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055B1 -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055B1
KR101527055B1 KR1020140072136A KR20140072136A KR101527055B1 KR 101527055 B1 KR101527055 B1 KR 101527055B1 KR 1020140072136 A KR1020140072136 A KR 1020140072136A KR 20140072136 A KR20140072136 A KR 20140072136A KR 101527055 B1 KR101527055 B1 KR 10152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ift
information
mod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SBW, Shift By Wire)차량의 변속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각 상태와 운전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버튼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행상태모드(시동단모드 및 변속단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에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대응한 출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Incorporated With Starting Function}
본 발명은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SBW, Shift By Wire)차량의 변속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각 상태와 운전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버튼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행상태모드(시동단모드 및 변속단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에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대응한 출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시동 장치는 차량용 도어의 잠금/해제를 위한 물리적인 차량키를 차량 시동장치에 사용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상기 차량키를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키셋에 삽입하여 차량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키를 이용하는 기계식 시동 장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소정 크기의 차량키를 상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운전자가 차량키를 직접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파손이 쉽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당하기 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과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최근들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계식 시동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급 차종을 중심으로 버튼식 시동 장치들이 점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버튼식 시동 장치는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된 종래의 기계식 키셋을 대체하는 시동 버튼을 구비하고,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시동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원하는 시동단, 예를 들어, 액세서리전원공급(ACC), 이그니션 ON(IG ON), 시동 스타트(Start) 또는 기타 다른 제어장치의 ON/OFF를 수행하도록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은 버튼식 시동 장치는 운전자로 하여금 시동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차량의 원하는 시동단으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나, 원하는 시동단(ACC/IG ON/SATRT 등)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동 버튼을 필요에 따라 1회 또는 2~3회 조작하여 원하는 시동단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버튼식 시동 장치 하나의 시동 버튼을 조작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품수를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원하는 조작을 위해서는 여러 번의 버튼 조작을 해야하는 조작의 어려움이 공존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기 버튼식 시동 장치는 종래의 기계식 시동장치와는 전혀 다른 구조이므로,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들의 적응이 필요하며, 또한, 직관적인 조작이 어려워 차량의 매뉴얼을 숙지하여야만 원하는 조작이 가능한 구조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식 시동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버튼식 시동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숙지하지 못한 경우 차량 시동과 관련하여 오조작이 유발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차량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구비된 쉬프트 바이 와이어(SBW) 변속 버튼을 차량의 시동 버튼으로 모드 전환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버튼과 시동버튼을 구성함에 있어 부품수 축소 및 시동단 조작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형 SBW 장착 차량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써 변속 버튼을 차량 시동전에는 차량의 시동 버튼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시동후에는 차량의 변속 버튼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시동단표시정보 및 변속단표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고, 입력 조작시 버튼부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및 차량에 구비된 도어센서, 시트센서, 브레이크스위치 또는 전자제어유닛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모드를 시동단모드 또는 변속단모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판단된 차량모드에 따라 시동단표시정보 또는 변속단표시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전송하는 변속버튼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부 레이어 도광판; 하부 레이어 도광판;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에 광원으로서 제공되는 한쌍의 LED를 포함하는 PCB 기판;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을 이격시키는 격벽; 상기 상부레이어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모크렌즈 및 상기 스모크렌즈와 상기 상부레이어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택타일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부 레이어 도광판 또는 하부 레이어 도광판 중 어느 하나는 시동단들이 각인되고, 다른 하나는 변속단들이 각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트센서로부터 착좌여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브레이크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페달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착좌여부신호 및 브레이크페달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차량모드를 시동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부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수신하면 시동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엔진RPM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엔진RPM정보가 수신되면 차량모드를 변속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변속단표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부는 변속단표시정보를 수신하면 변속단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입력 발생시 버튼부입력신호를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동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 또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 제어부와 연동하여 차량 시동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변속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면 변속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차량 변속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쉬프트 바이 와이어(SBW) 변속 버튼이 장착된 차량의 변속 버튼을 차량의 시동 버튼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버튼과 시동버튼을 구성함에 있어 부품수 축소 및 시동단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속 버튼을 입력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 가능하도록 2가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2중 표시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변속 버튼을 제어하는 변속버튼제어기는 차량의 시동전과 시동후에 상기 변속 버튼에 서로다른 표시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동전과 시동후에 상기 변속 버튼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하여 조작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오조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변속 버튼이 차량 시동전과 차량 시동후 서로 다른 출력을 하도록 변속버튼제어기를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변속 버튼을 통하여 차량 시동전과 시동후에 서로 다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시동단모드 및 변속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버튼부의 작동전과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SBW, Shift By Wire)차량의 변속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각 상태와 운전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버튼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행상태모드(시동단모드 및 변속단모드)가 설정되고, 설정된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에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주행상태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대응한 출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쉬프트 바이 와이어 차량의 변속 버튼을 차량의 시동 버튼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버튼부를 변속 버튼과 시동 버튼으로 함께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시동단모드와 변속단모드가 설정되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입력이 서로 다른 제어를 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동 버튼 및 변속 버튼으로 사용되는 버튼부(10)와, 상기 버튼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변속버튼제어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10)는 시동단모드의 표시정보와 변속단모드의 표시정보를 동시에 표시 가능하도록 최소한 서로다른 둘 이상의 정보를 표시가능한 버튼부(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부(10)는 멀티 레이어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력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도광판을 발광시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기계식 버튼부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정보를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 가능한 공지의 어떠한 디스플레이 수단이라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부(10)는 시동전 모드에서 시동단 버튼으로 작동하고, 변속단모드에서 변속단 버튼으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시동단 버튼과 변속단 버튼은 모두 차량안전에 중요한 조작버튼 이므로, 전자식 디스플레이 및 전자식 터치타입이 아닌 기계적 스위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버튼부(10)를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하면, 운전자가 각 모드에서 상기 버튼부(10)를 조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동거리가 요구되며, 이로인하여 오조작이 발생할 위험을 저감할 수 있고, 조작시 촉각 피드백을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안전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제조비용 역시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버튼부(10)의 상세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의 상태 또는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 및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된 각종 센서 및 장치들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의 도어센서(30), 시트센서(40), 브레이크스위치(50) 또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60)(ECU) 중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상태 또는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시동단모드 또는 변속단모드 중 어느 하나로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나열한 장치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장치들을 기술한 것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가 차량에 구비된 각종 센서 및 장치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도어센서(30)로부터 도어 개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차량의 시트센서(40)로부터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착좌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차량의 브레이크 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 입력신호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60)으로부터 차량의 RPM 또는 차속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의 변속제어장치(7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와 통신하고, 상기 변속제어장치(70)로부터 현재 설정된 변속단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변속제어장치(70)로 변속단 조작신호를 송신하여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종 센서 및 장치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모드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하도록 이루어지는데, 그 상세 조건은 아래와 같으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시동단모드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에 있어서, 최초 제어기 OFF상태에서(S001) 차량 도어센서(30)로부터 도어의 개폐여부가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에 수신되어 모니터링 되며, 도어가 개방되면(S002)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가 최초 동작을 시작한다(S003).
이후, 차량의 시트센서(40)(또는 에어백센서)로부터 운전자(또는 탑승자)의 착좌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수신되며, 운전자(또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하면 상기 시트센서(40)(시트에 앉은 운전자에 하중을 인지)가 운전자의 탑승을 인지하고, 운전자 착좌여부를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송출한다(S004).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페달 입력신호가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송신된다(S005).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착좌여부신호와 브레이크페달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차량모드를 시동단모드로 설정하고, 시동단표시정보를 상기 버튼부(10)로 송신한다(S006).
상기 버튼부(10)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수신하여 시동단을 표시하되, 운전자에 의하여 버튼부(10)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버튼부(10)입력신호를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송신한다. 도 3의 (a)는 시동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10)에 표시되는 시동단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시동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10)입력신호를 수신하면(S007) 상기 전자제어유닛(60)(ECU) 또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 제어부와 연동하여 해당 버튼부(10)에 할당된 시동단으로 차량 시동단을 제어한다(S008).
2) 변속단모드
상기와 같이, 운전자에 의하여 시동단모드에서 버튼부(10)의 조작을 통하여 차량 시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60)으로부터 차량의 엔진 RPM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엔진 RPM이 사전 설정된 기준, 예를 들어, 아이들 RPM이 1초이상 유지되는 경우(S009), 변속단모드로 차량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 모드가 변속단모드로 전환되면, 변속단표시정보를 상기 버튼부(10)로 송한다(S010).
상기 버튼부(10)는 변속단표시정보를 수신하여 변속단을 표시하되, 운전자에 의하여 버튼부(10)의 입력이 이루어지면(S011), 버튼부(10)입력신호를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송신한다. 도 3의 (b)는 변속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10)에 표시되는 변속단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변속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10)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속제어장치(70)(TCU)와 연동하여 해당 버튼부(10)에 할당된 변속단으로 차량 변속단을 제어한다(S012).
3) 시동OFF 모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현재 차량모드가 변속단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스위치(50)로부터의 브레이크페달 입력신호와 상기 버튼부(10) 중 특정 변속단에 할당된 버튼(예를 들어, 'P'단에 할당된 버튼)부의 입력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S013), 현재 차량 모드를 시동OFF모드로 설정한다(S01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상기 브레이크스위치(50)로부터 브레이크페달 입력신호가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로 입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버튼부(10) 중 'P'단 할당 버튼부(10)가 사전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초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모드를 시동OFF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60)으로 시동OF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 엔진의 시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모드를 시동단모드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상기 버튼부(1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버튼부(10)를 시동단버튼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운전자가 시트에서 일어나 상기 시트센서(40)로부터의 운전자의 착좌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도어센서(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의 닫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버튼부(10)로 송신하는 시동단표시정보의 송신을 중단하여 상기 버튼부(10)에서 시동단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60) 또는 도어센서(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도어락(LOCK)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하고, 도어락이 이루어지면, 상기 변속버튼제어기(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부(1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부(1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버튼부(10)의 작동전과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버튼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정보를 음각 또는 양각에 의하여 각인함으로써, 광원의 인가시 해당 각인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1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 최소한 셋 이상의 버튼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갯수는 시동단모드 및 변속단모드에서 표시할 문자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에 광원으로서 제공되는 LED PCB 기판(13)과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을 이격시키는 격벽(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을 보호하는 커버(15)와 하우징 브라켓(16)이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을 고정하고, 스모크 렌즈(17)는 하우징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운동을 하게된다. 상기 스모크 렌즈(17)에 양측에는 스프링(18)과 택타일 스위치(19)가 구성되어 버튼부(10) 조작시(스모크 렌즈 눌림시) 택타일 스위치(19)에 의해 조작 신호가 감지되고 스모크 렌즈(17)는 스프링(18)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스모크 렌즈(17)가 기계적 버튼부(10) 기능을 하고,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11)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12)이 디스플레이 역할을 함으로써, 각 단 버튼의 PCB를 일체화 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레이어 도광판(12)에 시동단모드에서 표시되는 시동단들, 즉, 액세서리전원공급(ACC), 이그니션 ON(IG ON), 시동 스타트(Start), 또는 에어콘/히터(ACON/HEAT)를 나타내는 인쇄문자가 각인되고, 반대로, 상기 상부레이어 도광판(11)에는 변속단모드에서 표시되는 변속단들 (P, R, N, D)를 나타내는 인쇄문자가 각인되며,
이 경우, 상기 버튼부(10)는 시동단표시정보의 수신시 상기 하부레이어 도광판(12)에 할당된 LED를 발광시키고, 변속단표시정보의 수신시 상기 상부레이어 도광판(11)에 할당된 LED를 발광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레이어도광판(11)과 하부레이어도광판(12)에 표시되는 정보들과 시동단표시정보 및 변속단표시정보의 수신시 발광되는 LED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버튼부
11: 상부레이어 도광판
12: 하부레이어 도광판
13: PCB 기판
14: 격벽
15: 커버
16: 하우징브라켓
17: 스모크렌즈
18: 스프링
19: 택타일 스위치
20: 변속버튼제어기
30: 도어센서
40: 시트센서
50: 브레이크스위치
60: 전자제어유닛
70: 변속제어장치

Claims (6)

  1.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시동단표시정보 및 변속단표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고, 입력 조작시 버튼부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및
    차량에 구비된 도어센서, 시트센서, 브레이크스위치 또는 전자제어유닛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모드를 시동단모드 또는 변속단모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판단된 차량모드에 따라 시동단표시정보 또는 변속단표시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전송하는 변속버튼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부 레이어 도광판;
    하부 레이어 도광판;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에 광원으로서 제공되는 한쌍의 LED를 포함하는 PCB 기판;
    상기 상부 레이어 도광판 및 하부 레이어 도광판을 이격시키는 격벽;
    상기 상부레이어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모크렌즈; 및
    상기 스모크렌즈와 상기 상부레이어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택타일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부 레이어 도광판 또는 하부 레이어 도광판 중 어느 하나는 시동단들이 각인되고, 다른 하나는 변속단들이 각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3. 제 1항에 따르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트센서로부터 착좌여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브레이크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페달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착좌여부신호 및 브레이크페달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차량모드를 시동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부는 시동단표시정보를 수신하면 시동단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엔진RPM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엔진RPM정보가 수신되면 차량모드를 변속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변속단표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버튼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부는 변속단표시정보를 수신하면 변속단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 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입력 발생시 버튼부입력신호를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시동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 또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 제어부와 연동하여 차량 시동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버튼제어기는 변속단모드에서 상기 버튼부입력신호를 수신하면 변속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차량 변속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40072136A 2014-06-13 2014-06-13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36A KR101527055B1 (ko) 2014-06-13 2014-06-13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36A KR101527055B1 (ko) 2014-06-13 2014-06-13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055B1 true KR101527055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136A KR101527055B1 (ko) 2014-06-13 2014-06-13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6103A (zh) * 2018-03-30 2019-10-11 佛吉亚内饰工业公司 车辆的设备和相关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948A (ja) * 2004-12-02 2006-06-22 Honda Motor Co Ltd セレクト装置
KR20120006303A (ko) * 2010-07-12 201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바이와이어 장치의 에이티레버 마우스 장치
JP2012254775A (ja) * 2011-06-09 2012-12-27 Hyundai Motor Co Ltd 始動制御タイプのオートレバー装置
KR101381433B1 (ko) * 2012-10-05 2014-04-1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단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948A (ja) * 2004-12-02 2006-06-22 Honda Motor Co Ltd セレクト装置
KR20120006303A (ko) * 2010-07-12 201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바이와이어 장치의 에이티레버 마우스 장치
JP2012254775A (ja) * 2011-06-09 2012-12-27 Hyundai Motor Co Ltd 始動制御タイプのオートレバー装置
KR101381433B1 (ko) * 2012-10-05 2014-04-1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단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6103A (zh) * 2018-03-30 2019-10-11 佛吉亚内饰工业公司 车辆的设备和相关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06289B (zh) 车辆用变速装置
KR101488307B1 (ko)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US9500276B2 (en) Shift by wire auto lever controlling structure using integrated controller having 2 buttons
CN105473907B (zh) 车辆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9212740B2 (en) Shift device
JP4668226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60245402A1 (en) Shift-by-wire activ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driving positions
US9410615B2 (en) Activation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1462925B1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JP2007168771A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US10927950B2 (en) Shift-by-wire shift unit for shifting a transmission of a vehicle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1499222B1 (ko)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527055B1 (ko) 시동 기능 통합형 변속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1758763B1 (en) Information device
JP4866118B2 (ja) 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KR102659241B1 (ko) 다이얼 타입 변속레버 장치
KR1019680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5901B1 (ko) 차량의 중립단 주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42061B2 (ja) 自動車の電源操作装置
JP2006159948A (ja) セレクト装置
EP4083475A1 (en) Vehicle park-lock control method and park-lock control device
JP2002254951A (ja) シフト装置
KR20110047738A (ko) 스마트키가 적용된 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KR10258436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