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487A -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487A
KR20140141487A KR20140063750A KR20140063750A KR20140141487A KR 20140141487 A KR20140141487 A KR 20140141487A KR 20140063750 A KR20140063750 A KR 20140063750A KR 20140063750 A KR20140063750 A KR 20140063750A KR 20140141487 A KR20140141487 A KR 2014014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light
source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060B1 (ko
Inventor
고사쿠 아리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64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2358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64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747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64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0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64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90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6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412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4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6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S45/48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with mean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s, e.g. with f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50Waterproof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Abstract

광원 유닛은 제 1 광원 모듈과 제 1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 배치부와, 광원 배치부를 둘러싸도록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광원 배치부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제 1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리플렉터는, 당해 리플렉터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LIGHT SOURCE UNIT AND VEHICLE HEADLAM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이륜 자동차(모터-오토바이) 또는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노면 등의 전방을 조사하기 위해서 헤드라이트 등의 차량용 전조등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 차량용 전조등의 광원으로서는, 할로겐 전구 램프나 HID 램프 등이 이용되고 있었다.
근년,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제품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차량용 전조등에 대해서도, HID 램프를 상회하는 발광 효율 및 장수명이 실현 가능하다고 해서, LED를 광원으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LED를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LED 모듈과, LED 모듈의 구동 제어를 실시하는 구동 회로와,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2개의 LED 모듈을 이용하고, Low 비임(하향 비임) 및 Hi 비임(주행 비임)의 양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전조등도 제안되고 있다.
LED는, 발광에 의해 LED 자신으로부터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서 LED의 온도가 상승해서 광 출력이 저하한다. 또한, LED는, 150℃ 내지 175℃라고 하는 비교적 저온에서 파괴해 버린다. 추가로, 차량용 전조등은, 자동차 용도이기 때문에 사용 주위 온도가 125℃로 고온으로 되고, 또한 허용 온도 상승은 25℃ 내지 50℃로 적다. 이 때문에, 차량용 전조등의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하는 경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2개의 LED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는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대형의 히트 싱크(방열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많고, 차량용 전조등(전조등 ASSY)이 대형화하고, 중량 증가로 되거나 비용 증가로 되거나 하고 있다.
여기서, LED 및 구동 회로를 매우 적합하게 방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차량용 전조등이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 1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갖는 방열 부재(히트 싱크)와, 연장부의 상면에 배치된 Low 비임용의 LED 모듈과, 연장부의 하면에 배치된 Hi 비임용의 LED 모듈과, 이들 2개의 LED 모듈의 광을 전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2개의 LED 모듈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또한 Low 비임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부의 선단부에 전등갓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제 1 및 제 2 LED 유닛과, 제 1 및 제 2 리플렉터와, 제 1 및 제 2 LED 유닛을 지지하는 광원 받침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제 1 LED 유닛은 제 1 클립에 의해서 광원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고, 제 2 LED 유닛은 제 2 클립에 의해서 광원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030371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207528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깊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버려, 히트 싱크의 중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뤄진 것이며,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컷오프 라인이 희미해져 버려,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있는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2개의 LED 모듈이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2개의 LED 모듈을 동시에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서로 발생하는 열이 서로의 발광 상태에 영향을 주어 버려, 광 출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광원 모듈이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구동 회로가 히트 싱크의 전면측(LED 모듈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회로가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용 전조등 내는 밀폐되어 있어 거의 무풍 상태이므로, 구동 회로를 히트 싱크의 전면측에 배치하면(즉, 구동 회로를 내부에 가두어 배치하면), 구동 회로로 발생하는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히트 싱크의 전면측에 구동 회로를 마련하면, 히트 싱크의 깊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버려, 히트 싱크의 중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광원 모듈로부터의 열에 의한 구동 회로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히트 싱크의 깊이 치수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2개의 LED 유닛(광원 모듈)을 따로 따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고정 부재와 각각의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광원 모듈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제 5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의 일 태양은,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 배치부와, 상기 광원 배치부를 둘러싸도록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배치부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당해 리플렉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외기가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다른쪽에 접촉하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다른쪽의 상기 돌기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함몰부가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은, 광원 배치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과,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서 반사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광의 반사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암색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흑색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에는, 불투명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비금속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비금속 재료는 수지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광원 배치부의 전방 단부에 접속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리플렉터로 향해 좌우 방향으로 연설된 한쌍의 사이드부를 갖고, 상기 중앙부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은 상기 사이드부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보다 크다고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중앙부는 당해 중앙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설된 연설부를 구비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측부를 가리는 차광 벽이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상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광원 배치부와의 접속 부분에는, 볼록형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 배치부에는, 상기 레일을 받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레일과 상기 홈이 감합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은 하이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과 로우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이라고 해도 좋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은, 광원 배치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과,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광원 모듈과 상기 제 2 광원 모듈에서 협지되는 부분에는 극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극간은 상기 광원 배치부의 일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제 1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2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제 2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1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2 광원 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진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광원 배치부의 후방측 부분과 상기 제 2 광원 배치부의 후방측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서 반사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 부재의 일부가 상기 극간에 삽입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리플렉터를 향해서 경사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상기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은,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 배치부와, 주면끼리가 대향하도록 하나의 방향에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판형상의 방열 핀을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가 내부에 배치된 회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 핀은 상기 히트 싱크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로 커버는, 인접하는 상기 방열 핀과 상기 회로 커버로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에 적어도 2개의 통기구가 존재하도록, 상기 복수의 방열 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기구는 상기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 존재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상기 2개의 통기구 중 한쪽은 상기 공간 영역의 상부에 존재하고, 상기 2개의 통기구 중 다른쪽은 상기 공간 영역의 하부에 존재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회로 커버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방열 핀에 향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회로 소자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회로 커버는 저부와, 상기 저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저부에 배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 핀의 후방측의 단부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홈에 끼워넣어지고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저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판이며, 인접하는 상기 측판의 이음매에는 극간이 존재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 핀 중 양단에 배치된 방열 핀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는, 상기 공간 영역에 통하는 통기구가 존재한다고 해도 좋다.
상기 제 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은, 광원 배치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을 상기 광원 배치부에 가압하는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광원 모듈을 상기 광원 배치부에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뤄진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전방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협지 부재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가 상기 삽입통과 구멍을 삽입통과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광원 배치부의 후방 단부에 대면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협지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구멍을 거쳐서 전방에 밀어넣어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광원 배치부에 동시에 고정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광원 배치부의 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의 선단 부분은 절첩되어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판 스프링이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각각은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가 탑재되는 기판을 갖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각각의 상기 기판을 협지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의 일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 배치부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가진다고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차량용 전조등의 일 태양은,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의 제 3 광원 유닛과, 상기 제 5 광원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제 3 광원 유닛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의 일 태양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광원 유닛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광원 유닛에 의하면,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광원 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 광원 유닛에 의하면, 2개의 광원 모듈을 구비하는 광원 유닛에 있어서,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 광원 유닛에 의하면, 2개의 광원 모듈이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 광원 유닛에 의하면, 광원 모듈의 열에 의한 구동 회로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히트 싱크의 깊이 치수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 광원 유닛에 의하면, 2개의 광원 모듈을 간단하게 히트 싱크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을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2의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좌측면도이며, 도 2의 (e)는 광원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면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 리플렉터 및 차광 부재를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리플렉터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를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광원 모듈을 직시 불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 주변에 있어서의 자연 대류를 시뮬레이션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비교예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 출사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 출사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의 비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광원부 부근의 열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가압 스프링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을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1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19의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19의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좌측면도이며, 도 19의 (e)는 광원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방향을 변경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 용 광원 및 조명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공정(스텝), 공정의 순서 등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방"은 광원 유닛으로부터 광이 출사하는 방향(광 출사 방향)이며, "후방"은 "전방"과 반대의 방향이다. 또한,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이상 "좌", "우", "상, "하"라는 기재는, 광원 유닛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이며, 전후 방향은 수평 방향 중 광원 유닛의 광축 방향이며, 좌우 방향은 수평 방향 중 연직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 모두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광원 유닛의 전체 구성)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저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은, 예를 들면 헤드라이트 등의 차량용 전조등에 이용되는 광원 유닛으로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과,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 차광 부재(50)를 구비한다. 광원 유닛(1)은 또한 가압 스프링(60), 구동 회로(70)와, 회로 커버(8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은 사각형이며,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각(角) 치수가 예를 들면 85㎜이다. 또한, 도 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1)의 깊이 치수(깊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65㎜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각 구성 부재 및 각 구성 부재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4a, 도 4b 및 도 5를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면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 리플렉터 및 차광 부재를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광원 모듈)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광원 유닛(1)의 광원부를 구성한다. 제 1 광원 모듈(10)은 하향 비임인 Low 비임(로우 비임) 용의 LED 모듈로서, 전방 앞의 노면을 조사시킬 때 발광한다. 한편, 제 2 광원 모듈(20)은 주행 비임인 Hi 비임(하이 비임) 용의 LED 모듈로서, 전방 먼 곳을 조사시킬 때 발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발광 상태는 유저(차량의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고, 유저의 조작에 따른 구동 회로(70)로부터의 신호(전력)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 중 어느 한쪽이 발광한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 중 어느 한쪽에서가 아니라,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동시에 발광시키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도 4a, 도 4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히트 싱크(40)의 광원 배치부(41)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광원 배치부(41)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원 모듈(10)은 발광면을 상방을 향한 상태로 히트 싱크(40)의 광원 배치부(4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광원 모듈(20)은 발광면을 하방을 향한 상태로 광원 배치부(4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열전도재를 거쳐서 광원 배치부(41)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히트 싱크(40)(광원 배치부(41))에 전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원 모듈(10)이 제 2 광원 모듈(2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유닛(1)의 깊이 방향의 길이(전후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Low 비임과 Hi 비임은 목적의 배광 패턴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은 리플렉터(30)의 반사면에 대한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과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면, 광원 유닛(1)의 전후 길이가 길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하고 있다. 이 결과, 광원 유닛(1)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과의 편차량(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다른쪽의 기판의 선단까지의 거리)은 예를 들면, 5.0㎜ 내지 20.0㎜이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 괜찮다. 이 경우에서도, 광원 유닛(1)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어긋나도 괜찮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의 사시도이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제 1 광원 모듈(10)의 구성에만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은 LED를 이용한 LED 유닛(LED 패키지)이며, 기판(11)과, 기판(11)의 위에 배치된 발광 장치(발광부)(12)를 구비한다.
기판(11)은 발광 장치(12)의 열을 히트 싱크(40)에 전도시키기 위한 금속제의 전열판(히트 스프레더)과, 당해 전열판의 위에 배치된 배선 기판을 구비한다. 배선 기판은 수지 등으로 이뤄지는 절연성 기재와, 절연성 기재의 위에 소정 형상으로 패턴 형성된 금속 배선 및 전극 패드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절연성 기재의 표면에는, 전극 패드를 노출하도록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 반사성의 백색 레지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패드(11a)는 2개 설치되어 있고, 각 전극 패드(11a)는 금속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본딩 와이어(11b)를 거쳐서 발광 장치(12)의 LED 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 패드(11a)는 발광 장치(12)를 발광시키기 위한 직류 전력을 받는 접속 단자이며, 구동 회로(70)로부터 도출된 리드선과 접속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전극 패드(11a) 중 한쪽에는, 고압측(플러스측)의 리드선이 접속되고, 다른쪽에는 저압측(마이너스측)의 리드선이 접속된다.
발광 장치(12)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부이며, 기판(11)에 탑재된다. 발광 장치(12)는, 예를 들면 실장 기판 위에 LED 칩(베어 칩)이 직접 실장된 COB(Chip On Board) 구조의 LED 모듈이며, 실장 기판(12a)과, 실장 기판(12a) 상에 실장된 LED(12b)와, LED(12b)를 밀봉하는 밀봉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실장 기판(12a)은 기판(11) 상에 배치되는 서브 마운트로서, LED(12b)를 실장하기 위한 기판이다. 실장 기판(12a)은,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이나 질화 알루미늄 등으로 이뤄지는 세라믹스 기판, 수지 피막된 금속으로 이뤄지는 메탈 베이스 기판, 또는 수지로 이뤄지는 수지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장 기판(12a)에는, 복수의 LED(12b)가 실장되어 있다. 각 LED(12b)는 단색의 가시 광선을 발하는 베어 칩이며, 다이아터치재(다이본드재)에 의해서 실장 기판(12a) 상에 다이본딩되어 있다. LED(12b)(베어 칩)로서는, 예를 들면 통전되면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 LED 칩을 이용할 수 있다. 청색 LED 칩은, 예를 들면 사파이어 기판 위에, n형 질화 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층, 인듐을 함유하는 질화 갈륨계 화합물 반도체로 이뤄지는 발광층 및 p형 질화 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층을 순서로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 중심 파장이 400㎚ 내지 480㎚의 질화 갈륨계의 반도체 발광 소자이다. LED 칩의 칩 사이즈는, 예를 들면 약 1㎜ 사각으로 두께가 약 100㎛이지만, 칩 사이즈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봉재는 실장 기판(12a) 상의 복수의 LED(12b)(예를 들면, 모든 LED(12b))를 일괄 밀봉하도록 실장 기판(12a) 상에 형성된다. 또한, 밀봉재는 개개의 LED(12b)를 밀봉하도록 형성해도 괜찮다.
밀봉재는 주로 투광성 재료로 이뤄지지만, LED(12b)의 광의 파장을 소정의 파장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파장 변환재가 투광성 재료에 혼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밀봉재는 파장 변환재로서 형광체를 포함하고, LED(12b)가 발하는 광의 파장(색)을 변환하는 파장 변환 부재이다.
밀봉재를 구성하는 투광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하이브리드 수지 또는 우레아 수지 등을 이용해도 괜찮다.
밀봉재에 함유시키는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LED(12b)가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 LED 칩인 경우, 백색광을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YAG(Yttrium Aluminum Garnet)계의 황색 형광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LED(12b)가 발한 청색광의 일부는 밀봉재에 포함되는 황색 형광체에 의해서 황색광으로 파장 변환된다. 그리고, 황색 형광체에 흡수되지 않았던 청색광과 황색 형광체에 의해서 파장 변환된 황색광이 섞이고, 밀봉재에서는 백색광이 출사한다. 또한, 밀봉재에는, 실리카 입자 등의 광 확산재를 분산시켜도 괜찮다. 황색 형광체로서는, YAG 형광체에 한정하지 않고, 규산염계의 형광체, 질화물 형광체, 산질화물 형광체, 사이알론 형광체 또는 황화물 형광체 등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파장 변환 부재는 밀봉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또한 밀봉재의 외측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리플렉터)
리플렉터(3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이다. 리플렉터(30)의 전면(반사면)의 형상은,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로부터 방사하는 광을 반사시켜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광원 모듈(10)의 광을 반사하는 제 1 반사부(상측 부분)(31)와, 제 2 광원 모듈(20)의 광을 반사하는 제 2 반사부(하측 부분)(32)로서, 반사면 형상을 다르게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로우 비임 및 하이 비임의 각각에 대해 소망한 비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사부(31) 및 제 2 반사부(32)의 각각에 대해서,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으로 반사면 형상을 다르게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광축에 대해서 좌우 비대칭의 비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사부(31)와 제 2 반사부(32)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반사면이 불연속으로 되도록 배치해도 괜찮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반사부(31)와 제 2 반사부(3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제 1 반사부(31)의 반사면과 제 2 반사부(32)의 반사면이 연속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리플렉터(30)는 일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반사부(31)와 제 2 반사부(32)를 일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각각 별개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리플렉터 작성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플렉터(30)는, 예를 들면 내열 수지의 표면을 금속 증착(예를 들면, 알루미늄 증착)에 의해서 경면화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플렉터(30)는 반사면으로 되는 전방측의 면이 함몰된 대략 밥공기 형상(대략 돔 형상)의 반사판(반사경)이다. 환언하면, 리플렉터(30)는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만곡 면 형상이다. 그리고, 리플렉터(30)는 당해 리플렉터(30)의 적어도 일부가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리플렉터(30)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42)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존재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의 대략 중앙부에는, 히트 싱크(40)의 광원 배치부(41)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리플렉터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를 고정할 때,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배치부(41)를 관통 구멍(33)에 삽입통과하고, 리플렉터(30)의 배면과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내면을 접근하고,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를 배치한다.
이 때, 리플렉터(30)는, 당해 리플렉터(30)의 배면과 히트 싱크(40)의 전면(오목부(42)의 내면)이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리플렉터(30)의 배면과 히트 싱크(40)의 전면 사이에는 극간(공극)이 존재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의 배면에는, 히트 싱크(40)에 접촉하는(2)의 돌기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4)는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내면에 형성된 함몰부(42a)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34)를 함몰부(42a)의 저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따라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극간의 거리는 돌기부(34)의 높이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즉, 돌기부(3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밀도로 또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이 히트 싱크(40)(광원 배치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34)에 의해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만이 아니라, 히트 싱크(40)를 기준으로 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리플렉터(3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고정밀도로 또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4)에는 나사 구멍(34a)이 설치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몰부(42a)에 돌기부(34)를 접촉시킨 상태로, 리플렉터 고정용 나사(92)를 히트 싱크(40)의 배면측으로부터 함몰부(42a)의 관통 구멍(42b)에 삽입통과해서 돌기부(34)의 나사 구멍(34a)에 나사끼워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를 고정할 수 있다.
(히트 싱크)
히트 싱크(4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대기 중)에 방열하기 위한 방열 부재이다. 따라서, 히트 싱크(40)는 금속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이용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 싱크(40)는, 예를 들면 Al-Si-Fe(HT-1) 또는 Al-Si-Cu(ADC12) 등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 싱크(40)의 표면에는 알루마이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여기서, 히트 싱크(4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 8a 및 도 8b도 이용해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를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0)는 광원 배치부(41)와, 광원 배치부(41)를 둘러싸도록 개구하는 오목부(42)와, 오목부(42)의 배면측(이면측)에 설치된 방열부(4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광원 배치부(41)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배치하기 위한 부분이며, 히트 싱크(40)의 일부를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41)는 오목부(42)의 전면측(표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42)의 대략 중앙부(가장 오목한 부분)에서 전방으로 향해 연장되도록 연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41)는 오목부(42)의 내부를 넘어 연설되어 있다. 즉, 히트 싱크(40)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는 보여지고 있다.
또한, 광원 배치부(41)의 일부는 상하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 배치부(41)는 오목부(42)측의 근원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상하 2개로 나누어져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극간(공극)을 두고서 서로 이간하는 제 1 광원 배치부(41a) 및 제 2 광원 배치부(41b)와, 제 1 광원 배치부(41a) 및 제 2 광원 배치부(41b)를 연결하는 연결부(41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평판 상태의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대략 평판 상태의 제 2 광원 배치부(41b)가 연직 방향에 소정의 극간(공극)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광원 배치부(41a) 및 제 2 광원 배치부(41b)의 각각의 후방측 부분이 연결부(41c)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배치부(41)의 전방측의 면 및 좌우 양측의 면에는,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와의 극간에 의해서 구성되는 홈(41d 및 41e)이 형성된다.
홈(41d)은 광원 배치부(41)의 전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광원 배치부(41)를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광원 배치부(41)의 좌우 양단 테두리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까지 연재되어 있다. 또한, 홈(41e)은 광원 배치부(41)의 좌우 양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광원 배치부(41)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광원 배치부(41)의 전방측단 테두리로부터 연결부(41c)까지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 4a, 도 4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 사이의 극간은 제 1 광원 모듈(10)의 바로 아래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바로 위에 존재하고 있다. 즉,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 사이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41)에는, 극간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에서 협지되는 극간은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존재하고 있고, 당해 극간의 영역은 제 1 광원 모듈(10)(기판)과 제 2 광원 모듈(20)(기판)에서 협지되는 영역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 사이의 극간이 공기의 단열층으로서 기능하므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는(또는 주는) 일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전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보다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서로의 열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동시에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서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현저한 온도 상승을 수반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에서 협지되는 극간의 간격(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에서 협지되는 부분의 극간의 간격)은 0.5㎜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극간이 0.5㎜ 미만인 경우, 충격 등에 의해 극간이 달라붙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당해 극간이 2.0㎜를 넘는 경우, 광원 유닛(1)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당해 극간은 1.0㎜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당해 극간에 차광 부재(50)의 일부 등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배치부(41a)에는, 제 1 광원 모듈(10)을 탑재하기 위한 오목부(41a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1a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광원 배치부(41a)에 2개의 볼록부(41a2)를 마련하고 있다. 볼록부(41a2)는 제 1 광원 모듈(10)의 기판(11)의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볼록부(41a2)에는 기판(11)의 단부가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은 오목부(41a1)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위치가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광원 배치부(41b)에는, 제 2 광원 모듈(20)을 탑재하기 위한 오목부(41b1)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41b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광원 배치부(41b)에 2개의 볼록부(41b2)를 마련하고 있다. 볼록부(41b2)도 스토퍼로서,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이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 2 광원 모듈(20)은 오목부(41b1)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41c)의 후방면에는, 나사 구멍(41c1)이 설치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41c1)에는, 광원 배치부(41)의 후방 부분에 밀어넣어진 가압 스프링(60)의 관통 구멍(63a)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통과시킨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가 나사끼워맞춤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2)는 리플렉터(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42)는, 후방으로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고, 내면 형상이 대략 반구의 외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42)의 내면은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도 4b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2)에는, 리플렉터(30)의 2개의 돌기부(34)에 대응하는 2개의 함몰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함몰부(42a)에는 돌기부(34)가 접촉하는 저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몰부(42a)에는, 히트 싱크(4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2b)이 설치되어 있다.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를 고정할 때, 관통 구멍(42b)에는 오목부(42)의 배면측으로부터 리플렉터 고정용 나사(92)가 삽입통과된다.
또한, 오목부(42)에는, 삽입통과 구멍(42c)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42c)은 가압 스프링(60)을 삽입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2)의 배면측에는 1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2)의 전면측에는, 광원 배치부(41)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각각에 제 1 가압부(61) 및 제 2 가압부(62)의 각각이 삽입통과하도록 2개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통과 구멍(42c)에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구동 회로(7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도 삽입통과된다.
히트 싱크(40)는,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를 고정했을 때에 오목부(42)의 내부에 리플렉터(3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과 비교해서, 광원 유닛의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방열부(43)는, 히트 싱크(40)에 있어서의 주 산열부로서, 히트 싱크(40)에 전도해 온 열을 외부로 산열한다. 또한, 히트 싱크(40)에서는, 방열부(43) 이외의 개소로부터도 산열된다.
도 4a, 도 4b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열부(43)는 방열 핀(43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열 핀(43a)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방열부(43)의 표면적을 벌어서 외기와의 접촉 개소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히트 싱크(40)의 열을 효율 좋게 방열시킬 수 있다.
방열 핀(43a)은 연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판형상의 방열 핀(43a)은 각각이 오목부(42)의 배면으로부터 입설하도록, 또한 좌우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우 양단 이외의 방열 핀(43a)은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오목부(42)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후방측의 단 테두리가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방열 핀(43a)의 폭(높이)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해서, 폭광→폭협→폭광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은 방열부(43)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고, 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설치한 후에도 외면이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노출하고 있다.
좌우 양단 이외의 방열 핀(43a)의 각각에는, 후방측의 단부에 홈(43a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43a1)에는, 회로 커버(80)의 상측 벽부(82a)의 단부가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에 대한 회로 커버(80)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방열 핀(43a)의 하단에는 절결부(43a2)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커버(80)의 하측 벽부(82b)는 이 절결부(43a2)에 걸림고정된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의 각각의 외측의 면에는, 회로 커버(80)의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에 설치된 갈고리부(82c1 및 82d1)의 내면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에 대한 회로 커버(8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의 각각에는, 관통 구멍(43a3)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43a3)에는, 회로 커버(80)의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에 설치된 볼록부(82c2 및 82d2)가 걸리도록 해서 걸림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0)의 4개의 각부의 각각에는, 장착용 구멍(44)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용 구멍(44)은 광원 유닛(1)을 차량용 전조등의 하우징에 설치할 때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장착용 구멍(44)에 배면 또는 전면으로부터 나사를 삽입하고, 나사 고정에 의해서 차량용 전조등의 하우징에 광원 유닛(1)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 유닛(1)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교환 시의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즉, 기존의 LED를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LED 광원(광원 유닛)이 차량용 전조등의 개구부보다 크고 복잡한 설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LED 광원에 불편(비점등, 깜박거림, 감광)이 생겼을 경우, 차량용 전조등마다 교환해야 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전조등에 적절한 개소에 장착용 구멍(44)에 대응하는 구멍이나 개구를 마련해 두는 것에 의해서, 광원 유닛(1)에 불편이 생겼을 경우에, 광원 유닛(1)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장착용 구멍(44)을 이용해서 광원 유닛(1)을 차량용 전조등의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차량용 전조등의 에이밍이나 레벨링 등의 동작 기구 설계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착용 구멍(44)의 구멍 직경은 5.5㎜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장착용 구멍(44)은 히트 싱크(40)의 각부의 4개소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착용 구멍(44)은 적어도 각부의 2개소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 부재)
차광 부재(50)는 리플렉터(30)로 둘러싸이는 오목 형상 공간을 나누는 세퍼레이터(separator)로서,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리플렉터(30)에 의해서 반사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적어도 한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한다.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은 다른 각도로 진행하는 2개의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Hi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과 Low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5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양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한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로부터 출사해서 리플렉터(30)의 제 1 반사부(상측 부분)(31)에서 반사해서 경사 하방으로 향해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차광 부재(50)의 상측 부분에 의해서 차광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Low 비임의 패턴이 형성되고, Low 비임의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광원 모듈(20)로부터 출사해서 리플렉터(30)의 제 2 반사부(하측 부분)(32)에서 반사해서 경사 상방으로 향해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차광 부재(50)의 하측 부분에 의해서 차광되고, 소정의 Hi 비임의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차광 부재(5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로부터 출사하는 광 중 차광 부재(50)에 직접 도달하는 광도 차광한다.
차광 부재(50)는, 광을 적극적으로 흡수시키는 흡광 부재이며, 차광 부재(50)의 표면은 광의 반사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50)의 표면에 있어서의 가시 광선에 대한 반사율은 적어도 리플렉터(30)의 반사율보다 낮아지고 있고, 차광 부재(50)의 표면의 반사율은, 예를 들면 0.1% 내지 10.0%로 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의 표면 거칠기(Ra)는 0.5㎛ 이상으로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의 반사율을 10% 이하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차광 부재(50)의 표면 거칠기(Ra)로서는, 1.0㎛≤Ra≤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매우 적합하게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Ra≤5.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백색광(가시 광선)을 출사하므로, 차광 부재(50)의 표면은 흑색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의 표면에 있어서 백색광을 잘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광 부재(50)에 의한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을 점등시켜서 Low 비임을 출사시켰을 경우, 차광 부재(50)에 도달한 광은 당해 차광 부재(50)에서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글레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명확한 컷오프 라인을 낼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의 표면의 색은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이 발하는 광을 잘 흡수해서 광 반사를 억제하는 색이면, 흑색 이외의 색이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차광 부재(50)의 표면을 차계(茶係)나 회색계 등의 암색이라고 해도 좋고,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발광색이 백색 이외이면, 그 외의 색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차광 부재(50)의 표면에는, 광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저 반사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예를 들면, 불투명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광 부재(50)의 전 표면을 흑색이나 불투명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광 부재(50)에 불투명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광이 차광 부재(50)에 의해서 반사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정밀도 좋게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표면 처리로서는, 불투명 처리로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저 반사 처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부재(50)에 반사 방지 코팅을 실시하거나, 차광 부재(50)에 반사 방지 필름을 마련하거나, 차광 부재(50)에 알루마이트(양극 산화 피막) 등의 화성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 부재(50)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비금속 재료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차광 부재(50)의 재료로서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차광 부재(50)는 고온으로 되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 수지) 등의 내열 수지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광 부재(5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 9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부재(50)는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에 접속된 중앙부(51)와 중앙부(51)의 양측에 설치되며, 또한 리플렉터(30)와 향해 좌우 방향으로 연설된 한쌍의 사이드부(52)를 가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51)는 전방으로 향하는 면이며 또한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평면인 전방면을 갖는 전면부(51a)와, 전면부(51a)에 있어서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연설된 한쌍의 상측 연설부(51b) 및 하측 연설부(51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전면부(51a)의 전방면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폭은 한쌍의 사이드부(52)의 전방면에 있어서의 폭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부(51a)의 높이는 제 1 광원 모듈(10)의 높이보다 높아지고 있다. 즉, 전면부(51a)의 상단 테두리는 제 1 광원 모듈(10)의 가장 높은 개소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또한, 전면부(51a)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 1 광원 모듈(10)의 폭보다 길어지고 있다. 전면부(51a)의 전방면을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광원 모듈(10)은 전면부(51a)에 가려진다.
제 2 광원 모듈(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2 광원 모듈(20)은 전면부(51a)에 가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설부(51b) 및 하측 연설부(51c)는 각각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11)의 전방 단부와 겹치는 위치에까지 연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광원 모듈(20)이 제 1 광원 모듈(10)보다 후방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측 연설부(51c)의 길이는 상측 연설부(51b)의 길이보다 길다.
중앙부(51)를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가 직시되는 영역이 제한되므로, 광원부의 직시에 의한 환혹(幻惑)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광원 모듈을 직시 불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51)의 후방면(전면부(51a)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횡장(橫長)의 볼록부(51d)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1d)는 차광 부재(50)를 히트 싱크(40)에 설치할 때에, 광원 배치부(41)의 홈(41d)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부(52)는 전방으로 향하는 면이며 또한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에 확장되는 평면인 전방면을 갖는 전면부(52a)와, 전면부(52a)에 있어서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연설된 한쌍의 상측 연설부(52b) 및 하측 연설부(52c)와, 상측 연설부(52b) 및 하측 연설부(52c)의 중앙부(51)측 부분을 접속하는 내측 면부(52d)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부(52)에 있어서의 상측 연설부(52b) 및 하측 연설부(52c)는 리플렉터(30)의 반사면에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향해 연설되어 있고, 상측 연설부(52b) 및 하측 연설부(52c)의 리플렉터측의 후방측의 단 테두리 형상은 리플렉터(30)의 반사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플렉터(30)에 있어서의 오목 형상의 공간 영역은 사이드부(52)에 의해서 상하 2개의 공간으로 완전하게 나누어지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부(52)의 각각의 내측 면부(52d)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52e)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2e)는 전후 방향으로 연설된 볼록형상의 레일이며, 차광 부재(50)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41)와의 접속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2e)는, 도 5에 나타내는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에 끼워넣어진다. 예를 들면, 차광 부재(50)를 히트 싱크(40)에 설치할 때, 볼록부(52e)(레일)와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을 감합시키도록 해서, 후방으로 향해 차광 부재(50)를 광원 배치부(41)에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즉, 홈(41e)은 볼록부(레일)(52e)를 받도록 구성된 레일 홈이다.
이 구성에 의해, 차광 부재(50)의 볼록부(52e)를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에 따라서 슬라이드시켜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차광 부재(50)를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별도 고정 부재나 위치 결정 보스 등을 이용하는 일이 없이, 차광 부재(50)와 히트 싱크(40)에 있어서의 고정과 위치 결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를 신속히 조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정밀도 좋은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의 볼록부(52e)를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와의 간격이 제 1 광원 배치부(41a)나 제 2 광원 배치부(41b)의 변형 등에 의해서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리플렉터(3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부(51)의 전면부(51a)는 연직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51)의 전면부(51a)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은 한쌍의 사이드부(52)의 전면부(52a)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51)의 전면부(51a)의 전방면과 한쌍의 사이드부(52)의 전면부(52a)의 전방면은 면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광 부재(5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해서 광원 배치부(41)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면에 중앙부(51)가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광원 배치부(41)의 좌우 측면에 한쌍의 사이드부(52)가 접속되도록 해서 차광 부재(50)가 광원 배치부(41)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는 중앙부(51)의 상측 연설부(51b)와 하측 연설부(51c)의 사이에 위치한다.
(가압 스프링)
도 4a, 도 4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60)은 광원 배치부(41)와 당해 광원 배치부(41)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클립)이다.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광원 배치부(41)를 협지한 상태로 가압 스프링(60)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광원 배치부(41)에 고정된다. 즉, 가압 스프링(60)은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광원 배치부(41)에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이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1개의 고정 부재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스프링(60)은 대략 U자형상(대략 ⊃자형상)의 판 스프링이며, 도 3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제 1 가압부(61)와, 판형상의 제 2 가압부(62)와, 판형상의 연결부(6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가압부(61)와 제 2 가압부(62)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연결부(6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63)는 제 1 가압부(61)의 일단과 제 2 가압부(62)의 일단을 연결한다.
또한, 연결부(63)에는, 광원 배치부(41)의 후방면에 설치된 나사 구멍(41c1)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63a)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63a)에는, 가압 스프링(60)을 히트 싱크(40)(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할 때에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가 삽입통과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식 클립(이음쇠 도구)인 가압 스프링(60)은, 예를 들면 1매의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스프링(60)은 두께 0.8㎜의 SUS304를 이용해 성형되어 있다.
(구동 회로)
구동 회로(드라이버)(7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구동 제어를 실시하는 회로 유닛이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70)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 소정의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점멸 제어하는 점등 회로이다. 구동 회로(70)는,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어느 한쪽을 발광(점등)시키도록, 제 1 광원 모듈(10) 또는 제 2 광원 모듈(20)에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구동 회로(70)는 회로 커버(8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회로(70)는 회로 기판(드라이버 기판)(71)과, 회로 기판(71)에 실장된 복수의 회로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회로 소자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구동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구성된다.
회로 기판(71)은, 예를 들면 한쪽의 주면(땜납면)에 동박 등의 금속 배선이 패터닝된 프린트 기판(PCB 기판)이다. 복수의 회로 소자는 금속 배선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71)은,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71)은 땜납면이 회로 커버(80)의 저부(81)의 저면에 대면하도록 회로 커버(80)의 저부(81)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회로(70)(회로 기판(71))와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복수의 출력 리드선(전력 공급 리드선) 등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한쌍의 출력 리드선과 제 2 광원 모듈(20)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한쌍의 출력 리드선은 구동 회로(70)로부터 도출되어 있고, 또한 삽입통과 구멍(42c)을 삽입통과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구동 회로(70)는 히트 싱크(40)에 직접 설치되어 있지 않고, 히트 싱크(40)에 간접적으로 보지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회로(70)를 수납하는 회로 커버(80)가 히트 싱크(40)의 방열부(43)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 회로(70)는 회로 커버(80)를 거쳐서 히트 싱크(40)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커버)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커버(드라이버 커버)(80)는 구동 회로(70)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로 커버(80)는 회로 케이스로서, 구동 회로(70)를 수납하는 것과 동시에 구동 회로(70)를 보지한다. 회로 커버(80)는, 예를 들면 금속제로 할 수 있지만, 수지제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커버(80)는, 예를 들면 개구부(80a)를 갖는 상자 형상이며, 구동 회로(70)의 회로 기판(71)이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저부(저판)(81)와, 저부(81)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측벽부(8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82)는 저부(81)의 4변에 입설하는 4개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측벽부(82)는 상측 벽부(상측판)(82a), 하측 벽부(하측판)(82b), 우측 벽부(우측판)(82c) 및 좌측 벽부(좌측판)(82d)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벽부(82a)와 하측 벽부(82b)가 대향하고, 우측 벽부(82c)와 좌측 벽부(82d)가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측 벽부(82a), 하측 벽부(82b),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가 인접하는 부분(이음매 부분)은 용접 등이 되지 않고,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상측 벽부(82a), 하측 벽부(82b),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가 인접하는 부분에는 약간의 극간이 존재한다.
또한,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의 각각에는 한쌍의 갈고리부(82c1 및 82d1)가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부(82c1 및 82d1)는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의 일부를 외측에 2번 절곡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부(82c1 및 82d1)는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의 외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커버(80)와 방열 핀(43a)의 좌우 방향의 위치 규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2의 (d) 및 도 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에는, 볼록부(82c2 및 82d2)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82c2 및 82d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에 설치된 관통 구멍(43a3)에 걸림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커버(80)를 방열부(43)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82c2 및 82d2)의 크기는 관통 구멍(43a3)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볼록부(82c2 및 82d2)가 방열 핀(43a)의 내측으로부터 관통 구멍(43a3)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 커버(80)는, 도 1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80a)가 방열 핀(43a)에 향하도록 해서 히트 싱크(40)의 배면을 덮도록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방열 핀(43a)의 홈(43a1)에 상측 벽부(82a)의 단부를 끼워넣는 것과 동시에, 방열 핀(43a)의 노치(43a2)에 하측 벽부(82b)를 걸림고정시킨다. 또한,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의 각각의 관통 구멍(43a3)에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의 각각의 볼록부(82c2 및 82d2)를 끼워넣는다. 이것에 의해, 회로 커버(80)를 방열 핀(43a)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회로(70)를 보지하는 회로 커버(80)를 방열 핀(43a)에 고정하고 있다. 즉, 구동 회로(70) 및 회로 커버(80)가 히트 싱크(40)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허문헌 1과 같이, 히트 싱크의 전면에 구동 회로를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히트 싱크의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히트 싱크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히트 싱크(40)의 전면에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이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구동 회로(70)는 리드선 등의 접속 케이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부(구동 회로(70) 및 회로 커버(80))와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가 별개의 부재는 아니며, 1개의 부재(히트 싱크(40))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에 맞춘 복수 종류의 접속 케이블이 불필요해져서,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커버(80)의 개구부(80a)가 방열 핀(43a)에 향하도록 해서 방열 핀(4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커버(80)의 상측 벽부(82a)의 단부를 방열 핀(43a)의 홈(43a1)에 끼워넣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방열 핀(43a)측에 개구부(80a)를 갖는 회로 커버(80)를 방열 핀(43a)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커버(80)의 위치 규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광원 유닛의 작용 효과의 일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작용 효과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리플렉터(30)의 적어도 일부가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오목부(42)가 설치되지 않은 히트 싱크의 전면측의 위치에 리플렉터(30)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히트 싱크(40)의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사이에 소정의 극간(공극)이 존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의 배면과 오목부(42)의 전면(내면)이 극간을 두고서 이간하고 있다. 또한, 이 극간은 대략 구면끼리에 의해 협지된 영역으로서, 외기가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플렉터(30)의 배면과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내면과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극간이 존재하고 있고, 이 극간이 유통로로 되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통 가능해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의 사이의 극간에는, 자연 대류에 의해서 발생한 공기의 유통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 주변에 있어서의 자연 대류를 시뮬레이션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40)의 전면이 리플렉터(30)로 덮여 있어도,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의 사이에 극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히트 싱크(40)의 전면 부분, 즉 히트 싱크(40)의 광원 모듈측(열원측)의 부분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42)의 내면 형상과 리플렉터(30)의 외면 형상을 거의 동일하게 하고, 히트 싱크(40)와 리플렉터(30)와의 극간의 거리는 거의 일정하게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도 1b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방열 핀(43a)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공간 영역(S)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방열 핀(43a)의 상부에 당해 방열 핀(43a)을 걸치도록 천판(방열판)(43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간 영역(S)의 바로위 부분은 천판(43b)에 의해서 막히는 것으로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인접하는 방열 핀(43a)과 회로 커버(80)로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S)에 적어도 2개의 통기구(개구)가 존재하도록 해서, 회로 커버(80)가 방열 핀(43a)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통기구가 방열 핀(43a)의 늘어선 방향(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연직 방향)에 존재하도록 해서 회로 커버(80)가 방열 핀(43a)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핀(43a)(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설치한 후에는, 복수의 공간 영역(S)의 후방측의 대부분은 회로 커버(80)에 의해서 막히는 것으로 되지만,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설치한 후에 있어서도, 각 공간 영역(S)의 후방측의 상 부분에는 제 1 통기구(제 1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공간 영역(S)의 상부 영역에 대해서는, 바로위 부분은 천판(43b)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지만, 상부 후방 부분은 개구되어 있고, 각 공간 영역(S)에 통하는 통기구가 존재한다.
한편, 도 2의 (c)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열 핀(43a)의 하부에는 방열판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설치한 후에 있어서도, 각 공간 영역(S)의 하부 영역은 개방되어 있고, 제 2 통기구(제 2 개구)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 싱크(40)에 회로 커버(80)를 설치한 후에 있어서도, 방열 핀(43a)끼리의 사이의 공간 영역(S)에는, 상하의 2개소에 통기 가능한 개구(통기구)가 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각 공간 영역(S)에 있어서, 상부 영역에는 제 1 통기구가 존재하고, 하부 영역에는 제 2 통기구가 존재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 영역(S)에서는, 상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 1 통기구와 하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 2 통기구를 통해 아래로부터 위로의 공기의 자연 대류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의 배면이 회로 커버(80)로 덮인 구성에 있어서도, 히트 싱크(40)의 배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히트 싱크(40)에 전도한 열을 외부로 효율 좋게 산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방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 싱크(40)에 있어서의 배면측 및 전면측의 양측의 부분이 자연 대류에 의해서 냉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에 전도한 열을 효과적으로 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차량용 전조등 내는 밀폐되어 있고, 거의 무풍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자연 대류를 발생시켜서 히트 싱크(40)를 냉각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 및 구동 회로(7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열 핀(43a)의 상부에 천판(43b)을 마련하고 있지만, 천판(43b)은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천판(43b)을 마련하지 않는 것에 의해 연직 방향에 스트레이트인 공기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므로, 히트 싱크(40)의 방열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천판(43b)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광원 유닛(1)을 차량용 전조등의 하우징에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방열 핀(43a)의 사이의 극간에 유저의 손가락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방열 핀(43a)의 근방에 구동 회로(70)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광원 유닛(1)의 설치시(교환시 등)에 있어 유저가 구동 회로(70)의 충전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 유닛(1)의 설치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판(43b)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먼지 등의 이물, 또는 물방울이나 기름방울 등의 액체가 드라이버부(구동 회로(70) 및 회로 커버(80)) 내에 들어가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뢰성이 뛰어난 광원 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형상의 복수의 방열 핀(43a)을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았지만, 어느 방향으로 늘어놓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형상의 복수의 방열 핀(43a)을 연직 방향으로 늘어놓아도 괜찮다.
단, 난기는 아래에서 위로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형상의 복수의 방열 핀(43a)을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는 것이, 자연 대류에 의한 매끄러운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회로 커버(80)의 개구부(80a)가 방열 핀(43a)에 향하도록 해서 방열 핀(43a)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열 핀(43a)에 의한 공간 영역(S)과 구동 회로(70)의 주변 영역이 공간적으로 결합되고, 방열 핀(43a)과 회로 커버(80)로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간 영역(S)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의 개구를 통한 자연 대류에 의한 공기가 순환하기 쉬워지고, 히트 싱크(40) 및 구동 회로(70)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땜납면이 회로 커버(80)의 저부(81)의 저면에 대면하도록 해서 회로 기판(71)이 회로 커버(80)의 저부(81)에 고정되어 있다. 즉, 회로 기판(71)은, 땜납면과는 반대측의 면(부품 실장면)이 히트 싱크(40)에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로 커버(80)내에는 회로 소자 전체를 덮기 위한 몰드 수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히트 싱크(40)(방열 핀(43a))와 회로 커버(80)(구동 회로(70)) 사이의 공간 영역에 자연 대류를 일으키기 쉽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당해 공간 영역 내의 공기에 회로 소자를 노출할 수 있고, 공냉에 의해서 회로 소자를 직접 냉각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소자로 발생하는 열을 공간 영역(S)을 통해서 효율 좋게 방열시킬 수 있고, 구동 회로(7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커버(80)를 방열 핀(43a)에 고정한 후에 있어서도, 좌우 양단의 방열 핀(43a)의 각각과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의 각각과의 사이에도 공간 영역(S)에 통하는 통기구(개구)가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당해 통기구(개구)로부터도 공기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영역(S)으로의 자연 대류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측벽부(82)에 있어서의 4개의 측벽부의 이음매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측 벽부(82a), 하측 벽부(82b), 우측 벽부(82c) 및 좌측 벽부(82d)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측벽부의 이음매에는 약간의 극간이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이 극간이 통기구가 되어 당해 극간으로부터도 공기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영역(S)으로의 자연 대류를 한층 더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도 2의 (c)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벽부(82b)에는 개구(통기구)(82b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82b1)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회로(70)를 냉각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 핀(43a)에 의한 공간 영역(S)과 구동 회로(70)의 주변 영역이 공간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당해 공간 영역(S)의 상측 부분을 개구시켜서 자연 대류에 의한 공기의 유통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82b1)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회로(7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광원 유닛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에 대해서, 본 발명에 도달한 경위도 포함해서, 도 12a, 도 12b 및 도 13을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a는 비교예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 출사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 출사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Low 비임의 비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의 (a1)는 비교예의 광원 유닛의 노면 조도 분포, 도 13의 (a2)는 비교예의 광원 유닛의 연직면 조도, 도 13의 (b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노면 조도 분포, 도 13의 (b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의 연직면 조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절단면에만 나타내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고, 깊이측(지면 수직 방향)에 나타내는 부분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12a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관한 광원 유닛(100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있어서, 차광 부재의 표면을 경면으로 한 것이며, 경면 가공된 차광 부재(500)를 가진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의 각 비임 패턴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차량용 전조등)에 광원 유닛을 조립했을 때의 Low 비임의 비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리플렉터의 형상은 대향 차측의 글레어를 방지하기 위해서 우측이 어두워(맞은편 차측의 조도가 작아)지도록, 또한 보행자를 발견하기 쉽게 좌측이 밝아(보도 옆의 조도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a1) 및 (b1)은 노면을 위에서 보았을 때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고, 도 13의 (a2) 및 (b2)는 벽면에 조사했을 때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광원 유닛(1000)에서는, 목적의 패턴에 대해서, 불필요한 광이 발생하고, 대향 차측에 글레어가 생기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13의 (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래 어두워져야 할 개소가 밝아지고 있고, 컷오프 라인이 희미해져 버리는 것도 알았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광원 유닛(1000)에서는,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을 알았다. 특히, 컷오프 라인의 조정을 실시하는 Low 비임에 대해서,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알았다.
이 문제에 대해서, 본 발명자 등이 열심히 검토한 결과,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되고 있던 경면 가공의 차광 부재(500)에 원인이 있는 것을 알았다. 즉, 차광 부재(500)에서 반사한 광이 유효 광속으로 되지 않고 무효 광속(불필요·악영향이 되는 광)이 되어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광원 유닛(1000)에 대해 Low 비임을 출사시킨 경우, 차광 부재(500)에 도달한 광이 반사해 버리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해서 이뤄진 것이며, 차광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광원 모듈의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한 비임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착상을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차광 부재(50)의 표면을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차광 부재(50)의 표면을 백색광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흑색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로부터의 광 중 차광 부재(50)에 도달하는 광에 대해서는, 차광 부재(50)의 표면에서 흡수시켜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대해 Low 비임을 출사시킨 경우, 차광 부재(50)에 도달한 광은 당해 차광 부재(50)에서 흡수되어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도 13의 (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필요한 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대향 차측에 글레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3의 (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래 어두워져야 할 개소가 어두워지고 있고, 명확하게 컷오프 라인을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의하면, 목적의 비임 패턴을 실현하는 것으로 된다. 특히, Low 비임에 대해서, 소망한 비임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광 부재(50)의 표면에는, 불투명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의 표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한층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도 좋게 소망한 비임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광 부재(50)는 중앙부(51)(전면부(51a))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은 사이드부(52)의 전방면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고,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이 중앙부(51)(전면부(51a))에 가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가 직시되는 영역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광원부의 직시에 의한 환혹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부재(50)의 중앙부(51)에는, 후방으로 향해 연설부(상측 연설부(51b) 및 하측 연설부(51c))가 연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를 정면 뿐만 아니라 경사 상방으로부터도 직시되는 영역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광원부의 직시에 의한 환혹을 한층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0)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41)의 측면에는 홈(4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부재(50)에 있어서의 사이드부(52)의 내측 면부(52d)에는, 볼록형상의 레일로서 볼록부(52e)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는 볼록부(52e)와 홈(41e)이 감합하도록 해서 광원 배치부(41)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해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차광 부재(50)의 볼록부(52e)를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에 따라서 슬라이드시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차광 부재(50)를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별도 고정 부재나 위치 결정 보스를 이용하는 일이 없이, 차광 부재(50)와 히트 싱크(40)에 있어서의 고정과 위치 결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를 신속히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정밀도 좋은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의 볼록부(52e)를 광원 배치부(41)의 홈(41e)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와의 간격이 제 1 광원 배치부(41a)나 제 2 광원 배치부(41b)의 변형 등에 의해서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과 리플렉터(3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광원 유닛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 의하면, 히트 싱크(40)의 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에 협지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의 극간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 도 4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 사이에는 극간이 설치되어 있고, 당해 극간은 제 1 광원 모듈(10)의 바로 아래, 또한 제 2 광원 모듈(20)의 바로 위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에서 협지되는 극간은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존재하고 있고, 당해 극간이 존재하는 영역은 제 1 광원 모듈(10)(기판)과 제 2 광원 모듈(20)(기판)에서 협지되는 영역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 사이의 극간이 공기의 단열층으로서 기능하므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는(또는 주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전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보다 근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광원 유닛(1)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서로의 열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동시에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서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현저한 온도 상승을 수반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에서 협지되는 극간의 간격(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에서 협지되는 부분의 극간의 간격)은 0.5㎜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극간이 0.5㎜ 미만의 경우, 충격 등에 의해 극간이 달라붙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당해 극간이 2.0㎜를 넘는 경우, 광원 유닛(1)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당해 극간은 1.0㎜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당해 극간에 차광 부재(50)의 일부 등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에는 홈(41d)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광원 배치부(41a)와 제 2 광원 배치부(41b)는 후방측 부분이 연결부(41c)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전방측 부분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에서 열 축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 1 광원 배치부(41a) 및 제 2 광원 배치부(41b)를 거쳐서 후방측으로 효율 좋게 열을 끌어낼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있어서의 광원부 부근의 열 분포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광원부 부근의 열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만을 발광시켰을 경우의 열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은 히트 싱크(40)의 후방측으로 전도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광원 배치부(41)에 있어서의 열 분포로부터, 제 1 광원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 1 광원 배치부(41a) 및 제 2 광원 배치부(42b)의 양쪽 모두에 전달하고 있지만, 제 2 광원 배치부(42b)측보다 제 1 광원 배치부(41a)의 후방측에 보다 전달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즉, 제 1 광원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제 2 광원 모듈(20)이 열적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광원 유닛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40)는 전면측에 광원 배치부(41)가 설치되어 있고, 배면측에 방열부(43)(방열 핀(4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열 핀(43a)의 후방측에는, 구동 회로(70)가 내부에 배치된 회로 커버(8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서는, 히트 싱크(40)의 전면측에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히트 싱크(40)의 배면측에 구동 회로(70)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회로(70)가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70)를 히트 싱크(40)의 배면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히트 싱크(40)의 깊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히트 싱크(40)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핀(43a)은 복수의 판형상 부재로 되고, 주면끼리가 대향하도록 하나의 방향에 따라서 늘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열 핀(43a)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늘어놓아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방열 핀(43a)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공간 영역(S)이 형성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의하면, 방열 핀(43a) 주변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통을 확보해서 히트 싱크(40)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면서,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열에 의한 구동 회로(70)에의 영향을 억제하고, 또한 히트 싱크(40)의 깊이 치수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광원 유닛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의 작용 효과의 다른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 스프링(60)을 이용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하는 경우,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0)의 오목부(42)의 배면으로부터 가압 스프링(60)을 오목부(42)의 삽입통과 구멍(42c)에 삽입통과시키고,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가압 스프링(60)으로 협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63)를 광원 배치부(41)의 후방 단부에 대면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 1 가압부(61) 및 제 2 가압부(62)의 각각을 2개의 삽입통과 구멍(42c)의 각각 삽입통과시킨다. 그리고, 제 1 가압부(61)를 제 1 광원 모듈(10)의 기판(11)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 2 가압부(62)를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11)의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가압 스프링(60)을 전방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제 1 가압부(61) 및 제 2 가압부(62)의 끼워넣음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 압압력이 부여된다. 예를 들면, 제 1 가압부(61)와 제 2 가압부(62)와의 간격을 제 1 광원 모듈(10)의 기판의 표면과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의 표면과의 간격보다 작게 해 두는 것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가압 스프링(60)으로 끼워넣을 때에 제 1 가압부(61)와 제 2 가압부(62)와의 간격이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가압 스프링(60)에는 스프링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 압압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의 기판(11)은 제 1 가압부(61)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11)은 제 2 가압부(62)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60)을 전방(광원 배치부(41)의 전방 단부측)에 밀어넣었을 때에,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는 가압 스프링(60)의 전방에의 밀어넣음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이 더해지게 되지만, 광원 배치부(41)에 설치된 볼록부(41a2 및 41b2)(도 5 참조)가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전방에의 움직임을 멈추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11)의 표면을 제 1 가압부(61) 및 제 2 가압부(62)가 미끄러지도록 이동하고, 가압 스프링(60)만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가압 스프링(60)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누르도록 해서 광원 배치부(41)에 고정된다. 즉, 가압 스프링(60)을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위치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63)가 광원 배치부(41)의 후방면에 접촉할 때까지 가압 스프링(60)을 밀어넣은 후에는,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고정 부재)(91)를 후방으로부터 관통 구멍(63a)에 삽입통과시키는 것과 동시에,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를 광원 배치부(41)의 후방면에 설치된 나사 구멍(41c1)에 나사끼워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나사 고정에 의해 가압 스프링(60)과 광원 배치부(4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이 제 2 광원 모듈(20)보다 전방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가압부(61)의 길이는 제 2 가압부의 길이보다 길어지고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에 의하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1개의 가압 스프링(60)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동시에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과 제 2 광원 모듈(20)을 다른 고정 부재로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 부재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히트 싱크(40)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삭감 등을 할 수 있고,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60)은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에 의해서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하고 있지만,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즉, 가압 스프링(60)의 탄성력만에 의해서, 가압 스프링(60)을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해도 괜찮다. 단,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91)를 이용해서 가압 스프링(60)을 광원 배치부(4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압 스프링(6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60)의 형상은 도 3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형상의 가압 스프링(60A)을 이용해도 괜찮다. 도 15에 나타내는 가압 스프링(60A)은 제 1 가압부(61) 및 제 2 가압부(62)의 선단 부분이 내측으로 절첩된 절첩부(61a 및 62a)를 가진다. 절첩부(61a 및 62a)는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기판(11)과의 접촉점을 구성하고,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절첩부(61a 및 62a)에서 협지된다.
(광원 유닛의 변형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1A)에 대해서, 도 16a 및 도 16b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A)이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과 다른 점은 히트 싱크에 있어서의 광원 배치부의 구성과 광원 모듈의 배치이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A)에서는, 히트 싱크(40A)의 광원 배치부(41A)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광원 모듈의 탑재면이 경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원 배치부(41Aa)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제 1 광원 모듈(10)의 탑재면(오목부)이 경사하고 있다. 즉, 제 1 광원 배치부(41Aa)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10)의 탑재면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배치부(41a)에 대해서, 리플렉터(3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광원 배치부(41Ab)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제 2 광원 모듈(20)의 탑재면(오목부)이 경사하고 있다. 즉, 제 2 광원 배치부(41Ab)에 있어서의 제 2 광원 모듈(20)의 탑재면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광원 배치부(41b)에 대해서, 리플렉터(3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 기판의 전방 구석이 리플렉터(30)를 향해서 가까워지도록 경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A)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 17a 내지 도 17c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7a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b 및 도 17c는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7a 내지 도 17c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는 제 1 광원 모듈(10)로부터 출사하는 광 중 유효 광속을 나타내고 있고, 파선 화살표는 제 1 광원 모듈(10)로부터 출사하는 광 중 무효 광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등의 형상의 리플렉터를 이용했을 경우,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A)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대해서, 무효 광속을 저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유효 광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A)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에 대해서, 보다 밝게(고성능화) 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의 밝기로 한다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7a 및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등의 유효 광속으로 한다면, 리플렉터의 깊이 방향의 길이(L)를 짧게 해서 리플렉터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광원 유닛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을 경사 기울어져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광원부(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가 직시되기 어려워지므로, 환혹으로 되는 글레어(눈부심)를 경감할 수도 있다.
(광원 유닛의 변형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1B)에 대해서, 도 18a, 도 18b 및 도 19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을 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을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1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19의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19의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좌측면도이며, 도 19의 (e)는 광원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B)이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과 다른 점은 리플렉터(30B) 및 차광 부재(50B)의 구성이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 도 18b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한 광원 유닛(1B)에서는, 리플렉터(30B)의 상측 부분이 차광 부재(50B)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차광 부재(50B)는,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50B)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50)에 대해서, 중앙부(51)의 상측 연설부(51b)와 2개의 사이드부(52)의 상측 연설부(52b)의 횡측 부분을 접속하는 차광 벽(5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51)의 하측 연설부(51c)와 2개의 사이드부(52)의 하측 연설부(52c)의 횡측 부분을 접속하는 개소에도 차광 벽(53b)이 설치되어 있다.
차광 벽(53a)은 제 1 광원 모듈(10)의 발광부의 측부를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광 벽(53b)은 제 2 광원 모듈(20)의 발광부의 측부를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광 벽(53a 및 53b)은 사이드부(52)의 전방측 부분(예를 들면 사이드부(52)의 반분)에 설치되어 있고, 후방측(리플렉터측)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50B)에는, 사이드부(52)의 측부(54)에 천지 식별용의 문자(54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50B)를 광원 배치부(41)에 설치할 때에, 차광 부재(50B)를 상하의 방향을 오인하는 일이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변형예에서는, 리플렉터(30B)의 상측 부분(상단부)이 차광 부재(50B)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방향의 누출되는 광에 의해서 생기는 글레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50B)는 상측 연설부(51b) 및 하측 연설부(51c)만이 아니고 차광 벽(53a 및 53b)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발광부는 상측 연설부(51b) 및 하측 연설부(51c)에 의해서 상하가 덮이는 것만이 아니고, 차광 벽(53a 및 53b)에 의해서 측부도 덮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방향 및 횡방향으로 누출되는 광에 의해서 생기는 글레어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B)의 방향을 바꾸어 광원 유닛(1B)의 차광성(글레어 억제)을 확인했는데, 어느 방향으로부터 봐도, 제 1 광원 모듈(10)은 거의 안보이게 되므로, 글레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21의 (a) 내지 (e)는, 광원 유닛(1B)의 방향(각도)을 약 30°씩 변경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각도 90°의 바로 위 앵글(도 21의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1B) 단체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은 조금 보이는 상태로 되어 있지만, 광원 유닛(1B)을 차량용 전조등 내에 내장했을 경우, 제 1 광원 모듈(10)은 거의 안보이게 되어, 글레어의 영향도 거의 없어진다.
(차량용 전조등)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100)에 대해서 도 2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100)은 이륜 자동차 또는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이용되는 헤드라이트이며,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1)과 광원 유닛(1)이 설치 하우징(110)과 광원 유닛(1)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부재(12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광원 유닛(1)을 수납하는 것과 동시에, 광원 유닛(1)을 보지한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1)의 장착용 구멍(44)에 삽입한 나사를 하우징(110)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사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110)과 광원 유닛(1)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광학 부재(120)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헤드 램프 커버(전면 커버)이며, 광원 유닛(1)으로부터의 광을 투광해 외부로 출사시킨다. 또한, 광학 부재(120)에 광확산 기능이나 렌즈 작용을 갖게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100)의 내부는 밀폐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나 먼지가 침수하지 않게 밀봉 등이 되어 있다. 또한, 그 외에, 차량용 전조등(100) 내에는, 광원 유닛(1)과 광학 부재(120) 사이에 별도 반사경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광원 유닛(1)은 차량용 전조등(100)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유닛(1)에 대신해서, 변형예 1, 2와 관련되는 광원 유닛(1A, 1B)을 이용해도 괜찮다.
(그 외의 변형예 등)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 및 차량용 전조등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근거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위치 결정은 리플렉터(30)에 설치된 돌기부(볼록부)(34)와 히트 싱크(40)에 설치된 함몰부(오목부)(42a)에 의해서 했지만, 반대로 리플렉터(30)에 함몰부(오목부)를 마련하는 것과 동시에 히트 싱크(40)에 돌기부(볼록부)를 마련해서 행해도 괜찮다. 또한, 리플렉터(30)와 히트 싱크(4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리플렉터(30) 및 오목부(42)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 당해 돌기부는 리플렉터(30) 및 오목부(42)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서 돌출시켜서 다른쪽에 접촉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광원부로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의 2개의 광원 모듈을 이용했지만, 어느 한쪽만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광원 모듈(10) 및 제 2 광원 모듈(20)에서는, COB 구조의 LED 모듈을 이용했지만, SMD(Surface Mount Device) 구조의 LED 모듈을 이용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SMD형의 LED 모듈로서 수지제의 용기의 오목부(캐비티) 내에 LED 칩(발광 소자)을 실장해서 당해 오목부내에 밀봉 부재(형광체 함유 수지)를 봉입한 패키지형의 LED 소자(SMD형 LED 소자)를 기판(11) 상에 복수개 실장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청색 LED 칩에 대해서, 황색 형광체를 이용해 백색광을 방사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색성을 높이기 위해서, 황색 형광체에 추가해서, 또한 적색 형광체나 녹색 형광체를 혼합해도 상관없다. 또한, 황색 형광체를 이용하지 않고,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를 함유하는 형광체 함유 수지를 이용하고, 이것과 청색 LED 칩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백색광을 방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LED 칩은 청색 LED 칩을 이용했지만, 청색 이외의 색을 발광하는 LED 칩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자외선 발광의 LED 칩을 이용하는 경우, 형광체로서는, 삼원색(적색, 녹색, 청색)으로 발광하는 각 색 형광체를 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체 이외의 파장 변환재를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파장 변환재로서 반도체, 금속 착체, 유기 염료, 안료 등 어느 파장의 광을 흡수하고, 흡수한 광과는 다른 파장의 광을 발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재료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발광 소자로서 LED를 예시했지만, 반도체 레이저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나 무기 EL 등의 EL 소자 등 그 외의 고체 발광 소자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 유닛은 이륜 자동차 또는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이용되는 차량용 전조등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은 차량용 전조등 이외의 조명 장치, 예를 들면, 도로 표지나 간판 등의 옥외의 조명 장치 또는 옥내의 조명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해서 당업자가 생각나는 각종 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 형태나,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1A, 1B, 1000 : 광원 유닛 10 : 제 1 광원 모듈
11 : 기판 11a : 전극 패드
11b : 본딩 와이어 12 : 발광 장치
12a : 실장 기판 12b : LED
20 : 제 2 광원 모듈 30, 30B : 리플렉터
31 : 제 1 반사부 32 : 제 2 반사부
33, 42b, 43a3, 63a : 관통 구멍 34 : 돌기부
34a, 41c1 : 나사 구멍 40, 40A : 히트 싱크
41, 41A : 광원 배치부 41a, 41Aa : 제 1 광원 배치부
41a1, 41b1, 42 : 오목부
41a2, 41b2, 51d, 52e, 82c2, 82d2 : 볼록부
41b, 41Ab : 제 2 광원 배치부 41c, 63 : 연결부
41d, 41e, 43a1 : 홈 42a : 함몰부
42c : 삽입통과 구멍 43 : 방열부
43a : 방열 핀 43a2 : 절결부
43b : 천판 44 : 장착용 구멍
50, 50B, 500 : 차광 부재 51 : 중앙부
51a, 52a : 전면부 51b, 52b : 상측 연설부
51c, 52c : 하측 연설부 52 : 사이드부
52d : 내측 면부 53a, 53b : 차광 벽
54 : 측부 54a : 문자
60 : 가압 스프링 61 : 제 1 가압부
62 : 제 2 가압부 70 : 구동 회로
71 : 회로 기판 80 : 회로 커버
80a : 개구부 81 : 저부
82 : 측벽부 82a : 상측 벽부
82b : 하측 벽부 82b1 : 개구
82c : 우측 벽부 82c1, 82d1 : 갈고리부
82d : 좌측 벽부 91 : 가압 스프링 고정용 나사
92 : 리플렉터 고정용 나사 100 : 차량용 전조등
110 : 하우징 120 : 광학 부재

Claims (45)

  1.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 배치부와, 상기 광원 배치부를 둘러싸도록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 히트 싱크와,
    상기 광원 배치부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며,
    상기 리플렉터는, 당해 리플렉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고 있는
    광원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외기가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광원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다른쪽에 접촉하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오목부의 어느 다른쪽의 상기 돌기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함몰부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고,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서 반사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광의 반사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원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암색인
    광원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은 흑색인
    광원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에는, 불투명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광원 유닛.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비금속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광원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재료는 수지인
    광원 유닛.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광원 배치부의 전방 단부에 접속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리플렉터로 향해 좌우 방향으로 연설된 한쌍의 사이드부를 갖고,
    상기 중앙부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은 상기 사이드부의 전방면의 연직 방향의 폭보다 큰
    광원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당해 중앙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설된 연설부를 구비하는
    광원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측부를 덮는 차광 벽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상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광원 유닛.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광원 배치부와의 접속 부분에는, 볼록형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 배치부에는, 상기 레일을 받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레일과 상기 홈이 감합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한
    광원 유닛.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2종류의 비임 패턴은 하이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과 로우 비임에 의한 비임 패턴인
    광원 유닛.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광을 반사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광원 모듈과 상기 제 2 광원 모듈에서 협지되는 부분에는, 극간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극간은 상기 광원 배치부의 일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광원 유닛.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제 1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2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제 2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1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2 광원 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원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광원 배치부의 후방측 부분과 상기 제 2 광원 배치부의 후방측 부분을 연결하고 있는
    광원 유닛.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광원 유닛.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서 반사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 부재의 일부가 상기 극간에 삽입되어 있는
    광원 유닛.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리플렉터를 향해서 경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주면끼리가 대향하도록 하나의 방향에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판형상의 방열 핀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가 내부에 배치된 회로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 핀은 상기 히트 싱크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로 커버는, 인접하는 상기 방열 핀과 상기 회로 커버로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에 적어도 2개의 통기구가 존재하도록, 상기 복수의 방열 핀에 설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기구는 상기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존재하는
    광원 유닛.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상기 2개의 통기구 중 한쪽은 상기 공간 영역의 상부에 존재하고,
    상기 2개의 통기구 중 다른쪽은 상기 공간 영역의 하부에 존재하는
    광원 유닛.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커버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방열 핀에 향해 있는
    광원 유닛.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회로 소자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회로 커버는 저부와, 상기 저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저부에 배치되어 있는
    광원 유닛.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 핀의 후방측의 단부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홈에 끼워넣어져 있는
    광원 유닛.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저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판이며,
    인접하는 상기 측판의 이음매에는, 극간이 존재하는
    광원 유닛.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 핀 중 양단에 배치된 방열 핀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는, 상기 공간 영역에 통하는 통기구가 존재하는
    광원 유닛.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배치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광원 배치부에 배치된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배치부와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광원 유닛.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을 상기 광원 배치부에 가압하는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광원 모듈을 상기 광원 배치부에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뤄지는
    광원 유닛.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전방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협지 부재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가 상기 삽입통과 구멍을 삽입통과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광원 배치부의 후방 단부에 대면하고 있는
    광원 유닛.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협지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구멍을 거쳐서 전방에 밀어넣어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광원 배치부에 동시에 고정되는
    광원 유닛.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광원 배치부의 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광원 유닛.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의 선단 부분은 절첩되어 있는
    광원 유닛.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판 스프링인
    광원 유닛.
  43.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각각은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가 탑재되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의 각각의 상기 기판을 협지하고 있는
    광원 유닛.
  44.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배치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 배치부가 삽입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광원 유닛.
  45.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광원 유닛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140063750A 2013-05-31 2014-05-27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 KR101695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6444 2013-05-31
JPJP-P-2013-116446 2013-05-31
JP2013116443A JP2014235874A (ja) 2013-05-31 2013-05-31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13116447A JP6074742B2 (ja) 2013-05-31 2013-05-31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13116444A JP6120165B2 (ja) 2013-05-31 2013-05-31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JP-P-2013-116443 2013-05-31
JPJP-P-2013-116445 2013-05-31
JPJP-P-2013-116447 2013-05-31
JP2013116445A JP6029014B2 (ja) 2013-05-31 2013-05-31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13116446A JP6124129B2 (ja) 2013-05-31 2013-05-31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487A true KR20140141487A (ko) 2014-12-10
KR101695060B1 KR101695060B1 (ko) 2017-01-10

Family

ID=5198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50A KR101695060B1 (ko) 2013-05-31 2014-05-27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400090B2 (ko)
KR (1) KR101695060B1 (ko)
IN (1) IN2014CH02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654A (ko) * 2018-03-16 2018-03-28 한국광기술원 수송기기용 led 전조등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9275A1 (fr) * 2012-12-07 2014-06-13 Valeo Illuminacion Dispositif d'emission de lumier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jecteur equipe dudit dispositif
US9400090B2 (en) 2013-05-31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 source unit and vehicle front lamp using the light source unit
CN109268776B (zh) * 2013-08-23 2021-10-0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US10375791B2 (en) 2014-03-19 2019-08-06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US9506609B1 (en) 2014-03-19 2016-11-29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Ligh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EP3152481A1 (en) 2014-06-08 2017-04-12 Valeo North America, LLC Lighting device with reflector and lens generating a light pattern with cutoff line
DE102014226881A1 (de) * 2014-12-22 2016-06-2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Zweikammerreflexionssystem
JP6599613B2 (ja) * 2014-12-25 2019-10-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配光可変車両用灯具
CN107110463B (zh) * 2014-12-25 2022-06-2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照明装置
KR101700155B1 (ko) * 2015-03-30 2017-01-26 (주)크레스라이트 차량용 램프
CN104990020A (zh) * 2015-08-04 2015-10-21 苏州晶品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出光薄片式led汽车大灯
CN105402669A (zh) * 2015-11-20 2016-03-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远近光一体的led前照灯
US9958131B2 (en) * 2015-12-21 2018-05-01 Min Hsiang Corporation Heating device for a vehicle lamp
FR3048485B1 (fr) * 2016-03-02 2019-04-05 Valeo Vision Lentille amelioree pour dispositif d'eclairage de vehicule automobile
FR3050795B1 (fr) * 2016-04-27 2019-11-29 Valeo Iluminacion Dispositif lumineux comprenant au moins deux parties soudees au laser
USD823496S1 (en) 2016-06-28 2018-07-17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Light and track assembly
USD816889S1 (en) 2016-06-28 2018-05-01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Track assembly for lights
USD811648S1 (en) * 2016-06-28 2018-02-27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Lens for lights
USD810354S1 (en) * 2016-06-28 2018-02-13 Tye T. Farnsworth Light assembly
USD835305S1 (en) 2016-06-28 2018-12-04 System Lighting Solutions, Llc Light and track assembly
US10578267B2 (en) * 2016-10-26 2020-03-03 North American Lighting, Inc. Vehicle lamp light assembly
JP2018133164A (ja) * 2017-02-14 2018-08-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TWM547065U (zh) * 2017-04-14 2017-08-11 軒帆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照明裝置之光源模組
US10436403B2 (en) * 2017-05-30 2019-10-08 Valeo North America, Inc. Dual printed circuit board
JP2019012623A (ja) *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EP3707028B1 (en) * 2017-11-06 2021-06-30 PIAGGIO & C. S.p.A. Headlight for a vehicle
FR3074881A1 (fr) * 2017-12-07 2019-06-14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JP6555374B1 (ja) * 2018-03-13 2019-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冷却構造、実装構造
FR3086727A1 (fr) * 2018-09-27 2020-04-03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avec platine lumineuse fixee avec des pinces a ressort
DE212019000443U1 (de) 2018-12-10 2021-07-13 Lumileds Llc Ein Federelement umfassende Beleuchtungsvorrichtung
EP3712490A1 (de) * 2019-03-22 2020-09-23 ZKW Group GmbH Projektion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CN110486690A (zh) * 2019-07-25 2019-11-22 金华市鹰王电子有限公司 一种散热型车用前照灯灯罩
DE102020200413B4 (de) * 2020-01-15 2022-0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23281519A1 (en) * 2021-07-08 2023-01-12 Minda Industries Ltd. A fog and cornering lamp of a vehicle
CN113551200B (zh) * 2021-07-24 2023-04-11 深圳市希尔光学技术有限公司 基于曲面块阵列的骑行车反光杯和制作该反光杯的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975A (ja) * 2003-06-05 2004-12-24 Koito Mfg Co Ltd 電子装置
JP2005340209A (ja) * 2004-05-25 2005-12-08 Valeo Vision 自動車用多機能ヘッドライト
JP2006004929A (ja) * 2004-06-16 2006-01-05 Osram Sylvania Inc Ledランプ及びランプリフレクタアセンブリ
JP2007207528A (ja) 2006-01-31 2007-08-1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40661A (ja) * 2008-12-09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13030371A (ja) 2011-07-29 2013-02-0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221A (ja) 1997-02-24 1998-09-08 Ichikoh Ind Ltd 鉄道車両用前部標識灯におけるシェード
JP2004206947A (ja) 2002-12-24 2004-07-22 Toyoda Gosei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及び灯具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044024B2 (ja) 2003-09-29 2008-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295126B2 (ja) 2004-01-23 2009-07-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JP2006024509A (ja) 2004-07-09 2006-01-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4289268B2 (ja) 2004-10-04 2009-07-0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2006156047A (ja) 2004-11-26 2006-06-15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258465B2 (ja) 2004-12-01 2009-04-3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4615417B2 (ja) 2005-10-13 2011-0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4717696B2 (ja) 2006-04-20 2011-07-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08226707A (ja) * 2007-03-14 2008-09-2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8276955A (ja) 2007-04-25 2008-11-13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US7762700B2 (en) * 2008-05-28 2010-07-27 Osram Sylvania Inc. Rear-loade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for automotive rear combination lamps
JP2010040322A (ja) 2008-08-05 2010-02-1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4593661B2 (ja) 2008-08-22 2010-12-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321048B2 (ja) * 2008-12-26 2013-10-2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141580B2 (ja) * 2009-01-30 2013-02-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2010238604A (ja) 2009-03-31 2010-10-21 Koito Mfg Co Ltd 発光素子モジュール化部材および灯具ユニット
JP2011028963A (ja) 2009-07-24 2011-02-1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101043278B1 (ko) * 2009-08-26 2011-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JP5471755B2 (ja) 2010-04-12 2014-04-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338746B2 (ja) * 2010-05-12 2013-11-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675185B2 (ja) 2010-06-21 2015-02-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電球互換型ledランプおよび車両用灯具
JP5716320B2 (ja) * 2010-08-26 2015-05-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5597500B2 (ja) * 2010-09-28 2014-10-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用灯具
JP2012204168A (ja) 2011-03-25 2012-10-22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前照灯
WO2012151522A1 (en) 2011-05-04 2012-11-08 Pickholz Michael F Led lamp assembly
JP2013008637A (ja) 2011-06-27 2013-01-10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US8939627B2 (en) 2011-07-29 2015-01-27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ing unit
JP5830294B2 (ja) 2011-07-29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452664B2 (ja) 2012-06-20 2014-03-2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9400090B2 (en) 2013-05-31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 source unit and vehicle front lamp using the light source un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975A (ja) * 2003-06-05 2004-12-24 Koito Mfg Co Ltd 電子装置
JP2005340209A (ja) * 2004-05-25 2005-12-08 Valeo Vision 自動車用多機能ヘッドライト
JP2006004929A (ja) * 2004-06-16 2006-01-05 Osram Sylvania Inc Ledランプ及びランプリフレクタアセンブリ
JP2007207528A (ja) 2006-01-31 2007-08-1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40661A (ja) * 2008-12-09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13030371A (ja) 2011-07-29 2013-02-0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654A (ko) * 2018-03-16 2018-03-28 한국광기술원 수송기기용 led 전조등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0011A1 (en) 2016-11-03
US10190740B2 (en) 2019-01-29
US9400090B2 (en) 2016-07-26
KR101695060B1 (ko) 2017-01-10
IN2014CH02619A (ko) 2015-09-04
US20180142852A1 (en) 2018-05-24
US20140355286A1 (en) 2014-12-04
US9845931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60B1 (ko) 광원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
US7267461B2 (en) Directly viewable luminaire
JP4999551B2 (ja) 発光素子モジュール
JP5948701B2 (ja) 車両用前照灯
JP4492472B2 (ja) 照明器具
KR20080072842A (ko) 자동차의 전면 영역용 다중 기능 자동차 헤드라이트 모듈
JP2005044699A (ja) 車両用灯具及び光源モジュール
JP5415019B2 (ja) Led光源装置
JP6074742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TWM514537U (zh) 車用發光二極體頭燈
JP2014235874A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09245643A (ja) 照明装置
KR200450564Y1 (ko) 엘이디 조명 모듈
JP6089350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630848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6115800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6120165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07258034A (ja) Ledランプ
JP615304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6029014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612412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TW201627181A (zh) 車用發光二極體頭燈
WO2022168988A1 (ja) 車両用灯具
JP3132809U (ja) 発光ダイオードの封止構造
JP4523031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