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182B1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182B1 KR102146182B1 KR1020190006920A KR20190006920A KR102146182B1 KR 102146182 B1 KR102146182 B1 KR 102146182B1 KR 1020190006920 A KR1020190006920 A KR 1020190006920A KR 20190006920 A KR20190006920 A KR 20190006920A KR 102146182 B1 KR102146182 B1 KR 102146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hift
- smart key
- smart
- start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운전자가 운전 수행을 위하여 차량에 접근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는 과정에서 전혀 생소한 절차를 수행하는 일 없이 직관적이면서도 전원의 천이 과정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제 운전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시동제어를 시동 버튼 이외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가진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온 및 오프를 위해 종래 시동 버튼의 누름 작동을 대체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먼저 '발동'이 걸려야 한다. 즉, 자동차 엔진이 스스로 작동할 수 있을 때까지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시동장치이다.
차량의 시동장치는 1886년 독일의 칼 벤츠가 만든 세계 최초의 휘발유 자동차에서 시작하는데, 차량의 뒷부분에 가로로 놓여 있는 커다란 플라이휠을 시계 방향으로 힘껏 돌리면 플라이휠과 연결되어 있는 금속띠가 서로 부딪히면서 불꽃을 일으켜 시동이 걸렸다. 이후 1915년 경까지는 주로 라디에이터 그릴 밑에 있는 작은 구멍에 크랭크 핸들을 끼워서 크랭크축과 직접 연결시킨 후 양손으로 크랭크 핸들을 잡고 힘껏 돌려 시동을 걸었다.
이러한 방법은 몹시 힘이 들고 매우 위험했는데, 엔진의 카뷰레터에서 혼합기가 충분히 공급되려면 엔진 회전수가 분당 100회를 넘어서야 하므로 힘센 남자가 사력을 다해 크랭크 핸들을 돌려야만 겨우 시동을 걸 수 있었다. 따라서,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손이나 팔을 크게 다치는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캐딜락사 리랜드 사장의 절친한 친구였던 바이런 카터가 시동을 걸다가 크랭크 핸들이 튀어오르면서 머리를 맞아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후 리랜드 사장의 지시로 당시 캐딜락사에 전기식 점화장치를 납품하던 회사인 델코사의 찰스 케터링 사장이 버튼만 누르면 시동이 걸리는 전기식 자동 시동장치인 셀프 스타터를 발명했다. 이것은 배터리의 직류 전기로 움직이는 모터를 크랭크축 플라이휠 기어에 연결해 시동을 거는 방식이다.
1911년 케터링이 개발한 버튼식 자동 시동장치는 1912년 캐딜락 모델 30에 처음으로 장착되었고, 1914년에 이르러서는 미국 양산차의 90%가 셀프 스타터를 장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셀프 스타터야말로 자동차 인구를 늘리는 획기적인 발명으로서 노인과 여성들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 역사상 혁명적인 전환기를 맞게 된다. 이후 1949년 미국의 크라이슬러사는 시동장치의 전기시스템을 자동차 열쇠꽂이 스위치에 연결하여 시동을 거는 턴키 스타터(turn-key starter)를 개발하였고, 반드시 열쇠를 꽂아야 시동이 걸리게 되므로 자동차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같은 열쇠로 엔진은 작동시키지 않고 배터리만 연결하여 실내등이나 라디오 등 부속 편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중간 단계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상술한 턴키 스타터 방식의 차량 도난 방지 및 중간 단계를 선택할 수 있고, 버튼 시동방식의 누름 작동식 버튼구조의 편의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즉,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키의 신호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시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엔진이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키와 차량의 버튼 시동장치가 상호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기 때문에 차량의 도난 방지 및 운전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준다. 또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시동 버튼의 누름 작동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전원만 들어오도록 하거나 전원과 함께 시동을 걸 수 있고, 시동 버튼을 다시 누름으로써 엔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이후로도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고, 원거리에서 스마트키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거나 음성을 입력하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터치를 통한 차량의 시동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원거리 조작은 물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 버튼을 누름작동하는 행동까지 배제하여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한 차량의 시동제어에 있어서도 점점 자동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798호의 '스마트키 인식 자동차 시동장치'의 경우에는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자동으로 시동 온이 되도록 제어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031호의 '자동차 도어 오픈시 시동장치'의 경우에는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오픈 시에 자동으로 시동 온이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히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브레이크를 밟는 것만으로 차량의 시동이 온이 되는 경우라면 실제 운전자가 운전 수행의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브레이크를 잘못 밟는 등의 이유로 불필요하게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차량의 전원 천이 과정에서 시동 버튼의 조작으로 시동을 반대로 오프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엔진음이 없기 때문에 현재 시동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실제 운전자가 운전 수행을 위하여 차량에 접근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는 과정에서 전혀 생소한 절차를 수행하는 일 없이 직관적이면서도 전원의 천이 과정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제 운전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시동제어를 시동 버튼 이외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운전자가 운전 수행을 위하여 차량에 접근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는 과정에서 전혀 생소한 절차를 수행하는 일 없이 직관적이면서도 전원의 천이 과정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제 운전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시동제어를 시동 버튼 이외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가진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킨 후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 전환을 활성화하는 변속활성수단과,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하는 변속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 중 상기 변속활성수단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전환수단은 변속레버이고, 상기 변속활성수단은 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된 시프트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는 회전노브이고, 상기 변속활성수단은 상기 회전노브의 누름 작동이고, 상기 변속전환수단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 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활성수단 및 변속전환수단 각각은, 복수의 누름 작동식 또는 터치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석탑승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운전석탑승 감지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운전석탑승 감지부를 통해 상기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는,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시트벨트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벨트체결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벨트체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의 시트벨트가 체결된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벨트체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운전석의 시트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일반적인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과정 하에서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 접근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시트벨트를 메고, 운전자의 실질적인 운전 수행의지인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차량의 시동을 온 시켜 직관적이면서도 전원의 천이 과정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자동 시동 온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브레이크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 시킨 후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차량의 변속 위치까지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자동 시동 온 제어뿐만 아니라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현재 차량의 시동이 온인 상태에서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스마트시동 제어부에서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자동 시동 오프 시스템까지 제시한다.
또한,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통해 운전자의 습관이나 행동양식에 맞게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각각의 제시된 시동 온 및 오프와 변속 전환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활성 또는 비활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전환 스위치를 변속활성수단 및 변속전환수단으로 구분하고, 특히 변속활성수단의 조작이 감지되는 것만으로도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 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변속전환 스위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한 시동 알고리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차량의 운전석 이외의 조수석이나 뒷자리 등에 탑승한 동승자가 변속전환 스위치를 오조작하거나 기타 어린이 등의 장난으로 잘못된 차량의 시동 온 상태가 되지 않도록 운전석탑승 감지부 또는 벨트체결 감지부를 통해 운전석의 탑승 또는 벨트체결 여부를 감지하고, 운전수행 의지가 있는 운전자의 존재 여부를 분명히 확인하여 안전하게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감지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 온 및 변속 위치 전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감지부,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B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C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감지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 온 및 변속 위치 전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감지부,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중 변속전환 스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B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실시예에서 변속위치 감지부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한 구성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로부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C로부터 연결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차량의 시동이 다시 온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 감지부(100), 변속전환 스위치(200) 및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4, 7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감지부(400), 변속위치 감지부(500)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는 도 8,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활성수단(210) 및 변속전환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V)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것을 말하고, 도면에 도시된 승용차 이외의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 및 이륜차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V)에는 기관, 동력전달장치, 차체,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휠/타이어, 전기장치 등의 일반적인 구조 이외에도 속도, 가속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 각각의 기관이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장치 및 기타 장치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 시스템이 구축된 차량(V)의 제어과정 하에서 운전자가 스마트키(SK)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V)에 접근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시트벨트를 메고, 운전자의 실질적인 운전 수행의지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차량(V)의 시동을 온 시키는 차량(V)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차량(V)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각종 센서나 각종 구동장치 및 기타 장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키 감지부(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SK)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SK)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SK)의 위치를 감지한다. 스마트키 감지부(100)는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필수 구성요소이고, 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별인식코드를 저주파(Low Frequency) 신호로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구비한 스마트키(SK)에 대하여, 스마트키(SK)로의 저주파를 송수신하여 개별인식코드를 식별하고, 차량(V)의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제어와 시동 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하여 전원의 천이 및 시동의 온오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감지부(100)는 스마트키(SK)가 차량(V)의 내외부에 있는지는 물론,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스마트키(SK)의 정확한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에서의 필수 구성요소인 스마트키 감지부(100)와 연동하여 후술하는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따른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통한 차량(V)의 자동 시동 온(ON)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변속전환 스위치(200)는 도 1 내지 3, 8,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해 차량(V)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고, 변속레버 타입, 회전노브 타입 및 누름작동 또는 터치식 복수의 버튼 타입 등이 제시된다. 이러한 변속전환 스위치(200)는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 전환을 활성화하는 변속활성수단(210)과,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하는 변속전환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전환 스위치(200)가 변속레버 타입인 경우 상기 변속활성수단(210)은 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된 시프트버튼일 수 있고,상기 변속전환수단(220)은 변속레버 자체로서 변속레버의 전후 이동 또는 좌우 이동 등을 통해 변속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전환 스위치(200)가 회전노브 타입인 경우 상기 변속활성수단(210)은 상기 회전노브의 누름 작동이고, 상기 변속전환수단(220)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 작동을 통해 변속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활성수단(210) 및 변속전환수단(220) 각각이 복수의 누름 작동식 또는 터치식 버튼일 수 있고, 단순히 각각의 버튼을 누름 작동 또는 터치를 통해 변속 위치를 전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운전자가 탑승하여 조작한다는 것은 실제 차량(V)을 운행하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므로 이러한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스마트시동 제어부(300)가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1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SK)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SK)가 상기 차량(V)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킨다. 이때,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은 도 8,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활성수단(210) 또는 변속전환수단(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보통 변속활성수단(210)을 먼저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 중 상기 변속활성수단(210)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V)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량(V)의 외부에서 단순히 외관을 살펴보고자 할 수도 있고, 트렁크로부터 또는 차량(V)의 내부에 있는 짐을 꺼내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차량(V)에 탑승하여 주차(P)한 상태로 쉬거나 음악을 듣거나 영상을 보는 등의 여가를 즐길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 실제 운전자가 운전 의지를 가진 상태로 차량(V)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량(V)의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전석에 탑승하고, 보통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눌러 차량(V)의 시동을 온(ON)시키게 되며, 변속 위치가 주차(P) 상태에 있는 것을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전진(D) 또는 후진(R)으로 변속위치를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활성화시켜 시동 버튼의 누름 작동을 배제하여 자동으로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V)에 접근하고,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전석에 탑승한다. 이때, 스마트키 감지부(200)가 작동하여 스마트키(SK)의 인증을 완료하고, 차량(V)의 실내에 스마트키(SK)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운전자가 운전 수행을 위해 시동 버튼의 누름 작동이 없이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스마트시동 제어부(300)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브레이크 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감지부(400)는 상기 차량(V)의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이 감지되어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킨 후 상기 차량(V)의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를 전환한다.
즉, 단순히 스마트시동 제어부(300)의 자동 시동 온(ON)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 수행 의지에 기반한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따라 변속 위치까지 전환되도록 하며, 이 경우 브레이크 감지부(400)를 통해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V)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차량(V)의 시동이 온(ON)이 됨과 동시에 변속 위치가 급격하게 전환될 경우 차량(V)의 움직임을 운전자가 잘못 인식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감지부(400)를 통해 차량(V)의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V)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차량(V)의 움직임을 일단 제한시킨 후 차량(V)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여 차량(V)을 안전하게 출발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통해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 시킨다.
즉, 차량(V)의 자동 시동 온(ON) 제어뿐만 아니라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통해 현재 차량(V)의 시동이 온인 상태에서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스마트시동 제어부(300)에서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오프(OFF)시키는 자동 시동 오프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는 운전자가 차량(V)의 시동을 온 시킨 후 차량(V)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주행하고, 차량(V)을 주차시켜 차량(V)으로부터 나갈 때 시동 버튼을 다시 눌러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킬 필요없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작동시켜 변속 위치를 주차(P) 위치로 전환하면, 변속위치 감지부(500)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오프(OFF)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 9의 A와 연결되는 도 10의 A의 진행과정을 살펴본다.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차량(V)을 주행 중에 신호대기 또는 잠시 정차 등을 위해 변속 위치를 주차(P) 위치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킨 후 다시 도 1 및 6을 참조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V)을 전진(D) 또는 후진(R)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해야 하므로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ON) 시킬 수 있고,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차량(V)의 변속 위치까지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는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통한 상기 차량(V)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즉, 상술한 스마트시동 제어부(300)의 구체적인 제어 중 운전자의 습관이나 기호에 따라 단순히 차량(V)의 시동만은 온(ON)시키도록 활성하거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차량(V)의 변속 위치까지 전환하도록 활성하거나, 차량(V)의 시동 오프(OFF)까지 활성하는 등 각각의 제어를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통해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 감지부(100), 변속전환 스위치(200), 스마트시동 제어부(300) 및 운전석탑승 감지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위치 감지부(500)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키 감지부(100) 및 변속전환 스위치(200)는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고, 운전석탑승 감지부(700)는 상기 차량(V)의 운전석에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1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SK)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SK)가 상기 차량(V)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운전석탑승 감지부(700)에 의해 상기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킨다.
운전석탑승 감지부(700)는 명칭 그대로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V)의 임의적인 시동 온(ON)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운전 의지를 가지고 동승자와 함께 차량(V)에 탑승하였다가 스마트키(SK)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V)으로부터 다시 나올 수도 있다. 이때, 차량(V) 내의 동승자가 잘못하여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할 수 있고,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차량(V)의 시동이 온(ON) 되는 등의 의도치 않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꿔말해서, 운전자와 함께 동승자의 탑승이 있는 경우에 운전자의 운전 수행 의지만을 반영하고자 하는 것이고, 동승자의 잘못된 조작에 따른 상황을 봉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변속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차량(V)의 변속위치를 감지하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통해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킨다. 이때,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탑승 감지부(700)를 통해 상기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한 후 주차(P) 위치로 변속 전환하여 차량(V)을 잠시 정차 또는 주차시킨 후 차량(V)으로부터 내리지 않고 다시 출발할 수도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고, 완전히 차량(V)으로부터 내려 운전석탑승 감지부(700)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 운전자가 이탈한 것이 감지되면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7의 B와 연결되는 도 18의 B의 진행과정을 살펴본다. 운전자가 차량(V)을 주차시킨 후 차량(V)으로부터 내리고, 짐을 운반하는 등 잠시의 업무를 수행하고 다시 차량(V)에 탑승하는 경우로서,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킨 후 다시 도 15를 참조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V)을 전진(D) 또는 후진(R)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해야 하므로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2 실시예 역시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는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통한 상기 차량(V)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 감지부(100), 변속전환 스위치(200), 스마트시동 제어부(300) 및 벨트체결 감지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위치 감지부(500) 및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키 감지부(100) 및 변속전환 스위치(200)는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고, 벨트체결 감지부(800)는 상기 차량(V)의 운전석의 시트벨트 체결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1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SK)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SK)가 상기 차량(V)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벨트체결 감지부(800)에 의해 상기 운전석의 시트벨트의 체결이 감지되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온(ON) 시킨다.
벨트체결 감지부(800)는 명칭 그대로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있는지는 물론, 차량(V)의 주행 의지를 시트벨트의 체결 여부로 더욱 확실히 하는 것이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시트벨트 체결을 의무화시켜 운전자가 운전석의 시트벨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V)의 시동 온(ON)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변속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차량(V)의 변속위치를 감지하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V)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통해 상기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킨다. 이때,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체결 감지부(800)를 통해 상기 운전석의 시트벨트의 체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2의 C와 연결되는 도 23의 C의 진행과정을 살펴본다. 운전자가 차량(V)을 주차시킨 후 운전석의 시트벨트를 풀어 편안하게 휴식하거나 차량(V)으로부터 내려 짐을 운반하는 등 잠시의 업무를 수행한 후 다시 차량(V)에 탑승하는 경우로서, 차량(V)의 시동을 오프(OFF)시킨 후 다시 도 20을 참조하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운전석의 시트벨트 체결을 감지하고, 운전자가 차량(V)을 전진(D) 또는 후진(R)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조작해야 하므로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3 실시예 역시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는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통한 상기 차량(V)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일반적인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과정 하에서 운전자가 스마트키(SK)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V)에 접근하고, 운전석에 탑승한 후 시트벨트를 메고, 운전자의 실질적인 운전 수행의지인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을 감지하여 스마트시동 제어부(300)에서 자동으로 차량(V)의 시동을 온 시켜 직관적이면서도 전원의 천이 과정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자동 시동 온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브레이크 감지부(400)를 통해 차량(V)의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따라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 시킨 후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한 차량(V)의 변속 위치까지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V)의 자동 시동 온 제어뿐만 아니라 변속위치 감지부(500)를 통해 현재 차량(V)의 시동이 온인 상태에서 차량(V)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스마트시동 제어부(300)에서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자동 시동 오프 시스템까지 제시한다.
또한, 스마트시동 활성부(600)를 통해 운전자의 습관이나 행동양식에 맞게 스마트시동 제어부(300)를 통한 각각의 제시된 시동 온 및 오프와 변속 전환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활성 또는 비활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변속활성수단(210) 및 변속전환수단(220)으로 구분하고, 특히 변속활성수단(210)의 조작이 감지되는 것만으로도 차량(V)의 시동을 자동으로 온 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변속전환 스위치(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한 시동 알고리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차량(V)의 운전석 이외의 조수석이나 뒷자리 등에 탑승한 동승자가 변속전환 스위치(200)를 오조작하거나 기타 어린이 등의 장난으로 잘못된 차량(V)의 시동 온 상태가 되지 않도록 운전석탑승 감지부(700) 또는 벨트체결 감지부(800)를 통해 운전석의 탑승 또는 벨트체결 여부를 감지하고, 운전수행 의지가 있는 운전자의 존재 여부를 분명히 확인하여 안전하게 차량(V)의 시동을 온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V : 차량
SK : 스마트키
100 : 스마트키 감지부
200 : 변속전환 스위치
210 : 변속활성수단 220 : 변속전환수단
300 : 스마트시동 제어부
400 : 브레이크 감지부
500 : 변속위치 감지부
600 : 스마트시동 활성부
700 : 운전석탑승 감지부
800 : 벨트체결 감지부
SK : 스마트키
100 : 스마트키 감지부
200 : 변속전환 스위치
210 : 변속활성수단 220 : 변속전환수단
300 : 스마트시동 제어부
400 : 브레이크 감지부
500 : 변속위치 감지부
600 : 스마트시동 활성부
700 : 운전석탑승 감지부
800 : 벨트체결 감지부
Claims (17)
- 차량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마트키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스마트시동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킨 후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위치인지 감지하는 변속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변속위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가 주차(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마트시동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 전환을 활성화하는 변속활성수단과,
상기 차량의 변속 위치를 주차(P), 후진(R), 중립(N) 또는 전진(D)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하는 변속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시동 제어부는,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 중 상기 변속활성수단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전환수단은 변속레버이고,
상기 변속활성수단은 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된 시프트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전환 스위치는 회전노브이고,
상기 변속활성수단은 상기 회전노브의 누름 작동이고,
상기 변속전환수단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 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활성수단 및 변속전환수단 각각은,
복수의 누름 작동식 또는 터치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20A KR102146182B1 (ko) | 2019-01-18 | 2019-01-18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20A KR102146182B1 (ko) | 2019-01-18 | 2019-01-18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969A KR20200089969A (ko) | 2020-07-28 |
KR102146182B1 true KR102146182B1 (ko) | 2020-08-19 |
Family
ID=7183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920A KR102146182B1 (ko) | 2019-01-18 | 2019-01-18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61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1411A (ko) | 2022-08-10 | 2024-02-19 | 김한경 | 모터사이클 운행 지원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6610A (zh) * | 2022-04-19 | 2022-12-02 |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 一种基于人脸识别的个性化车辆启动控制方法 |
CN115214531A (zh) * | 2022-07-14 | 2022-10-21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车辆解锁方法、装置、系统及车辆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930A (ja) * | 1999-03-15 | 2000-09-26 | Mitsubishi Motors Corp | 車両用制御装置 |
JP2003269305A (ja) * | 2002-01-11 | 2003-09-25 | Denso Corp | 車両用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車両用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携帯機 |
KR101404909B1 (ko) * | 2013-03-14 | 2014-06-11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
KR101488307B1 (ko) * | 2013-04-29 | 2015-0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KR101596706B1 (ko) | 2014-11-14 | 2016-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동시조작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4810B1 (ko) * | 2013-11-04 | 2020-04-2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자동 시동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6920A patent/KR102146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930A (ja) * | 1999-03-15 | 2000-09-26 | Mitsubishi Motors Corp | 車両用制御装置 |
JP2003269305A (ja) * | 2002-01-11 | 2003-09-25 | Denso Corp | 車両用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車両用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携帯機 |
KR101404909B1 (ko) * | 2013-03-14 | 2014-06-11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
KR101488307B1 (ko) * | 2013-04-29 | 2015-0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KR101596706B1 (ko) | 2014-11-14 | 2016-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동시조작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1411A (ko) | 2022-08-10 | 2024-02-19 | 김한경 | 모터사이클 운행 지원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969A (ko) | 2020-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6182B1 (ko) | 차량의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
US7277007B2 (en) | Keyless smart start system | |
US7254466B2 (en) | Engine start controller | |
US20110202201A1 (en) | Remote starting device and remote starting method | |
US20200001823A1 (en) | Two step smart key start system | |
JP2009143528A (ja) | 車両の変速レバーロック装置 | |
US20140114539A1 (en) | Vehicular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 |
JP2004197668A (ja) |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 |
JP4094880B2 (ja) | エンジン起動装置 | |
JP2006315582A (ja) | 車両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 |
JP2010023548A (ja) | 車両機能制限システム及び車両機能制限対応キー | |
JP4572729B2 (ja) | 車両用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制御装置 | |
JP2004278050A (ja) |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及び方法 | |
JP4464716B2 (ja) |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 |
JP2017030627A (ja) | 車両制御システム | |
JP2009262856A (ja) | エンジン始動装置 | |
US2011020841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automobile using start-button | |
JP2006274814A (ja) | エンジン遠隔操作システム | |
JP2011073538A (ja) | 車両用制御装置 | |
KR102515959B1 (ko) | 스마트키 진동 감지시스템 | |
JP2014151808A (ja) | 電源ポジション切替装置 | |
JP2002264682A (ja) | シフト装置 | |
JP3831361B2 (ja) | 遠隔制御システムの作動制御装置 | |
JP2006316431A (ja) |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 |
JP3908089B2 (ja) |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の操作規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