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548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548A
KR20230049548A KR1020220121546A KR20220121546A KR20230049548A KR 20230049548 A KR20230049548 A KR 20230049548A KR 1020220121546 A KR1020220121546 A KR 1020220121546A KR 20220121546 A KR20220121546 A KR 20220121546A KR 20230049548 A KR20230049548 A KR 20230049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housing
interlock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주단자의 접속, 이탈을 행하는 레버와는 별도로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을 갖추고, 레버에는 제1 스프링편이 형성되어 있다. HVIL의 접속은 레버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주단자를 접속한 후, 레버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성 위치로 밀어 내림으로써 행해진다. 제1 스프링편은 레버가 제3 위치에 있고, 인터록 하우징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고, 제1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레버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레버는 제3 위치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인터록 하우징을 밀어 내릴 수는 없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HVIL(High-Voltage Inter Lock: 고전압 인터록)을 갖추는 고전압 대전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종류의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3-1003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에 부착된 레버(12)의 조작에 의해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하방에는 단자 후드부(11a)가 설치되고, 단자 후드부(11a) 내에는 한 쌍의 단자(수단자)(13)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외벽에는 후술하는 레버(12)의 가이드홈(14)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레버(12)는 도 2a,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와,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를 연결하는 조작부(12c)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홈(14)에는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각각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레버(12)는 커넥터 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 이동, 또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캠홈(15)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캠홈(15)에는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할 때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후술하는 캠핀(21a)이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의 일방은 타방에 비해 광폭으로 설치되어, 광폭의 아암 플레이트부(12b)에는 커넥터부(12d)가 설치되고, 커넥터부(12d)에는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설치되어 있다.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은 상면이 개방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 스페이스가 커넥터 하우징(11)의 장착 스페이스(21b)로 되어 있다. 장착 스페이스(21b)의 하면이 되는 바닥면부에는 단자 후드 수용부(21c)가 설치되어 있고, 단자 후드 수용부(21c) 내에는 한 쌍의 단자(암단자)(22)가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1)의 내주벽의 대칭 위치에는 한 쌍의 캠핀(21a)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는 커넥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1d)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4a, 4b 참조).
도 3a, 3b, 3c는 도 1에 도시한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로부터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삽입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레버(12)의 상태를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핀(21a)과 함께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레버(12)가 도 1에 도시한 회전 개시 위치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c는 레버(12)가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12)의 캠홈(15)에 들어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핀(21a)은 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캠홈(15) 내를 이동함으로써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 내에 서서히 근접 이동되어 들어가고, 이 근접 이동에 의해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쌍방의 커넥터 하우징(11, 21)의 단자(13, 22)가 접촉 상태로 된다.
다음에 레버(12)를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회전 완료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레버(12)의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한다. 도 4a, 4b는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의,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으로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12)의 조작은 이와 같이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조작 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검지됨으로써 전원 회로가 비로소 도통 상태로 되고, 단자(13, 22)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전원회로를 도통 상태로부터 비도통 상태로 하는 레버(12)의 조작은 그 반대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앞의 슬라이드 조작으로 전원회로가 오프되고, 그 다음의 회전 조작으로 단자(13)와 단자(22)가 이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12)의 조작이 완료되기 전에 전원회로가 도통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가 행해지고, HVIL을 구성하는 끼워맞춤 검지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는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에 시간차가 확보되어,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및 이탈이 안전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레버의 회전, 슬라이드와 같은 레버의 일련의 조작으로 행해지는 방식에서는 일련의 조작이 신속하게 행해진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 간격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확보되지 않는다고 하는 상황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종래보다 충분한 시간 간격이 만들어지도록 하고, 또한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는 HVIL의 접속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술사항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또한, 본 발명의 수익자(예를 들면, 출원인과 권리자임) 이외의 사람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도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요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기재된다.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개요는, 예를 들면, 이 특허출원의 출원시의 청구범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커넥터 장치는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및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레버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제1 고전압 단자와, 제1 저전압 단자와, 제1 고전압 단자를 수용하고 있는 제1 하우징과, 제1 저전압 단자를 수용하고 있는 제1 인터록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는 제2 고전압 단자와, 제2 저전압 단자와, 제2 고전압 단자를 수용하고 있는 제2 하우징과, 제2 저전압 단자를 수용하고 있는 제2 인터록 하우징을 포함한다.
레버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레버의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하기 조건 (a), (b), (c), (d) 모두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레버와 제1 하우징의 일방은 제1 보스를 가지고 있고, 레버와 제1 하우징의 타방은 제1 홈을 가지고 있다. 제1 홈은 직선 형상의 홈이다. 제1 보스는 제1 홈을 따라, 제1 홈 중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홈의 일단이며, 제2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홈의 타단이다.
(b) 레버와 제2 하우징의 일방은 제2 보스를 가지고 있고, 레버와 제2 하우징의 타방은 제2 홈을 가지고 있다. 제2 홈은 직선 형상 홈부와 원호 형상 홈부로 구성되어 있고, 직선 형상 홈부의 일단과 원호 형상 홈부의 일단이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제2 보스는, 제2 홈을 따라, 제2 홈 중의 제3 위치와 제4 위치의 사이, 및 제2 홈 중의 제4 위치와 제5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4 위치는 직선 형상 홈부와 원호 형상 홈부의 경계이며, 제3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 형상 홈부의 타단이며, 제5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 홈부의 타단이다. 레버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와 제3 위치와의 거리는 제1 위치와 제4 위치와의 거리보다 크다.
(c) 제1 보스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레버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2 홈의 원호 형상 홈부를 따라, 제3 위치와 제4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d) 제2 보스가 제2 홈의 직선 형상 홈부에 있을 때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고,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1 보스가 제1 홈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고, 또한, 제2 보스가 제2 홈의 직선 형상 홈부를 따라 제4 위치와 제5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보스가 제4 위치에 있을 때 제1 보스는 제1 위치에 있고, 제2 보스가 제5 위치에 있을 때 제1 보스는 제2 위치에 있다.
제2 보스가 제3 위치에 있을 때, 제1 고전압 단자와 제2 고전압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있지 않다.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서로를 끌어당기고, 이 결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하고, 또한, 제1 고전압 단자와 제2 고전압 단자가 서로 접속한다.
제1 커넥터는 제1 인터록 하우징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기구와, 제1 인터록 하우징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있다.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5 위치에 있을 때(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제1 보스가 제2 위치에 있음)에 한하여, 제1 인터록 하우징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어, 제1 인터록 하우징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다. 제1 인터록 하우징의 로킹 해제는, 예를 들면,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레버의 일부가 로킹 기구를 해제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 인터록 하우징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1 인터록 하우징과 제2 인터록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하고, 또한, 제1 저전압 단자와 제2 저전압 단자가 서로 접속한다.
레버는 제1 스프링편을 가지고 있다. 제2 보스가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까지의 범위에 있을 때, 레버의 제1 스프링편에 부하는 결려 있지 않다.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버의 제1 스프링편은 제1 인터록 하우징의 일부(편의적으로 「누름부」라고 부름)에 의해 눌려진다. 따라서, 제2 보스가 제5 위치에 있을 때 레버의 조작자의 손이 레버로부터 떨어지면, 제1 스프링편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는 되돌려지고, 즉, 제2 보스는 제5 위치에 머무를 수 없고, 제1 인터록 하우징은 로킹 기구에 의해 로킹된다. 즉, 레버의 조작자가 의식적으로 레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제1 인터록 하우징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다. 제2 보스가 제5 위치에 있을 때 제1 인터록 하우징이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1 인터록 하우징과 제2 인터록 하우징의 끼워맞춤에 의해 레버는 되돌려지지 않고, 즉, 제2 보스는 제5 위치에 머무른다. 이 구성 때문에, 제1 저전압 단자와 제2 저전압 단자의 의도하지 않는 상호 접속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인터록 하우징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1 인터록 하우징의 누름부가 이동하고, 이 결과, 제1 저전압 단자와 제2 저전압 단자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의 제1 스프링편이 제1 인터록 하우징의 누름부에 의해 눌려지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 때문에, 장기 접속으로 인한 제1 스프링편의 탄성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레버는 제2 스프링편을 가지고 있다. 제2 보스가 제3 위치에 있을 때, 레버의 제2 스프링편에 부하는 결려 있지 않다.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버의 제2 스프링편은 제2 하우징의 일부(편의적으로 「누름부」라고 부름)에 의해 눌려진다. 따라서, 제2 보스가 제4 위치에 있을 때 레버의 조작자의 손이 레버로부터 떨어지면, 제2 스프링편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는 되돌려지고, 즉, 제2 보스는 제4 위치에 머무를 수 없다. 즉, 레버의 조작자가 의식적으로 레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다.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2 보스가 제5 위치에 있을 때, 제1 보스는 제2 위치에 있으므로, 레버의 회전 조작은 방지된다. 이 구성 때문에, 제1 고전압 단자와 제2 고전압 단자의 의도하지 않는 상호접속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레버의 제2 스프링편이 이동하고, 이 결과, 제1 고전압 단자와 제2 고전압 단자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의 제2 스프링편이 제2 하우징의 누름부에 의해 눌리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 때문에, 장기 접속으로 인한 제2 스프링편의 탄성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는 상기의 제1 스프링편과 상기의 제2 스프링편 양쪽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우징」은 그 사전적 정의에 따라 협의로 해석되는 물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은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물체(단, 이 물체는 단일의 요소여도 되고, 또는, 2개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도 됨)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단일의 물체 중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은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또는,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이 아닌 기능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또는,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에 더하여 다른 기능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 및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부위를 포함하는 단일의 물체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HVIL의 접속은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대전류용의 주단자를 접속한 후,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을 밀어 내림으로써 행해지고, 또 주단자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을 끌어올려 HVIL을 해리한 후,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레버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의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행해지는 종래예에 비해, 인터록 하우징을 조작하는 시간을 여분으로 필요로 하는 만큼,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보다 큰 시간차가 생기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한 상태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조작자가 레버로부터 손을 뗀 경우, 레버는 그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되돌려지기 때문에,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는 외력이 인터록 하우징에 가해져도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지 않고, 따라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HVIL이 간단하게 접속되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이 점에서도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레버의 사시도.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레버의 측면도.
도 3a는 레버가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b는 레버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c는 레버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장치의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주요부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a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7b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7c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d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a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8b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9a는 도 8a에 도시한 레버의 평면도.
도 9b는 도 8a에 도시한 레버의 정면도.
도 9c는 도 8a에 도시한 레버의 우측면도.
도 9d는 도 8a에 도시한 레버의 배면도.
도 9e는 도 9b의 G-G선 단면도.
도 9f는 도 9b의 H-H선 단면도.
도 10a는 도 5a에 있어서의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도.
도 10b는 도 5a에 있어서의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10c는 도 5a에 있어서의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0d는 도 5a에 있어서의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측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0e는 도 5a에 있어서의 인터록 단자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의 배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가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 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a는 도 11에 나타낸 상태의 우측면도.
도 15b는 도 15a의 C-C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6a는 도 12에 나타낸 상태의 우측면도.
도 16b는 도 16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6c는 도 16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a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의 우측면도.
도 17b는 도 17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c는 도 17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8a는 도 14에 나타낸 상태의 우측면도.
도 18b는 도 18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8c는 도 18a의 부분 확대 중앙 종단면도.
도 18d는 도 18a의 F-F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9a는 도 12에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의 C-C선 단면도.
도 20a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 20b는 도 20a의 C-C선 단면도.
도 21a는 도 14에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C-C선 단면도.
도 22a는 도 11에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 22b는 도 22a의 C-C선 단면도.
도 23a는 레버가 회전된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레버를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b는 도 23a의 C-C선 단면도.
도 24a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 24b는 도 24a의 C-C선 단면도.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5b, 6a, 6b, 6c는 HVIL을 갖추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대전류용의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a, 5b 중, 30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40은 레버를 나타낸다. 또, 50은 인터록 하우징을 나타내고, 인터록 하우징(5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가 부착되어 있다. 도 5a, 5b 중, 300은 케이블을 나타내고, 커넥터(100)는 이 예에서는 2개의 케이블(300)의 단말에 부착되어 있다. 도 5a, 5b 중, 70은 2개의 케이블(300)과 각각 접속되어 있는 주단자를 나타내고, 80은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는 케이블 커버를 나타낸다.
우선, 커넥터(100)의 하우징(30), 레버(40) 및 인터록 하우징(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30)은 도 7a, 7b, 7c,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별하여 끼워맞춤부(31)와, 끼워맞춤부(31)의 후방에 이어지는 케이블 수용부(32)와, 끼워맞춤부(3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착부(33)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부(31)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이 끼워맞춤부(31) 내에 주단자(70)가 수용 배치된다. 끼워맞춤부(31)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축(34)이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33)는 인터록 하우징(50)이 부착되는 부분이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대략 통 형상을 이룬다. 부착부(33)에는 그 상하 방향의 중간에, 부착부(3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뻗는 한 쌍의 슬릿(35)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부착부(33)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슬릿(35)에 이르도록 한 쌍의 슬릿(36)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35)의 후단측 및 슬릿(36)은 부착부(33)의 안팎을 연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레버(40)는 도 8a, 8b, 9a, 9b, 9c, 9d, 9e,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아암부(41)와, 한 쌍의 아암부(41)의 기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2)와, 아암부(41)를 사이에 끼고 연결부(42)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조작부(43)를 갖추고 있다. 조작부(43)는 연결부(42)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보강벽(44)이 조작부(43)의 폭 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연결부(42)와 조작부(43)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부(41)에는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41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캠홈(4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캠홈(41b)은 도 8a, 8b, 9a, 9b, 9c, 9d, 9e,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은 아암부(41)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 양쪽 아암부(41)의 선단의 하단측의 외면에는 피유지부(41c)가 오목부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2)에는 하반부측에 개구(42a)가 형성되고, 이 개구(42a)와 연통하는 개구(43a)가 조작부(43)에도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3)의 개구(43a)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벽부(45)가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벽부(45)의 서로의 내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46)가 각각 벽부(45)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6)는 단면 L자 형상을 이루고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고, 벽부(45)와 수직을 이루고, 서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각 L자의 절반부는 각각 슬라이드 삽입부(46a)를 이룬다.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아암부(41)측에 위치하는 선단은 누름부(46b)로서 기능하고, 누름부(46b)에 인접하여 절결된 부분은 간섭부(46c)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벽부(45)의 서로의 외측면에는 축 형상을 이루는 피유지부(47)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조작부(43)에 각 한 쌍의 제1 스프링편(48)과 제2 스프링편(4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편(48)은 한 쌍의 벽부(45)와 한 쌍의 돌출부(46)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2 스프링편(49)은 한 쌍의 벽부(45)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피유지부(47)의 각각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프링편(48)은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고정단)이 조작부(43)의 하면측으로 되어 아암부(41)가 위치하는 쪽을 향하고, 비스듬히 상방으로 뻗은 형상으로 되고, 제2 스프링편(49)은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이 조작부(43)의 상면측으로 되어 아암부(41)가 위치하는 쪽을 향하고, 비스듬히 하방으로 뻗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인터록 하우징(50)은 도 10a, 10b, 10c, 10d, 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부(51)와, 통 형상부(51)의 상단에 위치하여 통 형상부(51)를 덮는 형상의 조작부(52)를 갖추고 있다. 쇼트 단자를 이루는 인터록 단자(60)는 통 형상부(51)의 내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통 형상부(51)에는 한 쌍의 스프링편(53)과 한 쌍의 돌출편(54)과 로킹편(55)과 빠짐방지편(56)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53)은 통 형상부(51)의 둘레벽(51a)에 상하 방향으로 베어져 둘레벽(51a)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53)은 상단이 기단이 되고, 하단(선단)에는 서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의 돌출부(53a)의 돌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할 때, 로킹편(55)은 둘레벽(51a)의 전방에, 둘레벽(51a)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킹편(55)의 선단(상단)에는 조작 돌출부(55a)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로킹편(55)의 신장 방향 중간에는 돌기(55b)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편(56)은 로킹편(55)이 위치하는 둘레벽(51a)의 위치와 반대측의 둘레벽(51a)의 위치에, 둘레벽(51a)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편(56)의 선단에는 돌기(56a)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편(54)은 각각 스프링편(53)에 대하여, 전방측에, 즉 로킹편(55)이 위치하는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둘레벽(51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뻗는 판부(57)로부터 더욱 외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인터록 단자(60)를 유지한 인터록 하우징(50)은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부착되고, 빠짐방지편(56)의 돌기(56a)가 걸림으로써 빠짐방지된다. 또, 레버(40)는 한 쌍의 아암부(41)의 각 가이드홈(41a)에, 하우징(30)의 한 쌍의 가이드축(34)이 각각 삽입, 위치되어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레버(40)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버(40)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 5b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한 도 6a, 6b, 6c에 있어서, 110은 상대측 하우징을 나타내고, 120은 상대측 주단자를 나타낸다. 또, 130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은 판부(111)와, 상방으로 개구하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판부(111) 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피끼워맞춤부(112)를 갖추고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112a)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종동 보스(113)가 서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둘레벽(112a)의 후방을 향하는 부분은 절결부(114)에 의해 크게 절결되어 있다. 한 쌍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의 판부(111) 위에는 또한 부착부(115)와 한 쌍의 돌출부(116)와 한 쌍의 유지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5)는 피끼워맞춤부(112)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이 부착부(115) 내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116)는 피끼워맞춤부(112)의 전방에서 부착부(115)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16)는 전방을 향하는 차양 형상부(116a)가 판부(111)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한 직립부(116b)에 지지된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유지부(117)는 피끼워맞춤부(112)의 후부측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112)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17)는 판부(111)에 수직한 판면을 가지고, 한 쌍의 유지부(117)의 판면에는 서로 내측을 향하여 돌기(117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12, 13, 14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각 상태 1∼4를 차례로 나타낸 것이며, 도 15a, 15b, 16a, 16b, 16c, 17a, 17b, 17c, 18a, 18b, 18c, 18d는 상태 1∼4에 있어서의 주요부 상세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태 1∼4는 조작자의 의도에 의한 일련의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 1: 도 11, 15a, 15b>
상태 1은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피끼워맞춤부(112)에 끼워맞춤되고,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상대측 커넥터(200)의 한 쌍의 종동 보스(113)는 커넥터(100)의 레버(40)의 캠홈(41b)에 각각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 1에서는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아직 접속하고 있지 않다.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은 그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출부(53a)가 자연 위치에 위치하여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33)의 슬릿(35)에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그 조작부(52)를 눌러도 돌출부(53a)가 슬릿(35)의 하측의 내면이 이루는 부딪침면(35a)에 부딪침으로써 밀어 내릴 수는 없다. 즉 인터록 하우징(50)은 개방 위치에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100)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서로 접속하는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다.
<상태 2: 도 12, 16a, 16b, 16c>
상태 2는 레버(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이며, 레버(40)의 캠홈(41b)과, 캠홈(41b)에 들어간 상대측 커넥터(200)의 종동 보스(113)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에 의해, 커넥터(100)는 상태 1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 상대측 커넥터(200)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져 상태 2가 된다. 이 상태 2에서 커넥터(100)의 주단자(7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된다.
인터록 하우징(50)은 상태 1과 마찬가지로 개방 위치에 있고, 즉 스프링편(53)의 돌출부(53a)는 자연 위치에 있어,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어, 상대측 커넥터(200)에 커넥터(100)가 근접해도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아직 접속되지 않고, 서로 해리되어 있다.
또한, 레버(40)가 제2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이 상태 2의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레버(40)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100)는 캠 기구에 의해 상태 1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되돌려져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은 해제된다.
<상태 3: 도 13, 17a, 17b, 17c>
상태 3은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며, 레버(40)의 한 쌍의 돌출부(46)의 슬라이드 삽입부(46a)는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의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출부(53a)는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선단의 누름부(46b)에 의해 눌려져,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돌출부(53a)가 퇴피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인터록 하우징(50)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40)는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감으로써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레버(40)가 상태 2의 제2 위치에 없고, 완전히 회전하지 않은(완전히 쓰러지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슬릿(35)에 들어갈 수 없어,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는 없다.
또, 이와 같이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가는 구조 때문에, 레버(40)가 제3 위치에 있는 상태 3에서는 레버(40)는 회전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레버(40)가 제3 위치에 있는 상태 3에서는, 이 예에서는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41)에 오목부 형상을 이루고 설치되어 있는 피유지부(41c)에, 상대측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는 유지부(117)의 돌기(117a)가 들어가고, 또한 레버(40)의 조작부(43)에 설치되어 있는 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피유지부(47)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116)의 차양 형상부(116a) 아래에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유지부(41c, 47)는 각각 유지부(117) 및 돌출부(116)에 유지되어 레버(40)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태 4: 도 14, 18a, 18b, 18c, 18d>
상태 4는 상태 3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이 그 조작부(52)가 눌려서 밀어넣어지고,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위치한 상태이며,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도 1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이 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인터록 하우징(50)이 밀어 내려져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인터록 하우징(5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편(54)이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에 절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간섭부(46c)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레버(40)는 제3 위치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할 수 없게 되고, 즉 돌출편(54)은 간섭부(46c)에 간섭하여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된다.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인터록 하우징(50)은 로킹편(55)의 돌기(55b)가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설치되어 있는 걸음부(37)에 걸려서 폐성 위치에 로킹된다. 로킹의 해제는 로킹편(55)의 조작 돌출부(55a)를 누름으로써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개방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레버(40)의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조작자의 의도에 의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일련의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상태 1∼4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예에서는 커넥터(100)의 레버(40)는 각 한 쌍의 제1 스프링편(48)과 제2 스프링편(49)을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들 제1 스프링편(48) 및 제2 스프링편(49)의 각 작용에 의해, 조작자가, 예를 들면, 상태 2에서 조작을 중단한 경우에는,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간단하게 레버(40)가 슬라이드 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 조작자가 상태 3에서 조작을 중단한 경우에는,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간단하게 HVIL이 접속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a, 19b, 20a, 20b, 21a, 21b는 상태 2∼4에 있어서의 제1 스프링편(48)의 각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9a, 19b에 도시한 레버(4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2에서는 제1 스프링편(48)은 다른 부품과 접촉하지 않고 자연 상태(자유 상태)로 되어 있다. 레버(40)가 제3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 상태 3에서는 제1 스프링편(48)은 그 선단이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하우징(50)의 돌출편(54)에 부딪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스프링편(48)은 레버(40)를 제2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는(되돌리는) 제1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지만, 조작자가 이 제1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레버(40)를 누르는 힘, 즉 화살표(a)로 나타낸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태 3은 유지된다.
한편, 조작자가 이 상태 3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떼면 화살표(a)로 나타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레버(40)는 제1 스프링편(48)의 제1 탄성 복원력에 의해 되돌려져 제3 위치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태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누름부(46b)에 의해 눌려져 퇴피 위치로 변위해 있던 인터록 하우징(50)의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출부(53a)는 누름부(46b)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기 때문에, 자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즉 HVIL을 접속하는(닫는) 조작은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상태 3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뗀 경우,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인터록 하우징(50)에 그것을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HVIL이 접속되지는 않는다.
인터록 하우징(50)이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 상태 4에서는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하우징(50)의 돌출편(54)은 하방으로 변위하여 제1 스프링편(48)의 부딪침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제1 스프링편(48)은 자연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가 장기에 걸쳐 끼워맞춤되어 있어도 제1 스프링편(48)의 기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스프링편(49)의 상태에 대해 도 22a, 22b, 23a, 23b, 24a, 2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 22b에 도시한 레버(4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1에서는 제2 스프링편(49)은 다른 부품과 접촉하지 않고 자연 상태로 되어 있지만, 레버(40)가 제2 위치로 회전 조작된 상태 2에서는 제2 스프링편(49)은 그 선단이 상대측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116)의 상부의 차양 형상부(116a)의 상면에 부딪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스프링편(49)은 레버(40)를 제1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되돌리는) 제2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지만, 조작자가 이 제2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레버(40)를 누르는 힘, 즉 레버(40)를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태 2는 유지된다.
한편, 조작자가 이 상태 2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떼면, 레버(40)를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레버(40)는 제2 스프링편(49)의 제2 탄성 복원력에 의해 되돌려져 제2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제1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도 23b는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조작자가 상태 2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뗀 경우,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레버(40)에 그것을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레버(40)가 제3 위치로 슬라이드하지 않는다.
도 24a, 24b는 레버(40)가 제3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 상태 3을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 3에서는 돌출부(116)의 차양 형상부(116a)는 제2 스프링편(49)의 부딪침으로부터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제2 스프링편(49)은 자연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가 장기에 걸쳐 끼워맞춤되어 있어도 제2 스프링편(49)의 기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대전류용의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가 접속한 뒤에, HVIL용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접속하고, HVIL 회로가 닫힘으로써,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 사이에 대전류를 흘려보내는 회로 장치가 커넥터 장치의 외부에 갖추어진다.
상기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예에서는 HVIL의 접속, 해리는 레버(40)와는 별도로 설치한 인터록 하우징(50)의 밀어내림, 끌어올림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HVIL의 접속은 레버(40)를 회전 조작하여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를 접속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내림으로써 행해지고, 또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50)을 끌어올려 HVIL를 해리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레버의 회전, 슬라이드와 같은 레버의 조작만으로 행해지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와 비교하여, 이 예에서는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내리거나 또는 끌어올리는 것과 같은 스텝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어 있어, 그만큼 양자 사이에 보다 큰 시간 간격이 생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가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조작이나 이탈 조작에 익숙해져 조작을 신속하게 행하게 되어도,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충분한 시간 간격을 두고 행해지게 되고, 따라서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2) 레버(40)를 제2 위치로 회전 조작한 상태 2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뗀 경우, 레버(40)는 제2 스프링편(49)의 작용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 시킬 수는 없고, 그러므로 이 경우,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레버(40)를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레버(40)가 제3 위치로 슬라이드하지 않고, 따라서 HVIL이 접속되는 일도 없다.
(3)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한 상태 3에서 조작을 중단하고, 레버(40)로부터 손을 뗀 경우, 레버(40)는 제1 스프링편(48)의 작용에 의해 제3 위치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인터록 하우징(50)을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는 없고, 그러므로 이 경우,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인터록 하우징(50)을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인터록 하우징(50)이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지 않고, 따라서 HVIL이 접속되는 일은 없다.
(4) 레버(40)를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면서, 동시에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 한하여, 레버(40)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또 레버(40)를 슬라이드시키는 힘을 가하면서, 동시에 인터록 하우징(50)을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 한하여, HVIL을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즉 확실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정규의 끼워맞춤을 행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5) 레버(40)를 슬라이드하여 제3 위치에 위치시키면, 레버(40)에 설치한 피유지부(41c, 47)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돌출부(116) 및 유지부(117)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동 등에 의해 레버(40)가 풀어지거나, 또는 스쳐서 마모되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내려 폐성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인터록 하우징(50)의 돌출편(54)이 레버(40)의 간섭부(46c)에 들어감으로써 간섭부(46c)에 간섭하여 레버(40)는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즉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내리는 1액션으로 HVIL에 의한 끼워맞춤 검지와 레버(40)의 로킹, 즉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커넥터 위치 보증)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CPA의 기능을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어,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11 커넥터 하우징 11a 단자 후드부
11b 가이드핀 12 레버
12a 아암 플레이트부 12b 아암 플레이트부
12c 조작부 12d 커넥터부
13 단자 14 가이드홈
15 캠홈 16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
21 커넥터 하우징 21a 캠핀
21b 장착 스페이스 21c 단자 후드 수용부
21d 커넥터부 22 단자
23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 30 하우징
31 끼워맞춤부 32 케이블 수용부
33 부착부 34 가이드축
35 슬릿 35a 부딪침면
36 슬릿 37 걸음부
38 오목부 39 프레임부
40 레버 41 암부
41a 가이드홈 41b 캠홈
41c 피유지부 42 연결부
42a 개구 43 조작부
43a 개구 44 보강벽
45 벽부 46 돌출부
46a 슬라이드 삽입부 46b 누름부
46c 간섭부 47 피유지부
48 제1 스프링편 49 제2 스프링편
50 인터록 하우징 51 통 형상부
51a 둘레벽 52 조작부
53 스프링편 53a 돌출부
54 돌출편 55 로킹편
55a 조작 돌출부 55b 돌기
56 빠짐방지편 56a 돌기
57 판부 58 계단부
60 인터록 단자 70 주단자
80 케이블 커버 100 커넥터
110 상대측 하우징 111 판부
112 피끼워맞춤부 112a 둘레벽
113 종동 보스 114 절결부
115 부착부 116 돌출부
116a 차양 형상부 116b 직립부
117 유지부 117a 돌기
120 상대측 주단자 130 상대측 인터록 단자
200 상대측 커넥터 300 케이블

Claims (6)

  1. 하우징과 레버와 주단자와 인터록 하우징과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커넥터와, 상대측 하우징과 상대측 주단자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방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방에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축이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캠 기구를 이루는 캠홈과 종동 보스의 일방이 상기 레버에 형성되고, 타방이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에 끌어 당겨져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인터록 단자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선단에 갖춘 스프링편과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눌려지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 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자연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부딪침면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해리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연 위치에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버의 누름부에 눌려져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에는 제1 스프링편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고, 더욱이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스프링편은 상기 돌출편에 부딪쳐서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는 제1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고,
    상기 제1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위치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상기 돌출부는 상기 누름부에 눌려지지 않고 상기 자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편은 상기 제1 스프링편의 부딪침으로부터 벗어남과 아울러 상기 레버에 설치되어 있는 간섭부에 간섭되어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레버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제2 스프링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스프링편은 상기 돌출부에 부딪쳐서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제2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고,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벗어나 상기 제1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제2 스프링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스프링편은 상기 돌출부에 부딪쳐서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는 제2 탄성 복원력을 일으키고,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벗어나 상기 제1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스프링편의 부딪침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스프링편의 부딪침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220121546A 2021-10-06 2022-09-26 커넥터 장치 KR20230049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4676A JP2023055366A (ja) 2021-10-06 2021-10-06 コネクタ装置
JPJP-P-2021-164676 2021-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548A true KR20230049548A (ko) 2023-04-13

Family

ID=8345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546A KR20230049548A (ko) 2021-10-06 2022-09-26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07655A1 (ko)
EP (1) EP4164071B1 (ko)
JP (1) JP2023055366A (ko)
KR (1) KR20230049548A (ko)
CN (1) CN1159398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5347A1 (en) * 2020-09-25 2022-03-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ing lever and cp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382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632715B1 (ko) * 2009-06-24 2016-06-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결합장치
JP5872824B2 (ja) * 2011-09-12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6910899B2 (ja) * 2017-09-08 2021-07-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6929821B2 (ja) * 2018-06-26 2021-09-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7655A1 (en) 2023-04-06
EP4164071B1 (en) 2024-03-06
JP2023055366A (ja) 2023-04-18
CN115939860A (zh) 2023-04-07
EP4164071A1 (en)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2606B2 (ja) コネクタ
JP426793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JP2624049B2 (ja) コネクタ
KR20220167751A (ko) 커넥터 장치
JP38876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031374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6539634B2 (ja) コネクタ
US6527578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KR20230049548A (ko) 커넥터 장치
KR20220093427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8269894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4134259A (ja) コネクタ
US6361334B1 (en) Cover-provided connector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3903885B2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KR101717114B1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JP200320894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337946B2 (ja) コネクタ
KR20230032899A (ko) 커넥터 장치
JP7388974B2 (ja) コネクタ
CN112688105B (zh) 连接器
WO2023157894A1 (ja) コネクタ
JP690702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9283213A (ja) 低挿抜力コネクタ
KR10163270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