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91A - 케이블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91A
KR20140137291A KR1020140044740A KR20140044740A KR20140137291A KR 20140137291 A KR20140137291 A KR 20140137291A KR 1020140044740 A KR1020140044740 A KR 1020140044740A KR 20140044740 A KR20140044740 A KR 20140044740A KR 20140137291 A KR20140137291 A KR 2014013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re wire
annular groove
conductive cor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386B1 (ko
Inventor
준지 오사카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과제>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속이, 도전 심선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당해 도전 심선을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지게 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와 경사부(27)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슬릿(29)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16)를 설치하고, 케이블(14)에 있어서의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에 환상 홈부(31)를 형성하여 그 환상 홈부 내에 도전 심선을 노출시키고, 환상 홈부를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에 걸어맞춘 하에서, 환상 홈부 내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을 슬릿에 밀어넣고, 케이블의 중간 절연체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를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전 심선을 슬릿에 압접시켜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접속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 방법{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 CABLE CONNECTOR}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도전 심선과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케이블 커넥터에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접속된 상태로 이루는 케이블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기 부품, 전기 장치 혹은 전자 기기 간에 있어서의 신호 등의 전송을, 도전 심선과 그것을 절연체를 개재하여 포위하는 접지 도체가 절연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 등의, 도전 심선과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행하기 위해, 당해 복수의 전기 부품, 전기 장치 혹은 전자 기기를 케이블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하는데 즈음해서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접속되는, 도전재로 형성되는 신호 전달 콘택트를 구비한 것으로 된다.
이러한 케이블 커넥터로서 종래 알려져 있는 것에 있어서는, 그것에 대한 케이블의 전기적 접속이 납땜 수법이 이용되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즈음하여,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케이블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성을 가진 콘택트에 납땜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콘택트에 납땜되는 납땜 수법이 취해질 때에는, 특히 케이블이 극세인 것으로 되고, 그에 따라 콘택트가 극소인 것으로 되는 경우, 도전 심선을 콘택트에 납땜하는 작업이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번거로운 것이 된다고 하는 문제, 또 사용하는 땜납이나 플럭스의 양의 제어가 어렵고, 납땜에 수반하는 열이 케이블에 전해져 열에 의한 지장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술과 같은 납땜 수법에 수반하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신호 전송용의 케이블을, 납땜 수법을 이용하지 않고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로 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에 구비되어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접속되는 신호 전달 콘택트에 소정의 변형을 일으키는 케이블 접속 방법도 종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종래의 제안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이 실시되는 하에 있어서는, 케이블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그 하우징 등의 지지부에 입설되는 콘택트(신호 전달 콘택트)가, 선단부에 한 쌍의 분기부가 형성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는, 먼저,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가 부분적으로 벗겨져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되어, 콘택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에 의해 끼이는 상태에 놓인다. 다음에,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끼운 한 쌍의 분기부가, 각각에 외력이 가해져,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그에 의해 이러한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분기부의 변형이 행해지면, 이상적으로는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한 쌍의 분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끼여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전기적 접속이 납땜 수법에 의하지 않고 행해진다.
일본 특허공개 2007-48696호 공보(단락 0032~0043, 도 1~4) 일본 특허공개 2008-269840호 공보(단락 0034~0046, 도 5~12)
상술의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콘택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에 의해 끼이는 상태에 둔 후,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끼운 한 쌍의 분기부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끼움으로써,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콘택트에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통상, 케이블의 도전 심선은 다수의 도전 세선에 꼬임이 걸려 형성되는 연선(撚線)으로 되지만, 상술의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케이블 접속 방법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콘택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에 의해 끼이는데 즈음하여,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져 버리고, 그에 의해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것으로 되어 버려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케이블 접속 방법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우징 등의 지지부에 입설되는 콘택트가 판상 부재의 일단부에 의해 구성되고, 그 선단부에 한 쌍의 분기부가 형성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판상 부재의 판두께를 크게 하는 것에는 콘택트의 치수에 수반하는 한계가 있어, 콘택트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판두께는 비교적 작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케이블의 도전 심선을 끼운 한 쌍의 분기부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형을 일으키기 위해 가해지는 외력의 작용 방향이 다소 어긋난 것만으로도, 그에 대해서의 콘택트의 강도가 부족하여, 콘택트가 지지부에 대해 적정하게 입설하는 상태로부터 쓰러진 상태로 되어 버려, 한 쌍의 분기부에 의한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끼임이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등으로 되는 도전 심선과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도전성을 가진 신호 전달 콘택트를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즈음하여,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 콘택트에 대한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접속을, 납땜 수법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한 작업에 의해 적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 심선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당해 도전 심선을,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신호 전달 콘택트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保持)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는 케이블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이라 한다)은, 도전성 띠상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기준면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 및 기준면에 대해 경사하여 뻗어 교차부에 대향하는 경사부를, 경사부가 교차부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교차부에 연결되고, 교차부 혹은 경사부가 기준면부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가지고, 교차부와 경사부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를,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하고, 절연체에 의해 피복된 도전 심선을 가진 케이블의 단부에 있어서의 절연체에, 도전 심선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를 형성하여 그 환상 홈부 내에 도전 심선을 노출시키는 처리를 하고, 케이블의 절연체에 형성된 환상 홈부를,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를 구성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춘 하에서,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을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고, 케이블의 절연체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를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환상 홈부 내로 노출되어 있던 도전 심선을 슬릿에 압접시켜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실시에 즈음해서는, 도전성 띠상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기준면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 및 기준면에 대해 경사하여 뻗어 교차부에 대향하는 경사부를, 경사부가 교차부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교차부에 연결되고, 교차부 혹은 경사부가 기준면부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가지고, 교차부와 경사부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를,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함과 아울러, 절연체에 의해 피복된 도전 심선을 가진 케이블의 단부에 있어서의 절연체에, 도전 심선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를 형성하여 그 환상 홈부 내에 도전 심선을 노출시키는 처리를 한다. 그때 케이블의 절연체에 환상 홈부를 형성할 때에는, 예를 들면, 환상 홈부의 홈폭을,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에 대해서의, 교차부와 경사부의 상호 연결부 근방의 제1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보다 큰 제2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작게 선정한다.
이어서, 케이블의 절연체에 형성된 환상 홈부를,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를 구성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춘 하에서,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을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고, 그에 의해 케이블의 절연체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를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전 심선을 슬릿에 압접시켜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이,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등으로 되는 도전 심선과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즈음하여 실시되는 하에 있어서는, 그 단부에 있어서, 도전 심선을 피복하는 절연체에 도전 심선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가 형성되고, 그 환상 홈부 내에 도전 심선을 노출시키는 처리가 된 케이블이, 그 절연체에 형성된 환상 홈부가,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를 구성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이,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어지고, 그에 의해 케이블의 절연체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면서, 도전 심선이 슬릿에 압접시켜져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때 케이블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의 홈폭을,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에 대해서의, 교차부와 경사부의 상호 연결부 근방의 제1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보다 큰 제2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작게 선정한 하에 있어서는, 그 환상 홈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를 구성하는 교차부 및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이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어지는데 즈음하여, 환상 홈부의 교차부 및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대한 위치에 대해서의 각별한 조정이 요구되지 않고, 케이블의 절연체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블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이,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시켜질 때에, 그 도전 심선을 피복하는 절연체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경사부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므로, 도전 심선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슬릿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시켜지는 도전 심선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절연체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 결과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신호 전달 콘택트가, 기준면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 및 기준면에 대해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를, 경사부가 교차부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교차부에 이어지고, 교차부 혹은 경사부가 기준면부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교차부와 경사부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에 바라지 않는 변위 혹은 변형이 용이하게 생겨 버리는 사태가 회피되므로,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슬릿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되는 케이블의 도전 심선이,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등으로 되는 도전 심선과 그것을 피복하는 절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도전성을 가진 신호 전달 콘택트를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즈음하여,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 콘택트에 대한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접속을, 납땜 수법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한 작업에 의해 적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 심선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당해 도전 심선을,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신호 전달 콘택트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실시된 케이블 커넥터 및 복수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실시된 케이블 커넥터 및 복수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실시된 케이블 커넥터 및 복수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의 각각에 도시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구비되는 신호 전달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의 실시에 제공되는 케이블 커넥터 및 복수의 케이블을, 케이블 커넥터가 그것으로부터 커버 부재가 분리된 것으로 된 상태를 가지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의 실시에 제공되는 케이블 커넥터 및 케이블에 대해서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 커넥터 부분과 케이블에 형성된 환상 홈부의 홈폭의 치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에 의한 케이블 접속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에 의한 케이블 접속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에 의한 케이블 접속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의 실시에 제공되는 케이블 커넥터 및 케이블에 대해서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우징에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의 실시에 제공되는 케이블 커넥터 및 케이블에 대해서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우징에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사시도), 도 2(정면도) 및 도 3(평면도)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실시된 케이블 커넥터와 복수의 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1~도 3에 있어서는 케이블 커넥터(10)에 복수의 케이블(14)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실시되어 접속된 것으로 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10)는 절연재로 형성된 하우징인 절연 하우징(11)을 가지고 있고, 절연 하우징(11)에는 절연 하우징(11)을 부분적으로 덮어 절연 하우징(11)의 일부분의 내부를 막는 도전성 커버 부재(12)가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커버 부재(12)에는 투공(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투공(13)을 통해,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되어 복수의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각각 접속된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의 일부가 보이고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에는 도전성 커버 부재(12)를 걸리게 하는 복수의 커버 걸림부(17)가 설치된 접지 접속 부재(18)가, 절연 하우징(11)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도전성 커버 부재(12)에 대향하는 것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접지 접속 부재(18)에 설치된 복수의 커버 걸림부(17)의 각각은, 접지 접속 부재(18)로부터 일어서 절연 하우징(11)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도전성 커버 부재(12)측으로 뻗어 있고, 그 선단부(17a)가 도전성 커버 부재(12)에 형성된 복수의 투공(19) 중 대응하는 것을 관통하여 도전성 커버 부재(12)의 외부에까지 달해 있다. 커버 걸림부(17)의 선단부(17a)는 도전성 커버 부재(12)와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있고, 도전성 커버 부재(12)에 있어서의 투공(19)의 주위 부분에 걸어맞춰져 도전성 커버 부재(12)를 걸리게 하고 있다.
복수의 케이블(14)은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 배치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체를 이루는 케이블군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케이블(14)의 각각은 도전 심선(15)과 그것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와 중간 절연체(20)를 포위하는 쉴드 도체(21)의 전체가 외주 절연체(22)에 의해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로 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1)에는 그 내부에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가 복수의 케이블(14)의 배열 방향으로 되는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 각각의 일례는, 도 4에 도시되듯이, 예를 들면 인청동제의 도전성 띠상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가상의 기준면(24)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25), 기준면부(25)에 대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도록, 기준면(2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26), 및 기준면(24)에 대해 경사하여 뻗어 교차부(26)에 대향하는 경사부(27)를 가지고 있다. 기준면부(25), 교차부(26) 및 경사부(27)는 경사부(27)가 기준면부(25)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기준면부(25)에 이어짐과 아울러, 교차부(26)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교차부(26)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관계 하에 놓여 있다. 그리고, 교차부(26)와 경사부(27)는 양자에 공통의 상호 연결부(28)를, 기준면(24)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굴곡한 것으로서 가지고 있다. 또한, 경사부(27)가 기준면부(25)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기준면부(25)에 이어지는 구성에 대신하여, 경사부(27)는 기준면부(25)로부터 떼어져 교차부(26)가 기준면부(25)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기준면부(25)에 이어지는 것으로 되는 구성이 취해져도 좋다.
이러한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는 기준면부(25)의 일단부가 접속 단자부(25a)를 형성하고 있고, 또 상호 연결부(28)를 포함한 교차부(26)와 경사부(27)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밀어넣어지는 슬릿(29)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슬릿(29)의 중앙 부분은 상호 연결부(28)에 있어서 개구하는 개구부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개구부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 각각의 정점측을 향해 넓어지고 있어,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의 슬릿(29)에의 밀어넣기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슬릿(29)의 양단부의 각각은 광폭 부분을 이루고 있어, 슬릿(29)에 밀어넣어진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을 수용하여 보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준면부(25)의 일단부가 형성하는 접속 단자부(25a)는 절연 하우징(11) 내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의 각각에 있어서의 슬릿(29)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는 도전성 커버 부재(12)에 형성된 투공(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있고, 투공(13)을 통해 도전성 커버 부재(12)의 외부에 임해 있다.
상술과 같이 케이블 커넥터(10)에 복수의 케이블(14)이 접속된 상태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를 실시하여 얻는데 즈음해서는, 먼저 케이블 커넥터(10) 및 복수의 케이블(14)을 케이블 커넥터(10)가 그것으로부터 도전성 커버 부재(12)가 분리된 것으로 된 상태를 가지고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되듯이,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를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하여 장착함과 아울러, 접지 접속 부재(18)를 그것에 설치된 복수의 커버 걸림부(17)가 절연 하우징(11)을 관통하여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도록 장착한다. 그에 의해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가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에 대해서의 복수조(組)가, 배열 배치된 복수의 커버 걸림부(17)와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복수의 커버 걸림부(17)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열 배치된 것으로 된다.
그와 함께 복수의 케이블(14)의 각각에 대해, 도 5에 도시되듯이, 그 일단부에 있어서,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에 도전 심선(15)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31)를 형성하고, 그 환상 홈부(31) 내에 도전 심선(15)을 노출시키는 처리, 또 쉴드 도체(21)를 피복하는 외주 절연체(22)에 쉴드 도체(21)를 포위하는 환상 홈부(32)를 형성하고, 그 환상 홈부(32) 내에 쉴드 도체(21)를 노출시키는 처리를 한다. 그때 각 케이블(14)에 있어서의 중간 절연체(20)에 형성하는 환상 홈부(31)와 외주 절연체(22)에 형성하는 환상 홈부(32)에 대해서의 간격을,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가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의 복수조의 배열과 복수의 커버 걸림부(17)의 배열에 대해서의 간격에 상당하는 것으로 선정한다.
또, 케이블(14)에 있어서의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에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데 즈음해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듯이, 환상 홈부(31)의 홈폭(w)을, 당해 케이블(14)에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10)의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상호 연결부(28) 근방의 제1의 부위(P1)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1)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28)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P1)보다 큰 제2의 부위(P2)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2)보다 작게 선정한다.
다음에,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에 환상 홈부(31)가 형성되고, 또한 쉴드 도체(21)를 피복하는 외주 절연체(22)에 환상 홈부(32)가 형성된 복수의 케이블(14)의 각각을, 도 7에 도시되듯이, 케이블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당해 케이블(14)에 대응하는 신호 전달 콘택트(16) 및 접지 접속 부재(18)에 설치된 커버 걸림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때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에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게 함과 아울러,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2)에 접지 접속 부재(18)에 설치된 커버 걸림부(17)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게 한다.
이어서, 신호 전달 콘택트(16) 및 커버 걸림부(17)에 대향한 케이블(14)을, 신호 전달 콘택트(16) 및 커버 걸림부(17)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도시되듯이,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형성된 환상 홈부(31)를,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를 구성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17)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춘 하에서,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15)을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음과 아울러, 케이블(14)의 외주 절연체(22)에 형성된 환상 홈부(32)를 접지 접속 부재(18)에 설치된 커버 걸림부(17)에 걸어맞춰, 환상 홈부(32)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쉴드 도체(21)를 커버 걸림부(17)에 누름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형성한 환상 홈부(31)를,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를 구성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춘 하에서,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15)을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을 때에는,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의 홈폭(w)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상호 연결부(28) 근방의 제1의 부위(P1)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1)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28)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P1)보다 큰 제2의 부위(P2)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2)보다 작게 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되듯이, 환상 홈부(31)가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제1의 부위(P1)의 위치를 제2의 부위(P2)를 향해 넘어간 후에,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인 케이블(14)의 말단부(이하 케이블 말단부라 한다)측 부분을, 경사부(27)에 의해 도전 심선(15)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형성된 환상 홈부(31)의 홈폭(w)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상호 연결부(28) 근방의 제1의 부위(P1)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1)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28)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P1)보다 큰 제2의 부위(P2)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2)보다 작게 선정되어 있지 않고,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제1의 부위(P1)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1) 및 제2의 부위(P2)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2)의 각각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경우라도,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를 구성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추는데 즈음하여,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의 케이블(14)의 말단부측의 단연(端緣)을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경사부(27)에 접촉시킴으로써,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인 케이블 말단부측 부분을, 경사부(27)에 의해 도전 심선(15)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 후 케이블(14)을 더 신호 전달 콘택트(16) 및 커버 걸림부(17)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케이블 말단부측 부분을 도전 심선(15)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던 도전 심선(15)을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압접시켜, 도 9에 도시되듯이,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을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그와 함께 케이블(14)의 쉴드 도체(21)를 그것이 누름 접촉하는 커버 걸림부(17)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결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케이블(14)이, 각각의 도전 심선(15)이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 중 대응하는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각각의 쉴드 도체(21)가 케이블 커넥터(10)의 커버 걸림부(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가지고,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상태가 얻어진다.
상술과 같이 하여,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케이블 말단부측 부분을 도전 심선(15)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던 도전 심선(15)을,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어 그것에 압접시켜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슬릿(29)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시켜지는 도전 심선(15)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 케이블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절연체(20) 부분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 결과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6)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케이블 말단부측 부분이 도전 심선(15)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의해 피복된 도전 심선(15)의 단면부(15a)가, 중간 절연체(20) 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절연성이 높여지고, 외부의 도전체나 도전 부분에 바라지 않게 접촉하게 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그리고, 복수의 케이블(14)을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장착한 후, 도 5에 도시되는 도전성 커버 부재(12)를, 그것에 설치된 한 쌍의 부착 걸어맞춤부(12a)를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한 쌍의 부착공(11a)에 걸어맞춰 절연 하우징(11)에 부착한다. 절연 하우징(11)에 부착된 도전성 커버 부재(12)는, 도 1에 도시되듯이, 그것에 설치된 복수의 투공(19)의 각각을 절연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커버 걸림부(17) 중 대응하는 것이 관통하고, 복수의 커버 걸림부(17) 각각의 선단부(17a)가, 복수의 투공(19) 각각의 주위 부분에 걸어맞춰져 도전성 커버 부재(12)를 걸리게 하는 상태에 놓이고, 그것에 설치된 투공(13)을 통해, 절연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신호 전달 콘택트(16) 각각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보이는 하에서, 각각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와 커버 걸림부(17)에 접속된 복수의 케이블(14)의 단부를 덮게 된다. 또, 도전성 커버 부재(12)에 있어서의, 투공(13)을 복수의 케이블(14)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끼우는 부분 및 복수의 투공(19)의 배열을 복수의 케이블(14)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끼우는 부분이, 복수의 케이블(14) 각각의, 단부의 중간 절연체(20) 및 외주 절연체(2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 및 커버 걸림부(17)의 근방 부분에 맞닿아, 복수의 케이블(14)의 각각을 절연 하우징(11)에 대해 꽉 누른다. 그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14)이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상술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가, 동축 케이블로 된 케이블(14)을 케이블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즈음하여 실시되는 하에 있어서는, 그 단부에 있어서,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에 도전 심선(15)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31)가 형성되고, 그 환상 홈부(31) 내에 도전 심선(15)을 노출시키는 처리가 된 케이블(14)이, 그 환상 홈부(31)가 케이블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를 구성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15)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어지고, 그에 의해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경사부(27)에 의해 케이블(14)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면서, 도전 심선(15)이 슬릿(29)에 압접시켜져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때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의 홈폭(w)을,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에 대해서의, 교차부(26)와 경사부(27)의 상호 연결부(28) 근방의 제1의 부위(P1)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1)보다 크게, 또한 상호 연결부(28)로부터의 거리가 제1의 부위(P1)보다 큰 제2의 부위(P2)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d2)보다 작게 선정한 하에 있어서는, 그 환상 홈부(31)가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를 구성하는 교차부(26) 및 경사부(27)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15)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어지는데 즈음하여, 환상 홈부(31)의 교차부(26) 및 경사부(27) 각각의 부분에 대한 위치에 대해서의 각별한 조정이 요구되지 않고, 케이블(14)의 중간 절연체(20)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경사부(27)에 의해 케이블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블(14)에 있어서의 환상 홈부(31)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도전 심선(15)이,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시켜질 때에, 그 도전 심선(15)을 피복하는 중간 절연체(20)의 일부가,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있어서의 경사부(27)에 의해 케이블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므로, 도전 심선(15)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슬릿(29)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시켜지는 도전 심선(15)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 케이블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절연체(20) 부분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 결과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16)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신호 전달 콘택트(16)가, 기준면(24)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25), 기준면(2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26) 및 기준면(24)에 대해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27)를, 경사부(27)가 교차부(26)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교차부(26)에 이어지고, 경사부(27)가 기준면부(25)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교차부(26)와 경사부(27)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에 바라지 않는 변위 혹은 변형이 용이하게 생겨 버리는 사태가 회피되므로,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가 형성하는 슬릿(29)에 밀어넣어져 그것에 압접되는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이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30)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의 일례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로 되는 케이블(14)을, 신호 전달 콘택트(16)를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즈음하여, 케이블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대한 케이블(14)의 도전 심선(15)의 접속을, 납땜 수법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한 작업에 의해 적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 심선(15)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당해 도전 심선(15)을,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16)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신호 전달 콘택트(16)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블 접속 방법은,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 콘택트에 대한 케이블의 도전 심선의 접속을, 납땜 수법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한 작업에 의해 적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 심선이 연선으로 되어 있는 하에 있어서도, 당해 도전 심선을, 그 꼬임이 무너뜨려져 흐트러진 것으로 되지 않고, 신호 전달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극히 견고하고 안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신호 전달 콘택트에 의해 적정하게 보지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는 것으로서, 각종의 커넥터 장치 혹은 전자 기기의 제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케이블 커넥터 11···절연 하우징
12···도전성 커버 부재 13, 19···투공
14···케이블 15···도전 심선
16···신호 전달 콘택트 17···커버 걸림부
18···접지 접속 부재 20···중간 절연체
21···쉴드 도체 22···외주 절연체
25···기준면부 25a···접속 단자부
26···교차부 27···경사부
28···상호 연결부 29···슬릿
30···상호 대향 굴곡부 31, 32···환상 홈부

Claims (3)

  1. 도전성 띠상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기준면 내에 배치되는 기준면부, 상기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교차부 및 상기 기준면에 대해 경사하여 뻗어 상기 교차부에 대향하는 경사부를, 당해 경사부가 상기 교차부에 대한 굴곡 부분으로서 당해 교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교차부 혹은 상기 경사부가 상기 기준면부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가지고, 상기 교차부와 상기 경사부의 양자에 걸치는 부분에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설치된 신호 전달 콘택트를,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하고,
    절연체에 의해 피복된 도전 심선을 가진 케이블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절연체에, 상기 도전 심선을 포위하는 환상 홈부를 형성하여 당해 환상 홈부 내에 상기 도전 심선을 노출시키는 처리를 하고,
    상기 케이블의 절연체에 형성된 상기 환상 홈부를, 상기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를 구성하는 상기 교차부 및 상기 경사부 각각의 부분에 걸어맞춘 하에서, 상기 환상 홈부 내에 있어서 노출되는 상기 도전 심선을 상기 한 쌍의 상호 대향 굴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슬릿에 밀어넣고, 상기 케이블의 절연체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홈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를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환상 홈부 내로 노출되어 있던 도전 심선을 상기 슬릿에 압접시켜 상기 신호 전달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절연체에 상기 환상 홈부를 형성함에 즈음하여, 당해 환상 홈부의 홈폭을, 상기 신호 전달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상기 교차부 및 상기 경사부에 대해서의, 상기 교차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호 연결부 근방의 제1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크게, 또한 상기 상호 연결부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의 부위보다 큰 제2의 부위에 있어서의 외면 간격보다 작게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당해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커버 부재와 당해 도전성 커버 부재를 걸리게 하는 커버 걸림부가 설치된 접지 접속 부재를 상호 대향하는 것으로서 장착하고, 상기 케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 심선의 외측에 배치된 쉴드 도체를, 상기 접지 접속 부재의 커버 걸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방법.
KR1020140044740A 2013-05-22 2014-04-15 케이블 접속 방법 KR10152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7587 2013-05-22
JP2013107587A JP5713217B2 (ja) 2013-05-22 2013-05-22 ケーブル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91A true KR20140137291A (ko) 2014-12-02
KR101521386B1 KR101521386B1 (ko) 2015-05-18

Family

ID=5193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40A KR101521386B1 (ko) 2013-05-22 2014-04-15 케이블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3846B2 (ko)
JP (1) JP5713217B2 (ko)
KR (1) KR101521386B1 (ko)
CN (1) CN104184014B (ko)
TW (1) TWI547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5221A1 (en) * 2015-03-03 2016-09-07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t least two cables and device for providing an insulated cable connection
TWI573360B (zh) * 2015-07-09 2017-03-01 Molex Taiwan Ltd Cable connector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7155218B2 (ja) * 2020-10-07 2022-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構造、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0267A (ja) * 1983-06-11 1984-12-24 株式会社ニフコ 電線コネクタ−
JPS61102325A (ja) * 1984-10-24 1986-05-21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後ずさり防止装置
CN85102325A (zh) * 1984-11-02 1986-04-10 克罗内有限公司 绝缘电缆线连接装置的组合连接器和与之相连的塑料夹紧构件
DE69124156T2 (de) * 1990-07-20 1997-05-28 Unilever Nv Essbare, Fett enthaltende Zusammensetzung
JPH0541262A (ja) * 1991-08-02 1993-02-19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ケーブル接続構造
DE4134321C1 (ko) * 1991-10-17 1993-04-01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De
JPH0584051U (ja) * 1992-04-16 1993-11-1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89520Y2 (ja) * 1992-12-26 1999-01-27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H0896899A (ja) * 1994-09-21 1996-04-12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517147B2 (ja) * 1999-02-26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24356A (ja) * 2000-10-19 200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圧接方法及び圧接コネクタ
JP2004362880A (ja) * 2003-06-03 2004-12-24 Shoji Kinoshit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ピンと細径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4124760B2 (ja) * 2003-12-22 2008-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具
JP4744977B2 (ja) * 2005-08-12 2011-08-10 Smk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ンタクト及び当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ケーブル接続方法
EP2068480A1 (en) * 2006-09-06 2009-06-10 Sharp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JP4807796B2 (ja) * 2007-04-17 2011-11-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2009037748A (ja) * 2007-07-31 2009-02-19 I-Pex Co Ltd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2009277415A (ja) * 2008-05-13 2009-1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6168B2 (ja) * 2009-07-10 2015-02-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5041262B2 (ja) * 2011-01-31 2012-10-0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膜形成用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3217B2 (ja) 2015-05-07
CN104184014B (zh) 2016-09-28
US9583846B2 (en) 2017-02-28
JP2014229458A (ja) 2014-12-08
US20140345127A1 (en) 2014-11-27
CN104184014A (zh) 2014-12-03
TW201448380A (zh) 2014-12-16
TWI547044B (zh) 2016-08-21
KR101521386B1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954B2 (en) Shielded connector
US10109937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KR100256927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 접속 시스템
US7874870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resilient tongue section
US10777936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termination component with strain relief
US10170862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bus terminated to a cable drain wire
KR101974328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WO2018229152A1 (en) Connector assembly
JP200750251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プラグコネクタ装置
JPH10189149A (ja) 高速伝送ケーブルのシールドの終端装置
US5133677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shielded cable to same
JP2009054483A (ja) 端子圧着構造およびこの端子圧着構造を備えた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09037748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20100112857A1 (en) Conducting device for the electric contact of a conducting shielding sheath
JP515653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0676621B (zh) 连接器
CN100367567C (zh) 电缆连接器和用于组装该连接器的方法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KR20200029254A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JP515653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480779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20150349436A1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