검정 비교를 이용하여 결정한 평균의 차이를 이용한 일원 분산 분석은, 차아염소산염을 이용한 처리가 CPP-ACP 용액에 의한 재광화 수준을 31%만큼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임의의 이론 또는 작용 양식에 의해 구애됨이 없이, 차아염소산염에 의한 향상된 CPP-ACP 재광화의 기작은 차아염소산염의 법랑질 탈회 병변 내로의 확산에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일단 병변 유체 내에 있으면 이것은 서서히 분해됨으로써 염소, 산소, 나트륨 및 히드록시드 이온을 방출하였다.
4 NaClO + 2 H2O → 4 Na+ + 4 OH- + 2 Cl2 + O2
법랑질 탈회 병변에서의 차아염소산염의 이러한 느린 분해는 염기 (히드록시드 이온)를 생성하였으며, 상기 염기는 추가의 히드록시드 이온의 결과로서 병변내 유체 내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포화도를 증가시켰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형성은 ACP가 히드록시아파타이트로 전환될 때 방출될 수 있거나 우식 형성 동안과 같은 더 낮은 pH 환경에서 존재하는 양성자에 의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의 히드록시드 이온, 또는 중성 이상으로 유지된 pH는 병변 내의 CPP-ACP에 의한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형성 (광화)을 조장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염은 CPP-ACP 또는 CPP-ACFP에 의한 재광화를 유도할 병변내 염기 생성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이다.
Figure 112016017719534-pct00003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규정된 본 발명은 텍스트 또는 도면 또는 표로부터 명백하거나 언급된 개별 특징 중 2가지 이상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까지 확대됨이 이해된다. 이러한 상이한 조합 전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인 태양을 구성한다.
참고 문헌
● Fejerskov O, Baelum V, Manji F, Moller I (1988). Dental Fluorosis - A handbook for health workers Copenhagen: Munksgard.
● Reynolds EC (1998). Anticariogenic complexes of amorphous calcium phosphate stabilized by casein phosphopeptides: a review. Spec Care Dentist 18:8-16.
● Reynolds EC, Cai F, Shen P, Walker GD (2003). Retention in plaque and remineralization of enamel lesions by various forms of calcium in a mouthrinse or sugar-free chewing gum. J Dent Res 82:206-11.
● Shen P, Cai F, Nowicki A, Vincent J, Reynolds EC (2001). Remineralization of enamel subsurface lesions by sugar-free chewing gum containing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J Dent Res 80:2066-70.

Claims (23)

  1. 광화제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광화제는 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ACP) 또는 안정화된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ACFP)이고;
    상기 제1성분이 접촉된 후에 제2성분이 치아의 표면 또는 탈회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subsurface)를 광화하기 위한 조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표면은 우식, 치아 침식 또는 불소증에 의해 야기되는 법랑질 내의 병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화제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안정화된 무정형 인산칼슘 복합체(CPP-ACP) 또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안정화된 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 복합체(CPP-ACF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치약, 가루치약, 액상 치약, 구강세정제, 구강청정제, 구강 스프레이, 바니시, 치과용 시멘트, 트로키(troche), 츄잉 검, 로젠지(lozenge), 치과용 페이스트, 치은 마사지 크림, 양치용 정제, 유제품 및 기타 식료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히드록시드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용액의 pH를 7 내지 9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용액의 pH를 7.5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치아 병변의 병변내 유체의 pH를 6으로부터 7.5까지 상승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하이포플루오라이트(hypofluorite) 또는 우레아(u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탄산나트륨은 구강청정제 또는 구강세정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회부의 치아 표면은 가축, 반려동물 또는 동물원 동물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은 고양이 또는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양, 말 및 가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합물.
  14.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중 (a)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화합물 및 (b)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무정형 인산칼슘 복합체(CPP-ACP) 또는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무정형 칼슘 플루오라이드 포스페이트 복합체(CPP-ACFP)를 포함하고;
    상기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CPP-ACP 복합체 또는 CPP-ACFP 복합체 다음으로 치아 표면 또는 탈회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우식, 불소증 및 치아 침식 중 1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67004696A 2013-07-23 2014-07-23 치아 광화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221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902815 2013-07-23
AU2013902815A AU2013902815A0 (en) 2013-07-23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mineralization
PCT/AU2014/050144 WO2015010166A1 (en) 2013-07-23 2014-07-23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mineral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229A KR20160040229A (ko) 2016-04-12
KR102221531B1 true KR102221531B1 (ko) 2021-03-02

Family

ID=5239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96A KR102221531B1 (ko) 2013-07-23 2014-07-23 치아 광화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4) US10695370B2 (ko)
EP (1) EP3024428B1 (ko)
JP (2) JP6621406B2 (ko)
KR (1) KR102221531B1 (ko)
CN (1) CN105530909A (ko)
AU (1) AU2014295815B2 (ko)
CA (1) CA2918441C (ko)
DK (1) DK3024428T3 (ko)
IL (1) IL243553B (ko)
MX (1) MX2016001005A (ko)
MY (1) MY180623A (ko)
NZ (1) NZ716163A (ko)
PH (1) PH12016500127A1 (ko)
PL (1) PL3024428T3 (ko)
RU (1) RU2697878C2 (ko)
SG (1) SG11201600137UA (ko)
TW (1) TWI679991B (ko)
WO (1) WO2015010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05826T3 (pl) 2006-02-09 2020-11-02 The University Of Melbourne Kompozycja fluorku i sposoby mineralizacji zębów
RU2697878C2 (ru) 2013-07-23 2019-08-21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минерализации зубов
RU2716134C2 (ru) 2013-12-24 2020-03-06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олова (II)
MX2019010832A (es) 2017-03-14 2019-10-30 Univ Melbourne Tratamiento para la gingivitis.
WO2019046708A1 (en) * 2017-08-31 2019-03-07 Logical Brands, Inc. TOYS FOR ANIMALS WITH AN AROMA INCORPORATED
US20220183810A1 (en) * 2019-03-13 2022-06-16 The University Of Melbourne Concealment of hypomineralised lesions
MX2021011093A (es) * 2019-03-13 2021-12-10 Univ Melbourne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promover la mineralizacion.
WO2021059215A2 (en) 2019-09-25 2021-04-01 Church & Dwight Co., Inc. Oral care composition
CN112426376B (zh) * 2020-12-21 2023-07-25 深圳爱尔创数字口腔有限公司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EP4340949A1 (en) 2021-05-20 2024-03-27 Smile Makers, LLC Oral hygie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R2021015054A2 (tr) * 2021-09-27 2021-10-21 Bugra Oezen Bi̇yomi̇meti̇k ve anti̇karyojeni̇k özelli̇kli̇ remi̇nerali̇zasyon ajan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403A (ja) * 2005-06-07 2008-11-27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メルボルン 歯の石灰化
JP2010047494A (ja) * 2008-08-20 2010-03-04 Gc Corp 歯牙塗布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4471A (en) 1968-12-20 1975-02-04 Colgate Palmolive Co Stable dentifrices containing a monofluorophosphate, an insoluble metaphosphate, and calcium carbonate
US3966901A (en) 1970-12-29 1976-06-29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ifrice preparation
US4080440A (en) 1974-12-13 1978-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remineralizing tooth enamel
US4157386A (en) 1978-05-18 1979-06-05 Rochelle Paul J Soft, chewable lozenge forming a sticky coating on teeth when combined with saliva in the mouth which is removable only by brushing
US4588763A (en) 1978-06-01 1986-05-13 Braennstroem Martin Ethyl acetate as solvent in cavity liners
NZ199891A (en) 1981-03-04 1985-07-31 Univ Melbourne Caries-inhibi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sein or x-s-casein or phosuitin
US4357318A (en) 1981-07-31 1982-11-02 Richardson-Vicks Inc. Dentifrices with improved soluble fluoride availability
US4522805A (en) 1983-06-08 1985-06-11 Norman Gordon Tooth and gum dentifrice
US4672032A (en) 1983-11-09 1987-06-0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Dental enamel production
CA1315480C (en) 1986-06-12 1993-03-30 Eric Charles Reynolds Phosphopeptides
US5015628A (en) 1986-06-12 1991-05-1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nticariogenic phosphopeptides
US6056930A (en) 1989-05-24 2000-05-02 American Dental Association Healt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ineralizing and fluoridating calcified tissues
US5227154A (en) 1991-08-22 1993-07-13 The University Of Melbourne Phospho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dental calculus
CA2138991C (en) 1992-06-29 2007-01-30 Eric C. Reynolds Treatment for sensitive teeth
CH684773A5 (fr) 1992-12-28 1994-12-30 Nestle Sa Composition alimentaire anti-cariogène.
JP3471431B2 (ja) 1994-07-18 2003-12-02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グラスアイオノ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3340265B2 (ja) 1994-11-21 2002-11-05 一枝 山岸 歯の漂白剤
KR0140248B1 (ko) 1995-03-23 1998-06-15 한상기 신규한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그것을 포함하는 카제인 및 그 제조방법
EP0748591B1 (fr) 1995-06-16 2001-10-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séines micellaires fluorées
US6036944A (en) 1995-08-08 2000-03-14 Enamelon, Inc. Processes for the remineralization and mineralization of teeth
JP2974604B2 (ja) 1996-01-23 1999-11-10 雪印乳業株式会社 塩基性タンパク質組成物、塩基性ペプチド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4040705B2 (ja) 1996-01-24 2008-01-30 株式会社サンギ 口腔組成物
AUPN898296A0 (en) 1996-03-28 1996-04-26 Nulite Systems International Pty Ltd Elastomeric state glass ionomer cement
US5741773A (en) 1996-04-26 1998-04-21 Colgate Palmolive Company Storage stable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bacterial casein glycomacropeptide adjuvant
JP2975337B2 (ja) 1997-02-20 1999-11-10 雪印乳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複合体
AUPO566297A0 (en) 1997-03-13 1997-04-10 University Of Melbourne, The Calcium phosphopeptide complexes
JPH11228327A (ja) 1998-02-18 1999-08-24 Gc Corp 歯科用ペースト系グラスアイオノ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3742523B2 (ja) 1998-02-27 2006-02-08 雪印乳業株式会社 高分子型カルシウム・ホスホペプチド複合体
US6120754A (en) * 1998-03-11 2000-09-19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Remineralization of teeth
AUPP494798A0 (en) 1998-07-29 1998-08-20 Pacific Biolink Pty Limited Protective protein formulation
US6846500B1 (en) * 1999-03-25 2005-01-25 Cadbury Adams Usa Llc Oral care chewing gums and method of use
CA2359647C (en) * 1999-03-25 2003-12-30 Warner-Lambert Company Oral care chewing gums and confections
FR2791573B1 (fr) 1999-03-30 2003-04-11 Pf Medicament Utilisation d'un extrait de serenoa repens pour la fabrication d'un medicament destine au traitement du cancer de la prostate
US6149894A (en) 1999-05-14 2000-11-21 Colgate Palmolive Company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oothpaste
US6521215B2 (en) 1999-05-28 2003-02-18 Devin Oka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oth treatment
US6685920B2 (en) 1999-11-12 2004-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tecting teeth against erosion
JP2001144695A (ja) 1999-11-17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
GB9929919D0 (en) 1999-12-17 2000-02-09 Hannah Research Inst The Calcium phosphate nanoclusters and their applications
US7727539B2 (en) 2001-03-14 2010-06-01 Drexel University Polymeric bioresorbable composites containing an amorphous calcium phosphate polymer ceramic for bone repair and replacement
JP2002338447A (ja) 2001-05-15 2002-11-27 Kuraray Co Ltd 歯科用組成物
AUPR517701A0 (en) * 2001-05-21 2001-06-14 University Of Melbourne, The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U2002351356A1 (en) 2002-01-03 2003-07-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able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casein phosphopeptide complexes and flouride
WO2003059303A2 (en) 2002-01-03 2003-07-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casein phosphopeptide complexes and fluoride
NZ522071A (en) 2002-10-18 2005-07-29 Patrick Joseph Silcock Hydrolysed casein phosphoprotein preparations for bioactive metal ion delivery and teeth remineralisation
AU2003290436A1 (en) 2002-12-27 2004-07-29 Kao Corporation Oral preparation system
JP3853785B2 (ja) 2002-12-27 2006-12-06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4340069B2 (ja) 2003-01-10 2009-10-07 雪印乳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複合体の製造法
JP2005145952A (ja) 2003-10-23 2005-06-09 Gc Corp う蝕予防用組成物
US20050089481A1 (en) 2003-10-23 2005-04-28 G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caries prevention
US20050118115A1 (en) 2003-10-24 2005-06-02 Fontenot Mark G. Accelerated tooth whitening method, composition and kit
US20060183081A1 (en) 2004-09-27 2006-08-17 Al Bevilacqua Tooth bleaching system and method
WO2006056013A1 (en) 2004-11-25 2006-06-01 The University Of Melbourne Stabilized calcium phosphate complexes
AU2006261597B2 (en) 2005-06-24 2011-06-23 The University Of Melbourne Ionic complexes
WO2007025000A2 (en) 2005-08-22 2007-03-01 Conagra Foods Packaged Foods Company, Inc. Cryogenic peeling process
EP1952801B1 (en) 2005-11-25 2018-07-25 "WDS" Company Oral cavity care curative and prophylactic composition
US20070254260A1 (en) * 2005-12-02 2007-11-01 Alden Wayne S Iv Oral care compositions, methods, devices and systems
PL2705826T3 (pl) 2006-02-09 2020-11-02 The University Of Melbourne Kompozycja fluorku i sposoby mineralizacji zębów
WO2008089066A1 (en) 2007-01-12 2008-07-24 Mcneil-Ppc, Inc. Mineralization toothpaste
MX364537B (es) 2008-02-08 2019-04-30 Colgate Palmolive Co Producto para el cuidado oral y métodos de uso y fabricación del mismo.
GB0807224D0 (en) * 2008-04-21 2008-05-28 Univ Dundee Remineralisation of calcified tissue
US9849310B2 (en) 2008-06-24 2017-12-26 Dental Alliance Holdings, Llc Dental appliance, oral care product and method of preventing dental disease
US9226895B2 (en) * 2008-07-30 2016-01-05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and kits for cleaning and remineralizing teeth
JP5437692B2 (ja) 2009-04-30 2014-03-12 インターコンチネンタル グレート ブランズ エルエルシー 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チューインガム製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10134904A1 (en) 2009-05-18 2010-11-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guanidinium compoun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4693191B2 (ja) 2009-08-06 2011-06-01 日本歯科薬品株式会社 口腔用剤
JP2011073983A (ja) 2009-09-29 2011-04-14 Gc Corp 歯牙塗布用組成物
JP2011162470A (ja) 2010-02-09 2011-08-25 Gc Corp 歯牙用被覆材
AU2011215617B2 (en) 2010-02-12 2016-01-28 Theocorp Holding Co.,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mprove mechanical resistance of teeth
US9539445B2 (en) 2010-11-22 2017-01-10 Taipei Medical University Type of anion-containing calcium phosphate compound for dental remineralization
EP2667883A1 (en) 2011-01-24 2013-12-04 Basf Se Oral health improving compositions
JP2013163656A (ja) 2012-02-10 2013-08-22 Gc Corp 歯磨剤
GB201202341D0 (en) 2012-02-10 2012-03-28 Periproducts Ltd Multicomponent oral care compostion
WO2014050144A1 (ja) 2012-09-28 2014-04-03 江崎グリコ株式会社 象牙細管封鎖剤
RU2697878C2 (ru) 2013-07-23 2019-08-21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минерализации зубов
EP3035909B2 (en) * 2013-08-21 2020-06-10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Hair treatment compositions
RU2716134C2 (ru) 2013-12-24 2020-03-06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олова (II)
MX2017008535A (es) 2014-12-24 2018-03-23 Univ Melbourne Composiciones de fluoruro de mineralización.
MX2019010832A (es) 2017-03-14 2019-10-30 Univ Melbourne Tratamiento para la gingivitis.
EA201991935A1 (ru) 2017-03-14 2020-02-14 Д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Мельбурн Комплексы для леч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MX2021011093A (es) 2019-03-13 2021-12-10 Univ Melbourne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promover la mineralizacion.
US20220183810A1 (en) 2019-03-13 2022-06-16 The University Of Melbourne Concealment of hypomineralised les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403A (ja) * 2005-06-07 2008-11-27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メルボルン 歯の石灰化
JP2010047494A (ja) * 2008-08-20 2010-03-04 Gc Corp 歯牙塗布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03090A (ru) 2017-08-29
SG11201600137UA (en) 2016-02-26
CA2918441A1 (en) 2015-01-29
JP2019218365A (ja) 2019-12-26
WO2015010166A1 (en) 2015-01-29
TW201507731A (zh) 2015-03-01
RU2697878C2 (ru) 2019-08-21
CN105530909A (zh) 2016-04-27
KR20160040229A (ko) 2016-04-12
MY180623A (en) 2020-12-03
MX2016001005A (es) 2016-08-03
US20220401473A1 (en) 2022-12-22
EP3024428B1 (en) 2020-10-21
JP6621406B2 (ja) 2019-12-18
NZ716163A (en) 2019-09-27
AU2014295815A1 (en) 2016-02-11
US20160158283A1 (en) 2016-06-09
IL243553B (en) 2021-02-28
US20240033288A1 (en) 2024-02-01
TWI679991B (zh) 2019-12-21
RU2016103090A3 (ko) 2018-05-25
US20200246378A1 (en) 2020-08-06
DK3024428T3 (da) 2021-01-18
EP3024428A1 (en) 2016-06-01
EP3024428A4 (en) 2017-01-25
JP2016527236A (ja) 2016-09-08
IL243553A0 (en) 2016-02-29
AU2014295815B2 (en) 2018-07-19
CA2918441C (en) 2023-03-21
US11717537B2 (en) 2023-08-08
PH12016500127A1 (en) 2016-04-25
US10695370B2 (en) 2020-06-30
US11351193B2 (en) 2022-06-07
PL3024428T3 (pl)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53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mineralization
EP1888014B1 (en) Dental mineralization
US11564873B2 (en) Stabilized stannous compositions
AU2015372368B2 (en) Mineralization fluorid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