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174A - 차량 도어 록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174A
KR20140130174A KR20147025849A KR20147025849A KR20140130174A KR 20140130174 A KR20140130174 A KR 20140130174A KR 20147025849 A KR20147025849 A KR 20147025849A KR 20147025849 A KR20147025849 A KR 20147025849A KR 20140130174 A KR20140130174 A KR 20140130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stops
door lock
stop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347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바름쉐이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306Gear
    • Y10T292/307Sliding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306Gear
    • Y10T292/308Swinging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적어도 하나의 록킹 요소(3),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5, 6, 7) 그리고 전기 구동부(5, 6, 7) 및/또는 록킹 요소(3)를 위한 적어도 2개의 멈춤부(20, 21, 22, 27)를 포함한다. 여기서, 멈춤부(20, 21) 중 하나는 록킹 요소(3)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멈춤부(22, 27)는 전기 구동부(5, 6, 7)와 관련이 있고, 양 멈춤부(20, 21, 22, 27)는 공통적인 멈춤 윤곽부(23)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Motor-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과 적어도 하나의 록 요소뿐만 아니라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 그리고 전기 구동부 및/또는 록 요소를 위한 적어도 2개의 멈춤부(stops)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 록의 개별적인 요소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멈춤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EP 0 336 034 A2는 록킹 메커니즘 내에 결합된 록킹 핀을 위한 댐핑 멈춤부를 개시한다. 록킹 핀은 멈춤부 또는 댐핑 요소의 도움으로 공급부에 고정되어 소음을 감소시킨다.
또한, EP 1 620 616 B1는 로터리 래치가 멈춤 리브(stop rib)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 도어 록을 개시한다. 이 멈춤 리브는 열 가소성 수지 케이싱의 부품이다.
실용신안특허 DE 87 15 923 U1는 또한 로터리 래치를 위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케이싱을 개시한다. 케이싱은 또한 로터리 래치의 지지 구조체를 둘러싸며 그리고 관련된 지지 핀 상에서 그리고 다른 지지점에 맞서 미끄러진다. 이렇게 하여, 금속과 접촉하는 금속에 의하여 발생된 원하지 않는 소음이 제거된다.
DE 198 28 040 B4의 기술의 포괄적인 상태는 차량 그리고 특히 승용 차량의 도어, 테일백(tailbacks), 개폐식 지붕(soft-tops) 또는 루프(roof)를 위한 전동 닫힘 장치를 개시한다. 닫힘 장치는 로터리 래치 및 로터리 래치를 분리 가능하게 록킹하는 포올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디스크를 갖는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열림 및 닫힘의 의미에서 액츄에이터는 제어 디스크를 통하여 로터리 래치와 포올에 작용한다. 로터리 래치는 선회 가능함 멈춤 요소를 포함하며, 포올 또한 선회 가능한 멈춤 요소를 포함한다. 열림 및 닫힘 동안에 양 멈춤 요소는 제어 디스크와 협력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전동 닫힘 장치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 및 용이한 설치가 제공된다.
전기 구동부 및/또는 부가적인 록 요소를 위한 멈춤부의 사용과 관련하여, 선행 기술은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경우에 전기 구동부를 위하여 별개의 멈춤부들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록 하우징 내에서 각각의 요소로서 록킹 요소가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록 요소와 전기 구동부에 유사한 디자인의 멈춤부를 제공하기 위한 요구가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효과적인 생산을 고려하면서 록 요소와 전기 구동부가 유사한 설계의 멈춤부(stop)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된 설계의 차량 도어 록의 다른 발전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기초로 한다.
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록은 하나 이상의 멈춤부가 록 요소에 배치되고 다른 요소가 전기 구동부에 배치되며 양 멈춤부는 공통의 멈춤 윤곽부(stop contour)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멈춤부 윤곽부를 위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양 멈춤부의 기능 및 설계가 유사할 수 있도록 상기 멈춤 윤곽부가 양 멈춤부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통적인 멈춤 윤곽부의 사용은 또한 양 멈춤부가 용이하게 제조 및 설치될 수 있고 공통적이고 대응하는 요소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2개의 멈춤부는 록 요소에 배치되어 록 요소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경우, 멈춤 윤곽부는 따라서 록 요소를 위한 양 멈춤부뿐만 아니라 전기 구동부를 위한 멈춤부를 또한 포함한다.
록 요소는 보통 선회 레버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2개의 록 레버 또는 선회 레버에 배치된 멈춤부가 록 요소 또는 선회 레버의 다른 기능적 위치에 속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 경우에서, 록 요소는 보통 록킹 레버로서 설계된다.
이 경우에, 록 요소 또는 록킹 레버를 위한, 멈춤 윤곽부 상의 2개의 멈춤부는 한편으로는 록킹 레버의 "록킹" 기능 위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언록킹" 기능 위치에 대응한다. 반대로, 전기 구동부를 위한 멈춤부는 대부분의 경우 종단 멈춤부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전기 구동부가 그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이 종단 멈춤부가 사용된다. 물론, 2개의 멈춤부가 예를 들어 시작 및 종단 멈춤부로 전기 구동부를 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전기 구동부는 전형적으로 소위 전기적 열림(electric opening)을 제공하는 구동부이다. 이는 전기 구동부가 록킹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포올이 관련된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전기 구동부는 물론 중앙 록킹 구동부와 같은, 차량 도어 록 내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 전기 구동부는 정상 작동시 전기적 열림을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충격(impinged upon)을 받는 것을 보장한다. 전기 구동부는 또한 적어도 소위 비상 작동시 록킹 메커니즘의 기계적인 열림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 기능은 또한 "일시적 충돌 중복 (temporary crash redundancy (TCR))"으로 언급된다. 이는, 예를 들어 사고의 경우, 지배적인 비상 작동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이 전기 구동부와 관계없이 기계적으로 열릴 수 있다는 것을 전기 구동부가 보장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이며, 설명된 의도된 사용을 위하여 적용된다.
상세하게는, 전기 구동부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터, 워엄 기어 및 워엄 기어에 치합된 종동 풀리를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다수의 기어 단의 사용을 허용한다. 종동 풀리는 예를 들어 열림 윤곽부를 통하여 트리거 레버와 협력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열림 동안에 포올을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린다. 이 운동의 종료 시점에서, 전기 구동부는 종단 멈춤부에 맞서 이동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종동 풀리는 대부분의 경우에 각 멈춤부 또는 반대(conuter) 멈춤부를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록킹 레버를 위한 멈춤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구동부 또는 전기적 열림 구동부를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멈춤 윤곽부는 일반적으로 위에 멈춤부가 형성된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이 단일 작동에서 비용 면에서 효과적으로 제조됨에 따라 멈춤 윤곽부가 플라스틱 부품, 특히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설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멈춤 윤곽부는 또한 규칙적으로 캐비티를 포함한다. 실제로 댐핑을 위하여 캐비티가 멈춤부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이는 이 상황에서 발생하는 어떤 손상 또는 원하지 않는 소음의 우려 없이 비교적 "강한(hard)" 충격으로 록킹 레버가 하나의 멈춤부 또는 다른 멈춤부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대신에, 각 멈춤부 내로 배치된 캐비티는 멈춤부가 재료에 의하여 야기된 변형을 겪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나, 뒤의 캐비티 내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굴절된 멈춤부에 의하여 그 형상을 구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관계없이, 멈춤 윤곽부 내의 하나 또는 다수의 캐비티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멈춤 윤곽부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멈춤 윤곽부의 전체 무게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멈춤 윤곽부는 전형적으로 그 자체로 요구되는 탄성을 제공하고 또한 금속 부품과 접촉할 때 우수한 소음 방지를 제공하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요구되는 온도 안정성을 제공함에 따라 특히 PUR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중합체 그리고 열가소성 수지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PUR의 최대 작동 온도는 100℃보다 현저하게 높으며 따라서 이러한 플라스틱은 차량 도어 록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예정되어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멈춤 윤곽부는 아크-형상일 수 있으며 종단에서 더 두꺼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멈춤부가 두꺼운 부분의 영역에서 관련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보다 두꺼운 부분이 전형적으로 형성된다. 멈춤 윤곽부는 기계적으로 록 하우징 그리고 특히 록 커버에 연결된다. -멈춤 윤곽부와 동일하게- 록 커버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임에 따라, 록 하우징 또는 록 커버와 함께 단일 부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멈춤 윤곽부를 위한 유리한 설계가 제안된다.
이 문맥에서, 2-요소 사출 성형 공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공정에서 록 하우징 또는 록 커버는 예를 들어 PE(폴리에틸렌) 또는 PP(폴리프로필렌)로 제조되는 반면에, 멈춤부 윤곽부는 위에서 언급된 PUR(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다. 어떠한 경우, 록 커버와 멈춤 윤곽부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단일 작동으로 그리고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한편으로 다른 플라스틱 재료들이 록 커버를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다른 한편으로는 멈춤 윤곽부를 위하여 2-요소 사출 성형 공정이 이용된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전기 구동부를 위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련된 록 하우징 내의 록 요소 또는 선회 레버를 위한 다수의 멈춤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이 생산된다. 2개의 멈춤부는 공통적인 멈춤 윤곽부에 의하여 지지 또는 제공되며, 결과적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록 하우징/록 커버에 연결된다. 록은 실제로 그리고 포괄적으로 개별적인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록 요소를 지지, 운반 그리고 수용하는 록 케이스 및 록 케이스를 밀봉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록 하우징/록 커버를 포함한다.
멈춤 윤곽부가 기본적으로 차량 도어 록 내에서 요구되는 모든 멈춤부를 포함함에 따라, 록 하우징/록 커버가 록 케이스와 결합하자마자 이들 멈춤부는 직접적으로 제공되며, 이 목적에 관하여, 멈춤 윤곽부는 록 하우징/록 커버에 배치되거나 연결된다. 특별히 비용 면에서 효과적인 제품을 이루기 위하여, 록 하우징/록 커버 그리고 멈춤 윤곽부는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일-부재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이하,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대상물의 배면도.
도 3은 종동 풀리와 록킹 레버의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차량 도어 록의 상세 부분 사시도.
도면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종전과 같이 록킹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로터리 래치 그리고 포올을 포함한다. 포올은 트리거 레버(1)에 의하여 충격을 받으며, 트리거 레버는 록 하우징 또는 록 케이스 내에 축(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리거 레버(1)가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 운동을 수행 또는 수행할 수 있자마자, 도 1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1)는 포올을 로터리 래치에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EP 1 320 652 B1에 상세하게 개시된 기능과 유사하다.
도면은 또한 축(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요소 또는 록킹 레버(3)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레버(3)는 "록킹" 위치(VR)를 취한다. 도 1은 또한 록킹 레버(3)의 "언록킹" 위치(ER)를 도시한다.
포괄적인 설계는 또한 전기 구동부(5, 6, 7)를 포함한다. 전기 구동부(5, 6, 7)는 전기 모터(5), 전기 모터(5)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주는 워엄 기어(6) 및 마지막으로 워엄 기어(6)와 치합된 종동 풀리(7)를 포함한다. 종동 풀리(7)는 그 축(A)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과 관련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제 1 구동 방향으로 그리고 제 2 구동 방향에 대응하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정상 작동 동안, 핸들(9)과 신호 발생기(10)는 핸들(9) 상에서의 열림 운동이 신호 발생기(10)에 의하여 기록되고 제어 유니트(8)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어 유니트(8)는 신호 발생기(10) 상의 각 충격을 관련된 차량 도어가 열려지는 것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제어 유니트(8)는 전기 모터(5)가 동력을 공급받고 종동 풀리(7)가 도 1의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전기 구동부(5, 6, 7)의 도움으로 전기적 열림 동안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의 정상적인 작동에서의 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은 트리거 레버(1)에 충격을 주고 트리거 레버를 그 회전축(2)을 중심으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열림 윤곽부(11) 또는 열림 캠(11)에 대응한다. 그 결과, 트리거 레버(1)는 포올이 로터리 래치에서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로터리 래치는 결국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린다 (도 1 및 도 2 참조).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각 기능을 위한 회전 방향은 변화될 수 있다.
열림 윤곽부 또는 열림 캠(11)은 전기 구동부(5, 6, 7)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열림 윤곽부 또는 열림 캠(11)은 종동 풀리(7) 상에 위치한다.
전기 구동부(5, 6, 7)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은 전기 구동부(5, 6, 7)가 트리거 레버(1)에 충격을 가한 후 후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복귀 스프링(12)은 본 실시예에서 중심/제로 스프링(centre/zero spring)으로 설계된다.
설명된 전기적 열림 동안에 종동 풀리(7) 상의 블록킹 윤곽부(13)는 록킹 레버(3)가 도 1에 도시되고 취해진 "록킹" 위치(VR)를 항상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설명된 전기적 열림 과정 동안에 블록킹 윤곽부(13)는 각 록킹 레버(3) 상에서 돌출부(14)와 상호 협력한다. 이렇게 하여, 전기 구동부(5, 6, 7) 또는 종동 풀리(7)는, 록킹 레버(3)의 전기적 열림 동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레버가 "록킹" 위치(VR)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릴리즈 록을 포함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릴리즈 록 또는 이미 설명된 차단 윤곽부(13)는 전기 구동부(5, 6, 7)의 부재로써의 종동 풀리(7) 상에 제공된다.
핸들(9)은 신호 발생기(10)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시된 블록킹 레버(15)에 충격을 가한다. 이 블록킹 레버(15)는 공통 회전축(2) 주변에서 트리거 레버(1)와 동일 축 상에 장착된다. 열림 감지 상태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핸들(9)이 작동하자마자, 블록킹 레버(15)는 축(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블로킹 레버(15) 상의 블록킹 돌출부(16)는 전기 구동부(5, 6, 7) 또는 종동 풀리(7)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핸들(9) 그리고 블록킹 레버(15)가 충격을 받지 하지 않으면, 블록킹 돌출부(16)는 전기 구동부(5, 6, 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리고 전기 구동부(5, 6, 7)의 잠재적인 부정확한 동력 공급 동안에 이 과정 동안에 멈춤부(17)가 블록킹 돌출부(16)에 맞서 이동함에 따라 수행된 반시계 방향 운동이 감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때까지 종동 풀리(7)에 의하여 수행된 선회 운동은 록킹 메커니즘의 부정확한 동력 공급이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야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블록킹 레버(15) 상의 멈춤부(17)와 블록킹 돌출부(16)는 언록킹 위치에서 록킹 위치로 록킹 레버(3)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구동부(5, 6, 7)의 선회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보장한다.
만일 록킹 레버(3)가 예를 들어, "언록킹" 위치(ER)에 있다면,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전기 구동부(5, 6, 7)에 또는 그 종동 풀리(7) 상의 충격은 종동 풀리(7) 상의 록킹 윤곽부(18)가 (축(4)을 중심으로 "언록킹" 위치(ER)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록킹" 위치(VR)로 선회하는) 록킹 레버(3)의 블록킹 돌출부(14)와 맞물리게 한다. 반시계 방향으로의 종동 풀리(7)의 이 선회 운동은 블록킹 레버(15)의 블록킹 돌출부(16)에 맞서 이동하는 종동 풀리(7) 상의 블록킹 멈춤부(17)에 의하여 제한된다.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의 전환 직후에, 비상 작동은 제어 유니트(8)와 전기 모터(5)가 더 이상 구동 풀리(7)가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제 1 구동 방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고 대신에 시계 방향(제 2 구동 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종동 풀리(7) 상의 록킹 또는 언록킹 윤곽부(18)는 록킹 레버(3) 상의 언록킹 돌출부(19)와 맞물린다. 이 과정 동안에 종동 풀리(7)가 그 축(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언록킹 또는 록킹 돌출부(19)와 언록킹 윤곽부(18) 간의 상호 협조가 록킹 레버(3)가 그 축(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과정 동안에, 록킹 레버(3)는 멈춤부(20)를 떠나며 멈춤부(31)에 맞서 이동한다. 동시에, 록킹 레버(3)는 그의 "록킹" 위치에서 "언록킹" 위치로 이동한다. 양 멈춤부(20, 21)는 멈춤부(22)를 또한 포함하는 멈춤 윤곽부(23)의 부분이다. 전기적 열림 동안에 전기 구동부(5, 6, 7)가 그 종단부(17)와 함께 위의 멈춤부에 맞서 이동하자마자 이 멈춤부 또는 종단 멈춤부(22)는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적 열림 동안에 블록킹 레버(15)가 핸들(9)의 도움으로 선회함으로써 이는 종동 풀리(7) 상의 멈춤부(17)가 블록킹 레버(15)를 지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상 작동 동안에 종동 풀리(7) 상의 언록킹 윤곽부(18)가 록킹 레버(3)를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킬 때 멈춤 윤곽부(27)가 비상 작동을 위한 종단 멈춤부로써 사용된다.
종동 풀리(7)가 요부(24)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또한 명백하다. 이 요부(24)는 전기적 열림 과정이 이미 시작될 때 핸들(9)의 반복 작동 또는 핸들(9)의 해제 및 반복 작동이 블록킹 레버(15)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1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전체 멈춤 윤곽부(23)는 탄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 록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개별적인 멈춤부(20, 21, 22 및 27)를 갖는 멈춤 윤곽부(23)의 상세도이다. 2개의 멈춤부(20, 21)는 록킹 레버(3)와 대응하는 반면에, 멈춤부(22)는 전기 구동부(5, 6, 7)와 상호 협력하고 따라서 종단 멈춤부(22)로서 설계된다. 멈춤 윤곽부(23)는 상부에 포함된 멈춤부(20, 21, 22 및 27)를 갖는 단일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멈춤 윤곽부(23)는 실제로 사출 성형된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멈춤 윤곽부(23)는 록 하우징/록 커버와 함께 사출 성형된 2-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상세도로부터, 각 경우에 댐핑을 위하여 캐비티(25)가 멈춤부(20, 21 및 22)에 배치된 것이 명백하다. 이는 멈춤부(20, 21 및 22)가 자신의 재료 특성으로 인한 어떠한 변형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변형을 흡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 동안, 각 멈춤부(20, 21 및 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멈춤부(25) 뒤의 캐비티(25) 내로의 힘의 방향으로 옮겨간다. 힘의 방향은 각 멈춤부(20, 21 및 22)에 맞서 이동하는 요소 그리고 감속될 다른 요소에 의하여 규정된다. 한편으로는 2개의 멈춤부(20 및 21)와 관련한 록킹 레버(3)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구동부(5, 6, 7)의 종동 풀리(7) 상의 멈춤부(17)가 있다.
이 적용에 기초한 유연한 댐핑을 이루기 위하여, 캐비티(25)는 다른 경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전체 멈춤 윤곽부(23)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 커버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도면 또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에서, 록 커버는 돌출부의 평면 위에 위치한다. 사실상, 멈춤 윤곽부(23)는 록 커버와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2-부품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멈춤 윤곽부(23)의 다른 비댐핑 캐비티(26)는 멈춤 윤곽부(23)와 사용된 재료의 전체 무게가 최소한으로 감소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특히 도 4로부터 멈춤 윤곽부(23)가 양 종단에 보다 두께운 부분을 갖는, 전체로서 아치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보다 두꺼운 부분은 캐비티(25) 그리고 관련된 멈춤부(21 또는 21 및 22)에 의하여 제공된다. 보다 두꺼운 부분은 정사각형이며 멈춤 윤곽부(23)의 종단에 연결된다. 보다 두꺼운 부분은 캐비티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이다. 각 프레임워크(framework) 레그 또는 다수의 프레임워크 레그가 멈춤부(20, 21, 22)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4에서 좌측의 두꺼운 부분은 실제로 하나의 프레임워크 레그를 갖는 멈춤부(21)로써 설계된다. 반대로, 도 4의 우측의 두꺼운 부분은 2개의 멈춤부(20, 22)를 포함하며, 이 2개의 멈춤부는 실제로 중앙 캐비티(25)를 향하는 프레임워크 레그에 관하여 반대로(diametrically) 배치된다.

Claims (15)

  1. 록킹 메커니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록 요소(3)뿐만 아니라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5, 6, 7) 그리고 전기 구동부(5, 6, 7) 및/또는 록 요소(3)를 위한 적어도 2개의 멈춤부(20, 21, 22, 27) 를 포함하되, 하나의 멈춤부(20, 21)는 록 요소(3)에 배치되며, 다른 멈춤부(22, 27)는 전기 구동부(5, 6, 7)에 배치되고, 양 멈춤부(20, 21, 22, 27)는 공통 멈춤 윤곽부(23)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멈춤부(20, 21)는 록 요소(3)에 배치되어 록 요소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3. 제1항에 있어서, 록 요소(3)는 선회되는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양 멈춤부(20, 21)는 다른 기능적 위치에 속한 록 요소(3)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록 요소(3)는 록킹 레버(3)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록킹 레버(3)의 2개의 멈춤부(20, 21)는 "록킹" 또는 "언록킹"의 기능적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를 위한 2개의 멈춤부(22, 27)는 종단 멈춤부(22, 27)로써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정상 작동 동안 전기 구동부(5, 6, 7)는 전기적 열림을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에 충격을 가하며 그리고 적어도 비상 작동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의 기계적 열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모터(5),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워엄 기어(6) 그리고 워엄 기어와 치합된 종동 풀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위에 형성된 멈춤부(20, 21, 22, 27)를 갖는 요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사출 성형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캐비티(25)는 댐핑을 위하여 각 멈춤부(20, 21, 22, 27)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탄성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종단에 보다 두꺼운 부분을 갖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멈춤 윤곽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멈춤 윤곽부와 단일 부재를 형성하는 록 하우징, 특히 록 커버를 갖고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KR1020147025849A 2012-02-28 2013-02-26 차량 도어 록 KR102087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01961.9 2012-02-28
DE201220001961 DE202012001961U1 (de) 2012-02-28 2012-02-28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CT/DE2013/000102 WO2013127381A2 (de) 2012-02-28 2013-02-26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174A true KR20140130174A (ko) 2014-11-07
KR102087347B1 KR102087347B1 (ko) 2020-03-11

Family

ID=482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849A KR102087347B1 (ko) 2012-02-28 2013-02-26 차량 도어 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77515B2 (ko)
EP (1) EP2820207B1 (ko)
JP (1) JP6179001B2 (ko)
KR (1) KR102087347B1 (ko)
CN (1) CN104271860B (ko)
CA (1) CA2865685A1 (ko)
DE (1) DE202012001961U1 (ko)
IN (1) IN2014DN07251A (ko)
MX (1) MX2014010285A (ko)
RU (1) RU2014137968A (ko)
WO (1) WO20131273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288A1 (de)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111298A1 (de) *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3212896A1 (de) * 2013-07-02 2015-01-08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mit Positionssicherung
US20150204115A1 (en) * 2014-01-17 2015-07-23 Kurt E. Nurmi Latch housing with strengthening feature
DE102014001789A1 (de) 2014-02-12 2015-08-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hftfahrzeugtürschloss
DE112015002256A5 (de) 2014-05-12 2017-07-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JP6435561B2 (ja) * 2014-10-29 2018-12-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WO2016206665A1 (de) 2015-06-22 2016-12-2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8120284A1 (de) * 2018-08-21 2020-02-2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einheit
DE102018120551A1 (de) * 2018-08-23 2020-02-27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JP7044079B2 (ja) * 2019-01-10 2022-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9128289A1 (de) * 2019-10-21 2021-04-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CN115012747A (zh) * 2021-03-05 2022-09-06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锁
DE102021106210A1 (de) 2021-03-15 2022-09-15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omotorischer Antrieb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DE102021128439A1 (de) 2021-11-02 2023-05-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32141A1 (de) 2021-12-07 2023-06-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006216A1 (de) 2021-12-16 2023-06-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2107499A1 (de) 2022-03-30 2023-10-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9361B1 (en) * 1995-12-20 2001-08-28 Vdo Adolf Schindling Ag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JP2005220615A (ja) * 2004-02-05 2005-08-18 Shiroki Corp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2182148A2 (en) * 2008-10-28 2010-05-0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Lid lock apparatus for vehicle
US20110210565A1 (en) * 2008-11-19 2011-09-01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5923U1 (ko) 1987-12-02 1988-02-04 Philipp, Klaus Ulrich
CA1310031C (en) 1988-03-31 1992-11-10 Wolfgang Thau Latch housing & striker for being secured in the latch housing
JP2511115B2 (ja) * 1988-07-21 1996-06-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
JP2707637B2 (ja) * 1988-09-30 1998-02-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ゲージドアロック装置
DE3923688A1 (de) * 1989-07-18 1991-01-24 Swf Auto Electric Gmbh Stelleinrichtung zur tuerverriegelung bei kraftfahrzeugen
DE4131891A1 (de) * 1991-09-25 1993-04-01 Bosch Gmbh Robert Sperrvorrichtung fuer tueren eines kraftfahrzeugs
US5454608A (en) * 1993-10-12 1995-10-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DE19505779A1 (de) * 1995-02-20 1996-08-29 Bocklenberg & Motte Bomoro Kraftfahrzeug-Klappenschloß,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ß
JP3750031B2 (ja) * 1996-06-20 2006-03-01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ドアロック装置
US5938252A (en) * 1996-08-22 1999-08-17 Asmo Co., Ltd. Door member locking/unlocking apparatus
DE19706657C5 (de) * 1997-02-20 2007-06-28 Siemens Ag Schloss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es
FR2775717B1 (fr) * 1998-03-03 2000-05-05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Dispositif d'ouverture/fermeture d'un ouv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828040B4 (de) 1998-06-24 2005-05-19 Siemens Ag Kraftunterstützte Schließeinrichtung
US6328353B1 (en) 1999-06-16 2001-12-11 Atoma International Vehicle door latch assembly
FR2795445B1 (fr) * 1999-06-25 2001-09-07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a decondamnation automatique a l'ouverture, notamment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000708B4 (de) 2000-01-10 2010-09-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Türen und/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10048709A1 (de) 2000-09-30 2002-04-1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6557911B2 (en) * 2001-01-23 2003-05-06 Kiekert Ag Power-open motor-vehicle door latch
DE10226355B3 (de) * 2002-06-13 2004-04-08 Atoma International Corp. Germany Betätigungsvorrichtung
EP1457625A3 (de) * 2003-03-08 2008-08-27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mit elektrischem Öffnungsantrieb
DE10320459A1 (de) 2003-05-08 2004-12-1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5611599B2 (ja) * 2007-02-28 2014-10-22 マグナ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ラッチ
FR2916788B1 (fr) * 2007-06-01 2013-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a assistance de fermet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4963720B2 (ja) * 2009-12-21 2012-06-2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DE102012003854A1 (de) * 2012-02-29 2013-08-2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eines Gesper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9361B1 (en) * 1995-12-20 2001-08-28 Vdo Adolf Schindling Ag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JP2005220615A (ja) * 2004-02-05 2005-08-18 Shiroki Corp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2182148A2 (en) * 2008-10-28 2010-05-0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Lid lock apparatus for vehicle
US20110210565A1 (en) * 2008-11-19 2011-09-01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2001961U1 (de) 2013-05-29
EP2820207B1 (de) 2016-04-27
US20150042110A1 (en) 2015-02-12
JP2015513623A (ja) 2015-05-14
US9777515B2 (en) 2017-10-03
EP2820207A2 (de) 2015-01-07
KR102087347B1 (ko) 2020-03-11
CN104271860A (zh) 2015-01-07
CA2865685A1 (en) 2013-09-06
WO2013127381A3 (de) 2014-03-27
IN2014DN07251A (ko) 2015-04-24
MX2014010285A (es) 2015-04-08
RU2014137968A (ru) 2016-04-20
CN104271860B (zh) 2017-03-01
WO2013127381A2 (de) 2013-09-06
JP6179001B2 (ja)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174A (ko) 차량 도어 록
KR102015685B1 (ko) 차량 도어 록
JP6986951B2 (ja) 無段差開放操作部
KR10115429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KR102097056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CN102575487B (zh) 把手设备
CN2886015Y (zh) 机动车辆的闩锁
KR101572247B1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US20170260780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8186730B2 (en) Latch for vehicles
CN110306887A (zh) 具有呈双掣爪构型的闩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CN108474225B (zh) 机动车锁
US9174583B2 (en) Storage container for motor-vehicle interior
EP2071106A1 (en) Power closing latch device
KR20150053957A (ko) 차량 도어 록
CN103526992A (zh) 可展开的车门把手
US9016734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US1081570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and method for selectively operating a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or without a security device
CN1550629A (zh) 锁机构
KR20150009967A (ko) 플랩 또는 도어용 록
WO1997022771A1 (en) Power striker with inertially activated impact cycle
KR102630466B1 (ko) 차량 래치
EP0959205B1 (en) Vehicle door lock
US9739077B2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US2019023411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