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899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899A
KR20230032899A KR1020220098572A KR20220098572A KR20230032899A KR 20230032899 A KR20230032899 A KR 20230032899A KR 1020220098572 A KR1020220098572 A KR 1020220098572A KR 20220098572 A KR20220098572 A KR 20220098572A KR 20230032899 A KR20230032899 A KR 20230032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ting
lever
housing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타카하시
료타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의 레버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레버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레버를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는 캠 기구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져, 커넥터의 주단자와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한다. 레버를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한 플랜지부와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하우징에 설치한 상대측 플랜지부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레버의 홈부에 수용되어 레버에 협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 및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이탈이 행해지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종류의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3-1003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에 부착된 레버(12)의 조작에 의해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하방에는 단자 후드부(11a)가 설치되고, 단자 후드부(11a) 내에는 한 쌍의 단자(수단자)(13)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외벽에는 후술하는 레버(12)의 가이드 홈(14)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레버(12)는 도 2a,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와,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를 연결하는 조작부(12c)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14)에는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가이드 핀(11b)이 각각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레버(12)는 커넥터 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 이동, 또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에는 캠 홈(15)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캠 홈(15)에는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할 때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후술하는 캠 핀(21a)이 삽입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부(12a, 12b)의 일방은 타방에 비해 광폭으로 설치되고, 광폭의 아암 플레이트부(12b)에는 커넥터부(12d)가 설치되고, 커넥터부(12d)에는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설치되어 있다.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은 상면이 개방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 스페이스가 커넥터 하우징(11)의 장착 스페이스(21b)로 되어 있다. 장착 스페이스(21b)의 하면이 되는 바닥면부에는 단자 후드 수용부(21c)가 설치되어 있고, 단자 후드 수용부(21c) 내에는 한 쌍의 단자(암단자)(22)가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1)의 내주벽의 대칭 위치에는 한 쌍의 캠 핀(21a)이 돌출설치되고, 또한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는 커넥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1d)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4a, 4b 참조).
도 3a, 3b, 3c는 도 1에 도시한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로부터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장착 스페이스(21b) 내에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삽입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이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레버(12)의 상태를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 핀(21a)과 함께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레버(12)가 도 1에 도시한 회전 개시 위치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c는 레버(12)가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12)의 캠 홈(15)에 들어간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캠 핀(21a)은 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캠 홈(15) 내를 이동함으로써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 내에 서서히 근접 이동되어 들어가고, 이 근접 이동에 의해 레버(12)가 회전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쌍방의 커넥터 하우징(11, 21)의 단자(13, 22)가 접촉 상태로 된다.
다음에 레버(12)를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회전 완료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레버(12)의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의 한 쌍의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한다. 도 4a, 4b는 레버(12)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위치하고, 일방의 커넥터 하우징(11)의, 타방의 커넥터 하우징(21)에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12)의 조작은 이와 같이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조작 후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16)가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23)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검지됨으로써 전원 회로가 비로소 도통 상태로 되고, 단자(13, 22)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전원 회로를 도통 상태로부터 비도통 상태로 하는 레버(12)의 조작은 그 반대의 2액션으로 이루어지고, 앞의 슬라이드 조작으로 전원 회로가 오프되고, 그 다음의 회전 조작으로 단자(13)와 단자(22)가 이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커넥터 장치는 레버의 조작이 완료하기 전에 전원회로가 도통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고전압 대전류용의 커넥터 장치로서 안전성이 배려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전압 대전류용의 커넥터 장치는 전기 자동차 등에서도, 예를 들면, 배터리와 케이블 하니스와의 접속에 사용되고 있어, 전기 계통 등을 메인티넌스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차량탑재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진동에 의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부품끼리 서로 스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품질이나 접속 성능이 열화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본 특개 2003-10038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를 감안하여, 진동 환경하에서 사용해도 품질이나 접속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기술사항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또한, 본 발명의 수익자(예를 들면, 출원인과 권리자임) 이외의 사람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도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요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기재된다.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개요는, 예를 들면, 이 특허출원의 출원 시의 청구범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하우징과 레버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은 제1 손잡이(first lug; 본 명세서에서는 「플랜지부」라고도 함)를 가지고 있다. 제1 손잡이는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다.
제1 커넥터의 레버는 홈을 가지고 있다.
제2 커넥터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은 제2 손잡이(second lug; 본 명세서에서는 「상대측 플랜지부」라고도 함)를 가지고 있다. 제2 손잡이는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다.
레버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 조작되고, 그것에 의해,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에 끼워맞춤한다. 이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1 손잡이의 평탄한 면과 제2 손잡이의 평탄한 면은 서로 밀착하고 있다.
레버는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되고, 그것에 의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는, 서로 밀착한 채, 레버의 홈에 수용된다. 서로 밀착하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한 세트와, 레버의 홈과의 사이의 기계적 유격(backlash)은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 덕분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대적인 움직임, 특히,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을 저지하는 로킹 기구를 포함해도 된다. 로킹 기구에 의해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이 저지되므로, 서로 밀착하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한 세트는 레버의 홈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아암을 가지고 있고, 일방의 아암은 일방의 아암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2개의 부위의 각각에 홈부를 가지고 있고, 타방의 아암은 타방의 아암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2개의 부위의 각각에 홈부를 가지고 있고, 이들 4개의 홈부의 각각이 서로 밀착하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한 세트를 수용하는 구성도 허용된다. 이러한 구성 덕분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안정적이고 또한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은 그 사전적 정의에 따라 협의로 해석되는 물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은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물체(단, 이 물체는 단일의 요소여도 되고, 또는, 2개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도 됨)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단일의 물체 중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은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또는,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이 아닌 기능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또는,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에 더하여 다른 기능을 가지는 물체여도 되고,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 및 당해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기초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부위를 포함하는 단일의 물체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커넥터의 하우징과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움직임(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진동 환경하에서 사용해도 품질이나 접속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 내진동 성능이 우수한 커넥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레버의 사시도.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레버의 측면도.
도 3a는 레버가 회전 개시 위치와 회전 완료 위치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레버가 회전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c는 레버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장치의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주요부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a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7b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7c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d는 도 5a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a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평면도.
도 8b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정면도.
도 8c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정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8d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정면측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e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배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8f는 도 5a에 있어서의 레버의 배면측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넥터가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로킹 부품을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는 도 9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우측면도.
도 13c는 도 13a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14a는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15a는 도 10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도 15b는 도 15a의 우측면도.
도 15c는 도 15a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16a는 도 10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D-D선 단면도.
도 16c는 도 16a의 E-E선 단면도.
도 17a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b는 도 17a의 D-D선 단면도.
도 17c는 도 17a의 E-E선 단면도.
도 18a는 도 12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b는 도 18a의 C-C선 단면도.
도 19a는 플랜지부, 상대측 플랜지부 및 홈부의 제1 형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b는 플랜지부, 상대측 플랜지부 및 홈부의 제2 형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c는, 플랜지부, 상대측 플랜지부 및 홈부의 제3 형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b는 도 20a에 도시한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21b는 도 21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1c는 도 21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2a는 도 20a에 있어서의 레버의 측면도.
도 22b는 도 20a에 있어서의 레버의 배면도.
도 22c는 도 20a에 있어서의 레버의 정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d는 도 20a에 있어서의 레버의 배면측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e는 도 22a의 F-F선 단면도.
도 23은 도 20a에 도시한 커넥터와 도 21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20a에 도시한 커넥터와 도 21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a는 도 20a에 도시한 커넥터와 도 21a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맞춤되고, 레버가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b는 도 25a의 C-C선 단면도.
도 26a는 도 25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b는 도 26a의 C-C선 단면도.
도 27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넥터가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의 인터록 하우징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7b는 도 27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8a는 도 27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레버가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 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8b는 도 28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인터록 하우징이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 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a, 5b, 6a, 6b, 6c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는 HVIL(High-Voltage Inter Lock: 고전압 인터록)을 갖추는 고전압 대전류용의 커넥터 장치로서, 차량탑재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5a, 5b 중, 30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40은 레버를 나타낸다. 300은 케이블을 나타내고, 커넥터(100)는 이 예에서는 2개의 케이블(300)의 단말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30)에는 2개의 케이블(300)과 각각 접속되어 있는 주단자(50)가 수용되어 있고, 또한 인터록 단자(60)가 수용되어 있다. 또, 레버(40)에는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커넥터 위치 보증)를 위한 로킹 부품(70)이 부착되어 있다. 도 5a 중, 80은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는 케이블 커버를 나타낸다.
우선, 커넥터(100)의 하우징(30) 및 레버(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30)은 도 7a, 7b, 7c,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별하여 끼워맞춤부(31)와, 끼워맞춤부(31)의 후방에 이어지는 케이블 수용부(32)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부(31)에는 하면에 크게 개구하는 수용부(33)가 2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수용부(33)에 주단자(50)가 각각 수용 배치된다. 또, 수용부(33)에 더하여, 하면에 개구하는 수용부(34)가 1개 설치되어 있고, 이 수용부(34)에는 인터록 단자(60)가 수용 배치된다.
끼워맞춤부(31)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축(35)이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끼워맞춤부(31)의 전측(케이블 수용부(32)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6)가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31)와 케이블 수용부(32)에 걸쳐서 하우징(3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7)가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플랜지부(36 및 37)는 하우징(30)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돌출조를 이룬다.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케이블 수용부(32)의 후단으로부터 끼워맞춤부(31)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홈(38)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38)의 전단측에서 홈(38) 내에는 돌기(38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레버(40)는 도 8a, 8b, 8c, 8d, 8e,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아암부(41)와, 한 쌍의 아암부(41)의 기단측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아암부(41)에는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4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캠 홈(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캠 홈(44)은 도 8a, 8b, 8c, 8d, 8e,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은 아암부(41)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다.
양쪽 아암부(41)의 선단측의 내면에는 홈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단측의 내면에도 홈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홈부(45, 46)는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대략 오목홈 형상을 이룬다. 한편, 연결부(42)의 신장 방향 중앙의 상면에는 로킹 부품(7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버(40)에는 로킹 부품(70)이 부착되고, 로킹 부품(70)이 부착된 레버(40)는 한 쌍의 아암부(41)의 각 가이드 홈(43)에, 하우징(30)의 한 쌍의 가이드축(35)이 각각 삽입, 위치되고, 한 쌍의 아암부(41)가 하우징(30)을 사이에 끼고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레버(40)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버(40)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 5b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한 도 6a, 6b, 6c에 있어서, 110은 상대측 하우징을 나타내고, 120은 상대측 주단자를 나타낸다. 또, 130은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은 판부(111)와, 상방으로 개구하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판부(111) 위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피끼워맞춤부(112)를 갖추고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112a)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종동 보스(113)가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둘레벽(112a)의 후방을 향하는 부분은 절결부(114)에 의해 크게 절결되어 있다. 한 쌍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고,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절결부(114)측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110)의 판부(111) 위에는 또한 각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판부(111)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된 직립부(117, 118)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5)는 피끼워맞춤부(112)의 전측에서 피끼워맞춤부(112)의 좌우에 위치하고,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6)는 피끼워맞춤부(112)의 후측에서 피끼워맞춤부(112)의 좌우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및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6)는 각각 좌우 방향에서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는 상태 1∼5의 끼워맞춤 과정을 거쳐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도 9, 10, 11, 12는 상태 1, 3∼5에 있어서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a, 13b, 13c, 14a, 14b, 14c, 15a, 15b, 15c는 상태 1∼3에 있어서의 주요부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또, 도 16a, 16b, 16c, 17a, 17b, 17c, 18a, 18b는 상태 3∼5에 있어서의 주요부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상태 1: 도 9, 13a, 13b, 13c>
상태 1은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피끼워맞춤부(112)에 끼워맞춤되고,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상대측 커넥터(200)의 한 쌍의 종동 보스(113)는 커넥터(100)의 레버(40)의 캠 홈(44)에 각각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 1에서는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고,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도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다.
<상태 2: 도 14a, 14b, 14c>
상태 2는 레버(4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이며, 레버(40)의 캠 홈(44)과, 캠 홈(44)에 들어간 상대측 커넥터(200)의 종동 보스(113)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에 의해,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200)로 끌어 당겨지고, 끼워맞춤 준비 위치와 끼워맞춤 위치 사이의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고, 즉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레버(40)가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접속된다.
또한, 레버(40)가 중간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이 상태 2의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에 있을 때, 레버(40)를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100)는 캠 기구에 의해 되밀려,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나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이동하고, 커넥터(100)가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날 때,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은 해제된다.
<상태 3: 도 10, 15a, 15b, 15c, 16a, 16b, 16c>
상태 3은 레버(40)가 회전 완료 위치인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이며, 커넥터(100)는 캠 기구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200)로 더욱 끌어 당겨져 상대측 커넥터(200)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은 유지되고 있고, 이 상태 3에서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이 검지된다.
또한, 레버(40)가 제2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이 상태 3의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레버(40)를 중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커넥터(100)는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나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하고, 커넥터(100)가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날 때에는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와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CPA를 위해 레버(40)에 부착되어 있는 로킹 부품(70)은, 이 상태 3에서는 도 15c, 1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구비하는 로킹편(71)의 선단이 레버(40)에 설치되어 있는 로킹부(48)에 부딪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로킹 부품(70)은 화살표(a) 방향으로 밀어 넣지 못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커넥터(100)의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이 상태 3에서 대응하는 것끼리 서로 밀착한다. 도 16c는 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태 4: 도 11, 17a, 17b, 17c>
상태 4는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며, 커넥터(100)의 하우징(30)의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레버(40)의 한 쌍의 아암부(41)에 슬라이드 방향(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연신 형성되어 있는 홈부(45, 46)에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고, 즉 레버(40)에 의해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협지된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있는 커넥터(100)의 레버(40)를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레버(40)에 의한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의 협지는 해제된다.
한편, 로킹 부품(70)의 로킹편(71)의 선단은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38a)에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올라타고, 이것에 의해 로킹부(48)에 대한 부딪침이 해제되어, 화살표(a) 방향으로 밀어 넣는 상태로 된다.
<상태 5: 도 12, 18a, 18b>
상태 5는 로킹 부품(70)이 화살표(a) 방향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이며, 로킹 부품(70)의 로킹편(71)의 선단은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로킹부(48)의 앞에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레버(40)는 로킹되어 슬라이드 불가하게 되고, 즉 CPA가 달성된다.
또한, 레버(40)의 로킹 해제는 로킹 부품(70)을 화살표(a) 방향과 역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상,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 1의 구성,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대전류용의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가 접속한 뒤에, HVIL용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접속하고, HVIL 회로가 닫힘으로써,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 사이에 대전류를 흘려보내는 회로 장치가 커넥터 장치의 외부에 갖추어진다.
상기한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레버(40)는 회전과 슬라이드의 동작을 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하고, 계속되는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레버(40)의 회전이 저지되고, 즉 끼워맞춤이 로킹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예에서는 이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레버(40)의 슬라이드에 있어서, 레버(40)에 설치한 홈부(45, 46)에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가 서로 밀착한 상태로 끼워지도록 수용되고, 이것에 의해 커넥터(100)의 하우징(30)과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이 레버(40)에 의해 견고하게 협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와의 상대적인 움직임(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덜거덕거림에 의해 하우징끼리 스쳐서 깎이거나, 혹은 단자끼리 스쳐서 깎여, 도금이 벗겨지거나 하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진동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진동 환경하에서 사용해도 품질이나 접속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 커넥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6, 37),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 및 레버(40)의 홈부(45, 46)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레버(40)의 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각각 플랜지부(36, 37) 및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의 돌출 방향으로서의 하우징(30) 및 상대측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홈부(45, 46)에 의한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의 협지가 보다 확실하게 되어, 예를 들면, 레버(40)가 폭 방향(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협지가 되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a는 상기한 단면 형상을 홈부(45)에 플랜지부(36)와 상대측 플랜지부(115)가 협지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 예시한 것이다.
또한, 홈부(45, 46)에 의한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의 협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형상으로서는 도 19a에 예시한 단면 형상에 한하지 않고, 도 19b, 19c에 예시한 것과 같은 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9b는 플랜지부(36)와 상대측 플랜지부(115)의 돌출 방향 선단의 서로의 외측면에 돌출조(36a 및 115a)를 형성하고, 홈부(45)의 개구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돌출조(45a)를 형성한 것이다. 또, 도 19c는 도 19a에 도시한 홈부(45)와 도 19b에 도시한 플랜지부(36) 및 상대측 플랜지부(115)를 조합시킨 것이다. 돌출조(36a, 115a, 45a)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도 19b, 19c에 도시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사각형이나 사다리꼴 혹은 삼각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레버(40)에 4개의 홈부(45, 46)를 설치하고, 커넥터(100)의 하우징(30)과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을,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 주위의 사방에서 협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홈부의 수, 즉 하우징(30) 및 상대측 하우징(110)에 설치하는 플랜지부 및 상대측 플랜지부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도 20a, 20b, 21a, 21b, 21c는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400) 및 상대측 커넥터(500)의 각 부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커넥터(400)의 레버(40)는 실시예 1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즉 케이블(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커넥터(400)의 인터록 단자(60)는 이 예에서는 하우징(30)에 부착된 인터록 하우징(90)에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은 끼워맞춤부(31)와 케이블 수용부(32)와, 끼워맞춤부(3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착부(39)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부(31)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축(35)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끼워맞춤부(31)의 전측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6)가 형성되고, 끼워맞춤부(31)의 후측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39)는 인터록 하우징(90)이 부착되는 부분이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한 대략 통형상을 이룬다. 부착부(39)에는 그 상하 방향의 중간에, 부착부(39)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뻗는 한 쌍의 슬릿(39a)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레버(40)는 도 22a, 22b, 22c, 22d, 2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41)와, 한 쌍의 아암부(41)의 기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를 사이에 끼고 아암부(4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조작부(49)를 갖추고 있다. 조작부(49)는 연결부(42)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보강벽(49a)이 조작부(49)의 폭 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연결부(42)와 조작부(49)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부(41)에는 가이드 홈(43)과 캠 홈(4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쪽 아암부(41)의 선단측의 내면에는 홈부(46)가 각각 형성되고, 기단측의 내면에도 홈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45)는 이 예에서는 아암부(41)의 외면에 개구하는 슬릿 형상을 이룬다.
연결부(42)에는 하반부측에 개구(42a)가 형성되고, 이 개구(42a)와 연통하는 개구(49b)가 조작부(49)에도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9)의 개구(49b)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벽부(49c)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벽부(49c)의 서로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삽입부(49d)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삽입부(49d)는 아암부(41)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돌출조로 되고, 그 신장 방향 중간에는 절결부(49e)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록 하우징(90)은 통형상부(91)와, 통형상부(91)의 상단에 위치하여 통형상부(91)를 덮는 형상의 조작부(92)를 갖추고 있다. 인터록 하우징(90)의 상세 구성 및 하우징(30)의 부착부(39)에의 부착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레버(4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우징(30)에 부착되고, 하우징(30)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도 20a, 20b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5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며, 도 21a, 21b,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은 판부(111)와, 판부(111) 위에 위치하는 피끼워맞춤부(112)를 갖추고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둘레벽(112a)에는 한 쌍의 종동 보스(1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한 쌍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이 예에서는 둘레벽(112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상대측 주단자(120)는 피끼워맞춤부(112)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피끼워맞춤부(112)의 전방, 즉 둘레벽(112a)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114)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판부(111) 위에는 부착부(11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9)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통형상을 이루고,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이 부착부(119)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40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끼워맞춤 과정은 상태 A∼D의 4 상태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도 23은 커넥터(400)가 상대측 커넥터(500)에 끼워맞추어지기 전(상태 A의 직전)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 24는 끼워맞춤이 완료된 상태 D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또, 도 25a, 25b, 26a, 26b는 상태 B, C에 있어서의 주요부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도 27a, 27b, 28a, 28b는 상태 A∼D에 있어서의 인터록 하우징(9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태 A: 도 27a>
상태 A는 레버(40)가 제1 위치에 있는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의 끼워맞춤부(31)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피끼워맞춤부(112)에 끼워맞춤되고, 커넥터(400)가 상대측 커넥터(5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상대측 커넥터(500)의 한 쌍의 종동 보스(113)는 커넥터(400)의 레버(40)의 캠 홈(44)에 각각 들어간 상태이다. 상태 A에서는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는 아직 접속하고 있지 않다.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의 부착부(39)에,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90)은 통형상부(91)에 베어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링편(93)의 선단(하단)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93a)가 자연 위치에 위치하여 도 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39)의 슬릿(39a)에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90)은 그 조작부(92)를 눌러도 돌출부(93a)가 슬릿(39a)의 하측의 내면이 이루는 부딪침면(39b)에 부딪침으로써 밀어 내릴 수는 없고, 즉 커넥터(400)의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가 서로 접속하는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있다.
<상태 B: 도 25a, 25b, 27b>
상태 B는 레버(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이며, 커넥터(400)는 캠 기구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500)에 대하여,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지고, 커넥터(400)의 주단자(50)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주단자(120)가 레버(40)가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접속한다.
인터록 하우징(90)은 상태 A와 마찬가지로, 개방 위치에 있고, 상대측 커넥터(500)에 커넥터(400)가 근접하지만 도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아직 접속되지 않고, 서로 해리하고 있다.
커넥터(400)의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이 상태에서는 대응하는 것끼리 서로 밀착한다. 도 25b는 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태 C: 도 26a, 26b, 28a>
상태 C는 레버(40)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며, 레버(40)의 한 쌍의 슬라이드 삽입부(49d)는 하우징(30)의 부착부(39)의 슬릿(39a)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인터록 하우징(90)의 한 쌍의 스프링편(93)의 돌출부(93a)는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삽입부(49d)의 선단의 가압부(49f)(도 22a, 22b, 22c, 22d, 22e 참조)에 의해 가압되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30)의 부착부(39)에, 인터록 하우징(90)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인터록 하우징(90)은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레버(40)의 슬라이드에 의해 커넥터(400)의 하우징(30)의 플랜지부(36, 37)와 상대측 커넥터(500)의 상대측 하우징(110)의 상대측 플랜지부(115, 116)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레버(40)의 홈부(45, 46)에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고, 레버(40)에 의해 협지된다.
<상태 D: 도 24, 28b>
상태 D는 상태 C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인터록 하우징(90)이 그 조작부(92)가 눌려져 밀어 넣어지고, 폐성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위치한 상태이며, 인터록 단자(60)와 상대측 인터록 단자(130)는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이 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인터록 하우징(90)이 밀어 내려져 폐성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인터록 하우징(90)의 통형상부(91)에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레버 슬라이드 저지부가 레버(40)의 슬라이드 삽입부(49d)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49e)에 들어감으로써, 레버(40)는 제3 위치에 고정되어, 제2 위치로의 슬라이드 복귀가 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시예 2의 커넥터 장치에서도 전술한 실시예 1의 커넥터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2에서는 HVIL의 접속, 해리는 레버(40)와는 별도로 설치한 인터록 하우징(90)의 밀어내림, 끌어올림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HVIL의 접속은 레버(40)를 회전 조작하여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를 접속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인터록 하우징(90)을 더 밀어내림으로써 행해지고, 또 주단자(50)와 상대측 주단자(120)의 해리는 인터록 하우징(90)을 끌어올려 HVIL을 해리한 후, 레버(40)를 슬라이드 조작하고, 또한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대전류용의 주단자의 접속, 해리와 HVIL의 접속, 해리와의 사이에 충분한 시간 간격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따라서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이탈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11 커넥터 하우징 11a 단자 후드부
1lb 가이드 핀 12 레버
12a 아암 플레이트부 12b 아암 플레이트부
12c 조작부 12d 커넥터부
13 단자 14 가이드 홈
15 캠 홈 16 끼워맞춤 검지용 수단자
21 커넥터 하우징 21a 캠 핀
21b 장착 스페이스 21c 단자 후드 수용부
21d 커넥터부 22 단자
23 끼워맞춤 검지용 암단자 30 하우징
31 끼워맞춤부 32 케이블 수용부
33 수용부 34 수용부
35 가이드축 36 플랜지부
37 플랜지부 36a 돌출조
38 홈 38a 돌기
39 부착부 39a 슬릿
39b 부딪침면 40 레버
41 아암부 42 연결부
42a 개구 43 가이드 홈
44 캠 홈 45 홈부
46 홈부 45a 돌출조
47 부착부 48 로킹부
49 조작부 49a 보강벽
49b 개구 49c 벽부
49d 슬라이드 삽입부 49e 절결부
49f 가압부 50 주단자
60 인터록 단자 70 로킹 부품
71 로킹편 80 케이블 커버
90 인터록 하우징 91 통형상부
92 조작부 93 스프링편
93a 돌출부 100 커넥터
110 상대측 하우징 111 판부
112 피끼워맞춤부 112a 둘레벽
113 종동 보스 114 절결부
115 상대측 플랜지부 116 상대측 플랜지부
115a 돌출조 117 직립부
118 직립부 119 부착부
120 상대측 주단자 130 상대측 인터록 단자
200 상대측 커넥터 300 케이블
400 커넥터 500 상대측 커넥터

Claims (7)

  1. 하우징과 레버와 주단자를 갖추는 커넥터와, 상대측 하우징과 상대측 주단자를 갖추는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방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방에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축이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레버가 취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캠 기구를 이루는 캠 홈과 종동 보스의 일방이 상기 레버에 형성되고, 타방이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보다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근접한 끼워맞춤 위치로 끌어 당겨짐과 아울러, 상기 레버가 적어도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되돌려져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하우징은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상대측 하우징은 상대측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홈부를 가지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상대측 플랜지부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레버에 협지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레버를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레버에 의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상대측 플랜지부의 협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각 선단측 및 각 기단측에 각각 위치하여 4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는 4개의 상기 홈부에 각각 수용되는 4개의 상기 플랜지부와 4개의 상기 상대측 플랜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상기 상대측 플랜지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슬라이드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각각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상대측 플랜지부의 돌출 방향으로서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상대측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와 상기 끼워맞춤 위치 사이의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중간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중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나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날 때에는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중간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나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날 때에는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와 상기 끼워맞춤 위치 사이의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중간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가 접속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중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나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끼워맞춤 위치를 벗어날 때에는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중간 위치에 있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상기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나 상기 끼워맞춤 준비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주단자 접촉 개시 위치를 벗어날 때에는 상기 주단자와 상기 상대측 주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터록 하우징과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인터록 단자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선단에 갖춘 스프링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가압되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자연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부딪침면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해리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연 위치에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버의 가압부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터록 하우징과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인터록 단자를 갖추고,
    상기 인터록 단자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선단에 갖춘 스프링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가압되면 자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취하는 개방 위치와 폐성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인터록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자연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부딪침면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저지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폐성 위치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해리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인터록 하우징이 상기 폐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터록 단자와 상기 상대측 인터록 단자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연 위치에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끼워맞춤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버의 가압부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220098572A 2021-08-30 2022-08-08 커넥터 장치 KR20230032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9913A JP2023033933A (ja) 2021-08-30 2021-08-30 コネクタ装置
JPJP-P-2021-139913 2021-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899A true KR20230032899A (ko) 2023-03-07

Family

ID=8305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572A KR20230032899A (ko) 2021-08-30 2022-08-08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62271A1 (ko)
EP (1) EP4142068B1 (ko)
JP (1) JP2023033933A (ko)
KR (1) KR20230032899A (ko)
CN (1) CN1157330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08396S (ja) * 2021-07-28 2022-02-25 コネクタ
JP1730747S (ja) * 2022-05-20 2022-11-28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382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8271B4 (de) * 2012-09-17 2016-09-2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mit verschiebbarer Kurzschlussbrücke
JP6673017B2 (ja) * 2016-05-30 2020-03-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29821B2 (ja) * 2018-06-26 2021-09-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382A (ja)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2271A1 (en) 2023-03-02
EP4142068B1 (en) 2024-03-13
CN115733010A (zh) 2023-03-03
EP4142068A1 (en) 2023-03-01
JP2023033933A (ja)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2899A (ko) 커넥터 장치
CN110311247B (zh) 连接器
US4993967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ouble locking mechanism
EP0626737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91089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110690625B (zh) 连接器装置
US20110171843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n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unmating the same
EP4106113B1 (en) Connector device
EP4164071B1 (en) Connector device
JP6539634B2 (ja) コネクタ
US10910764B2 (en) Coupling connector comprising a slider part
JP2003031303A (ja) 防水式低挿入力コネクタ
US6527578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14696166A (zh) 连接器组件
JP3595195B2 (ja) コネクタ支持機構
US6948953B2 (en) Connector connecting construction and a connector connecting method
JP3478995B2 (ja) コネクタ支持機構
JP2004095439A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US6572401B2 (en) Connector locking member with disengagement feature
JP2020155222A (ja) コネクタ
CN112688105B (zh) 连接器
WO2023157894A1 (ja) コネクタ
EP4071939A1 (en) Connector
JP7388974B2 (ja) コネクタ
CN117941185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