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728A -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 Google Patents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728A
KR20140135728A KR1020147025150A KR20147025150A KR20140135728A KR 20140135728 A KR20140135728 A KR 20140135728A KR 1020147025150 A KR1020147025150 A KR 1020147025150A KR 20147025150 A KR20147025150 A KR 20147025150A KR 20140135728 A KR20140135728 A KR 2014013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se film
pressure transfer
fluid press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940B1 (ko
Inventor
마사히로 다카후지
다카노리 이소자키
다카시 네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14013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과제]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전사 효율이 우수한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그로부터 형성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 및 당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사용하는 액압 전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단부 (3) 에 선상 절입을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1) ; 당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1) 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 ; 및, 당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액면에 띄우는 공정과 띄운 액면 전사용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피전사체를 가압하는 공정을 갖는 액압 전사 방법.

Description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BASE FILM FOR LIQUID PRESSURE TRANSFER}
본 발명은,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곡면을 갖는 성형체 등의 피전사체에 인쇄를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그로부터 형성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 및 당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사용하는 액압 전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곡면을 갖는 성형체의 표면에 의장성을 부여하거나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거나 하기 위한 인쇄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의 필름 표면에 전사용 인쇄층이 형성된 액압 전사용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인쇄면을 위로 하여 물로 대표되는 액체의 액면에 띄운 후, 피전사체인 각종 성형체를 그 상방으로부터 밀어 넣음으로써, 액압을 이용하여 피전사체의 표면에 인쇄층을 전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액압 전사 방법에 있어서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최근, 의장의 인쇄가 다층 인쇄이거나 내구성이 우수한 인쇄용 잉크가 사용되게 되거나 해서 액압 전사용 필름의 의장 인쇄면과 비인쇄면의 흡수성에 차가 생기는 것 등에서 기인하는 컬을 방지하기 위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제조할 때에 제막 (製膜) 벨트 또는 제막 드럼에 접하는 면과 반대측이 되는 면에 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수용성 고분자 박질막을 수면에 띄우고 물체에 전사 인쇄를 실시할 때 박질막의 주변 단부의 컬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함으로써 미려한 전사 인쇄를 달성하기 위해, 원, 정방형과 같은 형상의 작은 구멍을 단부에 다수 형성한 박질막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4-331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41283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컬의 방지 효과가 여전히 불충분하기 때문에 전사 효율이 불량하였다. 한편,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방법에는, 그것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작은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생산성 (생산 속도) 이 저하되거나, 작은 구멍을 형성하였을 때에 잘라내진 부스러기가 필름 표면에 부착되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대한 인쇄나 피전사체에 대한 액압 전사시에 결점을 생기게 하거나, 당해 작은 구멍을 형성한 부근에 인쇄를 실시해도 액압 전사시에 작은 구멍 부분이 인쇄 누락이 되기 때문에 당해 작은 구멍을 형성한 부근은 실질적으로 액압 전사에 기여하지 못하여 액압 전사에 기여할 수 있는 유효 면적이 축소되거나 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방법과는 상이한 수단에 의해,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전사 효율이 우수한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그로부터 형성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 및 당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사용하는 액압 전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부에 형성이 비교적 용이한 선상 절입을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물로 대표되는 액체의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이 고도로 억제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당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단부에 선상 절입을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2]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 (端) 의 길이 100 ㎜ 당 7 ㎜ 이상의 비율로 선상 절입을 갖는, 상기 [1] 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3]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 ∼ 10 ㎜ 인 범위 내에 선상 절입을 갖는, 상기 [1] 또는 [2] 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4]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
[6] 상기 [5] 의 액압 전사용 필름을 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액면에 띄우는 공정과 띄운 액압 전사용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피전사체를 가압하는 공정을 갖는 액압 전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전사 효율이 우수한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그로부터 형성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 및 당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사용하는 액압 전사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단의 길이 100 ㎜ 당 선상 절입의 길이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한 각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단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 근방의 부분) 에 선상 절입을 갖는다. 단부에 선상 절입을 가짐으로써, 그로부터 형성되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이유로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단으로부터 컬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당해 절입에 의해 컬의 진행이 멈추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선상 절입은, 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작은 구멍의 경우와 달리, 그 형성이 비교적 용이하여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고, 부스러기도 잘 발생하지 않으며, 게다가 선상 절입이 형성된 부근도 액압 전사에 기여할 수 있어 액압 전사용 필름의 유효 면적의 축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점도 갖는다.
일반적인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장척의 필름인 경우도 있으면, 사각형 의 필름인 경우도 있고, 장척의 필름인 경우에는 롤상으로 감긴 것을 연속적으로 조출하면서 그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여 액압 전사용 필름으로 하고, 그대로, 혹은 일단 롤상으로 권취한 후에 다시 조출하여 연속적으로 액압 전사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도, 그 형상은, 장척의 필름이어도 되고, 비교적 길이가 짧은 (예를 들어 1 변의 길이가 모두 1 m 미만인) 사각형의 필름이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며, 나아가서는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상이나, 원형상이어도 되지만, 액압 전사시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장척의 필름 및 사각형의 필름이 바람직하고, 인쇄나 액압 전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 등을 고려하면 장척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장척의 필름에 있어서 그 길이 및 폭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인쇄시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길이는 1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 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길이의 상한으로는 예를 들어 10000 m 를 들 수 있다. 한편, 폭은, 인쇄시의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폭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생산이 용이한 점 등에서, 4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단부에 선상 절입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거시적으로 보아,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선상 절입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사각형인 경우에는 4 변 중 대향하는 2 변 근방의 단부에만 선상 절입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으로 컬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거시적으로 보아, 액압 전사시에 액면에 접하게 되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모든 단을 따른 단부 전체에 걸쳐 선상 절입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사각형의 필름인 경우에는, 4 변 근방의 단부 전체에 걸쳐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척의 필름인 경우에는, 2 개의 장변 근방의 단부 전체에 걸쳐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형상인 경우에는, 주회 (周回) 하는 단부 전체에 걸쳐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선상 절입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어도 되고,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일방의 면에만 개구되는 것이어도 되고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절입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컬의 방지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선상 절입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일방의 면에만 개구되는 것이어도 비관통 부분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얻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액면에 띄웠을 때에 수 초 이내 (예를 들어 3 초 이내) 에 관통시킬 수 있어, 이와 같은 절입도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이다.
상기의 선상 절입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을 따른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당해 절입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일방의 면에만 개구되는 것인 경우 등에 있어서 단을 따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강도 등의 면에서, 단을 따른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선상 절입을 필름면측에서 본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직선상, 절선 (折線) 상, 곡선상, 이들 중 2 개 이상이 조합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전사 효율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되고, 게다가 절입의 형성도 보다 간편한 점에서, 당해 형상은 직선상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장척의 필름으로서, 2 개의 장변 근방의 단부 전체에 걸쳐 선상 절입을 갖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에 있어서는, 장척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1) 의 2 개의 장변에 상당하는 단 (2) 근방의 부분인 단부 (3) 전체에 걸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선상 절입 (4)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개의 선상 절입 (4) 은 필름면측에서 본 형상이 직선상이며, 복수의 절입 (4) 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1) 의 단 (2) 을 따른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개개의 선상 절입의 사이즈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다 효과적으로 컬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그 길이는, 3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35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 25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선상 절입의 개구 부분의 선폭은 통상적으로는 200 ㎛ 미만이며,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절입의 대향하는 단면끼리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또 개개의 선상 절입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 (단이 직선이 아닌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절입에 가장 가까운 단 위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 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에 대해 대략 평행이란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과 선상 절입이 이루는 각의 각도가 0°인 경우뿐만 아니라, 약간 어긋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30°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내) 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개의 선상 절입을 필름면측에서 본 형상이 직선상 이외인 경우에는, 개개의 선상 절입에 있어서의 단점끼리를 잇는 선분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최대인 선분 중 임의의 1 선분) 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과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후술하는 컬 면적률을 작게 하기 위해서, 상기의 선상 절입을 가급적 단에 가까운 위치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으로부터 선상 절입까지의 거리가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으면 컬의 방지 효과가 저감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당해 거리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으로부터 선상 절입까지의 거리란, 선상 절입 상의 각 점과 단 사이의 각 거리 중에서 최소 거리 (최단 거리) 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보다 효과적으로 컬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그 단의 길이 100 ㎜ 당 7 ㎜ 이상의 비율로 상기의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의 비율로 상기의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강도 등의 면에서, 단의 길이 100 ㎜ 당 50 ㎜ 이하의 비율로 상기의 선상 절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비율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절입 (4)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체) 을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 (2) 에 대해 지면 (紙面)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선분의 길이의 합계 (도 2 에서는 길이 L1 과 길이 L2 의 합계) 를 단 (2) 의 길이로 나눈 후, 단 (2) 의 길이 100 ㎜ 당의 값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얻어지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수용성이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 전분, 젤라틴 등을 들 수 있지만, 중합도나 비누화도, 전분 등의 첨가제의 배합 등의 모든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고, 그로 인해, 필요한 기계적 강도나 취급 중의 내습성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폴리비닐알코올 (이하,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인 경우, 당해 PVA 로는, 아세트산비닐, 포름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바사틱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 등의 비닐에스테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비닐에스테르 중에서도, PVA 의 제조 용이성, 입수 용이성, 비용 등의 면에서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는, 단량체로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닐에스테르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로서 1 종의 비닐에스테르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닐에스테르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의 비닐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i-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i-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 화비닐 ; 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 말레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 무수물 ; 이타콘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 무수물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 불포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는, 상기한 그 밖의 단량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에서 차지하는 상기한 그 밖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폴리비닐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기초하여, 2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비율이 25 몰% 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과 인쇄층의 친화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PVA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 의해 변성된 것이어도 된다.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유도체 ;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PVA 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PVA 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기초하여, 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PVA 는, 그 수산기의 일부가 가교되어 있어도 되고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의 PVA 는, 그 수산기의 일부가 아세트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 화합물 등과 반응하여 아세탈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아 아세탈 구조를 형성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PVA 의 중합도는 500 ∼ 3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 ∼ 2800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 ∼ 2500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의 중합도가 500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한편, PVA 의 중합도가 3000을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제조할 때의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나아가서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공정 속도로 액압 전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PVA 의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상기의 PVA 의 비누화도는 80 ∼ 99 몰%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3 ∼ 96 몰%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5 ∼ 90 몰%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의 비누화도가 80 몰% 미만인 경우에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나아가서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공정 속도로 액압 전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PVA 의 비누화도가 99 몰% 를 초과한 경우에도,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나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공정 속도로 액압 전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해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PVA 필름에 가소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가소제로는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20 질량부를 초과하면, PVA 필름의 블로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인쇄층을 형성할 때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취급할 때의 내습성을 유지하거나, 혹은 인쇄층이 형성된 액압 전사용 필름을 액면에 띄웠을 때의 액체의 흡수에 의한 유연화의 속도, 액면에서의 연전성 (延展性), 액체 중으로의 확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 액압 전사 공정에 있어서의 변형 용이성 등을 조절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의 PVA 필름에 전분 및/또는 PVA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으로는, 예를 들어, 콘 스타치, 감자 전분, 사탕수수 전분, 소맥 전분, 쌀 전분, 타피오카 전분, 사고 전분 등의 천연 전분류 ; 에테르화 가공, 에스테르화 가공, 산화 가공 등이 실시된 가공 전분류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가공 전분류가 바람직하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전분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분의 함유량이 15 질량부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나 액압 전사용 필름의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취약해져, 공정 통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PVA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덱스트린, 젤라틴, 아교, 카세인, 셸락, 아라비아 고무, 폴리아크릴산아미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메틸비닐에테르와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과 이타콘산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PVA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VA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15 질량부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시에 있어서의 액압 전사용 필름의 용해성 및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인쇄층이 형성된 액압 전사용 필름을 액면에 띄웠을 때의 액체의 흡수에 의한 유연화의 속도, 액면에서의 연전성, 액체 중으로의 확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 등을 조절할 목적에서, 상기의 PVA 필름에 붕소계 화합물이나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소계 화합물로는, 붕산이나 붕사가 바람직하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붕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5 질량부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나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공정 속도로 액압 전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 계면 활성제,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5 질량부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 밀착되기 쉬워져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PVA 필름에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도,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필러 등의 그 밖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그 밖의 성분의 함유량은, 그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PVA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의 함유량이 10 질량부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내충격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수분율은, 2 ∼ 6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분율이 2 질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분율도 낮아지기 쉽고, 액압 전사시에 컬의 정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수분율이 6 질량% 를 초과하면 인쇄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수용성과 공정 통과성의 밸런스를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통상적으로 10 ∼ 100 ㎛ 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0 ∼ 80 ㎛ 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두께가 10 ㎛ 미만이 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강도가 부족하여 공정 통과성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두께가 100 ㎛ 를 초과하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이나 액압 전사용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공정 속도로 액압 전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인쇄층을 형성할 때의 인쇄 적성을 향상시키거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향상시키거나 하기 위해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 처리의 방법으로서, 제막시에 롤 또는 벨트 상의 매트 표면을 필름에 전사시키는 온라인 매트 처리법, 제막된 필름을 일단 롤에 권취한 후에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매트 처리가 실시된 면의 표면 조도는, Ra 로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a 의 상한으로는, 예를 들어, 10 ㎛ 를 들 수 있다. 또, Rmax 로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max 의 상한으로는, 예를 들어, 20 ㎛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의하면,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액압 전사용 필름의 컬의 정도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자체의 컬의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모델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컬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컬 면적률을 사용한다. 컬 면적률이란, 수면에 띄우기 전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면적에 대한, 수면에 띄운 후에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부가 컬됨으로써 수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 부분의 면적의 비율이고,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된다. 컬 면적률은, 그 값이 작을수록 컬이 방지되어 액압 전사용 필름의 전사 효율이 우수한 것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7 % 이하가 바람직하고, 6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절입이 없는 필름을 미리 제막해 두고, 이것에 선상 절입을 형성하는 방법 ; 제막용 지지체에 선상 절입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해 두거나 하여, 필름을 제막할 때에 선상 절입을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제막의 용이성 등으로부터, 절입이 없는 필름을 미리 제막해 두고, 이것에 선상 절입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제막된 필름에 대한 선상 절입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장척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장척의 필름에 대해 절취선 커터 등을 사용하여 그 양 단부에 선상 절입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고, 사각형의 필름 등, 매엽 형상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커터 나이프 등을 사용하여 배치마다 단부에 선상 절입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절입이 없는 필름을 미리 제막하는 경우, 및 제막할 때에 선상 절입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필름의 제막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 등에 따라 유연법, 압출법, 용융법, 인플레이션법 등의 제막 방법을 적절히 채용함으로써 필름을 제막할 수 있다. 또, 제막 후의 필름은 무연신이어도 되고, 액면 전사시의 전사 조건 등에 맞추어 기계 특성을 개선할 목적에서, 1 축 연신 또는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액압 전사용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당해 인쇄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인쇄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롤 코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당해 인쇄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인쇄 잉크에 의해 직접 실시해도 되고, 인쇄층을 다른 필름 상에 일단 형성한 후에, 그것을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전사함으로써 인쇄를 실시할 수도 있다. 전자와 같이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인쇄 잉크에 의해 직접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인쇄 잉크의 조성의 제한이나 건조 공정의 문제, 다색 인쇄시의 색 편차의 문제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후자와 같이 인쇄층을 다른 필름에 일단 형성한 후에, 그것을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전사함으로써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 잉크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액압 전사용 필름을 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물 등의 액체의 액면에 띄우고, 그 상방으로부터 각종 성형체 등의 피전사체를 가압함으로써 액압 전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액압 전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액압 전사용 필름을 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액면에 띄움과 함께 잉크 활성제를 분무하거나 하여 인쇄층을 활성화시키는 제 1 공정, 액면에 띄운 액압 전사용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피전사체를 피전사면이 하방이 되도록 하여 강하시켜 가압하는 제 2 공정, 액압 전사용 필름의 인쇄층이 피전사체의 표면에 충분히 고착된 후에 그 액압 전사용 필름에 있어서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부분을 제거하는 제 3 공정, 피전사면에 인쇄층이 전사시킨 피전사체를 충분히 건조시키는 제 4 공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액압 전사 방법을 들 수 있다.
피전사체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나무, 합판, 파티클 보드 등의 목질 기재 ; 각종 플라스틱류 ; 석고 보드 ; 펄프 시멘트판, 슬레이트판, 석면 시멘트판 등의 섬유 시멘트판 ; 규산칼슘판 ; 규산마그네슘판 ; 유리 섬유 보강 시멘트 ; 콘크리트 ; 철,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 ; 이들의 복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피전사체는, 그 표면의 형상이 평탄해도 되고, 조면 (粗面) 이어도 되고,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되며,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곡면을 갖는 피전사체인 것이 액압 전사의 이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수분율 및 컬 면적률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수분율 측정
칼 피셔 수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컬 면적률 측정
세로 420 ㎜ × 가로 320 ㎜ × 높이 160 ㎜ 의 용기에 10 리터의 물을 넣고, 30 ℃ 로 조정한 후,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작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사이즈 : 200 ㎜ × 200 ㎜) 을, 제막시의 스테인리스제 벨트에 접하는 면과 반대측이 되는 면이 물과 접하도록 하여 상기 용기 중의 수면에 띄웠다. 이 조작에 의해, 통상적으로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부가 수면에 대해 상향으로 컬되게 된다. 띄우기 시작하고 나서 25 초 후에 수면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 (A ㎟) 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컬 면적률 (%) 을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의 면적 (A ㎟) 은 일련의 조작을 카메라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로 화상 처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컬 면적률 (%) = [1 - A/(200 × 200)] × 100
컬 면적률이 7 % 이하인 것을 「○」(양호) 로 판정하고, 7 % 보다 큰 것을 「×」(불량) 로 판정하였다.
[제조예 1]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제조
비누화도 88 몰%, 중합도 2400 의 PVA 100 질량부, 글리세린 3 질량부, 콘 스타치 (평균 입도 20 ㎛) 5 질량부, 붕사 0.7 질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1 질량부를 함유하고 PVA 의 농도가 18 질량% 인 수용액을, 온도 95 ℃ 의 스테인리스제 벨트 상에 유연하고, 2 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벨트에 접하는 면과 반대측이 되는 면을 80 ℃ 의 열 처리 롤로 8 초간 열 처리하여, 두께 40 ㎛ 의 PVA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a)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길이 10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2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b)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길이 20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1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c)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길이 40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1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4]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d)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길이 10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2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e)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10 ㎜ 의 위치에 길이 20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1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6]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을 잘라낸 후,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도 3 의 (f) 와 같이, 1 변의 단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길이 5 ㎜ 의 직선상 절입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 개구 부분의 선폭은 70 ㎛ 이하) 을 4 개 형성하였다. 나머지 3 변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절입을 형성하여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수분율 4.0 질량%) 으로 하고,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으로부터 200 ㎜ × 200 ㎜ 의 정방형 필름 (수분율 4.0 질량%) 을 잘라낸 후, 그것을 그대로 컬 면적률 측정용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따라 그 컬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 6 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서는, 컬 면적률의 값이 작고,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전사 효율이 우수한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서는, 컬 면적률의 값이 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은, 액면에 띄웠을 때의 컬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전사 효율이 우수한 액압 전사용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곡면을 갖는 피전사체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할 때의 액압 전사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2 : 단
3 : 단부
4 : 선상 절입

Claims (6)

  1. 단부에 선상 절입을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 (端) 의 길이 100 ㎜ 당 7 ㎜ 이상의 비율로 선상 절입을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 ∼ 10 ㎜ 인 범위 내에 선상 절입을 갖는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인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액압 전사용 필름.
  6. 제 5 항에 기재된 액압 전사용 필름을 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액면에 띄우는 공정과 띄운 액압 전사용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피전사체를 가압하는 공정을 갖는 액압 전사 방법.
KR1020147025150A 2012-03-22 2013-03-06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KR102036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5269 2012-03-22
JP2012065269 2012-03-22
PCT/JP2013/056147 WO2013141023A1 (ja) 2012-03-22 2013-03-06 液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728A true KR20140135728A (ko) 2014-11-26
KR102036940B1 KR102036940B1 (ko) 2019-10-25

Family

ID=4922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150A KR102036940B1 (ko) 2012-03-22 2013-03-06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70430B2 (ko)
KR (1) KR102036940B1 (ko)
CN (1) CN104203593B (ko)
TW (1) TWI601649B (ko)
WO (1) WO201314102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115A (en) 1977-08-19 1979-03-1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of printing curved surface
JPS5541283A (en) 1978-09-19 1980-03-2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Transcription printing method
JPS60172599A (ja) * 1984-02-17 1985-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液圧転写用転写紙
JP2009001009A (ja) 2007-05-22 2009-01-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液圧転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8537T2 (de) * 1998-07-23 2009-06-18 Taica Corp. Methode und vorrichtung für hydralischen transfer
JP2001096993A (ja) * 1999-09-30 2001-04-10 Cubic: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等のワークに対する液圧転写方法並びにこれに適用される転写フィルム並びにこの方法を適用した加飾製品
JP5242990B2 (ja) * 2007-10-25 2013-07-24 株式会社タイカ 水圧転写方法、水圧転写用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115A (en) 1977-08-19 1979-03-1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of printing curved surface
JPS5541283A (en) 1978-09-19 1980-03-2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Transcription printing method
JPS60172599A (ja) * 1984-02-17 1985-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液圧転写用転写紙
JP2009001009A (ja) 2007-05-22 2009-01-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液圧転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1649B (zh) 2017-10-11
CN104203593A (zh) 2014-12-10
JP6170430B2 (ja) 2017-07-26
TW201348017A (zh) 2013-12-01
JPWO2013141023A1 (ja) 2015-08-03
KR102036940B1 (ko) 2019-10-25
CN104203593B (zh) 2018-03-27
WO2013141023A1 (ja)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192B2 (ja) 液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
JP4384963B2 (ja) 水圧転写方法
KR102246398B1 (ko) 필름
JP2009001009A (ja) 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液圧転写方法
JP5442878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
JP2007152622A (ja) 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転写方法
JP2017119853A (ja) 水溶性フィルム、薬剤包装体及び水溶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053479B2 (ja) 水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用印刷シートの製造法
JP2017119434A (ja) 水溶性フィルム、薬剤包装体及び水溶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40141595A (ko)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JP4302361B2 (ja) 水圧転写方法
JP5179283B2 (ja) 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
KR20180018655A (ko)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KR20140135728A (ko)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JP6360106B2 (ja) 液圧転写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188205B2 (ja) 水圧転写方法
JP4188204B2 (ja) 水圧転写方法
JP4034249B2 (ja) 水圧転写用印刷シートの製造法
JP2005059556A (ja) 水圧転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