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682B1 -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682B1
KR100780682B1 KR1020060089019A KR20060089019A KR100780682B1 KR 100780682 B1 KR100780682 B1 KR 100780682B1 KR 1020060089019 A KR1020060089019 A KR 1020060089019A KR 20060089019 A KR20060089019 A KR 20060089019A KR 100780682 B1 KR100780682 B1 KR 10078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guide
lev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는 레버 회전식 전원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있어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단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가이드와 암수결합하여 레버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20)가 제1 단자(10)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15)를 따라 제2 단자(20)가 이동하여, 제1 단자(10)와 제2 단자(20)가 접속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인터락 스위치, 전원회로 차단장치, 슬라이딩 가이드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INTERLOCK SWITCH WHICH IS SLIDING TYPE }
도 1은 종래의 전원회로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작동도.
본 발명은 전원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레버회전식 전원차단장치등에 전원의 2중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를 개량하여 간단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방식의 단자를 사용하여 조립성 및 탈착성을 향상시킨 인터락 스위치와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고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장착되는 전원차단 장치는 안전을 위하여 2중 차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전원차단장치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단선되어 있는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2번의 차단장치를 해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종래에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21205호에서는 레버 회전식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기술이 언급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종래의 기술은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며 인터락 스위치(5)를 포함하는 암형 하우징(1)과, 상기 암형 하우징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형 하우징(2)과, 상기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수형 하우징을 상기 암형 하우징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온 시키는 레버 잠금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레버를 내려서 수형 하우징을 암형 하우징에 삽입해야 하고, 레버 잠금부재를 슬라이딩 시켜 인터락 스위치를 온 시켜야 한다. 따라서, 레버와 레버 잠금부재에 의해 2중으로 전원이 차단되고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별도의 레버 잠금부재를 형성하여 구성이 복잡해지고, 조립시 시간이 소요되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탈착시에도 레버 잠금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해 많은 힘이 소요되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레버 잠금부재를 이동시켜 스위치를 온 시켜야 하기 때문에 인터락 스위치의 크기가 작은 단자들을 암수결합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방식의 단자를 사용하여 조립성 및 탈착성을 향상시킨 인터락 스위치와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는 레버 회전식 전원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있어서,
제1 단자(10)와 제2 단자(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10)는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100)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단자(20)는,
상기 제1 하우징(100)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0)을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300)에 제공되며,
상기 레버(300)는 상기 제2 단자(20)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20)는 상기 가이드(15)와 암수결합하여 레버(300)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2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20)가 제1 단자(10)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15)를 따라 제2 단자(20)가 이동하여, 제1 단자(10)와 제2 단자(20)가 접속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회로 차단장치는 제1 단자(10)와 제2 단자(20)를 포함하는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10)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1 하우징(100)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2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0)을 상기 제1 하우징(100)측으로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300)는 상기 제2 단자(20)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20)는 상기 가이드(15)와 암수결합하여 레버(300)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2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20)가 제1 단자(10)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15)를 따라 제2 단자(20)가 이동하여, 제1 단자(10)와 제2 단자(20)가 접속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하우징은 암형 하우징으로 내부에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제1 단자(10)가 수용된 인터락 스위치의 하우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전원회로는 전원이 흐르도록 리드선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를 말하며, 전원회로 차단장치에서의 전원회로는 기본적으로 단선되어 있다. 상기 전원회로는 단순히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회로에 불과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에 해당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 하우징은 본 실시예에서는 수형 하우징으로 상기 암형 하우징에 삽입되어 암수결합하여 상기 단선되어 있는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하지만, 인터락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이 결합한다고 하여도 전원회로가 통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수형 하우징을 상기 암형 하우징측으로 밀어주어 암형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암수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인터락 스위치에 수용된 제1 단자(10)는 암단자이고, 상기 레버(300)에 제공된 제2 단자(20)는 수단자이다.
상기 제2 단자(20)는 제2 단자(20) 하우징에 수용된 채 상기 레버(300)에 제공되며, 상기 레버(300)에는 상기 제2 단자(20)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20)는 상기 가이드(15)와 암수결합하여 레버(300)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25)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상기 가이드(15)는 돌출되어 있으며 피유도부(25)는 함몰되어 있어서 가이드(15)가 피유도부(25)에 삽입되어 암수결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제2 단자(20)는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 단자(1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20)가 제1 단자(10)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0)가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들 사이에 완전히 결합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제2 단자(20)는 제1 단자(10)와 결합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2와 같이 상기 가이드(15)는 함몰되어 있으며 피유도부(25)는 돌출되어 있어서 가이드(15)가 피유도부(25)를 수용하여 암수결합을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제2 단자(20)는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 단자(1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둔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적으로 전원차단장치는 전원을 차단하고 있을 시에는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있다. 전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레버(300)를 회전시키고, 또한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버(30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수형 하우징이 암형 하우징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 레버(300)가 완전히 회전하고 나면, 상기 수형 하우징은 암형 하우징과 완전히 암수결합되어 단선된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하지만, 인터락 스위치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상기 전원회로는 단선되어 있다.
상기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제2 단자(20)는 이동되어 제1 단자(10)에 연결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단자(20)를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제2 단자(20)는 제1 단자(10)로 이동되어 제1 단자(10)와 연결되 고, 접속되어 통전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작동 순서를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즉, 상기 제2 단자(20)를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제1 단자(10)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완전히 제2 단자(20)가 해제되고 나면 상기 레버(300)를 회전시켜 수형 하우징을 암형 하우징으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에 의해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던 별도의 복잡한 구성을 가지지 않고도 간단한 슬라이딩 구성만 구비하도록 하여, 제작시 부품을 단순하게 하고, 조립의 시간을 단축되게 하며, 작동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간단하고 빠르게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여, 더욱 개량된 전원회로 차단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6)

  1. 레버 회전식 전원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있어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단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가이드와 암수결합하여 레버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가 제1 단자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를 따라 제2 단자가 이동하여,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인터락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는 돌출되어 있으며 피유도부는 함몰되어 있어서 가이드가 피유도부에 삽입되어 암수결합을 하는 인터락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는 함몰되어 있으며 피유도부는 돌출되어 있어서 피유도부가 가이드에 삽입되어 암수결합을 하는 인터락 스위치.
  4.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측으로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단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가이드와 암수결합하여 레버에 연결시켜주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피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가 제1 단자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를 따라 제2 단자가 이동하여,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원회로 차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는 돌출되어 있으며 피유도부는 함몰되어 있어서 가이드가 피유도부에 삽입되어 암수결합을 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는 함몰되어 있으며 피유도부는 돌출되어 있어서 피유도부가 가이드에 삽입되어 암수결합을 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
KR1020060089019A 2006-09-14 2006-09-14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KR10078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19A KR100780682B1 (ko) 2006-09-14 2006-09-14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19A KR100780682B1 (ko) 2006-09-14 2006-09-14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682B1 true KR100780682B1 (ko) 2007-11-30

Family

ID=390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019A KR100780682B1 (ko) 2006-09-14 2006-09-14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6113A1 (en) * 2021-06-14 2022-12-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079U (ja) * 1993-06-29 1995-01-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9265874A (ja) * 1996-03-29 1997-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レーカ装置
JP2003100386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079U (ja) * 1993-06-29 1995-01-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9265874A (ja) * 1996-03-29 1997-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レーカ装置
JP2003100386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6113A1 (en) * 2021-06-14 2022-12-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320B2 (en) Connector with a secondary connector
JP5650971B2 (ja) スイッチ装置
US9171685B2 (e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apparatus
US8241052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power and command connectors
JP2012109033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及び、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を備えたコネクタユニット
KR20100018522A (ko) 차량용 회로차단기
CN101354988B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CN101540247A (zh) 用于低压开关设备的适配器装置
CN107968025B (zh) 紧凑型自动合闸断路器
US10389093B2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CN113224590A (zh) 电源电路切断装置
WO201001588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ting the same
WO2016002109A1 (ja) 配線器具
KR100780682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JP2013143180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0780678B1 (ko) 인터락 스위치
US9530578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assembly therefor
KR100780705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KR100818633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WO2016002107A1 (ja) 配線器具
KR100780675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JP201819544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1692615B1 (ko) 직류전원 접속 장치
JP2014051239A (ja) 回路導通遮断装置
EP1214766B1 (en) Switchgear device with ground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