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625A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8625A KR20140128625A KR1020130047261A KR20130047261A KR20140128625A KR 20140128625 A KR20140128625 A KR 20140128625A KR 1020130047261 A KR1020130047261 A KR 1020130047261A KR 20130047261 A KR20130047261 A KR 20130047261A KR 20140128625 A KR20140128625 A KR 201401286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 speed change
- information
- input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의 변속조작부를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사전 설정된 변속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통하여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변속 패턴을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대응하는 다양한 변속패턴을 제공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의 변속조작부를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사전 설정된 변속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통하여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변속 패턴을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대응하는 다양한 변속패턴을 제공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변속 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전자식 변속레버가 있으며 최근 전자식 변속레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상기 전자식 변속 레버의 경우는 차량 운전석 내부의 콘솔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콘솔의 상부로 레버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쉽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와 유사한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변속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2는 종래의 직선조작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내며, 도 3은 종래의 게이트(gate)타입으로 이루어진 기계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게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변속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P단을 제어하는 버튼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변속패턴이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의 변속패턴보다 단순화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 변속 레버의 위치가 콘솔에 고정되어 원하는 위치에서 조작이 힘들다.
-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이 사전 설정된 형태, 일반적으로 직선 조작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 종래의 기계식 변속패턴에 익숙한 조작을 원하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
- 변속패턴이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의 변속패턴과 유사(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하여 전자식 변속 레버를 도입하는 장점을 체감하기 힘들다.
-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즉, 변속패턴에 의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이동해야 하므로 변속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이 할당되어야 하므로, 차량 내부의 공간, 예를 들어, 컵홀더 등의 수납공간이 적고 필요한 버튼 기능을 할애할 공간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의 변속조작부를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사전 설정된 변속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통하여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변속 패턴을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대응하는 다양한 변속패턴을 제공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콘솔상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및 변속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단 변속을 제어하는 변속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을 포함하는 변속단 정보,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변속단이 표시될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각 단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되, 상기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 정보, 위치정보 및 상대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변속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변속패턴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 발생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 입력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할당된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입력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P단, R단, N단, D단, M단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변속단의 배치를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최종 입력된 변속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및 R단의 순차 입력시 R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및 N단의 순차 입력시 N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및 D단의 순차 입력시 D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및 D단 및 M단의 순차 입력시 M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들 간의 상대위치정보를 제1상대위치정보및 제2상대위치정보로 사전 설정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모드전환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모드전환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상대위치정보를 제1상대위치정보 또는 제2상대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로 교차전환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패턴변경 버튼을 표시하며,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패턴을 변경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정보 및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모드전환 버튼을 표시하고,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패턴변경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 및 모드전환 버튼의 동시 입력시 상기 패턴변경 버튼 및 모드전환 버튼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해당 터치점의 위치 이동시, 최초 터치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점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해당 터치점의 위치 이동시, 최초 터치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점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을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자동변속레버의 구성에 비하여 그 구조가 단순해 지고, 조작감이 향상되어 입력 편의성이 상승하며,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되는 변속 패턴, 변속 버튼의 크기, 위치 및 배치를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다른 취향에 따른 변속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는 조작부를 터치스크린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변속 레버가 차지하는 부피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패키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수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직선조작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게이트(gate)타입으로 이루어진 기계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운전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변속 패턴을 나타낸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단 변속을 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조작되는 단 변속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모드전환 버튼에 의한 변속패턴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모드전환 버튼에 의한 변속패턴 모드의 전환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된 변속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패턴변경 버튼이 제공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와 같은 패턴변경 버튼을 통한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패턴변경 버튼의 ON/OFF시 버튼형태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와 같이 변형된 변속 패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변속패턴에 표시된 각 변속단들의 크기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변속단 크기의 변경과 변속단 위치의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종래의 직선조작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게이트(gate)타입으로 이루어진 기계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운전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변속 패턴을 나타낸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단 변속을 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조작되는 단 변속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모드전환 버튼에 의한 변속패턴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모드전환 버튼에 의한 변속패턴 모드의 전환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된 변속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패턴변경 버튼이 제공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와 같은 패턴변경 버튼을 통한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패턴변경 버튼의 ON/OFF시 버튼형태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와 같이 변형된 변속 패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변속패턴에 표시된 각 변속단들의 크기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변속단 크기의 변경과 변속단 위치의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변속조작부를 기존의 변속레버를 대신하여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고, 사전 설정된 변속 패턴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을 통하여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되는 변속 패턴은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대응하는 변속 패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운전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변속 패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100)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콘솔 상에 위치하는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 레버를 대신하여 그 입력수단이 공지의 터치스크린 수단으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100)가 적용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공지의 전자식 변속레버 대신에 터치스크린 수단(이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변속단들을 터치(touch) 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단 변속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실내는 종래의 자동변속레버를 구비하는 차량에 비하여 종래의 변속 레버가 차지하는 내부 공간을 요구하지 않으며, 따라서, 차량 내부에 수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100)는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변속단 제어부와, 차량의 콘솔상에 배치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부터 변속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터치에 의하여 생성된 입력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차량 내부 콘솔상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지의 전자식 변속 레버가 배치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로 하여금 종래에 전자식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운전하던 운전 습관과 유사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면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는 공지의 어떠한 터치스크린,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 또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한 어떠한 터치스크린이라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배치된 차량 콘술의 내측에 실장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공지의 전자제어유닛(ECU)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의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공지의 어떠한 수단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을 포함하는 변속단 정보,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변속단이 표시될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각 단 간의 상대위치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패턴정보의 생성시, 상기 변속단 정보, 위치정보 및 상대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변속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변속단 제어부를 통하여 전송된 변속패턴 정보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표시되고, 표시된 변속단 정보들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입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 결과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에 할당된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가 저장하는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각 변속단 간의 상대위치정보는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변속단들 중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에 도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변속단과 -변속단은 상기 M단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변속단들의 배치는 도 5에 도시된 배치, 즉,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가 제공하는 변속단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는 배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대위치정보는 상기 변속단의 배치시 각 변속단들의 상대위치에 따라 사전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속단의 배치를 따라 운전자는 변속단의 단 변속시 임의의 변속단으로부터 인접한 변속단으로 순차적으로 단 변속을 하도록 유도된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단 변속을 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조작되는 단 변속 과정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된 변속단은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단의 변속은 P-R-N-D-M의 순서가 반드시 지켜져야만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단으로부터 N단으로 단 변속을 하고자 한다면 도 7a와 같이, 변속 패턴을 P단 -> R단 -> N단을 거쳐서 조작 입력하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도 7b와 같이 변속 패턴을 P단 -> N단으로 조작 입력하면 변속이 불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오입력을 통하여 요구되지 않은 단 변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전자식 변속 패턴과 변속 과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변속단 제어부를 통하여 인식되는 변속단 인식 단계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최초 변속 대기상태에서 본 발명의 변속단 제어부는 P단 입력이 최초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변속을 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먼저 판단한다(S001).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P단 입력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이 동시에 있을 경우에만 P단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변속시 종래의 차량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변속을 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반영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과 상기 P단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에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S001)에서 P단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미입력 및 브레이트 페달의 미입력으로 최초 변속단인 P단을 유지하여 시프트 락(Shift lock)된 상태로 유지한다(S002).
반대로, 상기 단계 (S001)에서 P단의 입력과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P단 이후 순차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상기 P단에 인접한 변속단인 R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003).
상기 단계 (S003)에서 R단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입력 이후의 변속단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P단을 유지한다(S004).
반대로, 상기 단계 (S003)에서 R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R단 이후의 인접한 변속단인 N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005).
현 단계 까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R단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그 이후 단의 변속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대기 후 상기 단계 (S005)에서 N단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R단 입력 이후의 변속단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으로 유지하고 있는 변속단을 R단으로 변속시킨다(S006).
반대로, 상기 단계 (S005)에서 N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N단 이후의 인접한 변속단인 D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007).
현 단계 까지는 상기 N단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그 이후 단의 변속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단계 (S005)와 마찬가지로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대기를 하고, 상기 단계 (S007)에서 D단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N단 입력 이후의 변속단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으로 유지하고 있는 변속단을 N단으로 변속시킨다(S008).
반대로, 상기 단계 (S007)에서 D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D단 이후의 인접한 변속단인 M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009).
앞 단계와 마찬가지로, 현 단계 까지는 상기 D단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그 이후 단의 변속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대기를 하고, 상기 단계(S009)에서 M단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D단 입력 이후의 변속단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으로 유지하고 있는 변속단을 D단으로 변속시킨다(S010).
반대로, 상기 단계 (S009)에서 M단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M단으로 단을 변속시킨다(S011).
상기 단계와 마찬가지로, M단과 인접하여 배치된 +단 및 -단은 상기 M단 변속 이후 입력 여부에 따라 + 또는 -단 변속을 하고 다시 M단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가 설정하는 변속 패턴이 종래의 변속단의 패턴 배열 모드와 임의의 배열 모드, 예를 들어, 버튼모드로 사전 설정되고, 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조작에 의하여 손쉽게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모드전환 버튼(20)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임의의 배열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모드전환 버튼(20)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표시될 위치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되어 터치입력시 임의의 제1모드(예를 들어, '패턴모드', 이하 '패턴모드'로 기재한다) -> 임의의 제2모드(예를 들어, '버튼모드', 이하 '버튼모드'로 기재한다)로 전환되어 터치 입력시 변속패턴의 각 모드간 전환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들 간의 상대위치정보를 제1상대위치정보(예를 들어, 종래의 변속 모드 패턴) 및 제2상대위치정보(버튼모드 패턴)로 사전 설정하고, 상기 모드전환 버튼의 입력시 상대위치정보를 교차전환 함으로써,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모드간 변환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수행되며, 이는 도 9에 도시된다.
먼저 초기상태, 즉, 패턴모드로 제공된 변속패턴을 유지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사용자의 모드전환 버튼(20)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101).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의 입력과 함께 차량이 정지상태인 것을 함께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정지상태의 판단은, 차속 등의 차량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변속패턴의 모드 변경시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계(S101)에서 운전자의 모드전환 버튼의 입력이 없거나, 또는 차량이 운전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제공하는 변속패턴의 모드를 패턴모드로 유지한다(S102).
반면, 상기 단계(S101)에서 상기 모드전환버튼의 입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현재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10)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은 제공된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별도의 버튼(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버튼)이며,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전환 버튼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오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단계(S103)에서 모드전환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패턴변경 버튼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단계(S103)에서 패턴변경 버튼(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 버튼(20)과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이 동시에 입력되었으므로, 오조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상태를 유지한다(S014).
반면, 상기 단계(S103)에서 패턴변경 버튼(10)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모드전환 버튼(20)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변속 패턴을 초기상태인 패턴모드(도 8a)에서 버튼모드(도 8b)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 경우에,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버튼모드를 초기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단계(S101)을 반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패턴모드와 버튼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각각의 모드 별로 서로 다른 이미지의 모드전환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변속패턴의 모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공된 변속패턴의 각 변속단의 상대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대로 변속단의 배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순차적으로 배치된 각 변속단들의 순차 구조는 유지하되(P단, R단, N단, D단, M단으로 배치된 변속단들의 순서) 각 변속단이 배치된 위치를 소정구간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은, 바람직하게는,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표시되는 임의의 변속단을 사용자가 터치 후 드래그(drag)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변속단을 터치 후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를 터치하는 등의 공지의 어떠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R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외의 P단, R단, N단, D단의 위치 변경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변속단들의 순서, 즉, P-R-N-D-M의 순서는 반드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속단들 중 하나의 위치가 이동되며면 인접한 변속단들의 위치가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경되도록(각 변속단들의 상대위치가 고려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N-D-M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변속단의 최초 배열에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임의의 변속단, 즉, R단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R단을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R단의 상대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R단과 인접한 변속단들, 즉, P단 및 N단과의 사전 설정된 값이 변경된다.
한편, +단 및 -단은 M단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가 상기 +단 및 -단의 상대위치로 사전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 및 -단의 상대위치는 변경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M단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단, -단이 함께 이동하여 반드시 상기 M단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1은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된 변속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패턴변경 버튼이 제공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된 변속패턴은 사전 설정된 변속 패턴이 제공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변속 패턴의 입력이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상 물리적인 힘이 크게 가해지지 않는 다. 따라서, 변속패턴의 조작 중, 또는 변속패턴을 조작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도 오입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오입력에 의하여 운전자가 원하지 않은 조작이 이루어져 사전 설정되어 제공된 패턴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별도의 패턴변경 버튼(1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은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패턴변경 버튼정보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변경 버튼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패턴변경 버튼(10)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표시될 위치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되어 터치입력시 ON/OFF 발광되어 패턴 변경 가능함을 표시하고, 터치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된 변속패턴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속단 제어부가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이 입력되는 동안에만 패턴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운전자는 상기 패턴변경 버튼(10)을 입력하는 동안, 즉,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변속 패턴의 패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2는 상기와 같은 패턴변경 버튼을 통한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초기상태에서 패턴변경 버튼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변경 버튼의 OFF시 버튼형태(예를 들어, 어두운 색상의 패턴변경 버튼을 제공)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운전자에 의하여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201). 이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정지상태에서만 변속 패턴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이 정지상태인지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01)에서 운전자의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차량이 정지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현재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고 있는 변속패턴을 그대로 유지한다(S202).
반면, 상기 단계(S201)에서 현재 차량이 정지상태임과 동시에, 운전자로부터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운전자가 모드전환 버튼을 입력했는지 판단한다(S203).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의 입력을 판단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패턴변경 버튼(10)과 모드전환 버튼(20)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오입력에 의하여, 변속단 패턴의 변경이 활성화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단계(S203)에서 패턴변경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모드전환 버튼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단계(S203)에서 모드전환 버튼(2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 버튼과 상기 패턴변경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었으므로, 오조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상태, 즉, 패턴변경 버튼을 OFF상태로 유지한다(S204). 또한, 상기 패턴변경 버튼(10)과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이 동시에 입력이 되었으므로, 오조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드전환 버튼 ?시 초기상태, 즉, 패턴모드로 표시하도록 유지한다(S205).
반면, 상기 단계(S203)에서 상기 모드전환 버튼(20)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10)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변속 패턴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S206). 이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 지속적으로 판단을 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변속패턴의 형태를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 버튼을 비활성화 함으로써, 이후 상기 모드전환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무시하도록 제어한다(S207).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와 같이 변형된 변속 패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변속 패턴을 터치조작에 의하여 사용자의 임의대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4의 구형패턴, 도 15의 게이트(gate)패턴 도 16의 수평 패턴과 같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변속패턴에 표시된 각 변속단들의 크기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변속단들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가독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단들의 크기 변경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지되, 둘 이상의 복수의 터치점의 입력을 통하여 크기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임의의 변속단을 터치입력하되, 두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터치입력된 각 위치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변속단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된 변속단들의 크기 변경에 있어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치스크린을 통한 어떠한 입력이라도, 사전 설정하여 상기 표시된 변속단들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속단 크기의 변경과 변속단 위치의 변경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1입력(임의의 제1터치점 입력) 및 제2입력(임의의 제2터치점 입력)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도 18에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지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상기 변속단 크기의 변경과 변속단 위치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단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변속패턴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된 최초 초기상태에서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판단한다(S301).
상기 단계(S301) 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최초 제공된 변속패턴을 변형시키지 않는다(S302).
반면, 상기 단계(S301) 에서 1점의 터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터치점의 위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한다(S303).
상기 단계(S303)에서 터치점의 위치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점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킨다(S304). 반면, 상기 단계(S303)에서 터치점의 위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최초 제공된 변속패턴을 변형시키지 않는다(S305).
한편, 상기 단계(S301)에서 2점의 터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2점의 각 터치점간의 거리에 변화가 있는지 판단한다(S306).
상기 단계(S306)에서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최초 제공된 변속패턴을 변형시키지 않는다(S307).
반면, 상기 단계(S306)에서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에 변화가 있되,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변속단의 크기를 증가시킨다(S308). 이때, 크기가 증가되는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이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어느 하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이 될 수 있다.
상기 단계(S306)에서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에 변화가 있되,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가까워 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변속단의 크기를 감소시킨다(S309). 이때, 크기가 감소되는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이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어느 하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이 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패턴변경 버튼
20: 모드전환 버튼
100: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20: 모드전환 버튼
100: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Claims (8)
- 차량의 콘솔상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및
변속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단 변속을 제어하는 변속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을 포함하는 변속단 정보,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변속단이 표시될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변속단 정보에 포함된 각 단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되, 상기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 정보, 위치정보 및 상대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변속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변속패턴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 발생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로 입력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할당된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입력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P단, R단, N단, D단, M단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변속단의 배치를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최종 입력된 변속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및 R단의 순차 입력시 R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및 N단의 순차 입력시 N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및 D단의 순차 입력시 D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P단, R단, N단 및 D단 및 M단의 순차 입력시 M단에 해당하는 단 변속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들 간의 상대위치정보를 제1상대위치정보및 제2상대위치정보로 사전 설정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모드전환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모드전환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상대위치정보를 제1상대위치정보 또는 제2상대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로 교차전환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패턴변경 버튼을 표시하며,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변속패턴을 변경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정보 및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모드전환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모드전환 버튼을 표시하고, 패턴변경 버튼정보를 바탕으로 패턴변경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패턴변경 버튼 및 모드전환 버튼의 동시 입력시 상기 패턴변경 버튼 및 모드전환 버튼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해당 터치점의 위치 이동시, 최초 터치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점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입력시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해당 터치점의 위치 이동시, 최초 터치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변속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점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변속단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2점의 터치입력이 존재하고, 상기 패턴변경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과 동시에 각각의 터치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단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261A KR10148830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US14/099,757 US9593765B2 (en) | 2013-04-29 | 2013-12-06 | Smart touch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
DE102013114133.1A DE102013114133A1 (de) | 2013-04-29 | 2013-12-16 | Elektronischer automatischer Schalthebel mit Smarttouch |
CN201310718787.0A CN104121357B (zh) | 2013-04-29 | 2013-12-23 | 智能触摸式电子自动换挡杆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261A KR10148830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625A true KR20140128625A (ko) | 2014-11-06 |
KR101488307B1 KR101488307B1 (ko) | 2015-01-30 |
Family
ID=5176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7261A KR10148830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593765B2 (ko) |
KR (1) | KR101488307B1 (ko) |
CN (1) | CN104121357B (ko) |
DE (1) | DE102013114133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540B1 (ko) * | 2015-04-13 | 2016-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위치 가변형 전자식 변속레버 |
KR20170000007A (ko) * | 2015-06-22 | 2017-0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2단계 조작 버튼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KR20180068033A (ko) * | 2016-12-13 | 2018-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US10088035B2 (en) | 2015-05-11 | 2018-10-02 | Hyundai Motor Company | Slide-step type electronic gear shift apparatus |
KR20200075104A (ko) * | 2018-12-11 | 2020-06-2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변속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210833A1 (de) * | 2013-06-11 | 2014-12-11 | Zf Friedrichshafen Ag | Betäti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wahl von Schaltstufen eines Fahrzeuggetriebes mit shift-by-wire Betätigung |
USD750542S1 (en) * | 2013-10-11 | 2016-03-01 | Honda Motor Co., Ltd. | Automobile shift lever cover |
USD752490S1 (en) * | 2014-10-17 | 2016-03-29 | Gogoro Inc. | Vehicle body handle |
USD794510S1 (en) | 2014-10-29 | 2017-08-15 | Gogoro Inc. | Motor scooter and/or toy replica thereof |
WO2016177878A2 (de) * | 2015-05-07 | 2016-11-10 |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 Anzeigen-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
KR101740590B1 (ko) * | 2015-06-15 | 2017-05-2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변속 장치 |
DE102016200030A1 (de) * | 2016-01-05 | 2017-07-06 | Zf Friedrichshafen Ag | Berührungsgetriebewählhebel |
KR102521934B1 (ko) | 2016-06-13 | 2023-04-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
DE102016217145B4 (de) | 2016-09-08 | 2021-08-12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edienungsanordnung, Hybridantriebsanordnung und Fahrzeug |
CN108006213B (zh) * | 2016-10-28 | 2020-07-28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电子换挡器 |
EP3538794A1 (en) * | 2016-11-09 | 2019-09-18 | Arrival Limited | Gea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
KR20180074875A (ko) * | 2016-12-23 | 2018-07-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변속 레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
KR102686294B1 (ko) | 2016-12-23 | 2024-07-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조향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
DE102017205246A1 (de) * | 2017-03-28 | 2018-10-04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Anzeigeele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zeigeelements und Verwendung eines Anzeigeelements und Fahrzeug mit einem Anzeigeelement |
KR102416597B1 (ko) * | 2017-10-13 | 2022-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mt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
CN108162971B (zh) * | 2017-12-11 | 2020-04-21 |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 换挡方法、系统、触摸式电子设备及汽车 |
US11376957B2 (en) * | 2018-01-05 | 2022-07-05 | Ghsp, Inc. | Vehicle shifter interface having capacitive touch rotary shifting |
CN109469727B (zh) * | 2018-11-09 | 2021-03-30 |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 车辆换挡控制方法、车辆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DE102018221706A1 (de) * | 2018-12-13 | 2020-06-18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ediensystem für ein Fahrzeug |
KR102146182B1 (ko) * | 2019-01-18 | 2020-08-19 | 덴소코리아 주식회사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US10975957B2 (en) * | 2019-02-20 | 2021-04-13 | Pedro Jose Albaladejo Perez | Shift-by-wire with integrated feedback system |
DE102019204060A1 (de) * | 2019-03-25 | 2020-10-01 | Zf Friedrichshafen Ag | Wischgestenerkenn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auf ein bewegliches Oberflächenelement einer Fahrzeugkomponente ausgeübten Wischgeste |
CN112081909A (zh) * | 2019-06-12 | 2020-12-15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智能换挡装置、智能换挡方法和车辆 |
CN110925413B (zh) * | 2019-09-30 | 2022-02-11 | 广汽零部件有限公司 | 一种触摸式汽车换挡方法及装置 |
DE102019128260A1 (de) * | 2019-10-21 | 2021-04-2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Steuereinheit und Verfahren zum manuellen Schalten mittels einer graphischen Benutzeroberfläche |
CN113932004A (zh) * | 2020-06-29 | 2022-01-1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用于车辆的换挡系统和车辆 |
CN112594371A (zh) * | 2020-12-15 | 2021-04-02 | 大运汽车股份有限公司 | 对机动车的换挡控制方法、装置、终端及介质 |
CN114811021B (zh) * | 2021-01-19 | 2023-09-01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摸式换挡系统、换挡方法及汽车 |
CN113108051B (zh) * | 2021-04-15 | 2022-03-01 |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 一种智能控制的汽车电子换挡器及计算机存储介质 |
CN113958700B (zh) * | 2021-10-28 | 2022-11-29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汽车的挡位控制方法、换挡器、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90334B2 (ja) * | 2001-11-02 | 2005-08-3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変速機の選択レンジ切り換え制御装置 |
DE10222665A1 (de) * | 2002-05-22 | 2003-12-11 | Bosch Gmbh Robert |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r Getriebesteuerung für Kraftfahrzeuge |
JP2006177401A (ja) * | 2004-12-21 | 2006-07-06 | Honda Motor Co Ltd | セレクト装置 |
JP4270165B2 (ja) | 2005-05-09 | 2009-05-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制御装置 |
JP4336330B2 (ja) * | 2005-06-15 | 2009-09-3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シフト表示装置 |
KR100726546B1 (ko) * | 2005-10-05 | 2007-06-1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전자식 변속 레버 구조 |
FR2943002B1 (fr) * | 2009-03-12 | 2011-03-11 | Dura Automotive Systems Sas | Dispositif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robotisee pour vehicule automobile |
JP2012015619A (ja) * | 2010-06-29 | 2012-01-19 | Fujifilm Corp |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撮影装置 |
KR20130015362A (ko) * | 2011-08-03 | 2013-0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레버 |
KR101743301B1 (ko) | 2011-10-31 | 2017-06-02 | 심천 워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주식회사 | 내블리스터성을 개선시킨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CN202468960U (zh) * | 2011-12-28 | 2012-10-03 | 海马轿车有限公司 | 按键式换档机构 |
US9435425B2 (en) * | 2012-07-19 | 2016-09-06 | Sl Corporation | Haptic feedback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
US9410613B2 (en) * | 2012-11-27 | 2016-08-09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On-screen gear selector for automatic transmission |
KR101410664B1 (ko) * | 2013-03-19 | 2014-06-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US9115803B2 (en) * | 2013-08-28 | 2015-08-2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
-
2013
- 2013-04-29 KR KR20130047261A patent/KR1014883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2-06 US US14/099,757 patent/US959376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6 DE DE102013114133.1A patent/DE10201311413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12-23 CN CN201310718787.0A patent/CN10412135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540B1 (ko) * | 2015-04-13 | 2016-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위치 가변형 전자식 변속레버 |
US10088035B2 (en) | 2015-05-11 | 2018-10-02 | Hyundai Motor Company | Slide-step type electronic gear shift apparatus |
KR20170000007A (ko) * | 2015-06-22 | 2017-0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2단계 조작 버튼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KR20180068033A (ko) * | 2016-12-13 | 2018-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KR20200075104A (ko) * | 2018-12-11 | 2020-06-2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변속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121357A (zh) | 2014-10-29 |
DE102013114133A1 (de) | 2014-11-27 |
CN104121357B (zh) | 2017-09-22 |
US9593765B2 (en) | 2017-03-14 |
KR101488307B1 (ko) | 2015-01-30 |
US20140318295A1 (en) | 2014-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8307B1 (ko)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KR101410664B1 (ko)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KR101613407B1 (ko) | 지원 기능을 갖춘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 작동 방법 | |
CN111306289B (zh) | 车辆用变速装置 | |
JP6136627B2 (ja) | 車両用情報表示装置 | |
US8102381B2 (en) |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restricting operation in same | |
JP5948711B2 (ja) | 触覚制御用可変形パッド | |
US20110025488A1 (en) | Control knob assembly,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20180102018A (ko) | 제안 시스템의 추천된 조작 제어 액션 및 제안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 | |
JP6035828B2 (ja) |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 |
JP2013159273A (ja) | 車載操作装置 | |
WO2009128148A1 (ja) | 遠隔操作装置 | |
US20150167823A1 (en) | Shift by wire auto lever controlling structure using integrated controller having 2 buttons | |
US10927950B2 (en) | Shift-by-wire shift unit for shifting a transmission of a vehicle | |
CN108496152A (zh) | 汽车中的用于换挡的设备 | |
WO2014112080A1 (ja) | 操作装置 | |
WO2015141087A1 (ja) | 操作装置 | |
JP6119456B2 (ja) | 車両用情報表示装置 | |
JP2010036618A (ja) | 車載用電子機器 | |
KR102169364B1 (ko) | 2단계 조작 버튼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US10975957B2 (en) | Shift-by-wire with integrated feedback system | |
JP3736482B2 (ja) | 自動変速機 | |
CN108549514B (zh) | 操作系统、操作系统的操作方法和带操作系统的运载工具 | |
KR101527055B1 (ko) |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62542B1 (ko) | 양방향 분할형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