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751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751A KR20220167751A KR1020220054803A KR20220054803A KR20220167751A KR 20220167751 A KR20220167751 A KR 20220167751A KR 1020220054803 A KR1020220054803 A KR 1020220054803A KR 20220054803 A KR20220054803 A KR 20220054803A KR 20220167751 A KR20220167751 A KR 20220167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lever
- connector
- interlock
- m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200)와의 주단자의 접속, 이탈을 행하는 레버(40)와는 별도로 인터록 단자(60)가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50)을 갖춘다. HVIL의 접속은 레버(40)를 회전 조작하여 주단자를 접속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려, 폐성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주단자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50)를 끌어올리고, 개방 위치에 위치시켜 HVIL을 해리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레버(4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HVIL(High-Voltage InterLock: 고전압 인터록)을 갖추는 고전압 대전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종류의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3-1003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에 부착된 레버(12)의 조작에 의해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하방에는 단자 후드부(11a)가 설치되고, 단자 후드부(11a) 내에는 한 쌍의 단자(수단자)(13)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외벽에는 후술하는 레버(12)의 가이드 홈(14)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레버(12)는 도 2a,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와,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를 연결하는 조작부(12c)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14)에는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각각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레버(12)는 커넥터 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 이동, 또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캠 홈(15)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 캠 홈(15)에는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할 때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후술하는 캠 핀(21a)이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의 일방은 타방에 비해 폭이 넓게 설치되고, 폭이 넓은 아암 플레이트부(12b)에는 커넥터부(12d)가 설치되고, 커넥터부(12d)에는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설치되어 있다.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은 상면이 개방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 스페이스가 커넥터 하우징(11)의 장착 스페이스(21b)로 되어 있다. 장착 스페이스(21b)의 하면이 되는 바닥면부에는 단자 후드 수용부(21c)가 설치되어 있고, 단자 후드 수용부(21c) 내에는 한 쌍의 단자(암단자)(22)가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1)의 내주벽의 대칭 위치에는 한 쌍의 캠 핀(21a)이 돌출설치되고, 또한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는 커넥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1d)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4a, 4b 참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로부터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삽입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레버(12)의 상태를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 핀(21a)과 함께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레버(12)가 도 1에 도시한 회전 개시 위치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3(b)는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c)는 레버(12)가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레버(12)의 캠 홈(15)에 들어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 핀(21a)은 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캠 홈(15) 내를 이동함으로써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 내에 서서히 근접 이동되어 들어가고, 이 근접 이동에 의해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쌍방의 커넥터 하우징(11, 21)의 단자(13, 22)가 접촉 상태가 된다.
다음에 레버(12)를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회전 완료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레버(12)의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한다. 도 4a, 4b는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의,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레버(12)의 조작은 이와 같이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조작 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검지됨으로써 전원 회로가 비로소 도통 상태가 되고, 단자(13, 22)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있다.
또, 전원 회로를 도통 상태로부터 비도통 상태로 하는 레버(12)의 조작은 그 반대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앞의 슬라이드 조작으로 전원 회로가 오프되고, 그 다음의 회전 조작으로 단자(13)와 단자(22)가 이간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12)의 조작이 완료되기 전에 전원 회로가 도통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가 행해지고, HVIL을 구성하는 끼워맞춤 검지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는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에 시간차가 확보되어,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및 이탈이 안전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레버의 회전, 슬라이드와 같은 레버의 일련의 조작으로 행해지는 방식에서는 일련의 조작이 신속하게 행해진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 간격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확보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종래보다도 충분한 시간 간격이 생기도록 하여,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레버와 주단자와 인터록 하우징과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커넥터와, 상대측 하우징과 상대측 주단자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레버와 하우징의 일방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방에 가이드 축이 형성되고, 레버는 가이드 축이 가이드 홈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하여 레버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캠 기구를 이루는 캠 홈과 종동 보스의 일방이 레버에 형성되고, 타방이 상대측 하우징에 형성되고, 레버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레버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는 캠 기구에 의해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 상대측 커넥터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져 주단자와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레버가 제2 위치에 있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레버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는 캠 기구에 의해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되돌려져 주단자와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고, 인터록 단자는 인터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인터록 하우징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선단에 갖춘 스프링편이 형성되고, 돌기부는 눌려지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하게 되고, 인터록 하우징은 인터록 하우징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閉成)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 개방 위치에 있는 인터록 하우징은 돌기부가 자연 위치에 있을 때는 돌기부가 하우징의 부딪침면에 부딪침으로써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돌기부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인터록 단자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해리하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인터록 단자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레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는 자연 위치에 있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레버가 제3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는 레버의 누름부에 눌려 퇴피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HVIL의 접속은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대전류용의 주단자를 접속한 후,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을 밀어 내림으로써 행해지고, 또 주단자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을 당겨 올려 HVIL을 해리한 후, 레버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레버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의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행해지는 종래예에 비해, 인터록 하우징을 조작하는 수고를 여분으로 필요로 하는 만큼,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보다 큰 시간차가 생기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레버(선행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레버(선행기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레버의 위치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레버(선행기술)가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의 사이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레버(선행기술)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레버(선행기술)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장착 완료 상태의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c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7c는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d는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e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f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인터록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9c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d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e는 인터록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버가 제1 위치(즉, 커넥터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레버가 제2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레버가 제3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C-C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부분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7d는 도 17a의 F-F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a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a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9b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9c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d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a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0b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0c는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d는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1a는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21b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21c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1d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2a는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2b는 인터록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2d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2e는 인터록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3a는 레버가 제1 위치(즉, 커넥터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4a는 레버가 제2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a는 레버가 제3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c는 도 24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a는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c는 도 26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a는 도 24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5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7c는 도 26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a는 레버(선행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레버(선행기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레버의 위치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레버(선행기술)가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의 사이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레버(선행기술)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레버(선행기술)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장착 완료 상태의 커넥터 장치(선행기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c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7c는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d는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e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f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인터록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9c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d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e는 인터록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버가 제1 위치(즉, 커넥터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레버가 제2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레버가 제3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에 있는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C-C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부분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7d는 도 17a의 F-F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a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a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9b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9c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d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상대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a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0b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0c는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d는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1a는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21b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21c는 레버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1d는 레버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2a는 인터록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2b는 인터록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2d는 인터록 하우징 전방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2e는 인터록 하우징의 후방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3a는 레버가 제1 위치(즉, 커넥터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4a는 레버가 제2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a는 레버가 제3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c는 도 24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a는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에 있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D-D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c는 도 26a의 E-E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a는 도 24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5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7c는 도 26a에 도시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상세한 설명)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a, 5b, 6a, 6b, 6c는 HVIL을 갖추는 고전압 대전류용의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a, 5b 중, 30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40은 레버를 나타낸다. 또, 50은 인터록 하우징을 나타내고, 인터록 하우징(5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가 부착되어 있다. 도 5a, 5b 중, 300은 케이블을 나타내고, 커넥터(100)는 이 예에서는 2개의 케이블(300)의 단말에 부착되어 있다. 도 5a, 5b 중, 70은 2개의 케이블(300)과 각각 접속되어 있는 주단자를 나타내고, 80은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는 케이블 커버를 나타낸다.
우선, 커넥터(100)의 하우징(30), 레버(40) 및 인터록 하우징(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30)은 도 7a, 7b, 7c,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여 끼워맞춤부(31)와, 끼워맞춤부(31)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케이블 수용부(32)와, 끼워맞춤부(3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착부(33)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부(31)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이 끼워맞춤부(31) 내에 주단자(70)가 수용 배치된다. 끼워맞춤부(31)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축(34)이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33)는 인터록 하우징(50)이 부착되는 부분이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대략 통 형상을 이룬다. 부착부(33)에는 그 상하 방향의 중간에, 부착부(3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뻗는 한 쌍의 슬릿(35)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부착부(33)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슬릿(35)에 이르도록 한 쌍의 슬릿(36)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35)의 안끝측 및 슬릿(36)은 부착부(33)의 내외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40)는 도 8a, 8b, 8c, 8d, 8e, 8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아암부(41)와, 한 쌍의 아암부(41)의 기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를 사이에 끼고 아암부(4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조작부(43)을 갖추고 있다. 조작부(43)는 연결부(42)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보강벽(44)이 조작부(43)의 폭 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연결부(42)와 조작부(43)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부(41)에는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41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캠 홈(4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캠 홈(41b)은 도 8a, 8b, 8c, 8d, 8e,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은 아암부(41)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 양쪽 아암부(41)의 선단의 하단측의 외면에는 피유지부(41c)가 오목부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2)에는 하반부측에 개구(42a)가 형성되고, 이 개구(42a)와 연통하는 개구(43a)가 조작부(43)에도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3)의 개구(43a)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벽부(45)가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벽부(45)의 서로의 내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46)가 각각 벽부(45)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6)는 단면 L자 형상을 이루고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고, 벽부(45)와 수직을 이루고, 서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각 L자의 절반부는 각각 슬라이드 삽입부(46a)를 이룬다.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아암부(41)측에 위치하는 선단은 누름부(46b)로서 기능하고, 누름부(46b)에 인접하여 절결된 부분은 피저지부(46c)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벽부(45)의 서로의 외측면에는 축 형상을 이루는 피유지부(47)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인터록 하우징(50)은 도 9a, 9b, 9c, 9d,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부(51)와, 통 형상부(51)의 상단에 위치하여 통 형상부(51)를 씌우는 형상의 조작부(52)를 갖추고 있다. 쇼트 단자를 이루는 인터록 단자(60)는 통 형상부(51)의 내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통 형상부(51)에는 한 쌍의 스프링편(53)과 한 쌍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와 로킹편(55)과 빠짐방지편(56)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53)은 통 형상부(51)의 둘레벽(51a)에 상하 방향으로 베어져 둘레벽(51a)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53)은 상단이 기단이 되고, 하단(선단)에는 서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의 돌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할 때, 로킹편(55)은 둘레벽(51a)의 전방에, 둘레벽(51a)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킹편(55)의 선단(상단)에는 조작 돌기부(55a)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로킹편(55)의 신장 방향 중간에는 돌기(55b)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편(56)은 로킹편(55)이 위치하는 둘레벽(51a)의 위치와 반대측의 둘레벽(51a)의 위치에, 둘레벽(51a)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편(56)의 선단에는 돌기(56a)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는 각각 스프링편(53)에 대하여, 전방측에, 즉 로킹편(55)이 위치하는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둘레벽(51a)으로부터 서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뻗는 판부(57)로부터 더 바깥쪽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인터록 단자(60)를 유지한 인터록 하우징(50)은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부착되고, 빠짐방지편(56)의 돌기(56a)가 걸림으로써 빠짐방지된다. 또, 레버(40)는 한 쌍의 아암부(41)의 각 가이드 홈(41a)에, 하우징(30)의 한 쌍의 가이드 축(34)이 각각 삽입, 위치되어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레버(40)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버(40)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 5b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200)를 나타낸 도 6a, 6b, 6c에 있어서, 110은 상대측 하우징을 나타내고, 120은 상대측 주단자를 나타낸다. 또, 130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에 실장되게 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은 판부(111)와, 상방으로 개구하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판부(111) 위로 돌출하여 위치하는 피끼워맞춤부(112)를 갖추고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112a)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종동 보스(113)가 서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둘레벽(112a)의 후방을 향하는 부분은 절결부(114)에 의해 크게 절결되어 있다. 한 쌍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의 판부(111) 위에는 또한 부착부(115)와 각 한 쌍의 유지부(116, 117)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5)는 피끼워맞춤부(112)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이 부착부(115) 내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부(116)는 피끼워맞춤부(112)의 전방에서 부착부(115)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16)는 전방을 향하는 차양 형상부(116a)가 판부(111)로부터 수직하게 기립한 직립부(116b)에 지지된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유지부(117)는 피끼워맞춤부(112)의 후부측에서 피끼워맞춤부(112)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17)는 판부(111)에 수직한 판면을 가지고, 한 쌍의 유지부(117)의 판면에는 서로 안쪽으로 돌기(117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11, 12, 13은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각 상태 1∼4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도 14a, 14b, 15a, 15b, 15c, 16a, 16b, 16c, 17a, 17b, 17c, 17d는 상태 1∼4에 있어서의 주요부 상세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태 1: 도 10, 14a, 14b>
상태 1은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피끼워맞춤부(112)에 끼워맞춤되고,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상대측 커넥터(200)의 한 쌍의 종동 보스(113)는 커넥터(100)의 레버(40)의 캠 홈(41b)에 각각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 1에서는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아직 접속하고 있지 않다.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은 그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가 자연 위치에 위치하여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33)의 슬릿(35)에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그 조작부(52)를 밀어도 돌기부(53a)가 슬릿(35)의 하측의 내면이 이루는 부딪침면(35a)에 부딪침으로써 밀어 내릴 수 없고, 즉 커넥터(100)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서로 접속하는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다.
<상태 2: 도 11, 15a, 15b, 15c>
상태 2는 레버(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이며, 레버(40)의 캠 홈(41b)과, 캠 홈(41b)에 들어간 상대측 커넥터(200)의 종동 보스(113)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에 의해, 커넥터(100)는 상태 1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도 상대측 커넥터(200)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져 상태 2가 된다. 이 상태 2에서 커넥터(100)의 주단자(7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된다.
인터록 하우징(50)은 상태 1과 마찬가지로, 상태 1의 개방 위치에 있고, 또한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는 자연 위치에 있어,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고, 상대측 커넥터(200)에 커넥터(100)가 근접해도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아직 접속되지 않고, 서로 해리되어 있다.
또한, 레버(40)가 제2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이 상태 2의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레버(40)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100)는 캠 기구에 의해 상태 1의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되돌려져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은 해제된다.
<상태 3: 도 12, 16a, 16b, 16c>
상태 3은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며, 레버(40)의 한 쌍의 돌출부(46)의 슬라이드 삽입부(46a)는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의 한 쌍의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선단의 누름부(46b)에 의해 눌려져,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돌기부(53a)가 퇴피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인터록 하우징(50)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40)는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감으로써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레버(40)가 상태 2의 제2 위치에 없고, 회전 완료되지 않은(완전히 눕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슬릿(35)에 들어갈 수 없어, 레버(40)를 제3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는 없다.
또, 이와 같이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하우징(30)의 슬릿(35)에 들어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레버(40)가 제3 위치에 있는 상태 3에서는 레버(40)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아울러, 레버(40)가 제3 위치에 있는 상태 3에서는, 이 예에서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41)에 오목부 형상을 이루고 설치되어 있는 피유지부(41c)에, 상대측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는 유지부(117)의 돌기(117a)가 들어가고, 또한 레버(40)의 조작부(43)에 설치되어 있는 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피유지부(47)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는 유지부(116)의 차양 형상부(116a) 아래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유지부(41c, 47)는 각각 유지부(117, 116)에 유지되고 레버(40)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태 4: 도 13, 17a, 17b, 17c, 17d>
상태 4는 상태 3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인터록 하우징(50)이 그 조작부(52)가 밀려서 밀어 넣어지고,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위치한 상태이며,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이 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인터록 하우징(50)이 밀어 내려져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인터록 하우징(5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가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에 절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피저지부(46c)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레버(40)는 제3 위치에 고정되어 슬라이드할 수 없게 되어, 즉 제2 위치으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된다.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인터록 하우징(50)은 로킹편(55)의 돌기(55b)가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설치되어 있는 걸음부(37)에 걸어져 폐성 위치로 로킹된다. 로킹의 해제는 로킹편(55)의 조작 돌기부(55a)를 누름으로써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개방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레버(40)의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의 구성,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대전류용의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가 접속한 뒤에, HVIL용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접속하고, HVIL 회로가 닫힘으로써,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 사이에 대전류를 흘리는 회로 장치가 커넥터 장치의 외부에 갖추어진다.
상기한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예에서는 HVIL의 접속, 해리는 레버(40)와는 별도로 설치한 인터록 하우징(50)의 밀어 내림, 끌어 올림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있다. 즉 HVIL의 접속은 레버(40)를 회전 조작하여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를 접속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림으로써 행해지고, 또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50)을 끌어 올려 HVIL을 해리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전류용의 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레버의 회전, 슬라이드와 같은 레버의 조작만으로 행해지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와 비교하여, 이 예에서는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리거나 또는 끌어 올리는 것과 같은 스텝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어 있어, 그 만큼 양자 간에 보다 큰 시간 간격이 생기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가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조작이나 이탈 조작에 익숙해져서 조작을 신속하게 행하게 되어도,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가 충분한 시간 간격을 두고 행해지게 되고, 따라서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의 안전성을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2) 레버(40)를 제2 위치까지 완전히 회전시키지 않으면, 레버(40)를 슬라이드시킬 수 없고, 따라서 주단자(7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커넥터(100)의 끼워맞춤이 불완전한 상태)로 HVIL이 접속되는 일은 없다. 또, 레버(40)를 슬라이드시킬 수 없음으로써, 커넥터(100)가 끼워맞춤 위치에 위치하지 않아, 끼워맞춤이 불완전한 것을 알 수 있다.
(3)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려, 폐성 위치에 위치시켜 HVIL을 접속하는 작업은 레버(40)를 회전, 슬라이드하여 제3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상태 3)에서 가능하며, 그때까지의 상태(상태 1, 2)에서는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릴 수는 없다.
(4) 레버(40)를 슬라이드하여 제3 위치에 위치시키면, 레버(40)는 반대 방향의 회전을 할 수 없고, 커넥터(100)는 끼워맞춤 위치에 위치하여 상대측 커넥터(200)와의 끼워맞춤이 로킹된다. 또, 레버(40)를 슬라이드하여 제3 위치에 위치시키면, 레버(40)에 설치한 피유지부(41c, 47)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유지부(116, 117)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동 등에 의해 레버(40)가 벗어나거나, 또는 스쳐서 마모되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려 폐성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인터록 하우징(50)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가 레버(40)의 피저지부(46c)에 들어감으로써 레버(40)는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게 되어 있어, 즉 인터록 하우징(50)을 밀어 내리는 1액션으로 HVIL에 의한 끼워맞춤 검지와 레버(40)의 로킹, 즉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커넥터 위치 보증)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CPA의 기능을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어,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8a, 18b, 19a, 19b, 19c, 19d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400) 및 상대측 커넥터(500)의 각 부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커넥터(400)의 레버(40)는 실시예 1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즉 케이블(3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은 도 20a, 20b, 20c, 2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31)와 케이블 수용부(32)와 부착부(33)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부(31)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축(34)이 형성되어 있다.
인터록 하우징(50)이 부착되는 부착부(33)는 케이블 수용부(32)의 기단측(끼워맞춤부(31)측의 단부)의 일방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 수용부(32)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38)와, 그 오목부(38)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3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부(39)는 케이블 수용부(32)로부터 끼워맞춤부(31)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부(39)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는 슬릿(35)이 형성되고, 또한 프레임부(39)의 전후 방향의 중간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프레임부(39)를 양분하는 슬릿(36)이 슬릿(35)과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400)의 레버(40)는 도 21a, 21b, 21c, 2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41)와, 한 쌍의 아암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2)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연결부(42)가 레버(40)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이룬다. 한 쌍의 아암부(41)에는 가이드 홈(41a)과 캠 홈(4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아암부(41)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삽입부(4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연결부(42)측에 위치하는 일단은 1단 높게 되어 있고, 이 부분이 누름부(46b)로서 기능한다. 또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타단측에는 절결에 의해 완전히 절졀된 부분이 존재하고 있고, 이 절결된 부분은 피저지부(46c)로서 기능한다.
커넥터(400)의 인터록 하우징(50)은 도 22a, 22b, 22c, 22d, 2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통 형상부(51)와, 통 형상부(51)의 상단에 위치하는 조작부(52)를 갖추고 있다. 통 형상부(51)는 이 예에서는 상단측은 속이 채워져 있다. 또, 통 형상부(51)의 일측면에는 단차부(58)가 존재하고, 단차부(58)로부터 상측은 하측에 비해 단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인터록 단자(60)는 통 형상부(51)의 내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통 형상부(51)에는 이 예에서는 1개의 스프링편(53)과 1개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편(53)은 통 형상부(51)의 측면상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단이 기단이 되고, 하단(선단)에는 돌기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는 통 형상부(51)의 측면에, 스프링편(53)의 돌출 방향과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뻗는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의 상단은 단차부(58)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인터록 단자(60)를 유지한 인터록 하우징(50)은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부착된다. 또, 레버(40)는 한 쌍의 아암부(41)의 각 가이드 홈(41a)에, 하우징(30)의 한 쌍의 가이드 축(34)이 각각 삽입, 위치되어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레버(4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우징(30)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취하게 된다. 도 18a, 18b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5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으로, 도 19a, 19b, 19c,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은 판부(111)와, 판부(111) 위에 위치하는 피끼워맞춤부(112)를 갖추고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둘레벽(112a)에는 한 쌍의 종동 보스(11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후방, 즉 둘레벽(112a)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114)가 위치하는 측에서 판부(111) 위에는 부착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5)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부착부(115) 내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끼워맞춤 과정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태 1∼4의 4 상태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도 23a, 23b, 24a, 24b, 24c, 25a, 25b, 25c, 26a, 26b, 26c는 상태 1∼4의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도 27a, 27b, 27c는 상태 2∼4에서의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와 하우징(30)의 부착부(33)에 위치하는 인터록 하우징(50)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즉 상대측 하우징(110)의 판부(111)에 평행한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태 1: 도 23a, 23b>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피끼워맞춤부(112)에 끼워맞춤되고, 커넥터(400)가 상대측 커넥터(5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500)의 한 쌍의 종동 보스(113)는 커넥터(400)의 레버(40)의 캠 홈(41b)에 각각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인터록 하우징(50)의 스프링편(53)은 그 돌기부(53a)가 자연 위치에 위치하여 부착부(33)의 슬릿(35)에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고(도 24c 참조), 이것에 의해 돌기부(53a)가 슬릿(35)의 부딪침면(35a)에 부딪침으로써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다.
<상태 2: 도 24a, 24b, 24c, 27a>
레버(40)가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커넥터(400)는 캠 기구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5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지고, 커넥터(400)의 주단자(7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주단자(120)가 접속한다. 인터록 하우징(50)은 상태 1과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태 3: 도 25a, 25b, 25c, 27b>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는 하우징(30)의 부착부(33)의 슬릿(35)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의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는 도 25c,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삽입부(46a)의 누름부(46b)에 의해 눌려져,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상태 4: 도 26a, 26b, 26c, 27c>
인터록 하우징(50)이 밀어 넣어지고,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이 검지된다.
인터록 하우징(50)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54)는 도 2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6a)에 절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피저지부(46c)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레버(40)는 제3 위치에 고정되고,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저지된다.
또한,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인터록 하우징(50)은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가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부착부(33)로부터 빠져나가고, 프레임부(39) 아래에 위치하여 프레임부(39)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빠짐방지되고, 폐성 위치에 로킹된다. 로킹의 해제는 스프링편(53)의 돌기부(53a)를 누름(퇴피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50)은 개방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레버(40)의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서도 전술한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2에서는 레버(40)의 회전 방향이 실시예 1과는 역방향으로서, 하우징(30)의 케이블 수용부(32)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기판에 실장된 상대측 커넥터(500)로부터의 레버(40)의 튀어나옴을 실시예 1에 비해,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11 커넥터 하우징
11a 단자 후드부
11b 가이드 핀 12 레버
12a, 12b 아암 플레이트부 12c 조작부
12d 커넥터부 13 단자
14 가이드 홈 15 캠 홈
16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 21 커넥터 하우징
21a 캠 핀 21b 장착 스페이스
21c 단자 후드 수용부 21d 커넥터부
22 단자 23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
30 하우징 31 끼워맞춤부
32 케이블 수용부 33 부착부
34 가이드 축 35 슬릿
35a 부딪침면 36 슬릿
37 걸음부 38 오목부
39 프레임부 40 레버
41 아암부 41a 가이드 홈
41b 캠 홈 41c 피유지부
42 연결부 42a 개구
43 조작부 43a 개구
44 보강벽 45 벽부
46 돌출부 46a 슬라이드 삽입부
46b 누름부 46c 피저지부
47 피유지부 50 인터록 하우징
51 통 형상부 51a 둘레벽
52 조작부 53 스프링편
53a 돌기부 54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
55 로킹편 55a 조작 돌기부
55b 돌기 56 빠짐방지편
56a 돌기 57 판부
58 단차부 60 인터록 단자
70 주단자 80 케이블 커버
100 커넥터 110 상대측 하우징
111 판부 112 피끼워맞춤부
112a 둘레벽 113 종동 보스
114 절결부 115 부착부
116 유지부 116a 차양 형상부
116b 직립부 117 유지부
117a 돌기 120 상대측 주단자
130 상대측 인터록 단자 200 상대측 커넥터
300 케이블 400 커넥터
500 상대측 커넥터
11b 가이드 핀 12 레버
12a, 12b 아암 플레이트부 12c 조작부
12d 커넥터부 13 단자
14 가이드 홈 15 캠 홈
16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 21 커넥터 하우징
21a 캠 핀 21b 장착 스페이스
21c 단자 후드 수용부 21d 커넥터부
22 단자 23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
30 하우징 31 끼워맞춤부
32 케이블 수용부 33 부착부
34 가이드 축 35 슬릿
35a 부딪침면 36 슬릿
37 걸음부 38 오목부
39 프레임부 40 레버
41 아암부 41a 가이드 홈
41b 캠 홈 41c 피유지부
42 연결부 42a 개구
43 조작부 43a 개구
44 보강벽 45 벽부
46 돌출부 46a 슬라이드 삽입부
46b 누름부 46c 피저지부
47 피유지부 50 인터록 하우징
51 통 형상부 51a 둘레벽
52 조작부 53 스프링편
53a 돌기부 54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
55 로킹편 55a 조작 돌기부
55b 돌기 56 빠짐방지편
56a 돌기 57 판부
58 단차부 60 인터록 단자
70 주단자 80 케이블 커버
100 커넥터 110 상대측 하우징
111 판부 112 피끼워맞춤부
112a 둘레벽 113 종동 보스
114 절결부 115 부착부
116 유지부 116a 차양 형상부
116b 직립부 117 유지부
117a 돌기 120 상대측 주단자
130 상대측 인터록 단자 200 상대측 커넥터
300 케이블 400 커넥터
500 상대측 커넥터
Claims (8)
- 하우징과 레버와 주단자와 인터록 하우징과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커넥터와, 상대측 하우징과 상대측 주단자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는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방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방에 가이드 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레버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캠 기구를 이루는 캠 홈과 종동 보스의 일방이 상기 레버에 형성되고, 타방이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져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되돌려져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인터록 단자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선단에 갖춘 스프링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눌려지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하게 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閉成)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자연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의 부딪침면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해리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자연 위치에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레버의 누름부에 눌려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피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위치에 있는 상기 레버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와 상기 피저지부가 간섭하여 상기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로킹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걸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로킹편이 상기 걸음부에 걸어져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폐성 위치에 로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로킹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걸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로킹편이 상기 걸음부에 걸어져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폐성 위치에 로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98799A JP2022190466A (ja) | 2021-06-14 | 2021-06-14 | コネクタ装置 |
JPJP-P-2021-098799 | 2021-06-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7751A true KR20220167751A (ko) | 2022-12-21 |
KR102689294B1 KR102689294B1 (ko) | 2024-07-30 |
Family
ID=8138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803A KR102689294B1 (ko) | 2021-06-14 | 2022-05-03 | 커넥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99680A1 (ko) |
EP (1) | EP4106113B1 (ko) |
JP (1) | JP2022190466A (ko) |
KR (1) | KR102689294B1 (ko) |
CN (1) | CN11554873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90509B2 (en) * | 2020-01-02 | 2022-07-19 | Cisco Technology, Inc. | Removable pluggable module pull tabs |
EP3975347A1 (en) * | 2020-09-25 | 2022-03-30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ing lever and cpa |
JP7502635B2 (ja) * | 2020-09-25 | 2024-06-19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
JP1708396S (ja) * | 2021-07-28 | 2022-02-25 | コネクタ | |
JP1730747S (ja) * | 2022-05-20 | 2022-11-28 | コネクタ | |
JP1730749S (ja) * | 2022-05-20 | 2022-11-28 | コネクタ | |
JP1730744S (ja) * | 2022-05-20 | 2022-11-28 | コネクタ | |
CN116722393B (zh) * | 2023-07-13 | 2024-04-26 | 东莞市竣铂五金电子有限公司 | 一种拆换易接型大电流连接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0382A (ja) * | 2001-09-25 | 2003-04-04 | Yazaki Corp |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
KR100780682B1 (ko) * | 2006-09-14 | 2007-11-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
KR100780678B1 (ko) * | 2006-09-14 | 2007-11-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인터락 스위치 |
WO2010150975A1 (en) * | 2009-06-24 | 2010-12-29 | Ls Cable Ltd. | Electrical coupling apparatus |
US20190393649A1 (en) * | 2018-06-26 | 2019-12-26 | Tyco Electronics Japan G.K. | Electrical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10899B2 (ja) * | 2017-09-08 | 2021-07-28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
JP6951664B2 (ja) * | 2018-01-25 | 2021-10-2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レバー式コネクタ |
-
2021
- 2021-06-14 JP JP2021098799A patent/JP2022190466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4-27 CN CN202210454880.4A patent/CN115548731A/zh active Pending
- 2022-04-27 EP EP22170254.1A patent/EP4106113B1/en active Active
- 2022-05-03 KR KR1020220054803A patent/KR1026892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5-31 US US17/828,101 patent/US2022039968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0382A (ja) * | 2001-09-25 | 2003-04-04 | Yazaki Corp |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
KR100780682B1 (ko) * | 2006-09-14 | 2007-11-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
KR100780678B1 (ko) * | 2006-09-14 | 2007-11-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인터락 스위치 |
WO2010150975A1 (en) * | 2009-06-24 | 2010-12-29 | Ls Cable Ltd. | Electrical coupling apparatus |
KR20100138072A (ko) * | 2009-06-24 | 2010-12-3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전기결합장치 |
US20190393649A1 (en) * | 2018-06-26 | 2019-12-26 | Tyco Electronics Japan G.K. | Electrical Connector |
JP2020004512A (ja) * | 2018-06-26 | 2020-01-0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電気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06113B1 (en) | 2024-03-06 |
CN115548731A (zh) | 2022-12-30 |
EP4106113A1 (en) | 2022-12-21 |
US20220399680A1 (en) | 2022-12-15 |
JP2022190466A (ja) | 2022-12-26 |
KR102689294B1 (ko) | 202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67751A (ko) | 커넥터 장치 | |
JP4752606B2 (ja) | コネクタ | |
KR20230049548A (ko) | 커넥터 장치 | |
JP6910899B2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 |
CN110690625B (zh) | 连接器装置 | |
US9048036B2 (en) | Switching apparatus provided with switches and lever | |
US7287993B2 (en) | Connector having a movable member | |
JP3820355B2 (ja) | 電源回路遮断装置 | |
KR101632557B1 (ko) | 레버 타입 커넥터 | |
JP2003151688A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KR20230032899A (ko) | 커넥터 장치 | |
KR20220093427A (ko) | 커넥터 조립체 | |
JP2004134259A (ja) | コネクタ | |
JPH04206180A (ja) | スイッチ端子およびスイッチ端子付きコネクタ | |
JP7275275B2 (ja) | コネクタ | |
KR102338388B1 (ko) | 방수커넥터 | |
JP3555591B2 (ja) | コネクタ | |
JP3903885B2 (ja) |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 |
JP7275274B2 (ja) | コネクタ | |
JP7337946B2 (ja) | コネクタ | |
JP2013016427A (ja) | 回路遮断装置 | |
JP7367300B2 (ja) | コネクタ組立体 | |
JP4010531B2 (ja) | 半嵌合検知コネクタ | |
JP3090000B2 (ja) | コネクタ | |
JPH0927371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