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322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322A
KR20140143322A KR1020140053946A KR20140053946A KR20140143322A KR 20140143322 A KR20140143322 A KR 20140143322A KR 1020140053946 A KR1020140053946 A KR 1020140053946A KR 20140053946 A KR20140053946 A KR 20140053946A KR 20140143322 A KR20140143322 A KR 2014014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detection
terminal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구와하라
유이치로 나카무라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2009/108Building a sliding and/or a removable bridging connector f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 H01H9/085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contact separation effected by removing contact carry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9/10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장치는, 제1커넥터와, 제1검출 커넥터와, 제2커넥터와,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는, 제1전원단자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제1검출 커넥터는 제1검출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제1검출 커넥터는,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2커넥터는, 제2전원단자 및 제2검출단자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재는 제1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재를 쓰러뜨리면, 제1커넥터는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전원단자는 제2전원단자와 접속한다. 다음에 조작부재를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제1검출 커넥터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제1검출단자는 상기 제2검출단자와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hybrid car)에 있어서 전원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경로에 포함되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裝置)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79644호 공보(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도4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커넥터 장치(900)는, 제1커넥터(910)와, 제2커넥터(920)와, 조작부재(操作部材)(93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재(930)는 제1커넥터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재(930)에는 제1검출 커넥터(940)가 설치되어 있고, 제2커넥터(920)에는 제2검출 커넥터(95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930)를 쓰러뜨리면 제1커넥터(910)가 제2커넥터(920)와 결합한다. 그 후에 조작부재(930)를 슬라이드시키면 제1검출 커넥터(940)가 제2검출 커넥터(950)와 결합한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 장치(900)에 있어서는 제1검출 커넥터(940)가 제2검출 커넥터(950)와 결합하는 타이밍을, 제1커넥터(910)가 제2커넥터(920)와 결합하는 타이밍으로부터 명확하게 다르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장치(900) 조작자의 감전(感電)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 장치(900)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910)와 제2커넥터(920)의 결합방향이, 제1검출 커넥터(940)와 제2검출 커넥터(950)의 결합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제2커넥터(920) 및 제2검출 커넥터(950)가 케이블 및 검출신호선과 각각 접속되는 경우에, 케이블과 검출신호선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인출된다. 이 때문에 케이블이나 검출신호선의 인출이 번잡하다. 또한 제1검출 커넥터(940) 및 제2검출 커넥터(950)는, 제1커넥터(910) 및 제2커넥터(920)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장치(900)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에 장착할 때에 큰 수용공간이나 큰 작업공간이 필요하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79644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큰 수용공간도 큰 작업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제1커넥터와, 제1검출 커넥터와, 제2커넥터와,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제1전원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는 상기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검출 커넥터는 제1검출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검출 커넥터는, 상기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전원단자와 제2검출단자와 제2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전원단자 및 상기 제2검출단자는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다. 상기 제2전원단자 및 상기 제2검출단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제1전원단자 및 상기 제1검출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제1조작 및 제2조작의 각각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조작은 상기 조작부재를 쓰러뜨리는 조작이다.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이다. 상기 제1조작은, 상기 제1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전원단자를 상기 제2전원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제1조작 후의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제1검출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검출단자를 상기 제2검출단자에 접속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검출 커넥터는, 제1커넥터의 제2커넥터에 대한 결합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전원단자용의 전원선(예를 들면 케이블) 및 제2검출단자용의 검출신호선은 예를 들면 제2커넥터의 바닥부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검출 커넥터 및 제2검출 커넥터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 장치를 장착할 때에 큰 수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 장치를 조작할 때에 큰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에 있어서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의 제1커넥터를 VI--V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8은, 도1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제1커넥터를 I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도3의 제1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11은, 도4의 제1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12는, 도6의 제1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도7의 제1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4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도1의 제1커넥터와 도14의 제2커넥터는 아직 결합하지 않고 있다.
도18은,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9는, 도18의 커넥터 장치를 XI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8의 커넥터 장치를 XX--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 장치는 제1조작중이다.
도22는, 도21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I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X--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4는,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제1조작은 완료되어 있다.
도25는, 도24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26은, 도24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I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7은, 도24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X--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8은, 도25의 커넥터 장치를 XXVIII--XX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9는, 도25의 커넥터 장치를 XXIX--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0은,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 장치는 제2조작중이다.
도31은, 도30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I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2는, 도30의 커넥터 장치를 도25의 XXVIII--XX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3은, 도30의 커넥터 장치를 도25의 XXIX--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4는,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제2조작은 완료되어 있다.
도35는, 도34의 커넥터 장치를 도18의 XI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6은, 도34의 커넥터 장치를 도25의 XXVIII--XX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7은, 도34의 커넥터 장치를 도25의 XXIX--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8은, 도17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 장치의 제1검출 커넥터는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도39는, 도38의 커넥터 장치의 일부를 XXXIX--XX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0은, 도38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 장치는 제1조작중이다.
도41은, 도40의 커넥터 장치의 일부를 XLI--XL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2는, 도38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 장치는 제1조작중이며, 도40에 묘화한 상태후의 상태에 있다.
도43은, 도42의 커넥터 장치의 일부를 XLIII--XL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4는, 변형예에 의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5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서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變形例), 균등물(均等物), 대체예(代替例)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connector 裝置)는, 제1커넥터(100), 제1검출 커넥터(第1檢出 connector)(200) 및 조작부재(操作部材)(300)와 제2커넥터(500)를 구비하고 있다. 도17 및 도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Z방향(제1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500)와 결합 가능하다.
도1 내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진 제1하우징(第1housing)(110)과,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진 제1전원단자(第1電源端子)(170)를 구비하고 있다.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10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에 지지되어 있으며, Z방향을 따라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조작부재(300)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300)는,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커넥터(100)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재(300)는, 제1하우징(110)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1조작 및 제2조작의 각각에 의하여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조작은 조작부재(300)를 제1커넥터(100)를 향하여 쓰러뜨리는 조작이다. 제2조작은 조작부재(300)를 Y방향(제2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은, 주부(主部)(120)와, 주부(120)의 +Z측(상측(上側))을 덮는 커버(cover)(125)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120)에는, 2개의 피가이드 돌기(被guide 突起)(130)와, 수용부(收容部)(140)와, 가지지부(假支持部)(142)와, 제한홈(制限ditch)(144)과, 빠짐방지돌기(146)와, 2개의 가방지부(假防止部)(148)와, 2개의 방지부(防止部)(150)가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 돌기(130)는, X방향(제3방향:좌우방향)에 있어서 주부(120)의 양측(兩側)(양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X방향의 외측(外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수용부(140)는 제1하우징(110)의 -Y측(후측(後側))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40)는 제1검출 커넥터(200)를 Z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가지지부(142)는 +Y방향을 따라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가지지부(142)는 수용부(140)의 +Z측의 단부(端部)(상단(上端))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홈(144)은 X방향의 내측(內側)으로 오목하면서 Y방향(제2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다. 제한홈(144)은 가지지부(142)의 +Z측(상방(上方))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홈(144)은 수용부(140)와 부분적으로 통하고 있다. 빠짐방지돌기(146)는 수용부(140)의 -Z측의 단부(하단(下端))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빠짐방지돌기(146)는 +Y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방지부(148)는 주부(1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차(段差)이다. 방지부(150)는, 주부(1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X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방지부(148)는 Y방향에 있어서 피가이드 돌기(130)와 방지부(15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방지부(150)는 Y방향에 있어서 가방지부(148)와 수용부(1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전원단자(170)는, +Z측(상측)으로부터 제1하우징(110)의 주부(1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부(120)에 지지되어 있다. 커버(125)는 주부(120)에 지지된 제1전원단자(170)의 +Z측을 덮도록 주부(120)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제1커넥터(100)는 퓨즈(fuse)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다만 제1전원단자(170)를 2개의 부위(部位)로 분할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퓨즈를 경유하여 서로 접속하여도 좋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1검출 하우징(210)과, 도전체로 이루어진 제1검출단자(2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검출 하우징(210)은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수용부(140)에 수용되어 있다. 제1검출단자(240)는 제1검출 하우징(210)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1하우징(110)에 대한 제1검출 커넥터(200)의 +Z측의 한계위치(限界位置)(상단위치)를 제1위치(第1位置)라고 하고, 제1하우징(110)에 대한 제1검출 커넥터(200)의 -Z측의 한계위치(하단위치)를 제2위치(第2位置)라고 한다.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Z방향을 따라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500)가 서로 결합한 때이더라도, 제1위치에 있는 제1검출 커넥터(200)는 후술하는 제2검출 커넥터(600)와 결합하지 않는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검출 하우징(210)에는, 제2캠돌기(第2cam突起)(212)와, 탄성지지부(彈性支持部)(214)와, 가지지돌기(假支持突起)(216)와, 탄성지지부(218)와, 제1위치보정돌기(第1位置補正突起)(220)가 형성되어 있다. 부가하여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검출 하우징(210)은, 돌출접촉부(突出接觸部)(222)와 암(arm)(224)을 구비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캠돌기(212)는 제1검출 하우징(210)의 +Z측의 단부(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2캠돌기(212)는 X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캠돌기(212)는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214)는 제1검출 하우징(210)의 -Y측(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탄성지지부(214)는, +Z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단에 자유단(自由端)을 구비하고 있다. 가지지돌기(216)는 -Y방향을 따라 후방(後方)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이다. 가지지돌기(216)는 탄성지지부(214)에 지지되어 있다. 가지지돌기(216)는, 탄성지지부(214)의 탄성변형(彈性變形)을 이용하여 YZ평면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도17 및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에, 가지지돌기(216)는 가지지부(142)의 +Z측(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지지부(142)가 가지지돌기(216)를 블록하여 제1검출 커넥터(200)를 제1위치에 유지시킨다. 즉 가지지부(142)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 제1검출 커넥터(200)를 제1위치에 가지지한다. 제1검출 커넥터(20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라 하방(下方)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탄성지지부(214)가 휘어져 가지지돌기(216)를 가지지부(142)의 블록으로부터 해방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가지지돌기(216)가 가지지부(142)를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2위치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 가지지돌기(216)는 가지지부(142)의 -Z측(하측)에 있다. 제2위치에 있는 제1검출 커넥터(20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면, 가지지돌기(216)가 가지지부(142)의 -Z측(하측)으로 가압되어 탄성지지부(214)가 휜다. 이에 따라 가지지돌기(216)가 가지지부(142)를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위치에 위치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218)는, 그 양단에 있어서 제1검출 하우징(210)에 고정되고 Z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위치보정돌기(220)는, 탄성지지부(21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中間部)로부터 +X방향(직교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위치보정돌기(220)는, 탄성지지부(218)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XZ평면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탄성지지부(218)와 제1위치보정돌기(220)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접촉부(222)와 암(224)은, 제1검출 하우징(210)의 -Y측 부분(후부(後部))에 형성되어 있다. 암(224)은, -Z방향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에 자유단을 구비하고 있다. 돌출접촉부(222)는 암(224)의 하단(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 돌출접촉부(222)는 빠짐방지돌기(146)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2위치를 넘어서 -Z방향으로(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빠짐방지돌기(146)는,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2위치를 넘어서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의 수용부(140)에 대하여 -Z측(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서 수용부(140)에 지지되어 있다. 제1검출 커넥터(200)의 삽입시에는, 돌출접촉부(222)는 암(224)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빠짐방지돌기(146)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암(224)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세하게는 빠짐방지돌기(146)를 제1하우징(110)과 일체(一體)가 아닌 별체(別體)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제1검출 커넥터(200)를 수용부(140)내에 배치한 후에, 빠짐방지돌기(146)를 돌출접촉부(222)의 -Z측에 위치하도록 제1하우징(110)에 부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암(224)은 생략 가능하다.
도1 내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에는, 2개의 가이드홈(guide ditch)(310)과, 2개의 제1캠홈(第1cam ditch)(320)과, 제2캠홈(330)과, 2개의 록부(lock部)(340)와, 피제한부(被制限部)(350)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310)은 피가이드 돌기(130)를 각각 수용하고 있다. 피가이드 돌기(130)는 가이드홈(310)내를 각각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가이드 돌기(130)는, 제1조작(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리는 조작) 및 제2조작(조작부재(300)를 수평 이동시키는 조작)시에 가이드홈(310)으로 가이드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홈(310)은 제1조작 및 제2조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부위이다.
도1 내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캠홈(320)의 각각은, 개방된 일단(一端)을 구비하는 홈이다. 조작부재(300)가 서 있는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피가이드 돌기(130)와 제1캠홈(320) 사이의 Z방향에 있어서의 최단거리는, 피가이드 돌기(130)와 제1캠홈(320) 사이의 Y방향에 있어서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피가이드 돌기(130)와 제1캠홈(320) 사이의 Z방향에 있어서의 최단거리는, 조작부재(300)를 기울임에 따라 짧아진다. 제1캠홈(320)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가 서 있는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캠홈(330)은 조작부재(300)의 -Y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가 쓰러뜨려진 상태에 있어서, 제2캠홈(330)은 조작부재(300)의 -Z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렸을 때에, 제2캠돌기(212)는 -Z측(하측)으로부터 제2캠홈(330)내에 수용된다.
도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캠홈(330)은, 조작부재(300)가 서 있는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Y방향 및 Z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교부(斜交部)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재(300)가 서 있는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캠홈(330)의 사교부는, Z방향에 있어서 피가이드 돌기(130)로부터 멀어질수록 -Y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24, 도30 및 도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가 쓰러뜨려진 상태에 있어서는, 제2캠홈(330)의 사교부는 Y방향에 있어서 피가이드 돌기(130)로부터 멀어질수록 -Z방향으로(하방으로)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조작시에 제2캠돌기(212)를 수용한 제2캠홈(330)은, 조작부재(300)의 Y방향(제2방향)을 따른 이동을 제2캠돌기(212)에 대하여 Z방향(제1방향)을 따른 이동(특히 -Z방향을 따른 하방으로의 이동)으로 하여 전달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조작시에 제2캠홈(330)은, 제2캠돌기(212)를 수용하여 Z방향을 따른 힘을 제2캠돌기(212)에 가한다.
도3, 도4,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가 서 있는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방지부(150)의 각각은 조작부재(300)의 -Y측(후측)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방지부(150)는 피가이드 돌기(130)의 -Y측에 위치하고 또한 -Z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방지부(150)는 피가이드 돌기(130)의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부재(300)를 피가이드 돌기(130)를 중심으로 하여 쓰러뜨릴 때에 조작부재(300)는, 조작부재(300)의 +Z측 부위(상부(上部))가 -Y방향 또한 -Z방향을 따라(후방 또한 하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정방향(正方向)으로만 쓰러뜨릴 수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재(300)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쓰러뜨리려고 하여도, 제1하우징(110)의 방지부(150)에 대하여 조작부재(300)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릴 수는 없다. 즉 방지부(150)는, 조작부재(300)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부재(300)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는 정방향으로도 쓰러뜨릴 수 없다. 상세하게는 도6, 도7, 도12 및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재(300)는 서 있거나 또는 일으켜져 있다. 이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재(300)의 록부(340)가 제1하우징(110)의 가방지부(148)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300)를 조작할 수 없도록 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의 록은 제2커넥터(500)의 일부를 이용하여 해제시킨다. 즉 가방지부(148)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을 시작할 때까지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리는 것을 일시적으로 방지한다.
도2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제한부(350)는, X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일종의 레일(rail)이다. 피제한부(350)는, 조작부재(300)가 서 있거나 또는 일으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제한부(350)는 조작부재(300)가 쓰러뜨려진 상태에 있어서는 Y방향으로 연장된다. 도29, 도33 및 도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조작시에 피제한부(350)는, Y방향을 따라 제한홈(144)에 삽입되어 조작부재(300)를 일으킬 수 없도록 한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300)는 제2조작 동안에 일으키거나 또는 세울 수 없다.
도14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제2커넥터(5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2하우징(510)과, 도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제2전원단자(5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커넥터(500)에는 제2검출 커넥터(6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검출 커넥터(600)는 제1검출 커넥터(200)와는 달리 제2하우징(5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검출 커넥터(600)는 제2하우징(5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도16 및 도1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500)의 바닥부(500L) 즉 제2하우징(510)의 바닥부(510L)에는 칼라(collar)(560)가 부착되어 있다. 칼라(560)는 제2커넥터(5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2커넥터(500)를 패널(panel)(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장착할 때에, 볼트(bolt)(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등이 칼라(560)에 삽입되어 제2커넥터(500)를 고정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전원단자(550)는 케이블(전원선)(552)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2전원단자(550)는, 제2하우징(510)의 바닥부(510L)로부터 삽입되고 제2하우징(510)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검출 커넥터(6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2검출 하우징(610)과, 도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제2검출단자(630)를 구비하고 있다. 제2검출단자(630)는 제2검출 하우징(610)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제2검출단자(630)는 검출신호선(632)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제2검출 커넥터(600)는 검출신호선(632)과 접속되어 있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검출 커넥터(600)도, 제2하우징(510)의 바닥부(510L)로부터 삽입되고 제2하우징(510)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 결과로 케이블(552)과 검출신호선(632)은, 제2하우징(510)의 바닥부(510L)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2커넥터(500)는 상부(上部)(500U)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500U) 즉 제2하우징(510)의 상부(510U)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커넥터(500)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할 때에 제1커넥터(100)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커넥터(100)는, 제2커넥터(500)의 상부(500U)로부터 바닥부(500L)를 향하여 삽입되고 제2커넥터(500)에 수용된다.
도14 내지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510)에는, 2개의 제1캠돌기(第1cam突起)(520)와 2개의 록 해제부(lock 解除部)(54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캠돌기(520)는 X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록 해제부(540)의 각각은 +Z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39, 도41 및 도4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510)에는, X방향(직각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위치보정돌기(5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위치보정돌기(530)는, 제2전원단자(550)보다 제2검출 커넥터(60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20, 도23 및 도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캠돌기(520)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할 때에 조작부재(300)의 제1캠홈(320)에 각각 수용된다. 제1캠홈(320)과 피가이드 돌기(130) 사이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관계에 기인하여 제1조작후의 제1캠돌기(520)와 피가이드 돌기(130)와의 거리는 제1조작전보다 짧아진다. 그 때문에 제1조작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를 Z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500)에 가깝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조작은, 제1커넥터(100)를 Z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5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제1전원단자(170)를 제2전원단자(550)에 접속한다.
도14 내지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해제부(540)의 선단(先端)은, Z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할 때에 록 해제부(540)는 가방지부(148)와 록부(340) 사이에 삽입되어(도12 및 도13 참조), 록부(340)가 가방지부(148)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시킨다. 조작부재(300)는, 록부(340)로부터 록이 해제되기 때문에 조작부재(300)를 정방향으로 쓰러뜨리는 제1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39, 도41 및 도4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조작에 있어서 제2위치보정돌기(530)는, 제1검출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1위치보정돌기(220)와 함께 제1검출 커넥터(200)의 위치를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도38 및 도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위치하지 않았었다고 하면, 제1조작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할 때에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가 접속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검출단자(240)는, 제2조작을 할 때까지 제2검출단자(630)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1커넥터(100)를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기 전에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위치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적어도 제2조작을 시작할 때까지 제1검출 커넥터(200)를 제1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제1조작에 의하여 제1위치보정돌기(220)와 제2위치보정돌기(530)가 Z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여,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의 접속을 방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 제2위치보정돌기(530)는, 제1위치보정돌기(220)의 -Z측(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제1조작에 의하여 제2위치보정돌기(530)가 Z방향에 있어서 제1위치보정돌기(220)와 간섭하여, 제1검출 커넥터(200)를 제1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위치보정돌기(220)는 탄성지지부(218)에 지지되어 있다. 제2조작시에 제1위치보정돌기(220)는, 제2위치보정돌기(530)를 타고 넘어가서 제2위치보정돌기(530)의 -Z측(하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1위치보정돌기(220)와 제2위치보정돌기(530)로 이루어지는 위치보정기구(位置補正機構)는, 제1검출 커넥터(200)와 제2검출 커넥터(600)의 적절한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17 내지 도37을 참조하여 조작부재(300)의 조작과, 이 조작에 관한 각 부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7 내지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전 상태에 있는 제1커넥터(100)는, 제2커넥터(500)에 삽입되어서 제2커넥터(500)와의 결합을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는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전원단자(170)는 제2전원단자(550)와 접속되지 않고 있다.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캠돌기(520)는 제1캠홈(320)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6, 도7, 도14 및 도1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는, 록부(340)로부터 록이 해제되어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릴 수 있다.
제1조작을 하여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리면, 커넥터 장치는 도21 내지 도23에 나타나 있는 상태를 경유하여 도24 내지 도29에 나타나 있는 제1결합상태에 이른다. 도20, 도23 및 도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조작시에 제1캠홈(320)은, 제1캠돌기(520)를 수용하여 Z방향을 따른 힘을 제1캠돌기(520)에 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조작 동안에, 제1캠돌기(520)는 제1캠홈(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캠홈(320)으로부터 -Z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제1커넥터(100)는, 이 하방으로 향하는 힘에 의하여 -Z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5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커넥터 장치는 제1결합상태에 이른다. 도22 및 도26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는 제2커넥터(500)와 결합하고, 제1전원단자(170)는 제2전원단자(550)와 접속한다.
제1조작후에 제2조작을 하여 조작부재(300)를 수평이동시키면, 커넥터 장치는 도30 내지 도33에 나타나 있는 상태를 경유하여 도34 내지 도37에 나타나 있는 제2결합상태에 이른다. 도3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조작 동안에 피제한부(350)가 제한홈(144)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300)를 일으키거나 또는 세울 수 없다.
도28, 도32 및 도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조작 동안에, 제2캠돌기(212)는 제2캠홈(3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캠홈(330)으로부터 -Z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제1검출 커넥터(200)는, 이 하방으로 향하는 힘에 의하여 -Z방향을 따라 제2검출 커넥터(6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장치는 제2결합상태에 이른다. 도31 및 도3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2검출 커넥터(600)와 결합하고, 제1검출단자(240)는 제2검출단자(630)와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제1전원단자(170) 및 제2전원단자(550)에 전류가 흐른다.
제2커넥터(500)로부터 제1커넥터(100)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한 조작이 반대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우선 조작부재(30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에 의하여 제1검출 커넥터(200)를 제2검출 커넥터(600)로부터 이탈시켜서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의 접속을 해제한다. 이 때문에 제1전원단자(170)와 제2전원단자(550)에 대한 공급전력은 정지된다. 이어서 조작부재(300)를 일으키거나 또는 세운다. 이 조작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를 Z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5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제1커넥터(100)를 제2커넥터(500)로부터 분리하여 제1전원단자(170)와 제2전원단자(550)의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38 및 도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500)의 결합전 상태에 있어서 제1검출 커넥터(200)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제1조작중에 제1검출단자(240)가 제2검출단자(630)에 접속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38 및 도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를 제2커넥터(500)에 삽입한 시점에서 제1위치보정돌기(220)가 제2위치보정돌기(530)와 간섭하여,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Z방향(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도40 및 도4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려 가면, 제1위치보정돌기(220)가 제2위치보정돌기(530)와 간섭하고 있기 때문에 제1하우징(110)(제1커넥터(100))만이 -Z방향(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Z방향(상방)으로 상대적으로 계속해서 이동하여 제1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는, 제1전원단자(170)와 제2전원단자(550)의 접속을 조작부재(300)를 쓰러뜨리는 제1조작으로 하는 한편,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의 접속을 조작부재(30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조작으로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검출단자(240)와 제2검출단자(630)의 접속은, 제1전원단자(170)와 제2전원단자(550)의 접속과 다른 타이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예를 들면 감전되지 않고 안전하게 커넥터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서는 상기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검출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는, XY평면내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넥터 장치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hybrid car)에 부착할 때에 큰 수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부착후의 조작시에도 큰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552)이나 검출신호선(632) 모두를 제2커넥터(500)의 바닥부(500L)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는 제2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만 커넥터 장치는 제2조작을 굳이 원활하게 할 수 없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전원단자(550)에 접속되는 전원선은 케이블(552)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4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전원단자(550)에 버스 바(bus bar)(전원선)(554)를 접속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2013년 6월 6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3-119742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910 ; 제1커넥터
110 ; 제1하우징
120 ; 주부
125 ; 커버
130 ; 피가이드 돌기
140 ; 수용부
142 ; 가지지부
144 ; 제한홈
146 ; 빠짐방지돌기
148 ; 가방지부
150 ; 방지부
170 ; 제1전원단자
200, 940 ; 제1검출 커넥터
210 ; 제1검출 하우징
212 ; 제2캠돌기
214, 218 ; 탄성지지부
216 ; 가지지돌기
220 ; 제1위치보정돌기
222 ; 돌출접촉부
224 ; 암
240 ; 제1검출단자
300, 930 ; 조작부재
310 ; 가이드홈
320 ; 제1캠홈
330 ; 제2캠홈
340 ; 록부
350 ; 피제한부
500, 920 ; 제2커넥터
500U, 510U ; 상부
500L, 510L ; 바닥부
520 ; 제1캠돌기
530 ; 제2위치보정돌기
540 ; 록 해제부
550 ; 제2전원단자
552 ; 케이블(전원선)
554 ; 버스 바(전원선)
560 ; 칼라
600, 950 ; 제2검출 커넥터
610 ; 제2검출 하우징
630 ; 제2검출단자
632 ; 검출신호선
900 ; 커넥터 장치

Claims (11)

  1. 제1커넥터와, 제1검출 커넥터(第1檢出 connector)와, 제2커넥터와, 조작부재(操作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裝置)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하우징(第1housing)과 제1전원단자(第1電源端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전원단자는 상기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검출 커넥터는 제1검출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검출 커넥터는 상기 제1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전원단자와 제2검출단자와 제2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전원단자 및 상기 제2검출단자는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는 제1조작 및 제2조작의 각각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조작은 상기 조작부재를 쓰러뜨리는 조작이며,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상기 제1조작은, 상기 제1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전원단자를 상기 제2전원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제1조작 후의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제1검출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검출단자를 상기 제2검출단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외측(外側)을 향하여 돌출된 피가이드 돌기(被guide 突起)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3방향의 내측(內側)을 향하여 돌출된 제1캠돌기(第1cam突起)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검출 커넥터에는, 상기 제3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2캠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에는, 가이드홈(guide ditch)과, 제1캠홈(第1cam ditch)과, 제2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피가이드 돌기를 수용하고 있고,
    상기 피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조작 및 상기 제2조작시에 상기 가이드홈으로 가이드 되고,
    상기 제1조작시에 상기 제1캠홈은, 상기 제1캠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른 힘을 상기 제1캠돌기에 가하고,
    상기 제2조작시에 상기 제2캠홈은, 상기 제2캠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른 힘을 상기 제2캠돌기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 커넥터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제1위치보정돌기(第1位置補正突起)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제2위치보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 커넥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보정돌기와 상기 제2위치보정돌기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여, 상기 제1검출단자와 상기 제2검출단자의 접속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 커넥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위치보정돌기가 상기 제1위치보정돌기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간섭하여, 상기 제1검출 커넥터를 상기 제1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보정돌기는, 상기 제2조작시에 상기 제2위치보정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가지지부(假支持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지지부는, 상기 제1검출 커넥터를 상기 제1위치에 가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빠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빠짐방지돌기는, 상기 제1검출 커넥터가 상기 제2위치를 넘어서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가방지부(假防止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방지부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의 결합을 시작할 때까지 상기 조작부재를 쓰러뜨리는 것을 일시적(temporally)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정방향(正方向)으로 쓰러뜨릴 수 있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방지부(防止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지부는,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한홈(制限ditc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에는 피제한부(被制限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조작시에 상기 피제한부는, 상기 제한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일으킬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2커넥터에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제2전원단자에는 전원선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검출 커넥터에는 검출신호선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 및 상기 검출신호선은, 상기 제2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40053946A 2013-06-06 2014-05-07 커넥터 장치 KR20140143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9742A JP2014238929A (ja) 2013-06-06 2013-06-06 コネクタ装置
JPJP-P-2013-119742 2013-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322A true KR20140143322A (ko) 2014-12-16

Family

ID=5072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946A KR20140143322A (ko) 2013-06-06 2014-05-0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64010A1 (ko)
EP (1) EP2811586A1 (ko)
JP (1) JP2014238929A (ko)
KR (1) KR20140143322A (ko)
CN (1) CN104241964A (ko)
TW (1) TW201517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5341B2 (ja) 2016-01-28 2019-1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63790B2 (ja) * 2016-05-12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692718B2 (ja) * 2016-08-16 2020-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720061B2 (ja) * 2016-11-18 2020-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792424B2 (ja) * 2016-11-18 2020-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840640B2 (ja) * 2017-08-18 2021-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929821B2 (ja) * 2018-06-26 2021-09-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20027783A (ja) * 2018-08-17 2020-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20080271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80270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190380A (ja) * 2020-06-03 2021-12-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112310691B (zh) * 2020-09-24 2023-11-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位置保证装置、连接器组件、电池和用电装置
JP2022102010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648B1 (en) * 2001-02-07 2001-12-0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lementary lever assist and terminal delay
JP3820354B2 (ja) * 2001-05-16 2006-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2343502A (ja) * 2001-05-18 200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43995B2 (ja) * 2007-11-05 201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29330B2 (ja) * 2009-07-22 2013-10-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DE102009053674B4 (de) * 2009-11-19 2011-09-01 Yazaki Europe Ltd. Steckverbinder mit Sekundärsteckverbinder
JP5578927B2 (ja) * 2010-01-12 2014-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5608488B2 (ja) * 2010-09-09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5612997B2 (ja) * 2010-10-06 2014-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846858B2 (ja) * 2011-10-31 2016-01-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7402A (zh) 2015-05-01
CN104241964A (zh) 2014-12-24
EP2811586A1 (en) 2014-12-10
JP2014238929A (ja) 2014-12-18
US20140364010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3322A (ko) 커넥터 장치
CN101160697B (zh) 具有定位保险装置的杆配合连接器组件
US8481875B2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201906771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101015102A (zh) 上面安装有开关设备的安装装置
KR20110051102A (ko)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JP3820355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20530248A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ブラケット及びバッテリーボックスアセンブリ
US9666987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70141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122101B2 (ja) 分割型コネクタ
JP2004039367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CN106157470A (zh) 扩充基座
JP2014022137A (ja) 配線ダクトシステム
US10903604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that restricts excessive deflection of the lock arm
US20170244200A1 (en) Cove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4167875A (ja) コネクタ装置
US6948953B2 (en) Connector connecting construction and a connector connecting method
KR101717114B1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JP2016119163A (ja) 充電用インレット
CN102570179B (zh) 自动化技术中电子组件的插接装置的闭锁机构
JP2006331994A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20155222A (ja) コネクタ
AU4140499A (en) Automobile mirror
CN103918134B (zh) 电连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