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753A -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 - Google Patents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753A
KR20140142753A KR1020147033167A KR20147033167A KR20140142753A KR 20140142753 A KR20140142753 A KR 20140142753A KR 1020147033167 A KR1020147033167 A KR 1020147033167A KR 20147033167 A KR20147033167 A KR 20147033167A KR 20140142753 A KR20140142753 A KR 20140142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oundation
box
concret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95B1 (ko
Inventor
미햐엘 아벨레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4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4Foundations for machines, engines or ordn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2) 내에 산업용 기계(100)를 강제 결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기초 앵커(1)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초 앵커(1)는 하나 이상의 측벽(11)을 가진 앵커 박스(10) 및 앵커 박스(10)에 부착된 복수의 앵커 로드(20)를 포함하며, 앵커 박스(10)는 체결 볼트(110)를 이용하여 산업용 기계(1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섹션(30)을 포함하며, 앵커 로드(20)와 하나 이상의 측벽(11)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벽(11)으로부터 복수의 앵커 로드(20)로의 힘 도입이 앵커 로드(20)의 종방향 연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FOUNDATION ANCHOR FOR INDUSTRIAL-SCALE MACHINE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는 앵커 박스 및 앵커 박스에 부착된 복수의 앵커 로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기초 내에 산업용 기계를 강제 결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기초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앵커 박스는, 체결 볼트를 이용하여 산업용 기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기초 앵커의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기계의 지지 및 체결을 위해 특별히 준비된 콘크리트 기초 내에 산업용 기계를 고정하는 것은,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힘 도입을 담당하는 부품에 대한 높은 기술적 요건을 요구한다. 이렇게, 기초 앵커는 기계의 정상 작동 중에 보장될 수 있는 적절한 힘 전달 및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어야될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도 기계의 고정이 보장되도록, 충분한 체결도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고장 작동 중에 기계 내에서 발생하는 불균형력으로 인해, 정상 작동 하중보다 적어도 두 배 더 큰 사고 유발 하중이 콘크리트 기초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용 기계는 특히 발전소 기술 분야의 기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증기 터빈 발전소 내의 고압 터빈, 중압 터빈 및 저압 터빈에 대한 베어링 하우징의 기초 앵커와 관련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산업 표준 증기 터빈 발전소의 재열 라인의 중간 밸브(intercept valve)와 같은, 예를 들어 개별 기계 부품들도 상응하는 고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산업용 기계는 통상 산업용 기계를 위해 특별히 제공된 고강도 금속 소재의 체결 볼트에 의해 기초 앵커의 체결 섹션 내에서 체결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에 대한 확실한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해당 체결 볼트는 예를 들어 적절한 방식으로, 기초 앵커에 의해 둘러싸인 체결 너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기초 앵커로의 하중 전달은, 발생한 힘이 콘크리트 기초 내로 적절히 도입되도록 수행된다.
출원인 측에 내부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때때로 기초 앵커를 위해, 먼저 기계 측에서 발생하는 힘을 구조용 강으로 제조된 2개의 측면 판로 도입하는 철골 구조가 사용되며, 2개의 측면 판은 각각 용접된 2개의 가로 빔과 연결된다. 각각의 가로 빔이 적절하게 성형된 복수의 앵커 로드와 강성 연결됨으로써, 가로 빔에 작용하는 힘이 앵커 로드로 도입될 수 있다. 앵커 로드 자체가 콘크리트 기초 내에 강제 결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힘이 콘크리트 기초 내로 유도된다.
그러나, 기초 앵커에 작용하는 힘이 힘 편향 없이는 콘크리트 기초 내로 유도될 수 없다는 것은 단점으로 밝혀졌다. 측면 판과 가로 빔이 각을 이루여 연결됨으로 인해, 힘 전달 시 측면 판과 가로 빔의 부착 영역에 상당히 증가할 수 있는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특히, 고장 상태에서 작동될 경우 부착 영역에 작용하는 힘이 결합 강도를 초과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때때로 심각한 결과를 수반하는 원치 않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방지하려는 시도가 특허 공보 AT374531B에 따른 기술 제안에서 있었다. 상기 특허 공보는 콘크리트 기초 내 지지부의 인장 강도가 보장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기계 지지부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 박스를 포함하며, 앵커 박스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결 로드가 용접된다. 콘크리트 기초 내로 연결 로드의 매설 후에 그리고 작동 중에 장치가 응력을 받을 경우, 발생한 힘이 앵커 박스로부터 연결 로드를 통해 종방향 연장 축을 따라 콘크리트 기초 내로 유도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의 단점은 장치가 콘크리트 기초 내로 매설되기 전에 완전 사전 제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결 로드의 길이 및 무게로 인해 매우 높은 처리 비용 및 운송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앵커 박스로부터 연결 로드로의 바람직한 힘 전달을 위해, 앵커 박스와 연결 로드의 정확한 정렬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겁고 길다란 2개의 부품을 서로 용접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상당한 수고를 요한다. 또한, 전달될 큰 힘은 앵커 박스와 연결 로드의 세심한 용접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용접은 콘크리트 기초 내에 장치의 설치 시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통상 공장에서 주의를 기울여 사전 제조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기초 앵커를 제안하는 것이 기술 요건으로서 제시된다. 특히, 제안된 기초 앵커는 제조 정확성, 취급 용이성 및 운송 용이성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한다. 동시에, 기초 앵커는, 증가된 굽힘 응력으로 인한 결함을 염려할 필요없이, 산업용 기계의 사고 유발 하중과 같은 작동 하중을 적절한 방식으로 콘크리트 기초로 전달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또한, 기초 앵커는 특히 2차 응력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가능한 한 바람직한 힘 전달을 달성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중량 대 힘 비(power-to-weight ratio)를 가진 기초 앵커를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시 말해 사고 안전적으로 수용 가능한 하중과 기초 앵커의 전체 중량의 비가 양호해야 한다. 추가로, 기초 앵커는 콘크리트 기초에 산업용 기계의 조립 시 공차 보상을 가능케 해야 한다. 이러한 공차 보상은 특히 위치 에러뿐만 아니라 각도 에러의 보상을 허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기초 앵커 및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상기 과제는 콘크리트 기초 내에 산업용 기계를 강제 결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기초 앵커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기초 앵커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는 앵커 박스 및 앵커 박스에 부착된 복수의 앵커 로드를 포함하고, 앵커 박스는 체결 볼트를 이용하여 산업용 기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섹션을 포함하며, 앵커 로드와 하나 이상의 측벽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벽으로부터 복수의 앵커 로드로의 힘 도입이 앵커 로드의 종방향 연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며, 앵커 로드는 앵커 소켓을 통해 하나 이상의 측벽과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기초 앵커가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와, 산업용 기계의 강제 결합식 고정을 위한 상기 유형의 기초 앵커의 접합체에 의해 해결되며, 기초 앵커는, 콘크리트에 의해 앵커 박스는 적어도 대부분 그리고 앵커 로드는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콘크리트 기초 내에 매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 로드는 앵커 소켓을 통해 하나 이상의 측벽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앵커 로드는 앵커 소켓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앵커 로드와 앵커 소켓의 정렬된 연결에 의해, 앵커 로드와 앵커 소켓의 연결 후에 앵커 박스에 대한 앵커 로드의 바람직한 배향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앵커는, 예를 들어 앵커 로드와 앵커 박스가 즉시 연결될 필요 없이, 공간 절약적이며 정밀하게 사전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앵커 박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소켓과 공장에서 사전 조립될 수 있으며, 앵커 로드는 현장에서 설치 시, 즉, 현장에서 콘크리트 기초 내에 매설 시 비로소 앵커 소켓과 연결된다. 이는 한편으로 취급 비용뿐만 아니라 운송 비용도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힘 도입이 실제로 측벽의 평면 내에서, 앵커 로드의 종방향 연장 방향에 상응하게 전달되도록, 기초 앵커의 앵커 로드가 하나 이상의 측벽과 연결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된 힘이 앵커 박스로부터 앵커 로드로 전달될 수 있기 전에는, 힘 전향이 요구되지 않는다. 앵커 로드 내로 도입된 힘은 실제로 압축력 및 인장력으로서 전달되며, 바람직하지 못한 굽힘 응력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가로 빔의 회피로 인해, 구조 공간이 감소하고 기초 앵커의 전체 무게가 감소한다. 이는 다시 중량 대 힘 비가 개선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응하여, 더 작은 구성 공간에 대해 비교적 더 높은 하중이 콘크리트 기초 내로 유도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강제 결합식 선형 힘 도입은 무하중 예비 인장(pretension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크리프 효과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 콘크리트 기초가 그 존속 중에, 통상 부피 팽창의 감소에 따라 동반되는 노화 과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초 앵커가 무하중 상태의 콘크리트 기초에서 예비 인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인장은, 예를 들어, 앵커 로드가 전체 콘크리트 기초를 관통해 연장되고 앵커 박스의 반대편에 놓인 단부에서 무하중 상태에서 예비 인장되고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는, 앵커 박스의 적어도 대부분이 그리고 앵커 로드의 전체가 콘크리트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다. 콘크리트 기초 내로 힘 도입을 위해 궁극적으로 책임이 있는 앵커 로드는 콘크리트 내로의 완전한 매설로 인해, 발생한 하중의 강제 결합식 도입을 가능케 한다. 또한, 앵커 로드가 예비 인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크리프 효과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앵커 박스는 체결 볼트를 이용하여 산업용 기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섹션이 앵커 박스의 수용부 내에 제공된다. 수용부는 앵커 박스 내부에 배열될 수 있고, 적절한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박스에 대한 앵커 로드의 배열은 기초 앵커의 하중 축에 대해 대칭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대칭 배열에 의해, 앵커 로드로 전달되는 부분 하중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칭 배열은 기초 앵커 내의 과응력의 감소를 보장함으로써, 통상 더 적은 결함 가능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개선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측벽을 가지는 앵커 소켓의 용접은, 앵커 소켓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선이 앵커 소켓의 용접 시임을 통해, 앵커 소켓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횡단면에서 앵커 소켓의 중심점을 통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로써,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비대칭적인 힘 도입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국부적인 편심으로부터의 다른 추가 응력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국부적인 편심으로 인해, 매우 강한 하중 도입 시 기초 앵커의 결함 가능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측벽이 앵커 로드의 수용을 위한 또는 앵커 소켓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에 의해, 앵커 로드 내로의 힘 도입 평면이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앵커 로드의 종방향 연장 축이 하나 이상의 측벽의 평면과 일치되도록, 예를 들어 앵커 로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벽으로부터 앵커 로드 내로의 특히 적절한 힘 전달이 가능하다. 특히, 적절히 치수화된 리세스가 제공됨으로써 기초 앵커 내에서 굽힘 응력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박스는 헤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측벽과 강성 연결되며 체결 섹션 내로 도입된 힘이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체결 섹션으로 도입된 힘은 발생한 힘을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 적절히 분배하는 헤드 플레이트로 먼저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의 바람직한 힘 전달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개선예에 따르면, 헤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용접 시임을 통해, 특히 원주 방향 이중 용접 시임을 통해, 하나 이상의 측벽과 견고히 연결된다. 이 경우에, 원주 방향 용접 시임은 폐쇄식 용접 시임으로서,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된 폐쇄식 또는 직각으로 형성된 폐쇄식 용접 시임과 관련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헤드 플레이트가 적절하게 형성된 앵커 박스의 개구 내로 삽입되며,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용접 시임을 통해 앵커 박스의 하나 이상의 측벽과 연결된다. 따라서, 헤드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힘은 하나 이상의 측벽의 모든 영역 상으로 적절히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의 바람직한 힘 분배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원주 방향 이중 용접 시임의 형성은 헤드 플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측벽의 특히 견고한 연결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섹션은, 산업용 기계의 체결을 위해 체결 볼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반구형 와셔 및 반구형 너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산업용 기계의 체결 볼트는 통상 반구형 와셔(35)의 자유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반구형 너트의 적절히 치수화된 정합 나사부 내로 나사 결합된다. 체결 볼트를 통해 전달된 힘은 반구형 와셔 그리고 이어서 반구형 너트로 전달된다. 반구형 와셔 측에서 반구형 너트는 반구형 너트가 수용되는 앵커 박스로 힘을 다시 전달한다. 반구형 와셔에 별도의 반구형 너트가 제공됨으로써, 예를 들어 반구형 와셔와 반구형 너트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됨으로써 각도 에러가 바람직하게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개선예에 따르면, 산업용 기계의 체결 볼트를 체결 섹션에 체결 완료함으로써, 반구형 와셔가 반구형 너트와 그리고 반구형 너트가 다시 헤드 플레이트와 가압 접촉된다. 따라서, 힘 전달은 먼저 반구형 너트 상으로, 반구형 너트로부터 반구형 와셔 상으로 그리고 반구형 와셔로부터 다시 헤드 플레이트로 수행된다. 이 경우에, 체결 완료 시에 반구형 와셔는 앵커 박스 내에서 내측으로부터 헤드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헤드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멀리 향하는 인장력을 앵커 박스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가한다.
상기 실시예의 개선예에 따르면, 반구형 너트는 돌출된 중앙 섹션을 포함하며, 이 중앙 섹션은, 반구형 와셔와 반구형 너트가 가압 접촉 시에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어 정렬될 수 있도록, 반구형 와셔의 홈부 내로 결합된다. 따라서, 반구형 와셔에 대한 반구형 너트의 각을 이루는 위치 설정 시에 가압 접촉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압 접촉은 반구형 너트로부터 반구형 와셔로의 힘 전달을 보장한다. 상기 각을 이루는 위치 설정에 의해, 예를 들어 각도 에러가 보상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각도 에러는 예를 들어 체결 섹션 내에서 체결 볼트가 단지 사전 결정된 각도로만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을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산업용 기계 내의 체결 볼트가 갖는 각도 공차가 동시에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와셔 및 반구형 너트는 앵커 박스에 의해 수용되고, 앵커 박스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대해 수직으로 측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데, 특히 적어도 2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mm만큼 변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측벽에 대한 수직 변위를 통해 변위 에러가 보상될 수 있도록, 앵커 박스 내에 수용되는 반구형 와셔 및 반구형 너트는 측면 유격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변위 에러는 20mm, 더욱이 25mm일 수 있다. 따라서, 산업용 기계에서 볼트 배열체가 갖는 제조 공차도 보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플레이트는, 그 직경이 산업용 기계의 체결 볼트의 변위를 가능케 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헤드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 싸이는 개구의 직경은 사전 결정된 변위에 상응하여, 체결 볼트의 직경보다 비교적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박스는, 서로 용접되는, 특히 용접된 필렛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벽, 특히 4개의 측벽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앵커 박스는 평편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고, 이 플레이트는 쉽게 수행될 수 있는 용접 공정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측벽은 구조용 강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저렴하게 그리고 통상의 산업 공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용접된 필렛 용접을 이용하여 복수의 측벽을 용접하는 것은 한편으로 부품들의 특히 견고한 연결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 국부적으로 형성된 편심이 다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로드는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연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 리브(threaded rib)를 포함한다. 나사 리브는 한편으로 앵커 박스에 부착되고 적절한 정합 나사부를 포함하는 앵커 소켓과 앵커 로드의 바람직한 연결을 가능케 한다. 앵커 소켓과 앵커 로드의 연결은 간단한 나사 결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리브는 앵커 로드의 표면 상의 바람직한 돌출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매설 시에 바람직한 앵커 구조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앵커 로드는, 콘크리트가 나사 피치 내로 결합되어 앵커 로드가 강제 결합식으로 콘크리트 기초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다. 나사 피치의 적절한 크기의 선택을 통해 고정 깊이의 정도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로드는 PS 강재(prestressing steel)로 제조된다. PS 강재는 특히 사고 유발 작동 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인장력을 흡수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앵커를 통해 콘크리트 기초 내로 사고 안전적으로 도입되는 힘은 통상의 구조용 강에 비해 명백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로드는 적어도 15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0mm의 길이를 갖는다. 이 길이는, 사고 유발 하중을 콘크리트 기초 내 기초 앵커의 손상의 우려 없이 콘크리트 기초 내로 충분하고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특히, 예를 들어 출력 토크, 축방향 인장력, 열 팽창 하중, 파이프 라인 하중 또는 불균형 하중과 같은 작동 하중이 충분히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터빈의 블레이드 파손 시, 또는 지진 중에 발생하는 것과 같은 사고 유발 하중조차도 사고 안전적으로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로드는 앵커 박스의 반대편 측에서 각각 폐쇄판에 의해 그 단부가 폐쇄된다. 폐쇄판은 앵커 로드와 함께 콘크리트 기초 내에서 콘크리트에 의해 완전히 매설된다.
폐쇄판의 기하학적 확장으로 인해 폐쇄판은 추가의 앵커 저항을 제공하며, 인장력이 클 경우에 기초 앵커는 상기 앵커 저항에 대항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 로드는 폐쇄판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폐쇄 소켓과 다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폐쇄판은, 단부 측에서 앵커 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폐쇄 소켓과 적절히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폐쇄판은 개별 앵커 로드들의 상호 간의 적절한 길이 조정을 허용한다. 이러한 조정은 특히 기초 앵커를 콘크리트 기초 내로 매립할 때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앵커 로드의 적절한 높이 조정 및 길이 조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앵커는 추가로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이 지지 요소는, 지지 요소가 콘크리트 기초 아래에 배열된 바닥판에 대해 기초 앵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앵커 박스의 하나 이상의 측벽과 함께 작용한다. 통상적으로 지지 요소는, 지지를 위해 앵커 박스의 하나 이상의 측벽과 직접 접촉되어 배열되는 로드로서 형성된다. 지지 요소는 특히, 콘크리트 기초의 두께 확장이 앵커 로드의 길이 확장보다 클 경우에, 우선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매설 시에 기초 앵커의 일시적인 지지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앵커 로드가 바닥판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기초 앵커는 콘크리트 기초 내로의 매설 시에 적절한 배향을 위해 바닥판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앵커는 적어도 10kN/k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kN/kg,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15kN/kg의 중량 대 힘 비를 갖는다. 따라서, 기초 앵커의 비교적 적은 무게에서도 큰 하중이 효과적으로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동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 앵커의 무게 감소는 재료 소모와 관련하여 확실한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한다.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본 발명에 따른 접합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앵커는 적어도 2000k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0kN의 힘을 파손 없이 흡수하여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산업용 기계에서 사고 유발 하중이 효과적으로 그리고 사고 안전적으로 콘크리트 기초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산업용 기계의 사고 안전식 작동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박스와 콘크리트 기초 사이의 갭은 저수축 그라우트로 메워진다. 저진동으로 인해, 강제 결합식으로 모든 면이 앵커 박스의 콘크리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써, 편심 하중으로 인한 토크가 적절한 수평 짝힘에 의해 센터링되고, 상기 짝힘은 각각 앵커 박스의 상이한 높이에서 콘크리트에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개선예에 따르면, 전체 기초 앵커가 콘크리트 기초 내에서 적절한 저수축 그라우트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재료는 PAGEL V1-50으로 불린다.
이하, 본 발명이 개별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며, 발명의 본질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참조된다. 또한, 개별 부품들의 치수는 항상 척도에 맞게 도시되는 것은 아니나, 이로 인해 한정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면과 비교하여 90°회전된, 도 1에 도시된 접합체의 측면도의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초 앵커의 다양한 구성 부품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모든 부품이 규정에 따른 연결 후에,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 및 콘크리트 기초로부터의 접합체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의 실시예의 면 A-A를 따른 단면에 상응하는 제1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의 실시예의 면 B-B를 따른 단면에 상응하는 제2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의 실시예의 면 C-C를 따른 단면에 상응하는 제3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의 실시예의 면 D-D를 따른 단면에 상응하는 제4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의 실시예의 면 E-E를 따른 단면에 상응하는 제5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와, 지지부를 갖는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기초 앵커(1)와, 콘크리트 기초(2)의 접합체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기초 앵커(1)는, 8개의 앵커 로드(20)와 함께 대부분 콘크리트 기초(2) 내에 매설되는 앵커 박스(10)를 포함한다. 앵커 박스(10)는, 각각 2개의 가로 빔(50)과 연결된 2개의 측벽(11)을 포함한다. 가로 빔(50)과 측벽(11)의 연결은 각각 부착 영역(55) 내에서 수행된다. 이 경우, 측벽(11)과 가로 빔(50)은 직각 배열을 형성하여 서로 용접된다.
(도시되지 않은) 산업용 기계(100)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체결 볼트(110)를 기초 앵커(1)에 체결하기 위해, 기초 앵커는 측벽(11)에 의해 둘러싸인 체결 섹션(30)을 포함한다.
기초 앵커(1)를 콘크리트 기초(2) 내에 고정하기 위해, 적절한 나사 리브(25)를 포함하는 전체 8개의 앵커 로드(20)가 제공된다. 앵커 로드(20)를 앵커 박스(10)에 체결하기 위해, 앵커 로드(20)는 적절한 앵커 소켓(15) 내로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앵커 소켓(15)이 가로 빔(50)과 견고히 연결됨으로써, 앵커 박스(10) 내로 도입된 힘이 가로 빔(50)으로 전향된 후에 앵커 로드(20) 내로 힘 도입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힘 전향으로 인해, 특히 설치 영역(55)의 영역 내에 과응력이 발생하는데, 이는 강한 하중에서 전체 기초 앵커(1)의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된 배열을 이용하여 상기 약점을 바람직하게 방지하는 것을 추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90°회전된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앵커 박스(10) 내로 도입된 힘이 단지 서로 대향하여 놓인 면에서 양 측에서 콘크리트 기초 내로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단지 2개의 측벽(11)만이 각각 2개의 가로 빔(50)과 연결된다. 그러나, 2개의 다른 측벽(11)은 가로 빔(50)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앵커 박스(10) 내로의 편심적인 힘 도입 시에 콘크리트 기초(2) 내로의 비대칭적인 힘 전달이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1)의 일 실시예의 다양한 부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여기서 앵커 로드(20)는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 앵커(1)는, 각각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앵커 박스(10)에 조립되는 4개의 측벽(11)을 포함한다. 앵커 박스(10)는 단부 측에서 헤드 플레이트(12)에 의해 폐쇄되고 대향 면에서 바닥판(39)에 의해 폐쇄된다. 조립된 측벽(11)과, 헤드 플레이트(12)와, 바닥판(39)에 의해 한정된 공간 섹션 내에는 반구형 와셔(35) 및 반구형 너트(36)가 수용된다. 반구형 와셔(35)뿐만 아니라 반구형 너트(36)도 적절한 개구를 포함하며, 반구형 너트(36) 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산업용 기계의 체결 볼트가 적절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볼트는, 헤드 플레이트(12) 내에 제공된 개구를 관통 안내되어 반구형 너트(36)와 나사 결합된다.
기초 앵커(1)의 도시된 실시예는 육각 외측 단면을 갖는 4개의 앵커 소켓(15)을 포함한다. 앵커 소켓(15)이 측벽(11) 내에 제공된 리세스(14) 내로 적절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에 배열된 시스템의 하중 축을 향한 공간적인 압입(indentation)이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앵커 소켓(15)은 측면에서 용접 시임을 통해 각각 하나의 측벽(11)과 용접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1)는 4개의 폐쇄 소켓(27)을 포함하며, 이 폐쇄 소켓은 단부 측에서, 앵커 박스(10)의 반대편에 놓인 앵커 로드(20) 면에서 앵커 로드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기초 앵커(1)는, 마찬가지로 단부 측에서 앵커 로드(20)를 폐쇄하는 4개의 폐쇄판(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소켓(27)은 각각 하나의 폐쇄판(26)와 용접되며 앵커 박스(10)의 반대편에 놓인 앵커 로드(20)의 단부에서 앵커 로드와 나사 결합된다.
앵커 박스(10)에 의해 둘러싸인 체결 섹션(30)은 반구형 너트(36)를 갖는 반구형 와셔(35)를 포함한다. 반구형 너트(36)는 원추형 또는 부분 구형의 중앙 섹션(37)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반구형 와셔(35) 내의 홈부(38) 내로 결합되며, 2개의 부품은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어 정렬될 수 있다. 반구형 와셔(35)에 대한 반구형 너트(36)의 각을 이루는 위치 설정 시, 중앙 섹션(37)의 표면과 홈부(38)의 표면 사이에는 가압 접촉이 형성되는데, 이는 적절한 강제 결합식 힘 도입을 보장한다. 반구형 너트(36) 내로 체결 볼트의 나사 결합이 완전히 수행되었을 경우, 헤드 플레이트(12)를 향한 반구형 와셔(35)의 면이 헤드 플레이트(12)를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이에 의해 강제 결합식 힘 도입이 보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측벽(11)이 원주 방향 용접 시임을 통해 헤드 플레이트(12)와 연결된다. 특히, 측벽(11)이 2개의 원주 방향 용접 시임들을 통해 헤드 플레이트(12)와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측벽들(11) 각각은 상호 접촉되는 에지 영역의 범위 내에서 서로 용접된다.
도 5는 모든 부품의 규정에 따른 조립이 수행된 후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초 앵커(1)에 의해 둘러싸이는 앵커 로드(20)는 적절한 나사 리브(25)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 리브는 정합 대응 나사부에 의해 앵커 소켓(15) 또는 폐쇄 소켓(27)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은, 앵커 박스(10)와 앵커 로드(20)의 연결을 가능케 하고, 결과적으로 조립 시에 개별 부품들의 필요에 따른 취급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앵커 로드(20)를 사용 현장에서 비로소 앵커 박스(10) 또는 폐쇄 소켓(27)과 나사 결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시점에서 개별 앵커 로드들의 서로에 대한 적절한 길이 조정도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콘크리트 기초(2) 내로 이미 매설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1)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앵커 박스(10)는 거의 완전히 콘크리트 기초(2) 내로 삽입된다. 단지 앵커 박스(10)의 작은 돌출부만이 콘크리트 기초(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돌출부는, 원형 개구를 포함하는 헤드 플레이트(12)의 영역 내에 배열된다. 도시된 도면에 상응하여, 헤드 플레이트 영역의 하부에는 이어서 반구형 와셔(35) 및 반구형 너트(36)가 배열된다. 반구형 너트(36)는 바닥판(39)에 대해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산업용 기계(100)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체결 볼트(10)의 체결을 위해, 체결 볼트(110)가 헤드 플레이트(12)의 개구를 통해 안내되어 반구형 너트(36)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에, 고정 볼트(110)는 마찬가지로 반구형 와셔(35)의 적절한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반구형 와셔(35)의 개구는 그 직경에 있어서 반구형 너트(36)의 나사 직경보다 약간 크다. 각 변위를 보상하기 위해, 반구형 너트(36)는 반구형 와셔(35)에 대해 각을 이루어 정렬하고, 부분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된 중앙 섹션(37)의 표면은 반구형 와셔(35)의 상응하게 적응된 홈부(38)의 표면을 가압한다.
반구형 너트(36) 내의 체결 볼트(110)의 압력 전달식 체결에서 가압력은 반구형 너트(36)로부터 반구형 와셔(35)로, 그리고 이어서 헤드 플레이트(12)로 전달한다. 측벽(11)에 헤드 플레이트(12)가 체결됨으로써, 측벽(11)으로의 힘 전달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힘 전달은 본 도면에서 수직으로 앵커 로드(20) 쪽으로 계속된다.
수평 변위가 보상될 수 있도록, 반구형 너트(36) 및 반구형 와셔(35)가 앵커 박스(10) 내에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동시에, 헤드 플레이트(12)의 개구가 충분히 큰 직경을 포함함으로써, 헤드 플레이트(12)를 관통하는 볼트의 변위가 방해받지 않는다. 헤드 플레이트(12) 내의 개구의 크기는 최대 측 방향 변위를 결정할 수 있다.
앵커 박스(10)에 부착된 앵커 소켓(15)이 본 실시예에 따라 리세스(14) 내에 삽입됨으로써 하중 축(L) 방향으로의 오프셋이 달성된다. 따라서, 앵커 로드(20)의 종방향 연장부와 측벽(11)의 배향이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로드(20)가 측벽(11)의 면에 대해 실제로 평행으로 배열된다. 또한, 측벽(11)의 면에 대한 앵커 로드(20)의 종방향 연장 방향의 단지 작은 오프셋만이 제공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실제로 0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측벽(11)을 통해 전달된 힘이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굽힘 응력의 형성 없이 앵커 소켓(15)으로 그리고 이어서 앵커 로드(20)로 도입될 수 있다. 앵커 로드(20)는 콘크리트 기초(20) 내에 고정을 위해 적절히 형성된 나사 리브(25)를 포함하며, 나사 리브의 나사 피치 내에 콘크리트 기초(2)의 콘크리트가 결합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실시예의 단면 A-A를 따른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단면도는 4개의 측벽(11)에 의해 한정된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원주 방향 용접 시임을 통해 고정된 헤드 플레이트(1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헤드 플레이트(12) 내에 수용된 개구는,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산업용 기계(100)의 체결 볼트(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 차이로 인해, 제조 기술적으로 제한된 공차의 보상을 위해 체결 볼트(110)의 측 방향 변위가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실시예의 단면 B-B를 따른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단면도는 앵커 박스(10)를 도시하며, 반구형 와셔(35)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은, 측벽(11)으로부터 반구형 와셔(35)의 측 방향 이격을 명확히 하고, 이러한 이격은 도시된 면 내에서 측 방향 변위를 허용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단면 C-C에 따른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단면은, 바닥판(39)와 앵커 소켓(15) 사이에 놓인 섹션을 통과한다.
도 10은 단면 D-D를 따른,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단면은, 각각 측벽(11)과 용접되는 앵커 소켓(15)의 수직 방향을 통과한다. 용접은, 측벽(11)의 측면 에지 영역과 외측을 향한 앵커 소켓(15)의 표면을 연결하는 각각 2개의 용접 시임(13)을 통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은, 앵커 소켓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선이 앵커 소켓(15)의 용접 시임을 통해, 앵커 소켓(1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단면에서 앵커 소켓(15)의 중심점을 통해 연장되도록 수행된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실시예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단면은 폐쇄판(26)와 용접되고 앵커 로드(20)의 단부 측에서 나사 결합된 폐쇄 소켓(27)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기초 앵커(1)와 콘크리트 기초(2)의 본 발명에 따른 접합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기초 앵커(1)는 실제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기초 앵커(1)의 실시예와 구조적인 차이는 없다. 그러나, 앵커 로드(20)에 제공된 폐쇄판(26)가 각각 서로에 대해 동일한 레벨에서 배향되도록, 기초 앵커(1)가 콘크리트 기초(2) 내로 삽입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러한 배향은 기초 앵커(1)를 콘크리트 기초(2) 내에 삽입할 때 바람직한 수평 배향을 가능케 한다.
도 13은 콘크리트 기초(2) 내에 매설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앵커(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 요소(45)를 포함하며, 이는 앵커 로드(20)가 기초 두께 보다 짧은 예를 들어 높은 콘크리트 기초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요소(45)는 로드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를 위해 하나 이상의 측벽(11)과 접촉된다. 앵커 박스(10)의 반대편에 놓인 지지 요소(45)의 면에서 지지 요소는 바닥판와 접촉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Claims (15)

  1. 콘크리트 기초(2) 내에 산업용 기계(100)를 강제 결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기초 앵커(1)이며,
    상기 기초 앵커(1)는 하나 이상의 측벽(11)을 가진 앵커 박스(10) 및 앵커 박스(10)에 부착된 복수의 앵커 로드(20)를 포함하며, 앵커 박스(10)는 체결 볼트(110)를 이용하여 산업용 기계(1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섹션(30)을 포함하며,
    앵커 로드(20)와 하나 이상의 측벽(11)의 연결은, 상기 하나 이상의 벽(11)으로부터 복수의 앵커 로드(20)로의 힘 도입이 앵커 로드(20)의 종방향 연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기초 앵커에 있어서,
    앵커 로드(20)는 앵커 소켓(15)을 통해 하나 이상의 측벽(1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1).
  2. 제1항에 있어서, 앵커 박스(10)에서의 앵커 로드들(20)의 배치는 기초 앵커(1)의 하중 축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앵커 소켓(15)은, 앵커 소켓(1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선이 앵커 소켓(15)의 용접 시임을 통과하여, 앵커 소켓(1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한 횡단면에서 앵커 소켓(15)의 중심점을 통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측벽(11)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벽(11)은 앵커 로드(20)의 수용을 위한, 또는 앵커 소켓(15)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5. 제4항에 있어서, 앵커 소켓(15)은, 중앙에 배열된 기초 앵커의 하중 축을 향해 공간적 압입이 달성되도록, 측벽(11)의 리세스(14)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 박스(10)는 헤드 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측벽(11)과 강성 연결되어, 체결 섹션(30)으로 도입된 힘이 하나 이상의 측벽(11)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섹션(30)은, 산업용 기계(100)의 체결을 위해 체결 볼트(11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반구형 와셔(35) 및 반구형 너트(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8. 제7항에 있어서, 반구형 너트(36)는 돌출된 중앙 섹션(37)을 가지며, 상기 중앙 섹션(37)은, 반구형 너트(36)와 반구형 와셔(35)가 가압 접촉 시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어 정렬될 수 있도록, 반구형 와셔(35)의 홈부(38)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구형 와셔(35) 및 반구형 너트(36)는 앵커 박스(10)에 의해 수용되고, 하나 이상의 측벽(11)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측벽을 향해 변위 가능하며, 특히 적어도 20mm만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mm만큼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 로드(20)는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연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 리브(25, threaded ri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 로드들(20)은, 앵커 박스(10)의 반대편 측에 위치한 폐쇄판(26)에 의해 그 단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 앵커(1)는 적어도 10kN/k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kN/kg, 그리고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15kN/kg의 중량 대 힘 비(power-to-weight ratio)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업용 기계(100)의 강제 결합식 고정을 위한 기초 앵커(1)와, 상기 기초 앵커(1)가 매립된 콘크리트 기초(2)의 접합체이며,
    콘크리트 기초(2) 내로의 기초 앵커(1)의 매립은, 콘크리트에 의해 앵커 박스(10)는 적어도 대부분 둘러싸이고 앵커 로드(20)는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수행되는,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초 앵커(1)는 적어도 2000k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0kN의 힘을 사고 안전적으로 흡수하여 콘크리트 기초(2) 내로 도입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앵커 박스(10)와 콘크리트 기초(2) 사이의 접합부는 저수축 그라우트로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앵커와 콘크리트 기초의 접합체.
KR1020147033167A 2012-05-15 2013-04-24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 KR101602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8114 2012-05-15
DE102012208114.3 2012-05-15
PCT/EP2013/058421 WO2013171040A1 (de) 2012-05-15 2013-04-24 Fundamentverankerung für grosstechnische 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53A true KR20140142753A (ko) 2014-12-12
KR101602595B1 KR101602595B1 (ko) 2016-03-10

Family

ID=4832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167A KR101602595B1 (ko) 2012-05-15 2013-04-24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3459B2 (ko)
EP (1) EP2847390B1 (ko)
JP (1) JP6150883B2 (ko)
KR (1) KR101602595B1 (ko)
CN (1) CN104285012B (ko)
ES (1) ES2609453T3 (ko)
PL (1) PL2847390T3 (ko)
WO (1) WO2013171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4934B (en) * 2015-02-06 2017-06-07 J K H Drainage Units Ltd Foundation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438A (zh) * 2015-03-09 2015-06-10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地锚拉杆结构及其加工方法
DE102015004828A1 (de) * 2015-04-14 2016-10-20 Liebherr-Werk Biberach Gmbh Fundamentverankerung für Arbeitsmaschine
WO2016187615A1 (en) * 2015-05-21 2016-11-24 New Generation Steel Foundations, LLC Foundation anchor
CN105114100B (zh) * 2015-06-25 2018-02-09 同济大学 盾构隧道管片的棱角加固构件及其使用方法
CN109305391B (zh) * 2018-08-08 2021-12-21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压紧释放机构及其方法
CN110528380B (zh) * 2019-09-05 2024-04-12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自适应吊杆角度的锚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238A (ja) * 1993-10-19 1995-05-02 Sumitomo Forestry Co Ltd 調整機能付アンカーボ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土台取付構造
JPH08246469A (ja) * 1995-03-10 1996-09-24 Kubota House Corp アンカボルト取付金具
JPH09165754A (ja) * 1995-12-15 1997-06-24 Kawasaki Heavy Ind Ltd 鉄骨柱脚等の固定構造
JP2002188319A (ja) * 2000-10-06 2002-07-05 Meisei Kogyo Kk 住宅用免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8547A (en) * 1973-04-25 1974-10-01 Bruce Lake Co Base connection for utility poles
AT374531B (de) 1981-05-21 1984-05-10 Koss Kurt Vorrichtung zur zugfesten verbindung zweier bauteile
DE3216232C2 (de) * 1982-04-30 1984-12-06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erankerung für einen metallischen Sockel
JPS59185230A (ja) 1983-04-06 1984-10-20 Sumitomo Metal Ind Ltd 大型機械設備等の据付工法
NO153901C (no) * 1983-11-07 1986-06-11 Kristoffer Idland Soeylesko, samt fremgangsmaate ved faststoeping av soeylesko.
JPS60102428A (ja) 1983-11-09 1985-06-06 Nisso Masutaabirudaazu Kk 機械類据付用パツドの作製方法
US4716696A (en) * 1985-05-07 1988-01-05 Joseph Yacoboni Resilient pier and footing arrangement
DE4139387A1 (de) * 1991-11-29 1993-06-03 Asea Brown Boveri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maschinenteils auf einem fundament
SE9302126L (sv) * 1993-06-18 1994-04-11 Dekont Teknik Ab Vid påkörning eftergivlig stolpanordning med stolpfot
DE4335485A1 (de) * 1993-10-18 1995-04-20 Siemens Ag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roßmaschinenteils auf einem zementierten Fundament
US5456051A (en) * 1994-01-03 1995-10-10 Lowtech Corporation, Inc. Compression spacer for bar reinforcement
JP3002107B2 (ja) * 1994-12-19 2000-01-24 勤伍 内藤 柱脚構造及び柱脚工法
US5666774A (en) * 1995-06-30 1997-09-16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Adjustable support system
JP3345798B2 (ja) * 1996-01-26 2002-11-18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保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基礎施工方法
JPH09296628A (ja) * 1996-04-30 1997-11-18 Tokai Kooa Shoji Kk 免震装置
US7124550B1 (en) * 2004-04-14 2006-10-24 Richard Allen Deming Anchoring framework to a masonry wall
JP4351194B2 (ja) * 2005-07-19 2009-10-28 黒沢建設株式会社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構造
DE102009016892A1 (de) 2009-04-08 2010-10-14 Nordex Energy Gmbh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Turmabschnitts mit einem Fundament einer Windenergieanlage
CN201512809U (zh) 2009-11-05 2010-06-23 徐州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螺栓连接箱形预制装配式混凝土塔吊基础
CN201534977U (zh) 2009-11-05 2010-07-28 徐州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螺栓连接环向箱形预制装配式混凝土塔吊基础
DE102010002108A1 (de) 2010-02-18 2011-08-18 Peri GmbH, 89264 Ankersystem einer Betonwandschalung
CN202164620U (zh) 2011-06-02 2012-03-14 赵正义 一种塔机底架梁的定位垂直连接构造
CN202099880U (zh) 2011-06-09 2012-01-04 中广核工程有限公司 地脚螺栓
US8572905B1 (en) * 2011-12-28 2013-11-05 Tab F. Driggers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b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238A (ja) * 1993-10-19 1995-05-02 Sumitomo Forestry Co Ltd 調整機能付アンカーボ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土台取付構造
JPH08246469A (ja) * 1995-03-10 1996-09-24 Kubota House Corp アンカボルト取付金具
JPH09165754A (ja) * 1995-12-15 1997-06-24 Kawasaki Heavy Ind Ltd 鉄骨柱脚等の固定構造
JP2002188319A (ja) * 2000-10-06 2002-07-05 Meisei Kogyo Kk 住宅用免震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4934B (en) * 2015-02-06 2017-06-07 J K H Drainage Units Ltd Foundat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7390A1 (de) 2015-03-18
US9273459B2 (en) 2016-03-01
CN104285012A (zh) 2015-01-14
KR101602595B1 (ko) 2016-03-10
PL2847390T3 (pl) 2017-05-31
CN104285012B (zh) 2016-06-01
ES2609453T3 (es) 2017-04-20
US20150128513A1 (en) 2015-05-14
EP2847390B1 (de) 2016-09-28
JP6150883B2 (ja) 2017-06-21
JP2015516524A (ja) 2015-06-11
WO2013171040A1 (de)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95B1 (ko) 산업용 기계를 위한 기초 앵커
KR101471265B1 (ko)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US6059482A (en) Bolted connector for connecting beams to columns
US6474902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eams to columns
JP5467983B2 (ja) 杭頭接合構造
KR20180132193A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KR20180049816A (ko) 교정바와 교정너트를 이용한 교량 상부 거더의 횡변위를 제어하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교량상부구조
JP6447777B2 (ja) 柱梁接合構造及び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柱
KR101807772B1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JP2008007950A (ja) 埋込金具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JP6860412B2 (ja) 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方法、接合構造及び木造建築物
JP4543997B2 (ja) 母材と連結材の接合構造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JPH0561232U (ja) 鋼製柱の柱脚構造
JP7100433B2 (ja) 鋼製柱および柱梁接合構造
KR101292369B1 (ko)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KR102169796B1 (ko) 밀착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JP7379738B1 (ja) 座屈拘束ブレース、座屈拘束ブレースの取り付け方法、構造物、および構造物の施工方法
JP7496248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JP7340416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20190040393A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JP7417083B2 (ja) 接触部材、接合構造および部材の接合方法
KR101975813B1 (ko) 기둥 형강재 접합 구조
JP5385098B2 (ja) 建築構造用部材
JP2022192021A (ja) 柱梁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