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633B1 -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633B1
KR100818633B1 KR1020060105619A KR20060105619A KR100818633B1 KR 100818633 B1 KR100818633 B1 KR 100818633B1 KR 1020060105619 A KR1020060105619 A KR 1020060105619A KR 20060105619 A KR20060105619 A KR 20060105619A KR 100818633 B1 KR100818633 B1 KR 10081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lever
ma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철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2Actuators 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단자(3)와 제2 단자(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3)는 제1 단자 하우징(1)에 수용되고,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10)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6)는 제2 단자 하우징(4)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원호형상의 결합팔(5)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팔(5)의 단부에 상기 제2 단자(6)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단자 하우징(1)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5)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2)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3)가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상기 제1 하우징(10)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을 상기 제1 하우징(10)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30)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전원회로 차단장치, 레버, 리드선, 단자, 인터락 스위치

Description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THE INTERLOCK SWITCH AND THE APPARATUS FOR POWER-SOURCE CIRCUIT BRAKER}
도 1은 레버가 당겨지기 전의 사시도.
도 2는 레버가 당겨진 후의 사시도.
도 3은 인터락 스위치가 결합된 사시도.
본 발명은 전원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레버 회전식 전원차단장치등에 전원의 2중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를 개량하여 단자를 회전시켜 단자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성 및 탈착성을 향상시킨 인터락 스위치와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고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장착되는 전원차단 장치는 안전을 위하여 2중 차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전원차단장치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단선되어 있는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2번의 차단장치를 해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종래에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21205호에서는 레버 회전식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기술이 언급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며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암형 하우징과, 상기 암형 하우징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형 하우징과, 상기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수형 하우징을 상기 암형 하우징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리드선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온 시키는 레버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레버를 내려서 수형 하우징을 암형 하우징에 삽입해야 하고, 레버 잠금부재를 슬라이딩 시켜 인터락 스위치를 온 시켜야 한다. 따라서, 레버와 레버 잠금부재에 의해 2중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별도의 레버 잠금부재를 형성하여 구성이 복잡해지고, 조립시 시간이 소요되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탈착시에도 레버 잠금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해 많은 힘이 소요되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레버 잠금부재를 이동시켜 스위치를 온 시켜야 하기 때문에 인터락 스위치의 크기가 작은 단자들을 암수결합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자를 회전시켜 단자간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조립성 및 탈착성을 향상시킨 인터락 스위치와 상기 인터락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레버 회전식 전원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단자(3)와 제2 단자(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3)는 제1 단자 하우징(1)에 수용되고,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10)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6)는 제2 단자 하우징(4)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원호형상의 결합팔(5)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팔(5)의 단부에 상기 제2 단자(6)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단자 하우징(1)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5)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2)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3)가 제 공되며,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상기 제1 하우징(10)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을 상기 제1 하우징(10)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30)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터락 스위치를 구비한 전원회로 차단장치는, 제1 단자(3)와 제2 단자(6)를 포함하는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3)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을 상기 제1 하우징(10)측으로 암수결합하여 상기 리드선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3)는 제1 단자 하우징(1)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6)는 상기 레버(30)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단자 하우징(4)에 의해 수용되어 레버(30)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원호형상의 결합팔(5)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팔(5)의 단부에 상기 제2 단자(6)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단자 하우징(1)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5)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2)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3)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는 크게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20), 레버(30),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은 암형 하우징으로 내부에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제1 단자(3)가 수용된 인터락 스위치의 제1 단자 하우징(1)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은 단순히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편의상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원회로는 기본적으로 단선되어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 놓여 있다. 다만 후술하듯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통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결합에 의해 통전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본 실시예에서는 수형 하우징으로 상기 암형 하우징에 삽입되어 암수결합하여 상기 단선되어 있는 리드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하지만, 인터락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이 결합한다고 하여도 리드선이 통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 기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형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수형 하우징을 상기 암형 하우징측으로 밀어주어 암형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암수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리드선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인터락 스위치에 수용된 제1 단자(3)는 암단자이고, 상기 레버(30)에 제공된 제2 단자(6)는 수단자이다. 암단자와 수단자라는 것은 서로 암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돌출되고 함몰된 단부 형상을 가지고 있는 단자를 말한다.
암단자인 상기 제1 단자(3)는 제1 단자 하우징(1)에 수용되고,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이 서로에 대해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암하우징인 제1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있다.
수단자인 상기 제2 단자(6)는 제2 단자 하우징(4)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원호형상의 결합팔(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팔(5)의 단부에는 상기 제2 단자(6)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팔(5)은 단자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단자 하우징(1)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5)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2)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단자(3)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라는 것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개방된 입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곳을 말한다. 상기 수용공간의 길이는 상기 결합팔(5)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결합팔(5)이 다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은 레버(30)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가능한 결합을 위해 힌지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의 상기 결합팔(5)은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단자 하우징의 원호형 수용공간(2)에 삽입된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2 하우징(20)이 암수결합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2 하우징(20)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리드선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6)가 제1 단자(3)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간의 결합이 없다면 상기 단자들간의 결합도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하,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도 1과 같이 우선적으로 전원차단장치는 전원을 차단하고 있을 시에는 리드선들이 단선되어 있다. 전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도 2와 같이 수형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레버(30)를 회전시키고, 또한 암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버(3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수형 하우징이 암형 하우징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 레버(30)가 완전히 회전하고 나면, 상기 수형 하우징은 암형 하우징과 완전히 암수결합되어 단선된 리드선들이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하지만, 인터락 스위치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상기 리드선들 은 단선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2 하우징(20)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리드선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6)가 제1 단자(3)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제2 단자(6)가 제1 단자(3)와 접속 가능한 위치로 이동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이 회전하여 상기 결합팔(5)이 제1 하우징(10)에 제공된 제1 단자 하우징(1)의 원호형 수용공간(2)으로 삽입된다. 상기 결합팔(5)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 단자(3)와 제2 단자(6)가 접속하게 되어 통전 가능하도록 된다.
반대로, 전원회로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의 과정을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즉, 상기 제2 단자 하우징(4)을 회전시키면 단자들간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고, 다시 레버(30)를 회전시키면 암형 하우징과 수형 하우징간에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리드선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우선, 간단한 단자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단자간의 결합과 해제가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인터락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조립성과 조작성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또한, 단자 하우징의 형상이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단자들간의 결합시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는 단자간의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의 차단시에도 간단하게 단자 하우징을 회전시켜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한, 단자의 형상을 단자의 회전에 의한 결합에 적합하게 형성하여, 과도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간단하고 쉽게 단자간의 결합과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Claims (4)

  1. 레버 회전식 전원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인터락 스위치에 있어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제1 단자 하우징에 수용되고,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는 제2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은 원호형상의 결합팔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팔의 단부에 상기 제2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단자 하우징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과 암수결합시켜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하는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인터락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가 제1 단자측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이 회전하여 제1 단자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할 때에만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되는, 인터락 스위치.
  3.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전원회로가 단선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측으로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있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제1 단자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레버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어 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자 하우징은 원호형상의 결합팔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팔의 단부에 상기 제2 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단자 하우징은 상기 원호형상의 결합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가 결합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암수결합하여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만 제2 단자가 제1 단자에 연결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단자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팔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제공된 제1 단자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암수결합을 하여 접속한 때에만 상기 전원회로가 통전되는, 전원회로 차단장치.
KR1020060105619A 2006-10-30 2006-10-30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KR10081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19A KR100818633B1 (ko) 2006-10-30 2006-10-30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19A KR100818633B1 (ko) 2006-10-30 2006-10-30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633B1 true KR100818633B1 (ko) 2008-04-01

Family

ID=3953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619A KR100818633B1 (ko) 2006-10-30 2006-10-30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874A (ja) * 1996-03-29 1997-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レーカ装置
JP2003100386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874A (ja) * 1996-03-29 1997-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レーカ装置
JP2003100386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577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4913811B2 (ja) 接続支援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214708B2 (ja) サブコネクタ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7149420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CN102612726A (zh) 供电电路断开装置
CN1913228B (zh) 电端子
CN103187201B (zh) 具有互锁装置的真空断路器
JP6793190B2 (ja) 小型連動型電気ソケット
CN102047371B (zh) 断路器的可动触头装置
KR100423223B1 (ko) 전원 절환 개폐기의 자동절환 스위치
US20170365967A1 (en) Electric Connector and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Electric Connector
KR100818633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JP5153703B2 (ja) 回路遮断器
JP2007329046A (ja) 直流コンセント
KR100780678B1 (ko) 인터락 스위치
KR20047958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780682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인터락 스위치
KR100780705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KR100780675B1 (ko)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회로 차단장치
JP2020145040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0223000A (ja) 電源遮断装置
KR100780697B1 (ko) 인터락 스위치
JP2014051239A (ja) 回路導通遮断装置
KR101692615B1 (ko) 직류전원 접속 장치
KR20120027729A (ko) 레버식 전원회로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