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466B1 - 차량 래치 - Google Patents

차량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466B1
KR102630466B1 KR1020187002749A KR20187002749A KR102630466B1 KR 102630466 B1 KR102630466 B1 KR 102630466B1 KR 1020187002749 A KR1020187002749 A KR 1020187002749A KR 20187002749 A KR20187002749 A KR 20187002749A KR 102630466 B1 KR102630466 B1 KR 10263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pawl
triggering lever
lever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230A (ko
Inventor
홀게르 쉬퍼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2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05B81/15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with means preventing the detent to return to its latching position before the bolt has moved to the unlatch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래치(2), 적어도 하나의 폴(3), 로터리 래치(2)로부터 폴(3)이 맞물림 해제되도록 해주는 트리거링 레버(4) 및 로터리 래치(2)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작동된 트리거링 레버가 작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해주는 래칭 레버를 포함하되, 트리거링 레버는 로터리 래치92)에 의해 일부 구간들에서만 가이드될 수 있는 차량 록(1)과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 래치
본 발명은 캐치(catch)와 적어도 하나의 폴(pawl), 트리거링 레버(triggering lever), 보관 레버 기능(storage lever function)을 구비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가진 차량 래치(latch)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폴이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캐치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활성화된 트리거링 레버가 보관 레버 기능에 의해 활성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차량에서 기능적인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플랩(flap), 도어, 슬라이딩 도어 또는 후드(hood)에 사용된 차량 래치들에는 수많은 기능들이 설치된다. 이런 기능들 중 하나는 차량에서 로킹 메커니즘의 개방 시에 다시 걸어잠김(relatching) 또는 불완전한 개방이 방지되는 것이다.
특히, 래치가 테일게이트 래치일 경우, 래치의 전기적인 또는 수동적인 개방 후에 플랩이 높은 하중, 특히 적설 하중(snow load)으로 작용됨에 따라 로킹 매커니즘이 래치 홀더의 맞물림 영역에 남아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래치 홀더와 맞물린 캐치는 폴의 맞물림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거나 폴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완전히 피벗될 수 없어서 폴이 캐치와 다시 맞물릴 위험이 있다. 로킹 메커니즘의 잠금 해제 이후에 폴이 캐치와 다시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설 하중 기능이 차량 래치에 통합될 수 있다. 개방 과정에서 맞물림 해제된 폴은, 폴이 캐치와 다시 맞물릴 수 없는 위치로 유지된다. 폴을 맞물림 해제 위치로 유지하는 것은 보관 레버 기능 또는 적설 하중 기능으로 설명된다.
DE 10 2013 018 451.7로부터, 보관 레버 기능이 장착된 차량 래치 및 특히 테일게이트 래치가 알려져 있다. 캐치와 폴로 이루어진 로킹 메커니즘에서, 폴이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게 하는 태핏 외곽선(tappet contour)이 제공되는 트리거링 레버가 제공된다. 알려져 있는 차량 래치는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래치인데,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는 캠 디스크를 통해 활성화된다. 트리거링 레버와 폴은 공통 축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수용되는데, 이로써 트리거링 레버가 태핏 외곽선으로 폴을 피벗시킬 수 있다.
보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하우징으로 몰딩된 보관 레버가 제공되는데, 이는 트리거링 레버의 돌기와 상호 작용하여 트리거링 레버가 그 편향된 위치, 개방 위치, 편향되거나 개방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트리거링 레버의 피벗 및 따라서 캐치로부터 폴의 맞물림 해제 이후에 트리거링 레버가 보관 레버와 트리거링 레버 상의 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되거나 그 위치에 유지된다.
태핏 외곽선에 의해, 폴은 동시적으로 한 위치에 유지되는데, 이는 캐치와의 다시 맞물림을 방지한다. 예컨대, 이 경우 캐치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예비 라쳇 위치(pre-ratchet position)를 가진다면, 보관 기능은 폴이 캐치의 메인 라쳇 또는 예비 라쳇과 맞물리는 것을 방지한다. 캐치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만 캐치 상의 트리거링 외곽선이 보관 레버와 맞물리며 트리거링 레버를 해제하는데,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와 폴은 그들의 시작 위치로 되돌아 움직여지거나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캐치와 접할 수 있다. 즉, 트리거링 레버와 폴이 캐치에 접한다. 이 접하게 되는 것은 스프링 프리텐션(pre-tensioning)에 의해 일어난다.
다른 차량 래치가 DE 103 61 168로부터 알려지게 되었다. 설명된 차량 래치도 보관 레버 기능을 포괄하고 있는데, 여기서 스프링 암(spring arm)은 폴이 캐치와 맞물림 해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식으로 라쳇 연결 대응 요소를 가진 라쳇 연결 요소와 상호 작용한다. 라쳇 연결 요소는 드라이브 암에 몰딩되어 있고 외곽선, 캐치 상의 라쳇 연결 대응 요소와 상호 작용한다. 라쳇 연결 요소와 라쳇 연결 대응 요소는 로킹 메커니즘이 개방될 때 맞물리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라쳇 위치와 예비 라쳇 위치를 통해 폴을 안내한다. 라쳇 연결 요소와 라쳇 연결 대응 요소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만 다시 맞물림 해제된다. 라쳇 연결 요소와 라쳇 연결 대응 요소는 따라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며 폴은 스프링으로 예비 긴장된 상태로 캐치에 접하여 놓인다.
보관 기능을 가진 차량 래치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로킹 메커니즘이 잠겨 있을 때, 폴 및/또는 트리거링 레버가 캐치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캐치의 활성화 속도에 따라 캐치에 의한 폐쇄 동안에 충격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트리거링 레버 및/또는 폴은 통상적으로 캐치에 접하며 캐치에 의해 스프링 예비 긴장된 방식으로 안내된다. 캐치가 폐쇄 동안에 지나치게 가속되면, 이것은 폴 및/또는 트리거링 레버가 보관 레버 기능에 도달할 수 있는 식으로 폴 및/또는 트리거링 레버가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해 작용을 받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관 레버 기능에 의한 로킹 메커니즘의 잠김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향상된 차량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 래치들의 기능적인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성으로 언제든지 로킹 메커니즘 기능들의 맞물림을 보장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비용 효율적인 차량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하위 청구항들에서 특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한정적이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 및 하위 청구항들에 설명된 특징들의 임의의 가능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강조된다.
청구항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과제는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폴, 트리거링 레버, 보관 레버 기능을 가진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한, 제공되는 차량 래치에 의해 해결되는데,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폴이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캐치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활성화된 트리거링 레버가 보관 레버 기능에 의해 활성화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트리거링 레버는 캐치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안내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가 곳곳에서 캐치에 의해 안내될 수만 있다는 점으로 인해, 이것은 트리거링 레버가 캐치의 모든 위치들에서 캐치 상의 접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될 가능성을 만들어낸다. 예컨대 캐치에 의한 신속한 활성화에 의한 트리거링 레버의 의도치 않은 움직임이 따라서 표적화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트리거링 레버는 트리거링 레버의 기능에 필수적인 캐치에 의해 해당 영역에서만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래치는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폴을 가진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캐치와 폴은 따라서 폴이 캐치를, 캐치가 예컨대 래치 홀더에 의해 움직여졌던 한 위치에 고정하는 식으로 상호작용한다. 차량 래치 및 따라서 캐치는 차량 래치의 도어, 테일게이트, 슬라이딩 도어, 보관 구획, 리어 시트 벤치 또는 후드에 장착될 수 있고 예컨대 섀시(chassis)에 부착된 래치 홀더 또는 래치 홀더 브래킷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차량 래치가 예컨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어 있고, 래치 홀더가 섀시에 위치하고 있다면, 캐치는 테일게이트의 폐쇄에 의해 래치 홀더와 맞물릴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폐쇄 위치들, 예비 라쳇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다. 테일게이트의 폐쇄에 의해 캐치가 도달하는 폐쇄 위치에서, 캐치는 폴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 즉 록(lock, 잠김)된다. 로킹 메커니즘은 하나 또는 몇몇의 평면들에서 캐치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량 래치는 트리거링 레버를 구비하는데,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폴 또는 폴들이 캐치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는 폴 상에 맞물리며 폴을 캐치의 피벗 영역 바깥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캐치는 스프링 예비 긴장(spring pre-tensioning) 및/또는 플랩이나 도어의 실링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나 플랩이 개방 위치에서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래치가 보관 레버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폴은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캐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히 적설 하중이 예컨대 테일게이트 상에 작용하고 플랩이 완전히 개방될 수 없을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의 조작자는, 폴이 캐치의 회전 각도와 관련하여 예컨대 캐치의 예비 라쳇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있더라도 플랩을 개방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 및 특히 보관 레버 기능은 캐치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 즉 개방 위치로 움직여질 때까지 폴을 캐치와 맞물림 해제된 채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이것은 테일게이트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조작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캐치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보관 레버 기능은 폴과 트리거링 레버가 캐치에 다시 접해지도록 비활성화된다.
캐치가 개방 위치에 있다면, 폴과 트리거링 레버는 캐치에 접하며 캐치에 의해 안내된다. 트리거링 레버는 본 발명에 따르면 캐치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안내된다. 트리거링 레버는 로킹 메커니즘의 폐쇄 동안에 캐치에 의해 특히 부분적으로만 안내된다. 이것은 트리거링 레버가 캐치의 폐쇄 움직임에 의해 규정되지 않은 위치, 특히 보관 레버 위치가 아닌 위치로 전환될 수 없는 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폴과 트리거링 레버는 캐치 상의 차량 래치의 개방 위치에서 접해 있다. 개방 위치는 차량 래치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캐치가 위치되어 있는 위치이다. 유리하게는, 캐치는 트리거링 레버와 폴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캐치는 폴 및/또는 트리거링 레버와 상호 작용하는 제어 외곽선들, 바람직하게는 표면 외곽선들(superficial contours)을 갖고 있다. 제어 외곽선들은 캐치 상의 하나의 평면 또는 서로 다른 평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치 상의 제어 외곽선들의 형성에 의해 특히 캐치가 움직이는 동안 및 캐치의 개방 위치의 극단 위치에서 트리거링 레버의 폴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킹 메커니즘이 예비 라쳇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지고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출되는데, 여기서 폴 및 트리거링 레버는 캐치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라쳇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예비 라쳇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 메커니즘은, 차량 래치 또는 테일게이트 또는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개방 위치로부터 캐치에 의해 폴과 트리거링 레버가 개방될 수 있는 식으로 형성된다.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캐치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라쳇 위치로 피벗 움직임에 의해 움직여진다. 예비 라쳇 위치는 폴이 캐치와 맞물릴 수 있고 로킹 메커니즘이 맞물린 폴에 의해 테일게이트, 도어 또는 플랩의 개방을 막는 위치이다. 캐치 상의 제어 외곽선은 캐치의 폐쇄 움직임 동안 폴과 트리거링 레버를 안내하여 폴과 트리거링 레버가 항상 규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폴과 트리거링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에 의해 예비 긴장(pre-tensioning)되며 캐치에 대한 관계에서 스프링 예비 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폴이 메인 라쳇 위치에서 캐치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트리거링 레버가 예비 라쳇 위치에 있는 동안 가졌던 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면 또 하나의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치의 폐쇄 움직임 동안 폴만이 캐치에 의해 완전하게 안내된다. 트리거링 레버는 캐치 상의 예비 라쳇 위치까지만 캐치 상에서 접해 있다. 특히, 예비 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의 캐치의 움직임에 의해 트리거링 레버는 더 이상의 충격을 겪지 않아서, 트리거링 레버의 움직임이 캐치의 예비 라쳇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원치 않은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원치 않은 위치는, 예를 들어 래치의 보관 레버 기능 동안 트리거링 레버가 위치되어 있는 곳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치는 예비 라쳇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폴과 트리거링 레버를 안내한다.
예비 라쳇 위치에 도달한 이후, 폴만이 캐치에 의해 안내된다. 예컨대 캐치의 매우 급속한 폐쇄 과정에서, 이것은 보관 레버 기능이 활성화되는 위치에 트리거링 레버가 도달하는 식으로 트리거링 레버가 가속되는 것에 의해 충격 또는 모멘트가 트리거링 레버로 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비 라쳇 위치에의 도달 이후 트리거링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그 위치에서 추진 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적어도 스위칭 수단이 연장부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는 그런 연장부를 폴이 가지고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귀결된다. 폴의 연장부에 의해 폴 및/또는 캐치의 유지 위치들 또는 보관 위치들을 감지할 가능성이 생겨난다.
예를 들어, 폴이 스위칭 수단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면,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위치의 평가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의 상태에 대한 설명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수단이 예비 라쳇 위치 및/또는 메인 라쳇 위치로의 도달시,
. 스위칭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식으로 연장부가 폴에 부착되어 있다면, 스위칭 수단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이 라쳇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가 감지될 수 있다. 차량 래치에서 이렇게 폴에 의해 다른 기능이 가져질 수 있다. 다른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연장부들이 폴 상에 형성된다는 것 역시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가 태핏 외곽선을 갖고 있고 폴이 태핏 외곽선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으며 특히 편향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로 귀결된다. 트리거링 레버 상의 태핏 외곽선에 의해 한편으로는 폴이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동시에 캐치에 의해 폴을 안내할 가능성이 존재하도록 폴의 편향 또는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는 보관 레버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에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채로 폴을 유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폴은 트리거링 레버와 독립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움직여질 수 있다.
특히 캐치의 예비 라쳇 위치로의 도달 이후, 그리고 이어지는 트리거링 레버의 폴의 독립적인 안내 이후에 폴은 트리거링 레버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트리거링 레버와 독립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한편으로는, 트리거링 기능이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성취될 수 있고, 동시에 보관 레버 기능이 트리거링 레버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는 폴을 부분적으로만, 그리고 트리거링 레버가 바람직하게는 로킹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캐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경우에만 데리고 다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폴과 트리거링 레버는 공통된 피벗 축을 가지고 있다. 폴과 트리거링 레버를 위한 공통 피벗 축의 형성으로 인해 컴팩트한 구조가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 태핏과 보관 레버 기능 역시 구조적으로 이로운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폴 및 트리거링 레버를 위한 공통 축에 의해 라쳇 및 스위칭 요소로서의 폴과 트리거링 레버의 조합된 기능이 구조적으로 이로운 방식으로 보관 및 태핏 요소로서 수행될 수 있다. 분리된 요소들로서, 트리거링 레버와 폴은, 래치의 모든 안전 관련 기능들이 묘사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원치 않는 기능적 위치들과 관련하여 래치가 보호되도록 서로 다른 다중적인 기능들을 가진다. 차량 래치의 폐쇄 또는 로킹 메커니즘의 폐쇄 동안 트리거링 레버의 부분적인 안내는 특히 이 목적에 기여한다.
트리거링 레버가 전기적 드라이브, 특히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제어 외곽선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로 귀결된다. 전기적 드라이브에 의한, 특히 전기적 제어 외곽선에 의한 트리거링 레버의 활성화는, 특히 스위칭 위치들, 래치 요소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위칭 수단 및 바람직하게는 래치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캐치, 폴 및 트리거링 레버가 임의의 지점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전기적 드라이브 상의 제어 외곽선에 의해, 차량 래치가 임의의 시간에 전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폴의 트리거링 순간들 상에 충격이 가져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가장 큰 인장 응력에 대응할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폴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코어로 구현된다. 반대로, 폴에 몰딩된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하이브리드 구성이 구현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강도 요구 조건을 충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능한 한 가벼운 구조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플라스틱은 순차로 스위칭 수단의 배열이 폴과의 상호 작용에서 구조적으로 이로운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손쉽게 몰딩될 수 있다. 또한, 폴의 금속 부분은, 한편으로는 감쇄 효과를 가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폴의 유리한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레버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플라스틱으로 트리거링 레버를 형성하는 것은 제조의 관점에서 트리거링 레버의 다중적인 기능들과 관련하여 손쉽게 형성될 수 있는 가벼운 구성이 형성되도록 해준다. 특히, 캐치에 대한 제어 외곽선을 가진 트리거링 레버를 안내하기 위해 필요한 표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동시에 캐치와 트리거링 레버 사이의 유리한 마찰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리한 실시예를 구성할 뿐이라는 원칙이 적용된다. 설명된 특성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발명의 설명 및 청구항들의 다른 특성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 래치, 특히 하우징 리드가 없는 테일게이트 래치의 평면도로서, 로킹 메커니즘이 캐치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 래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캐치의 예비 라쳇 위치가 재현되어 있다
도 3에서 차량 래치는 도 1 및 도 2에 따라 순차로 분기하는데, 여기서 캐치는 폴이 메인 라쳇 위치로 맞물리기 직전의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차량 래치로서, 래치는 폴의 메인 라쳇 위치, 따라서 테일게이트의 폐쇄 상태에서 재현되어 있다.
도 1은 차량 래치(1) 및 특히 테일게이트 래치(1)를 평면도로서, 래치 리드(latch lid) 없이 나타내고 있다. 차량 래치(1)는 캐치(2), 폴(3), 트리거링 레버(4) 및 전기 드라이브(5)를 구비한다. 다음의 내용이 또한 명백하다.
스위칭 수단(6, 7), 래치 하우징(8) 및 제어 외곽선(10)을 가진 기어 휠(9). 웜기어(11)는 기어 휠(9)이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인 전기 드라이브(5)와 기어 휠(9) 사이에 배치된다.
캐치(2)의 개방 위치가 도 1에 재현되어 있다. 도어 또는 플랩의 폐쇄에 의해, 차량 래치(1)는 캐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성취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래치 홀더에 대해 움직여진다. 개방 위치에서, 캐치(3)는 캐치의 인접 외곽선(adjacency contour)(12) 상에 접해 있다. 폴(3)은 바람직하게는 캐치(2)에 대해 스프링 예비 긴장된 방식으로 접하게 놓여 있는데, 여기서 폴(3)은 래치 하우징(8)에서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축(13) 둘레에 수용되어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레버(4)가 또한 축(13) 둘레에 피벗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캐치(2)의 외곽선 상에 접하게 놓여 있다. 캐치(2)에 대한 트리거링 레버(4)의 인접 외곽선은 도 1에 묘사된 도면에서 캐치(2)이 배후에 위치한다. 트리거링 레버(4)는 또한 스프링 예비 긴장된 방식으로 캐치(2)에 대해 접한다.
도 2에서, 도 1에 따른 차량 래치(1)가 재현되어 있는데, 여기서 캐치(2)는 반시계 방향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 피벗되어 있고, 폴(3)은 캐치(2)의 예비 라쳇(14)으로 맞물려 있다. 폴(3)과 트리거링 레버(4)는 캐치(2) 상의 캐치 외곽선(15)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예비 라쳇 위치들로 안내된다. 도 2에서 폴(3)을 안내하기 위한 캐치 외곽선(15)만이 보인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연장부(16)가 캐치(3) 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특히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는 스위칭 수단(6)과 맞물린다. 스위칭 수단(6)은 따라서 캐치(2)가 폴(3)과 맞물렸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6)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이 라쳇 위치에 있는지가 감지될 수 있다. 폴(3)과 트리거링 레버(4)는 도 2에서 축(13)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피벗되어 있다. 트리거링 레버(4)는 기어 휠(9)의 제어 외곽선(10)과 맞물린다.
도 3에서, 차량 래치(1)가 순차로 재현되어 있는데, 여기서 캐치(2)는 화살표(P)의 방향으로 순차로 피벗되었고 폴(3)은 캐치 외곽선(17)에 의해 안내된다. 연장부(16)는 연장부(16)가 스위칭 수단(6)으로부터 상승되어 재현되도록 토크 프루프(torque-proof) 방식으로 폴(3)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 명백한 바와도 같이, 트리거링 레버(4)는 기어 휠(9)의 제어 외곽선(10) 상에 계속하여 접하게 놓이며 예비 라쳇 위치에 상응하는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화살표(P) 방향으로의 캐치의 회전 움직임 또는 폐쇄 동안 트리거링 레버(4)의 부분적인 안내로 인해 트리거링 레버(4)는 캐치(2)에 의한 충격 또는 모멘트의 작용을 추가적으로 받지 않는다.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4)가 캐치(2)의 과도하게 신속한 움직임에 의해 지나치게 급격히 가속되지 않으며, 적설 하중 기능에 대응하는 위치로 잠정적으로 움직여지는 것이 보장된다. 적설 하중 레버(8)가 또한 도 3에서 명백한데, 여기서 적설 하중 레버(18)는 적설 하중 기능의 경우에 트리거링 레버(4)의 단부 영역(19)과 맞물린다. 캐치(2)에 의한 독립적인 안내는 폴(3)과 트리거링 레버(4)의 분리에 의해 가능해진다. 특히, 캐치(2)의 과도하게 신속한 활성화에 의해, 폴(3)만이 예비 라쳇 위치의 도달 이후에 가속될 수 있는데, 여기서 폴의 피벗 움직임은 버퍼(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제한된다. 캐치(2)의 폐쇄 동안 적설 하중 기능의 맞물림이 따라서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4에서 차량 래치(1)가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순차로 재현되어 있다. 차량 래치(1)의 폐쇄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캐치(2)는 메인 라쳇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메인 라쳇(21)은 폴(3)과 맞물린다. 이어서 연장부(16)가 스위칭 수단(6)에 작용하며, 폴(3)의 위치가 스위칭 수단(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캐치(2)는 인접 외곽선(12)의 영역에서 스위칭 수단(7)과 맞물리는데, 여기서 명확한 신호가 감지될 수 있고, 이로써 도 4에 따라 폐쇄 상태가 전자적으로 감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1에 따른 개방 위치로부터 도 4에 따른 폐쇄 위치로의 차량 래치(1)의 폐쇄 동안 폴(3)은 인접 외곽선(12) 및 캐치 외곽선(15, 17)에 의해 폴(3)이 메인 라쳇(21)으로 맞물릴 때까지 완전히 인도된다. 트리거링 레버(4)는 캐치(2)의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라쳇 위치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보이지 않는 외곽선을 따라 부분적으로만 안내된다. 이것은 트리거링 레버(4)가 과도하게 가속되지 않으며 적설 하중 레버(18)로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트리거링 레버(4)는 예비 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의 캐치(2)의 움직임 동안 제어 외곽선(10) 상에 접하게 놓인다.
로킹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전기 드라이브(5)가 활성화되는데, 여기서 웜 기어(11)가 구동되고 기어 휠(9)이 움직여진다. 기어 휠(9)은 바람직하게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여져서, 트리거링 레버(4)가 단부 위치 버퍼(20)에 다다를 때까지 트리거링 레버(4)가 제어 외곽선(10)을 따라 움직여지고 편향, 즉 시계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이로써 한편으로는 트리거링 레버(4)의 단부 영역(19)이 적설 하중 레버(18)와 맞물리고, 이로써 폴(3)이 캐치(3)와 맞물리는 시계 방향으로 어느 정도 폴(3)이 트리거링 레버(4)의 태핏(22)에 의해 피벗된다. 캐치(2)는 맞물림 해제되고, 스프링 압박된 방식으로 및/또는 차량 래치(1)에 작용하는 실링 압력에 의해 도 1에 따른 개방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1 차량 래치, 테일게이트 래치 2 캐치
3 폴 4 트리거링 레버
5 전기 드라이브 6, 7 스위칭 수단
8 래치 하우징 9 기어 휠
10 제어 외곽선 11 웜 기어
12 인접 외곽선 13 축
14 예비 라쳇 15, 17 캐치 외곽선
16 연장부 18 적설 하중 레버
19 단부 영역 20 단부 위치 버퍼
21 메인 라쳇 22 태핏
P 화살표

Claims (10)

  1. 캐치(2)와 적어도 하나의 폴(3), 트리거링 레버(4)를 갖는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한 차량 래치로서,
    트리거링 레버(4)는 폴(3)이 캐치(2)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하여 캐치(2)가 개방 위치에 있도록 하고,
    차량 래치는 보관 레버 기능을 갖고, 트리거링 레버(4)가 활성화된 위치로 작동되어 폴(3)을 캐치(2)로부터 맞물림 해제한 이후에, 트리거링 레버(4)는 활성화된 위치에 고정되고,
    캐치는 개방 위치에서 예비 라쳇 위치로 그리고 예비 라쳇 위치에서 메인 라쳇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캐치는 캐치가 개방 위치에서 예비 라쳇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트리거링 레버(4)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캐치가 트리거링 레버를 규정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캐치가 예비 라쳇 위치에서 메인 라쳇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트리거링 레버는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고, 캐치가 개방 위치에서 예비 라쳇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리고 캐치가 예비 라쳇 위치에서 메인 캐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폴은 캐치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2. 제1항에 있어서, 폴(3)과 트리거링 레버(4)는, 차량 래치(1)의 개방 위치에서 캐치(2) 상에 접하게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3.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예비 라쳇 위치(14)와 메인 라쳇 위치(21)를 가지고 폴(3)과 트리거링 레버(4)는 캐치(2)를 수단으로 하여 캐치(2)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라쳇 위치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3)은 캐치(2)에 의해 메인 라쳇 위치(21)로 안내될 수 있고, 트리거링 레버(4)는 예비 라쳇 위치(14) 동안 가졌던 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3)은 연장부(16)를 구비하되, 적어도 한 스위칭 수단(6, 7)이 연장부(16)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레버(14)는 태핏 외곽선(22)을 가지며 폴(3)은 태핏 외곽선(22)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고 특히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3)과 트리거링 레버(4)는 공통된 피벗 축(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레버(4)는 전기 드라이브(5)에 의해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레버(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1).
KR1020187002749A 2015-07-03 2016-06-30 차량 래치 KR102630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0751.1A DE102015110751A1 (de) 2015-07-03 2015-07-03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110751.1 2015-07-03
PCT/DE2016/100293 WO2017005244A1 (de) 2015-07-03 2016-06-30 Kraftfahrzeug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30A KR20180029230A (ko) 2018-03-20
KR102630466B1 true KR102630466B1 (ko) 2024-01-29

Family

ID=5641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749A KR102630466B1 (ko) 2015-07-03 2016-06-30 차량 래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8508B2 (ko)
EP (1) EP3317482B1 (ko)
JP (1) JP6759254B2 (ko)
KR (1) KR102630466B1 (ko)
CN (1) CN107835884B (ko)
DE (1) DE102015110751A1 (ko)
WO (1) WO2017005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4979A1 (de) * 2017-07-21 2019-01-24 Witte Automotive Gmbh Schloss mit Schneelast-, Dämpfungs- und/oder Speicherfunktion
DE102020109473A1 (de) * 2020-04-04 2021-10-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WO2022002240A1 (zh) * 2020-07-03 2022-01-06 青岛天辰佳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车锁结构、汽车门锁以及汽车
CN112177451B (zh) * 2020-11-13 2024-05-28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一体式电开自吸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58A1 (en) * 2001-12-22 2003-09-25 Nigel Spurr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KR200418883Y1 (ko) * 2006-03-28 2006-06-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677B2 (ja) * 1993-12-13 1998-04-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FR2782111B1 (fr) * 1998-08-05 2002-12-06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perfectionn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7467815B2 (en) * 2001-12-12 2008-12-23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Snow load lever with two part pawl lever construction
DE10361168B4 (de) 2003-12-22 2016-08-0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insbesondere für Hauben oder Klappen
US20050280265A1 (en) * 2004-05-04 2005-12-22 Vlad Iliescu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closure panel
EP1724424B1 (en) * 2005-05-16 2009-10-07 Intier Automotive Closures S.p.A. Vehicle door lock
DE102006032033A1 (de) * 2005-07-09 2007-03-29 Witte-Velbert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ss
WO2008144904A1 (en) * 2007-05-25 2008-12-04 Magna Closures Inc. Decklid latch with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snowload lever
CN101881100B (zh) * 2010-07-09 2012-12-26 无锡皓月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门锁执行器
JP5524781B2 (ja) * 2010-09-15 2014-06-1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装置
DE202011005608U1 (de) * 2011-04-27 2013-06-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202011100643U1 (de) * 2011-05-13 2012-08-1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2002867U1 (de) * 2012-03-20 2012-04-11 Flexngate Automotive Iberica S.A. Schloss mit Drehriegel
DE102012017677A1 (de) * 2012-09-07 2014-03-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2020845A1 (de) * 2012-10-24 2014-04-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teugschloss mit Positionserkennungsmittel
DE102012023236A1 (de) * 2012-11-28 2014-05-2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JP6119028B2 (ja) * 2013-03-06 2017-04-2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WO2015062578A2 (de) * 2013-11-02 2015-05-07 Kiekert Ag Schloss mit speicherhebel für ein kraftfahrzeug
CN203613902U (zh) * 2013-12-09 2014-05-28 句容联泰机电有限公司 一种防过载的汽车电动门锁装置
US20150308161A1 (en) * 2014-04-29 2015-10-29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JP6427803B2 (ja) * 2014-07-01 2018-11-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6107509A1 (de) * 2016-04-22 2017-10-26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58A1 (en) * 2001-12-22 2003-09-25 Nigel Spurr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KR200418883Y1 (ko) * 2006-03-28 2006-06-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30A (ko) 2018-03-20
EP3317482A1 (de) 2018-05-09
US20180195322A1 (en) 2018-07-12
DE102015110751A1 (de) 2017-01-05
JP6759254B2 (ja) 2020-09-23
EP3317482B1 (de) 2019-05-15
US11098508B2 (en) 2021-08-24
WO2017005244A1 (de) 2017-01-12
CN107835884A (zh) 2018-03-23
JP2018521246A (ja) 2018-08-02
CN107835884B (zh)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090B1 (ko) 차량용 록
KR102630466B1 (ko) 차량 래치
US8840156B2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US20090151257A1 (en) Power closing latch device
CN110872921B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钩装置
CN113195858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10458155B2 (en) Latch with overslam stop feature
CN108603386B (zh) 机动车辆的门闩装置
US11572721B2 (en) Latch assembly
CN111989449B (zh) 用于机动车的锁装置
US11060328B2 (en) Latching device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20150345190A1 (en) Latch with hold open lever
CN114109161A (zh) 具有手动释放和电动锁的侧门乘用者闩锁
US20150247346A1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US9739077B2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US11414898B2 (en) Automobile door latch device
CN112996974B (zh) 汽车用门锁装置
CN108291415B (zh) 用于可运动地设置在车辆上的油箱盖的操纵装置
US8177298B2 (en) Loading flap for a vehicle seat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JP693320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97874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핸들 어셈블리의 작동소음 방지구조
EP3299558B1 (en) Liftgate latch
KR101348958B1 (ko) 테일게이트 래치용 범퍼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