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114B1 -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14B1
KR101717114B1 KR1020100112458A KR20100112458A KR101717114B1 KR 101717114 B1 KR101717114 B1 KR 101717114B1 KR 1020100112458 A KR1020100112458 A KR 1020100112458A KR 20100112458 A KR20100112458 A KR 20100112458A KR 101717114 B1 KR101717114 B1 KR 10171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terlock
main
interlock connec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167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고전압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에 각각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는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의 외면에는 제1 설치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설치대(14)에는 이동레일(26)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설치대(14)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16)에는 인터락구동레버(18)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의 제2 설치대(40)에는 걸이레버(44)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에는 상기 결합공간(16)의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24)로 노출되게 조작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나 상기 제1인터락커넥터(31)가 고정되는 이동체(30)상에 형성된 차폐판(32)에 의해 차폐되어 임의조작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식의 인터락기구가 구현되어 고전압 커넥터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메인커넥터(11,12)의 결합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락 커넥터조립체{Interlock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에 사용되는 메인 커넥터의 분리시에 인터락커넥터가 먼저 분리되면서 전원연결을 해지하고 메인 커넥터를 분리하도록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는 각각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각각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엔진 이외에 모터를 구동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들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졌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즉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특히 제1 및 제2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순간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터미널의 물리적 결합 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물리적인 결합의 해제 전에 전기전달이 끊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조립체에서 제1 메인커넥터와 제2 메인커넥터의 결합 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결합이 분리되기 전에 전기적 연결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메인커넥터와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커넥터 위치 보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메인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 메인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의 외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락커넥터와, 상기 제2 메인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 인터락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상에서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선단에 걸이돌부가 형성된 인터락구동레버와, 상기 제2 메인커넥터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의 걸이돌부와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와 결합,분리되어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고 해제하는 걸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터락구동레버는 상기 제1 메인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제1설치대 내부의 결합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걸이돌부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결합공간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개구부로 노출되게 조작부가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걸이레버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에는 차폐판이 구비되어 상기 제1인터락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조작부의 임의조작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상기 조작부 반대쪽으로 돌출된 지지아암이 관통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제1 설치대의 상면 양단에는 나란히 이동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의 조작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폐판에 간섭되므로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를 걸어 제1 인터락커넥터가 이동레일의 선단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는 상기 제1 설치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인터락커넥터는 제2 메인커넥터에 구비된 제2 설치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인터락구동레버와 걸이레버가 각각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에 구비되는데, 이들 사이의 결합해제는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어야만 수행되어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의 결합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간단한 기계식구조에 의해 인터락기능, 즉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해제가 미리 전원공급이 끊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인터락커넥터와 함께 이동되는 차폐판이 인터락구동레버의 조작부를 차폐하거나 노출시켜 준다. 따라서, 차폐판이 조작부를 차폐함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메인커넥터와 제1 인터락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메인커넥터와 제2 인터락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메인커넥터에 구비되는 인터락기구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메인커넥터의 제1 인터락커넥터가 후퇴된 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인터락기구의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따르면, 제1 메인커넥터(11)는 하우징(도면부호 부여 않음)의 내부에 터미널(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금속물로 된 일종의 쉘(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의 후방으로는 제1와이어(11')가 연장되는데, 상기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메인커넥터 자체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 메인커넥터(12)도 역시 하우징(도면부호 부여 않음)의 내부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의 외면에도 금속물로 된 일종의 쉘(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의 후방으로는 제1와이어(12')가 연장되는데, 상기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 자체의 구성 역시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의 상면 일측에는 도 2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락기구의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의 하우징 외면에 제1설치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대(14)는 내부에 적어도 제1 메인커넥터(11)의 전방으로 개구되는 결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6)의 내부에는 인터락구동레버(18)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공간(16)은 도 4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양측면 방향으로도 각각 개구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간(16)에 설치되는 인터락구동레버(18)는 회전중심핀(1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중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의 선단쪽 단부에는 걸이돌부(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부(19)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레버(44)의 걸림턱(4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중심핀(18')을 기준으로 상기 걸이돌부(19)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지지아암(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아암(20)은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아암(20)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설치대(14)에는 간섭회피공(20')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20')은 상기 결합공간(16)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간섭회피공(20')이 반드시 결합공간(16)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아암(20)에는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가 항상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22)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코일스프링형태의 것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토션스프링이 상기 회전중심핀(18')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아암(20)은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지지아암(2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반대쪽에는 조작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일측에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제1설치대(14)의 타측면으로 개방되는 개구부(24')를 통해 외부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결합공간(16)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개구부(24')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설치대(14)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설치대(14)의 상면 양측을 따라서는 나란히 이동레일(26)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레일(26)을 따라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인터락커넥터(31)가 구비된 이동체(30)가 이동된다. 상기 이동레일(26)의 선단에는 록킹돌기(28)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돌기(28)는 이동체(30)가 제1 설치대(14)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체(30)에는 상기 록킹돌기(28)가 걸어질 수 있는 걸이돌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설치대(14)의 이동레일(26)을 따라 이동되게 이동체(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30)에는 제1 인터락커텍터(3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체(30)와 제1 인터락커넥터(31)는 일체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이 별개로 만들어져 조립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는 일반적인 커넥터와 같이 하우징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의 후단으로도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장된다.
상기 이동체(30)나 제1 인터락커넥터(31)의 일측에는 차폐판(32)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개구부(24')가 형성된 쪽의 제1 설치대(14)의 측면과 마주볼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이동체(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조작부(24)에 걸어져 이동체(3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24')를 차폐하여 외부에서 상기 조작부(24)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에는 제2설치대(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설치대(40)는 상기 제2 메인커넥터(12)의 하우징이나 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치대(40)에는 제2 인터락커넥터(42)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 인터락커넥터(42)는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와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하우징(도면부호 부여않음)의 내부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그 후방으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터미널과 연결된 상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설치대(30)의 일측에는 걸이레버(4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44)는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와 제2 메인커넥터(12)가 결합될 때, 상기제1설치대(14)의 결합공간(16)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24')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레버(44)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돌부(19)가 걸어지는 걸림턱(4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메인커넥터(11)와 제2 메인커넥터(12)는 서로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와이어(11',12') 사이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는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가 결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도 동시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는 상기 이동체(30)와 함께 상기 제1 설치대(14)에 구비된 이동레일(26)을 따라 이동레일(26)의 선단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는 상기 록킹돌기(28)에 의해 고정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레버(44)는 상기 제1 설치대(14)의 결합공간(16)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를 도 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걸이돌부(19)가 상기 걸이레버(44)의 걸림턱(46)을 타고 넘게 되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는 상기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46)에 상기 걸이돌부(19)가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의 차폐판(32)은 상기 개구부(24')를 차폐하여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조작부(24)를 외부에서는 조작할 수 없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 사이의 결합은 상기 차폐판(32)이 개구부(24')를 개방하지 않는 한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와 걸이레버(44) 사이의 결합을 풀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일종의 커넥터 결합보장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를 통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되다가,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 사이의 결합이 갑작스럽게 해제되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먼저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의 결합이 해제될 것이라는 것을 먼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의 결합해제는 작업자가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를 잡고 제2 인터락커넥터(4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즉,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이동레일(26)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30)가 후방으로 이동레일(26)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차폐판(32)도 함께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4')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24')가 개방되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의 조작부(24)가 상기 개구부(24')를 통해 노출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24)를 눌러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32)이 개구부(24')를 개방하면 상기 조작부(24)가 상기 개구부(24')를 통해 돌출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인터락구동레버(18)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되어 조작부(24)가 돌출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작부(24)에 의해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31)가 이동레일(26)의 전방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 사이의 결합이 해지되었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 사이의 결합을 아직 해제되지 않았다. 이는 상기 인터락구동레버(18)와 걸이레버(4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24')를 통해 노출된 상기 조작부(24)를 눌러 상기 인터락구동레버(24)가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인터락구동레버(24)의 걸이돌부(19)와 걸이레버(44)의 걸림턱(46)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커넥터(31,4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 사이에는 이미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11,12)의 결합을 해제하더라도 이미 전원공급이 되지 않고 있으므로 스파크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 제1 메인커넥터 11'; 제1 와이어
12: 제2 메인커넥터 12': 제2 와이어
14: 제1 설치대 16: 결합공간
18: 인터락구동레버 18': 회전중심핀
19: 걸이돌부 20: 지지아암
22: 탄성부재 24: 조작부
24': 개구부 26: 이동레일
30: 이동체 31: 제1 인터락커넥터
32: 차폐판 40: 제2설치대
42: 제2 인터락커넥터 44: 걸이레버
46: 걸림턱

Claims (7)

  1. 제1 메인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 메인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의 외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락커넥터와,
    상기 제2 메인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 인터락커넥터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가 상기 제1 메인커넥터상에서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선단에 걸이돌부가 형성된 인터락구동레버와,
    상기 제2 메인커넥터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의 걸이돌부와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와 결합,분리되어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고 해제하는 걸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터락구동레버는 상기 제1 메인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제1설치대 내부의 결합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걸이돌부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결합공간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개구부로 노출되게 조작부가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걸이레버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에는 차폐판이 구비되어 상기 제1인터락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조작부의 임의조작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상기 조작부 반대쪽으로 돌출된 지지아암이 관통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대의 상면 양단에는 나란히 이동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구동레버의 조작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폐판에 간섭되므로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를 걸어 제1 인터락커넥터가 이동레일의 선단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락커넥터는 상기 제1 설치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인터락커넥터는 제2 메인커넥터에 구비된 제2 설치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1020100112458A 2010-11-12 2010-11-12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10171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58A KR101717114B1 (ko) 2010-11-12 2010-11-12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58A KR101717114B1 (ko) 2010-11-12 2010-11-12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67A KR20120051167A (ko) 2012-05-22
KR101717114B1 true KR101717114B1 (ko) 2017-03-16

Family

ID=462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458A KR101717114B1 (ko) 2010-11-12 2010-11-12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28B1 (ko) * 2012-06-19 2018-08-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KR200481574Y1 (ko) * 2015-06-16 2016-10-17 주식회사 윈텍코리아 분리 방지용 커넥터
KR102463690B1 (ko) 2016-09-26 202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312A (ja) * 2008-11-26 2010-06-10 Yazaki Corp 複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038A (en) * 1998-04-24 1999-07-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312A (ja) * 2008-11-26 2010-06-10 Yazaki Corp 複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67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725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503507B1 (ko) 차량용 커넥터
JP2624049B2 (ja) コネクタ
JP5798935B2 (ja) 電気コネクタ
US896121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latching system, strain relief, and EMI shielding
KR20110051102A (ko)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JPH09219256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WO2013046666A1 (en) Connector assembly
JP5815424B2 (ja) 電気コネクタ
JP581542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717114B1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20220093427A (ko) 커넥터 조립체
KR102343998B1 (ko)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JP5802434B2 (ja) 給電コネクタ
JP2013149382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018898A (ja) コネクタ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230049548A (ko) 커넥터 장치
CN110770981A (zh) 连接器
JP200900984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およびレバー式コネクタの装着方法
JP3676585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12190706A (ja) コネクタ装置
JP7337946B2 (ja) コネクタ
JP372699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1900897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