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88B1 - 방수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88B1
KR102338388B1 KR1020200082400A KR20200082400A KR102338388B1 KR 102338388 B1 KR102338388 B1 KR 102338388B1 KR 1020200082400 A KR1020200082400 A KR 1020200082400A KR 20200082400 A KR20200082400 A KR 20200082400A KR 102338388 B1 KR102338388 B1 KR 10233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moving plate
hous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8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방수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수커넥터는: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단자의 걸림홈부에 란스부가 걸리는 메일하우징과, 터미널단자가 끼워지는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터미널단자를 록킹하도록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와,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연통홀부를 통해 돌출된 터미널단자를 보호홀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무빙플레이트와,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터미널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커넥터{WATERPRO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단자를 이탈방지부재로 1,2차 록킹할 때, 피메일하우징에 직접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를 이탈방지부재와 동시에 적용하여 사이드형 방수커넥터 이용시 씰링부재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과 달리 씰링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방수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어떤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각종 배선이 설치되어 전원부(배터리)로부터 각각의 전선으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자동차의 전기적인 공급상태를 살펴보면,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류는 전선을 통하여 엔진룸의 부품으로 보내게 되며, 각각의 부품들은 사용자의 동작 및 상관부품의 작동에 의하여 연계 작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용 커넥터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방수형으로서, 엔진룸내에서 각각의 부품으로부터 여러 가지 작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단극 및 다극의 방수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방수커넥터는 사이드형 방수커넥터와 프론트형 방수커넥터를 포함한다.
사이드형 방수커넥터는 터미널단자가 삽입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어 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이드 TPA(측면 이탈방지부재)와, 메일하우징에 결합되어 터미널단자를 보호하는 무빙플레이트와, 사이드 TPA와 메일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와, 메일하우징과 결합되는 피메일하우징을 포함한다.
프론트형 방수커넥터는 터미널단자가 삽입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 TPA(전면 이탈방지부재)와, 메일하우징과 결합되는 피메일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런데, 방수커넥터 중 사이드형 방수커넥터의 경우에는 방수용 씰링부재가 더 추가됨에 따라 1종의 부품 증가로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프론트형 방수커넥터의 경우에는 구조상 전면 TPA에 무빙플레이트의 적용이 어려움으로써, 외부 간섭에 의한 터미널단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3616호(2013.05.06, 발명의 명칭: 자동이탈형 방수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메일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단자를 이탈방지부재로 1,2차 록킹할 때, 피메일하우징에 직접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를 이탈방지부재와 동시에 적용하여 사이드형 방수커넥터 이용시 씰링부재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과 달리 씰링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방수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커넥터는,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단자의 걸림홈부에 란스부가 걸리는 메일하우징; 상기 터미널단자가 끼워지는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단자를 록킹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연통홀부를 통해 돌출된 터미널단자를 보호홀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에서 1차 록킹 상태의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눌러서 2차 록킹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란스부를 가압 고정하는 푸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가압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푸쉬 동작으로 상기 메일하우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돌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푸쉬돌부의 직진 이동으로 상기 란스부의 후면을 가압하여 직각방향으로 동작시키므로 상기 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란스부의 후면에는 경사가압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에 따라 직각방향으로 눌려져서 상기 란스부의 란스돌부를 추가적으로 상기 걸림홈부에 밀착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커넥터는, 메일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단자를 이탈방지부재로 1,2차 록킹할 때, 피메일하우징에 직접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를 이탈방지부재와 동시에 적용하여 사이드형 방수커넥터 이용시 씰링부재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과 달리 씰링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가압부를 이용하여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이탈방지부재의 푸쉬돌부를 누르면 가압부재가 란스부를 추가적으로 밀착 가압하여 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레버결합부의 확대 및 작동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1차 록팅 및 무빙플레이트의 터미널단자 보호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2차 록킹 및 무빙플레이트의 터미널단자 보호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2차 록킹, 무빙플레이트의 진입 및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평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록킹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1차 록킹상태와 진입에 의한 2차 록킹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이탈방지결속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밀착고정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쐐기걸림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플레이트 걸림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이탈 및 피메일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레버결합부의 확대 및 작동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1차 록킹 및 무빙플레이트의 터미널단자 보호 상태를 보이고 있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2차 록팅 및 무빙플레이트의 터미널단자 보호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조립 단면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2차 록킹, 무빙플레이트의 진입 및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평면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록킹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1차 록킹상태와 진입에 의한 2차 록킹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이탈방지결속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밀착고정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쐐기걸림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에서, 플레이트 걸림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이탈방지부재의 이탈 및 피메일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보인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는, 메일하우징(100), 이탈방지부재(200), 무빙플레이트(300) 및 피메일하우징(400)을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00)은 삽입홀부(110)에 삽입되는 터미널단자(10)의 걸림홈부(20)에 란스부(120)가 걸리는 구성이다.
삽입홀부(110)는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고,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층을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부(100)를 3개층으로 도시한다.
란스부(120)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젖혀지거나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란스부(120)의 단부에 형성된 란스돌부(122)는 터미널단자(10)의 걸림홈부(20)에 탄겅적으로 젖혀졌다가 복귀되면서 끼워지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200)는 터미널단자(10)가 끼워지는 연통홀부(210)가 형성되고, 터미널단자(10)를 록킹하도록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부재(200)는 란스부(120)에 걸려 있는 터미널단자(10)를 추가적으로 록킹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무빙플레이트(300)는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연통홀부(210)를 통해 돌출된 터미널단자(10)를 보호홀부(310)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구성이다.
무빙플레이트(300)는 방수커넥터의 외부 간섭으로 부터 터미널단자(10)를 보호하고, 결합시 매칭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200)와 무빙플레이트(30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이탈방지부재(200)를 무빙플레이트(3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개별 동작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재(200)가 안착된 무빙플레이트(300)를 메일하우징(100)에 삽입 설치하여 이탈방지부재(200)를 메일하우징(100)에서 1차 록킹하고, 터미널단자(10)를 삽입홀부(110)에 삽입하여 이탈방지부재(200)의 연통홀부(210)와 무빙플레이트(300)의 보호홀부(310)에 삽입하여 터미널단자(10)의 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400)은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되고, 터미널단자(10)가 접속되는 접속단자(41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400)은 레버결합부(500)에 의해 상호 걸림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결합부(500)는 메일하우징(10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510)와, 피메일하우징(400)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레버부재(520)와, 레버부재(520)에 형성되고, 결합돌출부(510)에 삽입되어 래버부재(520)의 회전을 통해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400)을 상호 구속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결합안내홈부(530)를 포함한다.
결합돌출부(510)는 레버부재(520)의 회전시 결합안내홈부(5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부(512)가 형성된다.
이탈방지턱부(512)는 결합돌출부(510)가 결합안내홈부(530)에 삽입된 후 레버부재(520)를 회동시킬 때,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돌출부(510)의 단부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안내홈부(53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레버부재(520)를 회전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400)이 메일하우징(100)측으로 진입하도록 레버부재(520)의 힌지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는, 무빙플레이트(300)의 외측에서 1차 록킹 상태의 이탈방지부재(200)를 눌러서 2차 록킹 상태로 이동하여 란스부(120)를 가압 고정하는 푸쉬가압부(600)를 포함한다.
푸쉬가압부(600)는, 무빙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610)와, 이탈방지부재(200)에 구비되어 관통홀부(610)를 통해 무빙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푸쉬 동작으로 메일하우징(100)에서 이탈방지부재(20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돌부(620)와, 이탈방지부재(620)에 구비되고, 푸쉬돌부(620)의 직진 이동으로 란스부(120)의 후면을 가압하여 직각방향으로 동작시키므로 터미널단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재(630)를 포함한다.
푸쉬돌부(620)는 사각봉 형태로 이동플레이트(2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압부재(630)의 단부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란스부(100)의 후측공간으로 진입시 부드럽게 진입하도록 해준다.
란스부(120)의 후면에는 경사가압면부(130)가 형성되어 가압부재(630)의 진입에 따라 직각방향으로 눌려져서 란스부(120)의 란스돌부(122)를 추가적으로 터미널단자(10)의 걸림홈부(20)에 밀착 구속할 수 있다.
경사가압면부(130)는 가압부재(630)가 진입할수록 경사면의 단차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란스부(120)는 점차 하측으로 눌려진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200)는 록킹부(700)에 의해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 록킹될 수 있다.
록킹부(70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플레이트(710)와,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이탈방지부재(100)의 1차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플레이트(710)의 전면에 접촉되는 록킹돌부(720)와, 이탈방지부재(200)의 설정거리 직진 이동으로 탄성플레이트(710)를 젖힌 상태로 록킹돌부(720)를 진입시켜 2차 록킹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플레이트(710)에 구비되는 록킹홈부(730)를 포함한다.
록킹돌부(720)는 이탈방지부재(20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록킹돌부(720)는 진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진입부위에 경사면을 갖는다.
탄성플레이트(710) 탄성력을 갖는 판체 형태로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200)는 이탈방지결속부(75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결속부(75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 레버동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팔보부재(760)와, 외팔보부재(750)에 관통 형성되는 결속홈부(770)와, 결속홈부(770)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재(200)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780)를 포함한다.
외팔보부재(760)는 상하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외팔보부재(760)의 진입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속돌부(780)의 진입을 도와준다.
결속돌부(780)는 이탈방지부재(200)의 설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속돌부(780)는 외팔보부재(750) 측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진입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무빙플레이트(300)는 밀착고정부(800)에 의해 메일하우징(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밀착고정부(80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드부재(810)와, 로드부재(810)가 삽입되도록 무빙플레이트(300)에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부(820)와, 로드부재(810)를 감싸면서 삽입을 안내하도록 관통홀부(820)에 접하여 무빙플레이트(30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슬롯부재(830)와, 안내슬롯부재(83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로드부재(8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젖힘부재(840)와, 젖힘부재(840)의 진입측에 형성되어 로드부재(810)의 진입에 따라 밀착력을 조절하는 경사밀착면부(850)를 포함한다.
로드부재(81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로드부재(810)는 너비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안내슬롯부재(83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어느 일측면과 상, 하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젖힘부재(840)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 지지대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굴곡 형성되다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경사밀착면부(850)는 젖힘부재(840)의 단부에서 로드부재(810)의 진입방향 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무빙플레이트(810)를 삽입함에 따라 로드부재(810)가 삽입홀부(820)에 삽입되면서 안내슬롯부재(830)로 진입할수록 젖힘부재(840)를 측면방향으로 젖혀주어 로드부재(81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무빙프레이트(300)를 메일하우징(100) 내에 1차 록킹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빙플레이트는 쐐기걸림부(850)에 의해 메일하우징(100) 내부에서 분리가 방지된다.
쐐기걸림부(850)는,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부(860)와, 무빙플레이트(300)에 구비되고, 걸림돌부(860)에 걸리도록 측면으로 젖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재(870)와, 지지부재(870)에 형성되어 걸림돌부(860)에 쐐기 형태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려지는 쐐기걸림턱부(870)를 포함한다.
걸림돌부(860)는 쐐기 형태로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지지부재(870)는 무빙플레이트(300)의 양측에 복수개 형성된다. 지지부재(870)는 무빙플레이트(300)에서 젖힘공간부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쐐기걸림턱부(870)는 쐐기 형태의 걸림돌부(860)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뾰족홈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돌부(860)가 절대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로써, 무빙플레이트(300)는 쐐기걸림부(850)를 기준으로 더 진입할 수는 있지만, 쐐기걸림부(850)에서 분리되지는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400)은 플레이트걸림부(900)에 의해 메일하우징(100)과 결합한 후 분리될 때 무빙플레이트(300)를 쇄기걸림부(850)의 쇄기 걸림위치까지만 후측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걸림부(900)는, 무빙플레이트(300)에 관통 형성되는 끼움홀부(910)와, 끼움홀부(910)에 걸려지고, 피메일하우징(400)을 메일하우징(100)에서 분리시 끼움홀부(910)에 걸려져 무빙플레이트(300)를 이탈시키는 걸림부재(920)와, 걸림부재(920)의 걸림부위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빙플레이트(300)를 쐐기걸림부(850)의 쇄기 걸림위치까지만 이탈시키고 피메일하우징(400)만을 분리되게 하는 분리경사면부(930)를 포함한다.
분리경사면부(930)의 역할을 살펴 보면, 피메일하우징(400)을 메일하우징(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분리할 때, 2차 록킹된 이탈방지부재(200)에 접한 상태에 있는 무빙플레이트를 걸림부재(920)로 후방으로 이동시켜 끼움홈부(910)에 걸려진 무빙플레이트(300)만 후진 이동시키다가 쐐기걸림부(850)에 쐐기 형태로 걸려진 무빙플레이트(300)는 더 이상 이탈되지 못하므로, 피메일하우징(400)을 더욱더 강하게 후방으로 당기면 분리경사면부(930)에 의해 걸림부재(920)의 걸림부위가 후측으로 젖혀지면서 끼움홀부(910)에서 이탈되어 피메일하우징(400)만 메일하우징(100)에서 분리 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는, 메일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단자를 이탈방지부재로 1,2차 록킹할 때, 피메일하우징에 직접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를 이탈방지부재와 동시에 적용하여 사이드형 방수커넥터 이용시 씰링부재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과 달리 씰링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가압부를 이용하여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이탈방지부재의 푸쉬돌부를 누르면 가압부재가 란스부를 추가적으로 밀착 가압하여 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터미널단자 20: 걸림홈부
100: 메일하우징 110: 삽입홀부
120: 란스부 130: 경사가압면부
200: 이탈방지부재 210: 연통홀부
300: 무빙플레이트 310: 보호홀부
400: 피메일하우징 410: 접속단자
500: 레버결합부 510: 결합돌출부
520: 레버부재 530: 결합안내홈부
600: 푸쉬가압부 610: 관통홀부
620: 푸쉬돌부 630: 가압부재
700: 록킹부 710: 탄성플레이트
720: 록킹홀부 730: 록킹홈부
750: 이탈방지결속부 760: 외팔보부재
770: 결속홈부 780: 결속돌부
800: 밀착고정부 810: 로드부재
820: 삽입홀부 830: 안내슬롯부재
840: 젖힘부재 850: 경사밀착면부
850: 쐐기걸림부 860: 걸림돌부
870: 지지부재 880 : 쐐기걸림턱부
900: 플레이트걸림부 910: 끼움홀부
920: 걸림부재 930: 분리경사면부
:

Claims (4)

  1. 삽입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단자의 걸림홈부에 란스부가 걸리는 메일하우징; 상기 터미널단자가 끼워지는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단자를 록킹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연통홀부를 통해 돌출된 터미널단자를 보호홀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에서 1차 록킹 상태의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눌러서 2차 록킹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란스부를 가압 고정하는 푸쉬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가압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푸쉬 동작으로 상기 메일하우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돌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푸쉬돌부의 직진 이동으로 상기 란스부의 후면을 가압하여 직각방향으로 동작시키므로 상기 터미널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란스부의 후면에는 경사가압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에 따라 직각방향으로 눌려져서 상기 란스부의 란스돌부를 추가적으로 상기 걸림홈부에 밀착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커넥터.
KR1020200082400A 2020-07-03 2020-07-03 방수커넥터 KR10233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400A KR102338388B1 (ko) 2020-07-03 2020-07-03 방수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400A KR102338388B1 (ko) 2020-07-03 2020-07-03 방수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388B1 true KR102338388B1 (ko) 2021-12-10

Family

ID=7886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400A KR102338388B1 (ko) 2020-07-03 2020-07-03 방수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258A1 (ja) * 2022-02-14 2023-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240017454A (ko) 2022-08-01 2024-02-08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전동식 워터펌프용 방수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0041A (ja) * 2004-11-12 2006-06-0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80045552A (ko) * 2006-11-20 2008-05-23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200077919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0041A (ja) * 2004-11-12 2006-06-0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80045552A (ko) * 2006-11-20 2008-05-23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200077919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258A1 (ja) * 2022-02-14 2023-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240017454A (ko) 2022-08-01 2024-02-08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전동식 워터펌프용 방수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451B2 (e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26793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JP3092066B2 (ja) コネクタ位置決め保証装置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JP3180016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EP2362498B1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EP088955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6236784A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JP200235290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9543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3031303A (ja) 防水式低挿入力コネクタ
JP6898395B2 (ja) スライダー部を備える結合コネクター
US10367290B2 (en) Connector device and male connector
JP327529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338388B1 (ko) 방수커넥터
JP2002042960A (ja) コネクタ支持機構
JP2004134258A (ja) コネクタ
JP5059642B2 (ja) 電気コネクタ
CN110571567A (zh) 分阶段释放的电连接器组件
JP2004134259A (ja) コネクタ
US6837733B2 (en) Connector with cover retained at partly assembled position and movable to properly assembled position
US7125292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front part
KR102338389B1 (ko) 방수커넥터
US2008024866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3457172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727527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